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890A -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 - Google Patents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890A
KR20160109890A KR1020150035114A KR20150035114A KR20160109890A KR 20160109890 A KR20160109890 A KR 20160109890A KR 1020150035114 A KR1020150035114 A KR 1020150035114A KR 20150035114 A KR20150035114 A KR 20150035114A KR 20160109890 A KR20160109890 A KR 20160109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door
link
pot
cauld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5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3085B1 (ko
Inventor
신영석
Original Assignee
범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범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범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5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085B1/ko
Publication of KR20160109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솥과 가열장치를 분리하고, 조리시에만 가열장치가 내솥에 결합하여 인덕션 코일에 의해 조리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인덕션 코일의 전자유도방식에 의해 가마솥과 같은 열 순환 원리가 적용되어 음식물이 조리되도록 하는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조리공간을 형성하고, 전면에 도어가 설치되어 음식물이 담긴 내솥을 수납하는 내솥수납함과; 상기 내솥수납함의 내측에 설치되어 내솥의 하부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가이드바에 가이드되는 가열장치; 상기 가열장치의 하부와 도어에 연설되어 가열장치가 내솥의 하부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승하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조리 시에만 내솥에 가열장치가 결합하여 가마솥과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내솥에서 열이 순환되도록 하여 음식물이 고르게 조리되고, 가마솥에서 음식물을 조리한 것과 같은 풍미가 느껴지며, 내솥에서 열이 순환되도록 하므로 열의 손실을 최대한 줄일 수 있으므로 열 손실에 의한 비용을 절감하고, 열손실을 최대한 방지하므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Cauldron type induction cooker using electromagnetic induction device}
본 발명은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솥과 가열장치를 분리하고, 조리시에만 가열장치가 내솥에 결합하여 인덕션 코일에 의해 조리되며, 인덕션 코일의 전자유도방식에 의해 가마솥과 같은 열 순환 원리가 적용되어 음식물을 조리하는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밥솥은 가열방식에 따라 크게 열판식과 전자유도(Induction Heating)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전자유도 방식은 가열부에 형성된 코일에 전류를 보내면, 코일의 자력선이 발생하고, 이 자력선이 상부에 놓여 있는 용기의 하부를 통과하면 재질에 포함된 저항성분(철성분)에 의해 와류전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렇게 발생한 와류전류는 용기만을 발열시킴에 따라 용기를 제외한 다른 부품으로 열에너지가 전달되지 않으면서, 용기만 뜨거워지는 유도가열이 발생한다.
그리고 내솥과 코일의 접촉을 제거하면, 가열이 즉시 멈추게 됨으로써 안전함은 물론 에너지 효율이 높아 전기를 절약하며, 다른 부품에 열전달이 적게 발생하여 수명을 증대시킨다.
이와 같은 전자유도 방식을 이용한 밥솥은 가열되는 용기를 쌀이 안치되는 내솥으로 형성하여 내솥 측면에 구리코일을 감은 후 강한 전류를 흘려보내면, 코일 주위에 자력선이 형성돼 내솥 전체를 가열하는 방식으로 솥 전체가 통째로 가열되어 쌀알 하나하나까지 골고루 익혀 줘 윤기 있고 맛있는 밥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많은 관련 기술들이 개발되었으며, 개시된 관련 기술들의 예로, 공개특허공보 제2011-0078393호, 공개특허공보 제2000-0042495호, 공개특허공보 제2008-0087766호, 공개특허공보 제2006-0015427호, 공개특허공보 제2005-0039970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개시 기술들을 비롯한 당해 분야에 알려진 대부분의 기술은 단일의 원형 밥솥에 해당되는 것으로, 대량 처리가 어렵고, 소비전력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다른 예로, 다단 밥솥과 관련하여 스팀방식은 개시되어 있으나, 스팀라인을 갖추어야 하는 등 설비 상 구성의 복잡함과 이동의 제한 등 많은 불편함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등록특허공보 제10-1284871호(이하 '종래기술'이라 칭함)의 구성은 내부가 상하로 다단 구획되어 다수의 챔버를 갖는 본체; 상기 챔버의 바닥면에 설치된 인덕션 코일; 상기 인덕션 코링 상부에 안착된 세라믹 글라스; 상기 챔버 내부로 인출, 인입되고, 세락믹 글라스 상면에 압착되는 조리용기; 상기 팸버의 후면에 상기 조리용기와 간섭되지 않게 설치된 팬; 상기 본체의 배면에 형성되고, 상기 챔버와 연통되며, 내부 공기를 배출하는 덕트; 상기 본체의 전면 일측에 상기 챔버와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고, 상기 인덕션 코일, 팬과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하고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본체 