KR20140093050A - 약제 포장기용 호퍼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포장기용 호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3050A
KR20140093050A KR1020130005352A KR20130005352A KR20140093050A KR 20140093050 A KR20140093050 A KR 20140093050A KR 1020130005352 A KR1020130005352 A KR 1020130005352A KR 20130005352 A KR20130005352 A KR 20130005352A KR 20140093050 A KR20140093050 A KR 20140093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opening
closing door
door
medic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9716B1 (ko
Inventor
배병우
김근영
김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포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포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포피아
Priority to KR1020130005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716B1/ko
Publication of KR20140093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02Supply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제 포장기의 약제 카세트들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들을 최종적으로 저장한 후 약제 포장장치로 배출하는 약제 포장기용 호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 포장기용 호퍼장치는 호퍼와 개폐도어 및 선형 구동부를 포함한다. 호퍼는 약제 포장기의 약제 카세트들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들을 저장하며, 하부에 저장된 약제들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개폐도어는 호퍼의 배출구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선형 왕복함에 따라 호퍼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선형 구동부는 개폐도어를 선형 왕복시키는 역할을 한다.

Description

약제 포장기용 호퍼장치{Hopper device for Medicine packing machine}
본 발명은 약제 포장기용 호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퍼에 저장된 약제들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선형 왕복운동 하도록 형성된 개폐도어를 구비한 약제 포장기용 호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사 또는 약사의 처방에 따라서, 정제(tablet)나 캡슐(capsule) 등의 약제를 종류별로 수용하고 있는 복수개의 카세트 장치로부터 약제를 공급받아 처방 약제를 일회분씩 연속적으로 포장하는 약제 포장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약제 포장기는 본체의 상부에 배열되어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정제 또는 캡슐 등의 약제가 수용되는 복수의 약제 카세트 장치와, 본체의 하부에 배열되어 카세트 장치들로부터 배출되어 낙하되는 약제를 수집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 내에 위치하여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도어와, 개폐도어의 개방 시 호퍼로부터 수집된 약제를 포장지에 의해 포장하는 포장 장치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러한 약제 포장기는 호퍼에 수집된 다수의 약제들을 포장장치로 공급하는데, 처방된 약제의 종류가 많거나 장치의 이상으로 인해 처방된 약제들이 섞이거나 뒤바뀌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 약제들을 다시 재포장하거나 잘못 제조된 약제들을 환자들에게 그대로 공급하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09-0008893(2009.09.02 공개)
본 발명의 과제는 카메라를 호퍼의 배출구쪽을 촬영하도록 배치하고 개폐도어를 선형 왕복운동 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카메라로 약제들을 촬영할 때 개폐도어가 약제들을 가리지 않도록 하여 약제들이 호퍼 내부에 정상적으로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독하는 약제 포장기용 호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약제 포장기용 호퍼장치는 약제 포장기의 약제 카세트들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들을 저장하며, 하부에 저장된 약제들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호퍼; 상기 호퍼의 배출구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선형 왕복함에 따라 상기 호퍼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도어; 및 상기 개폐도어를 선형 왕복시키는 선형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에 의해 호퍼 내부에 저장된 약제들이 정상적으로 저장되어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약제 포장기의 오작동으로 인해 약제들이 잘못 제조되어도 환자들에게 잘못 제조된 약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호퍼의 개폐도어가 선형 왕복운동하며 개폐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카메라로 약제들을 촬영할 때 개폐도어가 약제들을 가리지 않아 약제들이 호퍼 내부에 정상적으로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독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카메라에 의해 약제들이 정상적으로 호퍼 내부에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비정상적으로 저장되었을 경우 선형 구동부의 작동을 중지시켜 약제들의 포장을 중단시킴으로써 비정상적으로 포장된 약제들을 다시 재포장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기용 호퍼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약제 포장기용 호퍼장치가 약제 포장기에 장착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있어서, 선형 구동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에 있어서, 동력 전달부의 동작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에 있어서, 선형 구동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선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기용 호퍼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약제 포장기용 호퍼장치가 약제 포장기에 장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선형 구동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제 포장기용 호퍼장치(10)는 호퍼(100)와, 개폐도어(200) 및 선형 구동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약제 포장기는 의사의 처방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약제들이 보관된 다수의 약제 카세트(1)들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를 1회 복용 분량씩 자동으로 분배하여 포장하는 장치이다.
