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2820A - 원심 팬 - Google Patents

원심 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2820A
KR20140092820A KR1020147010966A KR20147010966A KR20140092820A KR 20140092820 A KR20140092820 A KR 20140092820A KR 1020147010966 A KR1020147010966 A KR 1020147010966A KR 20147010966 A KR20147010966 A KR 20147010966A KR 20140092820 A KR20140092820 A KR 20140092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ollar
centrifugal
impeller
centrifugal imp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0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7662B1 (ko
Inventor
필립스 피에트로 데
Original Assignee
스팔 오토모티브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팔 오토모티브 에스.알.엘. filed Critical 스팔 오토모티브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140092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08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 for cooling the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04D17/16Centrifugal pumps for displacing without appreciable compre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06Cooling the drive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원심 팬(1)은, 회전축(R)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원심 임펠러(4); 원심 임펠러(4)의 구동 모터(3); 그리고 모터(3)와 원심 임펠러(4)를 하우징하기 위한 중앙부(17) 및 상기 중앙부(17)와 연통되는 접선방향 출구 채널(18)을 포함하며, 중앙부(17)에 입구 개구부(15)와 접선방향 출구 채널(18)에 출구 개구부(16)를 구비하는 케이싱(2)을 포함한다. 상기 원심 팬(1)은 모터(3)를 냉각하기 위한 시스템(4, 14, 28, 29)을 포함하는데, 이 시스템은, 임펠러(4)와, 냉각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기 위하여 접선방향 출구 채널(18)과 중앙부(17) 사이에서 작동하는 환기 채널(30, 31)과, 원심 임펠러(4)에서 모터(3) 주위로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원심 임펠러(4)와 일체화된 칼라(28)와, 모터(3) 주위에 나선형 볼텍스를 생성하는 냉각 흐름과 합쳐지는 접선방향 냉각 성분을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반경반향 블레이드(29)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심 팬{CENTRIFUGAL FAN}
본 발명은 원심 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팬의 모터를 냉각시키기 위한 시스템을 포함하는 원심 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분야(버스, 트럭 및 기타 유사 응용)에 있어서, 개방형(open type) DC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원심 팬의 사용은 광범위하다.
이러한 팬은 편리하게도 냉각 공기의 강제 대류에 기초한 구동 모터의 냉각을 위한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선행 기술에 따른 원심 팬을 부분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타입의 팬은 중앙부(101)와, 중앙부(101)와 연통된 출구 채널(102)에 의해서 형성되는 스크롤형(scroll-shaped) 외부 케이싱(100)을 포함한다.
케이싱(100)은 중앙부(101)에 형성되는 입구 개구부(103)와 채널(102)의 끝단에 형성되는 출구 개구부(104)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개방형" 통기공(aeration hole)(105a)들을 구비한 모터(105)는 원심 임펠러(106)를 구동하기 위하여 스크롤 내부에 설치되고, 임펠러의 축(R) 주위를 회전하며, 임펠러는 입구 개구부(103)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스크롤(2)의 채널(102)로 공기를 보낸다.
임펠러(106)는 회전하기 시작한 후부터 입구 개구부(103)와 출구 개구부(104) 사이에 압력차를 발생시키게 됨으로써, 채널(102)을 따라 공기의 흐름(F)이 생성된다. 일반적으로, 이는 팬의 출구 또는 바깥에 고압이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반면에 입구 또는 내부에 음의 압력( 출구와 비교하여)이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모터(105)의 냉각 시스템은 채널(102)과 연통하는 입구 및 중앙부(101)와 연통하는 출구를 가진 재순환 덕트(107)를 포함한다. 덕트(107)는 임펠러(106)에서 나오는 초과 압력으로부터 모터(105)의 후면부의 중앙부(101)로 밀리는 냉각 공기의 흐름 RF를 생성하기 위하여, 케이싱(100)의 출구에서 압축된 공기를 모은다. 이러한 방식으로, 냉각 공기의 흐름 RF은 모터(105)의 권선(windings)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열을 제거하면서 모터(105)의 통기공(105a)을 지나고, 다시 임펠러(106)의 내부에 들어오고 채널(102)로 다시 들어간다.
