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1590A - 악기의 울림판을 진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 및 그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악기의 울림판을 진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 및 그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1590A
KR20140091590A KR1020147015861A KR20147015861A KR20140091590A KR 20140091590 A KR20140091590 A KR 20140091590A KR 1020147015861 A KR1020147015861 A KR 1020147015861A KR 20147015861 A KR20147015861 A KR 20147015861A KR 20140091590 A KR20140091590 A KR 20140091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actuator
plate
sounding
voic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5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7418B1 (ko
Inventor
겐타 오오니시
유우지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1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2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electro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461Transducers, i.e. details, positioning or use of assemblies to detect and convert mechanical vibrations or mechanical strains into an electrical signal, e.g. audio, trigger or control signal
    • G10H2220/465Bridge-positioned, i.e. assembled to or attached with the bridge of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 G10H2220/501Two or more bridge transducers, at least one transducer common to several str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461Transducers, i.e. details, positioning or use of assemblies to detect and convert mechanical vibrations or mechanical strains into an electrical signal, e.g. audio, trigger or control signal
    • G10H2220/505Dual coil electrodynamic string transducer, e.g. for humbucking, to cancel out parasitic magnetic fie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1/00Transducers of moving-armature or moving-core type
    • H04R11/02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9/00Details of transducers of the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covered by H04R9/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9/024Manufacturing aspects of the magnetic circuit of loudspeaker or microphon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40/00Bending wa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40/05Aspects relating to the positioning and way or means of mounting of exciters to resonant bending wave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40/00Bending wa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40/07Loudspeakers using bending wave resonance and pistonic motion to generate sou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6Interconnection of transducer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05Acoustic transducer

Abstract

액추에이터(50)에 있어서, 보이스 코일(513)을 장착한 보빈(511)이 자로 형성부(52)에 의해 형성되는 자로 공간 내에 배치된다. 접속용 샤프트(514)가 보빈(511)에 결합되어 있고, 그 선단의 접속 단부(516A)가 악기의 울림판에 접속된다. 상기 샤프트(514)는 그 길이가 조정 가능하다. 액추에이터(50)를 울림판에 설치할 때, 자로 형성부(52)를 지지부(55)에 의해 소정의 배치로 지지한 상태에서, 자로 공간 내에서의 보이스 코일(513)의 배치를 소정의 설치 기준 위치를 유지하면서, 샤프트(514)의 길이를 조정하여 접속 단부(516A)를 울림판에 접속한다.

Description

악기의 울림판을 진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 및 그 설치 방법{ACTUATOR FOR VIBRATING A SOUNDBOARD IN A MUSICAL INSTRUMENT AND METHOD FOR ATTACHING SAME}
본 발명은, 악기의 울림판에 대하여 물리적 진동을 적극적으로 부여하기 위한 보이스 코일형의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를 악기에 설치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악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피아노에서는 전자 스피커로부터 전자음을 발생시키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 전자음뿐만 아니라 자연스러운 소리의 퍼짐이나 풍부한 저음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전자 피아노에서도 울림판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울림판에 전자 스피커를 설치하고, 전자 스피커에 의해 울림판을 가진함으로써, 울림판으로부터 소리를 방사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울림판을 진동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어 자력선의 통과로(자로; 磁路)에 배치된 보이스 코일에 구동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보이스 코일형의 액추에이터가 사용된다. 이러한 액추에이터는, 보이스 코일형의 스피커에 가까운 구조이므로,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액추에이터는, 안정된 구동력을 얻기 위해서, 자로에 존재하는 진동중의 보이스 코일의 권취의 수의 변화가 적어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보이스 코일의 진동 방향의 치수를 크게 할수록, 이 변화는 적어지지만, 한편, 이 치수가 클수록, 인덕턴스가 증가하여 양호한 응답성이 얻어지는 주파수가 낮은 쪽으로 제한되게 된다. 그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보이스 코일의 진동 방향의 치수를, 자로의 동일한 방향 치수에 보이스 코일의 최대의 진폭을 더한 길이이거나 그것에 여유분의 길이를 더한 길이 정도로 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하면, 안정된 구동력을 얻기 위해서는, 보이스 코일과 함께 진동하는 진동부와, 자로를 형성하는 자로 형성부를, 진동 방향에서의 서로의 상대적인 위치가 원하는 관계가 되도록 정확하게 설치하는 것이 요구되게 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보빈 및 요오크가 각각 독립되어 있으므로, 보빈을 울림판에 접속한 후에 요오크를 지주 등에 고정하게 된다. 그 경우, 보빈 및 요오크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기 위하여 보빈의 진동 방향의 위치를 미세 조정할 필요가 있어서 조정 작업이 번잡해진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과 같이 울림판을 진동시키는 액추에이터로서 사용되는 전자 스피커는, 예를 들어 자석 및 요오크에 의해 형성되는 자력선의 통과로(자로)에, 보빈에 설치되어 있는 보이스 코일을 배치하고, 그 보이스 코일에 구동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예를 들어 서로 대향하는 요오크의 사이에 자로가 형성되고, 이들 요오크의 사이에 보빈이 배치된다. 작업자가 이러한 액추에이터를 악기에 설치할 경우, 보빈이 요오크와 접촉하지 않도록 그것들을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보빈을 울림판에 고정한 후에, 그 위치에 맞춰서 요오크를 설치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보빈과 요오크가 접촉하지 않도록 요오크의 위치를 여러 방향으로 미세 조정하면서 자석 및 요오크를 고정하는 작업을 행하게 되므로, 작업이 번잡해진다.
일본 특허 공표 평4-500735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울림판에 대한 설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보이스 코일형의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보이스 코일의 자로 공간 내에서의 배치가 원하는 이상적 배치가 되도록 하여 울림판에 설치하는 작업을 행하는 것이 용이한 보이스 코일형의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빈과 자로 형성부가 접촉하지 않도록 악기에 설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보이스 코일형의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악기의 울림판을 진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이며, 자로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자로 형성부와, 보이스 코일을 장착하고, 상기 보이스 코일을 상기 자로 공간 내에 배치하는 보빈과, 상기 보빈에 결합하고, 상기 보빈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도록 구성된 접속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악기의 울림판에 접속되기에 적합한 접속 단부를 갖고, 또한, 상기 접속 단부의 길이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액추에이터를 제공한다.
이에 의하면, 보빈에 결합한 접속 부재는, 보빈을 악기의 울림판에 간접적으로 접속하고, 보빈(보이스 코일)의 진동을 울림판에 전달한다. 접속 부재는, 그 길이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액추에이터를 울림판에 설치할 때, 자로 형성부 및 보빈(보이스 코일)의 위치는 움직이게 하지 않고, 접속 부재의 길이를 조정하여 울림판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의 울림판에 대한 설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자로 형성부 및 보빈(보이스 코일)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소정의 설치 기준 위치로 유지하면서, 접속 부재의 길이만을 조정하여 접속 부재를 울림판에 접속할 수 있으므로, 자로 형성부 및 보빈(보이스 코일)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원하는 이상적 배치(설치 기준 위치)로 설정한 상태에서 설치하기 위한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막대 형상 부재와, 상기 막대 형상 부재의 회전 변위를 상기 막대 형상 부재의 직선 변위로 변환하는 나사 구조를 구비해도 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보빈에 결합한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결합 부위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체결구를 구비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액추에이터와, 상기 자로 형성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접속 단부가 접속된 울림판과, 연주 조작자와, 상기 연주 조작자의 조작에 따른 오디오 파형을 나타내는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부이며, 상기 구동 신호는 상기 보이스 코일을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에 공급되는 것을 구비하는 악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액추에이터를 악기에 설치하는 방법이며, 상기 악기의 상기 울림판에 대한 상기 액추에이터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지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자로 형성부를 상기 지지부에 거치하는 스텝과, 상기 접속 단부가 상기 울림판쪽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접속 부재의 길이를 조정하고, 상기 접속 단부를 상기 울림판에 접속하는 스텝과, 상기 접속 단부가 상기 울림판에 접속되도록 조정된 상기 접속 부재의 길이를 고정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설치하는 방법을, 악기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편입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신규이면서 유용한 악기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악기의 울림판을 진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이며, 자로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자로 형성부와, 보이스 코일을 장착하고, 상기 보이스 코일을 상기 자로 공간 내에 배치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의 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악기의 울림판에 접속되기에 적합한 단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자로 형성부는, 상기 보빈의 내부 공간 내에 삽입되는 부분을 갖고, 상기 부분에는 상기 보이스 코일의 축방향으로 가로질러진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 구멍에 대향하는 상기 단부 부재의 개소에 있어서, 상기 단부 부재를 상기 울림판에 접속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설치해야 할 위치를 특정하는 마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보빈의 내부 공간 내에 삽입되는 자로 형성부의 부분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관통 구멍에 대향하는 단부 부재의 개소에 있어서, 고정 부재를 설치해야 할 위치를 특정하는 마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마크에 대응시켜서 고정 부재를 사용한 고정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자로 형성부의 부분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 부재(예를 들어, 나사)를 사용하여 단부 부재를 울림판에 접속하기 위한 작업에 사용하는 공구(예를 들어, 나사용 드라이버)를, 상기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소정의 접속 포인트까지 용이하게 갖고 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울림판에 대한 액추에이터의 설치 작업을 행하기 쉬운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자로 형성부 내에 보빈(보이스 코일)을 배치한 상태에서, 고정 부재(예를 들어, 나사)를, 통과 구멍을 통과하여 소정의 접속 포인트까지 갖고 가서 고정 작업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종래 기술과 같이, 보빈(보이스 코일)측을 먼저 울림판에 접속한 후, 보빈(보이스 코일)에 자로 형성부를 조합한다는 수순을 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보빈과 자로 형성부가 접촉하지 않도록 설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액추에이터를 악기에 설치하는 방법이며, 상기 악기의 상기 울림판에 대한 상기 액추에이터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지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자로 형성부를 상기 지지부에 거치하는 스텝과, 상기 자로 형성부의 상기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 부재를 상기 단부 부재의 상기 마크의 위치까지 가지고 오는 스텝과, 상기 마크의 위치까지 가지고 온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단부 부재를 상기 울림판에 고정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이 설치하는 방법을, 악기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편입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신규이면서 유용한 악기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악기의 울림판을 진동시키기 위한 장치이며, 자로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자로 형성부, 보이스 코일을 장착하고, 상기 보이스 코일을 상기 자로 공간 내에 배치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에 결합하고, 또한, 상기 악기의 울림판에 접속되고, 상기 보빈의 진동을 상기 울림판에 전달하기에 적합한 접속 부재를 구비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악기의 상기 울림판에 대한 상기 액추에이터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기 울림판에 대한 상대적 거리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조정 장치를 구비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액추에이터를 울림판에 설치할 때, 액추에이터 내의 자로 형성부 및 보빈(보이스 코일)의 상대적 위치는 움직이게 하지 않고, 지지부의 울림판에 대한 상대적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접속 부재가 울림판에 접속되는 위치까지 지지부 및 액추에이터의 전체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의 울림판에 대한 설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자로 형성부 및 보빈(보이스 코일)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소정의 설치 기준 위치로 유지하면서, 지지부만을 조정하여 접속 부재를 울림판에 접속할 수 있으므로, 자로 형성부 및 보빈(보이스 코일)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원하는 이상적 배치(설치 기준 위치)로 설정한 상태에서 설치하기 위한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서의 그랜드 피아노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그랜드 피아노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가진 장치의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진 장치의 외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가진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가진 장치의 설치 작업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고정 지그의 외관을 도시하는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8은 고정 지그가 자기 회로 요소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자기 회로 요소가 지지부에 지지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스페이서가 울림판에 접속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샤프트가 캡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울림판과 지지부가 어긋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요오크의 상측에 울림판이 오는 위치에 가진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그랜드 피아노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변형예에 관한 고정 지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변형예에 관한 자기 회로 요소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변형예에 관한 가진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변형예에 관한 캡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변형예에 관한 샤프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변형예에 관한 샤프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진 장치의 외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도 23에 도시하는 가진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2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진 장치의 설치 작업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5는 고정 지그에 의해 진동 부재 및 자기 회로 요소가 임시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자기 회로 요소가 지지부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캡이 울림판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변형예에 관한 캡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변형예에 관한 캡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변형예에 관한 캡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1은 변형예에 관한 고정 지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2는 변형예에 관한 가진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3은 변형예에 관한 가진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4는 변형예에 관한 진동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진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36은 제4 실시예에 따른 가진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37은 제5 실시예에 따른 가진 장치의 높이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 개략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그랜드 피아노(1)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공지된 그랜드 피아노와 마찬가지로, 이 그랜드 피아노(1)는, 연주자의 손에 의해 연주 조작이 이루어지는 키(2)를 복수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키를 전방면에 갖고, 또한, 연주 제어용의 페달(3)을 갖는다. 또한, 그랜드 피아노(1)는, 전방면 부분에 조작 패널(13)을 갖는 제어 장치(10) 및 보면대 부분에 설치된 터치 패널(60)을 갖는다. 유저의 지시는, 조작 패널(13) 및 터치 패널(60)이 조작 됨으로써, 제어 장치(10)에 대하여 입력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그랜드 피아노(1)는, 복수의 발음 모드 중, 유저의 지시에 따라 선택되는 발음 모드로 발음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들 발음 모드에는, (1)일반적인 그랜드 피아노와 마찬가지로, 해머에 의한 타현에 따른 현의 진동음에 기초하는 발음으로 이루어지는 통상 발음 모드, (2)해머에 의한 타현을 스토퍼로 저지하는 한편, 전자 음원과 같은 음원부로부터 발생된 오디오 파형 신호에 기초하는 구동 신호에 의해 가진 장치 울림판을 액티브하게 물리적으로 가진함으로써, 상기 울림판으로 발생되는 액티브한 진동음(전형적으로는 통상 연주 소리보다 작은 소리이지만, 큰 소리이어도 됨)에 기초하는 발음만으로 이루어지는 약음 모드, (3)통상 발음 모드의 동작과 동일한 해머에 의한 타현에 따른 현의 진동음에 기초하는 발음과, 상술과 마찬가지로 구동 신호에 의해 울림판을 액티브하게 물리적으로 가진함으로써 발생하는 액티브한 울림판 진동음에 기초하는 발음을 함께 행하는 가진 장치 강음 모드가 포함된다. 이 강음 모드에서는, 음량을 크게 할뿐만 아니라, 해머 타현에 의한 피아노 본래의 음색을 갖는 제1 어쿠스틱 음과, 피아노 이외(피아노에 유사한 음색을 포함함)의 임의의 음색 파형을 갖는 구동 신호에 의해 울림판을 강제진동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임의의 부가적 음색을 갖는 제2 어쿠스틱 음이 동시에 발음됨으로써, 음색 레이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강음 모드는, 음색 레이어 효과를 얻는 연주 모드로서도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발음 모드에는, 소음 모드 등, 또 다른 발음 모드가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소음 모드에서는, 약음 모드와 동일한 구성에 있어서, 음원부에서 발생한 전자적 악음 파형 신호(오디오 파형 신호)를 울림판의 구동 신호로서 사용하지 않고, 헤드폰 단자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전자적 악음 파형 신호에 기초하는 소리를 연주자에게 개인적으로 들려준다(외부 공간으로 발음시키지 않음).
이들 발음 모드를 리스트 하면, 이하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해머에 의한 타현 저지 기능
무효(타현 있음) 유효(타현 없음)
가진부에 의한 가진 없음 어쿠스틱 피아노 울림판 특성은 영향을 받지 않고 피아노 본래의 성능으로 연주할 수 있다.
(통상 발음 모드)
외부에는 일절 음이 나가지 않고, 헤드폰을 사용하는 것으로 듣는 소음 피아노
(소음 모드)
가진부에 의한 가진 있음
(피아노의 음색)
음량을 크게 할뿐만 아니라, 전자음의 튜닝을 억지로 조금 줄임으로써, 홍키통크 피아노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강음 모드)
약음(강음) 피아노
현의 공명은 유효하며 자연스러운 공조 효과를 얻는다.
(약음 모드)
가진부에 의한 가진 있음
(피아노 이외의 음색)
어쿠스틱 피아노 자체의 음과 스트링스 등의 상성이 좋은 음색이 울림판 상에서 일체가 되는 효과를 얻는다.
(강음 모드)
피아노 울림판의 자연스러운 음장감과 현의 공명 효과를 얻으면서, 피아노 이외의 음색으로의 연주를 즐기는 모드
(약음 모드)
또한, 그랜드 피아노(1)에 있어서는, 복수의 연주 모드 중, 유저의 지시에 따른 연주 모드에서의 동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연주 모드에는, 유저가 연주 조작을 하여 발음시키는 통상 연주 모드, 및 키를 자동으로 구동하여 발음시키는 자동 연주 모드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그랜드 피아노(1)는, 적어도 어느 한쪽의 연주 모드가 실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그랜드 피아노(1)의 구성]
도 2는, 그랜드 피아노(1)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는, 각 키(2)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1개의 키(2)에 착안하여 도시하고, 다른 키(2)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각 키(2)의 후단부측(연주하는 유저가 볼 때, 키(2)의 안측)의 하부에는, 연주 모드가 자동 연주 모드인 경우에 있어서, 솔레노이드를 사용하여 키(2)를 구동하는 키 구동부(30)가 설치되어 있다. 키 구동부(30)는, 제어 장치(1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를 구동한다. 키 구동부(30)는, 솔레노이드를 구동하여 플런저를 상승시킴으로써, 유저가 키를 눌렀을 때와 동일한 상태를 재현하는 한편, 플런저를 하강시킴으로써, 유저가 키를 뗐을 때와 동일한 상태를 재현한다. 이와 같이, 통상 연주 모드와 자동 연주 모드의 차이는, 키(2)를 구동시키는 것이 유저의 조작이냐, 키 구동부(30)이냐의 차이이다.
해머(4)는, 각 키(2)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키(2)가 눌러지면 액션 기구(도시 생략)를 거쳐서 힘이 전달되어 이동하고, 각 키(2)에 대응하는 현(발음체)(5)을 타격한다. 또한, 댐퍼(8)는, 키(2)의 누름량 및 페달(3) 중 댐퍼 페달(이하, 간단히 페달(3)이라고 한 경우에는 댐퍼 페달을 나타냄)의 답입량에 따라, 현(5)과 비접촉 상태 또는 접촉 상태가 된다. 댐퍼(8)는, 현(5)과 접촉하고 있을 때에는, 그 현(5)의 진동을 억제한다.
