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1844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1844A
KR20140091844A KR1020130003802A KR20130003802A KR20140091844A KR 20140091844 A KR20140091844 A KR 20140091844A KR 1020130003802 A KR1020130003802 A KR 1020130003802A KR 20130003802 A KR20130003802 A KR 20130003802A KR 20140091844 A KR20140091844 A KR 20140091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cooking
cavity
cooking chamber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철
정용기
박장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3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1844A/ko
Publication of KR20140091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8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8Arrangement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king compartments, e.g. for warming or for storing utensils or fuel containers; Arrangement of additional heating or cooking apparatus, e.g. g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물을 수용하기 위한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 내에 지지되며, 상기 조리물을 지지하는 조리물 지지부; 상기 조리실의 부피를 가변하기 위하여 상기 캐비티 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조리실의 일부를 형성하는 이동벽; 및 상기 이동벽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란, 조리실 내부에 투입된 조리물을 가열원을 이용하여 조리하는 기기이다.
종래의 조리기기는, 한국공개특허 제2008-004390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외형을 이루는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 내부에 구비되어 조리물이 놓이는 트레이와, 상기 조리실로 열을 가하는 가열원과,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도어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티 내에는 자동으로 상하 이동될 수 있는 조리물 지지부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종래 문헌에 의해서 조리물 지지부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조리물이 덜 익거나 타는 등의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나, 캐비티의 용적은 동일하기 때문에 가열원이 캐비티로 가하여야 하는 열량은 동일하므로 조리 시간은 줄어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속한 조리가 가능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물을 수용하기 위한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 내에 지지되며, 상기 조리물을 지지하는 조리물 지지부; 상기 조리실의 부피를 가변하기 위하여 상기 캐비티 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조리실의 일부를 형성하는 이동벽; 및 상기 이동벽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이동벽과 함께 이동할 수 있는 가열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티의 일면은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벽은 상기 개구부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이동벽은 상기 조리실의 상면 또는 하면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조리물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장치가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이동 장치의 이동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이동 장치의 이동 위치를 알리기 위한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장치는, 유압 실린더를 가지는 승강부와, 상기 유압 실린더와 연결되는 유압 케이블과, 상기 유압 케이블과 연결되며, 사용자의 작동이 가능한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장치는, 승강 모터와, 상기 승강 모터의 동력을 상기 이동벽으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물의 조리를 위한 모드는, 예열 모드와 본 가열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예열 모드에서, 상기 이동벽이 이동하여 상기 조리실의 부피는 최대 부피 보다 작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상기 조리실의 부피가 줄어들 수 있으므로, 조리물의 조리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물의 조리 시간이 줄어들게 되므로, 상기 조리물의 조리에 필요한 가열원의 전력 소비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캐비티의 부피가 줄어든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블럭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부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외형을 이루는 외부 케이스(10)와, 상기 외부 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되고 조리실(20)을 형성하는 캐비티(100)와, 상기 캐비티(100) 내부에 설치되어 조리물이 놓이도록 하는 조리물 지지부(140)와, 상기 조리물을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원(210)과, 상기 외부 케이스(10)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컨트롤 패널(40)과, 상기 캐비티(10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도어(30)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캐비티(10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방이 개구되고 개구된 면은 상기 도어(30)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티(110)의 저면(101)에는 개구부(102)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02)는 캐비티 바닥벽(110: 이하 "바닥벽"이라 할 수 있다)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바닥벽(110)은, 승강부(130)에 의해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바닥벽(110)은, 이동 가능한 이동벽이며, 상기 바닥벽(110)의 승강의 의해서 상기 조리실(20)의 부피는 가변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바닥벽(110)은 상기 조리실(20)의 상면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바닥벽(110)이 상기 캐비티(100)의 개구부(102)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102) 측으로 이물질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벽(110)은 상기 개구부(102)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벽(110)은 상기 캐비티(100)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102)를 커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벽(110)은 상기 캐비티(100)의 저면(101)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바닥벽(110)과 상기 외부 케이스(10) 사이에는 상기 가열원(210)이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도 2에는 하나의 가열원(210)이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캐비티(100) 내부 또는 상기 캐비티(100) 외부에는 상기 가열원(210) 외에 추가적인 가열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열원(210)은 설치부(212)에 의해서 상기 바닥벽(110)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원(210)은 상기 바닥벽(110)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가열원(210)은 전기 히터, 버너, 마그네트론, 가열 램프 등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가열원(210)이 버너인 경우에는, 상기 버너는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노즐과, 노즐에 연결되는 가스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바닥벽(110)과 함께 상기 버너가 이동하기 위해서 상기 가스 공급관의 일부 또는 전부는 플렉서블한 호스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부(130)는 유압에 의해서 작동하는 리프트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일 예로 상기 승강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X 형 타입의 리프트일 수 있다. 