이러한 팬의 기준 시장(reference market)은 모터의 전자적 구동의 관점에서 더욱 진보된 해결책을 필요로 하고 있고, 이는 브러쉬리스 타입이나 DC타입에 상관없이 모터에 일체화되어야 하고, 아울러 가혹한 작동 환경 하에서의 모터의 수명과 신뢰도의 관점에서도 필요하다.
이러한 해결책의 채택에 있어서의 주된 장애는 작동되는 팬의 최적 작동 조건을 보장할 수 없는 종래 기술의 모터의 냉각 시스템의 비교적 열악한 성능에 기인한다.
예를 들어, 모터에 일체화된 구동 전자 부품의 경우를 고려해보면, 한계 작동 온도는 권선의 온도보다 최대 50℃까지 낮아야하고, 그러므로 모터의 냉각 시스템은 필수적으로 한계 작동 조건을 초과하지 않기 위해서 많은 양의 열을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제품의 수명과 가혹한 작동 조건 하에서의 작동 가능성은 모두가 모터와 관련된 전자 부품의 적절하고 효율적인 냉각을 보장하는 가능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주된 기술적 목적은 위에서 언급된 결함이 제거된 원심 팬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고효율의 냉각 시스템을 구비한 원심 팬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각 구성요소가 냉각 공기의 강제 흐름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는 폐쇄형 모터(closed motor)를 채택한 경우와 같이 임펠러를 구동하는 모터로부터 많은 양의 열을 제거할 수 있는 냉각 시스템을 구비한 팬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에 언급된 기술적 목적 및 구체화된 목표는 독립청구항 제1 항에 따른 원심 팬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성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에 예시된 원심 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따르는 비제한적인 설명에서 더욱 명백해진다.
도 1은 선행 기술에 관한 원심 팬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심 팬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 팬의 제2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선 Ⅳ-Ⅳ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팬을 편의상 확대한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구성을 더욱더 잘 나타내기 위하여 일부 부품을 절단한 상태에서 도시한, 도 3에 도시된 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 팬의 임펠러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임펠러의 제2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팬의 제3 실시예의 일 부분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팬의 원심 임펠러의 세부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 특히 도 2를 참조하면, 도면 부호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 팬(centrifugal fan)을 나타낸다.
회전축(R)을 가지는 팬(1)은 케이싱(casing)(2)(또는 벌루트(volute) 또는 스크롤(scroll)), 케이싱(2) 내부에 배치되어 그 케이싱에 의해서 지지되며 대응하는 축(3a)을 가지며 폐쇄형 또는 "밀폐형(sealed)"인 것이 바람직한 전기 모터(3), 그리고 모터(3)에 의해서 구동되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원심 임펠러(centrifugal impeller)(4)를 포함한다.
축(R)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임펠러(4)는 축(R)을 따르는 주된 연장부를 가지는 다수의 원심 블레이드(centrifugal blades)(5) 및 제1 및 제2 지지링(support ring)(6, 7)을 포함하고, 지지링(6, 7) 사이에서 블레이드(5)가 연장된다.
임펠러(4)는 축(R)과 동축인 지지링(7)에 의해서 구획되는 개구부에 의해 형성된 제1 입구(8)와, 블레이드(5)들 사이의 공간에 의해서 형성된 접선방향 출구(9)를 구비한다.
임펠러(4)는 모터(3)와 커플링되게 하는 제1 지지링(6)에 연결되는 허브(10)를 포함한다.
허브(10)는 축(3a)과 커플링되게 하는 슬리브(11)를 구비하고, 슬리브로부터는 링(6)과의 연결을 위한 복수의 암(12)이 연장된다.