키 센서(22)는, 각 키(2)의 하부에 설치되고, 키(2)의 거동에 따른 검출 신호를 제어 장치(10)에 출력한다. 이 예에 있어서는, 키 센서(22)는, 키(2)의 누름량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제어 장치(10)에 출력한다. 또한, 키 센서(22)는, 키(2)의 누름량에 따른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있었지만, 키(2)가 특정한 누름 위치를 통과한 것을 나타내는 검출 신호가 출력되도록 해도 된다. 특정한 누름 위치란, 키(2)의 레스트 위치부터 엔드 위치에 이르는 범위의 어느 한 위치이며, 복수 개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키 센서(22)가 출력하는 검출 신호는, 키(2)의 거동을 제어 장치(10)에 인식시킬 수 있는 신호라면 어떤 것이어도 된다.
해머 센서(24)는, 각 해머(4)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해머(4)의 거동에 따른 검출 신호를 제어 장치(10)에 출력한다. 이 예에 있어서는, 해머 센서(24)는, 해머(4)에 의한 현(5)의 타격 직전의 이동 속도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제어 장치(10)에 출력한다. 또한, 이 검출 신호는, 해머(4)의 이동 속도 자체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어도 되고, 다른 형태로의 검출 신호로서, 제어 장치(10)에서 이동 속도가 산출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해머(4)가 이동중에 해머 생크가 통과하는 2개의 위치에 대해서, 해머 생크가 통과한 것을 나타내는 검출 신호가 출력되도록 해도 되고, 한쪽의 위치를 통과하고 나서 다른 쪽의 위치를 통과할 때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검출 신호가 출력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해머 센서(24)가 출력하는 검출 신호는, 해머(4)의 거동을 제어 장치(10)에 인식시킬 수 있는 신호라면 어떤 것이어도 된다.
페달 센서(23)는, 각 페달(3)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페달(3)의 거동에 따른 검출 신호를 제어 장치(10)에 출력한다. 이 예에 있어서는, 페달(3)의 답입량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제어 장치(10)에 출력한다. 또한, 페달 센서(23)는, 페달(3)의 답입량에 따른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있었지만, 페달(3)이 특정한 답입 위치를 통과한 것을 나타내는 검출 신호가 출력되도록 해도 된다. 특정한 답입 위치란, 페달의 레스트 위치부터 엔드 위치에 이르는 범위의 어느 한 위치이며, 댐퍼(8)와 현(5)이 완전히 접촉하는 상태와 비접촉의 상태를 구별할 수 있는 답입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복수 개소를 특정한 답입 위치로 함으로써 하프 페달의 상태에 대해서도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페달 센서(23)가 출력하는 검출 신호는, 페달(3)의 거동을 제어 장치(10)에 인식시킬 수 있는 신호라면 어떤 것이어도 된다.
또한, 키 센서(22), 페달 센서(23) 및 해머 센서(24)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에 의해, 제어 장치(10)가, 현(5)에 대한 해머(4)의 타격 타이밍(키 온의 타이밍), 타격 속도(벨로시티), 및 그 현(5)에 대한 댐퍼(8)의 진동 억제 타이밍(키 오프의 타이밍)을, 각 키(2)(키 번호)에 대응하여 특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면, 키 센서(22), 페달 센서(23) 및 해머 센서(24)는, 키(2), 페달(3), 해머(4)의 거동을 검출한 결과를, 다른 형태로의 검출 신호로서 출력해도 된다.
울림판(7)은 목재로 형성된 판상의 부재이다. 울림판(7)은, 그 표면에는 브릿지(6)가 설치되어 있고, 그 이면에 복수의 울림봉(75)(제2 막대 형상 부재)이 배치되어 있다. 통상의 피아노 연주 시에는, 해머(4)에 의해 타현된 현(5)의 진동이 브릿지(6)를 거쳐서 울림판(7)에 전달된다.
또한, 울림판(7)에는 가진 장치(액추에이터)(50)가 설치되어 있다. 가진 장치(50)는, 울림판(7)에 접속된 진동 부재(51)와, 지지부(55)에 의해 지지된 자기 회로 요소(자로 형성부)(52)를 갖는다. 지지부(55)는, 자기 회로 요소(52)를 지지하기에 적합한 알루미늄 소재 등의 비자성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55)는, 자기 회로 요소(52)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로 수직 스트럿(9)에 고정되어 있다. 수직 스트럿(9)은 판상의 부재이며, 그랜드 피아노(1)의 무게를 지지하는 하우징의 일부이다. 가진 장치(50)에는, 제어 장치(10)로부터 구동 신호가 공급될 수 있다. 진동 부재(51)는, 입력된 구동 신호가 나타내는 파형에 따라 진동하고, 울림판(7)을 가진한다. 이에 의해, 브릿지(6)도 가진된다. 이와 같이, 가진 장치(50)는, 울림판(7) 및 브릿지(6)를 진동시키는 액추에이터이다.
도 3은, 가진 장치(50)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예에 있어서는, 가진 장치(50)로서, 2개의 가진 장치(50H, 50L)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가진 장치(50H, 50L)를 서로 특별히 구별하여 설명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간단히 가진 장치(50)라고 한다. 도시한 예에 있어서는, 가진 장치(50H, 50L)는, 2개의 울림봉(75)의 사이의 울림판(7)의 이면에 접속되어 있다. 가진 장치(50H)는, 2개의 브릿지(6)(고음부(6H), 저음부(6L)) 중, 고음부(6H)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가진 장치(50L)은, 저음부(6L)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울림판(7)은 가진 장치(50)와 브릿지(6)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또한, 가진 장치(50)의 설치 위치는, 브릿지 밑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일 부재로 또는 복수의 가진 장치로 울림판을 필요한만큼 구동할 수 있는 위치라면, 울림판(7)은 가진 장치(50)와 브릿지(6)에 끼워진 상태를 필수로 하지 않고, 어디라도 좋다. 또한, 울림판(7)에 설치되어 있는 가진 장치(50)의 수는 2개로 한정되지 않고, 보다 많은 수이어도 되고, 1개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가진 장치(50)를 1개만 설치할 경우에는, 고음부(6H)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진 장치(50)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음부(6H)는, 고음측의 현(5)을 지지하는 브릿지이며, 저음부(6L)는, 저음측의 현(5)을 지지하는 브릿지이다. 이하, 각 브릿지(6H, 6L)를 서로 특별히 구별하여 설명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간단히 브릿지(6)라고 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진 장치]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진 장치(50)의 외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가진 장치(50)는, 진동 부재(51)와 자기 회로 요소(52)와 댐퍼(53)를 갖는다. 진동 부재(51)는, 보빈(511)에 장착된 보이스 코일(513), 보빈(511)의 선단부에 결합한 캡(512), 샤프트(514) 및 스페이서(516)를 갖는다. 캡(512)은 원반 형상의 부재이다. 샤프트(514)는 막대 형상의 부재이며, 길이 방향의 한쪽의 단부가 캡(512)의 원 형상의 면 중심에 고정되고, 다른 쪽의 단부에 스페이서(516)가 설치되어 있다. 스페이서(516)는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며, 샤프트(514)에 설치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에 평평한 면을 갖는다. 이 면은, 직경이 Φ1인 원형으로 되어 있고, 울림판(7)에 접속되는 면이다. 이하에서는, 이 면의 법선에 따른 방향을 법선 방향(A1)이라고 하고, 그 정방향은 이 면이 향하고 있는 방향인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각 도면에서는, 가진 장치(50)의 법선 방향(A1)의 정방향측을 상측으로 하고, 법선 방향(A1)의 음방향측을 하측으로 한다. 또한, 상측을 향한 면을 상면이라고 하고, 하측을 향한 면을 하면이라고 한다. 스페이서(516)가 갖는 상술한 면은, 상면(516A)이라고 한다.
자기 회로 요소(52)는, 톱 플레이트(521), 자석(522) 및 요오크(523)를 갖고, 이들은 상측부터 이 순서로 중첩되어 있다. 즉, 자기 회로 요소(52)에 있어서, 톱 플레이트(521)가 가장 상측, 요오크(523)가 가장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댐퍼(53)는, 섬유 등으로 원반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원반의 면을 아코디언형으로 물결치게 한 형상(도 4에서는 이 형상을 간략화하여 도시하고 있음)을 하고 있다. 댐퍼(53)는, 외주측의 단부가 톱 플레이트(521)의 상면(521A)에 설치되고, 내주측의 단부가 진동 부재(51)에 설치됨으로써, 진동 부재(51)를 법선 방향(A1)으로 진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가진 장치(50)는, 진동 부재(51)가 법선 방향(A1)으로 진동함으로써, 울림판(7)을 진동시킨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가진 장치(50)의 종단면도이다. 진동 부재(51)는, 보빈(511), 캡(512), 보이스 코일(513), 샤프트(514), 너트(515) 및 스페이서(516)를 갖고 있다. 보빈(511)은, 알루미늄 소재 등의 비자성 금속으로 형성된 외경이 L1인 원통 부재이다. 보빈(511)의 축방향A2의 양단부는 개구되어 있다. 축방향A2는, 보빈(511)의 원통 형상의 축선B2에 따른 방향이며, 하측부터 상측을 향하는 방향을 정방향으로 하는 것이다. 보이스 코일(513)은, 보빈(511)의 외주면(511D)에 설치되고, 전류를 진동으로 바꾸는 소위 보이스 코일이며, 외주면(511D)에 권취된 도선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캡(512)은, 알루미늄 소재 등의 비자성 또한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보빈(511)의 축방향A2의 상측이 개구하는 부분에 결합되어, 이 부분을 막고 있다. 캡(512)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가 원반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측에 큰 원반의 형상을 띤 부분(상측부)과 하측에 작은 원반의 형상을 띤 부분(하측부)을 갖는다. 하측부는, 외경이 보빈(511)의 내경으로 되어 있어 보빈(511)에 끼워져 있다. 상측부는, 캡(512)이 보빈(511)의 속까지 인입하지 않도록 보빈(511)의 단부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이 단부에는, 상측부의 외주측 또한 하면(512B)이 접촉하고 있다. 하면(512B)은, 보빈(511)의 외주보다도 외측으로 비어져 나와 있다. 또한, 캡(512)은, 상측부 및 하측부의 중심을 관통하는 구멍부(512G)를 갖고 있다. 구멍부(512G)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514)는, 알루미늄 소재의 금속으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축방향A2로 연신하는 연신 부재이다. 샤프트(514)는, 길이 방향의 절반 이상의 부분에, 구멍부(512G)의 암나사에 끼울 수 있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그 수나사 부분은, 샤프트(514)의 길이 방향 한쪽의 단부까지 계속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514)의 다른 쪽 단부는, 소위 볼트 헤드와 같은 육각 기둥의 형상으로 되어 있고(도 4 참조), 그 육각 기둥 부분을 스패너 등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샤프트(514)는, 이 육각 기둥 부분이 회전시켜짐으로써, 캡(512)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범위를 축방향 A2로 이동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미리 정해진 범위란, 예를 들어 샤프트(514)의 하단부가 구멍부(512G)의 하단부와 겹칠 때까지 상측으로 이동시킨 경우의 샤프트(514)의 위치(이것이 상측의 한계 위치가 됨)부터, 육각 기둥 부분이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는 곳까지 하측으로 이동시킨 경우의 샤프트(514)의 위치(이것이 하측의 한계 위치가 됨)까지의 범위이다. 이하에서는, 이 범위를 「샤프트 이동 범위」라고 한다.
너트(515)는, 샤프트(514)의 수나사에 끼울 수 있는 암나사가 형성된 너트이다. 너트(515)는, 캡(512)보다도 육각 기둥 부분측에 끼워져 있다. 스패너 등으로 회전시켜짐으로써 너트(515)가 캡(512)에 가압되면, 샤프트(514)가 캡(512)에 대하여 고정된다. 스페이서(516)는, 샤프트(514)의 축방향A2의 상측 단부에 고정되어 샤프트(514)와 울림판(7)의 사이에 끼워지는 부재이다. 스페이서(516)는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된 샤프트(514) 및 캡(512)보다도 열전도율이 낮아져 있다. 상술한 상면(516A)은, 스페이서(516)의 상측, 즉, 스페이서(516)의 샤프트(514)에 고정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면이다.
진동 부재(51)의 각 부가 상기한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상면(516A)의 법선 방향(A1)이 보빈(511)의 축방향A2에 따른 상태가 되도록 되어 있다. 스페이서(516)의 상면(516A)은 진동 부재(51)의 상측에서 울림판(7)에 접속되는 단부(이하, 「접속 단부」라고 함)이고, 스페이서(516)는 이 접속 단부를 형성하는 단부 부재이다. 이 접속 단부와 보빈(511)의 거리는, 미리 결정된 범위, 즉, 샤프트(514)가 상술한 샤프트 이동 범위를 이동함에 따라 접속 단부가 이동했을 때, 접속 단부와 보빈(511)의 거리가 변화하는 범위가 된다. 이하에서는, 이 범위를 「단부 이동 범위」라고 한다. 또한, 캡(512), 샤프트(514), 너트(515) 및 스페이서(516)는 서로 결합됨으로써, 전체의 길이(보빈(511)의 상단부부터 접속 단부(516A)까지의 길이)를 조정하여 보빈(511)을 울림판(7)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부재로서 기능한다. 요약하면, 이 접속 부재는, 막대 형상 부재(샤프트(514))와, 상기 막대 형상 부재(샤프트(514))의 회전 변위를 상기 막대 형상 부재(샤프트(514))의 직선 변위로 변환하는 나사 구조(샤프트(514)의 수나사와 캡(512)의 암나사의 결합)를 갖는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길이란, 예를 들어 축방향A2에 따른 길이이다. 이 접속 부재는, 보빈(511)에 설치한 보이스 코일(513)을, 도 5에 도시하는 자로 공간(525)에서의 소정의 위치에 맞출 수 있도록 하면서, 울림판(7)에 대하여 접속 단부가 접속되도록 전체의 길이를 조정하여 고정한다. 보이스 코일(513)을 소정의 위치에 맞춘다는 것은, 바꿔 말하면, 보이스 코일(513)과 톱 플레이트(521)가 소정의 위치 관계가 되는 것이며, 예를 들어 보이스 코일(513)이 톱 플레이트(521)와 대향하는 것이다.
톱 플레이트(521)는, 예를 들어 연철 등의 연자성 재료에 의해, 중심에 구멍이 뚫린 원반 형상(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요오크(523)는, 예를 들어 연철 등의 연자성 재료에 의해, 원반 형상의 원반부(523E)와, 원반부(523E)보다도 외경이 작은 원기둥 형상의 원기둥부(523F)를, 양쪽의 축을 겹쳐서 일체로 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기둥부(523F)는, 외경이 톱 플레이트(521)의 내경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자석(522)은 링 형상의 영구 자석이다. 자석(522)은, 내경이 톱 플레이트(521)의 내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톱 플레이트(521), 자석(522) 및 요오크(523)는, 각각의 축선이 겹치도록(대략 일치하도록) 하여, 이 순서로 톱 플레이트(521)이 가장 상측이 되도록 겹쳐져 있다. 원기둥부(523F)의 원반부(523E)로부터의 높이, 즉 원기둥부(523F)의 축방향A3의 치수는, 톱 플레이트(521) 및 자석(522)의 축방향A3의 치수 합계와 대략 동등하게 되어 있다. 축방향A3은, 원기둥부(523F)의 원기둥의 축선B3에 따른 방향이며, 하측부터 상측을 향하는 방향을 정방향으로 하는 것이다. 톱 플레이트(521), 자석(522) 및 요오크(523)는, 이상과 같이 배치됨으로써, 도 5에 파선 화살표로 나타낸 자로를 형성한다. 진동 부재(51)는, 톱 플레이트(521)와 원기둥부(523F)에 끼워진 공간이며, 자로가 형성되어 있는 공간인 자로 공간(525)에 보이스 코일(513)이 위치하도록 댐퍼(5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톱 플레이트(521), 자석(522) 및 요오크(523)가 협동함으로써, 자로 공간(525)을 형성하는 자로 형성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가진 장치(50)에 입력되는 구동 신호는 보이스 코일(513)에 입력된다. 보이스 코일(513)은, 자로 공간(525)에서의 자력을 받아서 입력되는 구동 신호가 나타내는 파형에 따라 보빈(511)이 축방향A2에 따른 방향으로 이동하여 진동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진동 부재(51)는, 보이스 코일(513)에 입력되는 구동 신호에 의해 축방향A2에 진동하는 진동 수단이며, 보이스 코일(513)이 자로 공간(525)에 배치된 상태에서 진동한다. 또한, 가진 장치(50)는, 보이스 코일(513)에 발생하는 구동력에 의해 진동을 추가하는 보이스 코일형의 액추에이터이다.
보이스 코일(513)의 축방향A2의 치수(이하, 「코일 길이 치수」라고 함)는, 자로 공간(525)의 축방향A2의 치수(이하, 「자로 폭 치수」라고 함)에 비하여 크다. 또한, 보이스 코일(513)은, 진동 부재(51)가 진동했을 때(진동중), 자로 공간(공극)(525)에 존재하는 코일의 권취수의 변화가 적을수록 안정된 구동력을 얻을 수 있다. 반대로, 진동중에 이 권취수가 변화할수록 발생하는 구동력이 변화하여 얻고 싶은 진동(특히, 진폭)을 얻을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진동중에 보이스 코일(513)의 축방향A2의 단부(이하, 「코일 단부」라고 함)가 자로 공간(525) 안에 인입하는 상태, 바꿔 말하면, 보이스 코일(513)로부터 자로 공간(525)이 비어져 나온 상태가 되면, 이 권취수가 크게 변화하여 얻고 싶은 진동을 얻을 수 없게 되고, 얻고 싶은 소리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현상이 발생한다. 진동 부재(51)가 진동하고 있지 않을 때, 보이스 코일(513)의 축방향A2(길이 방향)의 중심(이하, 「코일 길이 중심」이라고 함)이 자로 공간(525)의 축방향A2(길이 방향)의 중심(이하, 「자로 폭 중심」이라고 함)으로부터 어긋나 있을수록, 한쪽의 코일 단부가 자로 공간(525)에 가깝게 되어 진동중에 상기 상태가 되기 쉬워진다. 반대로, 이들 중심이 겹쳐져 있는 경우에, 진동중에 상기 상태가 가장 되기 어려워서 얻고 싶은 소리를 가장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5에서는, 이들 중심이 겹치도록 진동 부재(51) 및 자기 회로 요소(52)가 배치되어 있고, 톱 플레이트(521)부터(즉, 상면(521A)부터) 보빈(511)의 상측 단부까지의 높이가 L2로 되어 있다.