전면 일측에 내장되고,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 제어되면서 상기 인덕션 코일로 인가하는 전력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제너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은 본체 전면에 설치된 도어가 덜 닫힌 상태에서도 취가사 이루어짐으로써, 내부에 일정한 압력이 형성되지 못해 밥맛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인덕션 코일의 조리용기가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되고, 이러한 인덕션 코일이 조리용기에 맞게 결합되는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조리용기와 인덕션 코일의 위치가 정확하게 맞지 않아 자력선의 발생에 의한 와류전류가 생성되지 않아 전자유도 방식에 의한 가열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4871호 (2013.07.17. 공고)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리시에만 내솥에 가열장치가 결합하여 가마솥과 같이 내솥의 내부에서 열이 순환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내솥이 설치되는 내솥수납함을 1단, 2단, 3단 등과 같이 다단으로 형성하는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내솥수납함에 내솥을 설치한 상태에서 도어가 내솥수납함에 정확하게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음식물이 조리되지 않도록 하여 전원에 의한 쇼트 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동시에 내솥수납함의 내측에 일정한 압력이 작용되어 조리되는 음식물의 풍미를 느끼게 하는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측에 조리공간을 형성하고, 전면에 도어가 설치되어 음식물이 담긴 내솥을 수납하는 내솥수납함과; 상기 내솥수납함 내측에 설치되어 내솥의 하부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가이드바에 가이드되는 가열장치와; 상기 가열장치의 하부와 도어에 연설되어 가열장치가 내솥의 하부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승하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내솥수납함은 1단, 2단, 3단 또는 다단 중 어느 한 단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내솥이 수납되게 형성되는 조리공간과; 상기 조리공간의 전면에 힌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내솥을 조리공간 내측으로 완전하게 인입되거나 또는 내솥이 조리공간에서 외측으로 용이하게 꺼내도록 도어에 설치되는 내솥접촉부와; 상기 내솥을 조리공간으로 인입하거나 또는 조리공간에서 꺼낼 때 내솥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도어의 일측 면에 설치되는 바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가열장치는, 내솥의 하방향에 위치되고, 내솥(100)의 외측 형상과 동일하게 내측이 형성되는 외솥과; 외솥의 외측면에 싱글 타입, 듀얼 타입, 트리플 타입, 쿼드 타입 및 다단 타입 중 어느 한 타입으로 설치되어 외솥의 외측에 설치되는 인덕션 코일과; 상기 인덕션 코일이 외솥의 외측에 설치되도록 인덕션 코일에 결합하여 외솥의 외측에 고정되는 코일고정부재과; 상기 외솥이 내솥수납함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에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승하강봉과 가이드바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인덕션 코일은 내솥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중앙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내솥의 바닥면과 내솥의 바닥면 일측에서 측면 일측으로 연설되어 가마솥과 같이 열을 내솥 내부에서 순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승하강장치는 내솥수납함의 내측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에 따라 연동하는 복수의 수평이동부재와; 도어의 개폐에 따라 외솥을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도어와 수평이동부재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링크와; 상기 도어에 설치된 링크를 지지할 수 있도록 내솥수납함의 내측 벽면에 설치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수평이동부재와 링크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부재와;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링크를 지지할 수 있도록 내솥수납함 내측 벽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링크와 연동하여 외솥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재; 상기 링크와 결합하여 내솥수납함의 내측에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링크는 도어의 개폐에 따라 연동하는 제1링크가 회전부재와 결합하여 고정브라켓에 고정되고, 도어의 회전에 의해 수평이동하는 수평이동부재에 결합한 회전부재에 제2링크를 결합하며, 수평이동부재에 결합한 회전부재에 결합하는 제3링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고정브라켓은 내솥수납함의 내측 벽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도어에 설치한 링크와 결합할 수 있도록 고정홀을 갖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승하강부재는 조리공간에 설치된 외솥을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링크와 제3링크에 롤러고정패널을 복수로 설치하며, 롤러고정패널 상부에 