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8859A - 각막 포켓 레이저 절단 방법 - Google Patents

각막 포켓 레이저 절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8859A
KR20140088859A KR1020147008010A KR20147008010A KR20140088859A KR 20140088859 A KR20140088859 A KR 20140088859A KR 1020147008010 A KR1020147008010 A KR 1020147008010A KR 20147008010 A KR20147008010 A KR 20147008010A KR 20140088859 A KR20140088859 A KR 20140088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cornea
pocket
corneal
laser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8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8399B1 (ko
Inventor
블라디미르 페인골드
Original Assignee
프레스비테크,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레스비테크, 인크. filed Critical 프레스비테크, 인크.
Publication of KR20140088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8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61F9/00825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for photodisruption
    • A61F9/00836Flap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45Corneal inlays, onlays, or lenses for refractive cor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61F2009/00861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adapted for treatment at a particular location
    • A61F2009/00872Corn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61F9/00825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for photodisruption
    • A61F9/00834Inlays; Onlays; Intraocular lenses [I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환자의 각막내에 포켓을 생성하기 위하여 레이저를 이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포켓은 펨토초 또는 나노초 레이저를 이용하여 생성된다. 레이저는 각막내의 조직을 특정 형상으로 제거한다. 포켓의 형상은 레이저의 3차원 경로를 주문형 프로그램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각막 렌즈 형상 및 크기를 수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각막 포켓 구성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된 형상이 이용될 수 있다. 환자의 시력을 교정하기 위하여 각막내 렌즈가 포켓내에 삽입될 수 있다.

Description

각막 포켓 레이저 절단 방법{METHOD FOR LASER CUTTING A CORNEAL POCKET}
본 출원은 2009년 1월 8일 출원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12/281,749을 우선권 주장하며, 그 개시 전체가 여기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안과 수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각막 포켓 레이저 절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노안(presbyopia)는 근거리 시력을 서서히 잃게 되는 것으로, 종종 노화 작용을 수반한다. 노안을 앓고 있는 사람의 눈은 책, 잡지, 또는 컴퓨터 스크린과 같은 근거리 사물에 초점을 맞추는 능력이 약해진다. 노안의 증상은 작은 활자를 읽는 것의 어려움 및 근거리와 원거리 사물 사이에서 눈의 초점을 옮기는 경우 침침해지는 현상(blurred vis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노안에 대한 몇개의 일반적 처방이 있다. 독서 전용 안경이 그러한 처방 중 하나이다. 독서용 안경은 시력 개선을 위하여 근거리 사물의 확대를 제공한다. 그러나, 개인이 원거리의 사물에 초점을 맞추기 위한 안경을 또한 필요로 한다면, 독서용 안경과 원거리 안경(distance glasses) 사이에서 전환하는 것은 불편할 수 있다. 다른 처방은 이중 초점 안경으로서, 안경 렌즈의 일부는 원거리 시력을 돕기 위한 것이고, 일부는 근거리 시력을 돕기 위한 것이다. 이중 초점이 근거리 및 원거리 시력 교정 모두를 위해 하나의 안경을 제공하지만, 방향 감각 상실(disorientation)을 유발할 수 있다. 눈의 표면에 대한 콘텍트 렌즈 또한 근거리 및 원거리 시력에 대한 시력 교정을 제공하도록 개발되었다. 비록 이 처방들이 노안을 앓고 있는 개인의 시력 교정을 위해 제공되지만, 각각은 매일 착용하거나 사용해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보조 장비 또는 콘텍트 렌즈를 필요로 한다. 또한, 눈에 삽입하기 위한 매우 작은 렌즈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각막내에 렌즈가 삽입될 수 있는 소형 포켓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각막내에 렌즈가 삽입될 수 있는 그러한 소형 포켓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필요성은 대부분은 본 발명에 의해 충족되는데, 일 측면에서,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장치는 렌즈가 삽입될 수 있는 각막 포켓을 레이저 절단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각막 포켓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은 각막 포켓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저에너지의 펨토초 또는 나노초 레이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특정 포켓 형상을 갖는 각막 포켓을 형성하기 위하여 각막 포켓을 생성하고 레이저에 대한 움직임 경로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도록 레이저를 각막에 인접하게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움직임 경로는 일반적인 곡선으로 이루어진 경로를 따른다. 또한, 상기 방법은 레이저 빔이 소정 깊이에서 각막 조직을 절단하도록 각막의 앞쪽 표면과 뒷쪽 표면 사이의 각막 내에서 소정 깊이까지 레이저로부터의 레이저 빔을 초점을 맞추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또한 특정 포켓 형상을 갖는 각막 포켓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레이저 빔을 상기 움직임 경로내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비점수차 효과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각막의 중간을 향하여 상기 레이저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또한 약 0.2μJ과 1.5μJ 사이의 범위의 에너지 출력을 갖는 레이저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는 또한 약 0.2 ㎛ 내지 4.0 ㎛의 범위의 스팟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각막 포켓은 약 220 ㎛ 내지 350 ㎛의 범위의 깊이로 위치 지정될 수 있다. 