상기 현상은, 코일 길이 치수를 길게 하는 것으로도,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코일 길이 치수를 크게 하면, 코일 길이 중심 및 자로 폭 중심이 어긋나 있는 경우에도, 코일 단부가 자로 공간(525) 안에 들어오는 경우가 적어진다. 그러나, 단위 길이당의 권취를 바꾸지 않는다고 하면, 코일 길이 치수를 길게 할수록, 보이스 코일(513)의 인덕턴스가 증가하여 양호한 응답성을 얻을 수 있는 주파수가 낮은 쪽으로 한정되어버린다. 이로 인해, 코일 길이 치수는, 자로 폭 치수에 진동 부재(51)가 진동했을 때의 최대 진폭을 더한 길이, 또는 그 길이에 또한 여유의 길이를 더한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이스 코일(513)의 코일 길이 치수는 후자의 길이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진동 부재(51) 및 자기 회로 요소(52)는, 서로의 축방향A2의 상대 위치가 원하는 관계가 되도록 각각 정확하게 설치되는 것이 필요해진다. 여기에서 말하는 원하는 관계란, 코일 길이 중심 및 자로 폭 중심이 겹치는 상대 위치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일 길이 치수가 자로 폭 치수보다도 크지만, 작게 되어 있어도 된다. 그 경우에도, 코일 길이 중심 및 자로 폭 중심이 겹쳐저 있는 경우에, 진동중에 코일 단부가 자로 공간(525)으로부터 가장 비어져 나오기 어려워져서, 상기 현상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도 5에서는, 보빈(511)의 축선B2가, 원기둥부(523F)의 축선B3과 겹치도록(대략 일치하도록) 댐퍼(5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 상태를, 보빈(511) 및 원기둥부(523F)의 축이 합쳐져 있는 상태, 바꾸어 말하면, 축 맞춤이 이루어져 있는 상태라고 한다. 이와 같이 축 맞춤이 이루어져 있으면, 진동 부재(51)가 진동했을 때, 축 맞춤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경우, 즉 보빈(511)의 내주면(511C)의 일부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원기둥부(523F)에 가깝게 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보빈(511)이 원기둥부(523F)에 접촉하기 어려워진다.
자기 회로 요소(52)가 갖는 톱 플레이트(521), 자석(522) 및 요오크(52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자성 재료 또는 자석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진동 부재(51)에 비하여 용량도 크므로, 수지 또는 알루미늄 소재의 금속 등으로 형성되어 있는 진동 부재(51)에 비하여 매우 무겁게 되어 있다. 자기 회로 요소(52)의 하중은 지지부(55)에 의해 수직 스트럿(9)에 걸리므로, 가진 장치(50)의 대부분의 하중은 울림판(7)에는 걸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울림판(7)에는 진동 부재(51)의 하중이 걸리게 되지만, 얼마 안되는 하중이 걸릴 뿐이므로, 울림판(7)의 진동 특성에 끼치는 영향은 매우 적게 할 수 있다.
계속해서, 작업자가 가진 장치(50)를 그랜드 피아노(1)에 설치할 때에 행하는 작업의 수순에 대해서, 도 6 내지 도 11까지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은, 가진 장치(50)의 설치 작업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가진 장치(50)(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그랜드 피아노(1)가 제공된다. 이어서, 이 그랜드 피아노(1)의 소정 부위, 예를 들어 수직 스트럿(9)에 지지부(55)가 설치된다. 이 경우, 지지부(55)의 배치는, 가진 장치(50)(액추에이터)를 설치해야 할 울림판(7) 상의 소정 부위에 대응시켜서 적절하게 결정된다. 도 6에 나타낸 수순은, 수직 스트럿(9)에 지지부(55)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개시된다. 작업자는, 소정의 고정 지그를 자기 회로 요소(52)에 설치한다(스텝S11). 여기에 서 고정 지그란, 진동 부재(51) 및 자기 회로 요소(52)의 축방향A2의 상대 위치가 상술한 원하는 관계인 것(자로 공간 내에서의 보이스 코일의 이상적 배치 또는 설치 기준 위치)을 자동으로 나타내기 위한 기준 위치 지시 부재(지그)이다.
도 7은, 고정 지그(54)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고정 지그(54)는, 철 등의 자성체로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7의 (a)에서는, 고정 지그(54)가 갖는 면 중, 가장 큰 상면(54A)측에서 본 고정 지그(54)를 도시하고 있다(평면도). 고정 지그(54)에 있어서는, 상면(54A)이 향하고 있는 측을 상측으로 한다. 도 7의 (a)에서는, 고정 지그(54)는 U자형의 형상을 하고 있고, U자에서의 2개의 직선 형상의 부분인 직선부(541, 542)와, 그 사이를 연결하는 곡선부(543)로 이루어져 있다. 곡선부(543)의 반대측의 직선부(541, 542)의 단부 사이는 거리L1만큼 이격되어 있어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도 7의 (b)는 고정 지그(54)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고정 지그(54)에 있어서, 직선부(541, 542)의 단부가 보이는 측, 즉 U자의 내부 공간이 보이는 측을 정면이라고 하고, 그 반대측, 즉 곡선부(543)의 측을 배면이라고 하고, 직선부(541, 542)의 측면이 보이는 측을 측면이라고 한다. 또한,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직선부(541 및 542)에 끼워진 내부 공간쪽을 내측이라고 하고, 각 직선부를 끼워서 그 반대측쪽(즉, 측면의 측)을 외측이라고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면(54A)이 향하고 있는 측을 상측으로 하고, 그 반대측을 하측으로 한다. 또한,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하는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 한다. 고정 지그(54)는, 상면(54A)의 반대측에서 가장 외측에 가까운 부분에 하면(54B)을 갖는다. 도 7의 (a)이라면, 상면(54A)의 파선(은선)보다도 외측 영역의 반대측에 하면(54B)이 있게 된다. 상면(54A) 및 하면(54B)의 거리, 즉 가장 외측에서의 고정 지그(54)의 상하 방향의 두께는 L2로 되어 있다. 이 두께는, 상술한 코일 길이 중심 및 자로 폭 중심이 겹쳤을 때의 톱 플레이트(521)의 상측의 상면(521A)부터 보빈(511)의 상측의 단부까지의 높이와 동일하다. 고정 지그(54)는, 하면(54B)보다도 내측에서는 상하 방향의 두께가 L3(L3<L2)이며, 하면(54B)에 겹치는 평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생기도록 되어 있다. 직선부(541 및 542)는, 각각의 가장 내측에, 상하 방향에 따른 측면(541C 및 542C)을 갖는다. 측면(541C 및 542C)은 서로 대향하고, 모두 상면(54A)과 각을 이루고 있다.
도 8은, 고정 지그(54)에 의해 진동 부재(51)의 자기 회로 요소(52)에 대한 위치 및 방향이 제한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샤프트(514)는, 수나사 부분의 근본에 너트(515)가 끼워진 상태에서 너트(515)의 하측의 면이 캡(512)의 상측의 면에 접촉하기 직전의 위치까지 하측으로 낮추어져 있다. 또한, 샤프트(514)는, 이들의 면이 접촉하는 위치까지 하측으로 낮추어져 있어도 된다. 고정 지그(54)는, 톱 플레이트(521)의 상면(521A)에 하면(54B)을 접촉시켜서 설치되어 있다. 고정 지그(54)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자성체이므로, 자석(522)의 자력에 의해 자기를 띠고 있는 톱 플레이트(521)로부터의 흡인력(자기 흡인력)에 의해 상면(521A)에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 지그(54)는, 그 직선부(541 및 542)의 사이에(즉, U자의 내측 공간 내에) 보빈(511)을 끼우도록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빈(511)의 외경과 직선부(541 및 542)의 사이 거리는 모두 L1이므로, 보빈(511)의 외주면(511D)과 측면(541C 및 542C)이 접촉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보빈(511)은, 측면(541C 및 542C)에 따른 방향 이외의 방향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자기 흡인력에 의해 상면(521A)에 고정된 고정 지그(54)를 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을 만큼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이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고정 지그(54)는, 도 5에 도시하는 상태와 마찬가지로, 보빈(511)의 축선B2와 원기둥부(523F)의 축선B3이 겹치도록(거의 일치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보빈(511)은, 댐퍼(53)에 의해 법선 방향(A1)으로 진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지만, 고정 지그(54)에 의해, 캡(512)의 하면(512B)이 고정 지그(54)의 상면(54A)과 접촉하는 위치보다도 하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들 면이 접촉하면, 보빈(511)의 상측의 단부와 상면(521A)의 거리가, 고정 지그(54)의 상면(54A)과 하면(54B)의 거리, 즉 L2가 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 길이 중심 및 자로 폭 중심이 대략 일치하게 된다. 즉, 진동 부재(51)는, 고정 지그(54)에 의해 하측에 이동 가능한 범위가 제한되어 있음으로써, 상측으로부터 하향의 힘이 가해져도, 자기 회로 요소(52)와의 법선 방향(A1)에서의 상대적인 위치가 원하는 관계 그대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6으로 되돌아간다. 이어서, 작업자는, 자기 회로 요소(52)를 지지부(55)에 지지시킨다(설치함)(스텝S12). 이 때, 작업자는, 보빈(511)부터 울림판(7)까지의 거리가 상술한 단부 이동 범위에 들어가도록, 자기 회로 요소(52)의 배치(높이)를 확보한 뒤에 상기 자기 회로 요소(52)를 지지부(55)에 대하여 지지시킨다. 예를 들어, 복수의 지지 막대를 개재하여 지지부(55)의 상방에 자기 회로 요소(52)를 설치할 경우, 복수의 지지 막대를 개재하여 지지하는 자기 회로 요소(52)의 높이를 적절하게 설정한다. 바꾸어 말하면, 작업자는, 추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접속 부재 전체의 길이를 조정했을 때, 울림판(7)에 대하여 접속 단부가 접속될 수 있도록 적절한 높이로, 지지부(55)에 의해 자기 회로 요소(52)를 지지시킨다. 또한, 작업자는, 스페이서(516)를 포함하는 진동 부재(51)가 울림판(7)의 하면(7B)에서 미리 정해진 가진 영역의 하측에서 이 가진 영역에 대향하도록 지지부(55)의 배치를 정한 뒤에, 상기 지지부(55)에 의해 자기 회로 요소(52)를 지지시킨다. 이 배치 영역은, 스페이서(516)의 상면(516A)을 접속시키는 영역으로서 미리 정해진 것이며, 예를 들어 도 3에서의 브릿지(6H) 또는 브릿지(6L)의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이다.
도 9는, 상기와 같이 하여 자기 회로 요소(52)가 지지부(55)에 지지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 있어서는, 가진 장치(50), 울림판(7), 브릿지(6) 및 지지부(55)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므로, 울림판(7), 브릿지(6) 및 지지부(55)의 위치를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9에서는, 브릿지(6)의 폭 방향A4가 도면의 좌우 방향이 되도록 본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브릿지(6)는, 울림판(7)의 상면(7A)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울림판(7)의 하면(7B)에는, 가진 영역(C1)이 미리 정해져 있다. 가진 영역(C1)은, 가진 장치(50)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영역이며, 가진 영역(C1)의 폭 방향A4의 중심 법선 방향(A1)에 브릿지(6)의 폭 방향A4의 중심이 오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진 영역(C1)은, 스페이서(516)의 상면(516A)과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폭 방향A4의 치수(즉, 직경)가 Φ1인 원형 영역이다.
톱 플레이트(521)에는, 하면(521B)의 외주부 근처의 소정 개소에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관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이 톱 플레이트(521)측의 각 관통 구멍에 대응하는 배치에서, 지지부(55)에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에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지지 막대(551)에 있어서는, 각각의 양단측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그 수나사가 형성된 부분이 톱 플레이트(521) 및 지지부(55)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고, 복수의 너트(552)에 의해 각각 체결 고정됨으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 회로 요소(52)가 지지부(55)에 고정된다. 또한, 각 관통 구멍에 암나사를 설치해도 된다. 지지부(55)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 회로 요소(52)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강도로 수직 스트럿(9)에 고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자기 회로(52)의 하중은, 지지부(55)를 개재하여 수직 스트럿(9)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자기 회로 요소(52)는, 울림판(7)과의 거리L4가 상술한 단부 이동 범위, 즉 접속 단부(상면(516A))와 보빈(511)의 거리가 변화하는 범위에 들어가도록 지지부(55)에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자기 회로 요소(52)를 지지부(55)에 의해 지지시켰을 때의 법선 방향(A1)(또는 축방향A2)의 위치(높이 위치)는, 거리L4가 단부 이동 범위에 들어가는 위치로 되어 있으면 되므로, 엄밀함이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자기 회로 요소(52)의 위치(높이 위치)를 축방향A2의 어떤 위치(높이 위치)에 맞추어야만 하는 엄밀한 정밀도가 요구되는 경우에 비하여, 작업자는 스텝(12)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스텝 S12의 작업은, 본 발명에 관한 「지지 스텝」의 일례이다.
도 6으로 되돌아간다. 계속해서, 작업자는, 스페이서(516)의 상면(516A)에 접착제를 도포한다(스텝S13). 여기에서 사용하는 접착제는, 울림판(7)과 스페이서(516)를 접착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어 목재와 수지를 접착 가능한 접착제이다. 그리고, 작업자는, 예를 들어 스패너를 사용하여 샤프트(514)를 회전시켜서 샤프트(514)를 상측에 이동시킴으로써, 상면(516A)을 울림판(7)에 접속시킨다(스텝S14). 이 때, 상기한 바와 같이, 거리L4가 단부 이동 범위에 들어가는 길이가 되어 있으므로, 상면(516A)은 반드시 울림판(7)까지 도달하여 접속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작업에 의해,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상면(516A)은, 울림판(7)에 접착되어 접속된 상태가 된다. 스텝 S13 및 S14의 일련 작업은, 본 발명에 관한 「접속 스텝」의 일례이다.
도 10은, 스페이서(516)가 울림판(7)에 접속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샤프트(514)는 도 9의 상태로부터 상측으로 이동되어 있고, 상면(516A)은 울림판(7)에 접속하고 있다. 도 9에서 상면(516A)은 영역C1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었으므로, 상면(516A)은 영역C1에 접속하고 있다. 이 때, 울림판(7)에 스페이서(516)가 가압되고, 울림판(7)으로부터의 반작용에 의해 진동 부재(51)에 법선 방향(A1)의 음방향의 힘이 가해졌다고 해도, 진동 부재(5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지그(54)에 의해 하측에 이동 가능한 범위가 제한되어 있으므로, 코일 길이 중심 및 자로 폭 중심이 일치하도록 자기 회로 요소(52)와의 상대 위치가 적절하게 유지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샤프트(514)의 하단부가 구멍부(512G)의 하단부와 겹칠 때까지 상측에 이동시킨 경우의 샤프트(514)의 위치가, 샤프트 이동 범위의 상측의 한계 위치로서 정해져 있다. 이로 인해, 스텝S14의 작업이 행하여진 후, 샤프트(514)의 하단부는 캡(512)의 하단부, 즉 하면(512B)과 겹치는, 또는 그것보다도 하측으로 비어져 나오는 상태가 된다. 도 10의 예에서는, 후자의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샤프트 이동 범위가 정해져 있음으로써, 샤프트(514)의 하단부가 하면(512B)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구멍부(512G)에 의해 지지되는 샤프트(514)의 영역의 축방향A2의 길이가 길어지고, 샤프트(514)가 도 9의 폭 방향A4와 같은 축방향A2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도 6으로 되돌아간다. 이어서, 작업자는, 너트(515)를 예를 들어 스패너를 사용하여 회전시켜서 법선 방향(A1)의 음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너트(515)를 캡(512)에 가압되도록 될 때까지 이동시킴으로써, 샤프트(514)를 캡(512)에 고정시킨다(스텝S15). 이 작업에 의해, 상면(516A)이 울림판(7)에 접속된 상태에서 보빈(511)부터 상면(516A)까지의 거리가 고정되게 된다. 즉, 이 작업에 의해, 상술한 접속 부재 전체의 길이도, 상면(516A)이 울림판(7)에 접속된 상태에서 고정되게 된다. 스텝S15의 작업은, 본 발명에 관한 「고정 스텝」의 일례이다. 마지막으로, 작업자는, 고정 지그(54)를 제거하고(스텝S16), 가진 장치(50)의 그랜드 피아노(1)에의 설치 작업을 종료한다. 이렇게 하여 가진 장치(50)가 설치됨으로써, 울림판(7)은, 보빈(511)이 법선 방향(A1)의 정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상측을 향하여 밀리고, 보빈(511)이 법선 방향(A1)의 음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보빈(511)이 이격되지 않고, 보빈(511)에 의해 하측을 향하여 인장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보빈(511)에서의 진동은, 울림판(7)을 통과하여 브릿지(6)에 가해지고, 나아가, 현(5)에 전달된다. 가진 장치(50)가 설치된 상태를 도 11에 도시한다.
도 11은, 가진 장치(50)의 설치 작업이 종료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서는, 스페이서(516)의 상면(516A)이 울림판(7)의 영역C1에 접속되고, 자기 회로 요소(52)가 지지부(55)에 지지되어 있다. 이 때, 진동 부재(51) 및 자기 회로 요소(52)는, 법선 방향(A1)에서의 상대 위치가 원하는 관계, 즉, 코일 길이 중심 및 자로 폭 중심이 일치한 상태가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진 장치(50)에 의하면, 법선 방향(A1), 즉 진동 부재(51)가 진동하는 방향(진동 방향)에서의 원하는 위치에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텝S11에 있어서, 보빈(511)의 축선B2와 원기둥부(523F)의 축선B3이 겹친 상태(대략 일치한 상태)에서 고정 지그(54)가 설치되고, 스텝S15의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그 상태가 유지되어 있으면, 보빈(511) 및 원기둥부(523F)의 축 맞춤이 이루어진 상태가 되고, 이것이 이루어 지지 않은 상태에 비하여, 보빈(511)과 원기둥부(523F)의 접촉이 일어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자기 회로 요소(52)는, 지지부(55)를 개재하여 수직 스트럿(9)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보이스 코일(513)에서 발생한 구동력은, 대부분이 보빈(511)의 진동을 위한 추력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진동 부재(51)는, 울림판(7)에 접속됨으로써 울림판(7) 및 댐퍼(53)에 의해 지지된 상태가 된다. 울림판(7) 및 댐퍼(53)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목재 및 섬유 등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고, 울림판(7)에 비하여 댐퍼(53)의 강성률이 대폭 낮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진동 부재(51)의 하중의 대부분은 울림판(7)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한편, 자기 회로 요소(52)는, 지지부(55)에 의해 지지되고, 진동 부재(51)와는 댐퍼(53)를 통해서만 접속되어 있다. 댐퍼(53)는, 진동 부재(51)(알루미늄 소재, 수지), 자기 회로 요소(52)(연자성 재료, 자석) 및 지지부(55)(금속)의 어느 것과 비교해도 강성률이 대폭 낮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진동 부재(51) 및 자기 회로 요소(52)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화해도, 댐퍼(53)가 변형되는 것만으로, 댐퍼(53)로부터 진동 부재(51)에 가해지는 힘은 매우 작아진다. 이로 인해, 울림판(7)에 대해서는, 진동 부재(51) 이외의 하중이 대부분 걸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55)가 자기 회로 요소(52)를 지지하는 형태에 대해서는, 울림판(7)에 대하여 진동 부재(51) 이외의 하중이 걸리지 않도록 되어 있으면, 어떤 형태이어도 된다.
