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6906A - 골프 클럽 헤드 - Google Patents

골프 클럽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6906A
KR20140086906A KR1020130165520A KR20130165520A KR20140086906A KR 20140086906 A KR20140086906 A KR 20140086906A KR 1020130165520 A KR1020130165520 A KR 1020130165520A KR 20130165520 A KR20130165520 A KR 20130165520A KR 20140086906 A KR20140086906 A KR 20140086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weight
engaging
cross
engagement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5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9647B1 (ko
Inventor
아키오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던롭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던롭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던롭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86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7Heads iron-type
    • A63B53/0475Heads iron-type with one or more enclosed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33Heads with special sole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66Heads wood-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7Heads iron-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87Heads for put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6Head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2053/0491Heads with added weights, e.g. changeable, replace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2Ballast means for adjusting the centre of ma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골프 클럽 헤드에 있어서, 헤드 본체(h1)는 소켓용 오목부(14)를 구비한다. 소켓(10)이 소켓용 오목부(14)에 부착된다. 중량체(12)가 소켓(10)에 착탈 가능하다. 중량체(12)는 각도 +θ°의 상대 회전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중량체(12)는 각도 -θ°의 상대 회전에 의해 탈거될 수 있다. 중량체(12)는 결합부(32)를 포함한다. 소켓(10)은 제1 구멍부(18)와 제2 구멍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상대 회전에 의해, 결합부(32)는 제2 구멍부(20)에서 결합 위치(EP)와 비결합 위치(NP)를 취할 수 있다. 결합부(32)의 단면 형상은 N회 회전 대칭을 갖는다. N은 1 이상 3 이하의 정수이다.

Description

골프 클럽 헤드{GOLF CLUB HEAD}
관련 기술의 상호 참조
본원은 일본에서 2012년 12월 28일자로 출원된 특허 출원 제2012-286457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중량체를 구비하는 골프 클럽 헤드에 관한 것이다.
중량체를 교환 가능한 헤드가 알려져 있다. 중량체의 중량을 변경함으로써, 헤드의 무게 중심의 위치 및 헤드의 중량이 조정될 수 있다.
중량체를 장착하는 기구로서는, 나사 기구가 일반적이다. 한편, 일본 실용신안 등록 공보 제3142270호(US2009/0131200)에는 슬리브와 웨이트를 포함하는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는 회전에 의해 착탈 가능한 웨이트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실용신안 등록 공보 제3142270호의 헤드에서는, 가요성을 갖는 슬리브에 웨이트가 부착되어 있다. 웨이트의 회전에 의해, 웨이트를 슬리브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웨이트를 부착할 때에는, 웨이트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웨이트를 탈거할 때에는, 웨이트를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서로 역방향이다.
웨이트를 부착할 때에, 실수로 웨이트를 상기 제1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웨이트를 탈거할 때에, 실수로 웨이트를 상기 제2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슬리브는 가요성을 가지므로, 이러한 잘못된 역회전을 완전하게는 저지하지 못한다. 슬리브는 이러한 잘못된 역회전에 의해 손상된다. 이러한 손상은 슬리브의 내구성을 저하시킨다. 슬리브의 열화로 인해, 웨이트의 이탈이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중량체의 이탈을 야기할 가능성이 낮은 골프 클럽 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는, 소켓용 오목부를 갖는 헤드 본체; 소켓용 오목부에 부착되는 소켓; 및 소켓에 착탈 가능한 중량체를 포함한다. 상기 중량체는 상기 소켓에 대한 각도 +θ°의 상대 회전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된 중량체는 상기 소켓에 대한 각도 -θ°의 상대 회전에 의해 탈거될 수 있다. 중량체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소켓은 제1 구멍부와, 제1 구멍부보다 안쪽에 배치되는 제2 구멍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 구멍부에서 결합 위치(EP)와 비결합 위치(NP)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상대 회전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의 회전은 축선 Z를 중심으로 한 회전이다. 상기 결합부의 단면 형상은, 상기 축선 Z를 회전축으로 하는 N회 회전 대칭을 갖는다. N은 1 이상 3 이하의 정수이다.
바람직하게는 N은 2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의 단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이다.
상기 결합부의 최장 회전 반경을 R1이라 하고 상기 결합부의 최단 회전 반경을 R2라 하면, R1/R2는 1.30 이상 1.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는, 소켓용 오목부를 갖는 헤드 본체; 소켓용 오목부에 부착되는 소켓; 및 소켓에 착탈 가능한 중량체를 포함한다. 상기 중량체는 상기 소켓에 대한 각도 +θ°의 상대 회전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된 중량체는 상기 소켓에 대한 각도 -θ°의 상대 회전에 의해 탈거될 수 있다. 중량체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소켓은 제1 구멍부와, 제1 구멍부보다 안쪽에 배치되는 제2 구멍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 구멍부에서 결합 위치(EP)와 비결합 위치(NP)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상대 회전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의 회전은 축선 Z를 중심으로 한 회전이다. 상기 소켓용 오목부는 언더컷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켓은 결합 돌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언더컷부와 상기 결합 돌출부는 서로 맞물린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켓용 오목부는 다각형 내면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언더컷부는 상기 다각형 내면에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켓은 벽형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벽형부는 상기 소켓의 상단부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벽형부는 상기 결합 돌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벽형부는 결락부(缺落部)를 포함한다.
상기 언더컷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의 결합 폭을 W1이라 하고, 상기 벽형부와 상기 중량체 사이의 간극 거리를 W2라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간극 거리 W2는 상기 결합 폭 W1보다 작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 폭 W1은 0.2 ㎜ 이상 1.0 ㎜ 이하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헤드를 갖는 골프 클럽의 전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헤드의 사시도로서, 중량체 착탈 기구의 분해 사시도를 포함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소켓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소켓의 평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소켓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중량체의 사시도이다.
도 9a는 중량체의 평면도이고, 도 9b는 중량체의 저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중량체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a의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선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소켓용 오목부에 부착된 중량체 착탈 기구의 평면도로서, 비결합 위치(NP)에서의 도면이다.
도 14는 소켓용 오목부에 부착된 중량체 착탈 기구의 평면도로서, 결합 위치(EP)에서의 도면이다.
도 15는 중량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2 구멍부와 결합부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비결합 위치(NP)와 결합 위치(EP)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3의 선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4의 선 F-F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4의 선 G-G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4의 선 H-H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비결합 위치(NP)와 결합 위치(EP)에서의 단면도로서, 도 21의 좌측은 도 17의 선 J-J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21의 우측은 도 18의 선 K-K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헤드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소켓용 오목부의 평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선 L-L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3의 선 M-M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선 N-N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7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소켓 및 바닥면 형성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소켓 및 바닥면 형성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9는 도 27에 도시된 소켓의 평면도이다.
도 30은 도 27에 도시된 바닥면 형성부의 저면도이다.
도 31은 도 28의 선 P-P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적절히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골프 클럽 헤드는 중량체 착탈 기구를 포함한다. 이 중량체 착탈 기구는 R&A(전영 골프 협회)에서 정한 골프 룰을 충족시킨다. 즉, 이 중량체 착탈 기구는, R&A에서 정한 "부속 규칙 Ⅱ 클럽의 디자인"의 "1 클럽"에 있어서 "1b 조정성"에 규정되어 있는 요건을 충족시킨다. "1b 조정성"에 의해 정해지는 요건은 다음의 (ⅰ), (ⅱ) 및 (ⅲ)가 있다:
(ⅰ) 조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없음;
(ⅱ) 조정 가능한 부분은 모두 단단히 고정되고, 라운드 중에 느슨해지는 일의 합리적인 가능성이 없음; 및
(ⅲ) 조정 후의 모든 형상이 규칙을 따름.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헤드(4)를 구비한 골프 클럽(2)을 보여준다. 골프 클럽(2)은 헤드(4), 샤프트(6) 및 그립(8)을 구비한다. 헤드(4)는 샤프트(6)의 일단부에 부착된다. 그립(8)은 샤프트(6)의 타단부에 부착된다. 헤드(4)는 크라운(7) 및 솔(9)을 구비한다. 헤드(4)는 중공형이다.
헤드(4)는 우드 타입 헤드이다. 우드 타입 헤드의 리얼 로프트각은 통상 8.0도 이상 34.0도 이하이다. 우드 타입 헤드의 헤드 체적은 통상 120 cc 이상 470 cc 이하이다.
헤드(4)는 예시적인 것이다. 헤드의 예로는, 우드 타입 헤드 이외에, 유틸리티 타입 헤드, 하이브리드 타입 헤드, 아이어 타입 헤드 및 퍼터 타입 헤드 등이 있다. 샤프트(6)는 관형체이다. 샤프트(6)의 예로는 스틸 샤프트와 소위 카본 샤프트가 있다.