또한, 다중 레이저 빔 스팟 및 스팟들 사이의 공간을 갖는 레이저가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특정 포켓 형상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레이저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막 포켓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은 각막 포켓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저에너지 펨토초 또는 나노초 레이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각막 포켓을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이저를 각막에 인접하게 배치하는 단계 및 특정 포켓 형상을 갖는 각막 포켓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레이저에 대한 움직임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움직임 경로는 일반적으로 곡선 형상 경로를 따름 -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특정 형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위치 지정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레이저 빔이 소정 깊이에서 각막 조직을 절단 및 분리하도록 상기 각막의 앞쪽 표면과 뒷쪽 표면 사이의 상기 각막 내에서 소정 깊이까지 상기 레이저로부터의 레이저 빔의 초점을 맞추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또한 특정 포켓 형상을 갖는 상기 각막 포켓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레이저 빔을 상기 움직임 경로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비점수차 효과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레이저를 각막의 중간을 향하도록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약 0.2μJ과 1.5μJ 사이의 범위의 에너지 출력을 갖는 레이저를 이용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한다. 상기 레이저는 또한 약 0.2 ㎛ 내지 4.0 ㎛의 범위의 스팟 크기를 가지며, 상기 각막 포켓은 약 220 ㎛ 내지 350 ㎛의 범위의 깊이에 위치 지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레이저는 복수의 레이저 빔 스팟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스팟 사이의 공간은 제거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이 보다 잘 이해될 수 있고 또한 당해 분야에 기여하는 바가 보다 잘 평가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다소 넓게 요약하였다. 물론, 이하에 설명되고 첨부된 청구 범위의 대상을 형성할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가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은 구성의 상세 사항에 대한 및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된 또는 도면의 도시된 구성 요소의 배치에 대한 적용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다양한 방식으로 설명된 및 실시된 및 이행된 것들 이외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요약서 외에도 여기에 사용된 어법 및 용어는 설명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제한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그러므로, 당해 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명세서가 기초로 하는 개념이 본 발명의 수개의 목적을 이행하기 위한 다른 구성, 방법 및 시스템을 지정하기 위한 기초로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벋어나지 않고 현재까지의 등가의 구조물과 같은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음이 중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막내 포켓을 생성하기 위한 레이저 시술용 레이저 시술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에 배치된 각막내 렌즈를 갖는 눈의 앞쪽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눈의 각막 내부에 배치된 임플란트를 갖는 눈의 앞쪽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환자의 각막으로 렌즈를 삽입하기 위한 방법에 포함된 일련의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막 및 각막 포켓내의 절개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막내의 절개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막 포켓의 탑 다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빔에 대한 3차원 경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빔의 움직임에 대한 경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되며, 전체에 걸쳐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부분을 참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각막내의 플랩 또는 포켓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 렌즈 또는 포켓은 바람직하게는 종래의 라식 시술에 이용되는 레이저에 의해 생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막내 포켓을 생성하기 위한 레이저 시술용 레이저 시술 장치(10)를 도시한다. 레이저 시술 장치(10)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펄스 기간 및 펄스 에너지의 레이저 펄스의 연속 열을 갖는 소스 빔(14)을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생성 및 제어할 수 있는 레이저 소스(12)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시술 장치(10)의 일 실시예에서, 소스 빔(14)은 펨토초 또는 나노초 레이저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소스 빔(14)은 800 나노미터 보다 큰 파장 및 약 0.2mu.J 내지 1.5mu.J의 범위내의 펄스 에너지를 가질 수 있다. 펄스에 대해 적은 에너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각막 포켓을 생성하기에 적합한 임의 레벨의 에너지도 가능하다.
레이저 시술 장치(10)는 정형된 레이저 빔(18)을 형성하고 정형된 레이저 빔(18)을 눈(22)의 각막(28)쪽으로 및 각막(28)으로 향하도록 하기 위한 광학 시스템(16)을 더 포함한다. 레이저 빔(18)은 환자의 눈 위의 레이저 빔(18)의 경로를 결정하도록 컴퓨터로 프로그램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빔(18)은 렌즈 삽입을 위한 포켓을 형성하기 위하여 각막을 절단 및 분리하기 위한 3차원 경로를 따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그 내부에 배치된 각막내 렌즈(intracorneal lens; 26)를 갖는 눈(22)의 앞쪽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막내 렌즈(26)는 눈(22)의 각막(28)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눈(22)의 전방(前房)(30)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홍채(32)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레이저 시술 장치(10)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는 각막 포켓(29)의 형성에 후속하여 렌즈(26)는 각막(28)내에 삽입될 수 있다.