또한, 도 11과 같이 가진 장치(50)를 설치한 후, 그랜드 피아노(1)의 왜곡이나 각 부재의 어긋남 등으로 인해, 지지부(55)와 울림판(7)의 상대적인 위치가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도 12는, 울림판(7)이 지지부(55)에 대하여 어긋난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울림판(7)은, 지지부(55)에 대하여 브릿지(6)의 폭 방향A4로 길이L5만큼 어긋나 있다. 진동 부재(51)는, 스페이서(516)가 울림판(7)에 접속되어 있는 개소(구체적으로는 상면(516A)) 이외에서는, 댐퍼(53)에 의해 보빈(511)의 외주면이 지지되어 있을 뿐이다. 이로 인해, 스페이서(516)가 울림판(7)과 함께 폭 방향A4로 어긋나면, 진동 부재(51)는, 댐퍼(53)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개소의 중심P1을 통과하고, 또한, 폭 방향A4에 직교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샤프트(514)의 상측의 단부가 조금 기울지만, 스페이서(516)가 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기울기에 맞춰서 변형된다. 여기서, 폭 방향A4에 L5만큼 이동하는 상면(516A)과 중심P1의 거리를 L6, 중심P1과 보이스 코일(513)의 축방향A2의 중심의 거리를 L7이라 한다. 거리L6에는, 샤프트(514)의 길이가 포함되므로, L7에 비하여 길게 되어 있다. 한편, 보이스 코일(513)의 축방향A2의 중심에서의 폭 방향A4에의 어긋남을 L8이라 하면, L8은 L8=L5/L6×L7이라는 식으로 표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L6>L7이므로, L8<L5가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가진 장치(50)에 있어서는, 울림판(7)과 지지부(55)에 폭 방향A4에의 어긋남이 발생해도, 그 어긋남의 크기보다도, 보이스 코일(513)의 폭 방향A4에의 어긋남의 크기가 작아진다.
또한, 가진 장치(50)는, 샤프트(514) 및 스페이서(516)의 법선 방향(A1)의 길이만큼, 자기 회로 요소(52)가 울림판(7)으로부터 이격되어 지지되므로, 울림봉(75)의 근처에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3은, 톱 플레이트(521)의 상측에 울림봉(75)이 오는 위치에 가진 장치(5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울림판(7)의 스페이서(516)가 접속되는 측의 면, 즉 하면(7B)에는 울림봉(7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하면(7B)과 톱 플레이트(521)의 상면(521A)의 거리, 즉 울림판(7)에 접속되는 스페이서(516)의 상면(516A)의 상면(521A)으로부터의 높이를 L9로 하고, 울림판(7)(하면(7B))으로부터의 울림봉(75)의 높이를 L10으로 한다. 거리L9, 높이L10 및 상면(521A)부터 보빈(511)의 단부까지의 높이L2는, L9>L10>L2이라는 관계로 되어 있다. 즉, 상술한 접속 부재, 즉, 캡(512), 샤프트, 너트(515) 및 스페이서(516)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516A)의 자기 회로 요소(52)로부터의 거리(이 경우, L9)가, 울림봉(75)의 울림판(7)으로부터의 거리(L10)보다도 길어지도록 상면(516A)을 보빈(511)에 대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이 접속 부재는, 울림봉(75)의 울림판(7)으로부터의 거리보다도, 상술한 접속 단부와 보빈(511)의 거리가 길어지도록 전체의 길이를 조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진 장치는, 예를 들어 보빈(511)을 직접 울림판(7)에 접속시켜서 설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지만, 그 경우, 상면(521A)으로부터의 보빈(511)의 높이, 즉 상면(521A)과 하면(7B)의 거리가 L2가 되고, 높이L10의 울림봉(75)이 톱 플레이트(521)에 접촉하여 가진 장치를 설치할 수 없다. 가진 장치(50)에 있어서는, 진동 부재(51)의 접촉 단부가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함으로써, 톱 플레이트(521)에 울림봉(75)을 접촉시키지 않고, 울림판(7) 및 지지부(55)에 설치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의 구성]
도 14는 제어 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어 장치(10)는, 제어부(11), 기억부(12), 조작 패널(13), 통신부(14), 신호 발생부(15) 및 인터페이스(16)를 갖는다. 이들 각 구성은 버스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1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연산 장치,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기억 장치를 갖는다. 제어부(11)는, 기록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10)의 각 부 및 인터페이스(16)에 접속된 각 구성을 제어한다. 이 예에 있어서는, 제어부(11)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어 장치(10) 및 제어 장치(10)에 접속된 구성의 일부를 본 발명의 악기로서 기능시킨다.
기억부(12)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을 때에 사용되는 각종 설정 내용을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기억한다. 설정 정보는, 예를 들어 키 센서(22), 페달 센서(23) 및 해머 센서(24)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신호 발생부(15)로부터 발생되는 구동 신호(오디오 파형 신호)의 내용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또한, 설정 정보에는, 유저에 의해 설정된 발음 모드, 연주 모드 등을 나타내는 정보도 포함된다.
조작 패널(13)은, 유저의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버튼 등을 갖는다. 이 조작 버튼에 의해 유저의 조작이 접수되면, 조작에 따른 조작 신호가 제어부(11)에 출력된다. 인터페이스(16)에 접속된 터치 패널(60)은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화면을 갖고, 그 표시 화면의 표면 부분에는 유저의 조작을 접수하는 터치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이 표시 화면에는, 제어부(11)의 인터페이스(16)를 통한 제어에 의해, 기억부(12)에 기억된 설정 정보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설정 변경 화면, 각종 모드의 설정 등을 행하는 설정 화면, 악보 등의 각종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터치 센서에 의해 이용자의 조작이 접수되면, 조작에 따른 조작 신호가 인터페이스(16)를 통하여 제어부(11)에 출력된다. 유저로부터 제어 장치(10)에의 지시는, 조작 패널(13) 및 터치 패널(60)에 의해 접수되는 조작에 의해 입력된다.
통신부(14)는, 무선, 유선 등에 의해 다른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이 인터페이스에는, DVD(Digital Versatile Disk)나 CD(Compact Disk)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각종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크 드라이브가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통신부(14)를 통하여 제어 장치(10)에 입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어 자동 연주에 사용하는 노래 데이터 등이다.
신호 발생부(15)는, 음향 신호(오디오 파형 신호)를 출력하는 음원부(151), 이 음향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는 이퀄라이저(EQ)부(152), 이 음향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153)를 갖는다(도 15 참조). 신호 발생부(15)는, 주파수 특성이 조정되어 증폭된 음향 신호를 구동 신호로서 출력한다.
인터페이스(16)는, 제어 장치(10)와 외부의 각 구성을 접속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인터페이스(16)에 접속되는 각 구성은, 이 예에 있어서는, 키 센서(22), 페달 센서(23), 해머 센서(24), 키 구동부(30), 스토퍼(40), 가진 장치(50) 및 터치 패널(60)이다. 인터페이스(16)는, 키 센서(22), 페달 센서(23), 해머 센서(24)로부터 출력되는 검출 신호 및 터치 패널(60)로부터 출력되는 조작 신호를 제어부(11)에 출력한다. 또한, 인터페이스(16)는, 제어부(11)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를 키 구동부(30)에 출력하고, 신호 발생부(15)로부터 출력된 구동 신호를 가진 장치(50)에 출력한다.
[그랜드 피아노(1)의 기능 구성]
이어서, 제어부(11)가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기능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그랜드 피아노(1)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2)가 조작되면, 해머(4)가 현(5)을 타격하고, 현(5)이 진동한다. 이 진동은, 브릿지(6)를 통하여 울림판(7)에 전달된다. 또한, 키(2)의 조작, 페달(3)의 조작에 의해 댐퍼(8)가 동작한다. 댐퍼(8)의 동작에 따라 현(5)의 진동 억제 상태가 변화한다.
설정부(110)는, 터치 패널(60) 및 제어부(11)에 의해 이하에 나타내는 기능을 갖는 구성으로서 실현된다. 먼저, 터치 패널(60)은, 발음 모드를 설정하는 유저의 조작을 접수한다. 제어부(11)는, 유저에 의해 설정된 연주 모드 및 발음 모드에 따라 설정 정보를 변경하고, 이들 모드에 따라 연주 정보 발생부(120) 및 저지 제어부(130)에 대하여, 선택된 발음 모드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터치 패널(60)은, 신호 발생부(15)에서의 각종 제어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유저의 조작을 접수한다. 각종 제어 파라미터란, 음원부(151)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오디오 파형 신호)가 나타내는 악음의 음색, 이퀄라이저부(152)에서의 주파수 특성의 조정 형태, 증폭부(153)에서의 증폭률 등의 결정을 위한 파라미터이다. 유저는, 각각의 제어 파라미터를 개별로 설정하는 것이어도 되고, 미리 각 제어 파라미터의 값이 정해진 프리셋 데이터가 복수 기억된 기억부(12)로부터 하나의 프리셋 데이터를 선택하여 제어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것이어도 된다. 제어부(11)는, 유저에 의해 설정된 각종 제어 파라미터에 따라 설정 정보를 변경하고, 이들 제어 파라미터에 의해 신호 발생부(15)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신호를 제어한다. 또한, 이퀄라이저부(152), 증폭부(153)는, 미리 결정된 파라미터가 설정되고, 제어부(11)에 의해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연주 정보 발생부(120)는, 제어부(11), 키 센서(22), 페달 센서(23) 및 해머 센서(24)에 의해 이하에 나타내는 기능을 갖는 구성으로서 실현된다. 키 센서(22), 페달 센서(23) 및 해머 센서(24)에 의해, 키(2), 페달(3) 및 해머(4)의 거동이 각각 검출되고, 그 결과, 출력되는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11)는, 해머(4)에 의한 현(5)의 타격 타이밍(키 온의 타이밍), 타격된 현(5)에 대응하는 키(2)의 번호(키 번호), 타격 속도(벨로시티) 및 그 현(5)에 대한 댐퍼(8)의 진동 억제 타이밍(키 오프의 타이밍)을, 음원부(151)에서 사용하는 정보(연주 정보)로서 특정한다. 이 예에 있어서는, 제어부(11)는, 타격 타이밍 및 키(2) 번호에 대해서는 키(2)의 거동으로부터 특정하고, 타격 속도에 대해서는 해머(4)의 거동으로부터 특정하고, 진동 억제 타이밍에 대해서는 키(2) 및 페달(3)의 거동으로부터 특정한다. 또한, 타격 타이밍이 해머(4)의 거동으로부터 특정되어도 되고, 타격 속도가 키(2)의 거동으로부터 특정되어도 된다. 또한, 연주 정보는, 예를 들어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형식의 제어 파라미터로 나타나는 것이어도 된다.
제어부(11)는, 특정한 키 온의 타이밍에 있어서, 키 번호, 벨로시티 및 키 온을 나타내는 연주 정보를, 신호 발생부(15)의 음원부(151)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1)는, 키 오프의 타이밍에 있어서, 키 번호 및 키 오프를 나타내는 연주 정보를, 음원부(151)에 출력한다. 제어부(11)는, 유저에 의해 설정된 발음 모드가 약음 모드 또는 강음 모드인 경우에 상기의 기능을 실현하는 한편, 통상 발음 모드인 경우에는, 이 예에 있어서는, 연주 정보의 음원부(151)에의 출력을 행하지 않는다. 또한, 통상 발음 모드인 경우에는, 신호 발생부(15)로부터 구동 신호가 발생/출력되지 않도록 하면 되므로, 연주 정보가 발생/출력되는 구성이었다고 해도, 신호 발생부(15)로부터의 구동 신호가 발생/출력되지 않도록 제어부(11)가 제어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연주 정보 발생부(120)와 신호 발생부(15)가 협동함으로써, 키(2) 및 페달(3)로 이루어지는 연주 조작자의 조작에 따른 소리를 나타내는 구동 신호를 액추에이터인 가진 장치(50)에 출력하는 출력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저지 제어부(130)는, 제어부(11)에 의해 이하에 나타내는 기능을 갖는 구성으로서 실현된다. 제어부(11)는, 유저에 의해 설정된 발음 모드가 약음 모드인 경우에는, 해머(4)의 현(5)에의 타격을 저지하는 위치에 스토퍼(40)를 이동시키는 한편, 통상 발음 모드 또는 강음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해머(4)의 현(5)에의 타격을 저지하지 않는 위치에 스토퍼(40)를 이동시킨다.
음원부(151)는, 연주 정보 발생부(120)(제어부(11))로부터 발생된 연주 정보에 기초하여 음향 신호(오디오 파형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음원부(151)는, 키 번호에 따른 음고, 벨로시티에 따른 음량이 되도록 음향 신호(오디오 파형 신호)를 출력한다. 이 음향 신호(오디오 파형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퀄라이저부(152)에 의해 주파수 특성이 조정되고, 증폭부(153)에서 증폭되어 가진 장치(50)에 구동 신호로서 공급된다. 가진 장치(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급된 구동 신호에 따라 진동하고, 울림판(7)을 진동시킨다. 또한, 울림판(7)의 진동은 브릿지(6)에 전달되고, 브릿지(6)를 통하여 현(5)에도 전달된다.
이와 같이, 연주 조작된 키의 키 번호에 따른 음고(주파수)로 오디오 파형 신호를 발생하면, 이 오디오 파형 신호(구동 신호)에 따라 진동하는 울림판(7)으로부터의 진동음은, 연주 조작된 키의 음고에 대응하는 음고가 된다. 또한, 울림판(7)으로부터의 진동음의 벨로시티 제어(키 터치에 따른 음량 제어)도 가능해진다. 그러나, 오디오 파형 신호(구동 신호)의 주파수 등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화음과 같은 복수 음고의 오디오 파형 신호를 믹스한 신호를 발생하고, 이것을 구동 신호로서 사용하여 울림판(7)을 진동시켜도 된다.
[제1 실시예의 변형예]
상술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일례에 지나지 않고, 이하와 같이 변형시켜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이하에 나타내는 각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 조합하여 실시해도 된다.
(변형예1)
고정 지그는, 상술한 고정 지그(54)와는 상이한 형상이어도 되고, 또한, 원하는 위치 관계에 자동으로 위치 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즉, 고정 지그는, 톱 플레이트(521)에 설치된 경우에, 보빈(511)의 상측 단부의 톱 플레이트(521)의 상면(521A)으로부터의 높이가 L2가 되어 있는 것(자로 공간 내에서 보이스 코일(513)이 소정의 설치 기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 즉, 보이스 코일(513)이 자로 공간(525)에 대하여 원하는 위치 관계가 되어 있는지 여부를, 자동으로 또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나타내는 기준 위치 지시 부재로서 기능하는 것이라면, 어떤 형상이어도 된다.
도 16은, 본 변형예에 관한 고정 지그(54q)가 자기 회로 요소(52)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고정 지그(54q)는, 상기 고정 지그(54)와 같은 자동적 위치 결정 기능을 갖지 않고, 보이스 코일(513)이 자로 공간(525)에 대하여 원하는 위치 관계가 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기준 위치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시하는 기능을 행한다. 고정 지그(54q)는, 도 7의 (b)에 도시한 고정 지그(54)의 하면(54B)보다도 내측을 없앤 형상을 하고 있다. 도 16에서는, 고정 지그(54q)는, 하면(54Bq)을 톱 플레이트(521)의 상면(521A)에 접촉시켜서 댐퍼(53)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고정 지그(54q)는, 자기 회로 요소(52)에 설치된 상태로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작업자는, 도 6의 스텝S11에서 고정 지그(54q)를 설치한 후, 스페이서(516)의 상면(516A)(접속 단부)이 울림판(7)에 접촉할 때까지 샤프트(514)를 이동시켜서 고정 지그(54q)의 상면(54Aq)에 따른 위치에 보빈(511)의 상측 단부가 오도록 육안 확인하면서 샤프트(514)의 길이를 조정한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코일 길이 중심 및 자로 폭 중심이 대략 일치하도록, 즉, 진동 부재(51)와 자기 회로 요소(52)의 상대 위치가 원하는 관계가 되도록 상면(516A)을 울림판(7)에 접속한다(스텝S14).
또한, 고정 지그는, 설치했을 때의 상면(521A)으로부터의 높이가 L2가 되는 것이 아니어도 되고, 예를 들어 캡(512)의 상면(512A)의 톱 플레이트(521)(상면(521A))로부터의 높이가 되어 있어도 되고, 진동 부재(51)의 어딘가에 표시를 하여 그 표시의 상면(521A)으로부터의 높이가 되어 있어도 된다. 요컨대, 고정 지그의 상면(521A)으로부터의 높이는, 코일 길이 중심 및 자로 폭 중심이 대략 일치할 때의 진동 부재(51)의 위치를 육안 확인할 때의 기준으로 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변형예2)
고정 지그 대신에 코일 길이 중심 및 자로 폭 중심이 일치할 때의 진동 부재(51)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 자기 회로 요소(52)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17은, 본 변형예에 관한 자기 회로 요소(52r)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자기 회로 요소(52r)가 갖는 톱 플레이트(521r)는, 상면(521Ar)과, 상면(521Ar)으로부터의 높이가 L2가 되는 돌기부(521E)를 상면(521Ar)에 갖고 있다. 작업자는, 도 6의 스텝S14에서 샤프트(514)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때, 돌기부(521E)의 상면(521F)에 따른 위치에 보빈(511)의 상측의 단부가 오도록 샤프트(514)의 위치를 조정한다. 이상과 같이, 자기 회로 요소(52r)(자로 형성부)는, 보이스 코일(513)이 자로 공간(525)에 대하여 원하는 위치가 되어 있는지 여부를, 진동 부재(51)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돌기부(521E)를 갖는다. 즉, 돌기부(521E)는, 보이스 코일(513)과 자로 공간(525)의 보빈(511)의 축방향의 상대 위치가 원하는 관계가 되어 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기준을 나타내는 기준 위치 지시 부재이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코일 길이 중심 및 자로 폭 중심이 대략 일치하도록 육안 확인하면서 진동 부재(51)의 자기 회로 요소(52)에 대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변형예3)
자기 회로 요소(52)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는 상이한 방법으로 지지부(55)에 지지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톱 플레이트(521) 대신에 요오크(523)에 상측의 면부터 하측의 면까지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여 지지 막대(551) 및 복수의 너트(552)에 의해 지지부(55)에 지지되어도 된다. 또한, 자기 회로 요소(52)는, 도 9에서는 지지부(55)와 접촉하고 있지 않지만, 지지부(55)와 접촉된 상태에서 지지되어도 된다. 또한, 지지부(55)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그랜드 피아노(1)의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었지만, 그 이외의 장소에 고정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어 지면(바닥)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어느 경우에도, 요컨대, 보빈(511)부터 울림판(7)까지의 거리가 상술한 단부 이동 범위에 들어가도록 자기 회로 요소(52)가 지지되도록 되어 있으면 된다.