또한, 허브(10)는 암(12)들 사이에서 슬리브(11)로부터 연장되고 암(12)과 지지링(6)과 함께 복수의 개구부(14)를 구획하는 중앙부(13)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3)는 허브(10)의 내부로 일부가 삽입되어 있는 반면,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모터(3)는 허브(10)의 외부에 있다.
앞서 언급한 케이싱(2)은, 임펠러(4)에 의해서 이동되는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회전축(R)과 동축을 이루는(이에 따라 임펠러(4)의 입구(8)와 동축을 이루는) 축방향 입구 개구부(15) 및 임펠러(4)에 대하여 공지의 방식으로 배치된 접선방향 출구 개구부(16)를 가진다.
케이싱(2)은 본체(main body)를 포함하고, 본체는 입구 개구부(15)가 형성된 중앙부(17)와, 중앙부(17)에서 접선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중앙부와 유체 연통되며 자유단에는 출구 개구부(16)가 위치하는 출구 채널(outlet channel)(18)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팬(1)은 모터(3)가 내장된 케이싱(2)을 닫기 위한 커버(19)를 포함한다.
실제로, 커버(19)는 모터(3)에 대하여 임펠러(4)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본체의 중앙부(17)와 결합된다.
커버(19)는 모터(3)를 위한 하우징(20)을 형성하고, 그 하우징 안에 모터(3)가 부분적으로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버(19)는, 하우징(20)을 구획하는, 내부 원통형 측벽(21) 및 측벽(21)과 결합된 내부 후면 벽(22)을 가지며, 모터(3)가 하우징(20) 내부에 동축을 이루면서 위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모터(3)의 상부(3b)는 하우징(20)에 수용되는 모터(3)의 일 부분이고, 모터(3)의 하부(3c)는 허브(10)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공기 순환 구역(air circulation zone)(32)은 모터(3)와 커버(19) 사이, 구체적으로는 상부(3b)와 커버(19) 사이에 한정된다.
팬(1)은 케이싱(2)의 내부에서 바깥을 향하는 방향을 가진 냉기의 흐름 RF에 의해서 모터(3)로부터 열을 제거하기 위한 냉각 시스템(cooling system)을 포함한다.
아래 제시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냉기의 흐름 RF은 접선방향 성분(tangential component)과 회전축(R) 방향을 따르는 축방향 성분(axial component)으로 이루어진다.
접선방향 성분과 축방향 성분은 벡터로 더해지며, 결과적으로 모터(3) 주위의 나선형 볼텍스(helical vortex) RF를 생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서, 모터의 냉각 시스템은, 앞서 언급한 축방향 성분을 생성하기 위해, 임펠러(4)와, 출구 채널(18)에 있는 입구(26) 및 중앙부(17)에 있는 출구(27)를 가지는 덕트(30)를, 주로 모터(3)에 구비시킨다.
사용 시, 임펠러(4)의 출구(9)에 초과압력(over-pressure)이 생성되며, 특히 덕트(30)의 입구(26)에서도 그러하다.
이러한 초과압력은 공기를 입구(26)에서부터 출구(27)를 향하여 덕트(30)를 따라 밀어내고, 덕트(30)로부터 빠져나가는 공기의 흐름은 앞서 언급한 축방향 성분을 형성한다.
사용 시, 앞서 언급한 냉기의 흐름 RF의 접선방향 성분을 생성시키기 위해서, 냉각 시스템은, 임펠러(4)와 일체화되고 임펠러(4)로부터 모터(3)를 향하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칼라(collar, 28) 및 칼라(28)의 외부에서 이에 의하여 지지되고 모터(3)와 마주하는 복수의 반경방향 블레이드(radial blades)(29)를 포함한다.
칼라(28)는 임펠러(4)와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고, 블레이드(5)에 대하여 반대편에 놓인 지지링(6)으로부터 연장된다.
반경반향 블레이드(29)는 지지링(6)과 외부 칼라(28)의 사이에서 연장되고, 외부 칼라에서 모터(3)를 향하여 연장된다.
