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9829A - 전자 장치에서 움직이는 사진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에서 움직이는 사진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9829A
KR20140089829A KR1020130001743A KR20130001743A KR20140089829A KR 20140089829 A KR20140089829 A KR 20140089829A KR 1020130001743 A KR1020130001743 A KR 1020130001743A KR 20130001743 A KR20130001743 A KR 20130001743A KR 20140089829 A KR20140089829 A KR 20140089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icture
input
reproduction
electronic device
mat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4884B1 (ko
Inventor
이우용
유윤선
조상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1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884B1/ko
Priority to US14/144,868 priority patent/US9607651B2/en
Priority to PCT/KR2014/000006 priority patent/WO2014107025A1/en
Priority to RU2015121356A priority patent/RU2625336C2/ru
Priority to CA2838878A priority patent/CA2838878C/en
Priority to TW103100424A priority patent/TWI595408B/zh
Priority to JP2014000278A priority patent/JP6400293B2/ja
Priority to AU2014200042A priority patent/AU2014200042B2/en
Priority to EP14150194.0A priority patent/EP2753094B1/en
Priority to BR102014000331-2A priority patent/BR102014000331B1/pt
Priority to CN201410006887.5A priority patent/CN103916596B/zh
Publication of KR20140089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5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06F21/52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during program execution, e.g. stack integrity ; Preventing unwanted data erasure; Buffer overflow
    • G06F21/54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during program execution, e.g. stack integrity ; Preventing unwanted data erasure; Buffer overflow by adding security routines or objects to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Studio Devices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움직이는 사진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움직이는 사진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은, 움직이는 사진의 기준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과,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입력에 매칭된 재생 방식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에 매칭된 재생 방식에 따라 상기 움직이는 사진을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에서 움직이는 사진 제어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IMATED IMAGE IN AN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움직이는 사진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입력 방식을 고려하여 움직이는 사진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 및 반도체 기술의 발전으로 휴대용 전자 장치는 음성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장치로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전자 장치는 방송 서비스, 무선 인터넷 서비스, 카메라 서비스 및 음악 재생 서비스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휴대용 전자 장치의 사용자는 휴대용 전자 장치를 통해 더욱 다양한 서비스를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휴대용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는, 연속적으로 촬영된 다수 개의 사진들을 일정한 간격의 다수 개의 프레임들로 지정하여 재생하도록 합성된 사진 컨텐츠를 나타낸다.
하지만, 휴대용 전자 장치는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반복적으로 재생하는 서비스만을 제공함으로써, 휴대용 전자 장치의 사용자는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이용한 제한된 서비스만을 사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연속 촬영된 사진들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추정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움직임 영역을 자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연속 촬영된 사진들의 움직임 영역 정보를 합성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생성 시,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른 재생 방식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입력 정보에 매칭된 재생 방식에 따라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 영역을 선택적으로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움직이는 사진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은, 움직이는 사진의 기준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과,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입력에 매칭된 재생 방식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에 매칭된 재생 방식에 따라 상기 움직이는 사진을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제 1 견지에서 상기 움직이는 사진을 생성하는 과정은, 카메라를 이용한 연속 촬영을 통해 다수 개의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 개의 이미지들에서 기준 영역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 개의 이미지들의 기준 영역들을 합성하여 움직이는 사진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표시부와, 입력부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움직이는 사진의 기준 이미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입력에 매칭된 재생 방식을 확인하고, 상기 입력에 매칭된 재생 방식에 따라 상기 움직이는 사진을 재생한다.
제 2 견지에서 상기 움직이는 사진을 생성하는 프로그램은, 상기 카메라를 이용한 연속 촬영을 통해 다수 개의 이미지들을 획득하고, 상기 다수 개의 이미지들에서 기준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다수 개의 이미지들의 기준 영역들을 합성하여 움직이는 사진을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사용자 입력 정보에 매칭된 재생 방식에 따라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함으로써,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자 장치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움직임 영역을 자동으로 설정함으로써,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손쉽게 생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프로세서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 정보를 고려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 정보를 고려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 정보를 고려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 정보를 고려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화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 정보를 고려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화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를 설정하기 이한 화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입력 정보에 따라 움직이는 사진을 재생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전자 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C(Personal Computer), 랩탑(Laptop), 스마트폰(Smart Phone), 넷북(Netbook), 텔레비전(Television), 휴대 인터넷 장치(MID: Mobile Internet Device), 울트라 모바일 PC(UMPC: Ultra Mobile PC), 태블릿 PC(Tablet PC), 네비게이션, 스마트 TV, 디지털 카메라 및 MP3 등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프로세서 유닛(processor unit)(120), 오디오 처리부(130), 카메라부(140), 센싱부(150), 입출력 제어부(160), 표시부(170) 및 입력 장치(180)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모리(110)는 다수 개 존재할 수도 있다.
각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메모리(110)는 전자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111)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12)를 포함한다.
