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1521A - 장식 필름 및 장식판 - Google Patents

장식 필름 및 장식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1521A
KR20140091521A KR1020147009312A KR20147009312A KR20140091521A KR 20140091521 A KR20140091521 A KR 20140091521A KR 1020147009312 A KR1020147009312 A KR 1020147009312A KR 20147009312 A KR20147009312 A KR 20147009312A KR 20140091521 A KR20140091521 A KR 20140091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sin
film
transparent resin
terephthalat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9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0399B1 (ko
Inventor
유우스케 헨미
토시유키 나카시마
유키히로 요시스에
사토시 카와무라
Original Assignee
도요 고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 고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고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1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기재 수지층, 인쇄층 및 표면 수지층을 차례로 적층해 이루어지고, 상기 표면 수지층이, 표면측에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변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1층과, 상기 인쇄층측에, 온도 230℃로 가열한 후 급냉한 경우의 분광식 색차계에 의한 ΔL*값(ΔL*a)과 서냉한 경우의 분광식 색차계에 의한 ΔL*값(ΔL*b)의 차(|ΔL*a-ΔL*b|)가 1.0 이하인 투명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2층을 갖고, 상기 제1층의 두께가 3 내지 2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필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장식 필름 및 장식판{DECORATIVE FILM AND DECORATIVE SHEET}
본 발명은, 각종 기판의 의장성을 높이기 위해 기판상에 적층하기 위한 장식 필름, 및 그 장식 필름을 이용해 얻어지는 장식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구, 가전 기기, 건축물의 실내벽이나 옥외벽에 이용하는 판재로서, 의장성을 높이기 위해 금속판 등의 기판에 장식 필름을 적층해 이루어지는 장식판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장식 필름으로,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는, 착색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과, 인쇄 잉크층과, 투명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아래로부터 차례로 적층해 이루어지는 장식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서는, 최표층을 구성하는 투명 수지로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혹은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등이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기술에서는, 장식 필름에 의장성을 부여하기 위해 엠보싱 가공을 행했을 때, 엠보싱 가공시의 열에 의해 최표층을 구성하는 투명 수지가 결정화함으로써 백탁이 발생해, 결과적으로 색조가 변화한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6-62215호 공보
본 발명은, 백탁에 의한 색조 변화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뛰어난 엠보싱 가공성을 실현할 수 있는 장식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기재 수지층, 인쇄층 및 표면 수지층을 차례로 적층해 이루어지는 장식 필름에 있어서, 표면 수지층을,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변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과, 소정의 온도로부터 급냉한 경우 및 서냉한 경우의 분광식 색차계에 의한 ΔL*값의 차가 소정 범위에 있는 투명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의 2층으로 구성하고, 또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변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의 두께를 소정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기재 수지층, 인쇄층 및 표면 수지층을 차례로 적층해 이루어지고, 상기 표면 수지층이, 표면측에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변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1층과, 상기 인쇄층측에, 온도 230℃로 가열한 후 급냉한 경우의 분광식 색차계에 의한 ΔL*값(ΔL*a)과 서냉한 경우의 분광식 색차계에 의한 ΔL*값(ΔL*b)의 차(|ΔL*a-ΔL*b|)가 1.0 이하인 투명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2층을 갖고, 상기 제1층의 두께가 3 내지 2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필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장식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을 구성하는 투명 수지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소프탈산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장식 필름은, 상기 인쇄층과 상기 표면 수지층 사이에 접착제층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장식 필름을 기판상에 적층해 이루어지는 장식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백탁에 의한 색조 변화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또한, 뛰어난 엠보싱 가공성을 갖는 장식 필름 및 그 장식 필름을 이용해 얻어지는 장식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장식 필름(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에 기초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장식 필름(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장식 필름(100)은 기재 수지층(10), 인쇄층(20), 접착제층(30) 및 표면 수지층(40)이 차례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기재 수지층(10)은 착색 수지 필름으로 구성된다. 기재 수지층(10)을 구성하는 착색 수지 필름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5 내지 30 중량%의 착색 안료를 첨가한 착색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착색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ET/EI),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부틸렌 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BT/BI),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시클로헥산디메탄올 공중합체(ET/CHDM)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1종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혼합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착색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착색 안료로는, 흑색이나 백색의 무채색 안료나, 적색, 황색, 청색, 녹색 등의 유채색 안료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1종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한편, 착색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은 필름으로 제막한 무연신 상태라도 되고, 1축 방향 또는 2축 방향으로 연신된 상태의 어느 하나라도 무방하다.