외부 칼라(28)는 블레이드(29)와 함께 모터(3), 특히 모터의 상부(3b)를 둘러싼다.
하우징(20)은 모터(3)뿐만 아니라 칼라(28)와 블레이드(29)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임펠러(4)와 함께 회전하게 배치되며 블레이드(29)들로 구성된 블레이딩(blading)은 임펠러(4)와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외부 칼라(28)와 함께 접선방향 성분을 형성하는 냉각 흐름 RF에 기여한다.
다시 말해서, 블레이드(29)의 회전 효과는 블레이드(29)와 모터(3) 사이의 빈 공간(hollow space)에 담긴 공기를 드래깅(dragging)시키는 것과 냉각 흐름 RF의 접선방향 성분을 생성시키는 것이다.
축방향 성분은 바람직하기로는 케이싱(2) 내부에서 모터의 상부(3b)로부터 모터의 하부(3c)로 보내지는데, 접선방향 성분과 축방향 성분의 조합으로부터 생긴 냉각 흐름 RF가 허브(10)의 개구부(14)를 통하여 임펠러(4)의 내부로 이동하고 이로부터 출구 개구부(16)를 통하여 케이싱(2)의 외부로 방출되는 방식으로 보내진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서, 냉각 시스템은 칼라(28)의 원통형 외부 벽과 하우징(20)의 원통형 측벽 사이에 형성되는 빈 공간 또는 환형 채널(31)을 포함한다.
환형 채널(31)은 모터(3)의 상부(3b)에서 케이싱(2)의 중앙부(17)와 유체 연통되도록 출구 채널(18)을 배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버(19)는 환형 빈 공간(31)이 출구 채널(18)과 유체 연통되게 형성된다.
특히 도 5를 참조하면, 도면 부호 31a는 환형 채널(31)의 입구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31b는 채널(31)의 출구를 나타낸다.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냉각 시스템은 임펠러(4)와 일체화되고 임펠러(4)로부터 모터(3)를 향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된 칼라(28)와 그 외부에 칼라(28)에 의해서 지지되고 모터(3)와 마주하는 반경반향 블레이드(29)를 포함한다.
칼라(28)는 임펠러(4)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블레이드(5)에 대하여 반대편에 놓인 지지링(6)으로부터 연장된다.
반경반향 블레이드(29)는 지지링(6)과 외부 칼라(28)의 사이에서 연장되고, 외부 칼라에서 모터(3)를 향하여 연장된다.
외부 칼라(28)는 블레이드(29)와 함께 모터(3), 특히 모터의 상부(3b)를 둘러싼다.
하우징(20)은 모터(3)뿐만 아니라 칼라(28)와 블레이드(29)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임펠러(4)와 함께 회전하게 배치된 블레이드(29)들로 구성된 블레이딩(blading)은 임펠러(4)와 하나의 몸체를 외부 칼라(28)와 함께 접선방향 성분을 형성하는 냉각 흐름 RF에 기여를 생성한다.
다시 말해서, 블레이드(29)의 회전 효과는 블레이드(29)와 모터(3) 사이의 빈 공간(hollow space)에 담긴 공기를 드래깅(dragging)시키는 것과 냉각 흐름 RF의 접선방향 성분을 생성시키는 것이다.
사용 시, 임펠러(4)는 공기를 채널(18)을 따라 고속으로 밀어낸다.
고속의 공기는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를 발생시키고, 이는 결과적으로 채널(31)의 출구(31b)에서 음의 압력을 발생시킨다.
음의 압력은 냉각 흐름의 빈 공간(31)을 따라 흡입 효과(suction effect)를 일으킨다.
다시 말해서, 흡입 흐름은 입구(31a)에서 출구(31b)를 향하도록 환형 채널(31)에 생성된다.
사용 시, 빈 공간(31)을 따른 흡입은 케이싱(2)의 중앙부(17) 내부에서, 주로 케이싱(2) 내부에 있는 모터(3)의 회전축(R)을 따르는 일명 축방향 성분을 생성한다.