롤러가 설치되어 외솥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리시에만 내솥에 가열장치가 결합하여 가마솥과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내솥에서 열이 순환되도록 하여 음식물이 고르게 조리되고, 가마솥에서 음식물을 조리한 것과 같은 풍미가 느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솥에서 열이 순환되도록 하므로 열의 손실을 최대한 줄일 수 있으므로 열 손실에 의한 비용을 절감하고, 열손실을 최대한 방지하므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솥수납함에 내솥을 설치한 상태에서 도어가 내솥수납함에 정확하게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음식물이 조리되지 못하도록 하므로 전원에 의한 쇼트 등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내솥수납함 내측에 일정 압력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을 나타내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승하강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의 가열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2의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을 나타내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승하강수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가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2의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내측에 조리공간(210)을 형성하고, 전면에 도어(220)가 설치되어 음식물이 담긴 내솥(100)을 수납하는 내솥수납함(200)과, 상기 내솥수납함(200)의 조리공간(210)에 설치되어 내솥(100)의 하부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가이드부재(340)에 가이드되는 가열장치(300)와, 상기 가열장치(300)의 상부와 도어(2200)에 연설되어 가열장치(300)가 내솥(100)의 하부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승하강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내솥수납함(200)은 1단, 2단, 3단 또는 다단 중 어느 한 단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내솥(100)이 수납되는 조리공간(210)을 형성하고, 상기 조리공간(210)의 전면에 힌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도어(220)를 설치하며, 상기 내솥(100)을 조리공간(210) 내측으로 완전하게 인입되도록 하거나 또는 내솥(100)을 조리공간(210)에서 외측으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내솥접촉부(230)를 도어(220) 일측 면에 설치하고, 상기 내솥접촉부(230) 일측에는 내솥(100)을 조리공간(210)으로 인입하거나 또는 조리공간에서 꺼낼 시에 내솥(100)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도어(220)의 일측 면에 바퀴(240)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내솥수납함(200)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가열장치(300)에 의해 내솥(100)에 담긴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전원 온/오프 설정, 시간 설정, 온도 설정 및 조리 시작 버튼 등을 행하는 컨트롤러(270)를 LCD패널로 구성하고, 상기 LCD패널에는 터치패널이 결합되며, 상기 터치패널은 감압식 또는 정전식으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도어(220) 일측에는 손잡이(221)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도어(220)를 개방하거나 또는 닫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열장치(300)는 내솥(100) 하방향에 위치되어 내솥(100)의 외측 형상과 동일하게 내측을 형성하는 외솥(310)을 구성하고, 상기 외솥(310)의 외측면에 내솥(100)에서 와류전류에 의해 열이 발생할 수 있도록 자력선을 발생시키는 인덕션 코일(320)을 설치하며, 상기 인던션 코일(320)을 고정하도록 코일고정부재(330)를 외솥(310)에 결합한다.
상기 외솥(310)과 조리공간(210)에는 승하강봉(341)과 가이드바(342)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재(340)를 구성하고, 상기 승하강봉(341)은 외솥(310)의 외측에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외솥(310)이 조리공간(210)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승하강봉(341)과 결합하는 가이드바(342)를 조리공간(210)에 형성한다.
상기 외솥(310)에는 외측 둘레를 따라 등 간격으로 승하강봉(341)를 형성하고, 상기 승하강봉(341)가 결합되는 가이드바(342)를 내솥수납함(200)의 내측 벽면에 복수 개를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바(342)에는 상기 승하강봉(341)가 인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홀을 형성한다.
상기 인덕션 코일(320)은 내솥(100)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내솥(100)의 외측에서 중앙 쪽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내솥(100)의 바닥면과 내솥(100)의 바닥면 일측에서 측면 일측으로 연설하여 가마솥과 같이 열이 내솥의 내부에서 순환되도록 한다.
상기 인덕션 코일(320)은 외솥(310)의 외측에 싱글 타입, 듀얼 타입, 트리플 타입 또는 다중 타입 중 어느 한 타입으로 형성한다. 상기 인덕션 코일(320)은 권선 할 때 압축하여 공극을 최대한 줄인 상태로 권선한 것을 외솥(310)에 설치한다.