(변형예4)
가진 장치(50)에 있어서는, 보이스 코일(513)로부터 발생한 열을 측정하기 위해서, 온도를 측정하는 열 센서를 도 5에 도시한 캡(512)의 평탄한 상면(512A)에 설치해도 된다. 도 18은, 본 변형예에 관한 가진 장치(50s)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가진 장치(50s)가 구비하는 진동 부재(51)에는, 열 센서(56)가 설치되어 있다. 열 센서(56)는, 캡(512)의 상면(512A)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면(512A)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수단이다.
보이스 코일(513)로부터의 발열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그 열이 전해지기 쉬운 개소에 열 센서(56)를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보빈(511)은 보이스 코일(513)에 직접 접촉하고 있고, 가진 장치(50)가 구비하는 부재 중에서 가장 열이 전해지기 쉬운 부재이다. 그러나, 보빈(511)은 원통 형상의 부재이며, 열 센서(56)를 설치하는 장소가 곡면으로 되므로, 열 센서(56)를 설치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톱 플레이트(521, 523)는, 자로 공간(525)에 면하는 부분이 보이스 코일(513)에 가장 접근하고 있지만, 사이에 공간을 끼우게 되므로, 충분히 열이 전해지지 않는다. 또한, 댐퍼(53)를 경유해도 충분히 열이 전해지지 않으므로, 톱 플레이트(521, 523)에 열 센서(56)를 설치해도, 보이스 코일(513)의 온도와는 차이가 많이 나는 값밖에 측정되지 않는 것을 실험에 의해 알았다.
캡(512)의 상면(512A)은 평평한 면이며, 또한, 열 센서(56)를 설치하기 위하여 필요한 면적을 갖고 있으므로, 보빈(511)에 비하여 열 센서(56)를 설치하기 쉽이다. 또한, 캡(512)은 알루미늄 소재의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25℃의 온도에서의 열전도율이 철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에 비하여 크다. 그로 인해, 캡(512)은, 이들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열을 전달하기 쉬워 보이스 코일(513)의 온도에 가까운 값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열 센서(56)는, 캡(512)의 하측의 면에 설치되어도 된다. 열 센서(56)에 접속하는 배선을 보빈(511)과 요오크(523)의 사이에 통과시키면, 배선이 요오크(523)에 접촉하거나, 자로 공간(525)의 자력 및 배선을 흐르는 전류에 의해 힘이 발생하여 울림판(7)에 가해야 할 힘이 변화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열 센서(56)에 접속하는 배선을, 캡(512)에 설치한 상면(512A)까지 관통하는 구멍을 통과하여 배치함으로써, 보빈(511)과 요오크(523)의 사이에 배선을 통과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캡(512)에 설치된 열 센서(56)는, 측정한 온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도 14에서 도시한 제어부(11)에 공급한다. 제어부(11)는, 열 센서(56)로부터 공급된 데이터가 나타내는 온도가 임계값보다도 큰 경우, 신호 발생부(15)가 출력하는 구동 신호를, 보이스 코일(513)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적어지는 구동 신호, 구체적으로는 보이스 코일(513)에 흐르는 전류가 적어지는 구동 신호로 하도록 신호 발생부(15)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열 센서(56)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임계값보다도 커질수록 보이스 코일(513)로부터 열이 발생했을 때, 그 열을 적게 하여 보이스 코일(513)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는, 단계적으로 구동 신호를 변화시켜서 보이스 코일(513)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단계적으로 적게 하도록 신호 발생부(15)를 제어해도 된다.
(변형예5)
캡(512)은 방열을 하기 쉬운 형상으로 해도 된다. 보이스 코일(513)에서 발생한 열은, 톱 플레이트(521, 523) 또는 보빈(511)을 경유하여 공기에 방사된다. 톱 플레이트(521, 523)를 경유할 경우, 이들 요오크는, 보빈(511)에 비하면, 표면적이 크므로 많은 열을 방사할 수 있지만, 보이스 코일(513)과의 사이가 공기에 의해 이격되어 있으므로, 전달되어 오는 열의 양이 적다. 한편, 보빈(511)은, 이들 요오크에 비하면, 보이스 코일(513)과 직접 접촉하고 있으므로 전달되어 오는 열의 양은 크지만, 공기와 접촉하고 있는 면적이 작으므로, 방출할 수 있는 열이 적다. 단, 보빈(511)에 전달되어 온 열은 캡(512)에도 전해지므로, 거기에서 공기에 방사되게 된다. 따라서, 방열을 보다 많이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캡(512)을 방열하기 쉬운 형상으로 해도 된다.
도 19는, 본 변형예에 관한 캡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캡(512t)은 알루미늄 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면(512At)에 복수의 핀(512E)을 갖는다. 핀(512E)은 상면(512At)보다도 상측으로 돌출한 부분이다. 캡(512t)은, 이들 핀(512E)에 의해,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한 캡(512)보다도 표면적이 커진다. 그로 인해, 캡(512t)은, 캡(512)과 같이 핀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방열하기 쉽다. 또한, 캡은, 핀을 갖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요컨대 방열하기 쉬운 형상이면 된다. 또한, 보이스 코일(513)로부터 전달되어 온 열은 샤프트(514) 및 너트(515)에도 전해지므로, 방열을 보다 많이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이들도 회전시켜서 이동시키기에 지장없는 범위에서 방열하기 쉬운 형상으로 해도 된다.
(변형예6)
진동 부재(51)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스페이서(516)를 갖고 있었지만, 이것을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샤프트(514)의 상면이 직접 울림판(7)에 접속하게 된다. 보빈(511), 캡(512) 및 샤프트(514)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모두 알루미늄 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진동 부재(51)가 스페이서(516)를 거치지 않고 울림판(7)에 접속되면, 스페이서(516)를 거치는 경우에 비하여, 보이스 코일(513)로부터 발생한 열을 울림판(7)에 많이 전달하게 되고, 특히 울림판(7)이 상술한 실시 형태와 같이 목재로 형성되어 있으면, 울림판(7)이 열에 의한 영향을 보다 많이 받게 된다. 이것은, 너트(515), 캡(512)의 일부 또는 샤프트(514)의 일부 등에 스페이서(516)보다도 열전도율이 작은 것을 사용해도 동일하다. 요컨대, 진동 부재(51)가, 스페이서(516)와, 스페이서(516)보다도 열전도율이 큰 부분을 갖는 것이라면, 스페이서(516)를 거쳐서 울림판(7)에 전해지는 열이 스페이서(516)를 거치지 않고 울림판(7)에 열이 전해지는 경우에 비하여 적어지고, 울림판(7)에의 열에 의한 영향이 적어진다.
한편, 예를 들어 보이스 코일(513)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적은 등의 이유로 울림판(7)에의 열에 의한 영향이 문제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페이서(516)를 거치지 않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수지인 스페이서(516)를 거치지 않는 만큼, 스페이서(516)를 샤프트(514)와 울림판(7)의 사이에 끼우는 경우에 비하여, 에너지의 손실이 작아지고, 진동 부재(51)의 진동에 의해 울림판(7)에 부여하는 힘이 커진다.
(변형예7)
보빈(511), 캡(512), 샤프트(514), 너트(515) 및 스페이서(516)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는 상이한 재료로 각각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보빈(511), 캡(512) 및 샤프트(514)는, 알루미늄 소재의 금속이 재료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구리 등을 재료로 해도 되고, 수지나 플라스틱 등을 재료로 해도 된다. 어느 쪽의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강도, 중량, 비자성체인지 아닌지, 내열성의 유무 등이, 보이스 코일형의 액추에이터로서 요구되는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사용되어 있으면 된다.
(변형예8)
샤프트(514)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는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도 20은, 본 변형예에 관한 샤프트의 일례인 샤프트(514u)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샤프트(514u)는, 관상의 관상 부재(514u1)와, 축방향A2로 연신하는 연신 부재(514u2)와, 볼트(514u3)를 갖는다. 연신 부재(514u2)는, 관상 부재(514u1)의 내경보다도 직경이 작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원기둥부와, 원 중간부에 연속하는 수나사가 형성된 수나사부를 갖는다. 연신 부재(514u2)는, 캡(512)의 구멍부(512G)에 수나사부가 나사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를 사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연신 부재(514u2)의 원기둥부에는, 축방향A2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1개의 구멍이 뚫려 있다. 관상 부재(514u1)는, 축방향A2의 한쪽 단부가 접착제 등으로 스페이서(516)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관상 부재(514u1)에는, 축방향A2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부재 전체를 관통하는 구멍이, 축방향A2와 상이한 위치에서 복수 개소(예를 들어, 4군데)에 뚫려 있다. 관상 부재(514u1) 및 연신 부재(514u2)에 뚫려 있는 이들 복수의 구멍에는 암나사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볼트(514u3)가 나사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볼트(514u3)의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관상 부재(514u1)의 외경보다도 길게 되어 있고, 관상 부재(514u1)를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관상 부재(514u1)의 내측에는 연신 부재(514u2)의 원기둥부가 삽입되어 있고, 관상 부재(514u1)에 뚫려 있는 구멍 중 어느 하나와 원기둥부에 뚫려 있는 구멍이 일렬로 배열된 상태에서 이들 구멍에 볼트(514u3)가 나사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연신 부재(514u2) 및 관상 부재(514u1)가 고정되어 있다. 샤프트(514u)는, 볼트(514u3)를 나사 삽입하는 관상 부재(514u1)측의 구멍을 바꿈으로써, 캡(512)으로부터의 높이를 복수 단계(예를 들어, 4단계)로 바꿀 수 있다.
도 21은, 본 변형예에 관한 샤프트의 일례인 샤프트(514V)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샤프트(514V)는, 관상의 관상 부재(514V1)와, 축방향A2로 연신하는 연신 부재(514V2)와, 2개의 볼트(514V3)를 갖는다. 관상 부재(514V1)는, 축방향A2에 직교하는 방향에 부재 전체를 관통하는 구멍이 4군데가 아니라 1군데에 뚫려 있는, 즉 그 방향에 대향하는 2개의 구멍이 뚫려 있을 뿐인 점을 제외하고 상기 관상 부재(514u1)와 공통되어 있다. 연신 부재(514V2)는, 원기둥부에 구멍이 뚫려 있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상기 연신 부재(514u2)와 공통되어 있다. 볼트(514V3)의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관상 부재(514V1)의 구멍으로부터 나사 삽입되었을 때, 그 선단이 연신 부재(514V2)의 원기둥부에 닿는 길이로 되어 있다. 샤프트(514V)에 있어서는, 관상 부재(514u1)의 내측에 연신 부재(514u2)의 원기둥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2개의 볼트(514V3)가 관상 부재(514V1)의 2개의 구멍에 각각 나사 삽입되고, 각각의 선단이 원기둥부에 가압됨으로써 관상 부재(514V1)와 연신 부재(514u2)가 서로 고정되어 있다. 샤프트(514V)는, 2개의 볼트(514V3)의 각 선단이 원기둥부에 가압되는 위치를 바꿈으로써, 캡(512)으로부터의 높이를 연속적으로 바꿀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관한 샤프트는, 캡(512)으로부터의 높이를 바꿀 수 있으므로, 그 샤프트를 갖는 진동 부재는, 보빈(511)부터 스페이서(516)의 상면(516A)까지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범위가 되도록 접속 단부를 보빈(511)에 대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에 의해, 상술한 접속 부재, 즉, 캡(512), 샤프트, 너트(515) 및 스페이서(516)는, 보빈(511)에 설치한 보이스 코일(513)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자로 공간(525)에서의 소정의 위치에 맞출 수 있도록 하면서, 울림판(7)에 대하여 접속 단부가 접속되도록 전체의 길이를 조정하여 고정하게 된다. 요컨대, 샤프트는, 그것을 포함하는 접속 부재가 상기한 바와 같이 전체의 길이를 조정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으면, 어떤 형상의 것이어도 된다.
(변형예9)
샤프트 이동 범위의 상측 한계 위치로서 샤프트(514)의 하단부가 구멍부(512G)의 하단부보다도 상측이 되는 위치가 정해져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의 접속 부재가, 보빈(511)에 설치한 보이스 코일(513)을, 자로 공간(525)에서의 소정의 위치에 맞출 수 있도록 하면서, 울림판(7)에 대하여 접속 단부가 접속되도록 전체의 길이를 조정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으면 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소정의 위치에 맞추다는 것은, 바꿔 말하면, 보이스 코일(513)과 톱 플레이트(521)가 소정의 위치 관계가 되는 것이며, 예를 들어 보이스 코일(513)이 톱 플레이트(521)와 대향하는 것이다.
(변형예10)
도 6에 도시하는 설치 작업에 있어서, 스텝S11에서 행하여지는 작업은, 스텝S14의 작업보다도 전에 행하여졌으면, 다른 작업(스텝 S12, S13)의 후에 행하여져도 된다. 요컨대, 고정 지그(54)는, 스텝S14에서 샤프트(514)를 이동시켜서 스페이서(516)를 울림판(7)에 접속할 때, 자기 회로 요소(52)에 대한 진동 부재(51)의 상대적 위치 관계가, 코일장 중심 및 자로 폭 중심이 대략 일치하는 상태가 되어 있는 것을, 자동으로 또는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변형예11)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가진 장치(50)에 있어서, 댐퍼(53)가 생략되어 있어도 된다. 그 경우, 가진 장치(50)의 울림판(7)에의 설치 전에 있어서는, 진동 부재(51)의 어셈블리와 자기 회로 요소(52)의 어셈블리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도 6에서의 스텝 S13, S14의 공정을 스텝S12 전에 행하고, 진동 부재(51)의 어셈블리를 먼저 울림판(7)의 정보 정위치에 설치한다. 그리고나서, 스텝 S12의 공정을 행하고, 자기 회로 요소(52)의 자로 공간 내에 보이스 코일(513)을 구비한 보빈(511)이 적절하게 들어가도록 하여 자기 회로 요소(52)를 지지부(55)에 설치한다. 그리고, 스텝S14의 공정을 행하고, 자기 회로 요소(52)에 대한 진동 부재(51)의 상대적 위치 관계가, 코일 길이 중심 및 자로 폭 중심이 대략 일치하는 상태가 되도록 샤프트(514)의 길이 조정을 행한다.
[제2 실시예를 따른 가진 장치]
도 2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진 장치(50A)의 외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제2 실시예에 관한 가진 장치(50A)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 관한 가진 장치(50)가 갖는 설치용의 샤프트(514)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제2 실시예에 관한 가진 장치(50A)는, 이것을 울림판(7)에 설치하기 위한 구조가 상술한 제1 실시예에 관한 가진 장치(50)와는 상이하지만, 그 밖의 가진 장치로서의 본래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구조는 동일해도 된다. 따라서, 이하의 제2 실시예에 관련된 설명 및 도면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 참조 번호는 동일 기능 및/또는 동일 기능의 부품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재차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2에 도시하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 가진 장치(50A)의 진동부(51)는 보빈(511)과 캡(512)으로 구성된다. 캡(512)은 보빈(511)의 선단에 설치된 원반 형상의 단부 부재이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부 부재인 캡(512)의 상면(512A)이 울림판(7)에 접속되는 「접속 단부」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하는 가진 장치(50A)의 종단면도이다. 이 제2 실시예에 관한 가진 장치(50A)가 도 5에 도시한 제1 실시예에 관한 가진 장치(50)와 상이한 점은, 도 5에서의 참조 번호 514, 515, 516의 설치용 부품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점, 보빈(511)의 캡(512)의 중심부의 구멍(512G´)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 캡(512)의 재질, 및 요오크(523)의 원반부(523E) 및 원기둥부(523F)에 관통 구멍(523G)이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도 23에서의 그 밖의 구조는, 도 5에 도시한 것과 대략 동일하다.
도 22, 도 23 등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서의 캡(512)은 수지 등의 소재로 형성되어 있고, 보빈(511)의 상측에 개구하는 부분(개구부)에 고정되어 이 개구부를 막고 있다. 캡(512)은 상측부 및 하측부의 중심을 관통하는 구멍(512G´)을 갖고 있다. 구멍(512G´)의 축선B1은, 보빈(511)의 축선B2와 겹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요오크(523)는, 원반부(523E) 및 원기둥부(523F)의 양쪽을 축방향A3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523G)을 갖는다. 즉, 관통 구멍(523G)은 자기 회로 요소(52)를 축방향A3으로 관통하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관통 구멍(523G)은, 캡(단부 부재)(512)을 울림판(7)에 접속하기 위한 나무 나사(고정 부재)(61)의 통과를 허용하는 내경 사이즈를 갖고 있다. 또한, 캡(512)의 상기 구멍(512G´)은, 요오크(523)의 관통 구멍(523G)에 대응하는 위치에 축선이 일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구멍(512G´)은, 나무 나사(고정 부재)(61)의 나사 부분을 관통하기 위한 구멍이지만, 캡(단부 부재)(512)의 상기 구멍(523G)에 대향하는 면에 있어서, 나무 나사(고정 부재)(61)를 설치해야 할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마크로서 기능한다.
계속해서, 제2 실시예에서 작업자가 가진 장치(50A)를 그랜드 피아노(1)에 설치할 때에 행하는 작업의 수순에 대해서, 도 24부터 도 27까지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4는, 가진 장치(50A)의 설치 작업의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술과 마찬가지로, 가진 장치(50A)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피아노(1)를 제공하여도 이 피아노의 소정 부위(예를 들어, 수직 스트럿(9))에 지지부(55)를 설치한다. 상기 도 6과 마찬가지로, 도 24에 나타내는 수순은, 수직 스트럿(9)에 지지부(55)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개시된다. 작업자는, 고정 지그를 자기 회로 요소(52)에 설치한다(스텝S21). 이 제2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사용한 고정 지그(54)(도 7)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5는, 고정 지그(54)에 의해 진동 부재(51)의 자기 회로 요소(52)에 대한 위치 및에 방향이 제한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8에 도시한 예와 마찬가지로, 고정 지그(54)는, 톱 플레이트(521)의 상면(521A)에 하면(54B)을 접촉시켜서 설치되고, 톱 플레이트(521)로부터의 흡인력(자기 흡인력)에 의해 상면(521A)에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 지그(54)는, 그 직선부(541 및 542)의 사이에(즉, U자의 내측 공간 내에) 보빈(511)을 끼우도록 설치된다.
도 24로 되돌아간다. 계속해서, 작업자는, 캡(512)을 울림판(7)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접촉시킨다(스텝S22). 이 위치는, 가진 장치(50A)가 울림판(7)에 진동을 추가하는 위치로서 미리 정해져 있고, 예를 들어 도 3에서의 브릿지(6H) 또는 브릿지(6L)와 울림판(7)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의 위치이다. 이어서, 작업자는, 자기 회로 요소(52)를 지지부(55)에 지지시킨다(스텝S23). 스텝S23은, 본 발명에 관한 「지지 스텝」의 일례이다.
