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1835A - 프로젝터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프로젝터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1835A
KR20140091835A KR1020130003777A KR20130003777A KR20140091835A KR 20140091835 A KR20140091835 A KR 20140091835A KR 1020130003777 A KR1020130003777 A KR 1020130003777A KR 20130003777 A KR20130003777 A KR 20130003777A KR 20140091835 A KR20140091835 A KR 20140091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or
driving
rail
driving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봉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3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1835A/ko
Publication of KR20140091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8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Abstract

프로젝터를 고정하는 프로젝터용 브라켓에 있어서, 일면이 고정면에 결합하는 마운트; 일단이 상기 마운트의 타면에 결합하며, 타측에 x축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1 구동레일을 포함하는 제1 구동부; 상기 제1 구동부의 타측에 위치하며, 일측에 y축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2 구동레일을 구비하고 타측에 프로젝터가 결합하는 제2 구동부; 및 상기 제1 구동부의 타측 둘레 및 상기 제2 구동부의 일측 둘레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구동레일 및 제2 구동레일과 결합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연결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구동레일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연결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2 구동레일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프로젝터용 브라켓은 간편하게 프로젝터의 위치, 방향 및 각도를 조정할 수 있어, 프로젝터에서 사출되는 영상의 화질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선명하고 정확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로젝터용 브라켓{BRACKET FOR PROJECTOR}
본 발명은 프로젝터를 천장 또는 바닥과 같은 고정면에 결합하기 위한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프로젝터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영상신호를 투사광으로 변환시켜 스크린에 확대 투사하는 장치이다. 스크린에 투사되는 투사광은 프로젝터 내부에 구비된 램프 등의 광원에서 제공되는 빛을 영상과 함께 투사하게 된다.
이러한 프로젝터는 스크린이 구비된 실내의 천정에 장착하여 고정된 방식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테이블 등에 거치하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프로젝터는 납작한 육면체 하우징을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투사광을 투사하는 투사렌즈부는 프로젝터 하우징 전면부에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회의실 같이 프로젝터가 필수적으로 필요한 장소에는 천장, 바닥 또는 벽면에 프로젝터를 고정한다. 이때, 한번 고정된 프로젝터에서 투사되는 영상의 방향을 변경하거나, 영상을 선명하고 정확한 모양으로 투사되도록 하기 위해 프로젝터의 미세조정이 필요하다.
이때, 프로젝터 자체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조작하여 초점을 맞추거나 형상을 맞추는 경우 화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로젝터를 고정하고 프로젝터의 각도 방향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프로젝터를 고정하는 프로젝터용 브라켓에 있어서, 일면이 고정면에 결합하는 마운트; 일단이 상기 마운트의 타면에 결합하며, 타측에 x축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1 구동레일을 포함하는 제1 구동부; 상기 제1 구동부의 타측에 위치하며, 일측에 y축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2 구동레일을 구비하고 타측에 프로젝터가 결합하는 제2 구동부; 및 상기 제1 구동부의 타측 둘레 및 상기 제2 구동부의 일측 둘레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구동레일 및 제2 구동레일과 결합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연결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구동레일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연결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2 구동레일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프로젝터용 브라켓을 제공한다.
상기 제1 구동레일 및 상기 제2 구동레일은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이며, 상기 제1 구동레일을 회전하여 상기 제1 구동부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 구동레일을 회전하여 상기 제2 구동부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레일 또는 상기 제2 구동레일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구동부 또는 상기 제2 구동부를 관통하는 보조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트를 사용자가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볼트의 단부에 결합된 손잡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운트는 타면에 돌출되고 상기 제1 구동부의 일측에 삽입되는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부가 상기 제1 구동부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프로젝터와 상기 마운트 사이의 거리가 변화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부는 나사산을 포함하는 높이 조절 볼트이고, 상기 제1 구동부의 일측에는 상기 높이 조절 볼트에 끼워져 회전하는 높이 조절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 조절 너트를 회전하여 상기 마운트와 상기 프로젝터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프로젝터의 좌측과 우측 중 적어도 일측과 결합하여, 상기 프로젝터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각도 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정부는 상기 프로젝터의 전면의 좌우 또는 후면의 좌우에 한 쌍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정부는 볼트와 상기 볼트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를 회전하여 상기 프로젝터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2 구동레일이 관통하는 하우징과 일단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타단은 상기 프로젝터와 결합하는 프로젝터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과 상기 프로젝터 고정부의 회전은 단위각도로 계단식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면은 천정, 바닥 및 벽면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젝터용 브라켓은 간편하게 프로젝터의 위치, 방향 및 각도를 조정할 수 있어, 프로젝터에서 사출되는 영상의 화질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선명하고 정확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정면에 고정한 후에 프로젝터의 위치, 방향 및 각도를 조정할 수 있어 설치가 간편하다.