상기 승하강장치(400)는 내솥수납함(200)의 내측에 설치되어 도어(220)의 개폐에 따라 연동하는 복수의 수평이동부재(410)를 조리공간(210)에 설치하고, 상기 도어(220)의 개폐에 따라 외솥(310)을 승, 하강시킬 수 있도록 도어(220)와 수평이동부재(410) 사이에 각각 복수의 링크(420)를 설치하며, 상기 도어(220)에 설치된 링크(4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내솥수납함(200)의 내측 벽면에 고정브라켓(430)을 설치하고, 상기 도어(220)에 설치되는 링크(420), 제1수평이동부재(411)와 제2수평이동부재(412) 사이 및 제2수평이동부재(412)의 일측에 회전부재(410)를 설치하여 상기 링크(420)와 결합하며, 상기 회전부재(440)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링크(420)와 연동하여 외솥(310)을 승, 하강시킬 수 있도록 링크(420)에 복수의 승하강부재(450)를 설치하고, 상기 내솥수납함(200)의 내측에 지지부재(460)를 설치하여 상기 링크(420)와 결합한다.
상기 수평이동부재(410)는 제1수평이동부재(411)와 제2수평이동부재(412)로 구성되어 도어(220)의 개폐에 따라 조리공간(210)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링크(420)는 도어(220)의 개폐에 따라 연동하는 제1링크(421)가 회전부재(440)와 결합하여 고정브라켓(430)에 고정되고, 도어(220)의 회전에 의해 수평 이동하는 제1수평이동부재(411)와 제2수평이동부재(412)의 사이에 결합한 회전부재(440)에 제2링크(422)를 결합하며, 제2수평이동부재(410)의 일측에 결합한 회전부재(440)에 제3링크(432)를 설치한다.
상기 고정브라켓(430)은 내솥수납함(200)의 내측 벽면에 수직부재(431)를 설치하고, 상기 수직부재(431)에는 고정홀(미부호)을 갖는 고정편(432)을 설치하며, 상기 고정편(432)의 고정홀에는 도어(452)에 설치한 제1링크(421)와 결합한다.
상기 고정브라켓(430)은 내솥수납함(200)의 내측 벽면에 복수로 구성되며, 상기 도어(220)에 설치한 제1링크(421)가 회전 할 때, 이를 지지한다.
상기 회전부재(440)는 제1회전부재(441), 제2회전부재(442) 및 제3회전부재(443)로 구성되고, 상기 제1회전부재(441)는 도어(220)에 설치한 제1링크(421)와 제1수평이동부재(441)에 결합하며, 상기 제2회전부재(442)는 제1수평이동부재(411)와 제2수평이동부재(412) 사이와 제2링크(422)에 각각 설치하여 제1수평이동부재(411)로부터 전달되는 운동력을 제2링크(422)로 전달하고, 제3회전부재(412)는 제2수평이동부재(412)의 일측에 설치되어 운동력을 제3링크(423)로 전달한다.
상기 제1회전부재(441), 제2회전부재(442) 및 제3회전부재(443)는 도어(220)의 개폐에 따라 링크(42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링크에 설치되는 승하강부재(450)를 회전시켜 외솥(31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승하강부재(450)는 조리공간(210)에 설치한 외솥을(310)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링크(422)와 제3링크(423)에 복수의 롤러고정패널(451)를 설치하고, 상기 외솥(310)을 조리공간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롤러고정패널(45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롤러(452)를 설치한다.
상기 지지부재(460)는 제2링크(122)와 제3링크(123)에 각각 복수로 설치하고, 상기 링크(420)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460)의 내측에 베어링((461))을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내솥(100)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내솥(100)에 일정량의 음식물을 담은 상태에서 내솥수납함(200)의 전면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잡고 도어(220)를 오픈한다.
상기 도어(220)를 오픈 하면, 도어(22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링크(421)가 연동하여 회전하고, 상기 제1링크(421)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1회전부재(441)도 따라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1링크(421)는 고정브라켓(430)의 고정편(432)에 지지되어 회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회전부재(441)에 결합되는 제2수평이동부재(412)도 따라서 이동하고, 상기 제1수평이동부재(411)와 결합되는 제2회전부재(442)와 제2수평이동부재(412)도 상기 제1수평이동부재(411)의 이동방향으로 회전 및 이동한다.
