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619B1 - 반사유닛 - Google Patents

반사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619B1
KR101443619B1 KR1020070121314A KR20070121314A KR101443619B1 KR 101443619 B1 KR101443619 B1 KR 101443619B1 KR 1020070121314 A KR1020070121314 A KR 1020070121314A KR 20070121314 A KR20070121314 A KR 20070121314A KR 101443619 B1 KR101443619 B1 KR 101443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unit
elastic
elastic frame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1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4580A (ko
Inventor
이상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1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619B1/ko
Publication of KR20090054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4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8Reflectors in projection bea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7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light modulating optical valves

Abstract

본 발명은 반사 유닛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베이스부와,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미러부와, 상기 미러부를 탄성지지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를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시키고,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거리를 제어하는 2개 이상의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미러부, 프레임부, 조절부

Description

반사유닛{A Reflection Unit}
본 발명은 반사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광부에서 발생되는 빛이 디엠디(DMD)부로 정확하게 입사하도록 빛의 반사방향을 조절하는 투사장치의 반사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회의, 학회, 전시회 등에서 프리젠테이션이나, 가정에서의 홈 시어터 용도에 있어서는 램프로부터 사출된 광속을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하여 광학상을 형성하고, 확대 투사하는 투사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투사장치는, 투사장치는, 작동에 필요한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빛을 소정의 방향으로 안내하는 광터널부와, 상기 광터널부를 통과한 백색광을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으로 분할하는 색분할부와, 상기 색분할부를 통과한 빛이 디엠디부로 안내하는 렌즈부와, 상기 디엠디소자들의 표면에 반사된 빛을 회로판을 통해 빛의 차단 및 개방을 결정하여 반사각도를 조절하여 이미지를 구현하는 디엠디부, 그리고, 상기 디엠디부에서 구현된 이미지를 스크린으로 확대하는 프로젝션 렌즈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렌즈부에는 빛이 상기 각각의 디엠디소자들의 표면에 유효하게 입사될 수 있도록 빛을 반사시키는 폴딩 미러라고도 하는 반사유닛이 마련된다.
상기 반사유닛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에 장착되는 베이스부(미도시)의 전면에 요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부(2)와, 상기 프레임부(2)의 전면에 밀착 결합되는 미러부(4) 및 상기 프레임부(2)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프레임부(2)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다수개의 스프링(6)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미러부(4)는 상기 프레임부(2)의 전면에 접착되어 좌우 요동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2)는 각도 조절이 이루어진 뒤에 외부 진동이나 충격 또는 외력에 의하여 틀어지지 않아야 한다. 이는 상기 스프링(6)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부(2)에는 상기 프레임부(2)를 관통하여 끼워지는 조절부(8)가 마련된다. 상기 조절부(8)는, 상기 미러부(4)의 상하 방향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상하 조절부(8a) 상기 미러부(4)의 좌우 방향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좌우 조절부(8b) 및 상기 상하 조절부(8a) 및 좌우 조절부(8b)의 각도 조절 과정에서 회전 중심이 되는 중앙 조절부(8c)가 마련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빛이 반사되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3개의 조절부가 구비되고, 각각의 조절부를 탄성지지하는 3개의 스프링이 필요하므로, 즉 상기 빛의 반사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많은 수의 부품이 요구되므로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빛의 반사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많은 수의 부품이 요구되므로, 투사장치를 제조하는 경우, 공정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유닛의 구성부품의 개수가 적은 반사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공정이 단순해지는 반사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인 반사 유닛은, 베이스부와,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미러부와, 상기 미러부를 탄성지지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를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시키고,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거리를 제어하는 2개 이상의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미러부를 지지하는 사각형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의 모서리에 제 1관통공이 형성되는 제 1탄성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상기 제 1탄성프레임의 대각선 맞은편에 제 2관통공이 형성되는 상기 제 2탄성프레임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상기 제 1탄성프레임 및 제 2탄성프레임이 형성된 모서리 외의 다른 모서리에 형성되는 제 3탄성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 1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제 1 조절부와, 상기 제 2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제 2조절부 그리고, 상기 제 3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제 3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탄성프레임, 제 2탄성프레임 및 제 3탄성프레임 중 어느 하나는 벤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는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나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반사 유닛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반사유닛을 구성하는 부품수가 감소되어 투사장치를 제조하는 전체적인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스프링이 하나만 필요하므로 반사유닛을 제조하는 공정이 단순해져 투사장치의 제조공정이 짧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반사유닛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반사 유닛은, 투사 장치 내에서 반사 유닛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베이스부(미도시)와, 입사되는 빛을 소정의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미러부(10)와, 상기 미러부(10)가 빛을 소정의 방향으로 반사시키도록 미러부(10)의 반 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프레임부(20)와, 상기 프레임부(20)를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시키는 조절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인 반사 유닛에는 베이스부가 마련된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투사 장치 내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미러부(10) 및 프레임부(20)가 장착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부의 구성은 미러부(10), 프레임부(20)가 장착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가능하며, 다만 상기 베이스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조절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이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인 반사 유닛에는 미러부(10)가 마련된다. 상기 미러부(10)는, 광원부에서 생성되어 광터널부를 통과한 빛이 디엠디부로 입사되도록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미러부(10)는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소재이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가능하며, 예를 들면 거울을 들 수 있다.