도 2는 솔(9)측에서 본 헤드(4)의 사시도이다. 헤드(4)는 헤드 본체(h1)와 중량체 착탈 기구(M1)를 구비한다. 헤드(4)는 2개의 중량체 착탈 기구(M1)를 구비한다. 도 2는 중량체 착탈 기구(M1)의 분해 사시도를 포함한다. 2개의 중량체 착탈 기구(M1) 중의 하나가 분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체 착탈 기구(M1)는 소켓(10) 및 중량체(12)를 구비한다. 또한, 중량체 착탈 기구(M1)는 바닥면 형성부(13)를 구비한다. 헤드 본체(h1)는 소켓용 오목부(14)를 구비한다. 소켓용 오목부(14)는 외측에 개구되어 있다. 소켓용 오목부(14)의 형상은 소켓(10)의 형상(외형)에 대응한다. 소켓용 오목부(14)의 수는 중량체 착탈 기구(M1)의 수와 동일하다. 소켓용 오목부(14)의 수는 소켓(10)의 수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소켓용 오목부(14)가 마련되어 있다. 소켓용 오목부(14)의 수는 1일 수도 있고, 2일 수도 있으며, 3 이상일 수도 있다. 중량체 착탈 기구(M1)의 수는 1일 수도 있고, 2일 수도 있으며, 3 이상일 수도 있다.
바닥면 형성부(13)는, 중량체(12)가 소켓용 오목부(14)의 바닥부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닥면 형성부(13)는 없을 수도 있다.
도 3은 소켓(1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소켓(10)의 평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소켓(10)의 측면도이다. 도 5a의 시점은, 도 5b의 시점에 대하여, 45°의 차이가 있다. 도 6은 도 4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a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소켓(10)은 벽형부(11)와 본체부(15)를 구비한다. 본체부(15)는 구멍(16)을 갖는다. 구멍(16)은 본체부(15)를 관통해 있다. 벽형부(11)는 소켓(10)의 상단부를 형성한다. 벽형부(11)는 소켓(10)에 있어서 가장 솔면측에 있는 부분을 구성한다. 벽형부(11)는 구멍(16)의 개구면(f1)으로부터 상측(솔면측)을 향해 연장된다.
벽형부(11)는 결락부(ms1)를 갖는다. 복수의 결락부(ms1)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결락부(ms1)가 마련되어 있다. 결락부(ms1)는 슬릿 형상을 갖는다. 결락부(ms1)는 축선 Z(후술) 둘레로 일정한 각도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결락부(ms1)는 축선 Z(후술) 둘레로 120°의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도 4 참조).
벽형부(11)의 내면(11a)은 원주면이다. 벽형부(11)의 외면(11b)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이다. 바람직하게는, 다각형은 정다각형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다각형은 정육각형이다. 이 다각형에는, 결락부(ms1)가 없다.
소켓(10)은 결합 돌출부(kp1)를 구비한다. 결합 돌출부(kp1)는 벽형부(11)에 마련되어 있다. 소켓(10)은 복수의 결합 돌출부(kp1)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6개의 결합 돌출부(kp1)가 마련되어 있다(도 4 참조). 상기 다각형의 각 변마다 결합 돌출부(kp1)가 마련되어 있다.
소켓(10)은 소켓용 오목부(14) 내에 고정된다. 이 고정은, 예컨대 접착제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결합 돌출부(kp1)는 소켓(10)의 고정에 기여한다. 결합 돌출부(kp1)의 기능을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중량체(12)는 소켓(10)에 착탈 가능하다. 따라서, 중량체(12)는 헤드(4)에 착탈 가능하다. 중량체(12)를 교환함으로써, 헤드의 무게 중심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중량체(12)를 교환함으로써, 헤드의 무게가 변경될 수 있다.
구멍(16)은 제1 구멍부(18)와, 제2 구멍부(20), 그리고 단차면(22)을 구비한다. 제2 구멍부(20)는, 제1 구멍부(18)보다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구멍부(18)의 내면 전체는 매끄럽게 연속해 있다. 축선 Z에 수직한 단면에 있어서, 제1 구멍부(18)의 내면의 단면 형상 S18은, 중량체(12)의 결합부(32)의 단면 형상 S32(후술)와 동일하다. 한편, 제2 구멍부(20)의 내면의 단면 형상 S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잡한 요철을 포함한다. 이 단면 형상을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1 구멍부(18)의 내면의 단면 형상은 대략 직사각형이다(도 4 참조). 이 대략 직사각형은, 직사각형의 네 코너에 라운드를 부여함으로써 얻어진다.
본원에서, 삽입 방향은 중량체(12)의 삽입 방향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삽입 방향은 축선 Z(후술)의 방향에 일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소켓(10)의 재료가 폴리머이다. 폴리머는 비교적 단단하다. 중량체(12)를 착탈할 때, 폴리머는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착탈의 개요를 이하에 설명한다.
도 8은 중량체(12)의 사시도이다. 도 9a는 중량체(12)의 평면도이다. 도 9b는 중량체(12)의 저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중량체(12)의 측면도이다. 도 10a의 시점은, 도 10b의 시점에 대하여, 90°의 차이가 있다. 도 11은 도 10a의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선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체(12)는 헤드부(28), 넥부(30) 및 결합부(32)를 구비한다. 헤드부(28)의 상단면의 중앙에는 비원형 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비원형 구멍(34)은 4각형 형상을 갖는다. 비원형 구멍(34)의 내면에는 오목부(34a)가 마련되어 있다(도 11 참조). 헤드부(28)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절취부(36)가 형성되어 있다. 넥부(30)의 외면(11b)은 원주면이다. 넥부(30)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중량체(12)는 노출부(E1)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헤드부(28)가 노출부(E1)이다. 노출부(E1)는 단독으로는, 중량체(12)의 빠짐 방지에 기여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자면, 노출부(E1)는 단독으로는, 빠짐 방지를 이룰 수 없다. 로크 상태(결합 위치)에서는, 개구면(f1) 및 단차면(22)이 노출부(E1) 및 결합부(32)에 의해 유지된다. 이러한 유지에 의해, 중량체(12)의 삽입 방향에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러한 유지를,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노출부(E1)는 중량체(12)의 최외측(솔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로크 상태에 있어서, 노출부(E1)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결합부(32)의 외면은 비원형의 단면 형상 S32를 갖는다. 도 9b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 단면 형상 S32는 대략 직사각형이다. 결합부(32)의 단면 형상 S32는 제1 구멍부(18)의 단면 형상 S18과 상사(相似)의 관계를 갖는다. 결합부(32)의 단면 형상 S32는 단면 형상 S18보다 (약간) 작다. 결합부(32)는 제1 구멍부(18)를 통과할 수 있다. 단면 형상 S32와 단면 형상 S18에는 리세스가 없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32)의 하단면에는 오목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8)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체적에 의해, 소켓(10)과 결합되는 부분의 외형을 변경하지 않고도, 중량체(12)의 체적이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중량체(12)의 질량은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32)는 코너부(32a)를 포함한다. 복수의 코너부(32a)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코너부(32a)가 마련되어 있다. 코너부(32a)는 상기 삽입 방향에 직각을 이루는 방향(이하에서는 축직각 방향이라고도 함)으로 돌출해 있다.
결합부(32)는 결합면(33)을 포함한다(도 8, 도 10a 및 도 12 참조). 결합면(33)은 결합부(32)와 넥부(30)의 단면 형상의 차이에 의해 형성된다. 결합면(33)은 헤드부(28)의 하면(29)에 대향해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량체(12)의 비중은 소켓(10)의 비중보다 크다. 내구성 및 비중의 관점에서, 중량체(12)의 재료는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금속의 예로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티탄, 티탄 합금, 스테인리스강, 텅스텐 합금 및 텅스텐 니켈 합금(W-Ni 합금)이 있다. 티탄 합금의 예로는 6-4Ti (Ti-6Al-4V)가 있다. 스테인리스강의 예로는 SUS304가 있다.
중량체(12)의 제조 방법의 예로는 단조, 주조, 소결 및 NC 가공 등이 있다. 알루미늄 합금, 6-4Ti 및 SUS304의 경우, 주조후 NC 가공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Ni 합금의 경우, 소결 또는 주조후 NC 가공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C는 "Numerical Control"의 약자이다.
도 13은 비결합 위치(NP)에서의 중량체 착탈 기구(M1)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결합 위치(EP)에서의 중량체 착탈 기구(M1)의 평면도이다.
소켓(10)과 중량체(12) 사이의 상대적인 관계로서, 비결합 위치(NP)와 결합 위치(EP)가 채택될 수 있다.
비결합 위치(NP)에서, 중량체(12)는 소켓(10)으로부터 빼내어질 수 있다. 비결합 위치(NP)에서, 중량체(12)는 언로크 상태에 있다.