축방향 성분은 입구(8)를 통하여 임펠러(4) 내부로 흡입된다.
축방향 성분은 바람직하기로는 케이싱(2) 내부에서 모터의 상부(3b)로부터 모터의 하부(3c)로 보내지는데, 접선방향 성분과 축방향 성분의 조합으로부터 생긴 냉각 흐름 RF이 허브(10)의 개구부(14)와 임펠러(4)를 통하여 영역(32)으로 이동하고, 이로부터 빈 공간(31)과 채널(18)을 통하여 케이싱(2)의 외부로 방출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보내진다.
축방향 성분은 블레이드(29)가 빈 공간(31)과 채널(18)을 통하여 케이싱(2)의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하는 나선형 볼텍스 RF를 생성하는 것으로 인하여, 접선방향 흐름과 조합된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환형 채널(31)은 칼라(28)와 하우징(20)을 구획하는 원통형 측벽(21) 사이의 채널(31)의 치수 "h1"과 같은 차원의 크기인 치수 "h"를 갖고 커버(19)와 임펠러(4) 사이에 구획되는 출구(31b)를 갖는다.
다시 말해서, 커버(19)의 형상은 제1 지지링(6) 및/또는 블레이드(5)와 함께 출구(31b)를 구획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환형 채널(31)의 출구(31b)는 바람직하게 지지링(6)에 의해서, 구체적으로 커버(19)의 상응하는 환형부(19a)와 마주하는 지지링의 환형 림(annular rim)(60)에 의해서 형성된다.
환형 빈 공간(31)은 출구(31a)가 형성되는 공기 순환 구역(32)과 통한다.
사용 시, 이와 같은 방식으로 빈 공간(31)을 따라 흐르는 흐름은 채널(18)로 흡입되는 모터(3) 주위에 볼텍스 RF를 생성하는 블레이드(29)에 의해서 구역(32)에서 접선방향 흐름과 조합된다.
공기 순환 구역(32)에서 냉기의 흐름 RF은 모터(3)로부터 열을 제거하면서 모터(3)의 커버를 지난다.
공기 순환 구역(32)은 하우징(20)의 후면 벽(22)과 모터(3)와 마주하는 모터(3)의 후면(33) 사이에 형성된다.
실제로, 하우징(20)의 내부는 벽 사이 및 모터(3)의 벽과 커버(19) 사이에 공기의 순환을 위한 공간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제2 실시예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빈 공간(31)을 가로지르는 냉각 흐름의 흡입은 빈 공간(31)으로부터 채널(18)의 출구 개구부를 향하도록 공기를 가하기 위해서 칼라(28)의 외부에 위치하는 일련의 원심 블레이드(centrifugal blades, 40)에 의해서 보조된다.
원심 블레이드(40)는 모터(3)에 대하여 반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접선방향 성분과 축방향 성분의 조합의 결과인 냉각 흐름을 빈 공간(31)에서 케이싱(2)의 외부를 향하도록 더욱 밀어내는 제2 보조 원심 팬(auxiliary centrifugal fan)(41)을 형성한다.
블레이드(40)는 칼라(28)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의 외부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 목적으로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블레이드(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4)의 상응하는 블레이드(5)의 연장부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냉각 시스템과 특히 블레이드(29)는 모터(3)로부터 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 접선방향 성분은 축방향 성분보다 크기 치수가 더 큰 방식으로 설계된다.
제1 실시예의 케이싱(2)의 외부에 있는 덕트(30)와 제2 및 제3 실시예에서 빈 공간 또는 환형 채널(31)은, 나선형 볼텍스로 정의되는 냉각 흐름 RF이 모터(3)로부터 열을 제거하는 것에 힘입어, 팬(1)의 냉각 시스템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환기 채널(ventilation channel)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모터(3)는 열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인 외부 면에서 고속의 공기에 의해서 접촉된다.