데이터 저장부(112)는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 및 입력 정보에 따른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제어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저장부(112)는 움직이는 사진 생성 추출 프로그램(114)을 통해 생성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112)는 재생 제어 프로그램(115)을 통해 생성된 입력 정보에 따른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제어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111)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 프로그램(113), 움직이는 사진 생성 프로그램(114), 재생 제어 프로그램(115)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116)을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부(111)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로 표현할 수도 있다.
GUI 프로그램(113)은 표시부(170) 상에 그래픽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GUI 프로그램(113)은 프로세서(122)에 의해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 정보를 표시부(170)에 표시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움직이는 사진 생성 프로그램(114)은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움직이는 사진 생성 프로그램(114)은 카메라부(140)를 통해 연속 촬영된 다수 개의 이미지들을 합성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움직이는 사진 생성 프로그램(114)은 카메라부(140)를 통해 연속 촬영된 다수 개의 이미지들 중 입력 장치(180)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의해 설정된 움직임 영역들의 정보를 합성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움직이는 사진 생성 프로그램(114)은 카메라부(140)를 통해 연속 촬영된 다수 개의 이미지들을 비교하여 움직임이 발생하는 영역을 추출하여 움직임 영역으로 설정한다. 이후, 움직이는 사진 생성 프로그램(114)은 연속 촬영된 이미지들의 움직임 영역들의 정보를 합성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움직이는 사진 생성 프로그램(114)은 이미지들을 픽셀 단위로 비교하여 움직임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재생 제어 프로그램(115)은 마이크(132), 센싱부(150) 및 입력 장치(18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공받은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따라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재생 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장치(180)를 통해 드래그(941, 943)를 감지한 경우, 재생 제어 프로그램(115)은 데이터 저장부(112)에 저장된 재생 방식들 중 드래그 정보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을 선택한다. 다른 예를 들어,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132)를 통해 "던져" 음성 명령(1050)을 제공받은 경우, 재생 제어 프로그램(115)은 데이터 저장부(112)에 저장된 재생 방식들 중 "던져" 음성 명령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센싱부(150)를 통해 전자 장치(100)의 흔들림이 감지된 경우, 재생 제어 프로그램(115)은 데이터 저장부(112)에 저장된 재생 방식들 중 전자 장치(100)의 흔들림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을 선택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재생 방식은 1회 재생, 반복 재생, 1회 역방향 재생, 반복 역방향 재생 등을 포함한다.
이때, 재생 제어 프로그램(115)은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이 매칭된 입력 정보들 중 해당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정보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재생 제어 프로그램(115)은 도 9c 및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이 매칭된 입력 정보들(920, 1030)을 표시부(17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재생 제어 프로그램(115)은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이 매칭된 입력 정보들(920, 1030)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정보를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입력 정보로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재생 제어 프로그램(115)은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이 매칭된 입력 정보들(920, 1030)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정보만을 고려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예를 들어, 재생 제어 프로그램(115)은 도 9d 및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이 매칭된 입력 방식들(930, 1040)을 표시부(17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재생 제어 프로그램(115)은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이 매칭된 입력 방식들(930, 1040)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방식을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입력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입력 방식이 선택된 경우, 재생 제어 프로그램(115)은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이 매칭된 입력 정보들 중 터치 입력 방식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입력 정보(930)만을 고려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인식 방식이 선택된 경우, 재생 제어 프로그램(115)은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이 매칭된 입력 정보들 중 음성 인식 방식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입력 정보(1040)만을 고려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방식은 싱글 터치(single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및 드래그 등과 같은 터치 입력 방식, 음성 인식 방식, 제스쳐 입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재생 제어 프로그램(115)은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 영역을 선택적으로 재생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d에 도시된 음성 인식 정보들(1040) 중 "던져" 음성 명령을 감지한 경우, 재생 제어 프로그램(115)은 도 10b에 도시된 두 개의 움직임 영역들(1010, 1020)을 포함하는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서 제 1 움직임 영역(1010)만 1회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예를 들어, 도 10d에 도시된 음성 인식 정보들 중 "재생" 음성 명령을 감지한 경우, 재생 제어 프로그램(115)은 도 10b에 도시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1회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재생 제어 프로그램(115)은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포함된 제 1 움직임 영역(1010) 및 제 2 움직임 영역(1020)을 1회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추가적으로, 재생 제어 프로그램(115)은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이 매칭되는 입력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재생 제어 프로그램(11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정보 설정 메뉴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이 매칭되는 입력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재생 제어 프로그램(115)은 움직이는 사진 생성 프로그램(114)을 통해 움직이는 사진 생성 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이 매칭되는 입력 정보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응용프로그램(116)은 전자장치(10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유닛(120)은 메모리 인터페이스(12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22) 및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세서 유닛(120)에 포함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2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2) 및 주변 인터페이스(123)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화된 회로로 집적화되거나 별개의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 인터페이스(121)는 프로세서(122) 또는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와 같은 구성요소의 메모리(110) 접근을 제어한다.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는 전자장치(100)의 입출력 주변 장치와 프로세서(122) 및 메모리 인터페이스(121)의 연결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22)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자장치(100)가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프로세서(122)는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해당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스피커(131) 및 마이크로폰(132)을 통해 사용자와 전자 장치(100) 사이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카메라부(140)는 피사체에 대한 촬영을 통해 획득한 수집 영상을 프로세서 유닛(120)으로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카메라부(140)는 광학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영상처리장치(Image Signal Processor) 및 영상처리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부(170)에 표시할 수 있도록 영상 처리하는 신호처리장치(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부(140)는 전자 장치(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제 1 카메라와 후면에 위치하는 제 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부(140)는 연속 촬영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프로세서 유닛(1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140)는 셔터 버튼이 입력을 감지한 경우, 기준 간격으로 기준 횟수만큼의 연속 촬영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부(140)는 셔터 버튼의 입력을 감지한 시점 또는 셔터 버튼의 입력을 감지한 후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시점부터 연속 촬영을 시작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카메라부(140)는 셔터 버튼의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기준 간격으로 연속 촬영을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때, 카메라부(140)는 셔터 버튼의 입력을 감지한 시점 또는 셔터 버튼의 입력을 감지한 후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시점부터 연속 촬영을 시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카메라부(140)는 동영상 촬영 시, 동영상 촬영을 위한 s프레임 간격을 조절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도 있다.