한편, 결합 위치(EP)에서, 중량체(12)는 소켓(10)으로부터 빼내어질 수 없다. 결합 위치(EP)에서, 중량체(12)는 소켓(10)에 고정되어 있다. 결합 위치(EP)에서는, 중량체(12)는 로크 상태에 있다. 로크 상태인 중량체(12)는, 클럽(2)의 사용중에 이탈되지 않는다.
중량체(12)를 소켓(10)에 삽입할 때, 소켓(10)과 중량체(12) 사이의 상대적인 관계는 비결합 위치(NP)이다. 각도 θ의 상대 회전에 의해, 비결합 위치(NP)로부터 결합 위치(EP)로 이행(移行)된다. 각도 θ의 역회전에 의해, 상기 상대적인 관계가 결합 위치(EP)로부터 비결합 위치(NP)로 되돌려진다. 비결합 위치(NP)로부터 결합 위치(EP)로의 이행을 위한 상대 회전의 각도를, 본원에서 "+θ"라고도 기재한다. 결합 위치(EP)로부터 비결합 위치(NP)로의 이행을 위한 상대 회전의 각도를, 본원에서 "-θ"라고도 기재한다. 회전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부호 "+" 및 "-"가 붙여져 있다.
중량체 착탈 기구(M1)에서는, 단지 각도 θ의 회전을 부여함으로써 중량체(12)를 착탈 가능하다. 중량체 착탈 기구(M1)는 착탈의 용이성이 우수하다.
본원에서는, 중량체(12)가 결합 위치(EP)에 있는 상태를 로크 상태라고도 한다. 로크 상태에서, 노출부(E1)[헤드부(28)]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도 2 참조). 로크 상태에서, 벽형부(11)의 에지면(11c)(도 3 참조)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그러나, 벽형부(11)는 소켓용 오목부(14)의 외측에 돌출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형태에서, 각도 θ는 40°이다. 각도 θ는 40°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착탈의 용이성을 고려하면, 각도 θ는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고정의 확실성을 고려하면, 각도 θ는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중량체(12)를 회전시키는 데에는 전용 공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5는 중량체(12)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60)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공구(60)는 손잡이(62), 축(64) 및 선단부(66)를 구비한다. 손잡이(62)는 손잡이 본체(68)와 파지부(70)를 구비한다. 파지부(70)는 파지부 본체(70a)와 덮개체(70b)를 구비한다.
축(64)의 후단부는 파지부 본체(70a)에 고정되어 있다. 축(64)의 선단부(66)의 단면 형상은, 중량체(12)의 비원형 구멍(34)의 형상에 대응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선단부(66)는 4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선단부(66)에는 핀(72)이 마련되어 있다. 선단부(66)의 측면으로부터 핀(72)이 돌출되어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선단부(66)에는 탄성체(코일 스프링)가 내장되어 있다. 핀(72)은 탄성체의 압박력에 의해 돌출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중량체(12)를 착탈할 때, 덮개체(70b)는 폐쇄된다. 중량체 수용부(도시 생략)가 파지부 본체(70a) 내에 마련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중량체 수용부는 복수의 중량체(12)를 수용할 수 있다. 중량이 서로 다른 복수의 중량체(12)가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체(70b)를 개방하여, 중량체(12)를 꺼낼 수 있다.
중량체(12)를 장착할 때, 공구(60)의 선단부(66)를 중량체(12)의 비원형 구멍(34)에 삽입한다. 이 삽입에 따라, 핀(72)은 뒤로 물러나면서 비원형 구멍(34)을 압박한다. 이 압박력으로 인해, 중량체(12)는 선단부(66)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낮다. 핀(72)은 비원형 구멍(34)의 오목부(34a)(도 11 참조)에 진입할 수 있다. 핀(72)의 진입으로 인해, 중량체(12)는 선단부(66)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낮다. 공구(60)의 축(64)에 의해 유지된 중량체(12)는 구멍(16)에 삽입된다.
중량체(12)의 결합부(32)는 구멍(16)의 제1 구멍부(18)를 통과하여 제2 구멍부(20)에 이른다. 이 삽입 직후에, 중량체(12)는 비결합 위치(NP)에 배치된다.
비결합 위치(NP)에 배치된 중량체(12)에 대하여, 각도 +θ°의 상대 회전이 실시된다. 구체적으로, 공구(60)를 이용하여 중량체(12)를 소켓(10)에 대해 각도 +θ°만큼 회전시킨다. 이 회전에 의해, 비결합 위치(NP)로부터 결합 위치(EP)로의 이행이 이루어진다.
중량체(12)를 탈거할 때에는, 각도 θ°의 역회전을 행한다. 즉, 각도 -θ°의 회전을 행한다. 이 회전에 의해, 결합 위치(EP)로부터 비결합 위치(NP)로의 이행이 이루어진다. 비결합 위치(NP)에 배치된 중량체(12)는 쉽게 빼내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핀(72)은 비원형 구멍(34)의 오목부(34a)(도 11 참조)에 진입할 수 있다. 핀(72)의 진입에 의해, 중량체(12)는 쉽게 빼내어진다.
결합 위치(EP)에서, 중량체(12)는 구멍(16)으로부터 빼내어질 수 없다. 결합 위치(EP)에서는 구멍(16)의 단차면(22)과 중량체(12)의 결합면(33)의 맞물림에 의해, 중량체(12)를 빼내는 것이 억제된다. 결합 위치(EP)에서는, 공구(60)를 중량체(12)의 비원형 구멍(34)으로부터 쉽게 빼낼 수 있다.
도 16은 결합부(32) 및 소켓(10)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6의 좌측에는, 비결합 위치(NP)에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의 우측에는, 결합 위치(EP)에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에서는 각도 θ°의 회전의 중심축인 축선 Z가 점으로 도시되어 있다. 결합부(32)의 윤곽선의 단면의 도심은 이 축선 Z 상에 위치해 있다. 상기 상대 회전에 있어서 중량체(12)의 회전은 이 축선 Z를 중심으로 한 회전이다.
도 7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10)의 제2 구멍부(20)는 비결합 대응면(80), 결합 대응면(82) 및 저항면(84)을 포함한다. 비결합 대응면(80)은 비결합 위치(NP)에서의 결합부(32)에 대응하는 면이다. 결합 대응면(82)은 결합 위치(EP)에서의 결합부(32)에 대응하는 면이다. 저항면(84)은 비결합 대응면(80)과 결합 대응면(82)의 사이에 위치해 있다.
비결합 위치(NP)와 결합 위치(EP)의 상호 이행 도중에, 저항면(84)은 결합부(32)[의 코너부(32a)]에 의해 압박된다. 이 압박에 의해, 결합부(32)와 제2 구멍부(20)의 사이에서 마찰력이 발생된다. 이 압박에 의해, 저항면(84)은 탄성 변형된다. 제2 구멍부(20)의 재료는 비교적 단단한 폴리머이고, 이에 의해 마찰력은 증대된다. 이 마찰력은 회전 저항을 일으킨다. 증대된 마찰력에 의해 회전 저항이 증대된다. 이 회전 저항에 의해, 비결합 위치(NP)와 결합 위치(EP)의 상호 이행에는 비교적 강한 토크가 요구된다. 따라서, 이 상호 이행은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 이 상호 이행은 타구시의 충격력에 의해 발생되지 않는다. 이 상호 이행에는 공구(60)가 필요하게 된다. 공구(60)를 이용하지 않고서 맨손으로 상호 이행을 달성할 수는 없다. 타격 시의 강한 충격에 의해서도, 결합 위치(EP)에 위치해 있는 중량체(12)는 분리되지 않는다.
결합 위치(NP)와 결합 위치(EP)의 상호 이행에 있어서, 중량체(12)를 회전시키는 데 필요한 토크는, 저항면(84)이 탄성 변형되어 있을 때에 극대치가 된다. 비결합 위치(NP)와 결합 위치(EP)의 상호 이행 도중에, 중량체(12)를 회전시키는 데 필요한 토크는 극대치가 된다. 따라서, 결합 위치(EP)로부터 비결합 위치(NP)로의 이행은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 상기 극대치의 토크는, 결합 위치(EP)에 위치해 있는 중량체(12)의 분리를 방지하는 데 기여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면(84)은 볼록형부를 포함한다. 볼록형부는 매끄러운 곡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볼록형부의 높이는 낮다. 상기 상호 이행 도중에 발생되는 회전 저항은, 상기 볼록형부에 의해 증대된다. 이 볼록형부는, 결합 위치(EP)에 위치해 있는 중량체(12)의 분리를 방지하는 데 기여한다.