다시 말해서, 블레이드(29)의 회전 효과는 블레이드(29)와 모터(3) 사이의 빈 공간에 담긴 공기를 드래깅시키고 접선방향 성분을 생성하는 것이다.
모터는 효율과 팬의 소음 레벨에 악영향을 끼치는 축방향 성분을 사용하지 않고도 강제 냉각에 아주 효과적인 나선형 볼텍스에 의해서 뒤덮인다.
축방향 성분은 볼텍스 RF에 의해서 모아진 열을 "모터 영역(motor zone)" 밖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필요하다.
설명한 바와 같이 냉각 시스템을 구비한 원심 팬은 가혹한 환경에서도 잘 작동하고 또한 내부 통합된 전자 장치들을 구동할 수 있는 폐쇄형 또는 밀폐형 모터를 채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냉각 시스템은 팬의 수명을 선행 기술 팬과 비교하여 작동 시간을 30,000시간 이상까지 연장해준다.
본 발명에서 제안된 해결책은 임펠러를 구동하는 모터의 냉각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유체의 동적 소음의 원인을 최소화하고, 팬 출구와 모터의 하우징 사이의 연결 덕트 채택을 피함으로써 성능을 동등하게 유지하기 위한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팬(축방향 성분)의 케이싱 내부에 환형 흡입 채널(annular suction channel)의 채택은 선행기술과 비교하여 유체의 동적 거동에 의한 공기의 소음과 진동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Claims (9)

  1. 회전축(R)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원심 임펠러(4);
    원심 임펠러(4)의 구동 모터(3);
    모터(3)와 원심 임펠러(4)를 하우징하기 위한 중앙부(17)와, 상기 중앙부(17)와 연통되는 접선방향 출구 채널(18)을 포함하며, 중앙부(17)에 입구 개구부(15)와 접선방향 출구 채널(18)에 출구 개구부(16)를 구비하는 케이싱(2);
    모터(3)를 냉각하기 위한 시스템(4, 14, 28, 29)으로서, 임펠러(4)와, 냉각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기 위하여 접선방향 출구 채널(18)과 중앙부(17) 사이에서 작동하는 환기 채널(30, 31)을 포함하는 시스템(4, 14, 28, 29)을 포함하는 원심 팬에 있어서,
    상기 냉각 시스템(4, 14, 28, 29)은, 원심 임펠러(4)에서 모터(3) 주위로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원심 임펠러(4)와 일체화된 칼라(28)와, 모터(3) 주위에 나선형 볼텍스 RF를 생성하는 냉각 흐름과 합쳐지는 접선방향 냉각 성분을 생성하기 위하여 칼라(28)에 의해서 지지되고 모터(3)와 마주하는 복수의 반경반향 블레이드(2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팬.
  2. 제1 항에 있어서,
    케이싱(2)은, 원심 임펠러(4)에 대하여 반대측에 모터(3)와 동축으로 배치되고 중앙부(17)를 닫는 커버(19)를 포함하고, 환기 채널은 적어도 일부분이 칼라의 외면과 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팬.
  3. 제2항에 있어서,
    환기 채널은 커버(19)와 원심 임펠러(4) 사이에 구획되고, 칼라(28)와 커버(19) 사이의 환기 채널(31)의 치수(h1)와 같은 크기의 치수(h)를 갖는 환형 출구(31b)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팬.
  4.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각 시스템은, 접선방향 출구 채널(18)을 따라 냉각 흐름을 가하기 위한, 칼라에 대하여 모터(3)의 반대측으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원심 블레이드(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팬.
  5. 제4항에 있어서,
    원심 블레이드(40)는 칼라에서 연장되고 칼라와 하나의 몸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팬.
  6.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칼라(28)와 제1 반경방향 블레이드(29)는 원심 임펠러(4)와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팬.
  7.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터(3)는 적어도 일부분이 원심 임펠러(4)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팬.