센싱부(150)는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센싱부(150)는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을 포함한다.
입출력 제어부(160)는 표시부(170) 및 입력 장치(180) 등의 입출력 장치와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표시부(170)는 전자장치(100)의 상태 정보,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 동화상(moving picture) 및 정화상(still picture) 등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70)는 프로세서(122)에 의해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 정보를 표시한다.
입력 장치(18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 데이터를 입출력 제어부(160)를 통해 프로세서 유닛(120)으로 제공한다. 이때, 입력 장치(180)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 및 터치 정보를 감지하는 터치 패드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180)는 터치 패드를 통해 감지한 터치 정보를 입출력 제어부(160)를 통해 프로세서(122)로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수 개의 통신 서브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는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무선랜, Bluetooth 네트워크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2)는 움직이는 사진 생성부(200), 재생 제어부(210), 응용프로그램 구동부(220) 및 표시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움직이는 사진 생성부(200)는 프로그램 저장부(111)에 저장된 움직이는 사진 생성 프로그램(114)을 실행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움직이는 사진 생성부(200)는 카메라부(140)를 통해 연속 촬영된 다수 개의 이미지들을 합성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움직이는 사진 생성부(200)는 카메라부(140)를 통해 연속 촬영된 다수 개의 이미지들 중 입력 장치(180)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의해 설정된 움직임 영역들의 정보를 합성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움직이는 사진 생성부(200)는 카메라부(140)를 통해 연속 촬영된 다수 개의 이미지들을 비교하여 움직임이 발생하는 영역을 추출하여 움직임 영역으로 설정한다. 이후, 움직이는 사진 생성부(200)는 연속 촬영된 이미지들의 움직임 영역들의 정보를 합성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때, 움직이는 사진 생성부(200)는 이미지들을 픽셀 단위로 비교하여 움직임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재생 제어부(210)는 프로그램 저장부(111)에 저장된 재생 제어 프로그램(115)을 실행하여 마이크(132), 센싱부(150) 및 입력 장치(18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공받은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따라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재생 방식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장치(180)를 통해 드래그(941, 943)를 감지한 경우, 재생 제어부(210)는 데이터 저장부(112)에 저장된 재생 방식들 중 드래그 정보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을 선택한다. 다른 예를 들어,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132)를 통해 "던져" 음성 명령(1050)을 제공받은 경우, 재생 제어부(210)는 데이터 저장부(112)에 저장된 재생 방식들 중 "던져" 음성 명령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센싱부(150)를 통해 전자 장치(100)의 흔들림이 감지된 경우, 재생 제어부(210)는 데이터 저장부(112)에 저장된 재생 방식들 중 전자 장치(100)의 흔들림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때, 재생 제어부(210)는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이 매칭된 입력 정보들 중 해당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정보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재생 제어부(210)는 도 9c 및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이 매칭된 입력 정보들(920, 1030)을 표시부(17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재생 제어부(210)는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이 매칭된 입력 정보들(920, 1030)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정보를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입력 정보로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재생 제어부(210)는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이 매칭된 입력 정보들(920, 1030)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정보만을 고려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예를 들어, 재생 제어부(210)는 도 9d 및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이 매칭된 입력 방식들(930, 1040)을 표시부(17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재생 제어부(210)는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이 매칭된 입력 방식들(930, 1040)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방식을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입력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입력 방식이 선택된 경우, 재생 제어부(210)는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이 매칭된 입력 정보들 중 터치 입력 방식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입력 정보(930)만을 고려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인식 방식이 선택된 경우, 재생 제어부(210)는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이 매칭된 입력 정보들 중 음성 인식 방식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입력 정보(1040)만을 고려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재생 제어부(210)는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 영역을 선택적으로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0d에 도시된 음성 인식 정보들(1040) 중 "던져" 음성 명령을 감지한 경우, 재생 제어부(210)는 도 10b에 도시된 두 개의 움직임 영역들(1010, 1020)을 포함하는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서 제 1 움직임 영역(1010)만 1회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예를 들어, 도 10d에 도시된 음성 인식 정보들 중 "재생" 음성 명령을 감지한 경우, 재생 제어부(210)는 도 10b에 도시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1회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재생 제어부(210)는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포함된 제 1 움직임 영역(1010) 및 제 2 움직임 영역(1020)을 1회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추가적으로, 재생 제어부(210)는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이 매칭되는 