기재 수지층(10)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70㎛이다.
인쇄층(20)은, 전술한 기재 수지층(10) 위에 인쇄 잉크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되는 인쇄 잉크로 이루어지는 층으로서, 하층이 되는 기재 수지층(10)의 전면(前面)을 은폐하는 베타 인쇄층, 또는 나뭇결, 돌 무늬, 천연 피혁의 표면 무늬, 옷감의 결, 추상적 무늬 등의 모양을 표현한 도안 인쇄층의 어느 하나라도 된다. 혹은, 인쇄층(20)은 베타 인쇄층을 인쇄 하지층으로 하고, 그 위에 도안 인쇄층을 겹쳐 의장성을 향상시킨 것이라도 무방하다. 인쇄층(20)을 형성하기 위한 인쇄 잉크로는, 예를 들어, 니트로 셀룰로오스,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혹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나 우레탄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을 비히클(vehicle)로 하는 인쇄 잉크를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밀착성 및 열접착성의 두 관점에서 니트로 셀룰로오스-알키드 수지계 잉크가 바람직하다.
접착제층(30)은, 인쇄층(20)과 후술하는 표면 수지층(40)을 접착시키기 위한 층이다. 접착제층(30)을 형성하는 접착제로는, 충분한 투명성을 갖고, 이에 따라 인쇄층(20)에 의해 부여되는 의장성을 해치지 않는 것이면서, 인쇄층(20) 및 표면 수지층(40)의 접착성이 양호한 것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접착제층(30)을 형성하는 접착제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비닐 수지계,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수지계, 요소 수지계, 우레탄 수지계, 아크릴 수지계, 폴리에스테르 수지계,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수지계 등의 에멀전형 접착제나, 에폭시-페놀 수지계 등의 열경화형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표면 수지층(4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투명 수지층(41) 및 제2 투명 수지층(42)의 2층으로 이루어지는 층이다.
제1 투명 수지층(4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장식 필름(100)의 최표층을 구성하는 층으로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또는 변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변성 PBT)로 이루어지는 제1 투명 수지로 구성된다. 변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산 성분의 일부를 이소프탈산으로 치환한 이소프탈산 변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의 장식 필름(100)은 그 의장성을 높이기 위해, 온도 230℃ 정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장식 필름(100)의 최표층을 구성하는 제1 투명 수지층(41)측으로부터 엠보싱롤에 의해 압축함으로써 그 표면에 엠보싱 가공을 실시한 상태로 이용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장식 필름(100)의 최표층을 구성하는 제1 투명 수지층(41)으로서, 엠보싱 가공성 및 투명성이 뛰어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변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제1 투명 수지를 이용한다.