따라서, 중량체 착탈 기구(M1)에서는, 단지 각도 θ의 상대 회전을 행함으로써, 중량체(12)를 착탈할 수 있다. 또한, 결합 위치(EP)에서는, 중량체(12)가 확실하게 고정되어 있다.
비결합 위치(NP)에서는, 결합부(32)가 제2 구멍부(20)를 변형시키지 않는다. 도 16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결합 위치(NP)에서는, 결합부(32)와 제2 구멍부(20)의 사이에 간극이 존재한다. 이 간극으로 인해, 비결합 위치(NP)에서는 중량체(12)가 쉽게 삽입되고 취출된다. 한편, 도 16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위치(EP)에서는, 모든 코너부(32a)가 간극 없이 제2 구멍부(20)에 밀착되어 있다. 다시 말하자면, 모든 코너부(32a)에 있어서, 코너부(32a)의 적어도 일부가 접촉부이다. 결합 위치(EP)에서는, 이 접촉부가 제2 구멍부(20)에 밀착해 있는 부분이다. 따라서, 결합부(32)는 복수의 접촉부를 갖는다. 결합 위치(EP)에서는, 이들 접촉부에 의해, 제2 구멍부(20)가 확장된다. 결합 대응면(82)은 코너부(32a)에 의해 압박되고, 제2 구멍부(20)는 이 압박에 의해 탄성 변형된다. 결합 대응면(82)은 탄성 변형된다. 이 탄성 변형에 의해 제2 구멍부(20)는 확장된다. 이 탄성 변형에 의해, 서로 대향하는 2개의 결합 대응면(82) 사이의 거리가 확장된다. 이러한 거리의 확장이 가능하도록, 결합부(32)의 크기와 제2 구멍부(20)의 크기가 결정되어 있다.
따라서, 중량체 착탈 기구(M1)에서는, 이하의 구성 A 및 B가 달성된다. 구성 A에 의해서는, 중량체(12)를 한층 더 확실하게 고정하는 효과가 발휘된다. 구성 B에 의해서는, 착탈 작업이 용이해진다.
[구성 A]: 결합 위치(EP)에 있어서, 결합부(32)는 소켓(10)을 탄성 변형시키고, 이 탄성 변형에 의해 제2 구멍부(20)가 확장된다.
[구성 B]: 비결합 위치(NP)에 있어서, 결합부(32)는 소켓(10)을 탄성 변형시키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 확장되는 거리의 최대치 Dx는 0.04 ㎜이다. 즉, 결합부(32)의 단면에 있어서 대각선의 길이를 D1이라 하고, 이 대각선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2개의 결합 대응면(82) 사이의 대향 거리를 D2라 하면, 길이 D1은 거리 D2보다 0.04 ㎜만큼 더 크다. 길이 D1은 도 9b에 양방향 화살표로 나타내어져 있다. 길이 D1은 결합부(32)의 단면을 가로지르는 선분의 최대 길이이다. 거리 D2는 도 7에 양방향 화살표로 나타내어져 있다.
중량체(12)의 고정의 관점에서, 상기 최대치 Dx는 바람직하게는 0.01 ㎜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02 ㎜ 이상이다. 반복되는 변형에 의해 야기되는 소켓(10)의 열화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상기 최대치 Dx는 바람직하게는 0.10 ㎜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08 ㎜ 이하이다.
도 17은 도 13의 선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비결합 위치(NP)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4의 선 F-F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결합 위치(EP)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4의 선 G-G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결합 위치(EP)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4의 선 H-H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결합 위치(EP)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결합 위치(EP)와 비결합 위치(NP) 사이에서의 상호 이행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1의 좌측은, 도 17의 선 J-J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비결합 위치(NP)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1의 우측은, 도 18의 선 K-K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결합 위치(EP)에서의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켓(10)은 제1 구멍부(18)와 제2 구멍부(20)를 갖는다. 제1 구멍부(18)의 단면 형상은 제2 구멍부(20)의 단면 형상과 다르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단차면(22)이 형성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멍부(18)는 내측 돌출부(18a)를 갖는다. 내측 돌출부(18a)의 상면은 개구면(f1)이다. 내측 돌출부(18a)의 하면은 단차면(22)이다.
비결합 위치(NP)에 있어서, 내측 돌출부(18a)는 중량체(12)에 결합되어 있지 않다. 한편, 결합 위치(EP)에서, 내측 돌출부(18a)는 중량체(12)에 결합되어 있다. 즉,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돌출부(18a)는 하면(29)과 결합면(33)의 사이에 끼여 있다. 따라서, 중량체(12)는 확실하게 고정된다.
내측 돌출부(18a)의 축방향 두께가, 도 20에 양방향 화살표 T18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면(22)은 경사져 있다. 이 경사에 기인하여, 축방향 두께(T18)가 변화된다. 중량체(12)를 결합 위치(EP)로 회전시킴에 따라, 중량체(12)에 결합되는 부분의 축방향 두께(T18)가 증대된다. 결합 위치(EP)에 있어서, 내측 돌출부(18a)는 그 두께(T18)가 줄어들도록 압축 변형된다. 이 압축 변형의 복원력에 의해, 내측 돌출부(18a)로부터 하면(29) 및 결합면(33)에 압박력이 인가된다. 이러한 이유로, 중량체(12)는 한층 더 확실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중량체 착탈 기구(M1)에서는, 이하의 구성 C, D 및 F가 달성된다. 구성 C에 의해서는, 중량체(12)를 한층 더 확실하게 고정하는 효과가 발휘된다. 구성 D 및 E에 의해서는, 착탈 작업이 용이해진다.
[구성 C]: 결합 위치(EP)에 있어서, 중량체(12)는 소켓(10)의 내측 돌출부(18a)를 유지하고, 내측 돌출부(18a)를 압축 변형시킨다.
[구성 D]: 비결합 위치(NP)로부터 결합 위치(EP)를 향해 가는 과정에서, 중량체(12)가 결합 위치(EP)에 접근할수록, 내측 돌출부(18a)의 압축 변형량이 증대된다.
[구성 E]: 비결합 위치(NP)에 있어서, 내측 돌출부(18a)의 압축 변형은 일어나지 않는다.
도 21의 좌측[비결합 위치(NP)]에 크로스해칭으로 나타내어진 부분이, 역회전 억제부(Rx)이다. 이 역회전 억제부(Rx)를 확정하는 원호(C1)는, 축선 Z를 중심점으로 하며 중심점 Z와 점 Pf 사이의 거리를 반경 R1로 하는 원의 일부분이다. 점 Pf는 결합부(32)의 단면의 윤곽선에 있어서 점 Z로부터 가장 먼 점이다. 역회전 억제부(Rx)는 로킹 시에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역회전 억제부(Rx)는 결합 위치(EP)를 향하는 올바른 회전(+θ°의 회전)을 촉진한다.
도 21의 우측[결합 위치(EP)]에 크로스해칭으로 나타내어진 부분이, 과잉 회전 억제부(Ry)이다. 과잉 회전 억제부(Ry)를 확정하는 원호(C1)는, 전술한 바와 같다. 과잉 회전 억제부(Ry)는 로킹 시에 과잉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과잉 회전 억제부(Ry)는, 결합부(32)가 결합 위치(EP)에 이를 때, 결합부(32)가 결합 위치(EP)를 넘어서 더 과잉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여, 결합 위치(EP)의 달성을 촉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과잉 회전 억제부(Ry)는 역회전 억제부(Rx)와 동일하다. 그러나, 과잉 회전 억제부(Ry)는 결합부(32)에 의해 압축되어, 약간 변형된다. 한편, 역회전 억제부(Rx)에서는 압축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다.
도 22는 헤드 본체(h1)의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 본체(h1)는 2개의 소켓용 오목부(14)를 구비한다.
도 23은 소켓용 오목부(14)의 평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선 L-L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3의 선 M-M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선 N-N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소켓용 오목부(14)는 다각형 내면(14a)을 갖는다. 또한, 소켓용 오목부(14)는 원주 내면(14b)과 바닥면(14c)을 갖는다. 소켓용 오목부(14)에 있어서, 원주 내면(14b)은 다각형 내면(14a)보다 안쪽에 위치해 있다.
다각형 내면(14a)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이다. 바람직하게는, 다각형 내면(14a)의 단면 형상은 정다각형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다각형 내면(14a)의 단면 형상은 정육각형이다. 다각형 내면(14a)의 단면 형상은, 벽형부(11)의 외면(11b)의 단면 형상에 대응한다.
다각형 내면(14a)의 형상은, 소켓(10)의 다각형 외면(11b)의 형상과 동일하다. 다각형 내면(14a)은 다각형 외면(11b)과 면접촉한다. 이러한 이유로, 소켓(10)의 회전 방지가 달성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용 오목부(14)는 언더컷부(14d)를 포함한다. 언더컷부(14d)는 소켓용 오목부(14)의 측면에 마련된다. 언더컷부(14d)는 다각형 내면(14a)에 마련된다. 언더컷부(14d)는 축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이다. 언더컷부(14d)는 상측 단차면(14e)을 포함한다.