상기 제1링크(421), 제1회전부재(441), 제1수평이동부재(411), 제2수평이동부재(412)와 제2링크(422) 및 제3링크(423), 그리고 제2회전부재(442)와 제3회전부재(443)는 도어(220)가 오픈되는 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한다.
상기 도어(220)의 회전에 의해 그 회전력이 제1수평이동부재(411)와 제2수평이동부재(412)를 통해 전달되어 제2링크(420)와 제3링크(423)로 인가되므로 제2링크(420)와 제3링크(430)에 결합되는 승하강부재(450)의 롤러고정패널(451)도 도어(220)가 회전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롤러고정패널(451)이 회전됨에 따라 그 상부에 설치된 외솥(310)은 조리공간(210)의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때 외솥(310)은 롤러고정패널(451)이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 그 높이가 점점 낮아진다.
상기 외솥(310)은 외측에 형성한 승하강봉(341)과 내솥수납함(200)의 내측에 형성한 가이드바(342)에 가이드 되면서 조리공간(210)의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외솥(310)은 가이드바(342)에 가이드 되면서 이동하여 내솥(100)과의 결합이 일치하므로 조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도어(220)가 완전하게 오픈 된 상태에서의 외솥(310)은 상기 내솥(100)과 완전 분리된 상태이므로 내솥(100)을 인출할 때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상기 외솥(310)이 내솥(100)과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내솥(100)에 음식물을 담고, 도어(220)의 일면에 올려놓은 상태로 내솥수납함(200)의 조리공간(210)으로 내솥(100)을 밀어 넣으면, 내솥(100)은 도어(220)의 일면에 형성한 내솥접촉부(230)와 바퀴(240)에 의해 조리공간(210)으로의 이동이 쉬워진다.
또한, 내솥수납함(200)의 내측 벽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패널(260)에 의해 내솥(100)은 조리공간(210) 외측에서 내측으로 또는 조리공간(210)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이 용이해 진다.
상기 내솥(100)이 조리공간(210) 내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도어(220)를 닫으면, 제1링크(421)는 도어(220)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1링크(451)의 회전은 제1링크(421)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1회전부재(441)를 통해 제1수평이동부재(411)와 제2수평이동부재(412)로 인가되고, 상기 제1수평이동부재(411)와 제2수평이동부재(412)로 인가된 운동력은 제2회전부재(442)와 제3회전부재(443)를 통해 제2링크(422)와 제3링크(423)로 전달된다.
상기 제2링크(422)와 제3링크(423)로 전달되는 운동력에 의해 제2링크(422)와 제3링크(423)는 제2회전부재(442)와 제3회전부재(443)에 의해 축 회전하고, 상기 승하강부재(450)의 롤러고정패널(451)도 제2링크(422)와 제3링크(423)가 회전하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회전한다.
상기 제2링크(422)와 제3링크(423)에 설치되는 롤러고정패널(451)의 회전에 의해 외솥(310)은 조리공간(210)의 상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롤러고정패널(451)의 상단에 설치되는 롤러(452)에 의해 롤러고정패널(451)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외솥(310) 또한 다른 부재들에 간섭을 받지 않고 조리공간(210)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외솥(310)이 조리공간(210)의 상부로 이동할 시에 외솥(310)의 외측에 설치되는 승하강봉(341)은 내솥수납함(200)의 내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바(342)에 가이드 되면서 이동하여 내솥(100)의 하부에 밀착한다.
상기 도어(220)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외솥(310)이 내솥(100)의 하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때 사용자는 내솥수납함(200)의 전면에 설치되는 컨트롤러(270)를 조작하여 외솥(310)의 외측에 설치되는 인덕션 코일(320)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한다.