한편, 제2 투명 수지층(42)은, 전술한 제1 투명 수지층(41)과 접착제층(30) 사이에 형성되는 층으로서, 온도 230℃로 가열한 후, 급냉한 경우의 분광식 색차계에 의한 ΔL*값(ΔL*a)과 서냉한 경우의 ΔL*값(ΔL*b)의 차(|ΔL*a-ΔL*b|)가 1.0 이하인 제2 투명 수지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ΔL*a는 필름상의 제2 투명 수지를 전술한 장식 필름(100)에 엠보싱 가공을 행할 때의 온도인 230℃로 가열한 후, 예를 들어 온도 20℃의 물에 넣음으로써 급냉하여 실온(25℃)까지 냉각하고, 이를 착색판(예를 들어, 적색판이나, 청색판, 황색판)에 올려놓은 상태로 분광식 색차계를 이용해 측정함으로써 얻어지는 ΔL*값이다. 또한, ΔL*b는 필름상의 제2 투명 수지를 엠보싱 가공을 행할 때의 온도인 230℃로 가열한 후, 예를 들어 실온(25℃)에 방치함으로써 서냉하여 실온(25℃)까지 냉각하고, 이를 착색판에 올려놓은 상태로 분광식 색차계를 이용해 측정함으로써 얻어지는 ΔL*값이다. 한편, ΔL*a, ΔL*b는 제2 투명 수지를 올려놓지 않은 착색판에 대해 분광식 색차계에 의해 측정한 ΔL*값의 값을 기준치로서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ΔL*a, ΔL*b는 모두 백색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예를 들어 엠보싱 가공을 행할 때의 온도인 230℃로 가열한 후 냉각을 행했을 때, 투명 수지가 백탁한 경우에는 인쇄층의 색을 저해하기 때문에 ΔL*a, ΔL*b의 값도 커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엠보싱 가공을 행할 때의 온도인 230℃로 가열한 후 급냉한 경우의 ΔL*값(ΔL*a)과 서냉한 경우의 ΔL*값(ΔL*b)의 차(|ΔL*a-ΔL*b|)가 작을수록, 엠보싱 가공을 위한 가열을 행한 후의 냉각 조건에 의하지 않고, 분광식 색차계에 의한 ΔL*값이 안정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투명 수지층(42)을 구성하는 제2 투명 수지로서 ΔL*a와 ΔL*b의 차(|ΔL*a-ΔL*b|)가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이하인 투명 수지를 이용한다. 이에 따라, 엠보싱 가공을 위한 가열을 행한 후의 냉각 조건에 의하지 않고, 백탁에 의한 색조 변화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투명 수지층(42)을 구성하는 투명 수지의 구체예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ΔL*a와 ΔL*b의 차(|ΔL*a-ΔL*b|)가 더 작고, 그 때문에 가열 후의 냉각 조건에 의하지 않고 ΔL*값이 안정적이라는 점에서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는, 이소프탈산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ΔL*a와 ΔL*b의 차(|ΔL*a-ΔL*b|)가 더 작다는 점에서 이소프탈산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장식 필름(100)의 표면 수지층(40)을 전술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변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제1 투명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1 투명 수지층(41)과, 온도 230℃로 가열한 후, 급냉한 경우의 ΔL*값(ΔL*a)과 서냉한 경우의 ΔL*값(ΔL*b)의 차(|ΔL*a-ΔL*b|)가 1.0 이하인 제2 투명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2 투명 수지층(42)의 2층으로 구성하고, 나아가, 제1 투명 수지층(41)의 두께를 특정 범위로 제어한다. 즉, 제1 투명 수지층(41)의 두께 t1를 3 내지 20㎛의 범위로 제어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장식 필름(100)의 표면 수지층(40)을 제1 투명 수지층(41)과 제2 투명 수지층(42)의 2층으로 구성하고, 또한, 두께 t1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표면 수지층(40)을, 제1 투명 수지층(41)을 구성하는 제1 투명 수지가 갖는 엠보싱 가공성과, 제2 투명 수지층(42)을 구성하는 제2 투명 수지가 갖는, 엠보싱 가공을 위한 가열을 행했을 때의 백탁에 의한 색조 변화 발생의 방지 효과를 양립시킬 수 있음으로써, 장식 필름(100)을 엠보싱 가공을 행했을 때의 백탁에 의한 색조 변화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또한, 뛰어난 엠보싱 가공성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자들은 이하의 견해에 의해 상기 구성에 도달하였다.
즉, 장식 필름(100)의 표면 수지층(40)을 전술한 제1 투명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1 투명 수지층(41)만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뛰어난 엠보싱 가공성을 갖는 것이 되는 한편, 엠보싱 가공을 위한 가열을 행했을 때, 제1 투명 수지가 결정화하고, 결정화에 기인하는 백탁에 의한 색조의 변화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장식 필름(100)의 표면 수지층(40)을 전술한 제2 투명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2 투명 수지층(42)만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엠보싱 가공을 위한 가열을 행했을 때의 백탁에 의한 색조 변화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지만, 엠보싱 가공성이 매우 떨어지는 것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자들은 장식 필름(100)의 표면 수지층(40)을, 제1 투명 수지층(41)과 제2 투명 수지층(42)의 2층으로 구성하고, 또한, 제1 투명 수지층(41)의 두께 t1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최표면에 위치하는 제1 투명 수지층(41)을 구성하는 제1 투명 수지의 작용에 의해 엠보싱 가공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고, 나아가서, 제1 투명 수지층(41)의 하층에 형성된 제2 투명 수지층(42)을 구성하는 제2 투명 수지의 작용에 의해, 엠보싱 가공을 위한 가열을 행했을 때의 제1 투명 수지층(41)을 구성하는 제1 투명 수지의 결정화에 의한 백탁의 영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것을 알아낸 것이다. 그리고, 이에 따라, 장식 필름(100)을 엠보싱 가공했을 때의 백탁에 의한 색조 변화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또한, 뛰어난 엠보싱 가공성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게 된다.