호퍼(100)는 약제 포장기의 약제 카세트(1)들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들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호퍼(100)의 하부에는 저장된 약제들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개폐도어(200)는 호퍼(100)의 배출구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선형 왕복함에 따라 호퍼(100)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개폐도어(200)는 선형 구동부(300)에 의해 선형 왕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폐도어(200)의 선형 왕복운동에 의해 약제 카세트(1)들로부터 배출된 약제들은 호퍼(100)에 일정시간 멈추어 저장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선형 구동부(300)는 도어 가이드(310)와, 액추에이터(320) 및 동력 전달부(330)를 구비한다.
도어 가이드(310)는 일단에 호퍼(100)가 끼워지며,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다. 또한, 도어 가이드(310)의 타단 상부에는 회전 모터(321)와 센서부(322b)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311)가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320)는 도어 가이드(310)의 슬라이드 홈에 끼워진 개폐도어(200)를 선형 왕복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액추에이터(320)는 회전 모터(321)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도어 개폐 감지센서(3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 모터(321)는 회전 축이 지지부재(311)의 상측 중앙에 형성된 홀을 통과하도록 형성되어 지지부재(311)에 지지될 수 있으며, 약제 카세트(1)들로부터 배출된 약제들이 개폐도어(200)에 도달하면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회전 모터(321)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어 개폐 감지센서(322)는 개폐도어(200)의 개폐 여부를 인지하는 센서로, 회전원판(322a)과 센서부(32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원판(322a)은 회전 모터(321)의 회전 축에 끼워져 회전 모터(321)와 함께 회전하며, 일측에 슬릿이 형성된다.
센서부(322b)는 회전원판(322a)의 슬릿을 감지하여 개폐도어(200)의 개폐 여부를 인지하는 것으로, 지지부재(311)의 측면에 체결될 수 있다.
센서부(322b)는 일측에서 일정 주파수의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와, 타측에서발광부로부터 발산된 빛을 받아들이는 수광부로 이루어어진 적외선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센서부(322b)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는 회전원판(322a)의 슬릿이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부(322b)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회전원판(322a)의 슬릿이 위치함으로써 발광부에서 적외선을 발산하면 수광부는 슬릿 사이로 적외선을 받아들이게 되므로, 센서부(322b)는 개폐도어(200)가 호퍼(100)의 배출구를 닫고 있음을 인지하게 된다. 반면에, 회전원판(322a)의 회전에 의해 회전원판(322a)이 발광부의 적외선을 차단하면, 센서부(322b)는 개폐도어(200)가 호퍼(100)의 배출구를 개방하고 있음을 인지하게 된다.
동력 전달부(330)는 액추에이터(320)로부터 개폐도어(200)로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동력 전달부(330)는 일단이 회전 모터(321)의 회전 축과 결합된 제1 레버(331)와, 일단이 제1 레버(331)에 링크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개폐도어(200)에 힌지 결합된 제2 레버(3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동력 전달부(330)의 동작 관계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모터(321)가 회전하면 회전 모터(321)의 회전 축과 결합된 제1 레버(331)와 회전원판(322a)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일단이 제1 레버(331)와 링크 결합되고 타단이 개폐도어(200)와 힌지 결합된 제2 레버(332)가 회전하며 개폐도어(200)를 선형 이동시킨다. 여기서, 회전 모터(321)가 180° 회전하면 개폐도어(200)는 완전히 개방되며, 360° 회전하면 개폐도어(200)는 완전히 폐쇄된다. 이와 같이, 회전 모터(321)가 반복적으로 회전함으로써 개폐도어(200)는 선형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선형 구동부(3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약제들이 약제 카세트(1)들로부터 배출되기 전 도어 개폐 감지센서(322)는 개폐도어(200)가 완전히 폐쇄되어 있는지를 감지한다.
이는 약제 카세트(1)와 포장장치가 서로 이격되어 있어 약제들이 약제 카세트(1)에서 포장장치로 바로 공급되면 약제들이 파손될 수 있으며, 약제 카세트(1)에서 약제들이 시간차를 두고 낙하하기 때문에 개폐도어(200)에 일정시간 머물렀다 배출되어야 약제들이 한꺼번에 정상적으로 포장장치에 공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도어 개폐 감지센서(322)는 센서부(322b)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회전원판(322a)의 슬릿이 위치하면 개폐도어(200)가 완전히 폐쇄된 것으로 인지한다.