  8.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싱(2)은, 원심 임펠러(4)에 대하여 반대측에서 모터(3)와 동축으로 배치되고 중앙부(17)를 닫는 커버(19)를 포함하고,
    커버(19)는 원통형 내부 측벽(21)과 모터(3)가 삽입되는 하우징(20)을 구획하는 내부 후면 벽(22)을 가지고,
    환기 채널(30, 31)은 칼라(28)와 원통형 내부 측벽의 사이에 형성되고,
    공기 순환 구역(32)은 내부 후면 벽(22)과 모터(3)의 후면 사이에 형성되며,
    환기 채널(30, 31)과 순환 구역(32)은 서로 유체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팬.
  9. 제1항에 있어서, 환기 채널은, 접선방향 출구 채널에 입구(26) 및 중앙부(17)에 출구(18)를 가지는 케이싱(2) 외부의 재순환 덕트(30)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팬.
KR1020147010966A 2011-09-23 2012-09-21 원심 팬 KR1019476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000543A ITBO20110543A1 (it) 2011-09-23 2011-09-23 Ventilatore centrifugo.
ITBO2011A000543 2011-09-23
PCT/IB2012/001865 WO2013041954A1 (en) 2011-09-23 2012-09-21 Centrifugal fa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820A true KR20140092820A (ko) 2014-07-24
KR101947662B1 KR101947662B1 (ko) 2019-02-13

Family

ID=44993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0966A KR101947662B1 (ko) 2011-09-23 2012-09-21 원심 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40219835A1 (ko)
EP (1) EP2758671B1 (ko)
JP (1) JP6122012B2 (ko)
KR (1) KR101947662B1 (ko)
CN (1) CN103890407B (ko)
BR (1) BR112014006909A2 (ko)
ES (1) ES2540253T3 (ko)
IT (1) ITBO20110543A1 (ko)
RU (1) RU2607116C2 (ko)
WO (1) WO20130419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97515B2 (ja) * 2013-08-06 2016-03-30 シナノケンシ株式会社 送風装置
DE102013222207B4 (de) * 2013-10-31 2022-03-03 Mahle International Gmbh Radialgebläse
CN104675725B (zh) * 2015-03-03 2016-10-05 罗福仲 设有喷嘴的家用吊扇
CN104929987B (zh) * 2015-06-16 2018-01-23 安徽江淮松芝空调有限公司 鼓风机散热冷却结构
CN111465317B (zh) * 2017-12-11 2022-10-28 意玛克股份公司 带马达和风扇的作业工具
CN109779901A (zh) * 2019-02-18 2019-05-21 沈阳畅远特种泵制造有限公司 一种无油涡旋式压缩机及其冷却方法
US11725667B2 (en) * 2019-12-30 2023-08-15 Cnh Industrial America Llc Air source system of an agricultural system
RU209369U1 (ru) * 2021-10-04 2022-03-15 Александр Семенович Дубовик Центробежный электронасосный агрегат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60042A (en) * 1940-01-18 1941-10-21 Gen Electric Ventilating system
FR2373696A1 (fr) * 1976-12-13 1978-07-07 Ferodo Sa Ventilateur a moteur refroidi
FR2412976A1 (fr) * 1977-12-23 1979-07-20 Chausson Usines Sa Dispositif pour le montage et le refroidissement de moteurs electriques d'entrainement d'une turbine
DE2950060A1 (de) * 1979-12-13 1981-06-19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Radialgeblaese
US4893995A (en) * 1988-12-05 1990-01-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 motor-driven impeller-type air pump
FR2728116A1 (fr) * 1994-12-12 1996-06-14 Valeo Thermique Habitacle Equipement regulateur de puissance pour moteur electrique et ventilateur centrifuge muni d'un tel equipement
US5743710A (en) * 1996-02-29 1998-04-28 Bosch Automotive Motor Systems Corporation Streamlined annular volute for centrifugal blower