상기 인덕션 코일(32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인덕션 코일(320)은 자력선이 발생하고, 이 자력선은 내솥(100)을 통과하면서 내솥(100)에 포함된 저항성분에서 와류전류가 발생되도록 하여 내솥(100) 자체에서 열을 발생되게 한다. 상기 내솥(100)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내솥(100)에 담긴 음식물이 조리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음식물을 조리하는 내솥(100)과 열을 발생시키는 외솥(310)을 분리하므로 내솥(100)에 담긴 음식물의 조리 후 내솥(100)의 청소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외솥(310)에 설치되는 인덕션 코일(320)을 외솥(310)의 하부 중앙과 하부 일측에서 측면 일측으로 연설되도록 설치하므로 내솥(100)에서 발생하는 열은 장작을 연료로 사용하는 가마솥과 같은 열 순환이 이루어져 음식물의 풍미가 느껴지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내솥 200: 내솥수납함
210: 조리공간 220: 도어
221: 손잡이 230: 내부접촉부
240: 바퀴 260: 가이드 패널
270: 컨트롤러 300: 가열장치
310: 외솥 320: 인덕션 코일
330: 코일고정부재 340: 가이드부재
341: 승하강봉 342: 가이드바
400: 승하강장치 410: 수평이동부재
411: 제1수평이동부재 412: 제2수평이동부재
420: 링크 421: 제1링크
422: 제2링크 423: 제3링크
430: 고정브라켓 431: 수직부재
432: 고정편 440: 회전부재
441: 제1회전부재 442: 제2회전부재
443: 제3회전부재 450: 승하강부재
451: 롤러고정패널 452: 롤러
460: 지지부재 461: 베어링

Claims (8)

  1. 내측에 조리공간(210)을 형성하고, 전면에 도어(220)가 설치되어 음식물이 담긴 내솥(100)을 수납하는 내솥수납함(200)과;
    상기 내솥수납함(200)의 내측에 설치되어 내솥(100)의 하부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가이드부재(340)에 가이드되는 가열장치(300);
    상기 가열장치(300)의 하부와 도어(220)에 연설되어 가열장치(300)가 내솥(100)의 하부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승하강장치(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수납함(200)은,
    1단, 2단, 3단 또는 다단 중 어느 한 단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내솥(100)을 수납되게 형성하는 조리공간(210)과;
    상기 조리공간(210)의 전면에 힌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220)와;
    상기 내솥(100)을 조리공간(200) 내측으로 완전하게 인입되도록 하거나 또는 내솥(100)이 조리공간(200)에서 외측으로 용이하게 꺼내질 수 있도록 도어(220)에 형성하는 내솥접촉부(230)와;
    상기 내솥(100)을 조리공간(210)으로 인입하거나 또는 조리공간(210)에서 꺼낼 때 내솥(100)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도어(220) 일측 면에 설치되는 바퀴(240);
    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300)는,
    내솥(100)의 하방향에 위치되고, 내솥(100)의 외측 형상과 동일하게 내측이 형성되는 외솥(310)과;
    외솥(310)의 외측면에 싱글 타입, 듀얼 타입, 트리플 타입, 쿼드 타입 및 다단 타입 중 어느 한 타입으로 설치되어 외솥(310)의 외측에 설치되는 인덕션 코일(320)과;
    상기 인덕션 코일(320)이 외솥(310)의 외측에 설치되도록 인덕션 코일(320)에 결합하여 외솥(310)의 외측에 고정되는 코일고정부재(330)과;
    상기 외솥(310)이 내솥수납함(20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에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승하강봉과 가이드바(342)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재(3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 코일(320)은
    내솥(100)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중앙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내솥(100)의 바닥면과 내솥(100)의 바닥면 일측에서 측면 일측으로 연설되어 가마솥과 같이 열이 내부에서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장치(400)는
    내솥수납함(200)의 내측에 설치되어 도어(220)의 개폐에 따라 연동하는 복수의 수평이동부재(410)와;
    도어(220)의 개폐에 따라 외솥(310)을 승, 하강시킬 수 있도록 도어(220)와 수평이동부재(410)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링크(420)와;
    상기 도어(220)에 설치된 링크(4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내솥수납함(200)의 내부 벽면에 설치하는 고정브라켓(430)과;
    상기 수평이동부재(410)와 링크(420)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부재(440)와;
    상기 회전부재(440)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링크(420)와 연동하여 외솥(310)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재(450);
    상기 링크(420)와 결합하여 내솥수납함(200)의 내측에 설치되는 지지부재(4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420)는,
    도어(220)의 개폐에 따라 연동하는 제1링크(421)가 회전부재(440)와 결합하여 고정브라켓(430)에 고정되고,
    도어(220)의 회전에 의해 수평 이동하는 수평이동부재(410)에 결합한 회전부재(440)에 제2링크(422)가 결합하며,
    수평이동부재(410)에 결합한 회전부재(440)에 결합하는 제3링크(4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430)은,