언더컷부(14d)는 절삭에 의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언더컷부(14d)는 L자형 또는 T자형 커터를 회전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용 오목부(14)의 측면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언더컷부(14d)를 절삭하기 전에, 언더컷부(14d)가 마련되는 부분을 두꺼워지게 한다. 그 결과, 언더컷부(14d)가 마련되어 있는 최종 상태에서도, 언더컷부(14d)가 형성되는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얇지 않다.
도 27은 변형예에서의 소켓(100) 및 바닥면 형성부(13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은 소켓(100) 및 바닥면 형성부(130)의 측면도이다. 도 29는 소켓(100)의 평면도이다. 도 30은 바닥면 형성부(130)의 저면도이다. 도 31은 도 28의 선 P-P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바닥면 형성부(130)는 상기 바닥면 형성부(13)와 동일하다.
소켓(100)은 구멍(16)을 갖는다. 구멍(16)은 소켓(100)을 관통해 있다. 구멍(16)의 형상은 상기 소켓(10)의 구멍(16)과 동일하다. 소켓(100)의 재료는 상기 소켓(10)의 재료와 동일하다.
소켓(100)은 벽형부(11)를 구비하지 않는다. 소켓(100)은 소켓(10)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량체(12)는 이 소켓(100)에도 사용될 수 있다. 소켓(100) 및 바닥면 형성부(130)가 이용되는 경우, 소켓용 오목부(14)는 다각형 내면(14a)을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형부]
상기 결합 위치(EP)에 있어서, 벽형부(11)는 중량체(12)의 노출부(E1)와 헤드 본체(h1)의 사이에 위치해 있는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중량체(12)와 헤드 본체(h1)의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 울림이 방지된다.
결합 위치(EP)에 있어서, 벽형부(11)는 중량체(12)에 결합되어 있지 않다. 결합 위치(EP)에 있어서, 벽형부(11)는 노출부(12a)에 결합되어 있지 않다. 벽형부(11)가 중량체(12)와 접촉해 있는 경우라도, 벽형부(11)는 중량체(12)를 로킹하는 효과를 갖지 않는다. 벽형부(11)는 중량체(12)의 고정을 담당하지 않는다.
타격에 의해 야기되는 충격이 중량체(12)를 진동시킬 수 있다. 이 진동의 진폭은 노출부(E1)[헤드부(28)]에서 커지기 쉽다. 이는, 노출부(E1)는 벽형부(11)에 결합되어 있지 않아 비교적 움직이기 쉬운 상태에 있기 때문이다. 벽형부(11)는, 이 노출부(E1)[헤드부(28)]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진동하기 쉬운 부분의 진동을 억제함으로써, 충격 흡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충격 흡수 성능은 타구 필링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타구 필링은 벽형부(11)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벽형부(11)는 중량체(12)의 고정을 담당하지 않으므로, 벽형부(11)는 변형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진동 흡수 성능은 벽형부(11)에 의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벽형부(11)는 결합 돌출부(kp1)를 포함한다(도 3 참조). 결합 돌출부(kp1)는 언더컷부(14d)에 결합된다. 소켓(10)과 소켓용 오목부(14)는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접착제가 사용되지 않더라도, 결합 돌출부(kp1)와 언더컷부(14d)의 맞물림에 의해 소켓(10)은 이탈될 가능성이 낮다.
본 실시형태에서, 소켓(10)의 외면(11b)은 다각형 외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다각형 외면(11b)의 단면 형상은 정다각형이다. 이 정다각형은 정육각형이다. 이 다각형 외면(11b)에는, 다각형의 각 변에 대응하는 복수의 평면(b1, b2, b3, b4, b5, b6)이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이들 평면 b1 내지 b6의 각각에는 결합 돌출부(kp1)가 마련되어 있다. 각 결합 돌출부(kp1)에 결합되는 언더컷부(14d)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 돌출부(kp1)와 언더컷부(14d)의 결합부는 소켓(10) 둘레의 복수의 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소켓(10)은 이탈될 가능성이 낮다.
본 실시형태에서, 언더컷부(14d)는 오목부이다. 그러나, 언더컷부(14d)는 이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언더컷부(14d)는 소켓(10)의 탈락 방향에 대하여 언더컷을 형성 가능한 부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소켓(10)의 탈락 방향은 축선 Z의 방향이다.
결합 돌출부(kp1)가 언더컷부(14d)에 결합될 때, 벽형부(11)의 탄성 변형이 일어난다. 이 탄성 변형을 탄성 변형 X라고도 한다. 이 탄성 변형 X에서, 벽형부(11)는 소켓(10)의 중앙측으로 쓰러진다. 다시 말하자면, 이 탄성 변형 X에서, 벽형부(11)는 축선 Z측으로 쓰러진다. 이 변형에 의해, 결합 돌출부(kp1)는 언더컷부(14d)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돌출부(kp1)가 언더컷부(14d)에 결합된 상태에서, 탄성 변형 X는 해소될 수도 있고, 또는 탄성 변형 X는 남아있을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결합 돌출부(kp1)가 언더컷부(14d)에 결합된 상태에서, 탄성 변형 X는 해소되어 있다.
탄성 변형 X가 생길 때, 중량체(12)는 소켓(10)에 부착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중량체(12)는 탄성 변형 X를 저해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켓(10)은 결락부(ms1)를 구비한다. 탄성 변형 X는 결락부(ms1)에 의해 용이해진다. 소켓(10)의 재료는 비교적 단단할 수 있고, 이 재료는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탄성 변형 X는 결락부(ms1)의 존재에 의해 용이해진다. 따라서, 소켓(10)은 소켓용 오목부(14)에 쉽게 부착된다.
탄성 변형 X의 관점에서, 결락부(ms1)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8 ㎜ 이상이다. 이물질의 침입을 억제하는 관점 및 외관성의 관점에서, 결락부(ms1)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2 ㎜ 이하이다.
탄성 변형 X의 관점에서, 결락부(ms1)의 깊이는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이다. 결락부(ms1)가 과도하게 깊은 경우, 결락부(ms1)를 높일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 소켓용 오목부(14)는 깊어져, 소켓용 오목부(14)가 심화되기 쉽다. 이러한 관점에서, 결락부(ms1)의 깊이는 바람직하게는 4 ㎜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3.5 ㎜ 이하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이다.
결락부(ms1)의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 6개 이하이다. 복수의 결락부(ms1)가 마련되는 경우, 복수의 결락부(ms1)는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다각형 외면(11b)의 평면 형상은 육각형이다. 다각형 외면(11b)의 평면 형상이 n각형이라면, n은 바람직하게는 4 이상 8 이하이다. n이 클수록, 벽형부(11)는 얇아질 가능성이 있어, 소켓(1)의 경량화에 유리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n은 6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n각형의 각 변마다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출부(kp1)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결합 돌출부(kp1)의 수는 n이다.
탄성 변형 X의 관점에서, 벽형부(11)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이다. 소켓용 오목부(14)가 과도하게 깊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벽형부(11)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4 ㎜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5 ㎜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이다. 벽형부(11)의 높이는 축선 Z의 방향을 따라 측정된다.
탄성 변형 X를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 결합 돌출부(kp1)의 높이가 최대인 위치는, 벽형부(11)의 높이의 중앙 위치보다 상측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벽형부(11)의 높이가 4.0 ㎜인 경우, 벽형부(11)의 높이의 중앙 위치는, 벽형부(11)의 근본측으로부터의 높이가 2.0 ㎜인 위치이다. 이러한 경우에, 결합 돌출부(kp1)의 높이가 최대인 위치는, 이 2.0 ㎜의 위치보다 상측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결합 돌출부(kp1)의 높이는 후술하는 직선 Lp의 방향을 따라 측정된다.
결합 돌출부(kp1)와 언더컷부(14d)간의 결합 폭이 도 19에 양방향 화살표 W1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 결합 폭은 소켓(10)의 탈락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측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이 수직한 방향은 축선 Z와 교차하면서 축선 Z에 대하여 수직한 직선 Lp(도 16 참조)의 방향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 결합 돌출부(kp1)의 외면은 곡면이다. 상기 결합 폭은 일정하지는 않다. 이 점을 고려하여, 하나의 결합 돌출부(kp1)에서의 결합 폭의 최대치는 결합 폭 W1이다. 본 실시형태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복수의 결합 돌출부(kp1)가 존재하는 경우, 결합 폭 W1의 수도 또한 복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값의 평균치가 결합 폭 W1로서 채용된다.