또한, 스크린의 위치가 바뀌더라도 어느 위치에서나 사용 가능하여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용 브라켓과 그에 장착된 프로젝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용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용 브라켓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용 브라켓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용 브라켓의 측방향 이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용 브라켓의 전후 방향 이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용 브라켓의 각도조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용 브라켓의 회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용 브라켓의 상하 위치조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 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용 브라켓(100)과 그에 장착된 프로젝터(2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고정용 프로젝터(200)는 가로방향으로 편평한 직사각형 모양이 일반적이며, 본 발명의 프로젝터용 브라켓(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사각형 프로젝터(200)를 고정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천장에 설치한 경우를 설명하나, 바닥면 또는 측벽면에도 고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프로젝터용 브라켓(100)이 고정되는 면을 고정면이라고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용 브라켓(100)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용 브라켓(100)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용 브라켓(100)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프로젝터용 브라켓(100)은 마운트(10), 제1 구동부(20), 제2 구동부(30), 연결프레임을 포함한다.
마운트(10)는 일면이 고정벽에 결합하여 고정벽에 프로젝터용 브라켓(10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납작한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판을 관통하는 나사 등을 이용하여 프로젝터용 브라켓(100)을 고정면에 고정한다.
제1 구동부(20)는 마운트(10)의 타면에 결합한다. 이때, 마운트(10)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될 수도 있으나,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10)는 타면에 돌출된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높이 조절부에 제1 구동부(20)가 끼워져 결합할 수 있다.
제1 구동부(20)의 높이 조절부에 삽입된 깊이를 조절하면 상기 제1 구동부(20)는 마운트(10)로부터 거리가 변화될 수 있다. 도면상으로는 높이 조절부는 나사산을 갖는 높이 조절 볼트(15)이고, 제1 구동부(20)는 일단에 높이 조절 너트(25)를 포함하여 상기 높이 조절 볼트(15)와 결합할 수 있다.
제1 구동부(20)는 높이 조절 너트(25) 부분만 회전하여 상기 높이 조절 볼트(15)에 끼워질 수 있다. 높이 조절 너트(25)를 회전시켜 상기 마운트(10)로부터 제1 구동부(20)의 상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제1 구동부(20)는 x축 방향으로 삽입된 제1 구동레일(21)을 포함한다. 제1 구동레일(21)은 제1 구동부(20)에 삽입되어 x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도면 상에 도시된 제1 구동레일(21)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형태이며, 제1 구동레일(21)을 회전하면 제1 구동부(20)에 대하여 x축 방향으로 움직인다. 볼트 형태의 구동레일을 회전시키기 위해 단부에 손잡이(2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동레일과 나란하게 상기 제1 구동부(20)를 관통하는 보조 레일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조레일(22)은 제1 구동부(20)가 움직일 때 상기 제1 구동레일(21)을 축으로 회전하지 않고 x축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보조레일(22)은 같이 제1 구동레일(21)의 좌우에 하나씩 구비될 수도 있고, 일측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보조레일(22)은 상기 제1 구동부(20)를 관통하나 제1 구동부(20)에 고정되지 않고 양단이 연결 프레임(40)이 고정된다.
상기 제1 구동레일(21)과 보조레일(22)은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부(20)의 타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일단은 상기 마운트(10)와 제1 구동부(20)가 결합하기 위한 구조(자세한 내용은 후술함)가 위치하기 때문에 일단 부분을 관통할 수 없으며 타단에 위치해야 연결 프레임(40)과 연결이 용이하다.
연결 프레임(40)은 제1 구동부(20)의 타측 둘레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구동레일(21)이 관통한다. 제1 구동레일(21)은 상기 연결 프레임(40)에 대해 x축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양단이 결합되며, 제1 구동레일(21)이 볼트 형태인 경우 회전해야하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 프레임(40)에 결합된다. 보조레일(22)은 회전하지 않으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에 양단부가 고정된다.
제1 구동레일(21)의 단부에 위치하는 손잡이(21')는 연결 프레임(40)을 관통하여 연결 프레임(40)의 외측에 위치한다.
