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258B1 - 골프 클럽 헤드 - Google Patents

골프 클럽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258B1
KR101436258B1 KR1020130084318A KR20130084318A KR101436258B1 KR 101436258 B1 KR101436258 B1 KR 101436258B1 KR 1020130084318 A KR1020130084318 A KR 1020130084318A KR 20130084318 A KR20130084318 A KR 20130084318A KR 101436258 B1 KR101436258 B1 KR 101436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ocket
head
less
interp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4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0905A (ko
Inventor
유키 모토카와
Original Assignee
던롭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던롭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던롭 스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0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08Heads characterised by specific dimensions, e.g.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33Heads with special sole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66Heads wood-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2Ballast means for adjusting the centre of ma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54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with means for damping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2053/0491Heads with added weights, e.g. changeable, replace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7Heads iron-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87Heads for put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골프 클럽 헤드는, 헤드(4)의 솔(9)에 리세스(14)가 형성되어 있다. 리세스(14)는 개구부의 일례이다. 소켓(10)이 리세스(14)에 장착된다. 중량체(12)는 소켓(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중량체(12)는 결합부(32)와 노출부(E1)를 갖는다. 소켓(10)은 개재부(11)를 갖는다. 결합부(32)가 결합 위치(EP)에 놓여 있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 개재부(11)는 노출부(E1)와 헤드 본체(h1)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개재되어 있다.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노출부(E1)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개재부(11)는 중량체(12)의 고정을 담당하지 않는다.

Description

골프 클럽 헤드{GOLF CLUB HEAD}
본원은 일본에서 2012년 7월 17일에 출원된 특허 출원 제2012-158619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중량체를 갖는 골프 클럽 헤드에 관한 것이다.
중량체의 질량 및 위치를 변경 가능한 헤드가 알려져 있다. 헤드에 장착되는 중량체에 의해, 헤드의 무게 중심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무게 중심의 위치의 조정에 의해, 피팅이 용이해진다.
중량체를 장착하는 기구로서는, 나사 기구가 일반적이다. 한편, 일본 실용신안 등록 공보 제3142270호(US2009/0131200)에는 슬리브와 웨이트를 포함하는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는 회전에 의해 착탈 가능한 웨이트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117159호(US2007/0093316, US2008/0293516)에는, 외면에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는 헤드 본체와, 상기 리세스 내에 배치되는 중량 부재, 그리고 상기 중량 부재의 외측에 배치된 제1 부가 부재를 구비하는 헤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제1 부가 부재는 수지 또는 고무를 기재로서 함유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83012호(US2007/0049400)에는, 솔과, 솔에 형성된 리세스와, 이 리세스에 매립된 탄성체, 그리고 탄성체를 덮도록 탄성체에 고정된 웨이트를 구비하는 헤드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실용신안 등록 공보 제3142270호의 헤드에서는, 타격시에 울림(이음)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웨이트가 헤드 본체에 부딪쳐 울림이 발생하게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울림을 방지하기 위해, 웨이트와 헤드 본체 사이에 간극을 두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이 간극에는 모래, 흙, 풀 등이 들어갈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117159호 및 제2007-83012호의 헤드에서는, 중량체를 쉽게 착탈할 수 없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83012호에서, 웨이트와 헤드 본체는 서로 접촉하게 되고, 그 결과 울림이 발생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중량체의 착탈이 가능하고, 골프 클럽의 사용 중에 일어날 수 있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는 골프 클럽 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는, 크라운 및 솔을 갖는 헤드 본체; 상기 솔에 형성되어 있고 외측으로 개구되어 있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에 부착된 소켓; 및 상기 소켓에 착탈 가능한 중량체를 포함한다. 상기 중량체는 상기 소켓에 대한 각도 θ의 상대 회전에 의해 착탈될 수 있다. 상기 중량체는 결합부와 노출부를 갖는다. 상기 소켓은 제1 구멍부와, 제2 구멍부, 그리고 개재부를 갖는다. 상기 각도 θ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 구멍부 내에서 결합 위치(EP)와 비결합 위치(NP)를 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가 상기 결합 위치(EP)에 놓여 있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개재부는 상기 노출부와 상기 헤드 본체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개재되어 있다.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상기 개재부는 상기 중량체의 고정을 담당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재부의 삽입 방향의 길이 B1이 0.5 ㎜ 이상 5 ㎜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켓의 삽입 방향의 전체 길이 S1이 5 ㎜ 이상 13 ㎜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개재부는 상기 중량체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상기 개구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재부의 두께 B2가 0.4 ㎜ 이상 1 ㎜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재부의 외경 B3이 13 ㎜ 이상 17 ㎜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켓의 재료가 우레탄계 폴리머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켓의 경도 Hs는 D40 이상 D80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량체의 중량 W1은 1 g 이상 15 g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의 내면과 상기 소켓의 바닥면 사이의 최단 거리 T1은 5 ㎜ 이상 15 ㎜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헤드의 최대 두께가 35 ㎜ 이상 70 ㎜ 이하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헤드를 갖는 골프 클럽 헤드의 전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중량체 착탈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소켓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소켓의 평면도, 단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저면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중량체의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8은 비결합 위치(NP)와 결합 위치(EP)의 상호 이행(移行)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저면도이다.