표면 수지층(40)을 구성하는 제1 투명 수지층(41)의 두께 t1이 너무 두꺼우면, 엠보싱 가공을 행했을 때, 엠보싱 가공을 위한 가열 및 냉각에 의해 제1 투명 수지가 결정화해 백탁에 의한 색조 변화의 발생이 현저해진다. 한편, 제1 투명 수지층(41)의 두께 t1이 너무 얇으면, 엠보싱 가공성이 극단적으로 악화된다.
한편, 제1 투명 수지층(41)의 두께 t1과 제2 투명 수지층(42)의 두께 t2의 합계 두께(표면 수지층(40)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50㎛이다. 표면 수지층(40)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인쇄 무늬의 선명함이 없어지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고, 한편, 너무 얇으면, 표면의 상처가 인쇄층까지 도달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제2 투명 수지층(42)을 구성하는 투명 수지로는, ΔL*a와 ΔL*b의 차(|ΔL*a-ΔL*b|)가 상기 범위이면 되지만, 온도 230℃로 가열한 후, 급냉한 경우 및 서냉한 경우의 헤이즈치(Haze value)가 0 내지 6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35 내지 55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헤이즈치가 상기 범위인 투명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엠보싱 가공을 행했을 때의 백탁에 의한 색조 변화 발생의 억제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접착제층(30) 상에 표면 수지층(40)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제1 투명 수지층(41)을 형성하게 되는 제1 투명 수지의 필름과, 제2 투명 수지층(42)을 형성하게 되는 제2 투명 수지의 필름을 열융착 등에 의해 적층하고, 얻어진 적층 필름을 접착제층(30) 상에 접착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제1 투명 수지의 필름 및 제2 투명 수지의 필름은, 필름으로 제막한 무연신 상태라도 되고, 1축 방향 또는 2축 방향으로 연신된 상태의 어느 하나라도 무방하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장식 필름(100)을, 기재 수지층(10)측에서 기재상에 적층함으로써 장식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장식판을 구성하는 장식 필름(100)은, 기재상에 적층하기 전 또는 기재상에 적층한 후에, 통상적으로 장식 필름(100)의 최표층을 구성하는 제1 투명 수지층(41)측으로부터, 예를 들어 온도 230℃ 정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엠보싱 롤에 의해 압축함으로써 엠보싱 가공이 실시된다.
또한, 장식 필름(100)과 적층되는 기재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강판, 무주석강(Tin free steel), 알루미늄 합금판, 아연 도금 강판, 아연-코발트-몰리브덴 복합 도금 강판, 아연-니켈 합금 도금 강판, 아연-철 합금 도금 강판,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 강판, 아연-알루미늄 합금 도금 강판, 아연-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 도금 강판, 니켈 도금 강판, 동 도금 강판 혹은 스테인리스 강판 등의 금속판을 들 수 있다.
한편, 장식 필름(100)을 기재상에 적층할 때에는, 기재 수지층(10)의 표면에 기재와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층을 미리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 이용하는 접착제로는, 전술한 접착제층(30)과 같은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소정 두께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 필름과 소정 두께의 이소프탈산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IA) 필름을 180℃에서 열융착함으로써 투명 수지 필름 적층체를 얻었다. 한편, 얻어진 투명 수지 필름 적층체에서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층의 두께는 5.5㎛이고, 또한, 이소프탈산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IA)층의 두께는 33㎛였다.
그리고, 얻어진 투명 수지 필름 적층체를 이용해, 이하의 방법에 의해, 엠보싱 가공성 및 백탁 억제 효과의 평가, 및 투명 수지 필름 적층체의 제조에 이용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 필름 및 이소프탈산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IA) 필름의 가열·냉각 시험을 행하였다.