벽형부(11)와 중량체(12) 사이의 간극 거리가, 도 20에 양방향 화살표 W2로 나타내어져 있다. 간극 거리 W2를 측정하는 방법은, 결합 폭 W1을 측정하는 방법과 같다. 간극 거리 W2는 직선 Lp의 방향을 따라 측정된다. 간극 거리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간극 거리 W2로서 평균치가 채용된다. 간극 거리 W2는 결합 위치(EP)에서 측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간극 거리 W2는 결합 폭 W1보다 작다. 따라서, 탄성 변형 X는 중량체(12)의 존재에 의해 저해된다. 결합 위치(EP)에서는, 중량체(12)가 소켓(10)에 고정되어 있다. 결합 위치(EP)에서는, W2<W1이므로, 탄성 변형 X는 일어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중량체(12)가 부착된 소켓(10)은, 소켓용 오목부(14)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낮다. 소켓(10)이 소켓용 오목부(14)에 부착되어 있을 때, 중량체(12)는 소켓(10)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따라서, 중량체(12)가 탄성 변형 X를 저해하지 않아, 소켓(10)의 부착이 용이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 벽형부(11)의 외면(11b)은 소켓용 오목부(14)의 다각형 내면(14a)에 접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간극 거리 W2는 0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결합 위치(EP)에서 탄성 변형 X가 저지된다. 따라서, 소켓(10)의 이탈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소켓(10)의 이탈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결합 폭 W1은 바람직하게는 0.2 ㎜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3 ㎜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4 ㎜ 이상이다. 소켓용 오목부(14)에 대한 소켓(10)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 결합 폭 W1은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8 ㎜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6 ㎜ 이하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32)의 단면 형상은 대략 직사각형이다. 용어 "대략"은, 코너부의 변형이 허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코너부의 변형예로는, 본 실시형태에 나타내어진 라운딩된 코너부 이외에 모따기된 코너부가 있다.
결합부(32)의 단면 형상은, 축선 Z를 회전축으로 하는 N회 회전 대칭을 갖는다. N은 1 이상 3 이하의 정수이다. 본 실시형태의 대략 직사각형에서, N은 2이다. 즉, 대략 직사각형은 2회 회전 대칭을 갖는다.
N회 회전 대칭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360/N)도만큼 회전된 후의 형상이 회전되기 전의 형상과 일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N은 양의 정수이다. 다시 말하자면, N은 1 이상의 정수이다. 바람직하게는, N은 1 이상 3 이하의 정수이다. 회전 대칭성의 일반적인 정의에서, N은 2 이상의 정수이다. 그러나, 본원에서 N은 1을 포함한다. 일반적인 정의에서 N이 1인 경우, 그 형상은 회전 대칭성을 갖지 않는다. 결합부(32)의 단면 형상에서는, N이 1일 수 있다.
전술한 일본 실용신안 등록 공보 제3142270호에서는, 결합부의 단면 형상이 대략 정사각형이다. 일본 실용신안 등록 공보 제3142270호의 헤드에서, N은 4이다. 일본 실용신안 등록 공보 제3142270호의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의 단면 형상이 대략 정사각형인 경우, 역회전 억제부(Rx) 및 과잉 회전 억제부(Ry)는 그 크기가 줄어들기 쉽다(도 21 참조). 따라서, 역회전 및 과잉 회전이 일어나기 쉽다. N을 3 이하이도록 설정함으로써, 역회전 억제부(Rx) 및 과잉 회전 억제부(Ry)는 그 크기가 커지기 쉽다. 따라서, 역회전 및 과잉 회전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일본 실용신안 등록 공보 제3142270호의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N이 4인 경우, 45도의 역회전에 의해, 역회전 억제부(Rx)를 타고 넘어가, 결합 위치(EP)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역회전에 의해서도 결합 위치(EP)가 비교적 용이하게 실현된다. 이로써, 역회전에 의해 역회전 억제부(Rx)가 손상될 기회가 증가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오사용의 기회가 증가될 수 있다. N이 3 이하인 경우, 역회전 억제부(Rx)를 타고 넘어가 결합 위치(EP)에 이르기 위해서는, 큰 각도의 역회전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역회전 억제부(Rx)가 손상될 기회가 생길 가능성이 낮다. N이 작을수록, 역회전 억제 효과는 높아진다.
과잉 회전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일본 실용신안 등록 공보 제3142270호의 실시형태에서는, 45도의 과잉 회전에 의해, 과잉 회전 억제부(Ry)를 타고 넘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결합 위치(EP)로의 이행을 의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결합 위치(EP)를 통과하여, 비결합 위치(NP)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과잉 회전에 의해 야기되는 결합 위치(EP)의 통과가 비교적 쉽게 실현된다. 이로써, 과잉 회전 억제부(Ry)가 손상될 기회가 증가될 수 있다. N이 3 이하인 경우, 과잉 회전 억제부(Ry)를 타고 넘어가 비결합 위치(NP)에 이르기 위해서는, 큰 각도의 과잉 회전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과잉 회전 억제부(Ry)가 손상될 기회가 생길 가능성이 낮다. N이 작을수록, 과잉 회전 억제 효과는 높아진다.
따라서, N을 3 이하로 설정하고, 이에 의해 역회전 및 과잉 회전에 필요한 회전 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역회전 억제부(Rx) 및 과잉 회전 억제부(Ry)는 그 크기가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역회전 및 과잉 회전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역회전 억제부(Rx) 및 과잉 회전 억제부(Ry)는 손상될 가능성이 낮다. 그 결과, 소켓(10)은 반복된 사용에 의해서도 열화될 가능성이 낮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N을 2로 설정한다. 이러한 경우, 결합부(32)의 단면 형상은, N이 1인 경우에 비해 비교적 단순해진다. 따라서, 결합부(32) 및 소켓(10)은 용이하게 설계된다. N이 1인 경우에 비해, 결합부(32)는 제1 구멍부(18)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N이 2인 예로는, 본 실시형태에 나타내어진 대략 직사각형 이외에, 대략 평행사변이 있다.
본원에서는, 결합부(32)의 최장 회전 반경을 R1이라 한다. 결합부(32)의 최단 회전 반경을 R2라 한다. 반경 R1은 전술한 바와 같다. 즉,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 R1은 회전 중심 Z와 점 Pf 사이의 거리이다. 반경 R2는 회전 중심 Z와 점 Pc 사이의 거리이다. 점 Pc는 결합부(32)의 단면의 윤곽선에 있어서 점 Z로부터 가장 가까운 점이다(도 21 참조).
역회전 억제부(Rx) 및 과잉 회전 억제부(Ry)의 크기를 증대시키는 관점에서, R1/R2는 바람직하게는 1.30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33 이상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36 이상이다. 소켓용 오목부(14) 및 소켓(10)을 소형화하는 관점에서, R1/R2는 바람직하게는 1.7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60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R1/R2는 1.39이다.
역회전 억제부(Rx)의 단면적 X가 도 21의 비결합 위치(NP)의 단면도에 있어서 크로스해칭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역회전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단면적 X는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5 ㎟ 이상이다. 소켓용 오목부(14) 및 소켓(10)을 소형화하는 관점에서, 단면적 X는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4.5 ㎟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0 ㎟ 이하이다. 이 단면적 X는 하나의 역회전 억제부(Rx)의 단면적이다.
과잉 회전 억제부(Ry)의 단면적 Y가 도 21의 결합 위치(EP)의 단면도에 있어서 크로스해칭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과잉 회전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단면적 Y는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5 ㎟ 이상이다. 소켓용 오목부(14) 및 소켓(10)을 소형화하는 관점에서, 단면적 Y는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4.5 ㎟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0 ㎟ 이하이다. 이 단면적 Y는 하나의 과잉 회전 억제부(Ry)의 단면적이다.
역회전 억제부(Rx)의 최대 높이가 도 21에 양방향 화살표 R3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 높이 R3은 반경 방향을 따라 측정된다. 이 반경 방향은 직선 Lp의 방향이다. 역회전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R3/R1은 바람직하게는 0.19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20 이상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21 이상이다. 소켓용 오목부(14) 및 소켓(10)의 소형화 및 경량화의 관점에서, R3/R1은 바람직하게는 0.24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23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22 이하이다.
과잉 회전 억제부(Ry)의 최대 높이가 도 21에 양방향 화살표 R4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 높이 R4는 반경 방향을 따라 측정된다. 이 반경 방향은 직선 Lp의 방향이다. 과잉 회전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R4/R1은 바람직하게는 0.19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20 이상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21 이상이다. 소켓용 오목부(14) 및 소켓(10)의 소형화 및 경량화의 관점에서, R4/R1은 바람직하게는 0.24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23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22 이하이다.