도 9는 중량체의 착탈에 사용되는 공구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중량체의 착탈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변형예의 중량체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변형예의 중량체 착탈 기구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적절히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골프 클럽 헤드는 중량체 착탈 기구를 갖는다. 이 중량체 착탈 기구는 R&A(전영 골프 협회)에서 정한 골프 룰을 충족시킨다. 즉, 이 중량체 착탈 기구는, R&A에서 정한 "부속 규칙 II 클럽의 디자인"의 "1 클럽"에 있어서 "1b 조정성"에 규정되어 있는 요건을 충족시킨다. "1b 조정성"에 의해 정해지는 요건은 다음의 (ⅰ), (ⅱ) 및 (ⅲ)가 있다:
(ⅰ) 조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없음;
(ⅱ) 조정 가능한 부분은 모두 단단히 고정되고, 라운드 중에 느슨해지는 일의 합리적인 가능성이 없음; 및
(ⅲ) 조정 후의 모든 형상이 규칙을 따름.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헤드(4)가 마련된 골프 클럽(2)이다. 골프 클럽(2)에는, 헤드(4), 샤프트(6) 및 그립(8)이 마련되어 있다. 헤드(4)는 샤프트(6)의 일단부에 부착된다. 그립(8)은 샤프트(6)의 타단부에 부착된다. 헤드(4)는 크라운(7) 및 솔(9)을 갖는다. 헤드(4)는 중공형이다.
헤드(4)는 우드 타입 헤드이다. 헤드(4)는 예시적인 것이다. 이 헤드(4) 대신에, 유틸리티 타입 헤드, 하이브리드 타입 헤드, 아이어 타입 헤드 및 퍼터 타입 헤드가 사용될 수 있다. 샤프트(6)는 관형체이다. 샤프트(6)의 예로는 스틸 샤프트와 소위 카본 샤프트가 있다.
헤드(4)는 소위 페어웨이 우드이다. 페어웨이 우드의 리얼 로프트각은 통상 12.5도 이상 29.0도 이하이다. 페어웨이 우드의 헤드 체적은 통상 120 cc 이상 220 cc 이하이다. 본 발명에서, 헤드의 클럽 번수 및 타입은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헤드 최대 두께 Th가 비교적 작은 헤드가 바람직하다. 그 이유를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헤드 최대 두께 Th가 비교적 작은 다른 헤드의 예로는, 유틸리티 타입 헤드 또는 하이브리드 타입 헤드가 있다. 이러한 타입의 헤드에서, 리얼 로프트각은 통상 14.0도 이상 32.0도 이하이고, 헤드 체적은 통상 100 cc 이상 130 cc 이하이다.
도 2는 헤드(4)의 솔(9) 측에서 본 골프 클럽(2)의 사시도이다. 헤드(4)는 헤드 본체(h1)와 중량체 착탈 기구(M1)를 갖는다. 도 3은 중량체 착탈 기구(M1)의 분해 사시도이다. 중량체 착탈 기구(M1)에는 소켓(10) 및 중량체(1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중량체 착탈 기구(M1)는 바닥면 형성부(13)를 갖는다. 헤드 본체(h1)에는 리세스(14)가 마련되어 있다. 리세스(14)는 개구부의 일례이다. 리세스(14)는 외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리세스(14)의 형상은 소켓(10)의 형상(외형)에 대응한다. 리세스(14)의 내경은 소켓(10)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리세스(14)의 수는 중량체 착탈 기구(M1)의 수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리세스(14)가 마련되어 있다. 리세스(14)의 수는 1, 2, 또는 3 이상일 수 있다.
바닥면 형성부(13)는 없을 수도 있다. 리세스(14)의 바닥부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14) 대신에 관통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10)은 개재부(11)와 구멍(16)을 갖는다. 개재부(11)는 소켓(10)의 상부를 구성한다. 개재부(11)는 소켓(10)에 있어서 가장 솔면측에 있는 부분을 구성한다. 개재부(11)는 구멍(16)의 개구면(f1)으로부터 상측(솔면측)을 향해 연장된다. 개재부(11)는 원통형이다. 개재부(11)의 내면(11a)은 원주면이다. 개재부(11)의 외면(11b)은 원주면이다.
소켓(10)은 리세스(14) 내에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은, 예컨대 접착제에 의해 이루어진다. 중량체(12)는 소켓(1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중량체(12)는 헤드(4)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중량체 착탈 기구(M1)가 마련되어 있다. 헤드(4)에는, 2개의 중량체 착탈 기구(M1)가 마련되어 있다. 중량체 착탈 기구(M1)의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중량체 착탈 기구(M1)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소켓(1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바닥면측에서 본 소켓(1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소켓(10)의 평면도, 소켓(10)의 단면도 및 소켓(10)의 저면도이다. 도 5의 단면도는 도 5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저면도의 확대도이다.
구멍(16)은 제1 구멍부(18)와, 제2 구멍부(20), 그리고 단차면(22)을 갖는다. 소켓(10)의 측면(24)은 원통면이다. 구멍(16)은 소켓(10)을 관통해 있다. 구멍(16)은 소켓(10)을 관통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구멍부(18)의 내면 전체는 매끄럽게 연속해 있다. 제2 구멍부(20)의 내면 전체는 매끄럽게 연속해 있다.
제1 구멍부(18)의 단면 형상[도 5의 맨 위에 기재된 평면도에서의 제1 구멍부(18)의 형상]은 중량체(12)의 결합부(32)의 단면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1 구멍부(18)의 단면 형상과 결합부(32)의 단면 형상은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이다. 이러한 실질적인 정사각형은, 정사각형의 네 코너에 라운드를 부여함으로써 얻어진다. 제2 구멍부(20)의 삽입 방향의 길이 L1은, 중량체(12)의 결합부(32)의 삽입 방향의 길이 L1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이 길이 L11보다 짧은 것인 바람직하다.