입력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재생 제어부(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정보 설정 메뉴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이 매칭되는 입력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재생 제어부(210)는 움직이는 사진 생성 프로그램(114)을 통해 움직이는 사진 생성 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이 매칭되는 입력 정보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응용프로그램 구동부(220)는 프로그램 저장부(111)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116)을 실행하여 해당 응용프로그램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응용프로그램 구동부(220)는 프로그램 저장부(111)에 저장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응용프로그램 구동부(220)는 제생 제어부(210)에서 결정한 재생 방식에 따라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230)는 프로그램 저장부(111)에 저장된 GUI 프로그램(113)을 실행하여 표시부(170) 상에 그래픽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230)는 응용프로그램 구동부(220)에서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 정보를 표시부(17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재생 제어부(210)에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포함되는 움직임 영역들 중 일부 움직임 영역만을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재생 제어부(210)는 도 10b에 도시된 두 개의 움직임 영역들(1010, 1020)을 포함하는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서 제 1 움직임 영역(1010)만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제어부(220)는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기준 이미지와 재생되는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중첩시켜 제 1 움직임 영역(1010)만 재생되는 것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움직이는 사진 생성부(200)와 재생 제어부(210)를 포함하는 프로세서(122)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생성 및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따라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을 결정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생성 및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따라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을 결정하는 별도의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301단계에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연속 촬영된 다수 개의 이미지들을 합성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 촬영된 이미지들의 움직임 영역들을 합성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다.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생성한 후, 전자 장치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마이크(132), 센싱부(150) 및 입력 장치(18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입력 정보를 감지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303단계에서 감지한 입력 정보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제어 정보는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재생 방식을 포함한다.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를 확인한 후, 전자 장치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입력 정보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를 고려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한다. 예를 들어,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장치(180)를 통해 드래그(941, 943)를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드래그 정보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에 따라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1회 재생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드래그 거리에 따라 움직임 영역(910)에 포함된 "골프 스윙"의 재생 지점을 제어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132)를 통해 "던져" 음성 명령(1050)을 제공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던져" 음성 명령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에 따라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제 2 움직임 영역(1020)만을 1회 재생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301단계에서 생성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입력 정보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에 따라 재생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데이터 저장부(112)에 저장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 중 재생하기 위해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입력 정보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에 따라 재생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401단계에서 연속 촬영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연속 촬영 모드로 설정된 카메라부(140)에 대한 셔터 버튼의 입력이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카메라부(140)에 대한 셔터 버튼의 입력이 기준 시간 동안 유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연속 촬영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전자 장치는 403단계로 진행하여 연속 촬영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셔터 버튼이 입력을 감지한 경우, 기준 간격으로 기준 횟수만큼의 연속 촬영을 통해 도 9a 또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수 개의 이미지들(900, 1000)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셔터 버튼의 입력을 감지한 시점 또는 셔터 버튼의 입력을 감지한 후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시점부터 연속 촬영을 시작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셔터 버튼의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기준 간격으로 연속 촬영을 수행하여 도 9a 또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수 개의 이미지들(900, 1000)을 획득할 수도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셔터 버튼의 입력을 감지한 시점 또는 셔터 버튼의 입력을 감지한 후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시점부터 연속 촬영을 시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동영상 촬영 시, 동영상 촬영을 위한 프레임 간격을 조절하여 다수 개의 이미지들을 획득할 수도 있다.