도 26은, 자기 회로 요소(52)가 지지부(55)에 지지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에 있어서는, 가진 장치(50A), 울림판(7), 브릿지(6) 및 지지부(55)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서, 울림판(7), 브릿지(6) 및 지지부(55)의 위치를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26에서는, 브릿지(6)의 폭 방향A4가 도면의 좌우 방향이 되도록 본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브릿지(6)는 울림판(7)의 상면(7A)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울림판(7)의 하면(7B)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진 영역(C1)이 미리 정해져 있다. 또한, 지지부(55)에는, 설치 작업 시에, 작업원의 손에 든 드라이버(62)를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적당한 개구(55a)가 설치된다.
톱 플레이트(521)에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에 관통하는 도시하지 않은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그 구멍의 내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55)에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에 관통하는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그 구멍의 내측에도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양단측에 수나사가 형성된 복수의 지지 막대(551)와 그것에 나사 결합하는 복수의 너트(552)의 조합에 의해, 자기 회로 요소(52)가 지지부(55)에 고정된다. 이렇게 해서,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지부(55)에 의해 지지된 자기 회로 요소(52)의 하중은, 지지부(55)를 거쳐서 수직 스트럿(9)에 걸린다.
작업자가 스텝S23의 작업을 행할 때, 진동 부재(5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지그(54)에 의해 캡(512)의 하면(512B)이 고정 지그(54)의 상면(54A)과 접촉하는 위치, 즉, 코일 길이 중심 및 자로 폭 중심이 겹쳐지는(대략 일치하는) 위치보다도 하측에 이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하면(512B)과 상면(54A)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진동 부재(51)의 자기 회로(52)에 대한 법선 방향(A1)에서의 상대적인 위치가 원하는 관계가 되는 상태에서 자기 회로 요소(52)를 지지부(55)에 지지시킬 수 있다.
도 24로 되돌아간다. 계속해서, 작업자는, 고정 지그(54)를 제거한다(스텝S24). 그리고, 작업자는, 캡(512)을 울림판(7)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예를 들어, 나무 나사)를, 캡(512)에서 그 고정 부재를 설치하는 개소까지 이동시키고(스텝S25), 그 설치 개소 및 울림판(7)에 고정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캡(512)을 울림판(7)에 고정한다(스텝S26). 스텝S25는 본 발명에 관한 「이동 스텝」의 일례이며, 스텝S26은 본 발명에 관한 「고정 스텝」의 일례이다. 스텝 S25, S26에서 작업자가 행하는 작업의 상세에 대하여 도 2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7은, 캡(512)이 울림판(7)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캡(512)은 구멍(512G) 및 울림판(7)에 설치된 고정 부재인 나무 나사(61)에 의해 울림판(7)에 고정되어 있다. 나무 나사(61)는 놋쇠 또는 스테인리스 등의 비자성체의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고, 헤드부의 직경이 캡(512)의 구멍(512G)의 직경보다도 크다. 여기에서 비자성체란, 강자성체가 아닌 물체를 말한다. 나무 나사(61)는, 구멍(512G)를 통과하여 울림판(7) 및 브릿지(6)에 나사 삽입되어 있다. 캡(512)은, 나무 나사(61)의 헤드부에 의해 울림판(7)에 가압됨으로써, 울림판(7)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나무 나사(61)의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헤드부측(나무 나사(61)의 근본이라고 함)의 직경은 구멍(512G)의 직경과 일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도 27의 상태에서는, 구멍(512G)의 하측의 개구부에 나무 나사(61)의 뿌리가 정확히 들어가 있다. 즉, 나무 나사(61)가 나사 삽입된 위치에 대하여, 캡(512)이 고정되는 위치가 1개소에 정해지도록 되어 있다.
나사 돌리기용의 드라이버(62)는 놋쇠 또는 스테인리스 등의 비자성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고, 선단의 형상이 나무 나사(61)의 나사 구멍 형상에 대응하고 있다. 예를 들어, 나사 구멍이 플러스이면 플러스, 마이너스이면 마이너스 형상으로 되어 있다. 작업자는, 스텝S25에 있어서, 드라이버(62)를 사용하여 작업을 행한다. 작업자는, 드라이버(62)의 선단에 나무 나사(61)를 끼워넣고 요오크(523)를 관통하는 구멍(523G)에 드라이버(62)의 선단을 삽입한다. 도 23에 도시하는 나무 나사(61)가 구멍(512G) 및 울림판(7)에 설치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댐퍼(53)에 의한 연결을 위해서 보빈(511)의 축선B2와 요오크(523)의 축선B3이 대략 겹쳐진(대략 일치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캡(512)의 구멍(512G)의 축선이 구멍(523G)의 축선에 대략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작업자는, 구멍(523G)에 삽입한 나무 나사(61)가 구멍(523G)을 통과하여 구멍(512G)에 도달할 때까지 드라이버(62)를 사용하여 나무 나사(61)를 이동시킨다.
작업자는, 나무 나사(61)가 구멍(512G)에 도달하여 울림판(7)에 접촉하면, 드라이버(62)를 회전시켜서 나무 나사(61)를 울림판(7)에 나사 삽입되게 한다. 이 때, 드라이버(62)는 나무 나사(61)를 계속 누르면서 회전시키므로, 드라이버(62)와 나무 나사(61)는 대략 일직선이 된다. 이로 인해, 구멍(523G)의 축방향A3에 구멍(512G)이 위치하는 상태를 유지한 채, 나무 나사(61)가 구멍(512G) 및 울림판(7)에 설치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나무 나사(61)가 나사 삽입된 위치에 대하여, 캡(512)이 고정되는 위치가 1개소에 정해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스텝S25의 작업을 개시할 때, 구멍(512G)의 축선B1과 축선B3이 어긋나 있었다고 해도, 나무 나사(61)가 울림판(7)에 나사 삽입됨에 따라, 나무 나사(61)의 뿌리가 구멍(512G)의 하측의 개구부에 정확히 들어가게 된다. 그 결과, 구멍(512G) 및 구멍부(523G)가 일직선으로 배열되고, 구멍(512G)의 축선B1과 요오크(523)의 축선B3이 겹치게 된다. 축선B1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보빈(511)의 축선B2와 겹쳐진 상태로 되어 있다. 즉, 작업자가 스텝S25의 작업을 행함으로써, 보빈(511) 및 요오크(523)는 축 맞춤이 이루어져 있는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보빈(511)과 요오크(523)가 접촉하지 않도록 가진 장치(50A)를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진동 부재(51)가 진동했을 때, 축 맞춤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보빈(511)이 요오크(523)에 접촉하기 어려워진다.
물체가 구멍(523G)을 통과하여 구멍(512G)까지 도달할 때까지 그 물체를 이동시키는 경우, 그 물체도, 그 물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도, 자기 회로 요소(52)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자로를 통과하게 된다. 그 물체 및 기구가 자성체이었던 경우, 이 자로에 의해 발생하는 흡인력에 의해 요오크(523)에 끌어 당겨져서 이동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한편, 나무 나사(61) 및 드라이버(62)는 모두 상기한 바와 같이 비자성체이며, 양쪽 구멍을 통과할 때에 자로의 자력에 의해 받는 힘을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것이 된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나무 나사(61) 및 드라이버(62)가 자로로부터 받는 힘을 신경쓰지 않고 스텝S25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캡(512)이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울림판(7)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울림판(7)은, 보빈(511)이 상방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상방으로 눌리고, 보빈(511)이 하방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보빈(511)이 이격되지 않고, 보빈(511)에 의해 하방으로 인장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보빈(511)에서의 진동은, 울림판(7)을 거쳐서 브릿지(6)에 가해지고, 나아가, 현(5)에 전달된다.
보빈(511) 및 캡(512)은 본 발명에 관한 「보빈부」의 일례이며, 나무 나사(61)는 본 발명에 관한 「고정 부재」의 일례이다. 또한, 캡(512)은, 보빈부의 한쪽의 단부를 덮는 것이며, 본 발명에 관한 「덮개부」의 일례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보빈부는, 축방향A2의 한쪽의 단부가 비자성체의 고정 부재에 의해 울림판(7)에 고정된다. 또한, 자기 회로 요소(52)는, 도 5에 도시하는 보빈부의 내주면(511C)보다 안과 외주면(511D)보다 밖의 사이에 자로 공간(525)을 형성하는 자로 형성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자기 회로 요소(52)의 요오크(523)가 갖는 구멍(523G)은, 본 발명에 관한 「구멍」의 일례이다. 구멍(523G)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로 형성부를 축방향A3으로 관통하고, 한쪽의 단부가 원통부(523F)로부터 보빈부의 내측의 공간에 개구하고 있다. 이 원통부(523F)는, 자로 형성부의 보빈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부분이다. 축방향A3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방향」의 일례이다. 또한, 구멍(523G)은, 도 6의 스텝S25에서 설명한 대로, 나무 나사(61)가 통과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보빈부(엄밀하게는, 그 중의 캡(512))는, 축방향A3으로 관통하는 구멍(512G)을 갖는다. 구멍(512G)은, 나무 나사(61)를 설치하는 위치인 것을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에 관한 「지시 영역」의 일례이다. 구멍(512G)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멍(523G)의 축방향A3에 위치한 경우에 보빈부와 자로 형성 수단이 접촉하지 않는 상태인 것을 도시하도록 되어 있다.
자기 회로 요소(52)는, 지지부(55)에 의해 지지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보이스 코일(513)이 발생시킨 구동력은, 대부분이 보빈(511)의 진동을 위한 추력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자기 회로 요소(52)는, 진동 부재(51)와 공간에 의해 이격된 위치 관계, 또한, 울림판(7)과 접촉하지 않도록 지지부(55)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진동 부재(51)는, 자기 회로 요소(52)와 공간에 의해 이격되어 있으므로, 울림판(7)에 고정됨으로써 울림판(7)에 지지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형태로 가진 장치(50A)가 지지부(55)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울림판(7)에 대하여 진동 부재(51) 이외의 하중이 걸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술과 마찬가지로, 지지부(55)가 자기 회로 요소(52)를 지지하는 형태에 대해서는, 울림판(7)에 대하여 진동 부재(51) 이외의 하중이 걸리지 않도록 되어 있으면, 어떤 형태이어도 된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도, 도 14,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1 실시예에서의 제어 장치(10) 및 그랜드 피아노(1)의 기능 구성과 동일한 제어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변형예]
상술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일례에 지나지 않고, 이하와 같이 변형시켜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이하에 나타내는 각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 조합하여 실시해도 된다.
(변형예12)
캡(512)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 부재로서 나무 나사(61)를 사용하여 울림판(7)에 고정되었지만, 그 이외의 것을 고정 부재로서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캡(512)은, 볼트 및 너트나, 못을 사용하여 울림판(7)에 고정되어도 되고, 접착제로 울림판(7)에 고정되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캡(512)의 중앙부가 구멍(512G´)을 통과시킨 나무 나사 등으로 고정되고, 상면(512A)의 외주측의 단부가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면 된다. 상면(512A)의 외주측의 단부에는, 보빈(511)에 의해 하측을 향하여 인장하는 힘도 가해진다. 그 단부를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함으로써, 상면(512A)의 외주측의 단부가 울림판(7)으로부터 이격되어 부상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변형예13)
나무 나사(61)를 사용하여 캡(512)을 울림판(7)에 고정할 때, 와셔(받침쇠)가 사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 캡(512)의 하측에 와셔를 배치하여 나무 나사(61)를 와셔와 구멍(512G´)을 통과하여 울림판(7)에 나사 삽입되게 한다. 이에 의해, 와셔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나무 나사(61)가 풀리기 어려워진다.
(변형예14)
보빈(511)에 설치하는 캡은, 상술한 실시 형태의 캡(512)과는 상이한 형상을 한 것이어도 된다. 도 28은, 본 변형예에 관한 캡의 일례인 캡(512m)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의 (a)에서는, 캡(512m)이 나무 나사(61)에 의해 울림판(7)에 고정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캡(512m)은, 캡(512)을 외주측으로부터 중앙부측으로 감에 따라 하측으로 오목해지도록 변형시킨 형상을 하고 있다. 도 28의 (b)에서는, 캡(512m)의 구멍(512Gm)에 나무 나사(61)를 통과시켜서 울림판(7)에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캡(512m)은, 나무 나사(61)에 의해 울림판(7)측에 가압됨으로써, 오목해져 있었던 중앙부도 화살표 방향으로 들어올려져서 울림판(7)과 접촉하도록 변형된다.
예를 들어, 변형예(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캡을 접착제와 나무 나사(61)를 사용하여 울림판(7)에 고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작업자는, 도 24의 스텝S23에서 자기 회로 요소(52)를 지지부(55)에 고정한 후, 도 28의 (a)의 상태가 되어 있는 캡(512m)과 울림판(7)의 간극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접착제를 주입하는 기구(63)를 사용하여 구멍(512Gm)으로부터 접착제를 유입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스텝S15에서 도 28의 (b)와 같이 나무 나사(61)를 사용하여 캡(512m)을 울림판(7)에 가압한다. 이 때, 유입된 접착제가 상면(512Am)과 울림판(7)의 사이에서 퍼지게 된다. 이렇게 해서, 작업자는, 나무 나사(61) 및 접착제에 의해 캡(512m)을 울림판(7)에 고정한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작업자는, 캡(512m)을 나무 나사와 접착제로 고정하는 경우에도, 스텝S24까지는 접착제를 상면(512Am)에 도포하지 않고 작업함으로써, 캡(512m)의 엄밀한 위치를 신경쓰지 않고 자기 회로 요소(52)를 지지부(55)에 지지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자기 회로 요소(52)를 지지시킨 후, 즉 스텝S15에 있어서, 예를 들어 울림판(7)과 상면(512Am)의 간극에 옆에서 기구(63)를 삽입하여 상면(512Am)에 남김없이 접착제를 도포하는 경우에 비하여 용이하게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보빈(511)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캡(512)이 사용되고 있었지만, 이 단부에 설치되는 것은 캡과 같이 개구부를 막는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9는, 보빈(511)의 단부에 설치되는 부재(512n)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부재(512n)는 상면(512An)을 갖는다. 도 29는, 상면(512An)측에서 본 부재(512n)를 도시하고 있다. 부재(512n)는, 구멍(512Gn)과, 구멍(512Gn)의 주위를 둘러싸는 바와 같은 형상의 구멍 영역(512H)을 갖는다. 부재(512n)가 보빈(511)의 상측 단부에 설치되면, 보빈(511)의 내부는 구멍 영역(512H)을 거쳐서 외부에 개구하는 상태가 된다. 부재(512n)는, 예를 들어 구멍(512Gn) 및 울림판(7)에 설치한 나무 나사(61)와, 상면(512An)에 도포한 접착제에 의해 울림판(7)에 고정하면 된다. 요컨대, 보빈(511)에 설치되는 부재는, 캡(512)이나 부재(512n)와 같이, 나무 나사(61)를 설치하는 구멍을 갖는 것이면 된다.
또한, 구멍(512G´)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캡(512)을 축방향A2로 관통하고 있었지만, 관통하고 있지 않은 것이어도 된다. 도 30은, 본 변형예에 관한 캡의 일례인 캡(512p)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0의 (a)에서는, 나무 나사(61)가 설치되기 전의 캡(512p)이 도시되어 있다. 캡(512p)은, 하면(512Bp)측에 구멍(512Gp)을 갖는다. 구멍(512Gp)은, 하면(512B)을 원추 형상으로 오목해지게 한 형상이며, 상면(512Ap)까지는 관통하고 있지 않다. 구멍(512Gp)부터 상면(512Ap)까지는, 나무 나사(61)의 선단을 나사 삽입함으로써, 도 3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무 나사(61)가 이 부분의 수지에 구멍을 뚫어서 캡(512p)을 관통시킬 수 있을 정도의 두께가 되어 있다. 요컨대, 캡이 갖는 구멍은, 나무 나사(61)를 설치하는 위치인 것을 특정하는 마크로서 기능하고, 또한, 나무 나사(61)를 설치함으로써 캡을 울림판(7)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면, 관통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상술한 캡(512m), 부재(512n) 또는 캡(512p)과 보빈(511)은, 모두 본 발명에 관한 「보빈부」의 일례이다.
(변형예15)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자는, 도 24의 스텝S22에 있어서, 캡(512)의 상측 상면(512A)을 울림판(7)에 접촉시킬뿐이었지만, 예를 들어 스텝S23부터 S25까지의 작업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상면(512A)의 울림판(7)에 접촉하는 위치를 비켜놓을 수 있을 정도로 굳어질 때까지 시간이 걸리는 접착제를 사용해도 된다. 이 접착제는, 완전히 굳어지기 전이어도, 예를 들어 댐퍼(53)의 휨에 의해 가해지는 힘으로는 울림판(7)과 상면(512A)이 접촉하는 위치가 어긋나지 않을 정도로 캡(512)을 고정한다. 이에 의해, 스텝S23의 작업중에 약간 자기 회로 요소(52)가 기울기만 해도 울림판(7)과 상면(512A)이 접촉하는 위치가 어긋나는 등의 현상이 억제되어, 작업자가 자기 회로 요소(52)를 지지부(55)에 고정하는 작업을 행하기 쉬워진다.
(변형예16)
제2 실시예에서의 보빈(511) 및 캡(512)은, 상술한 것과는 상이한 재료로 각각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보빈(511)은 알루미늄 소재의 금속을 재료로 하여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구리 등을 재료로 해도 되고, 수지나 플라스틱 등을 재료로 해도 된다. 또한, 캡(512)은 수지를 재료로 하여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알루미늄 소재나 구리 등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을 재료로서 사용해도 된다. 어느 쪽의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강도, 중량, 비자성체인지 아닌지, 내열성의 유무 등이, 보이스 코일형의 액추에이터로서 요구되는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사용되어 있으면 된다.
(변형예17)
자기 회로 요소(52)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는 상이한 방법으로 지지부(55)에 고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톱 플레이트(521) 대신에 요오크(523)에 상측의 면부터 하측의 면까지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여 지지 막대(551) 및 복수의 너트(552)에 의해 지지부(55)에 고정되어도 된다. 또한, 도 26에서는, 자기 회로 요소(52)가 지지부(55)와 접촉하고 있지 않지만, 이들을 접촉시켜서 고정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지지부(55)의 축방향A2의 위치(높이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하고, 그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진동 부재(51) 및 자기 회로 요소(52)의 축방향A2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높이 위치)가 이상적인 상태를 유지한 채, 가진 장치(50A)를 울림판(7)에 설치할 수 있다.