본원에서, 삽입 방향은 중량체(12)의 삽입 방향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삽입 방향은 중량체(12)의 축방향에 일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삽입 방향은 소켓(10)의 축방향에 일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소켓(10)의 재료가 폴리머이다. 폴리머는 비교적 단단하다. 중량체(12)를 착탈할 때, 폴리머는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착탈의 개요를 이하에 설명한다. 구멍(16)의 제2 구멍부(20)의 구조에 대해서도 이하에 설명한다.
도 7은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중량체(12)의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체(12)는 헤드부(28), 넥부(30) 및 결합부(32)를 갖는다. 넥부(30)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헤드부(28)의 상단부의 중앙에는 비원형 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비원형 구멍(34)은 4각형 형상을 갖는다. 헤드부(28)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절취부(36)가 형성되어 있다. 헤드부(28)의 외경 D3이 넥부의 외경 D4보다 크다.
중량체(12)는 노출부(E1)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헤드부(28)가 노출부(E1)이다. 노출부(E1)는 단독으로는, 중량체(12)의 빠짐 방지에 기여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자면, 노출부(E1)는 단독으로는, 빠짐 방지를 이룰 수 없다. 결합 위치(EP)에서는, 도 5에 도시된 개구면(f1) 및 단차면(22)이 노출부(E1)와 결합부(32)의 사이에 끼워져, 중량체(12)의 삽입 방향에서의 이동이 규제된다.
노출부(E1)는 중량체(12)의 최외측(솔면측)에 위치해 있다. 장착 상태에 있어서, 노출부(E1)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결합부(32)의 단면은 비원형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이 단면은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이다. 결합부(32)는 구멍(16)의 제1 구멍부(18)를 통과할 수 있다. 결합부(32)는 사각 기둥이다. 치수 c1은 넥부(30)의 외경 D4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치수 d1은 넥부(30)의 외경 D4보다 크게 되어 있다. 결합부(32)의 하단부면에는 리세스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리세스에 의해 형성된 공간[후술하는 공간(r1)]의 체적에 의하여, 중량체(12)의 질량이 조정될 수 있다. 치수 c1 및 치수 d1을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결합부(32)는 돌출부로서 코너부(32a)를 구비한다. 코너부(32a)는 상기 삽입 방향에 직각을 이루는 방향(이하에서는 축직각 방향이라고도 함)으로 돌출해 있다.
결합부(32)는 결합면(33)을 갖는다. 결합면(33)은 결합부(32)와 넥부(30)의 단면 형상의 차이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중량체(12)의 비중은 소켓(10)의 비중보다 크다. 내구성 및 비중의 관점에서, 중량체(12)의 재료는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금속의 예로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티탄, 티탄 합금, 스테인리스강, 텅스텐 합금 및 텅스텐 니켈 합금(W-Ni 합금)이 있다. 티탄 합금의 예로는 6-4Ti (Ti-6Al-4V)가 있다. 스테인리스강의 예로는 SUS304가 있다.
중량체의 제조 방법의 예로는 단조, 주조, 소결 및 NC 가공 등이 있다. 알루미늄 합금, 6-4Ti 및 SUS304의 경우, 주조후 NC 가공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Ni 합금의 경우, 소결 또는 주조후 NC 가공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C는 "Numerical Control"의 약자이다.
도 8은 중량체 착탈 기구(M1)의 비결합 위치(NP)와 결합 위치(EP)를 보여준다. 도 8은 중량체(12)가 소켓(10)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의 저면도이다. 도 8에서 바닥면 형성부(13)는 장착되어 있지 않다.
소켓(10)과 중량체(12) 사이의 상대적인 관계로서, 비결합 위치(NP)와 결합 위치(EP)가 정해질 수 있다. 비결합 위치(NP)에서, 중량체(12)는 소켓(10)으로부터 빼내어질 수 있다. 한편, 결합 위치(EP)에서, 중량체(12)는 소켓(10)으로부터 빼내어질 수 없다. 중량체(12)를 소켓(10)에 삽입할 때, 소켓(10)과 중량체(12) 사이의 상대적인 관계는 비결합 위치(NP)이다. 상대 각도 θ의 회전에 의해, 비결합 위치(NP)로부터 결합 위치(EP)로의 이행이 이루어진다. 상대 각도 θ의 역회전에 의해, 결합 위치(EP)로부터 비결합 위치(NP)로의 이행이 이루어진다. 중량체 착탈 기구(M1)에서는, 단지 각도 θ의 회전을 부여함으로써 중량체(12)를 착탈할 수 있다. 중량체 착탈 기구(M1)는 착탈의 용이성이 우수하다.
본원에서는, 중량체(12)가 결합 위치(EP)에 있는 상태를 장착 상태라고도 한다. 장착 상태에 있어서, 노출부(E1)[헤드부(28)]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도 2 참조). 개재부(11)의 단부면(11c)(도 2 및 도 3 참조)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그러나, 개재부(11)의 단부면(11c)은 리세스(14)의 외측에 돌출되어 있지는 않다.
본 실시형태에서, 각도 θ는 45도이다. 각도 θ는 45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도 θ의 예로는 30도와 60도가 있다.
중량체 착탈 기구(M1)에는 전용 공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이 전용 공구의 일례인 공구(6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공구(60)는 중량체(12)를 착탈하는 데 사용된다. 공구(60)는 손잡이(62), 축(64) 및 선단부(66)를 구비한다. 손잡이(62)는 손잡이 본체(68)와 파지부(70)를 구비한다. 파지부(70)는 손잡이 본체(68)로부터, 공구(60)의 회전축에 수직하게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파지부(70)는 파지부 본체(70a)와 덮개체(70b)를 구비한다.