상기 승강부(130)는 상기 바닥벽(11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31)와, 상기 지지부(131)의 하측에 연결되는 X 형상의 링크(132)와, 상기 링크(13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33)와, 상기 링크(132)와 연결되는 유압 실린더(134)와, 상기 유압 실린더(134)에 연결되는 유압 케이블(13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승강부(130)는 공지의 구조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승강부(130)가 유압에 의해서 작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압 케이블(135)과 연결되는 유압 레버(136)는 조리기기(1)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조리기기(1)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레버(136)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상기 승강부(130)를 작동시킬 수 있고, 상기 승강부(130)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바닥벽(110)이 승강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실의 부피가 줄어든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승강부(130)가 최저 위치로 이동한 상태(바닥벽이 최저 위치로 이동한 상태임)에서 상기 조리실(20)의 부피(V1)(또는 캐비티의 부피)는 최대가 된다. 상기 조리실(20)의 최대 부피를 제1부피(V1)라 할 수 있다. 이 때에는 일 예로 상기 바닥벽(110)이 상기 캐비티(100)의 저면(101)에 안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조리물의 크기가 작거나 조리물의 용량이 작은 경우에는 상기 조리실(20)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레버(136)를 조작하여 상기 승강부(1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승강부(130)에 의해서 상기 바닥벽(110)은 상승할 수 있다. 상기 바닥벽(110)이 상승할 수록 상기 조리실(20)의 부피는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승강부(130)가 최고 위치로 이동한 상태(바닥벽이 최고 위치로 이동한 상태임)에서 상기 조리실(20)의 부피(V2)는 최소가 된다. 상기 조리실(20)의 최소 부피를 제2부피(V2)라 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상기 레버(136)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으므로, 상기 조리실(20)의 부피는 제1부피(V1)와 제2부피(V2) 사이에서 가변될 수 있다.
상기 가열원(210)의 출력 또는 열량이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상기 조리실(20)의 부피가 줄어들 수록 상기 조리실(20)에 수용된 조리물의 조리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물의 조리 시간이 줄어들게 되므로, 상기 조리물의 조리에 필요한 가열원(210)의 전력 소비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이 때, 상기 캐비티(100) 내의 열이 상기 개구부(102)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캐비티(100)의 저면(101)과 상기 바닥벽(110)은 실링 부재(미도시)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는 플렉서블한 재질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바닥벽(110)이 상승하면 상기 실링 부재의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승강부(130) 또는 바닥벽(11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와, 상기 바닥벽(110)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알림부를 통하여 상기 바닥벽(110)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위의 실시 예에서 상기 승강부, 유압 케이블 및 레버를 통칭하여 이동 장치라 이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블럭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이전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캐비티 바닥벽이 모터에 의해서 자동으로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캐비티 바닥벽(110)을 승강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승강 모터(150)와, 상기 승강 모터(150)의 동력을 상기 캐비티 바닥벽(110)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승강 모터(1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승강버튼(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버튼(160)은, 상승 버튼과 하강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승 버튼을 선택하면 상기 승강 모터(15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캐비티 바닥벽(110)이 상승하고, 하강 버튼을 선택하면 상기 승강 모터(150)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캐비티 바닥벽(110)이 하강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바닥벽(110)은 상승 버튼 또는 하강 버튼의 누름 횟수에 따라서 단계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바닥벽(110)은 상기 상승 버튼 또는 하강 버튼의 누름 시간에 대응하여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바닥벽(110)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는, 상기 동력 전달부(154)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또는 상기 승강 모터(150)의 회전 수를 감지하기 위한 엔코더, 또는 상기 바닥벽(110)의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부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바닥벽(11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와, 상기 바닥벽(110)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알림부를 통하여 상기 바닥벽(110)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위의 실시 예에서 상기 승강 모터(150) 및 상기 동력 전달부(154)를 통칭하여 이동 장치라 이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추가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위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캐비티 바닥벽이 승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캐비티 상측벽이 승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캐비티의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캐비티 상측벽이 상기 개구부를 커버할 수 있다. 이 때에는 상기 상측벽은 조리실의 상면 일부를 형성하게 될 것이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는 조리물의 상태(크기, 부피 등)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일 예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감지부의 감지 정보에 따라서 상기 조리실(또는 캐비티)의 부피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물의 크기가 큰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캐비티는 상승하지 않고, 조리물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상기 캐비티가 자동으로 상승할 수 있다. 