만약, 센서부(322b)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회전원판(322a)의 슬릿 이외의 면이 위치하게 되면 도어 개폐 감지센서(322)는 개폐도어(200)가 개방된 것으로 간주하게 된다. 그러면, 회전 모터(321)를 통해 센서부(322b)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회전원판(322a)의 슬릿이 위치할 때까지 개폐도어(200)를 이동시킨 후 다시 도어 개폐 감지센서(322)를 통해 개폐도어(200)가 완전히 폐쇄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개폐도어(200)가 완전히 폐쇄된 것이 확인되면 회전 모터(322a)를 구동하여 개폐도어(200)를 선형왕복 시킨다. 이때, 회전 모터(322a)가 180°회전하면 개폐도어(200)는 완전히 개방되며, 회전 모터(322a)가 360°회전하면 개폐도어(200)는 완전히 폐쇄되게 된다. 이와 같이, 개폐도어(200)가 개방 및 폐쇄됨에 따라 호퍼(100) 내부에 저장되었던 약제들은 배출구로 모두 배출된다.
이렇게 약제들이 모두 배출되고 나면 도어 개폐 감지센서(322)를 통해 개폐도어(200)가 완전히 폐쇄되어 있는지를 확인한 후 회전 모터(322a)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만약, 개폐도어(200)가 개방되어 있다면 다시 회전 모터(322a)를 구동시켜 개폐도어(200)를 폐쇄하며,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도 개폐도어(200)의 폐쇄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선형 구동부(300)의 작동 이상으로 판단한다.
한편, 약제 포장기용 호퍼장치(10)는 카메라(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400)는 호퍼(100)의 배출구쪽을 촬영하도록 배치되어 호퍼(100)에 정상적으로 약제들이 저장되어있는지의 여부를 판독하는 역할을 한다.
카메라(400)는 개폐도어(200)가 완전히 폐쇄되었을 때, 즉, 회전원판(322a)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회전원판(322a)의 슬릿이 위치할 때 개폐도어(200) 상부에 수집된 약제들을 촬영하고, 촬영된 약제들의 형태와 색상을 판독하여 약제들이 호퍼에 정상적으로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약제 포장기용 호퍼장치(10)는 카메라(400)를 통해 호퍼(100) 내부에 저장된 약제들이 정상적으로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약제 포장기의 오작동으로 인해 약제들이 잘못 제조되어도 환자들에게 잘못 제조된 약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호퍼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회전방식으로 형성된 개폐도어가 호퍼 내부에 비스듬히 기울어지도록 장착되어야만 했다. 따라서, 종래의 개폐도어를 이용하여 카메라로 호퍼 내부에 위치한 약제들을 촬영하려면 약제들이 한곳으로 쏠려 있을 뿐 아니라 개폐도어에 의해 약제들이 가려져 약제들이 호퍼 내부에 정상적으로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독할 수 없게 되는데, 본 발명은 개폐도어(200)를 선형 왕복운동에 의해 개폐되도록 형성함에 따라, 약제들이 한곳으로 쏠리지 않고 개폐도어(200)가 약제들을 가리지 않게 됨으로써 카메라(400)를 이용하여 약제들이 호퍼(100) 내부에 정상적으로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구성을 갖는 약제 포장기용 호퍼장치(10)의 동작관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약제 포장기의 약제 카세트(1)들로부터 약제들이 배출되면, 약제들은 개폐도어(200)에 의해 일시적으로 호퍼(100)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호퍼(100) 내부에 약제들이 정상적으로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호퍼(100) 배출구쪽을 촬영하도록 배치된 카메라(400)를 통해 개폐도어(200) 상부에 위치한 약제들을 촬영한 후 촬영된 약제들의 형태와 색상을 판독한다.