축(64)의 후단부가 파지부 본체(70a)에 고정되어 있다. 축(64)의 선단부(66)의 단면은, 중량체(12)의 비원형 구멍(34)의 형상에 대응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선단부(66)는 4각형 단면을 갖는다. 선단부(66)의 측면으로부터 핀(72)이 돌출해 있다. 선단부(66)에는 핀(72)이 마련되어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선단부(66)에는 탄성체(코일 스프링)가 내장되어 있다. 핀(72)은 탄성체의 압박력에 의해 돌출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중량체(12)를 착탈할 때, 덮개체(70b)는 폐쇄된다. 중량체 수용부(도시 생략)가 파지부 본체(70a) 내에 마련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중량체 수용부는 복수의 중량체(12)를 수용할 수 있다. 덮개체(70b)를 개방하여, 중량체(12)를 꺼낼 수 있다.
도 10은 중량체(12)의 착탈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의 (a)는 중량체(12)가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준다. 도 10의 (b)는 중량체(12)가 삽입된 직후의 상태를 보여준다. 도 10의 (c)는 중량체(12)가 회전되고, 소켓(10)에 고정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0의 (a), (b), (c)의 각각에서, 우측 단부에는 바닥면측에서 본 소켓(10)이 도시되어 있다.
중량체(12)를 장착할 때, 공구(60)의 선단부(66)를 중량체(12)의 비원형 구멍(34)에 삽입한다. 이 삽입에 따라, 핀(72)은 뒤로 물러나면서 비원형 구멍(34)을 압박한다. 이 압박력에 의해, 중량체(12)는 선단부(66)로부터 탈락하기가 어려워진다. 도 10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60)의 축(64)에 의해 유지된 중량체(12)는 구멍(16)에 삽입된다.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체(12)의 결합부(32)는 구멍(16)의 제1 구멍부(18)를 통과하여 제2 구멍부(20)에 이른다. 도 10의 (b)는 비결합 위치(NP)를 보여준다. 비결합 위치(NP)에서는, 중량체(12)가 구멍(16)으로부터 빼내어질 수 있다.
이어서, 각도 θ(+θ)의 상대 회전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 공구(60)를 이용하여 중량체(12)를 소켓(10)에 대해 각도 θ(+θ)만큼 회전시킨다. 이 회전에 의해, 비결합 위치(NP)로부터 결합 위치(EP)로의 이행이 이루어진다. 도 10의 (c)는 결합 위치(EP)를 보여준다. 결합 위치(EP)에서는, 중량체(12)가 소켓(10)에 고정되어 있다. 결합 위치(EP)에서는, 타격에 의해 중량체(12)가 분리되는 일이 없다.
중량체(12)를 떼어낼 때에는, 각도 θ의 역회전을 행한다. 다시 말하자면, 각도 -θ의 회전을 행한다. 이 회전에 의해, 결합 위치(EP)로부터 비결합 위치(NP)로의 이행이 이루어진다. 비결합 위치(NP)에서, 중량체(12)는 쉽게 떼내어질 수 있다.
결합 위치(EP)에서, 중량체(12)는 구멍(16)으로부터 빼내어질 수 없다. 이는, 결합 위치(EP)에서는 구멍(16)의 단차면(22)과 중량체(12)의 결합면(33)의 결합에 의해, 중량체(12)를 빼내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이다. 결합 위치(EP)에서는, 공구(60)를 중량체(12)의 비원형 구멍(34)으로부터 쉽게 빼낼 수 있다.
도 5, 도 8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16)의 제2 구멍부(20)는, 비결합 위치(NP)에서의 결합부(32)에 대응하는 면(비결합 대응면)(80)과, 결합 위치(EP)에서의 결합부(32)에 대응하는 면(결합 대응면)(82), 그리고 저항면(84)을 갖는다. 비결합 위치(NP)와 결합 위치(EP) 사이의 상대 회전의 도중에, 저항면(84)은 결합부(32)[의 코너부(32a)]에 의해 압박된다. 이 압박에 의해, 결합부(32)와 제2 구멍부(20)의 사이에서 마찰력이 발생된다. 이 압박에 의해, 저항면(84)은 탄성 변형된다. 제2 구멍부(20)의 재료는 비교적 단단한 폴리머이고, 이에 의해 마찰력은 증대된다. 이렇게 증대된 마찰력은 강한 회전 저항을 일으킨다. 이 회전 저항에 의해, 비결합 위치(NP)와 결합 위치(EP)의 상호 이행에는 강한 토크가 요구된다. 따라서, 이 상호 이행에는 공구(60)가 필요하게 된다. 공구(60)를 이용하지 않고서 맨손으로 상호 이행을 달성할 수는 없다. 타격 시의 강한 충격에 의해서도, 결합 위치(EP)에 있는 중량체(12)는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중량체 착탈 기구(M1)에서는, 각도 θ의 상대 회전을 행하는 것에 의해서만, 중량체가 착탈될 수 있다.
중량체 착탈 기구(M1)의 수(N1)는 한정되지 않는다. 헤드의 무게 중심 위치의 조정 자유도의 관점에서, 상기 수(N1)는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개재부]
상기 장착 상태에서, 개재부(11)는 노출부(E1)와 헤드 본체(h1)의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개재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개재부(11)는 원통형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개재부(11)는 노출부(E1)의 전체 둘레에 걸쳐 존재한다. 따라서, 개재부(11)에 기인하는 효과가 향상된다. 개재부(11)는 노출부(E1)의 둘레의 일부에만 배치될 수 있다.
