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977B1 - 전기 밥솥 - Google Patents

전기 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977B1
KR101874977B1 KR1020120011344A KR20120011344A KR101874977B1 KR 101874977 B1 KR101874977 B1 KR 101874977B1 KR 1020120011344 A KR1020120011344 A KR 1020120011344A KR 20120011344 A KR20120011344 A KR 20120011344A KR 101874977 B1 KR101874977 B1 KR 101874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oor
steam
inner plat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0206A (ko
Inventor
최윤영
Original Assignee
최윤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영 filed Critical 최윤영
Priority to KR1020120011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977B1/ko
Publication of KR20130090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증기에 의한 화상을 예방할 수 있는 전기 밥솥이 제공된다. 전기 밥솥은 증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증기 배출구상에 배치되는 증기 배출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증기 배출 장치는, 개폐 가능한 외판 도어를 포함하는 외판; 개폐 가능한 내판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외판과 이격되고, 상기 증기 배출구에 상기 외판보다 더 인접하여 배치되는 내판; 및 상기 외판에 접촉하는 냉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밥솥{ELECTRIC RICE COOKER}
본 발명은 전기 밥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증기 배출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 밥솥에 관한 것이다.
취사를 위하여 전기 밥솥이 널리 사용된다.
전기 밥솥은 쌀과 물을 내부에 수용하여, 전기를 이용하여 내부를 가열하여 쌀을 조리할 수 있다. 쌀을 조리하는 과정에 있어 물이 증발하여 증기가 발생하게 되며, 발생된 증기는 외부로 배출된다.
압력 전기 밥솥의 경우 조리 과정에 있어서 내부에 압력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된 증기는 생성된 즉시 바로 방출되지 않고, 내부의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만 외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방출되는 증기는 고온 및 고압의 상태일 수 있다.
전기 밥솥에서 방출되는 고온 및 고압의 증기는 사람에게 상해를 입힐 수 있다. 고온 고압의 증기를 피부에 쐰 사람은 화상을 입을 수 있으며, 눈에 고온 고압의 증기를 쐰 사람은 실명할 수도 있다. 영유아의 경우 전기 밥솥에서 방출되는 고온 및 고압의 증기로 인한 상해의 위험이 더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증기로 인한 상해를 예방할 수 있는 증기 배출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 밥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증기로 인한 상해를 예방할 수 있는 증기 배출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 밥솥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밥솥은 증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증기 배출구상에 배치되는 증기 배출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증기 배출 장치는, 개폐 가능한 외판 도어를 포함하는 외판, 개폐 가능한 내판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외판과 이격되고, 상기 증기 배출구에 상기 외판보다 더 인접하여 배치되는 내판 및 상기 외판에 접촉하는 냉각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증기로 인한 상해를 예방할 수 있는 증기 배출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 밥솥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증기로 인한 상해를 예방할 수 있는 증기 배출 장치를 포함하는 전기 밥솥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밥솥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III 내지 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증기 배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판 도어를 외판 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밥솥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밥솥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전기 밥솥은 본체(100), 지지부(200), 연결부(300) 및 증기 배출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내부에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 내부의 공간에는 취사를 위한 재료들이 수납될 수 있다. 취사를 위한 재료는 쌀 및 물 또는 그 밖에 다른 재료들일 수 있다. 본체(100)는 내부 공간에 수납된 재료들을 가열할 수 있다. 또는, 본체는 내부 공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체(100)는 조작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10)는 터치 스크린 형태일 수 있으며, 버튼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버튼만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는 터치 스크린 또는 버튼 등에 의하여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본체(100)는 조작부(110)를 통하여 입력된 명령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조작부(110)를 통하여 입력된 명령은 취사의 실시, 취사의 중단, 보온의 실시, 보온의 중단, 취사되는 재료의 종류 또는 예약 취사 시간의 선택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명령일 수 있다. 본체(100)는 조작부(110)를 통하여 입력된 명령에 따라, 내부 공간의 온도, 가열 기간 및 내부 압력 등을 제어하여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본체(100)는 증기 배출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 내부 공간이 가열되어 발생한 증기는 증기 배출구(120)로 배출될 수 있다. 증기 배출구(120)로 배출된 증기는 증기 배출 장치(400)를 통과하여 전기 밥솥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증기 배출구(120)는 본체(100) 내부 공간의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일 때에만 증기를 배출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지지부(200)는 증기 배출구(120)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증기 배출 장치(400)를 지지하며 가이드한다. 지지부(200)는 본체에 부착된 바닥부(210) 및 바닥부(210)를 둘러싸는 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210)에는 증기 배출구(120)가 형성되기 위한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바닥부(21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00)의 측벽부는 증기 배출 장치(400)를 지지하며 가이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측벽부와 증기 배출 장치(400)는 밀착될 수 있다.