제1 구동레일(21)을 회전하면 제1 구동부(20)는 마운트(10)를 통해 고정면에 고정되므로 움직이지 않고, 제1 구동레일(21)과 보조레일(22)은 상기 연결 프레임(40)과 함께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 구동부(30)는 제1 구동부(20)의 타측에 위치하며, 일측에 y축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2 구동레일(31)을 구비하고 타측은 프로젝터(200)와 결합한다. 제2 구동레일(31)은 제2 구동부(30)를 y축 방향으로 관통한다는 점에서 제1 구동레일(21)과 차이가 있으나, 그 형상 구동 방법은 상술한 제1 구동레일(21)과 유사하다.
제2 구동레일(31)의 단부는 제1 구동레일(21)과 같이 상기 연결 프레임(40)에 결합된다. 제2 구동레일(31)이 y축 방향으로 움직이면 프레임에 상대적으로 y축 방향으로 제2 구동부(30)가 움직인다. 제2 구동부(30)도 제1 구동부(20)와 같이 제2 구동부(30)의 회전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y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보조 레일을 1개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제2 구동부(30)는 제1 구동부(20)의 타측방향에 위치하며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짝 이격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연결 프레임(4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부(20)의 타단과 제2 구동부(30)의 일단 둘레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구동레일(21)과 제2 구동레일(31)이 x축 방향 y축 방향으로 각각 결합한다.
연결 프레임(40)은 도면 상으로는 사각형의 프레임이나, 원형의 프레임도 가능하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형태이면 그 형상에 구애받지 않는다.
제2 구동부(30)의 타단에 프로젝터(200)가 결합한다. 프로젝터(2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제2 구동부(30)와 상기 프로젝터(200)는 2 이상의 위치에서 결합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동부(30)로 부터 연장된 고정다리(37)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다리(37)는 2개 이상 구비한다. 직사각형 모양의 프로젝터(200)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해서는 바람직 하게는 도면과 같이 4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다리(37)의 단부에 프로젝터(200)가 고정된다.
프로젝터(200)는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볼트를 회전시켜 프로젝터(200)와 고정다리(37) 단부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제2 구동부(30)와 프로젝터(200)가 2곳 이상에 결합하면 프로젝터(20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프로젝터(200)의 전방 좌측, 전방 우측, 후방 좌측 및 후방 우측으로 고정다리(37)가 연장되어 프로젝터(200)와 네 부분에 결합한다. 전방 좌우 고정다리(37)의 단부에 결합한 볼트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볼트를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38')를 구비한 각도 조절 볼트(38)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부(30)는 상부 구동부(33), 프로젝터 고정부(35), 회전부(36)로 나누어질 수 있다. 상부 구동부(33)는 제2 구동레일(31)이 관통하며 연결 프레임(40)과 결합한다. 프로젝터 고정부(35)는 상기 상부 구동부(33)의 타단에 위치하며, 프로젝터(200)와 결합하기 위한 고정다리(37)를 구비한다.
프로젝터 고정부(35)는 상기 상부 구동부(33)에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젝터 고정부(35)가 회전하면 고정면 대비 프로젝터(200)가 회전하게 되어 영상을 사출하는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을 위해 톱니(34)와 탄성돌기(36)를 구비한다.
톱니(34)는 프로젝터 고정부(35)에 복수개의 돌기가 원형으로 배치되며, 도면상으로는 돌기가 내측으로 형성되나 외측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탄성돌기(36)는 상기 톱니(34)의 돌기에 맞물릴 수 있는 사이즈의 돌기로서 상기 프로젝터 고정부(35)의 타단에 결합된다.
탄성돌기(36)는 톱니(34)의 돌출된 부분에서는 탄성돌기(36)의 높이가 낮아지고, 돌기 사이의 오목하게 패인 부분에서는 탄성돌기(36)가 돌출되면서 상기 톱니(34)와 맞물린다. 즉, 탄성돌기(36)는 프로젝터 고정부(35)의 내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힘이 제거되면 다시 돌출된다. 회전시 프로젝터 고정부(35)의 내측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탄성돌기(36)는 회전 방향쪽에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톱니(34)를 따라 탄성돌기(36)가 이동하면서, 프로젝터 고정부(35)와 구동부(33)는 톱니(34)의 돌기 크기에 상응하는 각도로 회전된다.