장착 상태에 있어서, 개재부(11)는 중량체(12)에 결합되어 있지 않다. 장착 상태에 있어서, 개재부(11)는 노출부(E1)에 결합되어 있지 않다. 개재부(11)가 중량체(12)와 접촉하게 된 경우라도, 개재부(11)는 중량체(12)를 결합 상태에 정지시키는 효과를 갖지 않는다. 개재부(11)는 중량체(12)의 고정을 담당하지 않는다.
타격에 의해 야기되는 충격이 중량체(12)를 진동시킨다. 이 진동의 진폭은 노출부(E1)[헤드부(28)]에서 커지기 쉽다. 이는, 노출부(E1)는 개재부(11)와 결합하고 있지 않아 비교적 움직이기 쉬운 상태에 있기 때문이다. 개재부(11)는, 이 노출부(E1)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진동하기 쉬운 부분[노출부(E1)]의 진동을 억제함으로써, 충격 흡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충격 흡수 성능은 타구 필링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타구 필링은 개재부(11)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 개재부(11)는 중량체(12)의 고정을 담당하지 않으므로, 개재부(11)는 변형하기 쉽다. 따라서, 진동 흡수 성능은 개재부(11)에 의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도 11은 변형예의 중량체(120)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중량체(120)가 장착 상태에 있을 때의, 중량체 착탈 기구(M2)의 단면도이다. 중량체 착탈 기구(M2)의 원리는, 중량체 착탈 기구(M1)의 원리와 동일하다.
중량체 착탈 기구(M2)에는 소켓(100) 및 중량체(120)가 마련되어 있다. 헤드 본체(h1)에는 리세스(140)가 마련되어 있다. 리세스(140)의 형상은 소켓(100)의 형상(외형)에 대응한다. 리세스(140)의 내경은 소켓(100)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소켓(100)의 외면은 리세스(140)의 내면에 접착되어 있다. 소켓(100)의 외주면(100a)은 리세스(140)의 내주면(140a)에 접착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100)은 개재부(110)를 갖는다. 개재부(110)는 소켓(100)의 상부를 구성한다. 개재부(110)는 소켓(100)에 있어서 가장 솔면측에 있는 부분을 구성한다. 개재부(110)는 원통형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체(120)는 헤드부(280), 넥부(300) 및 결합부(320)를 갖는다. 넥부(300)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헤드부(280)의 상단부의 중앙에는 비원형 구멍(3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비원형 구멍(34)과 마찬가지로, 비원형 구멍(340)의 단면 형상(도 1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사각형이다.
중량체(120)는 노출부(E1)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헤드부(280)가 노출부(E1)이다.
노출부(E1)는 중량체(120)의 최외측(솔면측)에 위치해 있다. 장착 상태에 있어서, 노출부(E1)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도 12 참조).
노출부(E1)[헤드부(280)]와 헤드 본체(h1) 사이의 간극 거리 X1은, 개재부의 두께 B2와 같거나, 또는 이 두께 B2보다 크다. 즉, X1≥B2로 설정된다. 개재부의 두께 B2는, 소켓(100)이 단독으로 놓여 있는 자연 상태에서 측정된다. 차(X1-B2)가 작으면, 이물이 들어가기가 어려워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차(X1-B2)는 바람직하게는 0.3 ㎜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2 ㎜ 이하이다. 한편, 차(X1-B2)가 과도하게 작으면, 중량체의 착탈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차(X1-B2)는 바람직하게는 0.05 ㎜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075 ㎜ 이상이다.
중량체(12)와 중량체(120)의 사이에는 차이점이 있다. 첫 번째 차이점은, 결합부(320)의 길이 L11이다. 결합부(320)의 길이 L11은 결합부(32)에 비해 짧다. 결합부(320)는 결합부(32)에 비해 편평하다. 그 결과, 중량체(120)의 전체 길이 Lw는 중량체(12)에 비해 짧다. 상기 중량체(120)의 전체 길이 Lw는 상기 삽입 방향을 따르는 길이이다. 두 번째 차이점은, 비원형 구멍(340)의 내면에 리세스(340a)가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리세스(340a)는, 공구(60)의 핀(72)이 돌출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공구(60)의 축(64)이 비원형 구멍(340)에 삽입되면, 핀(72)은 리세스(340a)에서 돌출한다. 이 돌출에 의해, 핀(72)은 리세스(340a)에 결합된다. 이 결합에 의해, 축(64)은 비원형 구멍(340)으로부터 인출되기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중량체(120)의 착탈 작업은 원활하게 행해질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320)에는 공간(r1)이 마련되어 있다. 공간(r1)의 체적을 조정함으로써, 중량체(120)의 외형을 변경하지 않고도, 중량체의 중량 W1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중량체(120)의 재질을 변경함으로써, 중량체(120)의 외형을 변경하지 않고도, 중량체의 중량 W1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중량 W1이 서로 다르고 외형이 동일한 복수의 중량체(120)를 준비할 수 있다. 따라서, 중량 W1이 서로 다른 중량체(120)를 동일한 소켓(100)에 장착할 수 있다.
외관성의 관점에서, 개재부(110)의 단부면(110c)은 중량체(120)의 단부면(120c)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에서, 중량체(120)는 장착 상태에 있다. 이 장착 상태에서, 개재부(110)는 중량체(120)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다(도 12에서의 상측). 이와 같이 돌출되어 있지 않는 것(비돌출)에 의해, 외관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 비돌출에 의해, 솔면에서의 접지 저항이 억제될 수 있다.
