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893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893A
KR20110006893A KR1020090064514A KR20090064514A KR20110006893A KR 20110006893 A KR20110006893 A KR 20110006893A KR 1020090064514 A KR1020090064514 A KR 1020090064514A KR 20090064514 A KR20090064514 A KR 20090064514A KR 20110006893 A KR20110006893 A KR 20110006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cavity
cooking
moving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6363B1 (ko
Inventor
이정호
이용수
이승찬
김양경
백승조
백채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4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363B1/ko
Publication of KR20110006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8Arrangement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king compartments, e.g. for warming or for storing utensils or fuel containers; Arrangement of additional heating or cooking apparatus, e.g. gr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5Coatings for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24C15/103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being movable or rota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5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electrically-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발명의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와, 조리 대상물을 거치하도록 상기 캐비티 내에 배치되는 조리대와, 조리대와 캐비티의 바닥면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히터와, 이동히터가 최하점에 도달시, 이동히터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포함하여, 히터의 열에 의해 조리실 바닥이 변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er}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조리실 내에서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비된 이동히터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가열원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기기로서, 가열원은 전기가 인가되면 발열되는 전열 히터나, 화석 연료로 불을 발생하는 버너나, 전자기력으로 금속재 조리 용기 등에 전기가 흐르도록 유도하여 조리 용기가 발열되게 하는 유도 가열기 등이 사용된다.
특히, 히터를 이용한 조리기기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조리실 내에 고정된 래크 등의 조리대에 거치시키고, 조리실 내에 고정된 히터의 발열 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한다.
종래의 조리기기는 조리실의 바닥에 히터가 내장되어 있어서, 장기간 사용시 히터의 발열에 의해 조리실의 바닥이 변색 또는 산화되는 등의 변성작용이 일어나거나, 조리실의 바닥에 떨어진 음식물이 고열에 의해 눌러 붙게 되어 제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 발명은, 이동히터가 조리실 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히터가 발열시 조리실 바닥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조리실 바닥의 변성작용을 방지함과 아울러 조리실 바닥에 떨어진 음식물이 탄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조리실이 개방되었을 시, 이동히터가 수용부에 수용됨으로써 사용자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조리기기의 구조를 최소화함으로써 심미감을 향상시킨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원 발명의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와, 조리 대상물을 거치하도록 상기 캐비티 내에 배치되는 조리대와, 상기 조리대와 상기 캐비티의 바닥면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히터와, 상기 이동히터가 최하점에 도달시, 상기 이동히터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캐비티의 바닥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이동히터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상기 이동히터가 상기 수용부 밖으로 노출되지 않는 깊이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티는 인산염계 법랑 물질로 코팅된 법랑코팅부를 포함할 수있고, 상기 법랑코팅부는, 상기 캐비티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리기기(1)는 상기 이동히터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히터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동히터가 설정 높이에 이르면 상기 히터 구동부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상기 이동히터의 높이에 따라 접점되는 제한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한 스위치는, 상기 이동히터의 상방향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상방 제한 스위치와, 상기 이동히터의 하방향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하방 제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히터 구동부는, 상기 이동히터 및 상기 캐비티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래크와, 상기 이동히터 및 상기 캐비티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피니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히터에 의해 조리실 바닥이 변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 