즉, 조리물의 상태에 따른 적정 조리실의 부피가 미리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조리물의 상태에 따른 적정 조리실의 부피는 사용자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적정 조리실의 부피가 결정된 후에 조리 과정에서 조리실의 부피가 변하지 않거나 부피가 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의 조리 모드가 예열 모드와 상기 예열 모드의 완료 후에 수행되는 본 가열 모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예열 모드에서 신속한 예열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닥벽이 이동하여 상기 캐비티의 부피가 줄어들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 가열 모드에서는 상기 바닥벽은 원래의 위치(조리실의 부피가 최대가 되는 위치)로 이동하거나 승강을 반복하거나 단계적으로 조리실의 부피가 줄어들거나 커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100: 캐비티 110: 바닥벽
130: 승강부

Claims (10)

  1. 조리물을 수용하기 위한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 내에 지지되며, 상기 조리물을 지지하는 조리물 지지부;
    상기 조리실의 부피를 가변하기 위하여 상기 캐비티 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조리실의 일부를 형성하는 이동벽; 및
    상기 이동벽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벽과 함께 이동할 수 있는 가열원을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일면은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벽은 상기 개구부를 커버할 수 있는 조리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벽은 상기 조리실의 상면 또는 하면 일부를 형성하는 조리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물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의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장치가 작동하는 조리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장치의 이동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버튼을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장치의 이동 위치를 알리기 위한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장치는, 유압 실린더를 가지는 승강부와,
    상기 유압 실린더와 연결되는 유압 케이블과,
    상기 유압 케이블과 연결되며, 사용자의 작동이 가능한 레버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장치는, 승강 모터와, 상기 승강 모터의 동력을 상기 이동벽으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물의 조리를 위한 모드는,
    예열 모드와 조리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예열 모드에서, 상기 이동벽이 이동하여 상기 조리실의 부피는 최대 부피 보다 작은 상태가 되는 조리기기.
KR1020130003802A 2013-01-14 2013-01-14 조리기기 KR201400918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802A KR20140091844A (ko) 2013-01-14 2013-01-14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802A KR20140091844A (ko) 2013-01-14 2013-01-14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844A true KR20140091844A (ko) 2014-07-23

Family

ID=51738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802A KR20140091844A (ko) 2013-01-14 2013-01-14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1844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87493A (zh) * 2015-12-21 2016-03-09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微波炉
KR20160109889A (ko) * 2015-03-13 2016-09-21 범일산업 주식회사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
KR20160109890A (ko) * 2015-03-13 2016-09-21 범일산업 주식회사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
WO2022145559A1 (ko) * 2020-12-31 2022-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WO2023075478A1 (ko) * 2021-10-28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WO2023075474A1 (ko) * 2021-10-28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WO2023075471A1 (ko) * 2021-10-28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WO2023075468A1 (ko) * 2021-10-28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WO2023075477A1 (ko) * 2021-10-28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889A (ko) * 2015-03-13 2016-09-21 범일산업 주식회사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
KR20160109890A (ko) * 2015-03-13 2016-09-21 범일산업 주식회사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
CN105387493A (zh) * 2015-12-21 2016-03-09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微波炉
WO2022145559A1 (ko) * 2020-12-31 2022-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WO2023075478A1 (ko) * 2021-10-28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WO2023075474A1 (ko) * 2021-10-28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WO2023075471A1 (ko) * 2021-10-28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WO2023075468A1 (ko) * 2021-10-28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WO2023075477A1 (ko) * 2021-10-28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91844A (ko) 조리기기
KR20080025603A (ko) 가열조리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70777B1 (ko) 오븐 레인지
KR20100134430A (ko) 조리기기
KR101057709B1 (ko) 발열판의 발열범위를 조절하는 전기렌지
US10605460B2 (en) Cooking apparatus
JP4416714B2 (ja) 圧力加熱調理器
JP2008309385A (ja) 引き出し式加熱調理器
CN110742500A (zh) 压力锅
KR20080054882A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6861374B2 (ja) 圧力式炊飯器
DE50109567D1 (de) Hoch-einbaugargerät
JP5230544B2 (ja) 加熱調理器
KR101261510B1 (ko) 유도가열 인덕션렌지용 코일의 승하강장치
KR102169100B1 (ko) 구이 테이블
CN104879802A (zh) 微波炉
US6686568B1 (en) Cooking apparatus having heaters
KR20110006893A (ko) 조리기기
KR101685848B1 (ko) 음식 조리용 히터를 구비한 연기 배출 후드 장치
KR200477943Y1 (ko) 가열장치
JP6782459B2 (ja) 圧力式炊飯器
JP5517735B2 (ja) 加熱調理器
JP2010048428A (ja) 加熱調理器
KR101964601B1 (ko) 증기 배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밥솥
KR101874977B1 (ko) 전기 밥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