각막내 렌즈(26)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에 국한되지 않고, 원형 또는 타원형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막내 렌즈(26)는 도넛형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각막내 렌즈(26)의 크기 및 형상은 일부 경우에는 각막 포켓의 크기 및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각막내 렌즈(26)는 바람직하게는 내부 눈 조직의 적절한 산소화를 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기체가 확산되도록 하는 생체에 적합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재료는 실리콘, 하이드로겔, 우레탄 또는 아크릴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는 함수시 어느 정도 부푸는 친수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이드로겔과 같은 재료가 공지되어 있고, 일부 현 콘택트 렌즈에서도 이용된다.
각막내 렌즈(26)의 광학적 특성은 근시(short sightedness), 원시(long sightedness), 노안 및 난시를 제한 없이 포함하는 각종 시각적 결함을 교정하기 위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막내 렌즈(26)는 +15 부터 -30까지의 범위내의 디옵터 파워(diopter power)를 가질 수 있다. 각막내 렌즈(26)는 환자의 특정 시각적 결함을 교정하기 위한 광학적 특징을 제공하기 위한 특정 환자에 대해 주문형일 수 있다. 각막내 렌즈(26)는 다초점일 수 있고, 소정 광학 특징을 갖는 기성품(off-the-shelf unit)으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광학 파워를 갖는 구역과 광학 파워를 갖지 않는 구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시각적 결함의 처방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다른 눈 상태의 처방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시술 장치(10)에 의해 형성되는 각막 포켓(29)을 갖는 각막(28)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각막(28)은 앞쪽 표면(31) 및 뒷쪽 표면(33)을 갖는다. 각막 포켓(29)은 레이저 소스(12)로부터의 레이저 빔(18)을 이용한 광파괴(photo disruption)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각막 포켓(29)은 각막내 렌즈(26)의 표면에 부합하는 두께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막 포켓(29)의 내부 표면은 볼록, 오목, 평면 또는 불규칙일 수 있다. 각막 포켓(29)의 에지는 각막내 렌즈(26)의 소망된 결과 및 형상에 의존하여 다양한 형상을 갖는 윤곽을 형성할 수 있다. 각막 포켓의 다양한 구성이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렌즈에 이용되도록 적응될 수 있다. 각막 포켓은 또한 렌즈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및 각막의 시술후 치유를 개선하기 위하여 절개부의 크기를 최소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막 포켓은 각막 포켓(29)이 형성된 이후에 각막(28)으로 절단될 수 있는 출입 채널(34)을 포함할 수 있다. 출입 채널(34)은 각막내 렌즈(26)가 각막 포켓(29) 안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막 포켓을 생성하고 환자의 각막에 삽입하기 위한 공정을 포함하는 일련의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 공정은 각막내 렌즈(26)를 제공하는 단계(74)부터 시작한다. 각막내 렌즈(26)는 각막내 렌즈(26)의 목적에 기초하여 광학 파워를 가지거나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단계 78에서, 각막 포켓(29)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레이저 시술 장치(10)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특히, 광학 시스템(16)에 의해 제어되는 레이저 소스(12)는 각막 조직내에 레이저 빔(18)의 초점을 맞추는데 이용될 수 있다. 레이저 빔(18)은 레이저 빔(18)의 초점 영역내의 각막 조직의 구역을 절단 및 분리할 것이다. 레이저 빔(18)의 초점은 각막 조직의 층을 절단하기 위하여 수동으로 측방향으로 이동될 것이다. 레이저 빔(18)의 초점이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공지된 레이저 시술 기술을 이용하여 각막내의 고정 깊이가 유지될 수 있다. 레이저 빔(18)의 초점은 소프트웨어에 의해 한정되는 소망된 영역 외부를 절단할 위험 없이 포켓 영역의 경계 내에서 제어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용이하고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상술한 기술을 이용하여 생성된 각막 포켓의 두께는 대략 레이저 빔(18) 초점의 직경의 크기일 것이다. 일부 경우에, 각막내 렌즈(26)의 두께 및 형상에 기초하여, 추가 조직이 각막(28)내의 상이한 깊이에서 절단될 수 있다.