여기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약제 포장기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제어부는 카메라(400)에 의해 촬영된 약제들의 형태와 색상을 판독한 후 정상적으로 저장되었을 경우에는 선형 구동부(300)를 가동하여 약제들을 배출구를 통해 포장장치로 배출하며, 촬영된 약제가 비정상적으로 저장된 경우에는 선형 구동부(300)의 작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카메라(400)를 통해 약제들이 호퍼(100)에 정상적으로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비정상적으로 저장되었을 경우 선형 구동부(300)의 작동을 중지시켜 약제들의 포장을 중단하게 되므로 비정상적으로 포장된 약제들을 다시 재포장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카메라(400)에 의해 약제들이 호퍼(100)에 정상적으로 저장된 것이 검증되면, 회전 모터(321)가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회전 모터(321)의 회전 축과 결합된 회전원판(322a)과 제1 레버(331)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제1 레버(331)에 일단이 링크 결합된 제2 레버(332) 또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레버(332)의 타단에 힌지 결합된 개폐도어(200)를 제2 레버(332)가 회전하며 개폐도어(200)를 잡아당겨 선형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개폐도어(200)의 선형이동에 의해 배출구가 개방되면 개폐도어(200)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던 약제들이 배출구로 배출되어 포장장치로 공급된다. 여기서, 개폐도어(200)는 선형 왕복운동을 하도록 형성되며, 회전 모터(321)가 180° 회전하면 개폐도어(200)는 완전히 개방되고, 360° 회전하면 개폐도어(200)는 완전히 폐쇄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약제 카세트 10.. 약제 포장기용 호퍼장치
100.. 호퍼 200.. 개폐도어
300.. 선형 구동부 310.. 도어 가이드
311.. 지지부재 320.. 액추에이터
321.. 회전 모터 322.. 도어 개폐 감지센서
322a.. 회전원판 322b.. 센서부
330.. 동력 전달부 331.. 제1 레버
332.. 제2 레버 400.. 카메라

Claims (5)

  1. 약제 포장기의 약제 카세트들로부터 배출되는 약제들을 저장하며, 하부에 저장된 약제들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호퍼;
    상기 호퍼의 배출구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선형 왕복함에 따라 상기 호퍼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도어; 및
    상기 개폐도어를 선형 왕복시키는 선형 구동부;
    를 포함하는 약제 포장기용 호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구동부는
    상기 호퍼가 끼워지며,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도어 가이드;
    상기 도어 가이드의 슬라이드 홈에 끼워진 상기 개폐도어를 선형 왕복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상기 개폐도어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기용 호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회전 모터와,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 개폐 감지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동력 전달부는 일단이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 축과 결합된 제1 레버와, 일단이 상기 제1 레버에 링크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개폐도어에 힌지 결합된 제2 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기용 호퍼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 감지센서는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 축에 끼워져 상기 회전 모터화 함께 회전하며, 일측에 슬릿이 형성된 회전원판; 및
    상기 회전원판의 슬릿을 감지하여 상기 개폐도어의 개폐 여부를 인지하는 센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기용 호퍼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배출구쪽을 촬영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호퍼에 정상적으로 약제들이 저장되어있는지의 여부를 판독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기용 호퍼장치.
KR1020130005352A 2013-01-17 2013-01-17 약제 포장기용 호퍼장치 KR101449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352A KR101449716B1 (ko) 2013-01-17 2013-01-17 약제 포장기용 호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352A KR101449716B1 (ko) 2013-01-17 2013-01-17 약제 포장기용 호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050A true KR20140093050A (ko) 2014-07-25
KR101449716B1 KR101449716B1 (ko) 2014-10-15

Family

ID=51739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352A KR101449716B1 (ko) 2013-01-17 2013-01-17 약제 포장기용 호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71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2512A (en) * 1994-05-09 1996-06-04 Merck & Co.,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feeding, inspecting and diverting tablets for continuous filling of tablet containers
JPH08244702A (ja) * 1995-03-13 1996-09-24 Yuyama Seisakusho:Kk 薬剤包装装置
JP2000159201A (ja) * 1998-11-24 2000-06-13 Contec:Kk 粘性物品充填装置
JP3978022B2 (ja) * 2001-12-03 2007-09-19 株式会社古川製作所 ロータリ式の真空包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9716B1 (ko) 201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3428Y1 (ko) 약제 포장 장치의 에러 식별기
KR100910395B1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JP7248688B2 (ja) 自動包装機のための汎用フィード機構
TW201502047A (zh) 藥品分配容器
AU2006226985A1 (en) Pill dispensing apparatus
KR20010032552A (ko) 약제 공급 장치
KR20100128843A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US20140097195A1 (en) Automated medication dispensing unit
KR200459198Y1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KR100985117B1 (ko) 알약절단장치
KR102083863B1 (ko) 약제 충전 장치
JP2021016598A (ja) 汎用薬剤供給装置及び薬剤分包装置
KR101595906B1 (ko) 약제 분배 포장장치
KR101449716B1 (ko) 약제 포장기용 호퍼장치
US20160251095A1 (en) Medicine Filling Apparatus
US20160251094A1 (en) Medicine Filling Apparatus
KR101576197B1 (ko) 약제 카트리지
KR20160018214A (ko) 약제 카트리지
KR101616107B1 (ko) 약제 카트리지
KR200454178Y1 (ko)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US10445970B2 (en) Medicine-dispensing apparatus
KR101107664B1 (ko)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
KR20090091532A (ko) 약제포장기의 이송장치
KR20150141800A (ko) 약제 분배 포장장치
CA2887063C (en) Automated medication dispensing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