바닥에 떨어진 음식물이 탄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리실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이동히터가 수용부에 수용됨으로써 사용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이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조리기기의 구조를 최소화함으로써 심미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에서 이동히터(18)가 작동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히터(18)가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에서 이동히터(18)가 작동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히터(18)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수용부(42)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4에 도시된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2를 참조하면, 조리기기(1)는, 외관을 이루는 외부 케이스(10)와, 외부 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되고 조리실(12)을 형성하는 캐비티(11)와, 캐비티(11)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조리실(12)을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격리시키는 도어(14)와, 캐비티(11)에 수용된 음식물을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원과, 외부 케이 스(10)에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각종 작동 명령을 입력 받는 컨트롤 패널(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열원으로 다수의 히터가 포함되는 것이 설명되나, 상기 가열원은 추가적으로 마그네트론 또는 초음파 장치가 포함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히터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조리실(12) 내에는 조리 대상물이 담긴 조리 용기 등이 거치되는 조리대(13)가 배치된다. 이때, 조리대(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11)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장착되거나, 캐비닛(11)에 구비된 가이드(미도시)를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조리대(13)는 반드시 평판형일 필요는 없으며, 와이어 등의 선형 재료를 이용한 조립체인 렉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캐비티(12) 내에는 조리대(13)와 캐비티(12) 바닥면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이동히터(18)가 구비된다. 이동히터(18)는 캐비티(12)의 적어도 일측면을 따라 지지되어, 모터(미도시) 등의 구동 수단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동히터(18)가 조리실(12) 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에는 래크(rack)와 피니언(pinion)을 구비한 구동수단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히터(18)가 도시되어 있으며,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이동히터(18)는 전기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외부로 열을 방출하는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코일히 터(coil heater), 시스 히터(sheath heater)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30)을 통하여 조리 코스, 조리 시간, 조리 온도 등의 각종 선택 사항을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선택 사항에 근거하여, 제어부(50)는 이동히터(18)의 온도, 가열 시간 및 상/하강 거리 등을 제어한다.
이때, 이동히터(18)가 최상단에 이동 하였을 때의 위치는, 조리대(13)의 하면과 밀착하는 위치에서 설정될 수도 있고, 조리대(13)와 소정의 거리를 둔 위치로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데, 조리 대상에 강한 복사열을 가하여 구이를 하는 조리 코스에서는 이동히터(18)가 조리대(13)와 최대한 밀착되도록 최상측 위치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조리 대상의 표면이 타지 않으면서 내면까지 완전히 익혀야 하는 조리시에는 이동히터(18)가 조리대(13)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도록 설정하여 은은한 강도의 복사열이 조리 대상을 장시간 가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조리대(13)는 캐비티(12) 내의 한 곳에 고정되는 방식이나, 이와는 다르게 캐비티(12) 내에는 조리대(13)가 거치될 수 있는 가이드들이 각각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이 경우, 상기 가이드에 거치되는 조리대(13)의 높에에 따라 이동히터(18)의 이동 높이가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이동히터(18)에 인가되는 전류 또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여 이동히터(18)로부터 방사되는 복사열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캐비티(11)의 상부에는 고정히터(1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고정히 터(16) 역시 전술한 이동히터(18)와 마찬가지로 코일히터(coil herater), 시스히터(sheath heater)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동히터(18)와 고정히터(16)가 조실대(13)를 중심으로 상 하 측에 각각 구비되어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조리 대상을 향해 열을 가함으로써, 다양한 방식의 조리가 가능하게 된다. 제어부(50)는 컨트롤 패널(3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각종 선택 명령에 따라, 고정히터(16) 또는 이동히터(18)를 동시에 또는 어느 하나만이 작동되도록 하거나,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컨트롤 패널(30)에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31)와, 조리기기(1)의 작동 상태가 알려지도록 하는 알림부(35)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입력부(31)는 조리모드를 선택하는 선택버튼(32)과, 선택된 조리모드에 따라 조리 시작 명령을 입력하는 시작 버튼(3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캐비티(11)의 바닥면을 따라 함몰되어 형성된 수용부(42)를 포함한다. 