연속 촬영된 이미지들을 확인한 후, 전자 장치는 405단계로 진행하여 연속 촬영된 이미지들에 대한 움직임 영역을 결정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움직임 영역(910)을 결정하거나,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움직임 영역들(1010, 1020)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연속 촬영된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의 기준 이미지를 설정하여 표시부(170)에 표시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기준 이미지에 대한 터치 정보를 고려하여 움직임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연속 촬영된 이미지들을 비교하여 움직임이 감지되는 영역을 움직임 영역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는 이미지들을 픽셀 단위로 비교하여 움직임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움직임 영역을 결정한 후, 전자 장치는 407단계로 진행하여 연속 촬영된 이미지들의 움직임 영역들을 합성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생성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연속 촬영된 이미지들의 움직임 영역들을 합성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생성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입력 정보와 재생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생성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정보 설정 메뉴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입력 정보와 재생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 생성과 관계없이 제어 정보 설정 메뉴 선택에 의해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입력 정보와 재생 방식을 도 5와 동일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501단계에서 제어 정보 설정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제어 정보 설정 메뉴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 정보 설정 아이콘이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제어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가 생성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제어 정보 설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전자 장치는 503단계로 진행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정보 설정 화면을 표시부(170)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제어 정보 설정 화면을 표시부(170)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표시부(170)에 표시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중첩되도록 제어 정보 설정을 위한 팝업창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505단계로 진행하여 제어 정보 설정이 완료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180)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되는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입력 정보와 재생 방식을 제어 정보 설정 화면에 표시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입력 완료 메뉴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제어 정보의 설정이 완료된 경우, 전자 장치는 507단계로 진행하여 제어 정보 설정 화면을 통해 설정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입력 정보와 재생 방식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112)에 저장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생성한 후, 제어 정보 설정 메뉴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입력 정보와 재생 방식을 설정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기 설정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입력 정보와 재생 방식 정보들 중 생성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에 적용하기 위한 입력 정보와 재생 방식의 매칭 정보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생성한 후, 도 9c 또는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입력 정보와 재생 방식 정보들(920, 1030)을 표시부(170)에 표시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표시부(170)에 표시된 기 설정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입력 정보와 재생 방식 정보들(920, 1030) 중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에 적용하기 위한 입력 정보와 재생 방식의 매칭 정보를 선택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생성한 후, 도 9d 또는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입력 방식에 따른 재생 방식 정보들(930, 1040)을 표시부(170)에 표시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표시부(170)에 표시된 기 설정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입력 방식에 따른 재생 방식 정보들(920, 1030) 중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에 적용하기 위한 입력 방식에 따른 재생 방식의 매칭 정보를 선택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 정보를 고려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601단계에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실행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데이터 저장부(112)에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 중 실행하기 위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실행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전자 장치는 603단계로 진행하여 실행하기 위해 선택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 정보를 표시부(170)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기준 화면을 표시부(170)에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대기 상태로 유지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605단계로 진행하여 마이크(132), 센싱부(150) 및 입력 장치(18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입력 정보가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입력 정보를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607단계로 진행하여 605단계에서 감지한 입력 정보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제어 정보는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재생 방식을 포함한다.
입력 정보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611단계로 진행하여 경고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입력 정보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경고 메시지, 경고 음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킨다.
이후, 전자 장치는 605단계로 진행하여 입력 정보가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한편, 입력 정보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609단계로 진행하여 입력 정보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를 고려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한다. 예를 들어,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장치(180)를 통해 드래그(941, 943)를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드래그 정보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에 따라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1회 재생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드래그 거리에 따라 골프 스윙의 재생 지점을 제어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132)를 통해 "던져" 음성 명령(1050)을 제공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던져" 음성 명령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에 따라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제 2 움직임 영역(1020)만을 1회 재생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 정보를 고려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701단계에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실행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데이터 저장부(112)에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 중 실행하기 위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실행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전자 장치는 703단계로 진행하여 실행하기 위해 선택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 정보를 표시부(170)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기준 화면을 표시부(170)에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대기 상태로 유지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705단계로 진행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포함된 움직임 영역의 개수가 다수 개인지 확인한다.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가 다수 개의 움직임 영역들을 포함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707단계로 진행하여 마이크(132), 센싱부(150) 및 입력 장치(18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입력 정보가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입력 정보를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709단계로 진행하여 707단계에서 감지한 입력 정보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를 확인한다. 만일, 입력 정보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입력 정보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경고 메시지, 경고 음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입력 정보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를 확인한 후, 전자 장치는 711단계로 진행하여 입력 정보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를 고려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 영역을 재생한다. 예를 들어,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132)를 통해 "던져" 음성 명령(1050)을 제공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던져" 음성 명령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에 따라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제 2 움직임 영역(1020)만을 1회 재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서 제 1 움직임 영역(1010)에 대한 드래그가 감지된 경우, 전자 장치는 드래그 정보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에 따라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제 1 움직임 영역(1010)만을 1회 재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마이크(132)를 통해 "재생" 음성 명령을 제공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재생" 음성 명령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에 따라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제 1 움직임 영역(1010) 및 제 2 움직임 영역(1020)을 1회 재생할 수도 있다.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가 하나의 움직임 영역들을 포함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713단계로 진행하여 마이크(132), 센싱부(150) 및 입력 장치(18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입력 정보가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입력 정보를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715단계로 진행하여 713단계에서 감지한 입력 정보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를 확인한다. 만일, 입력 정보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입력 정보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경고 메시지, 경고 음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입력 정보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를 확인한 후, 전자 장치는 717단계로 진행하여 입력 정보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를 고려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한다. 예를 들어,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장치(180)를 통해 드래그(941, 943)를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드래그 정보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에 따라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움직임 영역을 1회 재생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 정보를 고려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801단계에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실행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데이터 저장부(112)에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 중 실행하기 위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실행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전자 장치는 803단계로 진행하여 실행하기 위해 선택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 정보를 표시부(170)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기준 화면을 표시부(170)에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대기 상태로 유지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805단계로 진행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입력 정보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9c 및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이 매칭된 입력 정보들(920, 1030)을 표시부(170)에 표시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이 매칭된 입력 정보들(920, 1030)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정보를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입력 정보로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9d 및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이 매칭된 입력 방식들(930, 1040)을 표시부(170)에 표시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이 매칭된 입력 방식들(930, 1040)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방식을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입력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다.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입력 정보를 결정한 후, 전자 장치는 807단계로 진행하여 마이크(132), 센싱부(150) 및 입력 장치(18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입력 정보가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입력 정보를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809단계로 진행하여 807단계에서 감지한 입력 정보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제어 정보는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재생 방식을 포함한다.