연결부(300)는 지지부(200)와 증기 배출 장치(400) 사이에 배치되며 연결부(300)와 증기 배출 장치(400)를 상호 결합시킨다. 연결부(300)는 지지부(200)의 측벽부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바닥부(210)와 접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III 내지 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연결부(300)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연결부(300)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부(300)는 반드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증기 배출구(120)가 배치될 수 있는 개방부를 형성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300)는 자석(330) 및 자석(330)을 둘러싸고 있는 외곽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석(330)은 금속으로 형성된 바닥부(210)와의 사이에 자력에 의한 인력을 발생시켜 연결부(300)와 지지부(2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자석(330)은 금속으로 형성된 증기 배출 장치(400)의 하부 캡(450)과의 사이에 자력에 의한 인력을 발생시켜 연결부(300)와 증기 배출 장치(400)를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을 통하여 자석(330)을 포함하는 연결부(300)는 지지부(200)와 증기 배출 장치(4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증기 배출 장치(400)를 통하여 배출되거나, 증기 배출 장치(400) 내부에 배치된 증기는 고압의 상태일 수 있으므로, 자석(330)의 자력은 증기의 압력 하에서도 지지부(200)와 증기 배출 장치(400) 사이의 결합을 유지시킬 수 있을 정도로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석(330)의 자력은 증기 배출 장치(400) 내부의 증기의 압력이 3G인 경우에도 지지부(200)와 증기 배출 장치(400)의 결합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강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자석(330)은 전자석일 수 있다. 자석(330)이 전자석인 경우 연결부(300)는 전자석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극(3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극(310)는 바닥부(210) 또는 지지부(200)의 측벽부에 배치된 전극(310)과 쌍을 이루는 전극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전극(310)에 전류의 공급이 중단되면 전자석의 자력이 소멸되어, 지지부(200) 및 증기 배출 장치(400)는 연결부(300)와 분리될 수 있다.
외곽부(320)는 탄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외곽부(320)를 형성할 수 있는 탄성이 있는 소재는 실리콘 또는 합성 수지 등 다양한 재질의 소재일 수 있다. 외곽부(320)가 탄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되면, 연결부(300)는 지지부(200)의 측벽부 및 바닥부(210)와 밀착될 수 있으며, 증기 배출 장치(400)와도 밀착될 수 있다. 연결부(300)가 지지부(200)의 측벽부, 바닥부(210) 및 증기 배출 장치(400)와 밀착되는 경우 지지부(200)와 연결부(300) 또는 연결부(300)와 증기 배출 장치 (400) 사이의 틈새로 증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고온 및 고압의 증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증기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증기 배출 장치(400)는 지지부(200)의 바닥부(210) 및 연결부(300) 상에 배치된다. 증기 배출 장치(400)는 연결부(300)를 통하여 지지부(200)의 바닥부(210)와 결합될 수 있다. 증기 배출 장치(400)는 지지부(200)의 측벽부에 의하여 가이드 및 지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증기 배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증기 배출 장치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증기 배출 장치(400)는 상부 캡(410), 냉각부(420), 외판(430), 내판(440) 및 하부 캡(4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캡(410)은 냉각부(420), 외판(430) 및 내판(440)과 결합된다. 상부 캡(410)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내부에 제어부 및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후술할 외판 도어(431) 및 내판 도어(441)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전원부는 외판 도어(431) 및 내판 도어(441)의 개폐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전지를 상부 캡(410)에 실장하는 것으로 전원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냉각부(420)는 외판(430)의 외측에 외판(430)과 밀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냉각부(420)는 외판(430)과 밀착하여 외판(430)을 냉각시킬 수 있다. 냉각부(420)는 외판(430)을 냉각시킴으로써 외판 내부의 증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냉각부(420)는 내부에 냉매를 포함하여 외판(430)을 냉각시킬 수 있다. 냉매는 물 또는 프레온가스 등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냉매 중 하나일 수 있다. 냉각부(420)의 동작은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냉각부(420)는 개방 영역(421)을 포함할 수 있다. 개방 영역(421)은 후술할 외판 도어(431)와 중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외판(430)은 냉각부(420)의 내측에 냉각부(420)와 밀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외판(430)은 외판 도어(431)를 포함한다. 