엠보싱 가공성
얻어진 투명 수지 필름 적층체를, 표면에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를 도포한 강판상에 붙이고, 엠보싱 가공이 가능한 온도인 230℃까지 가열한 후, 엠보싱 롤로 압접해 엠보싱 문양을 전사시킨 후, 즉시 온도 20℃의 수중에 투입해 급냉하여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
그리고, 얻어진 평가용 샘플에 대해 JIS K5600에 준거해 광택도 Gs(60°)의 측정을 행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얻어진 평가용 샘플에 대해, 조도계(제품명 '서프컴 1500A', 주식회사 토쿄정밀사 제품)를 이용해 표면 조도의 측정을 행하고, 측정 결과로부터 평가용 샘플의 최대 심도(Rmax _ sample)를 구해 하기 식 (1)에 따라 엠보싱 전사율을 구했다.
엠보싱 전사율(%)=(평가용 샘플의 최대 심도 Rmax _ sample/엠보싱 롤의 최대 심도 Rmax _ roll)×100 … (1)
한편, 엠보싱 롤의 최대 심도 Rmax _ roll은 조도계를 이용해 측정한 값을 이용할 수 있다.
광택도 Gs가 낮을수록, 또한, 엠보싱 전사율이 높을수록, 엠보싱 가공성이 뛰어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백탁 억제 효과
얻어진 투명 수지 필름 적층체를 표면에 이형제를 바른 강판상에 적층하고, 엠보싱 가공이 가능한 온도인 230℃까지 가열한 후, 25℃ 공기 중에서 방치함으로써 서냉했다. 그리고, 냉각 후, 투명 수지 필름 적층체를 강판으로부터 박리해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
또한, 상기와는 별도로, 백색계 베이스판, 청색계 베이스판, 적색계 베이스판 및 황색계 베이스판을 준비하고, 이들에 대해 분광식 색차계(제품명 'CM-3500d', 미놀타사 제품)를 이용해 측정을 행하여, 얻어진 값을 기준치로 하였다. 한편, 청색계 베이스판, 적색계 베이스판 및 황색계 베이스판은, 백색 원판에 각각 적색, 남색 및 황색의 잉크를 도포함으로써 제작했다. 또한, 백색계 베이스판으로는 백색 원판을 그대로 사용했다.
그리고, 상기에서 얻어진 평가용 샘플을 백색계 베이스판, 청색계 베이스판, 적색계 베이스판 및 황색계 베이스판 위에 각각 붙이고, 평가용 샘플을 붙인 각 베이스판에 대해 분광식 색차계를 이용해 측정을 행해, 얻어진 측정 결과와 상기에서 측정한 기준치로부터, 각 베이스판을 이용한 경우에서의 평가용 샘플을 붙이기 전과 후의 색차(ΔE*)를 구했다. 색차(ΔE*)가 작을수록 가열 및 냉각에 의한 투명 수지 필름 적층체의 백탁이 억제되고 있어, 백탁에 의한 색조 변화의 억제 효과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PBT 필름, PET / IA 필름의 가열·냉각 시험
두께 40㎛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 필름 및 이소프탈산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IA) 필름을 온도 230℃까지 가열하였다. 그 후, 즉시 온도 20℃의 수중에 투입해 급냉해 급냉 샘플을, 또한, 25℃ 공기 중에서 방치해 서냉함으로써 서냉 샘플을 각각 제작했다.