(변형예18)
제1 실시예의 상기 변형예1(도 16)과 마찬가지로, 제2 실시예에 있어서도, 고정 지그는, 상술한 고정 지그(54)와는 상이한 형상이어도 되고, 상기 도 16에 도시한 고정 지그(54q)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1은,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 16에 도시한 고정 지그(54q)와 동일한 것을 사용한 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작업자는, 도 24의 스텝S23에 있어서, 캡(512)의 상면(512A)이 울림판(7)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고정 지그(54q)의 상면(54Aq)에 따른 위치에 보빈(511)의 상측 단부가 오도록 육안 확인하면서 자기 회로 요소(52)를 지지부(55)에 지지시킨다. 이에 의해, 코일 길이 중심 및 자로 폭 중심이 대략 일치하도록, 즉, 진동 부재(51)와 자기 회로 요소(52)의 상대 위치가 원하는 관계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과 마찬가지로, 고정 지그는, 설치했을 때의 상면(521A)으로부터의 높이가 L2가 되는 것이 아니어도 되고, 예를 들어 캡(512)의 상면(512A)의 톱 플레이트(521)(상면(521A))로부터의 높이로 되어 있어도 되고, 진동 부재(51)의 어딘가에 표시를 하여 그 표시의 상면(521A)으로부터의 높이로 되어 있어도 된다. 요컨대, 고정 지그의 상면(521A)으로부터의 높이는, 코일 길이 중심 및 자로 폭 중심이 대략 일치할 때의 진동 부재(51)의 위치를 육안 확인할 때의 기준으로 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변형예19)
제1 실시예의 상기 변형예2(도 17)와 마찬가지로, 제2 실시예에 있어서도, 고정 지그 대신에 코일 길이 중심 및 자로 폭 중심이 겹쳐질 때의 진동 부재(51)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 자기 회로 요소(52)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32는, 본 변형예에 관한 자기 회로 요소(52r)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즉, 자기 회로 요소(52r)가 갖는 톱 플레이트(521r)는, 상면(521Ar)과, 상면(521Ar)으로부터의 높이가 L2가 되는 돌기부(521E)를 상면(521Ar)에 갖고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도 24의 스텝S23에 있어서, 돌기부(521E)의 상면(521F)에 따른 위치에 보빈(511)의 상측 단부가 오도록 하면서 자기 회로 요소(52)를 지지부(55)에 지지시킨다.
(변형예20)
상기 구멍(512G´) 및 구멍(523G)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축방향A2를 따라 캡(512) 및 요오크(523)를 각각 관통하고 있었지만, 이것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어도 된다. 도 33은, 본 변형예에 관한 가진 장치(50B)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가진 장치(50B)는, 캡(512s)과 요오크(523s)를 구비한다. 캡(512s)은 구멍(512Gs)을 갖고, 요오크(523s)는 구멍(523Gs)을 갖는다. 구멍(512Gs 및 523Gs)은, 각각 축방향A2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는 방향A5를 따르고 있다. 도 33에서는, 보빈(511)과 요오크(523)의 자속선의 방향(도 23에서 파선으로 나타낸 방향)인 자속선 방향 A6, A7의 거리가 모두 L4로 되어 있다. 이것은, 도 2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빈(511)과 요오크(523)의 축 맞춤이 이루어져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 있어서, 캡(512)의 구멍(512Gs)은, 구멍(523Gs)의 방향A5에 일치하도록 비스듬히 배치되어 있다. 구멍(523Gs)이 본 발명에 관한 「구멍」의 일례이며, 캡(512)의 상면에 나타난 구멍(512Gs)의 개구가 본 발명에 관한 「지시 영역」의 일례이다. 또한, 방향A5가 본 발명에 관한 「제1 방향」의 일례이다. 이상과 같이 설치되어 있는 구멍(512Gs 및 523Gs)을 통과하여, 도 27에 도시한 드라이버(62) 및 나무 나사(61)를 비스듬하게 상방향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이들 구멍이 일직선으로 배열하고, 상기 축 맞춤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캡(512s)을 울림판(7)에 고정할 수 있다.
(변형예21)
보빈(511)의 상측 단부는 캡(512)이 설치되어 있었지만, 보빈 자체가 캡(512)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34는, 본 변형예에 관한 진동 부재(51t)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진동 부재(51t)는, 보빈(511t) 및 보이스 코일(513)을 갖는다. 보빈(511t)은 알루미늄 소재를 재료로 하여, 도 23에 도시한 보빈(511) 및 캡(512)을 합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빈(511t)은, 상측의 단부에 축방향A2로 관통하는 구멍(511Gt)을 갖는다. 보빈(511t)은, 본 발명에 관한 「보빈부」의 일례이다.
(변형예22)
자기 회로 요소(52)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는 상이한 방법으로 지지부(55)에 지지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톱 플레이트(521) 대신에 요오크(523)에 상측의 면부터 하측의 면까지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여 지지 막대(551) 및 복수의 너트(552)에 의해 지지부(55)에 지지되어도 된다. 또한, 자기 회로 요소(52)는, 도 26에서는 지지부(55)와 접촉하고 있지 않지만, 지지부(55)와 접촉된 상태로 지지되어도 된다. 또한, 지지부(55)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그랜드 피아노(1)의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었지만, 그 이외의 장소에 고정되고 있어도 되고, 예를 들어 지면(또는 바닥)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어느 쪽의 경우에도, 요컨대, 보빈(511)부터 울림판(7)까지의 거리가 상술한 단부 이동 범위에 들어가도록 자기 회로 요소(52)가 지지되도록 되어 있으면 된다.
(변형예23)
진동 부재(51), 자기 회로 요소(52) 및 댐퍼(53)는 모두 도 23에 도시한 법선 방향(A1)으로 보았을 때에 원형이 되는 형상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형상은, 예를 들어 타원이나 사각형이어도 된다. 요컨대, 보이스 코일에 입력된 구동 신호가 나타내는 파형에 따라 진동 부재(51)가 진동하도록 되어 있으면, 상기 형상은 어떤 형상이어도 된다. 그 경우에도, 상술한 원통부(523F)와 같이 자로 형성부의 보빈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부분은, 보빈부의 내측과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고, 상술한 요오크(523)와 같이 자로 형성부의 보빈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부분은, 보빈부의 외측과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변형예24)
보빈(511)의 단부에 결합하고, 울림판(7)에 접속되기에 적합한 단부 부재(캡(512))의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평판 형상의 캡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보빈(511)의 선단으로부터 어느 정도 상방으로 연장한 길이 형상의 중공 로드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그 경우, 중공 로드의 선단면은 폐쇄되어 있으며 나사용의 구멍(512G')이 설치된다. 중공 로드를 위해서, 고정 부재인 나무 나사(61)는 상기 로드 내를 통과하여 선단면의 구멍(512G')에 도달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진 장치]
도 3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진 장치(50C)의 종단면도이다. 이 제3 실시예에 관한 가진 장치(50C)는, 진동 부재(51)를 울림판(7)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 길이 조정 가능한 접속용 샤프트(514A)의 구조가, 상술한 제1 실시예에 관한 가진 장치(50)가 갖는 샤프트(514)의 구조와 상이하다. 이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진 장치(50C)는, 그 밖의 가진 장치로서의 본래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구조는, 제1 또는 제2의 실시예에 관한 가진 장치(50, 50A)와 동일해도 된다. 따라서, 이하의 제3 실시예에 관련된 설명 및 도면에 있어서, 상술한 제1 또는 제2의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 참조 번호는 동일 기능 및/또는 동일 기능의 부품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재차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5에 있어서, 보이스 코일(511)의 보빈(513)의 상단부에, 비자성 소재로 이루어지는(알루미늄 또는 합성 수지 등) 하우징(517)이 결합되어 있다. 하우징(517)은, 상부 개구(517a)와 하부 개구(517b)를 갖고, 내부에 척(518)을 구비하고 있다. 척(518)은 수나사부(518a)와 암나사부(518b)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축심 부분은 파지 대상인 샤프트(514A)를 통과하기 위한 관통 구멍으로 되어 있다. 척(518)의 관통 구멍이 하우징(517)의 상부 개구(517a)에 일치하도록 수나사부(518a)가 하우징(517)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수나사부(518a)에 암나사부(518b)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통상의 척에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수나사부(518a)는, 축방향에 복수의 눈금이 형성되어 있어서, 암나사부(518b)에 의한 체결에 따라 그 내측의 관통 구멍의 직경을 작게 하고, 또한, 상기 구멍에 통과시킨 샤프트를 조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517)의 하부 개구(517b)는 척(518)의 외경보다도 적절하게 큰 사이즈를 갖고 있으며, 조립 시에 하우징(517) 내에 척(518)을 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부 개구(517b)는, 척(518)의 암나사부(518b)를 돌리기 위한 드라이버(64)가 상기 하부 개구(517b)로부터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사이즈이다. 또한, 척(518)의 암나사부(518b)의 하면에는 드라이버(64)의 선단 키부(64a)에 적합한 키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드라이버(64)의 선단 키부(64a)를 상기 키 홈 내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상기 드라이버(64)에 의해 척(518)의 암나사부(518b)를 돌릴 수 있다.
척(518)을 느슨하게 한 상태에 있어서, 하우징(517)의 상부 개구(517a)로부터 접속용 샤프트(514A)가 하우징(517) 내에 도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척(518)을 느슨하게 한 상태에 있어서는, 샤프트(514A)는 자유롭게 움직이게 할 수 있고, 하우징(517)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샤프트(514A)의 길이를 원하는 길이로 설정한 뒤에 척(518)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샤프트(514A)를 원하는 돌출 길이에서 고정할 수 있다. 접속용 샤프트(514A)의 상단부는 접속부(514Aa)로 되어 있으며, 이 접속부(514Aa)의 부분이 접착제 등에 의해 울림판(7)에 접속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진 장치(50C)에 있어서, 상기 제2 실시예와 동일하도록 요오크(523)는 원반부(523E) 및 원기둥부(523F)의 양쪽을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523G´)을 갖는다. 이 관통 구멍(523G´)을 통과하여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여 드라이버(64)를 삽입하고, 상기 드라이버(64)에 의해 척(518)의 암나사부(518b)를 돌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제3 실시예에 따른 가진 장치(50C)의 피아노(1)에의 설치 작업의 일례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술과 동일한 요령으로 지지부(55)를 소정의 위치에 설치한다. 그리고, 울림판(7)의 하면의 소정의 설치 개소에 접속용 샤프트(514A)를 단독으로 설치한다. 즉, 상단부의 접속부(514Aa)를 접착제 등으로 울림판(7)에 접속한다. 그리고나서, 상술과 동일한 요령으로 가진 장치(50C)를 지지부(55) 상에 설치한다. 이 때, 동시에, 하우징(517)의 상부 개구(517a)로부터 접속용 샤프트(514A)의 하단부를 척(518) 내에 삽입한다. 그리고, 요오크(523)의 관통 구멍(523G´)에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여 드라이버(64)를 삽입하고, 상기 드라이버(64)의 선단 키(64a)를 척(518)의 암나사부(518b)의 하면의 키 홈에 끼워넣고, 상기 드라이버(64)를 돌림으로써 척(518)을 조여서 접속용 샤프트(514A)의 위치를 고정한다. 또한, 이 때, 상기 고정 지그(54, 54q 등)를 사용해도 되고,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댐퍼(53)로 보빈(511)을 보유 지지함으로써, 상기 보빈(511)을 소정의 설치 기준 위치(이상적인 중립 위치)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톱 플레이트(521)의 상면(521A)부터 상기 보빈(511)의 상단부까지의 거리L2를, 상술한 이상적인 거리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특히, 상기 고정 지그(54, 54q 등)를 사용하지 않고, 이상적인 코일 배치를 확보할 수 있다. 물론, 체결이 종료되면, 드라이버(64)는 빼내어진다. 이러한, 체결 작업을 위하여 하방으로부터 액세스하는 방식은, 상기 제1 실시예의 샤프트(514)의 길이 조정 및 체결 작업이 가로 방향으로부터의 액세스로 행하여지는 것에 비하여, 그러한 가로 방향으로부터의 액세스가 곤란한 환경 하에서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3 실시예를 요약하면, 접속용 샤프트(514A)와 하우징(517) 및 척(518)의 부분은 보빈(511)에 결합하고, 상기 보빈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도록 구성된 접속 부재에 상당하고, 이 접속 부재는, 악기의 울림판(7)에 접속되기에 적합한 접속부(514Aa)(접속 단부)를 갖고, 또한, 그 길이가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접속 부재는, 보빈(511)에 결합된 하우징(517)(제1 부재)과, 상기 하우징(517)(제1 부재)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접속용 샤프트(514A)(제2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결합 부위를 체결하여 고정하기에 적합한 척(518)(체결구)을 구비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가진 장치]
도 3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진 장치(50D)의 종단면도이다. 이 제4 실시예에 관한 가진 장치(50D)는, 진동 부재(51)를 울림판(7)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 길이 조정 가능한 접속용 샤프트(514B)의 구조가, 상술한 제1, 제3의 실시예에 관한 가진 장치(50, 50C)가 갖는 접속용 샤프트(514, 514A)의 구조와 상이하다. 샤프트(514B)의 길이 조절을 위하여 척(519)을 사용하는 점은 제3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척(519)의 구조가 제3 실시예의 척과는 상이하다. 이하의 제4 실시예에 관련된 설명 및 도면에 있어서, 상술한 제1 내지 제3의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 참조 번호는 동일 기능 및/또는 동일 기능의 부품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재차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6에 있어서, 보이스 코일(511)의 보빈(513)의 상단부에, 비자성 소재로 이루어지는(알루미늄 또는 합성 수지 등) 캡(512´)이 결합되어 있다. 캡(512´)의 상면에는 척(519)의 수나사부(519a)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캡(512´)과 척(519)의 수나사부(519a)는 일체물이어도 되고, 다른 부재를 연결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척(519)의 수나사부(519a)에는 암나사부(519b)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척(519)의 축심 부분은 파지 대상인 샤프트(514B)를 통과하기 위한 관통 구멍으로 되어 있고, 이 관통 구멍은 캡(512´)에도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샤프트(514B)의 하단부는 상기 구멍을 앞질러서 캡(512´)의 하면보다 적절히 하방으로 돌출할 수 있다. 척(519)의 상부 개구로부터 접속용 샤프트(514B)가 척(519) 내에 삽입된다. 예를 들어, 수나사부(519a)의 선단 근방의 부분은, 축방향에 복수의 눈금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다소 외방향으로 적합하게 탄성적으로 넓어져 있다. 암나사부(519b)를 돌려서 척의 체결을 행할 때, 암나사부(519b)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수나사부(519a)의 선단 근방의 부분을 내측으로 가압하고, 그 내측의 관통 구멍의 직경을 작게 하고, 또한, 상기 구멍에 통과시킨 샤프트를 체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척(519)을 느슨하게 한 상태에 있어서는, 샤프트(514B)는 자유롭게 움직이게 할 수 있고, 캡(512´)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샤프트(514B)의 높이(길이)를 원하는대로 설정한 뒤에 척(519)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샤프트(514B)를 원하는 돌출 높이(길이)에서 고정할 수 있다. 접속용 샤프트(514B)의 상단부는 접속부(514Ba)로 되어 있으며, 이 접속부(514Ba)의 부분이 접착제 등에 의해 울림판(7)에 접속된다.
이 제4 실시예를 따른 가진 장치(50D)의 피아노(1)에의 설치 작업의 일례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술과 동일한 요령으로 지지부(55)를 소정의 위치에 설치한다. 그리고, 척(519)을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접속용 샤프트(514B)를 장착한 가진 장치(50D)를, 상술과 동일한 요령으로 지지부(55) 상에 설치한다. 이 때, 샤프트(514B)의 상단부의 접속부(514Ba)는, 울림판(7)의 하면의 소정의 설치 개소에 대응하는 배치로 되어 있다. 그리고나서, 샤프트(514B)를 위로 인상하여 상단부의 접속부(514Ba)를 접착제 등으로 울림판(7)에 접속한다. 그리고, 척(519)을 조여서 접속용 샤프트(514B)의 위치를 고정한다. 또한, 이 때, 상기 고정 지그(54, 54q 등)을 사용해도 되고,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댐퍼(53)로 보빈(511)을 보유 지지함으로써, 상기 보빈(511)을 소정의 설치 기준 위치(이상적인 중립 위치)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특히, 상기 고정 지그(54, 54q 등)를 사용하지 않고, 이상적인 코일 배치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4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척(519)의 배치를 상하 반전해도 된다. 즉, 접속부(514Ba)를 상단부에 구비한 샤프트(514B)의 형상을, 내부에 관통 구멍을 갖는 원통형으로 하고, 그 하측 근방의 부분에 척(519)의 수나사부(519a)를 도 36과는 반대로 하방향에 형성한다. 그리고, 캡(512´)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에 로드를 돌출 설치하고, 이 로드를 척(519)의 관통 구멍에 삽입한다. 이에 의해, 캡(512´)으로부터 상방에 돌출된 로드와 샤프트(514B)가 척(519)을 통하여 연결되고, 샤프트(514B)의 높이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4 실시예를 요약하면, 접속용 샤프트(514B)와 척(519) 및 캡(512´)의 부분은 보빈(511)에 결합하고, 상기 보빈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도록 구성된 접속 부재에 상당하고, 이 접속 부재는, 악기의 울림판(7)에 접속되기에 적합한 접속부(514Ba)(접속 단부)를 갖고, 또한, 그 길이가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접속 부재는, 보빈(511)에 결합된 캡(512´) 및 수나사부(519a)(제1 부재)와, 상기 캡(512´) 및 수나사부(519a)(제1 부재)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접속용 샤프트(514B)(제2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결합 부위를 체결하여 고정하기에 적합한 척(519)(체결구)을 구비한다.
[제5 실시예]
도 3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가진 장치의 높이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기구를 도시하는 측면 개략도이다. 가진 장치(50E)는, 상기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진동 부재(51)와 자기 회로 요소(52)와 댐퍼(53)로 구성되고, 자기 회로 요소(52)는 톱 플레이트(521), 자석(522) 및 요오크(523)를 갖고, 진동 부재(51)는 보이스 코일을 구비한 보빈(511)을 갖는다. 보빈(511)의 상단부에 캡(512)이 결합하고, 캡(512)의 상면으로부터 샤프트(514C)가 연장하여 샤프트(514C)의 상단부는 접속부(514Ca)로 되어 있다. 이 제5 실시예에서는, 샤프트(514C)의 길이는 상기 제2 실시예에 나타난 것과 같이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제1, 제3, 제4의 실시예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샤프트(514)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타입의 것을 상기 샤프트(514C)로서 사용해도 된다. 도 9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가진 장치(50E)는, 복수의 지지 막대(551)를 거쳐서 지지부(55)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지지부(55)는, 좌우 측면에 설치된 1쌍의 높이 조정 플레이트(71)에 의해 높이 조정 가능하게 지지된다. 1쌍의 높이 조정 플레이트(71)는, 적당한 베이스부(70)(예를 들어, 상술한 피아노의 수직 스트럿(9) 또는 바닥 등)에 고정되어 있다.