단계 80에서, 출입 채널(3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레이저 소스(12)를 이용하여 성취되거나 또는 종래의 매스(scalpel)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출입 채널(34)은 각막내 렌즈(26)의 삽입을 위한 수단을 제공하고, 또한 각막내 포켓(29)이 형성되는 경우의 레이저 절제에 의해 생성되는 기체를 배출하도록 한다.
각막내 렌즈(26)는 단계 82에서 각막내 포켓(29)로 삽입될 수 있다. 단계 82는 각막(28)내로 도입되기 전에 각막내 렌즈(26)를 일시적으로 변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각막내 렌즈(26)는 롤링, 폴딩 등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각막내 렌즈(26)는 그 소망된 광학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각막(28)으로의 삽입 이후에 원래의 크기 및 구성으로 복귀하도록 하는 소정 메모리 특징을 가질 수 있다. 각막내 렌즈(29)는 함수시 부푸는 친수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렌즈는 각막 포켓에 탄성 맞춤되도록 충분히 함수되어 삽입될 수 있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수되어 후속하는 함수가 포켓내에 맞춤을 고정하는 것을 돕는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막내의 절개 패턴을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출입 절개부(102, 202)가 각막(100, 200) 상에서 형성될 수 있다. 출입 절개부(102, 202)는 도 5a 및 도 5b에서 각막(100, 200)의 우측 에지 상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그러나, 출입 절개부(102, 202)는 각막(100, 200)의 임의의 적절한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원형 포켓(104, 204) 또한 각막내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 터널(106, 206)은 출입 절개부(102)와 포켓(10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도 5a에 도시된 것처럼, 제2 터널(108)은 원형 포켓(104)의 좌측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르게는,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각막 렌즈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난시를 줄이기 위하여, 이완 절개부(210)가 각막(200)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또한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각막내의 절개 패턴을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것처럼, 출입 절개부(302, 402)가 각막(300, 4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출입 절개부(302, 402)는 도 6a 및 도 6b의 각막(300, 400)의 우측 에지 상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그러나, 출입 절개부(302, 402)는 각막(300, 400)의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삽입 터널(306, 406)은 출입 절개부(302, 402)의 좌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각막(300, 400)에 걸쳐 연장할 수 있다. 추가로, 도 6b에 도시된 것처럼, 각막 렌즈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기존의 난시를 줄이기 위하여 이완 절개부(410)가 각막(400)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동일한 각막 포켓(29)의 탑다운도를 도시한다. 포켓 및 이완 절개부는 약 0.2μJ과 1.5μJ의 범위내의 에너지 프로파일을 갖는 펨토초 또는 나노초 레이저로 형성될 수 있다. 임의의 적절한 에너지 레벨이 이용될 수 있지만, 낮은 에너지 출력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레이저 빔은 약 0.2㎛ 내지 4.0㎛의 범위의 스팟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절단의 깊이는 대략 220㎛ 내지 350㎛의 범위내일 수 있다. 절단이 너무 깊다면 각막의 구조는 덜 안정적이 될 수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도 8에 도시된 포켓 프로파일(29)은 새로 이식한 렌즈를 통해 환자의 시력의 왜곡을 최소화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환자가 난시인 경우, 난시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절단은 각막의 가운데를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도 8a, 도 8b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빔에 대한 경로 및 레이저 빔의 움직임에 대한 방향을 도시한다. 특히, 도 8a는 레이저 빔에 대한 경로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8b는 경로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포켓(229)이 형성될 수 있고, 각막내 렌즈의 각막 포켓(229)로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인접 출입 채널(23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가 레이저 빔의 경로를 도시하는데, 이는 포켓(229) 및 출입 체널(234)을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경로의 하나의 예일 뿐이다. 포켓을 형성하는 목적에 적합한 어떠한 경로도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레이저가 이동하는 경로는 눈의 자연적 곡선을 따르도록 곡선이다. 도 9는 눈의 축에 걸쳐 이동하는 레이저 빔(240)을 도시한다. 레이저 빔(240)은 단일 레이저 스팟 또는 다중 레이저 스팟을 각각 생성하는 단일 빔 또는 다중 빔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사용된 레이저 빔이 다중 스팟을 가지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빔의 스팟들 사이에는 공간이 없다.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용이하게 각막 포켓(29)에 삽입될 수 있는 각막내 렌즈(26)로 환자의 시력을 교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각막 포켓(29)은 레이저 소스(12)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형태의 전자기 방사선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각막 포켓(29)의 생성은 레이저 빔(18)이 소망된 형태의 경계 바깥쪽의 조직을 절단 및 분리하는 것을 방지하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함에 의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다양한 각막 포켓 구성물이 다양한 각막 렌즈 형상 및 크기를 수용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궁형 절개와 같은 다른 시술 공정 또한 본 발명의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많은 특징 및 이점이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며, 따라서 첨부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 사상 및 범위내에 있는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그러한 특징 및 이점 전부를 포괄한다. 또한, 다양한 개조 및 변형이 당업자에게는 용이하므로,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구성 및 동작 그 자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전체 적절한 변경물 및 등가물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Claims (23)