상술한 프로젝터용 브라켓(100)은 x축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높이와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프로젝터(200)를 회전시켜 영상을 어느방향의 스크린에도 선명하고 정확한 영상을 사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프로젝터용 브라켓(100)을 이용하여 프로젝터(200)의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용 브라켓(100)의 x축 방향 이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1 구동부(20)에 결합된 제1 구동 레일을 회전 시켜 x축 방향으로 프로젝터(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터(200)의 좌우 방향을 x축으로 설정한다.
도 5a는 제1 구동부(20) 대비 프로젝터(200)가 좌측방향으로 이동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5b는 제1 구동부(20) 대비 프로젝터(200)가 우측방향으로 이동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제1 구동레일(21)을 회전시키면, 마운트(10)와 제1 구동부(20)는 움직이지 않고, 연결 프레임(40), 제2 구동부(30) 및 프로젝터(200)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프로젝터(200)의 좌우 위치를 조정한다.
이때 보조레일(22)이 상기 제1 구동레일(21)을 회전시 제1 구동레일(21)을 축으로 프로젝터(200)가 회전하지 않고 x축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가이드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용 브라켓(100)의 전후 방향 이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2 구동부(30)에 결합된 제2 구동레일(31)을 회전시키면, 마운트(10)와 제1 구동부(20) 및 연결 프레임(40)은 움직이지 않고, 제2 구동부(30)와 프로젝터(200)가 전후로 움직인다. 도 6a는 프로젝터(200)가 전방으로 이동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6b는 프로젝터(200)가 후방으로 이동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용 브라켓(100)의 각도조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고정다리(37) 단부에 위치하는 각도조절 볼트를 회전시키면 회전한 부분만 프로젝터(200)가 하측 방향으로 기울게 된다.
도 7a와 같이 전방 좌측의 각도조절 볼트를 풀면 프로젝터(200)의 전방 좌측이 하방으로 기울게 되고, 도 7b와 같이 전방 우측의 각도조절 볼트를 풀면 프로젝터(200)의 전방 우측이 하방으로 기울게 된다. 한쪽으로 기울어진 영상이 출력되는 경우 이러한 방법으로 조정 가능하다.
도 7c와 같이 두 개의 각도조절 나사를 모두 풀면 프로젝터(200)의 전방이 하측으로 기울게 된다. 프로젝터(200)로부터 사출되어 스크린에 나타나는 영상이 직사각형이 아닌 사다리꼴 모양으로 보이는 경우, 도 7과 같이 한 쌍의 각도조절 볼트를 조절하여 프로젝터(200)의 전방 기울기를 조절하면 상기 문제는 해소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용 브라켓(100)의 회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1 구동부(20)의 일단에 위치하는 높이 조절 너트(25)를 회전하면, 상기 높이 조절 볼트(15)에 삽입되었던 부분이 짧아지거나 길어지게 되면서 프로젝터(200)와 고정면의 거리가 조정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용 브라켓(100)의 상하 위치조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프로젝터(200)를 잡고 회전시키면, 제2 고정부의 상부 구동부(33)에 상대적으로 상기 프로젝터 고정부(35)가 회전하며, 프로젝터(200)가 회전한다.
이때, 상부 구동부(33)에 단위각도로 형성된 톱니(34)를 포함하는 경우 회전된 각도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부 구동부(33)와 프로젝터 고정부(35)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장치가 추가로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젝터용 브라켓은 간편하게 프로젝터의 위치, 방향 및 각도를 조정할 수 있어, 프로젝터에서 사출되는 영상의 화질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선명하고 정확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정면에 고정한 후에 프로젝터의 위치, 방향 및 각도를 조정할 수 있어 설치가 간편하다.