입력 정보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813단계로 진행하여 경고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입력 정보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경고 메시지, 경고 음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킨다.
이후, 전자 장치는 807단계로 진행하여 입력 정보가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한편, 입력 정보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811단계로 진행하여 입력 정보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에 대한 제어 정보를 고려하여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한다. 예를 들어,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장치(180)를 통해 드래그(941, 943)를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드래그 정보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에 따라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1회 재생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드래그 거리에 따라 골프 스윙의 재생 지점을 제어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132)를 통해 "던져" 음성 명령(1050)을 제공받은 경우, 전자 장치는 "던져" 음성 명령에 매칭된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재생 방식에 따라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제 2 움직임 영역(1020)만을 1회 재생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마이크(132), 센싱부(150) 및 입력 장치(18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공받은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매칭된 재생 방식에 따라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를 재생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따라 움직이는 사진 컨텐츠의 움직임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서 움직이는 사진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움직이는 사진의 기준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과,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입력에 매칭된 재생 방식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에 매칭된 재생 방식에 따라 상기 움직이는 사진을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 이전에 움직이는 사진을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이는 사진을 생성하는 과정은,
    카메라를 이용한 연속 촬영을 통해 다수 개의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 개의 이미지들에서 기준 영역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 개의 이미지들의 기준 영역들을 합성하여 움직이는 사진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영역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이미지들을 비교하여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영역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한 영역을 기준 영역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이는 사진을 생성한 후, 상기 움직이는 사진을 재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재생 방식과 각각의 재생 방식에 매칭된 입력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은, 터치 입력 방식, 음성 인식 방식 및 제스쳐 입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입력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이는 사진을 재생하는 과정은,
    상기 움직이는 사진에 다수 개의 기준 영역들이 포함된 경우, 상기 입력에 매칭된 재생 방식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준 영역을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이미지를 표시한 후, 기 설정된 움직이는 사진을 재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재생 방식과 각각의 재생 방식에 매칭된 입력 정보 중 상기 기준 이미지에 대한 움직이는 사진을 재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재생 방식 및 각각의 재생 방식에 매칭된 입력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에 매칭된 재생 방식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경고 메시지 및 경고 음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방식은, 1회 재생, 반복 재생, 1회 역방향 재생 및 반복 역방향 재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표시부와,
    입력부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움직이는 사진의 기준 이미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입력에 매칭된 재생 방식을 확인하고,
    상기 입력에 매칭된 재생 방식에 따라 상기 움직이는 사진을 재생하는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움직이는 사진을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는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카메라를 더 포함하여,
    상기 움직이는 사진을 생성하는 프로그램은,
    상기 카메라를 이용한 연속 촬영을 통해 다수 개의 이미지들을 획득하고,
    상기 다수 개의 이미지들에서 기준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다수 개의 이미지들의 기준 영역들을 합성하여 움직이는 사진을 생성하는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이는 사진을 생성하는 프로그램은, 상기 이미지들을 비교하여 피사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영역을 추출하여 기준 영역으로 결정하는 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이는 사진을 생성하는 프로그램은, 움직이는 사진을 생성한 후, 상기 움직이는 사진을 재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재생 방식과 각각의 재생 방식에 매칭된 입력 정보를 설정하는 장치.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은, 터치 입력 방식, 음성 인식 방식 및 제스쳐 입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입력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움직이는 사진에 다수 개의 기준 영역들이 포함된 경우, 상기 입력에 매칭된 재생 방식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준 영역을 재생하는 장치.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기준 이미지를 표시한 후, 기 설정된 움직이는 사진을 재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재생 방식과 각각의 재생 방식에 매칭된 입력 정보 중 상기 기준 이미지에 대한 움직이는 사진을 재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재생 방식 및 각각의 재생 방식에 매칭된 입력 정보를 선택하는 장치.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입력에 매칭된 재생 방식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경고 메시지 및 경고 음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장치.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방식은, 1회 재생, 반복 재생, 1회 역방향 재생 및 반복 역방향 재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KR1020130001743A 2013-01-07 2013-01-07 전자 장치에서 움직이는 사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04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743A KR102004884B1 (ko) 2013-01-07 2013-01-07 전자 장치에서 움직이는 사진 제어 장치 및 방법