높이 조정 플레이트(71)에는 1쌍의 가이드 긴 구멍(72a, 72b)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지지부(55)의 측면에는 가이드 긴 구멍(72a, 72b)에 끼워넣도록 돌기(552a, 552b)가 설치되어 있다. 높이 조정 플레이트(71)의 상부 테두리부는 수평 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된 앵글(또는 수평 플랜지)(71a)로 되어 있다. 지지부(55)의 측면 하부 테두리부에도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앵글(또는 수평 플랜지)(55a)이 설치되어 있다. 상하의 양쪽 앵글(71a, 55a) 사이를 길이 조절하여 연결하기 위하여 긴 볼트(73)가 사용된다. 조정 플레이트(71)의 상부 테두리부의 앵글(71a)의 소정 개소에는 볼트용의 구멍이 설치되고, 지지부(55)의 하부 테두리부의 앵글(55a)의 소정 개소에도 볼트 관통용의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55)의 하부 테두리부의 앵글(55a)의 하면측에 나비 너트(74)가 배치되어 볼트(73)에 나사 결합한다. 또한, 높이 조정 플레이트(71)의 상부 테두리부의 앵글(71a)의 상면측에 너트(75)가 배치되어 볼트(73)에 나사 결합한다. 이에 의해, 나비 너트(74)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지지부(55)를 하방으로 내릴 수 있고, 나비 너트(74)을 조임으로써 지지부(55)를 상방으로 올릴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제5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부(55)의 높이 위치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조립 시에, 가진 장치(50E)의 진동 부재(51)의 선단의 접속부(514Ca)가 울림판(7)의 이면에 접촉할 때까지 지지부(55)의 높이를 들어 올릴 수 있고, 그 위치에서 접속부(514Ca)를 울림판(7)에 접착하고, 또한, 지지부(55)의 높이 위치를 그대로 유지한다. 또한, 지지부(55)의 높이란, 반드시 연직 방향의 높이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지지부(55)로부터 가진 장치(50E)(또는 50 외)의 접속 단부(514Ca)(또는 516A 외)를 향하는 방향에 관한, 지지부(55)와 울림판(7)의 이격 거리(지지부(55)와 울림판(7)에 대한 상대적 거리)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따라서, 업라이트 피아노와 같이 울림판이 수직으로 서 있는 타입에 본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에는, 지지부(55)의 높이 조정이란, 지지부(55)의 울림판을 향하는 수평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다.
[정리]
상기 각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울림판(7)에 진동을 추가하는 가진 장치(50 내지 50E)와 같은 보이스 코일형의 액추에이터 또는 보이스 코일형의 액추에이터로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다른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은 울림판(7)에 진동을 추가하는 가진 장치(50 내지 50E)와 같은 보이스 코일형의 액추에이터 또는 보이스 코일형의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그랜드 피아노(1)와 같은 키 악기, 또는, 그 밖의 타입의 악기로서도 파악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가진 장치(50 내지 50E)가 설치되는 대상은, 어쿠스틱 피아노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피아노 또는 그 밖의 울림판을 장비 가능한 악기이면 되고, 예를 들어 울림판을 갖는 기타나, 울림판을 갖는 스피커를 연주 조작자의 조작에 따라 소리를 내는 새로운 타입의 악기 등이어도 된다. 모든 경우에도, 울림판을 갖는 악기에 가진 장치(50 내지 50E)가 설치되고, 연주 조작자의 조작에 따른 구동 신호가 가진 장치(50 내지 50E)에 출력되고, 가진 장치(50 내지 50E)가 그 구동 신호에 따라서 울림판을 진동시키는 액추에이터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으면 된다. 이들의 경우, 자기 회로 요소(52)는, 각 악기의 하우징에 설치된 지지부(55)와 같은 부재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도 6,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작업을 행함에 의한 보이스 코일형의 액추에이터의 악기에의 설치 방법이나, 보이스 코일형의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악기의 제조 방법으로서도 파악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지만,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의 각각에 있어서, 그 일부의 구성 요소 또는 일부의 특징을 다른 실시예에서도 가능한 한 적절히 적용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24)

  1. 악기의 울림판을 진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이며,
    자로(磁路)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자로 형성부와,
    보이스 코일을 장착하고, 상기 보이스 코일을 상기 자로 공간 내에 배치하는 보빈과,
    상기 보빈에 결합하고, 상기 보빈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도록 구성된 접속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악기의 울림판에 접속되기에 적합한 접속 단부를 갖고, 또한 상기 접속 단부의 길이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액추에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막대 형상 부재와, 상기 막대 형상 부재의 회전 변위를 상기 막대 형상 부재의 직선 변위로 변환하는 나사 구조를 구비하는, 액추에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보빈에 결합한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결합 부위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체결구를 구비하는, 액추에이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접속 단부를 형성하는 단부 부재와, 상기 단부 부재보다도 열전도율이 큰 부분을 구비하는, 액추에이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보빈이 개구하는 부분에 고정되어 있는 평탄한 면을 갖는 캡을 구비하고,
    상기 캡의 상기 면에는, 상기 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측정기가 설치되는, 액추에이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울림판에는 울림봉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접속 단부가 상기 울림판의 상기 울림봉이 설치되어 있는 측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울림봉의 상기 울림판부터의 높이 보다도 상기 보빈부터 상기 접속 단부까지의 거리가 길어지도록 상기 길이를 조정한 상태에서, 상기 울림판에 접속되어 고정되는, 액추에이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로 공간 내에서의 상기 보이스 코일의 설치 기준 배치를 나타내기 위한 기준 위치 지시 부재를 더 구비하는, 액추에이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이 상기 자로 공간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보빈을 상기 자로 형성부에 연결하는 댐퍼를 더 구비하는, 액추에이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추에이터와,
    상기 자로 형성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접속 단부가 접속된 울림판과,
    연주 조작자와,
    상기 연주 조작자의 조작에 따른 오디오 파형을 나타내는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신호는 상기 보이스 코일을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에 공급되는, 악기.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추에이터를 악기에 설치하는 방법이며,
    상기 악기의 상기 울림판에 대한 상기 액추에이터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지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자로 형성부를 상기 지지부에 거치하는 스텝과,
    상기 접속 단부가 상기 울림판쪽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접속 부재의 길이를 조정하고, 상기 접속 단부를 상기 울림판에 접속하는 스텝과,
    상기 접속 단부가 상기 울림판에 접속되도록 조정된 상기 접속 부재의 길이를 고정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액추에이터의 악기 설치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은, 상기 자로 공간 내에서의 상기 보이스 코일의 설치 기준 위치를 유지하면서 상기 접속 부재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액추에이터의 악기 설치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로 공간 내에서의 상기 보이스 코일의 설치 기준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자로 공간 내에서의 상기 보이스 코일의 설치 기준 위치를 나타내는 기준 위치 지시 부재가 이용되는, 액추에이터의 악기 설치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부를 상기 울림판에 접속하는 스텝을 행하기 전에, 상기 자로 형성부를 거치한 상기 지지부의 상기 울림판에 대한 상대적 거리를 조정하는 스텝을 더 구비하는, 액추에이터의 악기 설치 방법.
  14.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악기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악기를 제공하는 스텝과,
    상기 악기의 상기 울림판에 대한 상기 액추에이터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지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자로 형성부를 상기 지지부에 거치하는 스텝과,
    상기 접속 단부가 상기 울림판쪽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접속 부재의 길이를 조정하고, 상기 접속 단부를 상기 울림판에 접속하는 스텝과,
    상기 접속 단부가 상기 울림판에 접속되도록 조정된 상기 접속 부재의 길이를 고정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악기의 제조 방법.
  15. 악기의 울림판을 진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이며,
    자로(磁路)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자로 형성부와,
    보이스 코일을 장착하고, 상기 보이스 코일을 상기 자로 공간 내에 배치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의 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악기의 울림판에 접속되는 단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자로 형성부는, 상기 보빈의 내부 공간 내에 삽입되는 부분을 갖고, 상기 부분에는 상기 보이스 코일의 축방향으로 관통된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 구멍에 대향하는 상기 단부 부재의 개소에 있어서, 상기 단부 부재를 상기 울림판에 접속하기 위한 고정 부재를 설치해야 할 위치를 특정하는 마크가 설치되어 있는, 액추에이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는, 상기 단부 부재의 상기 관통 구멍에 대향하는 개소에 설치된 오목부이며, 상기 오목부의 개소에서 상기 고정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단부 부재를 상기 울림판에 접속하는, 액추에이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구멍이며, 상기 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울림판에 이르고, 상기 단부 부재를 상기 울림판에 접속하는, 액추에이터.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나사인, 액추에이터.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추에이터와,
    상기 자로 형성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단부 부재가 접속된 울림판과,
    연주 조작자와,
    상기 연주 조작자의 조작에 따른 오디오 파형을 나타내는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신호는 상기 보이스 코일을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에 공급되는, 악기.
  20.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추에이터를 악기에 설치하는 방법이며,
    상기 악기의 상기 울림판에 대한 상기 액추에이터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지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자로 형성부를 상기 지지부에 거치하는 스텝과,
    상기 자로 형성부의 상기 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 부재를 상기 단부 부재의 상기 마크의 위치까지 가지고 오는 스텝과,
    상기 마크의 위치까지 가지고 온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단부 부재를 상기 울림판에 고정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액추에이터의 악기 설치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나사이며,
    상기 고정 부재를 상기 단부 부재의 상기 마크의 위치까지 가지고 오는 스텝은, 상기 나사를 비자성 재질의 드라이버 선단에 붙여서 상기 드라이버를 상기 자로 형성부의 상기 관통 구멍을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액추에이터의 악기 설치 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부재를 상기 울림판에 고정하는 스텝을 행하기 전에, 상기 자로 형성부를 거치한 상기 지지부의 상기 울림판에 대한 상대적 거리를 조정하는 스텝을 더 구비하는, 액추에이터의 악기 설치 방법.
  23.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악기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악기를 제공하는 스텝과,
    상기 악기의 상기 울림판에 대한 상기 액추에이터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지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자로 형성부를 상기 지지부에 거치하는 스텝과,
    상기 자로 형성부의 상기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 부재를 상기 단부 부재의 상기 마크의 위치까지 가지고 오는 스텝과,
    상기 마크의 위치까지 가지고 온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단부 부재를 상기 울림판에 고정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악기의 제조 방법.
  24. 악기의 울림판을 진동시키기 위한 장치이며,
    자로(磁路)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자로 형성부,
    보이스 코일을 장착하고, 상기 보이스 코일을 상기 자로 공간 내에 배치하는 보빈 및
    상기 보빈에 결합하고 또한, 상기 악기의 울림판에 접속되고, 상기 보빈의 진동을 상기 울림판에 전달하기에 적합한 접속 부재를 구비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악기의 상기 울림판에 대한 상기 액추에이터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기 울림판에 대한 상대적 거리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조정 장치를 구비하는, 악기의 울림판 진동 장치.
KR1020147015861A 2011-12-15 2012-12-14 악기의 울림판을 진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 및 그 설치 방법 KR1016074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74366 2011-12-15
JP2011274365 2011-12-15
JP2011274366 2011-12-15
JPJP-P-2011-274365 2011-12-15
PCT/JP2012/082547 WO2013089239A1 (ja) 2011-12-15 2012-12-14 楽器の響板を振動させるための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の取り付け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590A true KR20140091590A (ko) 2014-07-21
KR101607418B1 KR101607418B1 (ko) 2016-03-29

Family

ID=48612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5861A KR101607418B1 (ko) 2011-12-15 2012-12-14 악기의 울림판을 진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 및 그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06288B2 (ko)
EP (1) EP2793221B1 (ko)
JP (1) JP6136933B2 (ko)
KR (1) KR101607418B1 (ko)
CN (1) CN104115219B (ko)
WO (1) WO20130892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05624B1 (en) 2009-08-20 2014-12-09 Harold W. Howe Control of vibratory/oscillatory mixers
JP6136933B2 (ja) * 2011-12-15 2017-05-31 ヤマハ株式会社 楽器の響板を振動させるための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の取り付け方法
US10967355B2 (en) 2012-05-31 2021-04-06 Resodyn Corporation Continuous acoustic chemical microreactor
US10130924B2 (en) 2012-05-31 2018-11-20 Resodyn Corporation Mechanical system that fluidizes, mixes, coats, dries, combines, chemically reacts, and segregates materials
US9808778B2 (en) 2012-05-31 2017-11-07 Resodyn Corporation Mechanical system that continuously processes a combination of materials
JP5846134B2 (ja) * 2013-01-22 2016-01-20 ヤマハ株式会社 加振器の取付構造
JP5842834B2 (ja) 2013-01-22 2016-01-13 ヤマハ株式会社 響板加振装置
EP3593911B1 (en) 2013-10-22 2022-06-08 Resodyn Corporation Air-cooled voice coil actuator
JP6079600B2 (ja) * 2013-12-11 2017-02-15 ヤマハ株式会社 加振器の取付構造
JP6146289B2 (ja) 2013-12-11 2017-06-14 ヤマハ株式会社 加振器の取付構造
JP2015138142A (ja) 2014-01-22 2015-07-30 ヤマハ株式会社 加振器の取付構造
JP2015200828A (ja) 2014-04-09 2015-11-12 ヤマハ株式会社 加振器の取付構造、楽器、及び、加振器の取付方法
JP6442854B2 (ja) 2014-04-09 2018-12-26 ヤマハ株式会社 加振器の取付構造、及び、楽器
JP6536115B2 (ja) * 2015-03-25 2019-07-03 ヤマハ株式会社 発音装置および鍵盤楽器
US20170094413A1 (en) * 2015-09-29 2017-03-30 Kawai Musical Instruments Manufacturing Co., Ltd. Soundboard speaker of digital piano
US10418012B2 (en) 2015-12-24 2019-09-17 Symphonova, Ltd. Techniques for dynamic music performan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CN110767205B (zh) 2016-01-20 2023-08-29 雅马哈株式会社 音响装置以及机械性振动生成方法
JP6965607B2 (ja) * 2017-07-13 2021-11-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ハンマー保持ユニット及び鍵盤装置
US10835880B2 (en) 2017-09-05 2020-11-17 Resodyn Corporation Continuous acoustic mixer
US10476461B2 (en) * 2017-12-20 2019-11-12 Nvf Tech Ltd Active distributed mode actuator
JP7230441B2 (ja) * 2018-11-09 2023-03-01 ヤマハ株式会社 加振ユニット、楽器
WO2020095434A1 (ja) * 2018-11-09 2020-05-14 ヤマハ株式会社 加振ユニット、加振器の取り付け構造、楽器
US10631091B1 (en) * 2019-02-28 2020-04-21 Google Llc Bending actuators and panel audio loudspeakers including the same
CN109951774B (zh) * 2019-03-29 2024-03-29 广州迪雅圣发电器有限公司 一种车载扬声器音圈位置调整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392A (en) * 1932-12-14 1935-05-14 Miessner Inven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music
JPS5696783U (ko) * 1979-12-26 1981-07-31
JPS5848187U (ja) 1981-09-25 1983-03-3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音響装置
DE3172790D1 (en) 1980-12-19 1985-12-05 Nissan Motor Speaker for automotive vehicle audio system
JPS6451900A (en) * 1987-08-24 1989-02-28 Mitsubishi Electric Corp Voice coil unit mounting method for speaker unit
EP0434754A1 (de) * 1988-09-14 1991-07-03 Wilhelm Schimmel Pianofortefabrik Gmbh Vorrichtung zur schallabstrahlung und musikinstrument
US5247129A (en) * 1991-06-10 1993-09-21 Yamaha Corporation Stringless piano-touch electric sound producer for directly driving a sound board on the basis of key actions
JP2005064831A (ja) * 2003-08-12 2005-03-10 Kenwood Corp スピーカ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スピーカ装置
US20060110001A1 (en) * 2004-11-24 2006-05-25 Stephen Saint Vincent Inertial voice type coil actuator systems
JP4609219B2 (ja) 2005-07-19 2011-01-12 ヤマハ株式会社 電子鍵盤楽器
JP2007328186A (ja) * 2006-06-08 2007-12-20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楽音装置及び楽音装置の生産方法
US7678988B2 (en) * 2006-12-05 2010-03-16 Kawai Musical Instruments Mfg. Co., Ltd. Musical tone apparatus
JP2008310055A (ja) 2007-06-14 2008-12-25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楽音装置並びに楽音装置の生産方法及び改造方法
JP4506859B2 (ja) 2008-03-14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音声出力装置
JP5487608B2 (ja) * 2008-12-17 2014-05-07 ヤマハ株式会社 電子鍵盤楽器
JP5572945B2 (ja) * 2008-12-26 2014-08-20 ヤマハ株式会社 電子鍵盤楽器
EP2571020B1 (en) * 2011-09-14 2017-01-11 Yamaha Corporation Keyboard instrument
JP6136933B2 (ja) * 2011-12-15 2017-05-31 ヤマハ株式会社 楽器の響板を振動させるための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の取り付け方法
JP5812017B2 (ja) * 2013-01-22 2015-11-11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15219B (zh) 2017-06-23
JPWO2013089239A1 (ja) 2015-04-27
US9406288B2 (en) 2016-08-02
EP2793221B1 (en) 2018-06-13
CN104115219A (zh) 2014-10-22
KR101607418B1 (ko) 2016-03-29
US20150128790A1 (en) 2015-05-14
EP2793221A4 (en) 2016-03-30
WO2013089239A1 (ja) 2013-06-20
JP6136933B2 (ja) 2017-05-31
EP2793221A1 (en) 201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7418B1 (ko) 악기의 울림판을 진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 및 그 설치 방법
US9508324B2 (en) Soundboard acoustic transducer
US8859866B2 (en) Keyboard instrument
JP5862524B2 (ja) 鍵盤楽器
JP5846134B2 (ja) 加振器の取付構造
US20100005954A1 (en) Sound Sensing Apparatus and Musical Instrument
CN107025903A (zh) 乐器和声换能器装置
JPH04500735A (ja) 音響発生装置及び楽器
CN106133823B (zh) 用于声换能器的安装结构、乐器以及声换能器的安装方法
US9779711B2 (en) Installation structure for acoustic transducer and musical instrument
CN107408374A (zh) 发声设备、键盘乐器和发声控制方法
JP6185624B1 (ja) 電子打楽器
JP2006259193A (ja) 電子ドラムの取付構造
JP6939254B2 (ja) 楽器
JP2016206222A (ja) 鍵盤楽器
JP2017092520A (ja) 振動供給装置取付ユニット
WO2012085349A1 (en) Saddl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JP2013077001A (ja) 鍵盤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