수용부(42)는 최하점에 도달한 이동히터(18)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즉, 수용부(42)는 캐비티(12)의 바닥면에서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어, 최하측으로 이동된 이동히터(18)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동히터(18)는 도어(14)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수용부(42)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50)는 조리가 완료된 시점에 이동히터(18)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수용부(42)에 수용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조리를 마친 후, 사용자가 도어(14)를 열었을 때, 이동히터(18)는 수용부(42)에 안전하게 수용 된 상태가 되어 이동히터(18)에 의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으며, 이동히터(18)의 구조가 노출되지 않아 제품의 심미감 역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3, 도 4 및 도4a를 참조하면, 수용부(42)는 이동히터(18)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히터(18)는 일종의 시스히터(sheath heater)로서 대략 환형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전열선(18a,18b)를 구비하고 있으며, 캐비티(11)의 바닥면에는 각각의 전열선(18a, 18b)이 수용되는 수용홈(42a, 42b)이 전열선(18a, 18b)의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된다. 이때, 수용홈(42a, 42b)의 깊이(h)는 전열선(18a, 18b)이 충분히 수용될 수 있도록 전열선(18a,18b)의 직경(d)보다 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한편, 종래의 조리기기는 조리실의 바닥 내에 히터가 내장되어 있어서, 상기 히터가 설치된 위치를 따라 상기 조리실의 바닥이 과열되게 되고, 상기 조리실 내의 고온 다습한 환경에 의한 산화 및 변성 작용이 발생하여 제품의 내구성 및 심미감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조리과정에서 음식물로부터 떨어져 나온 찌꺼기 들이 상기 조리실의 바닥에 떨어지게 되고, 상기 히터가 내장된 부분을 따라 국부적인 탄화작용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조리실의 바닥에 청소하기 힘든 음식물의 탄화자국이 남게 되는 등의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조리실(12) 내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하는 이동히터(18)를 구비하여, 조리시에는 수용부(42)에서 취출된 상태 즉, 캐비닛(11) 바닥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이동히터(19)가 발열됨으로써, 캐비 티(11) 바닥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전술한 종래의 조리기기에서 문제시 되었던, 캐비티(11) 바닥의 변성 및 국부 탄화로 인한 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캐비티(11)는 인산염계 법랑 물질로 코팅된 법랑코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법랑코팅부는 인산염계 성분, 예를 들면, 오산화인(P2O5)을 함유한다. 상기 오산화인을 포함하는 인산염계 성분은, 내식성, 방청성 및, 내고온 산화성 등을 증진시킴으로써,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캐비티(11)의 내면에 눌어붙은 오염 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법랑코팅부는 조리대에서 떨어진 음식물이 집중적으로 모이는 캐비티(11)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캐비티(11)의 바닥면을 포함한 내측면 전체를 상기 인산염계 법랑 물질로 코팅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조리기기(1)는 캐비티(11)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부(52)와, 상기 조리기기(1)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와, 조리기기(1)의 작동 조건이 저장되는 메모리부(56)와, 조리시간이 설정되는 타이머(54)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도 4 및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이동히터(18)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히터 구동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 구동부(20)는 캐비티(11)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로 길게 배치되는 렉(24)과, 렉(24)과 치합되는 기어치를 가지며 이동히터(18)에 구비되는 피니언(22)을 포함한다. 피 니언(22)은 이동히터(18)에 고정된 채 함께 상하로 이동하면서, 모터(미도시) 등의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모터 등의 구동 수단이 작동하게 되면, 피니언(22)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렉(24)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는 다르게, 캐비티(11)에 피니언(22)이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하고, 이동히터(18)에 래크(24)가 장착되어 피니언(22)의 회전에 따라 이동히터(18)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함을 명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수용부(42')에 이동히터(18)가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도 5에 도시된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용부(42')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동히터(18)의 전열선(18a, 18b)를 수용하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다. 즉, 수용부(42')는 각각의 전열선(18a, 18b)에 대응하여 복수의 수용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수용홈으로 이루어져 이동히터(18)의 전열선(18a, 18b)를 수용한다.