또한, 스크린의 위치가 바뀌더라도 어느 위치에서나 사용 가능하여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마운트 15: 높이 조절 볼트
20: 제1 구동부 21: 제1 구동레일
21': 손잡이 22: 보조레일
25: 높이 조절 너트 30: 제2 구동부
31: 제2 구동레일 31': 손잡이
33: 상부 구동부 34: 톱니
35: 프로젝터 고정부 36: 탄성돌기
37: 고정다리 38: 각도 조절 볼트
38': 손잡이 40: 연결 프레임
100: 프로젝터용 브라켓 200: 프로젝터

Claims (12)

  1. 프로젝터를 고정하는 프로젝터용 브라켓에 있어서,
    일면이 고정면에 결합하는 마운트;
    일단이 상기 마운트의 타면에 결합하며, 타측에 x축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1 구동레일을 포함하는 제1 구동부;
    상기 제1 구동부의 타측에 위치하며, 일측에 y축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2 구동레일을 구비하고 타측에 프로젝터가 결합하는 제2 구동부; 및
    상기 제1 구동부의 타측 둘레 및 상기 제2 구동부의 일측 둘레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구동레일 및 제2 구동레일과 결합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연결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1 구동레일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연결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제2 구동레일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프로젝터용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레일 및 상기 제2 구동레일은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이며,
    상기 제1 구동레일을 회전하여 상기 제1 구동부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 구동레일을 회전하여 상기 제2 구동부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용 브라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레일 또는 상기 제2 구동레일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구동부 또는 상기 제2 구동부를 관통하는 보조레일을 더 포함하는 프로젝터용 브라켓.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를 사용자가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볼트의 단부에 결합된 손잡이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용 브라켓.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는 타면에 돌출되고 상기 제1 구동부의 일측에 삽입되는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부가 상기 제1 구동부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프로젝터와 상기 마운트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용 브라켓.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나사산을 포함하는 높이 조절 볼트이고,
    상기 제1 구동부의 일측에는 상기 높이 조절 볼트에 끼워져 회전하는 높이 조절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 조절 너트를 회전하여 상기 마운트와 상기 프로젝터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용 브라켓.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프로젝터의 좌측과 우측 중 적어도 일측과 결합하여, 상기 프로젝터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각도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용 브라켓.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정부는
    상기 프로젝터의 전면의 좌우 또는 후면의 좌우에 한 쌍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용 브라켓.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정부는 볼트와 상기 볼트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를 회전하여 상기 프로젝터와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용 브라켓.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2 구동레일이 관통하는 상부 구동부와
    일단은 상기 상부 구동부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타단은 상기 프로젝터와 결합하는 프로젝터 고정부를 포함하는 프로젝터용 브라켓.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동부와 상기 프로젝터 고정부의 회전은 단위각도로 계단식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용 브라켓.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면은 천정, 바닥 및 벽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용 브라켓.
KR1020130003777A 2013-01-14 2013-01-14 프로젝터용 브라켓 KR201400918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777A KR20140091835A (ko) 2013-01-14 2013-01-14 프로젝터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777A KR20140091835A (ko) 2013-01-14 2013-01-14 프로젝터용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835A true KR20140091835A (ko) 2014-07-23

Family

ID=51738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777A KR20140091835A (ko) 2013-01-14 2013-01-14 프로젝터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18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21144A (zh) * 2017-12-28 2018-06-05 徐州茵文特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调节的投影装置
CN115097689A (zh) * 2022-06-16 2022-09-23 深圳吉祥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远程控制可调投影角度的投影仪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21144A (zh) * 2017-12-28 2018-06-05 徐州茵文特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方便调节的投影装置
CN115097689A (zh) * 2022-06-16 2022-09-23 深圳吉祥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远程控制可调投影角度的投影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28099B (zh) 光學元件調整裝置及使用其之投影機
JP2011002610A (ja) プロジェクター天吊り装置
US8337026B2 (en) Adjusting mechanism, projector, electronic whiteboard, and adjusting methods of projector and electronic whiteboard
US7828449B2 (en) Adjusting mechanism of light integration rod module, optical engine and projection apparatus
KR100621184B1 (ko) 광학엔진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투사장치
KR20140091835A (ko) 프로젝터용 브라켓
US20060164612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djusting assembly
US7969665B2 (en) Lens adjusting device of projector
JP2008191437A (ja) 机下引っ掛け式プロジェクタ
CN212900700U (zh) 一种投影机架及投影装置
CN207249340U (zh) 平行投影装置
JP5760639B2 (ja) プロジェクター支持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
JP2013044853A (ja) プロジェクター支持装置
US8348213B2 (en) Adjusting mechanism and projector having the same
JP2012058600A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の天吊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投写型映像表示装置
US20170153534A1 (en) Projection apparatus
US7864436B2 (en) Rear projection type display apparatus
JP2014206567A (ja) 映像投射装置
JP5582014B2 (ja) プロジェクター用支持具
JP2012137707A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2015072334A (ja) 画像投射装置用支持具
KR101443619B1 (ko) 반사유닛
JP2009271141A (ja) プロジェクタのレンズシフト装置
KR101145103B1 (ko) 프로젝터 설치용 브래킷
JP2578695B2 (ja) 光学機器に於ける液晶パネルの着脱取付け及びコンバージェンス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