  1. 각막 포켓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각막 포켓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저에너지 펨토초 레이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각막 포켓을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이저를 각막에 인접하게 배치하는 단계;
    특정 포켓 형상을 갖는 각막 포켓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레이저에 대한 움직임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움직임 경로는 일반적으로 곡선 형상 경로를 따름 - ;
    상기 레이저 빔이 소정 깊이에서 각막 조직을 제거(ablate)하도록 각막의 앞쪽 표면과 뒷쪽 표면 사이의 각막 내에서 소정 깊이까지 상기 레이저로부터의 레이저 빔의 초점을 맞추는 단계; 및
    특정 포켓 형상을 갖는 상기 각막 포켓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레이저 빔을 상기 움직임 경로로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각막 포켓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비점수차 효과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각막의 중간을 향하여 상기 레이저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각막 포켓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약 0.2μJ과 1.5μJ 사이의 범위의 에너지 출력을 갖는 레이저를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각막 포켓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약 0.2 ㎛ 내지 4.0 ㎛의 범위의 스팟 크기를 갖는 레이저를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각막 포켓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약 220 ㎛ 내지 350 ㎛의 범위의 깊이로 상기 각막 포켓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각막 포켓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레이저 빔 스팟을 갖는 레이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각막 포켓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 스팟 사이의 공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각막 포켓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막내에 이완 절개부(relaxing incisions)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레이저를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각막 포켓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특정 포켓 형상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레이저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각막 포켓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10. 각막 포켓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각막 포켓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저에너지 나노초 레이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각막 포켓을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이저를 각막에 인접하게 배치하는 단계;
    특정 형상을 갖는 각막 포켓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레이저에 대한 움직임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움직임 경로는 일반적으로 곡선 형상 경로를 따름 - ;
    위치 지정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상기 레이저가 상기 움직임 경로를 따르도록 구성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 빔이 소정 깊이에서 각막 조직을 절단 및 분리(cuts and separates)하도록 상기 각막의 앞쪽 표면과 뒷쪽 표면 사이의 상기 각막 내에서 소정 깊이까지 상기 레이저로부터의 레이저 빔의 초점을 맞추는 단계; 및
    특정 형상을 갖는 상기 각막 포켓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레이저 빔을 상기 움직임 경로로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각막 포켓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비점수차 효과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각막의 중간을 향하여 상기 레이저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각막 포켓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약 0.2μJ과 1.5μJ 사이의 범위의 에너지 출력을 갖는 레이저를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각막 포켓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약 0.2 ㎛ 내지 4.0 ㎛의 범위의 스팟 크기를 갖는 레이저를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각막 포켓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약 220 ㎛ 내지 350 ㎛의 범위의 깊이로 상기 각막 포켓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각막 포켓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15.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레이저 빔 스팟을 갖는 레이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각막 포켓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16.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 스팟 사이의 공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각막 포켓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17. 각막 포켓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각막 포켓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저에너지 펨토초 또는 나노초 레이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각막 포켓을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이저를 각막에 인접하게 배치하는 단계;