그리고, 얻어진 PBT 필름 및 PET/IA 필름의 급냉 샘플 및 PBT 필름 및 PET/IA 필름의 서냉 샘플을, 전술한 백탁 억제 효과의 평가와 마찬가지로, 청색계 베이스판, 적색계 베이스판 및 황색계 베이스판에 붙여, 각 베이스판을 이용한 경우에서 각 샘플을 붙이기 전과 후의 ΔL*값을 구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PBT 필름 및 PET/IA 필름의 급냉 샘플 및 PBT 필름 및 PET/IA 필름의 서냉 샘플에 대해, 측정 장치로서 탁도계(제품명 'NDH2000', 일본전색공업 주식회사 제품)를 이용해 헤이즈치의 측정을 행했다. 분광식 색차계에 의한 ΔL*값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헤이즈치의 측정 결과를 표 2에 각각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이용한 이소프탈산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IA) 필름은, 급냉 샘플의 ΔL*값(ΔL*a)과 서냉 샘플의 ΔL*값(ΔL*b)의 차(|ΔL*a-ΔL*b|)가, 각 베이스판을 이용한 모든 경우에서 1.0 이하가 되어, 가열 후의 냉각 조건에 의해 색차의 ΔL*값의 변동이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이용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 필름에서는, 급냉 샘플의 ΔL*값(ΔL*a)과 서냉 샘플의 ΔL*값(ΔL*b)의 차(|ΔL*a-ΔL*b|)가 각 베이스판을 이용한 모든 경우에서 3.0 이상이 되어, 가열 후의 냉각 조건에 의해 분광식 색차계에 의한 ΔL*값이 크게 변화했다.
또한,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이용한 이소프탈산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IA) 필름은, 급냉 샘플 및 서냉 샘플 모두에서 헤이즈치가 낮고, 높은 투명성을 유지하고 있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이용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 필름은, 급냉 샘플 및 서냉 샘플 모두에서 헤이즈치가 높고, 결정화에 의한 백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층의 두께를 9㎛로 하고, 이소프탈산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IA)층의 두께를 28.5㎛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투명 수지 필름 적층체를 얻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엠보싱 가공성 및 백탁 억제 효과의 측정을 행했다.
〈실시예 3〉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층의 두께를 20㎛로 하고, 이소프탈산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IA)층의 두께를 23㎛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투명 수지 필름 적층체를 얻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엠보싱 가공성 및 백탁 억제 효과의 측정을 행했다.
〈비교예 1〉
투명 수지 필름 적층체 대신에, 두께 39㎛의 이소프탈산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IA) 필름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투명 수지 필름 적층체를 얻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엠보싱 가공성 및 백탁 억제 효과의 측정을 행했다.
〈비교예 2〉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층의 두께를 26㎛로 하고, 이소프탈산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IA)층의 두께를 14㎛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투명 수지 필름 적층체를 얻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백탁 억제 효과의 측정을 행했다.
〈비교예 3〉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층의 두께를 31㎛로 하고, 이소프탈산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IA)층의 두께를 12㎛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투명 수지 필름 적층체를 얻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백탁 억제 효과의 측정을 행했다.
〈비교예 4〉
투명 수지 필름 적층체 대신에, 두께 40㎛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 필름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투명 수지 필름 적층체를 얻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엠보싱 가공성 및 백탁 억제 효과의 측정을 행했다.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내지 4의 엠보싱 가공성 및 백탁 억제 효과의 측정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층과 이소프탈산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IA)층으로 이루어지고, PBT층의 두께를 5.5 내지 20㎛의 범위로 한 경우에는, 엠보싱 가공성 및 가열·냉각을 행한 때의 백탁 억제 효과가 뛰어난 결과가 되었다(실시예 1 내지 3). 한편, 이와 같은 경향은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작한 투명 수지 필름 적층체를, 기재 수지층, 인쇄층 및 접착제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 상에 적층해 장식 필름으로 한 경우, 나아가서, 이것을 강판에 적층해 장식판으로 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였다.
한편, 이소프탈산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IA)만을 이용한 경우에는 엠보싱 가공성이 떨어지는 결과가 되고, 반대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만을 이용한 경우에는 가열·냉각을 행했을 때의 백탁 억제 효과가 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비교예 1, 4).
또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층의 두께가 너무 두꺼운 경우에는, 가열·냉각을 행했을 때의 백탁 억제 효과가 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비교예 2, 3).
100…장식 필름
10…기재 수지층
20…인쇄층
30…접착제층
40…표면 수지층
41…제1 투명 수지층
42…제2 투명 수지층

Claims (5)

  1. 기재 수지층, 인쇄층, 및 표면 수지층을 차례로 적층해 이루어지고,
    상기 표면 수지층이, 표면측에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변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1층과, 상기 인쇄층측에, 온도 230℃로 가열한 후 급냉한 경우의 분광식 색차계에 의한 ΔL*값(ΔL*a)과 서냉한 경우의 분광식 색차계에 의한 ΔL*값(ΔL*b)의 차(|ΔL*a-ΔL*b|)가 1.0 이하인 투명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2층을 갖고,
    상기 제1층의 두께가 3 내지 2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을 구성하는 투명 수지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가, 이소프탈산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과 상기 표면 수지층의 사이에, 접착제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식 필름을 기판상에 적층해 이루어지는 장식판.