외판 도어(431)는 개폐가 가능하여, 증기의 배출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판 도어를 외판의 내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외판 도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외판(430)은 외판 도어(431)를 커버할 수 있는 제1 도어판(432), 제1 도어판(432)의 상측을 지지하는 상측 지지부(433), 제1 도어판(432)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측 지지부(434) 및 도어의 개폐를 위한 제1 신호선(4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어판(432)은 상측 지지부(433) 및 하측 지지부(434)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이동할 수 있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제1 도어판(432)은 외판 도어(431)을 커버할 수 있도록 이동할 수 있고, 도 6에서와 같이 외판 도어(431)을 개방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상측 지지부(433) 또는 하측 지지부(434)는 내부에 롤러를 포함하여 제1 신호선(435)를 통하여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롤러를 구동하여 제1 도어판(432)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외판 도어(431)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그 밖에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외판 도어(431)는 개폐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도어판은 회전문 형태로 여닫힐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외판(430)과 냉각부(420)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가 회전하여 외판 도어(431)가 냉각부(420)에 의하여 가려지거나 개방되는 것을 통하여 외판 도어(431)의 개폐가 제어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외판(430)은 제1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온도 센서는 외판(430)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내판(440)은 외판(430)의 내측에 외판(430)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내판(440)은 내판 도어(441)을 포함하여 증기 배출구(120)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내판 도어(441)를 통하여 외판(430) 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내판 도어(441)의 개폐 방법은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 외판 도어(431)의 개폐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내판(440)은 제2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온도 센서는 내판(440)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내판(440)은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서는 내판(44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하부캡(450)은 냉각부(420), 외판(430) 및 내판(440)의 하부에 배치되며, 냉각부(420), 외판(430) 및 내판(440)과 결합된다. 하부캡(450)은 금속과 같은 자력에 대하여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어, 연결부(300)와 증기 배출 장치(4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하부캡(450)은 개방 영역을 포함하여 증기 배출구(120) 또는 증기 배출구(120)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증기 배출 장치(4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밥솥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전기 밥솥 제어 방법은 증기 배출 장치(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S1)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밥솥 제어 방법은 압력 감지 장치 또는 온도 감지 장치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압력 감지 장치는 내판(440)에 포함된 압력 센서이며, 온도 감지 장치는 외판(430)에 포함된 제1 온도 센서 및 내판(440)에 포함된 제2 온도 센서이다.
전기 밥솥 제어 방법은 압력 감지 장치 또는 온도 감지 장치에 이상이 있는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키며 외판 도어를 개방하고, 내판 도어를 개방하는 것(S3)을 포함한다. 압력 감지 장치 또는 온도 감지 장치에 이상이 있는 경우 증기 배출 장치(440)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증기 배출 장치(440) 내부의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져 전기 밥솥이 폭발할 위험이 있으므로, S3을 통하여 폭발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전기 밥솥 제어 방법은 내판 압력 및 내판 온도가 일정한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S4)를 포함할 수 있다. 내판(440) 압력이 일정한 범위에 해당한다는 것은 내판(440) 압력이 a 이하 b 이상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a는 1.1atm b는 0.9atm일 수 있다. 내판(440) 온도가 일정한 범위에 해당한다는 것은 내판(440) 온도가 c 이하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c는 35℃일 수 있다.
전기 밥솥 제어 방법은 내판 압력 및 내판 온도가 일정한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내판 도어를 폐쇄하고, 외판 도어를 개방하고, 냉각부를 정지하는 것(S5)를 포함할 수 있다. S5를 통하여 외판(430)과 내판(440) 사이의 증기가 증기 배출 장치(4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지만, 내판(440) 내부의 증기는 더 이상 외부로 배출될 수 없다. S5를 통하여 내판(440) 내부의 증기의 외부 배출을 차단함으로써, 전기 밥솥 내부의 온도 및 압력의 저하를 차단하여 보온 및 취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전기 밥솥 제어 방법은 내판 압력 및 내판 온도가 일정한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내판 도어를 개방하고 외판 도어를 폐쇄하고, 냉각부를 가동하는 것(S6)을 포함할 수 있다. 내판(440) 압력 및 내판(440) 온도가 일정한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이 때, 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경우 사람에게 상해를 입힐 위험이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S6에 의하면 내판 도어(441)가 개방되고, 외판 도어(431)이 폐쇄되어 내판(440)의 내측에 존재하던 증기가 내판(440)과 외판(43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게 된다. 내판(440)과 외판(430) 사이에 유입된 증기는 냉각부(420)가 가동됨으로써 냉각되게 된다.