    내솥수납함(200)의 내측 벽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부재(431)와;
    상기 수직부재(431)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도어(220)에 설치한 링크(420)와 결합할 수 있도록 고정홀을 갖는 고정편(432);
    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재(450)는
    조리공간(210)에 설치된 외솥(31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링크(422)와 제3링크(423)에 롤러고정패널(451)을 복수로 설치하며,
    롤러고정패널(451) 상부에 롤러(452)가 설치되어 외솥(31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
KR1020150035114A 2015-03-13 2015-03-13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 KR101683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114A KR101683085B1 (ko) 2015-03-13 2015-03-13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114A KR101683085B1 (ko) 2015-03-13 2015-03-13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890A true KR20160109890A (ko) 2016-09-21
KR101683085B1 KR101683085B1 (ko) 2016-12-07

Family

ID=57080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5114A KR101683085B1 (ko) 2015-03-13 2015-03-13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0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36915A (zh) * 2017-07-18 2017-09-08 长春工业大学人文信息学院 锅以及食品加工设备
CN109588975A (zh) * 2017-09-30 2019-04-09 深圳市鑫汇科股份有限公司 一种商用电饭煲
KR102039041B1 (ko) * 2019-08-29 2019-12-02 주식회사 유진기업 열효율 개선을 위한 취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006B1 (ko) * 2020-05-27 2021-01-18 최세열 인덕션 히터를 이용한 압축식 라면 조리기
KR102206294B1 (ko) * 2020-05-27 2021-01-21 최세열 압축식 라면 조리기용 압축챔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2407B1 (ko) * 1995-09-29 1999-01-15 구자홍 유도가열조리기기의 전자파장애방지용 코아
KR101284871B1 (ko) 2012-04-19 2013-07-17 삼주이엔지 주식회사 전자유도 가열방식을 적용한 다단밥솥
KR20140000047U (ko) * 2013-09-23 2014-01-06 허진우 질석을 이용한 조리기기
KR20140091844A (ko) * 2013-01-14 2014-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150012148A (ko) * 2013-07-24 2015-02-03 주식회사 바비인덕션 인덕션 가열조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2407B1 (ko) * 1995-09-29 1999-01-15 구자홍 유도가열조리기기의 전자파장애방지용 코아
KR101284871B1 (ko) 2012-04-19 2013-07-17 삼주이엔지 주식회사 전자유도 가열방식을 적용한 다단밥솥
KR20140091844A (ko) * 2013-01-14 2014-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150012148A (ko) * 2013-07-24 2015-02-03 주식회사 바비인덕션 인덕션 가열조리장치
KR20140000047U (ko) * 2013-09-23 2014-01-06 허진우 질석을 이용한 조리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36915A (zh) * 2017-07-18 2017-09-08 长春工业大学人文信息学院 锅以及食品加工设备
CN109588975A (zh) * 2017-09-30 2019-04-09 深圳市鑫汇科股份有限公司 一种商用电饭煲
KR102039041B1 (ko) * 2019-08-29 2019-12-02 주식회사 유진기업 열효율 개선을 위한 취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3085B1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085B1 (ko)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
EP3155323B1 (en) Oven
KR101695410B1 (ko)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
JP5723955B2 (ja) 調理装置
KR101652023B1 (ko) 고전압을 이용한 인덕션 튀김기
US20070257020A1 (en) Cooking apparatus
CN101336354B (zh) 对烤箱所作改进
US20060137675A1 (en)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oking
JP2014219188A (ja) 調理装置
CN104138194A (zh) 烹饪设备
JP2014219192A (ja) 調理装置
US8327837B2 (en) Cooking range with rotable rack
CA2943812C (en) Stirring and cooking assembly and cooking equipment including same
US6894257B2 (en) Microwave oven
KR20040024394A (ko) 토스터를 갖춘 전자렌지
DK160959B (da) Husholdnings- eller koekkenapparat
KR20050019446A (ko) 전자렌지
KR20190104667A (ko) 자동 승강 선반이 설치된 오븐
KR20180001198A (ko) 자동 숯불구이 장치
KR200197563Y1 (ko) 전자렌지용 히터 높낮이조절장치
KR102567526B1 (ko) 조리기기
KR20140128651A (ko) 조리 기기
KR101508525B1 (ko) 밑받침이 나오는 전자레인지
CN216702328U (zh) 空气炸锅
KR20220153475A (ko) 조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