도 6은 본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이동히터(18)의 상하 방향 이동 거리가 제어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히터(18)는 래크(24)와 피니언(22)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래크(24)에는 이동히터(18)의 상 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제한 스위치(60)가 구비될 수 있다. 제한 스위치(60)는 이동히터(18) 의 상방향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상방 제한 스위치(62)와 이동히터(18)의 하방향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하방 제한 스위치(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 스위치(60)는 일종의 위치 감지 센서로서 이동히터(18)의 높이에 따라 접점되어 이동히터(18)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온/오프 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컨데, 이동히터(18)가 수용부(42)에 수용된 상태에서 입력부(31)를 통해 작동 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50)는 히터 구동부(20)를 구동시켜 이동히터(18)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이때, 이동히터(18)가 소정의 높이에 이르면 상방 제한 스위치(62)가 작동하여 작동중지 신호가 제어부(50)에 인가되고, 제어부(50)는 히터 구동부(20)가 작동을 중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이동히터(18)가 설정된 높이에서 멈추게 된다.
마찬가지로, 이동히터(18)가 수용부(42)에 수용되는 최하점에 이르게 된 경우 하방 제한 스위치(64)가 작동함으로써, 이동히터(18)의 운동이 정지된다.
한편, 제한 스위치(60)는 이동히터(18)가 조리실(12) 내에서 기 설정된 구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수단이면 족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크(24)에 구비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도 아님을 명시한다.
도 7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어(14)를 열어 조리대(13)에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거치하고, 도어(14)를 다시 닫은 후, 컨트롤 패널(30)을 조작하 여 조리코스를 설정한다.(S10)
이후, 조리코스가 실행되면 제어부(50)는 히터 구동부(20)를 제어하여, 이동히터(18)가 설정 높이까지 상승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이동히터(18)가 설정 높이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는 제한 스위치(6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이동히터(18)가 설정 높이 까지 상승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50)는 히터 구동부(20)의 구동을 중단시킨다.(S20)
이후, 제어부(50)는 이동히터(18)가 작동되도록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메모리부(56)에 저장된 기 프로그램된 알고리즘에 따라 이동히터(18)가 작동되면서 조리가 이루어 진다.(S30)
한편, 온도감지부(52)에 의해 감지된 조리실 내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 되거나, 조리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50)는 이동히터(18)의 작동이 중단되도록 중단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이동히터(18)가 OFF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온도 감지 센서(52)의 계속적인 감지값에 따라 이동히터(18)의 작동 및 중단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선택된 조리 코스가 모두 완료되는 조리 완료 시점이나, 이동히터(18)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시점에 이르게 되면, 제어부(50)는 이동히터(18)의 작동을 중지시킨 후,(S50) 이동히터(18)가 하강하여 수용부(42)에 수용되도록 제어한다.(S60)
이때, 이동히터(18)의 작동이 중단되는 S50단계와 이동히터(18)가 하강하여 수용부(42)에 수용되는 S60 단계는 반드시 연속하여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고, 이동히터(18)가 작동이 정지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어 온도가 낮아진 후에 이 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이동히터(18)의 온도가 낮아진 상태에서 수용부(42)에 수용되기 때문에 캐비티(11) 바닥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S50단계 후, 이동히터(18)가 발열을 중지한 상태로 현 시점의 높이에서 대기하고 있다가 사용자에 의해 도어(14)가 개방될 시 S60단계가 진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가 음식물을 꺼내기 위해 도어(14)를 개방하기 전까지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이동히터(18)가 냉각될 수 있으며, 도어(14)가 개방되기 전까지는 이동히터(18)와 조리대(13)가 근접한 거리 상에 위치하여 이동히터(18)에 잔존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의 온기를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7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제어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조리코스가 설정되는 S110단계 이후에 이동히터(18)가 온(ON)되는 S120단계가 수행되고, 이동히터(18)가 온(ON)된 상태에서 설정높이까지 상승하도록 제어되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 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이동히터가 작동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히터가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이동히터가 작동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히터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4에 도시된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수용부에 이동히터가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도 5에 도시된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이동히터의 상하 방향 이동 거리가 제어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도이다.