이 장착 상태에서, 전체 길이 S1이 깊이 HL 이하(S1≤HL)이다. 개재부(110)는 리세스(140)의 외측에 돌출되어 있지 않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재부(110)의 단부면(110c)은 리세스(140)의 개구 가장자리(140b)보다도 삽입 방향 내측(도 12에서의 하측)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돌출되어 있지 않는 것(비돌출)에 의해, 외관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 비돌출에 의해, 솔면에서의 접지 저항이 억제될 수 있다.
장착 상태에서, 중량체(120)는 리세스(140)의 외측에 돌출되어 있지 않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체(120)의 단부면(120c)은 리세스(140)의 개구 가장자리(140b)보다도 삽입 방향 내측(도 12에서의 하측)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돌출되어 있지 않는 것(비돌출)에 의해, 외관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 비돌출에 의해 솔면에서의 접지 저항이 억제되고, 중량체(120)가 탈락하기가 어려워진다. 이 비돌출에 의해, 이물의 부착이 억제될 수 있다.
도 12의 실시형태에서는, 깊이 HL 및 전체 길이 S1이 억제되면서, 리세스(140)와 소켓(100) 사이의 접착 면적이 확보된다. 따라서, 소켓(100)의 고정 강도가 높다. 깊이 HL이 억제되므로, 헤드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된다. 페어웨이 우드, 유틸리티 타입 헤드, 하이브리드 타입 헤드 등에서, 헤드 최대 두께 Th는 작다. 본 실시형태에서 깊이 HL 및 전체 길이 S1이 작으므로, 본 실시형태는 헤드 최대 두께 Th가 작은 헤드에도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드라이버와는 달리, 페어웨이 우드, 유틸리티 타입 헤드, 하이브리드 타입 헤드 등으로는 대개 접지해 있는 볼을 타구한다. 따라서, 모래, 흙, 풀 등의 이물이 부착하기 쉽다. 도 12의 실시형태에서는, 개재부(110)의 존재에 의해, 노출부(E1)와 리세스(140) 사이의 간극이 줄어든다. 따라서, 간극에 이물이 들어가는 것이 억제된다.
개재부(110)의 삽입 방향의 길이가 도 12에 도면부호 B1로 나타내어져 있다. 길이 B1이 과도하게 작으면, 노출부(E1)[헤드부(280)]와 헤드 본체(h1)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쉽다. 이 간극에는 진흙, 흙, 벙커의 모래, 풀 등의 이물이 들어갈 수 있다. 이 이물은 외관성을 저하시킨다. 길이 B1이 과도하게 작으면, 울림이 일어날 수 있다. 이 울림은 중량체(120)와 헤드 본체(h1) 사이의 접촉에 의해 야기된다. 또한, 길이 B1이 과도하게 작으면, 소켓(100)과 리세스(140) 사이의 접착 면적이 줄어든다. 이러한 관점에서, 길이 B1은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이다. 길이 B1이 과도하게 크면, 리세스의 깊이 HL이 커진다. 과도한 깊이 HL로 인해 헤드의 설계 자유도가 저하된다. 헤드 높이가 낮은 헤드(소위 얕은 헤드)에서는, 깊이 HL에 제약이 있다. 길이 B1이 과도하게 큰 경우, 개재부(110)는 지면에 접촉하게 되기 쉽다. 이러한 관점에서, 길이 B1은 바람직하게는 5 ㎜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4.5 ㎜ 이하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 ㎜ 이하이다.
개재부(110)의 두께가 도 12에 도면부호 B2로 나타내어져 있다. 두께 B2가 과도하게 작으면, 성형성이 저하된다. 두께 B2가 과도하게 작으면, 중량체의 삽입 시에 개재부(110)가 변형하기 쉽다. 이 변형에 의해, 중량체의 삽입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두께 B2는 바람직하게는 0.4 ㎜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6 ㎜ 이상이다. 소켓(100)의 중량이 과도하게 크면, 중량체 및 헤드의 설계 자유도가 제약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두께 B2는 바람직하게는 1 ㎜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9 ㎜ 이하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8 ㎜ 이하이다.
소켓(100)의 외경이 도 12에 도면부호 B3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소켓(100)의 외경은 개재부(110)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개재부의 외경 B3이 과도하게 작으면, 중량체의 설계 및 제조가 곤란해질 수 있다. 개재부의 외경 B3가 과도하게 작으면, 소켓(100)과 리세스(140) 사이의 접착 면적이 줄어든다. 이러한 관점에서, 외경 B3은 바람직하게는 13 ㎜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3.5 ㎜ 이상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4 ㎜ 이상이다. 리세스(140)의 내경이 과도하게 크면, 헤드의 설계 자유도가 제약 받는다. 외경 B3가 과도하게 크면, 소켓(100)의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외경 B3은 바람직하게는 17 ㎜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6.5 ㎜ 이하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6 ㎜ 이하이다.
소켓(100)의 삽입 방향의 전체 길이가 도 12에 도면부호 S1로 나타내어져 있다. 소켓(100)과 헤드 본체(h1) 사이의 접착 면적을 증대시키는 관점에서, 전체 길이 S1은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6 ㎜ 이상이다. 전체 길이 S1이 과도하게 크면, 깊이 HL이 과도하게 커진다. 이러한 경우, 헤드 본체(h1)의 무게 중심의 위치는 높아지기 쉽다. 전체 길이 S1이 과도하게 작으면, 소켓(100)의 중량이 과도하게 커져서, 헤드의 무게 중심 위치의 설계가 제약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전체 길이 S1은 바람직하게는 13 ㎜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2 ㎜ 이하이다.