    특정 형상을 갖는 각막 포켓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레이저에 대한 3차원 움직임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움직임 경로는 일반적으로 곡선 형상 경로를 따름 - ;
    상기 특정 형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움직임 경로를 따르도록 상기 레이저를 제어하도록 컴퓨터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 빔이 소정 깊이에서 각막 조직을 제거하도록 상기 각막의 앞쪽 표면과 뒷쪽 표면 사이의 상기 각막 내에서 소정 깊이까지 상기 레이저로부터의 레이저 빔의 초점을 맞추는 단계; 및
    특정 형상을 갖는 상기 각막 포켓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레이저 빔을 상기 3차원 움직임 경로로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각막 포켓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비점수차 효과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각막의 중간을 향하여 상기 레이저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각막 포켓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약 0.2μJ과 1.5μJ 사이의 범위의 에너지 출력을 갖는 레이저를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각막 포켓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약 0.2 ㎛ 내지 4.0 ㎛의 범위의 스팟 크기를 갖는 레이저를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각막 포켓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약 220 ㎛ 내지 350 ㎛의 범위의 깊이로 상기 각막 포켓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각막 포켓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22.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레이저 빔 스팟을 갖는 레이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각막 포켓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23.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 스팟 사이의 공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각막 포켓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KR1020147008010A 2011-08-31 2012-08-28 레이저 수술 장치 KR1020183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222,042 2011-08-31
US13/222,042 US9168175B2 (en) 2008-09-04 2011-08-31 Method for laser cutting a corneal pocket
PCT/US2012/052645 WO2013033084A1 (en) 2011-08-31 2012-08-28 Method for laser cutting a corneal pock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859A true KR20140088859A (ko) 2014-07-11
KR102018399B1 KR102018399B1 (ko) 2019-09-04

Family

ID=47756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8010A KR102018399B1 (ko) 2011-08-31 2012-08-28 레이저 수술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4) US9168175B2 (ko)
EP (1) EP2750643B1 (ko)
JP (1) JP6286351B2 (ko)
KR (1) KR102018399B1 (ko)
CN (1) CN103764079B (ko)
AU (2) AU2012302143B2 (ko)
CA (1) CA2846827A1 (ko)
IL (1) IL231193A0 (ko)
WO (1) WO20130330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68735B2 (en) 2000-09-12 2014-03-11 Revision Optics, Inc. Corneal implant storage and delivery devices
US10835371B2 (en) 2004-04-30 2020-11-17 Rvo 2.0, Inc. Small diameter corneal inlay methods
US9271828B2 (en) 2007-03-28 2016-03-01 Revision Optics, Inc. Corneal implant retaining devices and methods of use
US9549848B2 (en) 2007-03-28 2017-01-24 Revision Optics, Inc. Corneal implant inserters and methods of use
US9539143B2 (en) * 2008-04-04 2017-01-10 Revision Optics, Inc. Methods of correcting vision
KR101762932B1 (ko) 2011-10-21 2017-08-04 리비젼 옵틱스, 인크. 각막 이식물 저장 및 전달 디바이스
DE102012007272B4 (de) * 2012-04-12 2013-10-24 Wavelight Gmbh Laser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Konfiguration einer solchen Lasereinrichtung
DE102013218415A1 (de) * 2012-09-14 2014-04-10 Carl Zeiss Meditec Ag Augenchirurgisches Verfahren
US9937033B1 (en) * 2014-05-12 2018-04-10 Gholam A. Peyman Corneal lenslet implantation with a cross-linked cornea
US10206569B1 (en) 2014-05-12 2019-02-19 Gholam A. Peyman Corneal intraocular pressure sensor and a surgical method using the same
US10583221B2 (en) 2014-05-12 2020-03-10 Gholam A. Peyman Method of corneal transplantation or corneal inlay implantation with cross-linking
US10925889B2 (en) 2014-05-12 2021-02-23 Gholam A. Peyman Method of treating, reducing, or alleviating a medical condition in a patient
US11259914B2 (en) 2014-05-12 2022-03-01 Gholam A. Peyman Molding or 3-D printing of a synthetic refractive corneal lenslet
US10278920B1 (en) 2014-05-12 2019-05-07 Gholam A. Peyman Drug delivery implant and a method using the same
US11666777B2 (en) 2014-05-12 2023-06-06 Gholam A. Peyman Photodynamic therapy technique for preventing damage to the fovea of the eye or another body portion of a patient