40 ℃의 환경하에서 착탈시에 필요한 최대 토크(N·m)를 T40이라 한다. 25 ℃의 환경하에서 착탈시에 필요한 최대 토크(N·m)를 T25라 한다. 5 ℃의 환경하에서 착탈시에 필요한 최대 토크(N·m)를 T5라 한다. 온도에 관계없이 원활한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관점에서, 비(T40/T5)는 바람직하게는 0.30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35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40 이상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41 이상이다.
온도에 관계없이 원활한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관점에서, 비(T25/T5)는 바람직하게는 0.57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60 이상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61 이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T40/T5)와 마찬가지로, 비(T25/T5)는 1 이하인 것으로 고려된다.
저온에서의 원활한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관점에서, 최대 토크 T5는 바람직하게는 6.3 (N·m)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6.0 (N·m)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N·m) 이하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0 (N·m) 이하이다.
고온에서의 고정을 확실하게 하는 관점에서, 최대 토크 T40은 바람직하게는 1.0 (N·m)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5 (N·m) 이상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8 (N·m) 이상이다.
[소켓의 경도 Hs]
중량체(12)를 확실하게 고정하여 타격시의 울림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소켓(10)의 경도 Hs는 바람직하게는 D40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D42 이상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D45 이상이다. 중량체(12)에 의해 야기되는 마모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경도 Hs는 바람직하게는 D80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D78 이하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D76 이하이다.
경도 Hs는, "ASTM-D 2240-68"의 규정에 준거하여, 자동 고무 경도 측정 장치[Koubunshi Keiki Co., Ltd.에서 제조한 "P1"(상표명)]에 부착된 쇼어 D형 경도계를 이용해 측정된다. 측정 샘플의 형상은 한 변의 길이가 3 ㎜인 정육면체로 설정된다. 측정은 23℃의 온도하에서 행해진다. 가능하다면, 측정 샘플은 소켓(10)으로부터 잘라내어진다. 측정 샘플을 잘라내기가 곤란한 경우, 소켓(10)의 수지 조성물과 동일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측정 샘플을 사용한다.
골프 클럽(2)으로 볼을 타격하면, 골프 클럽(2)을 통해 골퍼의 손에 타격 진동이 전해진다. 이 타격 진동의 진동 에너지는, 소켓(10)에 수용된 중량체(12)의 운동 에너지로 변환된다. 소켓(10) 및 중량체(12)는, 샤프트(6)의 진동 에너지를 중량체(12)의 운동 에너지로 변환하고, 이에 의해 타격 진동이 완화될 수 있다. 또한, 중량체(12)의 노출부(E1)의 진동은 벽형부(11)에 의해 흡수되므로, 진동 흡수성이 효과적으로 향상된다.
[폴리머]
경도의 관점에서, 소켓의 재료는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머의 예로는 열경화성 폴리머와 열가소성 폴리머가 있다. 열경화성 폴리머의 예로는,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멜라민 수지, 우레아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알키드 수지,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열경화성 폴리이미드 및 열경화성 엘라스토머가 있다. 열가소성 폴리머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ABS 수지(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트, 변성 폴리페닐렌 에테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이미드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예로는,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폴리스티렌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가 있다.
내구성의 관점에서는, 우레탄계 폴리머 및 폴리아미드가 바람직하고, 우레탄계 폴리머가 더 바람직하다. 우레탄계 폴리머의 예로는, 폴리우레탄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가 있다. 우레탄계 폴리머는 열가소성일 수도 있고, 또는 열경화성일 수도 있다. 성형성의 관점에서는, 열가소성 우레탄계 폴리머가 바람직하고,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가 더 바람직하다.
성형성의 관점에서는, 열가소성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경도 및 내구성의 관점에서는, 열가소성 폴리머 중에서, 폴리아미드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고,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가 더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의 예로는 나일론 6, 나일론 11, 나일론 12 및 나일론 66이 있다.
바람직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는, 폴리우레탄 성분을 하드 세그먼트로서 포함하고 폴리에스테르 성분 또는 폴리에테르 성분을 소프트 세그먼트로서 포함한다. 즉,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TPU)의 바람직한 예로는 폴리에스테르계 TPU와 폴리에테르계 TPU가 있다. 폴리우레탄 성분에 대한 경화제의 예로는, 지환(脂環)식 디이소시아네이트,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가 있다.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는, 4,4'-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H12MDI), 1,3-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H6XDI),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및 트랜스-1,4-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CHDI)가 있다.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는,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MDI) 및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TDI)가 있다.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HDI)가 있다.
시판되고 있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TPU)의 예로는 BASF Japan Ltd.에서 제조한 "Elastollan"(상표명)이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TPU의 구체예로는 "Elastollan C70A", "Elastollan C80A", "Elastollan C85A", "Elastollan C90A", "Elastollan C95A" 및 "Elastollan C64D"가 있다.
폴리에테르계 TPU의 구체예로는 "Elastollan 1164D", "Elastollan 1198A", "Elastollan 1180A", "Elastollan 1188A", "Elastollan 1190A", "Elastollan 1195A", "Elastollan 1174D", "Elastollan 1154D" 및 "Elastollan ET385"가 있다.
상기 각 폴리머를 매트릭스로서 포함하는 섬유 강화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를 밝힌다. 그러나, 본 발명은 실시예의 기재에 기초하여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헤드(2)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헤드를 제작하였다.
[헤드 본체의 제작]
티탄 합금(Ti-6Al-4V)으로 제조된 압연재에 프레스 가공을 행함으로써, 페이스 부재를 얻었다. 티탄 합금(Ti-6Al-4V)을 이용한 주조에 의해, 바디를 얻었다. 이 바디는 소켓용 오목부(14)를 포함한다. 얻어진 페이스 부재와 바디를 용접함으로써, 헤드 본체를 얻었다. L자형 커터로 절삭함으로써, 소켓용 오목부의 측면에 언더컷부를 형성하였다.
[소켓의 제작]
소켓은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졌다. 소켓의 재료로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Elastollan 1164D"와 "Elastollan 1198A"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얻어진 생성물을 사용하였다. 단면적 X는 3.27 ㎟이었다. 단면적 Y는 3.27 ㎟이었다.
[중량체의 제작]
텅스텐 니켈 합금(W-Ni 합금)을 중량체의 재료로서 이용하였다. W-Ni 합금을 분말 소결에 의해 성형하여, 중량체를 얻었다.
[소켓용 오목부에 대한 소켓의 부착]
접착제를 이용하여, 소켓 소켓용 오목부(14)에 소켓을 접합하였다. 이 접합에는 Sumitomo 3M Ltd.에서 제조한 "DP460"(상표명)을 사용하였다. 이 접합과 병행하여, 소켓의 결합 돌출부가 언더컷부에 결합된다. 이 결합에서는, 소켓의 벽형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결합 돌출부가 언더컷부에 끼워 넣어진다. 이렇게 하여, 실시예의 헤드를 얻었다.
이 헤드에서는, 벽형부의 탄성 변형을 이용함으로써, 소켓이 소켓용 오목부에 용이하게 부착된다. 중량체를 소켓에 삽입하고, +θ° 회전시켰다. 이 회전에는 전술한 공구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중량체는 소켓에 용이하게 고정되었다. 중량체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비결합 위치(NP)]로부터의 역회전은 곤란하였다. 또한, 결합 위치로부터의 과잉 회전도 곤란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은 모든 골프 클럽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우드 타입 클럽, 유틸리티 타입 클럽, 하이브리드 타입 클럽, 아이언 타입 클럽 및 퍼터 클럽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어디까지나 일례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실시될 수 있다.