US14/144,868 US9607651B2 (en) 2013-01-07 2013-12-31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ents in electronic device
RU2015121356A RU2625336C2 (ru) 2013-01-07 2014-01-02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контентом в электронном устройстве
PCT/KR2014/000006 WO2014107025A1 (en) 2013-01-07 2014-01-02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ents in electronic device
CA2838878A CA2838878C (en) 2013-01-07 2014-01-03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ents in electronic device
TW103100424A TWI595408B (zh) 2013-01-07 2014-01-06 電子元件及在其中進行操作的方法
JP2014000278A JP6400293B2 (ja) 2013-01-07 2014-01-06 電子装置でコンテンツを制御する装置及びその方法
AU2014200042A AU2014200042B2 (en) 2013-01-07 2014-01-06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ents in electronic device
EP14150194.0A EP2753094B1 (en) 2013-01-07 2014-01-06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ents in electronic device
BR102014000331-2A BR102014000331B1 (pt) 2013-01-07 2014-01-07 Método para a execução de uma operação em um dispositivo eletrônico, dispositivo eletrônico e meio legível por computador
CN201410006887.5A CN103916596B (zh) 2013-01-07 2014-01-07 用于在电子装置中控制内容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743A KR102004884B1 (ko) 2013-01-07 2013-01-07 전자 장치에서 움직이는 사진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829A true KR20140089829A (ko) 2014-07-16
KR102004884B1 KR102004884B1 (ko) 2019-07-29

Family

ID=49999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743A KR102004884B1 (ko) 2013-01-07 2013-01-07 전자 장치에서 움직이는 사진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607651B2 (ko)
EP (1) EP2753094B1 (ko)
JP (1) JP6400293B2 (ko)
KR (1) KR102004884B1 (ko)
CN (1) CN103916596B (ko)
AU (1) AU2014200042B2 (ko)
BR (1) BR102014000331B1 (ko)
CA (1) CA2838878C (ko)
RU (1) RU2625336C2 (ko)
TW (1) TWI595408B (ko)
WO (1) WO20141070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078B1 (ko) * 2015-04-29 2016-09-07 주식회사 시어스랩 움직이는 사진 생성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50140B2 (en) 2017-06-22 2021-03-16 Visyn Inc. Video practice systems and methods
US10679396B2 (en) * 2017-07-13 2020-06-09 Visyn Inc. Holographic multi avatar training system interface and sonification associative training
KR20170011870A (ko) * 2015-07-24 201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017576B2 (en) 2018-05-30 2021-05-25 Visyn Inc. Reference model predictive tracking and rendering
US11615648B2 (en) 2021-05-28 2023-03-28 Sportsbox.ai Inc. Practice drill-related features using quantitative, biomechanical-based analysi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66950A1 (en) * 2010-12-22 2012-06-28 Google Inc. Video Player with Assisted Seek
US20120200574A1 (en) * 2011-02-03 2012-08-09 Sony Corporation Training for substituting touch gestures for gui or hardware keys to control audio video play
US20120230606A1 (en) * 2011-03-11 2012-09-13 Sony Corporation Image synthesizing apparatus, image synthesizing method, and image synthesizing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3195A (ja) * 1991-07-18 1993-03-26 Personal Joho Kankyo Kyokai 操作方法変換装置
JPH086707A (ja) 1993-12-30 1996-01-12 Xerox Corp スクリーン指向ディスプレー処理システム
JP4110560B2 (ja) * 1998-05-20 2008-07-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0029585A (ja) * 1998-07-08 2000-01-28 Canon Inc 音声コマンド認識画像処理装置
US8271287B1 (en) 2000-01-14 2012-09-18 Alcatel Lucent Voice command remote control system
JP2001216069A (ja) * 2000-02-01 2001-08-10 Toshiba Corp 操作入力装置および方向検出方法
JP2004061645A (ja) * 2002-07-25 2004-02-26 Casio Comput Co Ltd データ入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078736A (ja) * 2002-08-21 2004-03-11 Yamatosokki Joho Center Co Ltd 音声データまたは動画像データ等の再生を制御するための再生制御システム
US7487460B2 (en) 2003-03-21 2009-02-03 Microsoft Corporation Interface for presenting data representations in a screen-area inset
KR101039003B1 (ko) 2003-10-13 2011-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파일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는 파일목록을 생성하는영상재생장치 및 그의 파일목록 생성방법
US20070113200A1 (en) 2004-01-29 2007-05-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On-screen control of a video playback device
US20060114327A1 (en) * 2004-11-26 2006-06-01 Fuji Photo Film, Co., Ltd. Photo movie creating apparatus and program
KR101690164B1 (ko) * 2005-03-04 2016-12-27 애플 인크. 다기능 휴대용 장치