KR1020147009312A 2011-10-19 2012-10-12 장식판의 제조 방법 KR1019103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29425A JP5916340B2 (ja) 2011-10-19 2011-10-19 化粧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JP-P-2011-229425 2011-10-19
PCT/JP2012/076445 WO2013058185A1 (ja) 2011-10-19 2012-10-12 化粧フィルムおよび化粧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521A true KR20140091521A (ko) 2014-07-21
KR101910399B1 KR101910399B1 (ko) 2018-10-22

Family

ID=48140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9312A KR101910399B1 (ko) 2011-10-19 2012-10-12 장식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16340B2 (ko)
KR (1) KR101910399B1 (ko)
CN (1) CN103889723B (ko)
WO (1) WO20130581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70728A (zh) * 2014-02-28 2014-10-01 海尔集团公司 一种压纹pet覆合彩钢板及其生产方法
CN106696499A (zh) * 2016-11-28 2017-05-24 安徽天安新材料有限公司 Pvc装饰膜及其制备方法
JP7098296B2 (ja) * 2017-10-04 2022-07-11 大和製罐株式会社 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7718831A (zh) * 2017-11-08 2018-02-23 佛山市顺德区宝丽马彩膜板业科技有限公司 一种使用方便的装饰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0062B2 (ja) * 2002-07-03 2008-06-11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
JP4233385B2 (ja) * 2003-05-22 2009-03-04 東洋鋼鈑株式会社 化粧フィルム、および化粧板
JP4791837B2 (ja) * 2006-01-30 2011-10-12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積層化粧シート
JP2007210273A (ja) * 2006-02-13 2007-08-23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58185A1 (ja) 2013-04-25
KR101910399B1 (ko) 2018-10-22
JP5916340B2 (ja) 2016-05-11
CN103889723B (zh) 2016-08-24
CN103889723A (zh) 2014-06-25
JP2013086377A (ja) 2013-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90793B1 (en) Decorative film and article to which the same is adhered
TW470760B (en) Polyester film for decorative plate
KR101910399B1 (ko) 장식판의 제조 방법
CA2677255A1 (en) Coating system exhibiting cool dark color
KR102033487B1 (ko)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필름
US20140311660A1 (en) Textured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a textured structure
KR200325627Y1 (ko) 장식 투명패널
JP2007268709A (ja) 二軸延伸多層積層フィルム
CN111315572A (zh) 透光装饰性膜、包括透光装饰性膜的模塑制品、该模塑制品的生产方法以及照明显示装置
JP2019209548A (ja) 金属調加飾用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金属調加飾成形体
WO2023037789A1 (ja) 金属調加飾フィルム、金属調製品
JP2000343649A (ja) 化粧シート
KR102588219B1 (ko) 일러스트가 코팅된 금박 인쇄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415050A (zh) 一种3d夜光彩钢板及其制备方法
JP2009220318A (ja) 加飾シート、その製造方法、及び、樹脂成形物
JP6984521B2 (ja) 成形用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当該方法により製造される成形用化粧シート
US11130311B2 (en) Vapor deposition film, black metallic product, vehicle interior/exterior member, container, and casing
CN102501466A (zh) 仿铜拉丝复合玻璃
CN202319134U (zh) 仿铜拉丝复合玻璃
CN100382954C (zh) 树脂覆盖金属板及其制造方法
JP2004255666A (ja) 成形用加飾シート及び加飾シート成形体
JP2001293839A (ja) 化粧材
KR200377319Y1 (ko) 엠보싱 무늬가 있는 다양한 색상의 라미네이션용플라스틱 필름
EP4059708B1 (en) Laminated film, metallic product, and metallic signboard
KR20000010887A (ko) 가공밀착성이 우수하고 고선명 반사력을 갖는 수지 피복 금속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