Claims (10)

  1. 골프 클럽 헤드로서,
    소켓용 오목부를 갖는 헤드 본체;
    상기 소켓용 오목부에 부착되는 소켓; 및
    상기 소켓에 착탈 가능한 중량체
    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체는 상기 소켓에 대한 각도 +θ°의 상대 회전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된 중량체는 상기 소켓에 대한 각도 -θ°의 상대 회전에 의해 탈거될 수 있고;
    상기 중량체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은 제1 구멍부와, 제1 구멍부보다 안쪽에 배치되는 제2 구멍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 구멍부에서 결합 위치(EP)와 비결합 위치(NP)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상대 회전에서의 상기 중량체의 회전은 축선 Z를 중심으로 한 회전이고;
    상기 결합부의 단면 형상은, 상기 축선 Z를 회전축으로 하는 N회 회전 대칭을 가지며;
    N은 1 이상 3 이하의 정수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은 2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단면 형상은 대략 직사각형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최장 회전 반경을 R1이라 하고 상기 결합부의 최단 회전 반경을 R2라 하면, R1/R2는 1.30 이상 1.70 이하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용 오목부는 언더컷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은 결합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언더컷부와 상기 결합 돌출부는 서로 맞물리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용 오목부는 다각형 내면을 포함하고, 상기 언더컷부는 상기 다각형 내면에 마련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벽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벽형부는 상기 소켓의 상단부를 형성하며;
    상기 벽형부는 상기 결합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벽형부는 결락부(缺落部)를 포함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컷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의 결합 폭을 W1이라 하고, 상기 벽형부와 상기 중량체 사이의 간극 거리를 W2라 하면, 상기 간극 거리 W2는 상기 결합 폭 W1보다 작은 것인 골프 클럽 헤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폭 W1은 0.2 ㎜ 이상 1.0 ㎜ 이하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KR1020130165520A 2012-12-28 2013-12-27 골프 클럽 헤드 KR1016596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86457 2012-12-28
JP2012286457A JP6109564B2 (ja) 2012-12-28 2012-12-28 ゴルフクラブヘッ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906A true KR20140086906A (ko) 2014-07-08
KR101659647B1 KR101659647B1 (ko) 2016-09-26

Family

ID=51017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5520A KR101659647B1 (ko) 2012-12-28 2013-12-27 골프 클럽 헤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58431B2 (ko)
JP (1) JP6109564B2 (ko)
KR (1) KR101659647B1 (ko)
CN (1) CN1039087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13730B2 (en) * 2018-12-13 2022-01-04 Acushnet Company Golf club head with improved inertia performance
JP5956861B2 (ja) * 2012-07-17 2016-07-27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109564B2 (ja) * 2012-12-28 2017-04-05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105394B2 (ja) * 2013-05-31 2017-03-29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358854B2 (ja) * 2014-05-27 2018-07-1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US9731171B2 (en) 2014-06-20 2017-08-15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 with removable weight
US9421442B2 (en) * 2014-07-18 2016-08-23 Callaway Golf Company Golf club screw
JP5751375B1 (ja) * 2014-09-12 2015-07-22 横浜ゴム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16179061A (ja) * 2015-03-24 2016-10-13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484118B2 (ja) * 2015-06-09 2019-03-1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682814B2 (ja) * 2015-11-10 2020-04-15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KR101965567B1 (ko) * 2018-03-06 2019-04-04 주식회사 알피온 골프채
US11192005B2 (en) * 2018-12-13 2021-12-07 Acushnet Company Golf club head with improved inertia performance
JP2023128177A (ja) 2022-03-03 2023-09-1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4623A (ja) * 1996-09-20 1998-04-14 Yokohama Rubber Co Ltd:The 金属製中空ゴルフクラブヘッドの重量体固定構造
JP2000176059A (ja) * 1998-12-21 2000-06-27 Yamaha Corp ゴルフクラブのヘッド重量体の固定構造及び固定方法
US20050009627A1 (en) * 2002-11-08 2005-01-13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head having removable weight
JP2006212407A (ja) * 2005-02-04 2006-08-17 Fu Sheng Industrial Co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の重りの構造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04676A (en) * 1936-05-28 1938-01-04 Sheaffer W A Pen Co Fountain pen desk stand
US3139768A (en) * 1961-12-11 1964-07-07 Illinois Tool Works Cable fastener assembly
US3692306A (en) * 1971-02-18 1972-09-19 Cecil C Glover Golf club having integrally formed face and sole plate with weight means
US6149533A (en) * 1996-09-13 2000-11-21 Finn; Charles A. Golf club
US6210290B1 (en) * 1999-06-11 2001-04-03 Callaway Golf Company Golf club and weighting system
US20030162608A1 (en) * 2002-02-22 2003-08-28 Wen-Hsiang Chen Structure of a golf club head
US7559714B2 (en) * 2002-05-30 2009-07-14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Reverse clip cap terminal connector
US7744484B1 (en) * 2002-11-08 2010-06-29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Movable weights for a golf club head
US7407447B2 (en) * 2002-11-08 2008-08-05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Movable weights for a golf club head
US7186190B1 (en) * 2002-11-08 2007-03-06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head having movable weights
US7419441B2 (en) * 2002-11-08 2008-09-02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head weight reinforcement
US8900069B2 (en) * 2010-12-28 2014-12-02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Fairway wood center of gravity projection
JP2005160947A (ja) * 2003-12-05 2005-06-23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7771291B1 (en) * 2007-10-12 2010-08-10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head with vertical center of gravity adjustment
CN1925892A (zh) * 2004-06-03 2007-03-07 卡拉韦高尔夫公司 高尔夫球杆头
US7153220B2 (en) * 2004-11-16 2006-12-26 Fu Sheng Industrial Co., Ltd. Golf club head with adjustable weight member
US20060122004A1 (en) * 2004-12-06 2006-06-08 Hsin-Hua Chen Weight adjustable golf club head
JP2006187489A (ja) * 2005-01-07 2006-07-20 Koji Sakinak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TWI251501B (en) 2005-02-03 2006-03-21 Nelson Prec Casting Co Ltd Complex adjusting structure for a golf club head
US20060240907A1 (en) * 2005-04-25 2006-10-26 Mondher Latiri Golf club head with adjustable center of mass
US20060276263A1 (en) * 2005-06-07 2006-12-07 O-Ta Precision Industry Co., Ltd. Golf club head
US7749101B2 (en) * 2005-08-23 2010-07-06 Bridgestone Sports Co., Ltd. Wood-type golf club head
JP4617238B2 (ja) * 2005-10-25 2011-01-19 Sri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4745806B2 (ja) * 2005-12-05 2011-08-10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7151829A (ja) * 2005-12-05 2007-06-21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TWM316090U (en) * 2006-08-09 2007-08-01 Fu Sheng Ind Co Ltd Detachable weight structure for golf club head
US8052406B2 (en) * 2006-11-15 2011-11-08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croll machine having improved discharge valve assembly
US7713143B2 (en) * 2007-11-09 2010-05-11 Callaway Golf Company Golf club head with adjustable weighting, customizable face-angle, and variable bulge and roll face
TWM339333U (en) 2007-11-20 2008-09-01 Advanced Int Multitech Co Ltd Center-of-gravity adjustable golf club head
US7753806B2 (en) * 2007-12-31 2010-07-13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US8192302B2 (en) * 2008-05-30 2012-06-05 Acushnet Company Golf club head and removable weight
US8540589B2 (en) * 2008-05-30 2013-09-24 Acushnet Company Golf club head and removable weight
US7771290B2 (en) * 2008-05-30 2010-08-10 Acushnet Company Golf club head and removable weight
US8540588B2 (en) * 2009-12-16 2013-09-24 Bradley C. Rice Golf club head with composite weight port
JP5647889B2 (ja) * 2010-12-29 2015-01-07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JP2013123439A (ja) * 2011-12-13 2013-06-24 Dunlop Sports Co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8758165B1 (en) * 2012-02-28 2014-06-24 Callaway Gold Company Customizable golf club head
US8753225B1 (en) * 2012-02-28 2014-06-17 Callaway Golf Company Customizable golf club head
JP5956861B2 (ja) * 2012-07-17 2016-07-27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8905858B2 (en) * 2012-08-06 2014-12-09 Dunlop Sports Co., Ltd. Club head with insert including securing member on outer surface
JP6109564B2 (ja) * 2012-12-28 2017-04-05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20140274446A1 (en) * 2013-03-15 2014-09-18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4623A (ja) * 1996-09-20 1998-04-14 Yokohama Rubber Co Ltd:The 金属製中空ゴルフクラブヘッドの重量体固定構造
JP2000176059A (ja) * 1998-12-21 2000-06-27 Yamaha Corp ゴルフクラブのヘッド重量体の固定構造及び固定方法
US20050009627A1 (en) * 2002-11-08 2005-01-13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head having removable weight
JP2006212407A (ja) * 2005-02-04 2006-08-17 Fu Sheng Industrial Co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の重りの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9647B1 (ko) 2016-09-26
US20140187347A1 (en) 2014-07-03
CN103908767B (zh) 2017-01-11
US9358431B2 (en) 2016-06-07
JP6109564B2 (ja) 2017-04-05
CN103908767A (zh) 2014-07-09
JP2014128312A (ja) 2014-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9647B1 (ko) 골프 클럽 헤드
JP6109642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KR101436258B1 (ko) 골프 클럽 헤드
JP6105394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8944934B2 (en) Golf club head
US10398952B1 (en) Golf club having movable weight
US9975019B2 (en) Golf club with movable weight
US10729955B2 (en) Club length adjustment device
US9744415B2 (en) Golf club having removable weight
JP6257908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227314B2 (ja) ゴルフクラブ
US9724572B2 (en) Golf club
US10010768B2 (en) Golf club
US10279223B2 (en) Golf club
JP6750426B2 (ja) ゴルフクラブ
US9901795B2 (en) Club length adjust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