RU2303811C1 (ru) 2005-11-07 2007-07-27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оммерческий банк ПриватБанк Способ дистанционной аутентификации пользователя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8848053B2 (en) * 2006-03-28 2014-09-30 Objectvideo, Inc. Automatic extraction of secondary video streams
KR100837283B1 (ko) 2007-09-10 2008-06-11 (주)익스트라스탠다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US8103134B2 (en) * 2008-02-20 2012-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 handheld device for capturing motion
JP4513894B2 (ja) * 2008-05-16 2010-07-2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再生装置、画像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752897B2 (ja) 2008-10-31 2011-08-1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4877319B2 (ja) * 2008-12-24 2012-02-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生成装置、プログラム、画像表示方法、及び、撮像方法
KR101595380B1 (ko) 2009-05-07 2016-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8340654B2 (en) 2009-05-26 2012-12-25 Lextech Lab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video display and control for portable device
JP2011035636A (ja) * 2009-07-31 2011-02-17 Casio Computer Co Ltd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US9232167B2 (en) 2009-08-04 2016-01-05 Echostar Technologies L.L.C. Video system and remote control with touch interface for supplemental content display
JP5533872B2 (ja) * 2009-08-18 2014-06-25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649637B1 (ko) 2009-11-23 2016-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463973B2 (ja) * 2010-03-10 2014-04-09 株式会社ニコン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制御システム
JP2011193386A (ja) * 2010-03-16 2011-09-29 Toshiba Corp 電子機器及び画像処理方法
US9009594B2 (en) * 2010-06-10 2015-04-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ent gestures
JP2012014604A (ja) 2010-07-05 2012-01-19 Panasonic Corp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及び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
JP5158174B2 (ja) * 2010-10-25 2013-03-06 株式会社デンソー 音声認識装置
JP5636888B2 (ja) * 2010-11-09 2014-12-1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コマンド生成方法
JP5754119B2 (ja) * 2010-12-07 2015-07-2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874425B1 (ja) * 2010-12-28 2012-02-15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66950A1 (en) * 2010-12-22 2012-06-28 Google Inc. Video Player with Assisted Seek
US20120200574A1 (en) * 2011-02-03 2012-08-09 Sony Corporation Training for substituting touch gestures for gui or hardware keys to control audio video play
US20120230606A1 (en) * 2011-03-11 2012-09-13 Sony Corporation Image synthesizing apparatus, image synthesizing method, and image synthesizing progra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078B1 (ko) * 2015-04-29 2016-09-07 주식회사 시어스랩 움직이는 사진 생성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4200042A1 (en) 2014-07-24
EP2753094A2 (en) 2014-07-09
TWI595408B (zh) 2017-08-11
EP2753094A3 (en) 2015-06-17
EP2753094B1 (en) 2020-11-18
BR102014000331B1 (pt) 2022-02-22
TW201428596A (zh) 2014-07-16
JP6400293B2 (ja) 2018-10-03
US20140193132A1 (en) 2014-07-10
KR102004884B1 (ko) 2019-07-29
RU2625336C2 (ru) 2017-07-13
AU2014200042B2 (en) 2019-01-17
RU2015121356A (ru) 2016-12-27
JP2014132461A (ja) 2014-07-17
US9607651B2 (en) 2017-03-28
CA2838878C (en) 2021-11-30
BR102014000331A2 (pt) 2018-12-11
CA2838878A1 (en) 2014-07-07
WO2014107025A1 (en) 2014-07-10
CN103916596B (zh) 2019-02-22
CN103916596A (zh)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67706B (zh) 多媒体数据的处理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703047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Live Broadcast on Game
US9674395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generating photograph
CN109257645B (zh) 视频封面生成方法及装置
KR102004884B1 (ko) 전자 장치에서 움직이는 사진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1246300B (zh) 剪辑模板的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20063084A1 (zh)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677734B (zh) 视频合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30056529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7167244B2 (ja) 遮蔽された画像の検出方法、装置、及び媒体
KR20180037235A (ko)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CN108986117B (zh) 视频图像分割方法及装置
KR20140039928A (ko) 휴대 단말기의 이미지 촬영 방법 및 장치
KR101862128B1 (ko) 얼굴을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US11600300B2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dynamic image
CN113286073A (zh) 拍摄方法、拍摄装置及存储介质
CN112565625A (zh) 视频处理方法、装置及介质
CN113095163A (zh) 视频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20140179379A1 (en) Mode change apparatus and method in electronic device
CN113315903A (zh) 图像获取方法和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CN110662113B (zh) 视频播放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784107A (zh) 在视频中提取图片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150067582A (ko)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20150063189A (ko) 이미지에 감성 효과를 부가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