크라운(7)의 일부가 도 12의 단면도에 도시되어 있다. 크라운(7)은 헤드 본체(h1)의 일부이다. 도면의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도 12에서는 크라운(7)과 솔(9) 사이의 거리가 실제보다 가깝다.
크라운(7)의 내면(7a)과 소켓(100)의 바닥면(100d) 사이의 최단 거리가 도 12에 도면부호 T1로 나타내어져 있다. 헤드의 무게 중심을 낮추는 관점에서, 최단 거리 T1은 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 길이 S1 및 전체 길이 Lw를 증대시켜 중량체의 체적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최단 거리 T1은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2 ㎜ 이하이다.
도 1에서 헤드 최대 두께가 양방향 화살표 Th에 의해 나타내어져 있다. 헤드 최대 두께 Th는 기준 상태에서 측정된다. 기준 상태는, 헤드가 수평면(h) 상에 소정의 라이각 및 페이스각으로 놓여 있는 상태이다. 이 기준 상태에서, 크라운의 외면과 수평면(h) 사이의 최대 두께가 헤드 최대 두께 Th이다. 헤드 최대 두께 Th는 수평면(h)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측정된다. 헤드 중량 및 헤드 체적을 적정화하는 관점에서, 헤드 최대 두께 Th는 3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 중량 및 헤드 체적을 적정화하는 관점에서, 헤드 최대 두께 Th는 바람직하게는 70 ㎜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5 ㎜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5 ㎜ 이하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물의 부착이 억제될 수 있다. 중량체 착탈 기구가 접지하게 될 것 같은 위치에 놓일 때 이물이 부착하기 쉬우므로, 이물의 부착을 억제하는 효과가 현저히 발휘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기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장착 상태인 중량체(120)와 수평면(h) 사이의 최단 거리 Ds(도시 생략)는,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 ㎜ 이하이다.
중량 조정의 효과를 높이는 관점에서, 중량체의 중량 W1은 바람직하게는 1 g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5 g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 g 이상이다. 중량 W1이 과도하게 큰 경우, 큰 원심력이 중량체에 작용한다. 큰 원심력은 소켓에 대한 부하를 증대시킨다. 이러한 관점에서, 중량체의 중량 W1은 바람직하게는 15 g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4 g 이하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3 g 이하이다.
[소켓의 경도 Hs]
중량체(12)를 확실히 고정하여 타격시의 울림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소켓(10)의 경도 Hs는 바람직하게는 D40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D42 이상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D45 이상이다. 중량체(12)에 의해 야기되는 마모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경도 Hs는 바람직하게는 D80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D78 이하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D76 이하이다.
경도 Hs는, "ASTM-D 2240-68"의 규정에 준거하여, 자동 고무 경도 측정 장치[Koubunshi Keiki Co., Ltd.에서 제조한 "P1"(상표명)]에 부착된 쇼어 D형 경도계를 이용해 측정된다. 측정 샘플의 형상은 한 변의 길이가 3 ㎜인 정육면체로 설정된다. 측정은 23℃의 온도하에서 행해진다. 가능하다면, 측정 샘플은 소켓(10)으로부터 잘라내어진다. 측정 샘플을 잘라내기가 곤란한 경우, 소켓(10)의 수지 조성물과 동일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측정 샘플을 사용한다.
골프 클럽(2)으로 볼을 타격하면, 골프 클럽(2)을 통해 골퍼의 손에 타격 진동이 전해진다. 이 타격 진동의 진동 에너지는, 소켓(100)에 수용된 중량체(120)의 운동 에너지로 변환된다. 소켓(100) 및 중량체(120)는, 샤프트(6)의 진동 에너지를 중량체(120)의 운동 에너지로 변환하고, 이에 의해 타격 진동이 완화될 수 있다. 또한, 중량체(120)의 노출부(E1)의 진동은 개재부(110)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에, 진동 흡수성이 효과적으로 향상된다.
[폴리머]
경도의 관점에서, 소켓의 재료는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머의 예로는 열경화성 폴리머와 열가소성 폴리머가 있다. 열경화성 폴리머의 예로는,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멜라민 수지, 우레아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알키드 수지, 열경화성 폴리우레탄, 열경화성 폴리이미드 및 열경화성 엘라스토머가 있다. 열가소성 폴리머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ABS 수지(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트, 변성 폴리페닐렌 에테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이미드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예로는,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폴리스티렌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가 있다.
내구성의 관점에서는, 우레탄계 폴리머 및 폴리아미드가 바람직하고, 우레탄계 폴리머가 더 바람직하다. 우레탄계 폴리머의 예로는, 폴리우레탄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가 있다. 우레탄계 폴리머는 열가소성일 수도 있고, 열경화성일 수도 있다. 성형성의 관점에서는, 열가소성 우레탄계 폴리머가 바람직하고,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가 더 바람직하다.
성형성의 관점에서는, 열가소성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경도 및 내구성의 관점에서는, 열가소성 폴리머 중에서, 폴리아미드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고,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가 더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의 예로는 나일론 6, 나일론 11, 나일론 12 및 나일론 66이 있다.