US10314690B1 (en) 2014-05-12 2019-06-11 Gholam A. Peyman Method of corneal transplantation or corneal inlay implantation with cross-linking
US10195081B1 (en) 2014-05-12 2019-02-05 Gholam A. Peyman Method of prevention of capsular opacification and fibrosis after cataract extraction and/or prevention of fibrosis around a shunt or stent after glaucoma surgery
US11045352B2 (en) 2014-05-12 2021-06-29 Gholam A. Peyman Methods for treatment of dry eye and other acute or chronic inflammatory processes
US11565023B2 (en) 2014-05-12 2023-01-31 Gholam A. Peyman Method of corneal transplantation or corneal inlay implantation with cross-linking
US11338059B2 (en) 2014-05-12 2022-05-24 Gholam A. Peyman Method of corneal and scleral inlay crosslinking and preservation
US10709546B2 (en) 2014-05-12 2020-07-14 Gholam A. Peyman Intracorneal lens implantation with a cross-linked cornea
US11648261B2 (en) 2014-05-12 2023-05-16 Gholam A. Peyman Method of treating, reducing, or alleviating a medical condition in a patient
US10881503B2 (en) 2014-05-12 2021-01-05 Gholam A. Peyman Method of corneal transplantation or corneal inlay implantation with cross-linking
AU2015385773A1 (en) 2015-03-12 2017-10-05 Revision Optics, Inc. Methods of correcting vision
CN107920920B (zh) * 2015-06-12 2021-05-25 综合医院公司 用于矫正屈光不正的角膜填充物
KR101603571B1 (ko) * 2015-08-26 2016-03-25 정영택 시력 교정수술에 따라 절제된 렌티큘의 제거를 위하여 각막에 형성되는 절개부 보강구조
DE102016110005A1 (de) 2016-05-31 2017-11-30 Universität Zu Lübeck Vorrichtung zur Brechkraftänderung der Cornea
US11110007B2 (en) * 2019-03-15 2021-09-07 Amo Development, Llc Ophthalmic laser surgical method and system for forming corneal lenticule with side tab for easy extraction
US11707518B2 (en) 2019-04-28 2023-07-25 Gholam A. Peyman Method of treating, reducing, or alleviating a medical condition in a patient
TWI759969B (zh) * 2020-11-19 2022-04-01 艾克夏醫療儀器股份有限公司 控制處理眼部組織設備的電腦程式及電腦可讀取媒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05920A1 (en) * 2001-07-13 2003-01-23 Intralase Corp. A method of creating stromal pockets for corneal implants
US20040243112A1 (en) * 2003-06-02 2004-12-02 Mark Bendett Apparatus and method for ophthalmologic surgical procedures using a femtosecond fiber laser
US20070219542A1 (en) * 2006-03-15 2007-09-20 Toru Yahagi Surgical procedure and instrumentation for intrastromal implants of lens or strengthening materials
JP2009531079A (ja) * 2006-03-09 2009-09-03 ビオヴィジョン アーゲー 角膜ポケットを作成するためのレーザマスク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3801A (en) 1986-03-19 1995-06-13 Summit Technology, Inc. Laser corneal surgery
JPH0412744A (ja) * 1990-05-02 1992-01-17 Olympus Optical Co Ltd レーザ照射装置
US6325792B1 (en) * 1991-11-06 2001-12-04 Casimir A. Swinger Ophthalmic surgical laser and method
USRE37504E1 (en) 1992-12-03 2002-01-08 Lasersight Technologies, Inc. Ophthalmic surgery method using non-contact scanning laser
US20030128334A1 (en) * 1993-05-03 2003-07-10 O'donnell Francis E. Apparatus and method for customized laser correction of refractive error
US5993438A (en) 1993-11-12 1999-11-30 Escalon Medical Corporation Intrastromal photorefractive keratectomy
DE69532816T2 (de) 1994-10-06 2005-03-17 Staar Surgical Co., Monrovia Intraokulare kontaktlinse
US20050143717A1 (en) * 2001-04-27 2005-06-30 Peyman Gholam A. Method of treatment of refractive errors using subepithelial or intrastromal corneal inlay with bonding coating
US6551307B2 (en) 2001-03-23 2003-04-22 Gholam A. Peyman Vision correction using intrastromal pocket and flap
US20010027314A1 (en) 1995-10-20 2001-10-04 Peyman Gholam A. Intrastromal corneal modification via laser
US6599305B1 (en) 1998-08-12 2003-07-29 Vladimir Feingold Intracorneal lens placement method and apparatus
US20050049621A1 (en) * 1998-08-12 2005-03-03 Vladimir Feingold Intracorneal lens placement method and apparatus
US20020010510A1 (en) * 1998-11-04 2002-01-24 Thomas A. Silvestrini Variable modulus corneal implant and fabrication methods
US6543453B1 (en) 1999-05-06 2003-04-08 Sciencevision L.L.C. Methods of refractive correction of the eye
US6358262B1 (en) * 1999-11-05 2002-03-19 Alcon Universal Ltd. Lamellar dissecting instrument
EP1344289A4 (en) 2000-11-22 2005-08-31 Visx Inc THERMOSTATIC POSITIONING DEVICE FOR NONLINEAR OPTICAL ELEMENTS
US20020072796A1 (en) 2000-12-11 2002-06-13 Hoffmann Laurent G. Iris fixated intraocular lenses