전기 밥솥 제어 방법은 외판 온도가 d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S7)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d는 25℃일 수 있다. S7에 의하여 외판(430) 온도가 d 이하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S6를 반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외판(430) 온도가 d 이하가 아니라면 내판(440)과 외판(430) 사이의 증기는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계속하여 냉각된다.
전기 밥솥 제어 방법은 외판 온도가 d 이하인 경우 외판 도어를 개방하고, 내판 도어를 폐쇄하고, 냉각부를 정지시키는 것(S8)을 포함할 수 있다. 외판(430) 온도가 d 이하인 경우 증기의 온도 또한 외부로 배출시켜도 사람에게 상해를 입히지 않을 만큼 충분히 낮아진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므로, 외판 온도가 d 이하인 경우 외판 도어(431)를 개방하여 증기를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배출된 증기는 충분히 냉각된 후 배출되게 되므로, 증기로 인한 화상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S8을 수행한 후 다시 S2로 돌아갈 수 있다.
S1 내지 S8을 수행하는 것은 상부 캡(410) 내에 배치된 제어부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본체 110: 조작부
120: 증기 배출구 200: 지지부
210: 바닥부 300: 연결부
310: 전극 320: 외곽부
330: 자석 400: 증기 배출 장치
410: 상부 캡 420: 냉각부
421: 개방 영역 430: 외판
431: 외판 도어 432: 제1 도어판
433: 상측 지지부 434: 하측 지지부
435: 제1 신호선 440: 내판
441: 내판 도어 450: 하부 캡

Claims (9)

  1. 증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증기 배출구상에 배치되는 증기 배출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증기 배출 장치는,
    개폐 가능한 외판 도어를 포함하는 외판;
    개폐 가능한 내판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외판과 이격되고, 상기 증기 배출구에 상기 외판보다 더 인접하여 배치되는 내판; 및
    상기 외판에 접촉하는 냉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증기 배출 장치는 상기 외판, 상기 내판 및 상기 냉각부와 연결되는 상부 캡을 더 포함하되, 상기 상부 캡은 상기 외판 도어 및 상기 내판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냉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판은 상기 외판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1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판은 상기 내판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2 온도 센서 및 상기 내판에 미치는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상기 내판에 미치는 압력이 0.9atm 이상 1.1atm 이하이고, 상기 제2 온도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상기 내판의 온도가 35℃ 이하인 경우 상기 내판 도어를 폐쇄하고 상기 외판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냉각부를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상기 내판에 미치는 압력이 0.9atm 이상 1.1atm 이하가 아니거나, 상기 제2 온도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상기 내판의 온도가 35℃ 이하가 아닌 경우 상기 내판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외판 도어를 폐쇄하고, 상기 냉각부를 가동하도록 제어하는 전기 밥솥.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센서, 상기 제1 온도 센서 또는 상기 제2 온도 센서의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내판 도어 및 상기 외판 도어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전기 밥솥.
  5. 삭제
  6. 증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증기 배출구상에 배치되는 증기 배출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증기 배출 장치는,
    개폐 가능한 외판 도어를 포함하는 외판;
    개폐 가능한 내판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외판과 이격되고, 상기 증기 배출구에 상기 외판보다 더 인접하여 배치되는 내판; 및
    상기 외판에 접촉하는 냉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증기 배출 장치는 상기 외판, 상기 내판 및 상기 냉각부와 연결되는 상부 캡을 더 포함하되, 상기 상부 캡은 상기 외판 도어 및 상기 내판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냉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판은 상기 외판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1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판은 상기 내판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2 온도 센서 및 상기 내판에 미치는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외판의 온도가 25℃ 이하인 경우 상기 외판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내판 도어를 폐쇄하고, 상기 냉각부를 정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외판의 온도가 25℃ 이하가 아닌 경우 상기 내판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외판 도어를 폐쇄하고, 상기 냉각부를 가동하도록 제어하는 전기 밥솥.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배출구가 드러나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를 둘러싸는 측벽부를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증기 배출 장치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 밥솥.