도 7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조리기기 11: 캐비티
12: 조리실 13: 조리대
16: 고정히터 18: 이동히터
18:a, b: 전열선 20: 히터 구동부
30: 컨트롤 패널 31: 입력부
42: 수용부 42a, b: 수용홈

Claims (13)

  1.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조리 대상물을 거치하도록 상기 캐비티 내에 배치되는 조리대;
    상기 조리대와 상기 캐비티의 바닥면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히터; 및
    상기 이동히터가 최하점에 도달시, 상기 이동히터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캐비티의 바닥면에 함몰 형성되는 조리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이동히터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히터는,
    복수의 전열선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각각의 전열선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 복수의 수용홈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5.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이동히터가 상기 수용부 밖으로 노출되지 않는 깊이로 함몰 형성되는 조리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는 인산염계 법랑 물질로 코팅된 법랑코팅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법랑코팅부는,
    상기 캐비티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조리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히터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히터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히터가 설정 높이에 이르면 상기 히터 구동부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상기 이동히터의 높이에 따라 접점되는 제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스위치는,
    상기 이동히터의 상방향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상방 제한 스위치; 및
    상기 이동히터의 하방향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하방 제한 스위치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구동부는,
    상기 이동히터 및 상기 캐비티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래크; 및
    상기 이동히터 및 상기 캐비티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을 여닫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 구동부는,
    상기 도어의 개방시 상기 이동히터가 최하점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키는 조리 기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히터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0090064514A 2009-07-15 2009-07-15 조리기기 KR101516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514A KR101516363B1 (ko) 2009-07-15 2009-07-15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514A KR101516363B1 (ko) 2009-07-15 2009-07-15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893A true KR20110006893A (ko) 2011-01-21
KR101516363B1 KR101516363B1 (ko) 2015-05-04

Family

ID=43613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514A KR101516363B1 (ko) 2009-07-15 2009-07-15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36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750A (ko) * 2015-07-09 2017-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 조리기
EP3885655A1 (en) * 2020-03-25 2021-09-29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Baking oven
WO2023075050A1 (ko) * 2021-10-28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WO2023075474A1 (ko) * 2021-10-28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028B1 (ko) 1995-01-26 1999-08-16 윤종용 전자렌지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788508B1 (ko) * 2006-11-15 2007-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븐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750A (ko) * 2015-07-09 2017-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 조리기
EP3885655A1 (en) * 2020-03-25 2021-09-29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Baking oven
WO2023075050A1 (ko) * 2021-10-28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WO2023075474A1 (ko) * 2021-10-28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6363B1 (ko) 201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11740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smoker device integral to an oven
KR101617283B1 (ko) 조리기기 및 그 운전 방법
KR20080025603A (ko) 가열조리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823096A (zh) 烹饪装置及其控制方法
KR20110006893A (ko) 조리기기
CN103300701A (zh) 厨房用具和使用该厨房用具的方法
JP2011096590A (ja) 加熱調理器
KR20060091857A (ko) 전기 오븐레인지의 제어장치 및 방법
US20160040892A1 (en) Oven applian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an oven appliance
JP4738452B2 (ja) 加熱調理器
JP5022784B2 (ja) 誘導加熱調理器
US20200060470A1 (en) Automated oven appliance for baking and broiling food
JP5909673B2 (ja) 加熱調理器
KR100218961B1 (ko) 소량 조리물의 과다조리를 방지하는 전자렌지의 제어방법
JP2001046242A (ja) 家庭用オーブン、調理方法および調理装置
JP2018067413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1738634B1 (ko) 나노카본히터 전기오븐
JP2014184018A (ja) 炊飯器
KR200197563Y1 (ko) 전자렌지용 히터 높낮이조절장치
JP6368915B2 (ja) 加熱調理器
JP2007263457A (ja) 加熱調理器
KR101326356B1 (ko) 다용도 구이기
JP7314875B2 (ja) 電気装置、加熱調理器
KR100722022B1 (ko) 전기 오븐
JP5470776B2 (ja) 高周波加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