US6827738B2 (en) 2001-01-30 2004-12-07 Timothy R. Willis Refractive intraocular implant lens and method
US6589280B1 (en) 2001-05-11 2003-07-08 Jeffrey E. Koziol Method for producing a multifocal corneal surface using intracorneal microscopic lenses
US7101364B2 (en) 2001-10-12 2006-09-05 20/10 Perfect Vision Optische Geraete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astromal refractive surgery
JP4112944B2 (ja) 2002-10-29 2008-07-02 株式会社ニデック 眼内レンズ
US20080287935A1 (en) 2002-11-13 2008-11-20 Josef Bille System and method for photoablation using multiple focal points using cyclical phase modulation
US7351241B2 (en) 2003-06-02 2008-04-01 Carl Zeiss Meditec Ag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ision working of material
US20050046794A1 (en) 2003-06-17 2005-03-03 Silvestrini Thomas A.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a mask with the visual axis of an eye
CA2561388C (en) * 2004-04-20 2017-10-10 Wavetec Vision Systems, Inc. Integrated surgical microscope and wavefront sensor
WO2006047534A1 (en) * 2004-10-22 2006-05-04 Acufocus System and method for aligning an optic with an axis of an eye
US7455691B2 (en) 2004-11-03 2008-11-25 Biovision, Ag Intraocular and intracorneal refractive lenses
US20060129129A1 (en) * 2004-12-10 2006-06-15 Cloud Farm Associates, L.P. Eye implant devices and method and device for implanting such devices for treatment of glaucoma
US8029515B2 (en) * 2005-01-31 2011-10-04 Yichieh Shiuey Corneal implants and methods and systems for placement
US8092446B2 (en) * 2005-10-14 2012-01-10 Carl Zeiss Meditec Ag Device and method for material processing by means of laser radiation
DE102007019815A1 (de) 2007-04-26 2008-10-30 Carl Zeiss Meditec Ag Augenhornhaut-Transplantation
ES2390315T3 (es) * 2007-11-02 2012-11-08 Alcon Lensx, Inc. Aparato para unas prestaciones ópticas oculares posoperatorias mejoradas
EP2265217A4 (en) 2008-04-04 2018-04-04 Revision Optics, Inc. Corneal inlay design and methods of correcting vision
US20090306773A1 (en) * 2008-06-04 2009-12-10 Acufocus, Inc. Opaque corneal insert for refractive corre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05920A1 (en) * 2001-07-13 2003-01-23 Intralase Corp. A method of creating stromal pockets for corneal implants
US20040243112A1 (en) * 2003-06-02 2004-12-02 Mark Bendett Apparatus and method for ophthalmologic surgical procedures using a femtosecond fiber laser
JP2009531079A (ja) * 2006-03-09 2009-09-03 ビオヴィジョン アーゲー 角膜ポケットを作成するためのレーザマスク
US20070219542A1 (en) * 2006-03-15 2007-09-20 Toru Yahagi Surgical procedure and instrumentation for intrastromal implants of lens or strengthening materi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22495A1 (en) 2016-01-28
CA2846827A1 (en) 2013-03-07
CN103764079B (zh) 2018-02-16
EP2750643B1 (en) 2021-09-29
JP2014533968A (ja) 2014-12-18
KR102018399B1 (ko) 2019-09-04
US20110319876A1 (en) 2011-12-29
JP6286351B2 (ja) 2018-02-28
EP2750643A1 (en) 2014-07-09
WO2013033084A1 (en) 2013-03-07
IL231193A0 (en) 2014-04-30
AU2012302143B2 (en) 2017-03-09
EP2750643A4 (en) 2015-09-09
AU2017203906A1 (en) 2017-07-06
CN103764079A (zh) 2014-04-30
US20180289546A1 (en) 2018-10-11
AU2012302143A1 (en) 2014-03-13
US20210205135A1 (en) 2021-07-08
US9168175B2 (en) 2015-10-27
AU2017203906B2 (en) 2018-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03906B2 (en) Method for laser cutting a corneal pocket
US11413189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control data for the surgical correction of defective eye vision
US7341599B1 (en) Intraocular lens for correcting presbyopia
KR20100098378A (ko) 시력 결함의 수술 교정을 위한 치료 장치, 이를 위한 제어 데이터 생성 방법 및 시력 결함의 수술 교정 방법
US9737438B2 (en) Device for processing eye tissue by means of pulsed laser beams
US20090012506A1 (en) Laser mask for creating a corneal pocket
US20230404803A1 (en) Method for eye surgical procedure
WO2012110048A1 (en) Apparatus for assistance in the implantation of a corneal prosthesis in a human eye, and method for executing such an implantation
US10548771B2 (en) Device and procedure to treat presbyopia
US20210311324A1 (en) Device and method for creating an aperture diaphragm in an intraocular lens
US5984961A (en) Intracorneal prism and method of improving vision in a human eye having macula disease
CN111479536B (zh) 用于在眼睛中产生孔径光阑的装置
CN116348071A (zh) 激光辅助眼科规程中具有过渡区的角膜微透镜切口
CN117956962A (zh) 通过角膜修改来矫正眼睛的屈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