상기 미러부(1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판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러부(10)를 지지하는 프레임부(20)가 마련된다. 상기 프레임부(20)는 아래에서 설명될 조절부(40)에 의해 상기 미러부(10)가 빛을 소정의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반사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20)는 상기 미러부(10)를 탄성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러부(1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2)과, 상기 지지프레임(22)의 일단에 마련되는 제 1탄성프레임(24) 과, 상기 지지프레임(22)의 타단에 마련되는 제 2탄성프레임(26), 그리고 상기 제 2탄성프레임(26)과 같은 방향에 마련되는 제 3탄성프레임(2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20)는 그 기능이 상기 미러부(10)를 탄성지지하는 것으로, 그 재질은 탄성을 보유하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가능하며, 예를 들면, 금속 또는 합성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먼저, 상기 프레임부(20)를 구성하는 상기 지지프레임(22)은 상기 미러부(10)의 가장자리를 둘러쌀 수 있도록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22)의 내측 일측에는 상기 미러부(10)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프레임(30)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22)의 일단에는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사각형으로 형성된 상기 지지프레임(22)의 일측의 모서리에는 제 1탄성프레임(24)이 마련된다. 상기 제 1탄성프레임(24)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1탄성프레임(24)이 상기 프레임부(20)가 장착되는 베이스부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 1탄성프레임(24)에는 제 1관통공(24a)이 마련된다. 상기 제 1관통공(24a)은 아래에서 설명될 조절부(40) 중 제 1조절부(42)가 관통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 1조절부(42)는 상기 제 1관통공(24a)을 관통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부(20)가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20)의 모서리 중 상기 제 1탄성프레임(24)의 대각선으로 맞은편에는 제 2탄성프레임(26)이 마련된다. 상기 제 2탄성프레임(26)도 상기 제 1탄성프레임(24)과 마찬가지로, 벤딩되도록 구성되어 탄성력을 보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탄성프레임(26)에도 제 2관통공(26a)이 마련되어, 조절부(40) 중 제 2조절부(44)가 상기 제 2관통공(26a)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부의 결합공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20)의 모서리 중 상기 제 1탄성프레임(24) 및 제 2탄성프레임(26)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에는 제 3탄성프레임(28)이 마련된다. 상기 제 3탄성프레임(28)도 상기 제 1탄성프레임(24) 및 제 2탄성프레임(26)과 마찬가지로, 벤딩되도록 구성되어 탄성력을 보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탄성프레임(28)에도 제 3관통공(28a)이 마련되어, 조절부(40) 중 제 3조절부(46)가 상기 제 3관통공(28a)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부의 결합공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반사유닛에는 조절부(40)가 마련된다. 상기 조절부(40)는 상기 각각의 탄성프레임(24, 26, 28)에 형성된 각각의 관통공(24a, 26a, 28a)을 통과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결합공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프레임부(20)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조절부(40)는 상기 제 1관통공(24a)을 통과하는 것은 제 1조절부(42), 제 2관통공(26a)을 통과하는 것은 제 2조절부(44), 제 3관통공(28a)을 통과하는 것은 제 3조절부(46)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부(40)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조절부(40)가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정도를 달리함으로써 상기 각각의 탄성프레임(24, 26, 28)의 벤딩된 정도를 달리한다.
그러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20)에 장착되는 미러부(10)가 상기 제 1탄성프레임(24)의 제 1관통공(24a)과 제 3탄성프레임(28)의 제 3관통공(28a)을 연장하는 가상의 선인 Y축과, 상기 제 2탄성프레임(26)의 제 2관통공(26a)과 상기 제 3탄성프레임(28)의 제 3관통공(28a)을 연장하는 가상의 선인 X축의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절부(40)는 상기 관통공(24a, 26a, 28a)을 통과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결합공에 삽입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떤 구성이라도 적용가능하며,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반사 유닛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발광부에서 발생된 빛이 소정의 과정을 통하여 반사유닛으로 입사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반사유닛의 미러부(10)로 입사되어, 상기 미러부(10)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반사되게 된다.
상기 미러부(10)로 입사되어 반사된 빛은 디엠디부로 안내되어 이미지를 구현하게 되는데, 상기 반사유닛을 통하여 상기 디엠디부로 안내되는 빛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즉, 상기 반사유닛의 미러부(10)의 각을 조절하기 위한 과정을 이하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러부(10)는 전혀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으로 위치하고 있다. 이때, 제 1조절부(42)가 상기 결합공 방향으로 더 삽입되도록 회전시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20)의 제 1탄성프레임(24)이 베이스부에 인접하게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 1탄성프레임(24)이 상기 베이스부로 인접하게 이동하면, 상기 프레임부(20)에 장착되어 있는 미러부(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을 기준으로 A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조절부(42)를 상기 결합공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프레임부(20)의 제 1탄성프레임(24)이 베이스부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미러부(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을 기준으로 B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제 2조절부(44)를 상기 결합공 방향으로 더 삽입되도록 회전시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20)의 제 2탄성프레임(26)이 베이스부에 인접하게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 2탄성프레임(26)이 상기 베이스부로 인접하게 이동하면, 상기 프레임부(20)에 장착되어 있는 미러부(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을 기준으로 C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조절부(44)를 상기 결합공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프레임부(20)의 제 2탄성프레임(26)이 상기 베이스부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미러부(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을 기준으로 D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투사 장치에 사용되는 반사 유닛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투사 장치에 사용되는 반사 유닛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반사 유닛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도 2의 반사 유닛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도 2의 반사 유닛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6은 도 2의 반사 유닛의 X축 조정을 보인 동작과정도.
도 7은 도 2의 반사 유닛의 Y축 조정을 보인 동작과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미러부 20: 프레임부
22: 지지프레임 24: 제 1탄성프레임
26: 제 2탄성프레임 28: 제 3탄성프레임
30: 결합프레임 40: 조절부
42: 제 1조절부 44: 제 2조절부
46: 제 3조절부