US5814908A (en) * 1996-04-30 1998-09-29 Siemens Electric Limited Blower wheel with axial inlet for ventilation
FR2766882B1 (fr) * 1997-07-31 2002-01-11 Valeo Climatisation Ventilateur centrifuge a conduit perfectionne de refroidissement du moteur,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US5967764A (en) * 1997-08-08 1999-10-19 Bosch Automotive Systems Corporation Axial fan with self-cooled motor
US6224335B1 (en) * 1999-08-27 2001-05-01 Delphi Technologies, Inc. Automotive air conditioning fan assembly
US6514052B2 (en) * 2001-03-30 2003-02-04 Emerson Electric Co. Two sided radial fan for motor cooling
KR100947304B1 (ko) * 2002-03-15 2010-03-16 로버트 보쉬 코포레이션 팬이 오버랩되어 있는 엔진 냉각 팬 조립체
TWI233469B (en) * 2004-02-03 2005-06-01 Delta Electronics Inc Fan assembly and impeller thereof
EP1622243B1 (de) * 2004-07-30 2009-12-1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Würzburg Elektromotor
US7118355B2 (en) * 2005-02-04 2006-10-10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 motor driven blower assembly with integral motor cooling duct
US7311494B2 (en) * 2005-09-08 2007-12-25 Delphi Technologies, Inc. Fan and scroll design for high efficiency and low noise
WO2008072558A1 (ja) * 2006-12-14 2008-06-19 Panasonic Corporation 遠心羽根車とそれを用いた遠心送風機
JP5223250B2 (ja) * 2006-12-14 2013-06-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遠心羽根車および遠心送風機
CN201262157Y (zh) * 2008-09-01 2009-06-24 陈国祥 风轮
US20110116928A1 (en) * 2009-11-16 2011-05-19 Robert Bosch Gmbh Open-hub centrifugal blow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58671B1 (en) 2015-03-25
JP2014528042A (ja) 2014-10-23
ES2540253T3 (es) 2015-07-09
US20140219835A1 (en) 2014-08-07
JP6122012B2 (ja) 2017-04-26
ITBO20110543A1 (it) 2013-03-24
CN103890407A (zh) 2014-06-25
RU2014110537A (ru) 2015-10-27
BR112014006909A2 (pt) 2017-04-04
KR101947662B1 (ko) 2019-02-13
RU2607116C2 (ru) 2017-01-10
EP2758671A1 (en) 2014-07-30
CN103890407B (zh) 2017-02-15
WO2013041954A1 (en)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662B1 (ko) 원심 팬
EP3376043B1 (en) Motor fan
US7244110B2 (en) Fan hub assembly for effective motor cooling
US7598634B2 (en) Fan motor
JP2014528042A5 (ko)
JP7042265B2 (ja) 分離された冷却気路を備えたターボ圧縮機
US9543807B2 (en) Electric motor
KR100572849B1 (ko) 간단한 구조로 효율적인 모터 냉각이 가능한 터보 블로워
JP2013185440A (ja) 遠心ファン
JP5652863B2 (ja) 遠心ファン
JP2009203837A (ja) 遠心ファン
CN107040090B (zh) 叶轮组件、集成式电机和家用电器
CN210660659U (zh) 径流式通风机
US11441568B2 (en) Electric motor comprising pressing cooling air conveyance and method for cooling components of the electric motor
JP2005171987A (ja) 小型斜流ファンモータ
RU2329171C1 (ru) Охлаж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иловой установки (варианты)
JP5392330B2 (ja) 遠心ファン
JP2011064096A (ja) 電動送風機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KR100437037B1 (ko) 청소기용 원심송풍기
JP6364329B2 (ja) 送風装置
JP6690603B2 (ja) 遠心送風機
JP6181908B2 (ja) ブロワ
JP2009133277A (ja) 遠心式送風機
KR100437036B1 (ko) 청소기용 원심송풍기
KR20090005215U (ko) 터보팬 및 이를 갖춘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