  8. 증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증기 배출구상에 배치되는 증기 배출 장치;
    상기 증기 배출구가 드러나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를 둘러싸는 측벽부를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증기 배출 장치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증기 배출 장치는,
    개폐 가능한 외판 도어를 포함하는 외판;
    개폐 가능한 내판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외판과 이격되고, 상기 증기 배출구에 상기 외판보다 더 인접하여 배치되는 내판; 및
    상기 외판에 접촉하는 냉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증기 배출 장치는 금속을 포함하고, 상기 내판 및 상기 외판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와 접촉하는 하부 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자석 및 상기 자석을 둘러싸고 있는 탄성체로 형성된 외곽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금속을 포함하여 형성된 전기 밥솥.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전자석이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자석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극을 더 포함하는 전기 밥솥.
KR1020120011344A 2012-02-03 2012-02-03 전기 밥솥 KR101874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344A KR101874977B1 (ko) 2012-02-03 2012-02-03 전기 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344A KR101874977B1 (ko) 2012-02-03 2012-02-03 전기 밥솥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511A Division KR101964601B1 (ko) 2018-06-29 2018-06-29 증기 배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밥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206A KR20130090206A (ko) 2013-08-13
KR101874977B1 true KR101874977B1 (ko) 2018-07-06

Family

ID=49215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344A KR101874977B1 (ko) 2012-02-03 2012-02-03 전기 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9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991B1 (ko) * 2022-11-30 2023-03-06 김대영 스팀 프로텍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152U (ko) * 1995-07-08 1997-02-19 전기취사기의 증기 냉각장치
KR19980060137U (ko) * 1997-03-07 1998-11-05 이재화 전기 밥솥의 증기 안전배출장치
JP2007044314A (ja) * 2005-08-10 2007-02-22 Rinnai Corp 炊飯器及び蒸気排出用のノズル体
KR100746445B1 (ko) * 2006-04-18 2007-08-03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 압력 밥솥
JP2010005362A (ja) * 2007-09-12 2010-01-14 Panasonic Corp 炊飯器
JP2011072514A (ja) * 2009-09-30 2011-04-14 Panasonic Corp 炊飯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4152U (ko) * 1995-07-08 1997-02-19 전기취사기의 증기 냉각장치
KR19980060137U (ko) * 1997-03-07 1998-11-05 이재화 전기 밥솥의 증기 안전배출장치
JP2007044314A (ja) * 2005-08-10 2007-02-22 Rinnai Corp 炊飯器及び蒸気排出用のノズル体
KR100746445B1 (ko) * 2006-04-18 2007-08-03 쿠쿠전자주식회사 전기 압력 밥솥
JP2010005362A (ja) * 2007-09-12 2010-01-14 Panasonic Corp 炊飯器
JP2011072514A (ja) * 2009-09-30 2011-04-14 Panasonic Corp 炊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206A (ko) 2013-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68844B (zh) 具有倾斜度传感器的电饭锅
KR20160012849A (ko) 지능형 전기레인지
KR20150083795A (ko) 조리기의 안전 사용을 모니터하는 방법 및 장치
CN203647062U (zh) 电压力锅控制装置及电压力锅
CN108523643A (zh) 烹饪器具的压力控制方法
TW202006298A (zh) 具有煮食偵測功能的排油煙機及其煮食偵測方法
KR101874977B1 (ko) 전기 밥솥
KR101964601B1 (ko) 증기 배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밥솥
JP2010096379A (ja) 高周波加熱用調理器具とそれを用いた高周波加熱装置
EP3038431B1 (en) Circuit for driving cooker, system for driving cooker, cooker, and method for driving cooker
CN109611899A (zh) 燃气灶及用于燃气灶的控制方法
CN106556150B (zh) 一种热水器控制方法及热水器
JP2006002989A (ja) 加熱調理器
JP2012052690A (ja) 高周波加熱装置
KR101623980B1 (ko) 오븐레인지의 도어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50022393A (ko) 조리기기
KR101709646B1 (ko) 조리기기의 소화 방재 시스템
JP2008251200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1745312B1 (ko) 가스레인지에서 압력밥솥 자동검지에 따른 과열방지방법
KR100667202B1 (ko) 증기조리장치 및 그 고온도어 경고방법
JP2013000262A (ja) 炊飯器
KR20170006676A (ko) 뚜껑 개폐 여부에 따라 진행중인 동작을 제어하는 전기밥솥 및 전기밥솥에서 뚜껑 개폐 여부에 따라 진행중인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JP2013000202A (ja) 炊飯器
JP7183125B2 (ja) 加熱調理器
CN110762569B (zh) 具有煮食检测功能的排油烟机及其煮食检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