Claims (6)

  1. 베이스부;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미러부;
    상기 미러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 모서리측에 위치하는 제 1탄성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상기 제 1탄성프레임의 대각선 맞은편 측에 위치하는 제 2탄성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서 상기 제 1탄성프레임 및 제 2탄성프레임이 위치하는 모서리 외의 다른 모서리 측에 위치하는 제 3탄성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탄성프레임, 제 2탄성프레임 및 제 3탄성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벤딩되도록 구비되는 프레임부;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를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시키고,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거리를 제어하는 2개 이상의 조절부;를 포함하는 반사 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탄성프레임에는 제 1관통공이 형성되고, 제 2탄성프레임에는 제 2관통공이 형성되며, 제 3탄성프레임에는 제 3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유닛.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 1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제 1조절부;
    상기 제 2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제 2조절부; 그리고,
    상기 제 3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제 3조절부;를 포함하는 반사 유닛.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유닛.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나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 유닛.
KR1020070121314A 2007-11-27 2007-11-27 반사유닛 KR101443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314A KR101443619B1 (ko) 2007-11-27 2007-11-27 반사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314A KR101443619B1 (ko) 2007-11-27 2007-11-27 반사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4580A KR20090054580A (ko) 2009-06-01
KR101443619B1 true KR101443619B1 (ko) 2014-09-23

Family

ID=40986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1314A KR101443619B1 (ko) 2007-11-27 2007-11-27 반사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6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62427B2 (ja) * 2008-12-03 2013-03-13 三洋電機株式会社 温度センサの取付構造及び投射型映像表示装置
CN107167993B (zh) * 2017-06-16 2020-06-09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投影仪及激光电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9925U (ja) * 1993-03-11 1994-09-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角度調整ミラーの保持装置
JP2000019382A (ja) * 1998-07-01 2000-01-21 Nikon Corp 焦点検出ユニット取付構造
KR20040033429A (ko) * 2002-10-14 2004-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광학엔진
KR100761116B1 (ko) * 2006-06-26 2007-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션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9925U (ja) * 1993-03-11 1994-09-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角度調整ミラーの保持装置
JP2000019382A (ja) * 1998-07-01 2000-01-21 Nikon Corp 焦点検出ユニット取付構造
KR20040033429A (ko) * 2002-10-14 2004-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광학엔진
KR100761116B1 (ko) * 2006-06-26 2007-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4580A (ko) 2009-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61298B2 (ja) 投写型表示装置
JP5381375B2 (ja) プロジェクター天吊り装置
US84442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visible speckle in a projection visual display system
CN105991983B (zh) 图像投影装置
US20060227514A1 (en) Digital micro-mirror device (DMD) assembly for an optical projection system
KR100621184B1 (ko) 광학엔진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투사장치
JPH10319501A (ja) 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モニタ
JP4476335B2 (ja) 投写型画像表示装置
US6226055B1 (en) Projector
KR101443619B1 (ko) 반사유닛
US7265798B2 (en) Optical system for projection television
JP5582014B2 (ja) プロジェクター用支持具
JP2014206567A (ja) 映像投射装置
KR20170057414A (ko)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 및 프로젝터
JP2005128370A (ja) 投影光学ユニット
JP2015072334A (ja) 画像投射装置用支持具
KR20050090880A (ko) 투사형 영상 표시 기기의 포커스 밸런스 조정 장치 및방법
KR100739559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전
JP2007155915A (ja) 投写レンズユニット
JP2000304905A (ja) レンズ、レンズ装置、レンズの位置調整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KR100692052B1 (ko) 리어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조명계 조정장치
KR102399644B1 (ko) 광학계의 미러 조정장치
JP2022089482A (ja) 投影装置及び投影装置の拡張ユニット
KR100219649B1 (ko) 프로젝터의 투사렌즈계 광축 조정장치
KR100219648B1 (ko) 프로젝터의 투사렌즈계 광축 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