바람직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는, 폴리우레탄 성분을 하드 세그먼트로서 포함하고 폴리에스테르 성분 또는 폴리에테르 성분을 소프트 세그먼트로서 포함한다. 즉,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TPU)의 바람직한 예로는 폴리에스테르계 TPU와 폴리에테르계 TPU가 있다. 폴리우레탄 성분에 대한 경화제의 예로는, 지환(脂環)식 디이소시아네이트,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가 있다.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는, 4,4'-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H12MDI), 1,3-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H6XDI),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및 트랜스-1,4-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CHDI)가 있다.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는,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MDI) 및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TDI)가 있다.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HDI)가 있다.
시판되고 있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TPU)의 예로는 BASF Japan Ltd.에서 제조한 "Elastollan"(상표명)이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TPU의 구체예로는 "Elastollan C70A", "Elastollan C80A", "Elastollan C85A", "Elastollan C90A", "Elastollan C95A" 및 "Elastollan C64D"가 있다.
폴리에테르계 TPU의 구체예로는 "Elastollan 1164D", "Elastollan 1198A", "Elastollan 1180A", "Elastollan 1188A", "Elastollan 1190A", "Elastollan 1195A", "Elastollan 1174D", "Elastollan 1154D" 및 "Elastollan ET385"가 있다.
상기 각 폴리머를 매트릭스로서 포함하는 섬유 강화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치수 c1]
결합부(32)의 대향면 사이의 거리가 도 7에 양방향 화살표 c1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 치수 c1은, 결합부(32)의 단면에 존재하는 코너의 라운드를 없앰으로써 얻어지는 정사각형의 변의 길이와 동일하다.
[치수 d1]
결합부(32)의 최장 단면 치수가 도 7에 양방향 화살표 d1로 나타내어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치수 d1은 결합부(32)의 단면(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의 대각선의 길이이다. 이 치수 d1은, 결합부(32)의 최장 횡단선(Lm)(도 7 참조)의 길이이다. 도 7에 있어서, 이 최장 횡단선(Lm)의 양 끝점이 도면부호 p1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들 끝점 p1은 결합부(32)의 단면에서의 정점(頂点)이다.
[치수 F1]
서로 대향하는 저항면(84) 사이의 거리가 도 6에 파선 양방향 화살표 F1로 나타내어져 있다. 치수 F1은, 상기 상대 회전에 있어서 탄성 변형이 최대로 되는 위치에서 측정된다. 치수 F1은, 상기 상대 회전에서 필요한 토크의 최대값과 연관성이 있다.
[치수 K1]
구멍(16)의 제1 구멍부(18)의 개구 폭이 도 6에 양방향 화살표 K1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 치수 K1은, 제1 구멍부(18)의 단면에 존재하는 코너의 라운드를 없앰으로써 얻어지는 정사각형의 변의 길이와 동일하다.
[치수 G1]
결합 위치(EP)에서 상기 최장 횡단선(Lm)의 양 끝점 p1이 접촉하게 되는 위치 사이에서의 제2 구멍부(20)의 횡단 길이가, 도 6에 양방향 화살표 G1로 나타내어져 있다.
[치수 H1]
제2 구멍부(20)의 최단 횡단선(Lh)의 길이가, 도 6에 파선 양방향 화살표 H1로 나타내어져 있다. 최단 횡단선(Lh)의 양 끝점 P2는, 결합 대응면(82)과 비결합 대응면(80) 사이의 경계점이다.
[F1/d1]
중량체(12)의 착탈 시에 소켓의 내면의 긁힘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비(F1/d1)는 바람직하게는 0.935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940 이상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945 이상이다. 중량체(12)를 확실히 고정하여 타격시의 울림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비(F1/d1)는 바람직하게는 0.965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960 이하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955 이하이다.
상기 상대 회전의 도중에, 저항면(84)의 변형량이 최대로 된다. 이 최대 변형량이 클수록, 비(F1/d1)가 작아진다.
[G1/d1]
중량체(12)의 착탈 시에 소켓의 내면의 긁힘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비(G1/d1)는 바람직하게는 0.987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989 이상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991 이상이다. 중량체(12)를 확실히 고정하여 타격시의 울림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비(G1/d1)는 바람직하게는 0.996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995 이하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994 이하이다.
[K1-c1]
차(K1-c1)가 과도하게 작으면, 중량체(12)를 빼낼 때에, 중량체(12)의 걸림이 일어나기 쉽다. 따라서, 착탈의 원활성이 저해될 수 있다. 비결합 위치(NP)에서 중량체(12)를 빼내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 차(K1-c1)는 바람직하게는 0.3 ㎜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35 ㎜ 이상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4 ㎜ 이상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2 구멍부(20)의 내면의 일부는, 제1 구멍부(18)의 내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다. 이 동일 평면 상에 있는 부분이 비결합 대응면(80)이다. 구멍(16)의 설계에서 차(K1-c1)가 과도하게 크면, 치수 F1 및/또는 치수 G1이 커지기 쉽다. 이러한 경우, 중량체(12)에 대한 유지력이 저하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차(K1-c1)는 바람직하게는 0.6 ㎜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55 ㎜ 이하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5 ㎜ 이하이다.
[H1/d1]
비(H1/d1)가 과도하게 작은 경우, 치수 G1 및/또는 치수 F1도 또한 작아지기 쉽다. 이러한 경우, 제2 구멍부(20)의 내면의 긁힘이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관점에서, 비(H1/d1)는 바람직하게는 0.785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810 이상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840 이상이다.
비결합 위치(NP)로부터 결합 위치(EP)로의 이행에 있어서 토크가 지나치게 큰 경우, 중량체(12)의 과잉 회전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과잉 회전에 의해, 결합 위치(EP)로의 이행을 의도하였지만, 중량체(12)는 결합 위치(EP)를 통과하여 비결합 위치(NP)에 이르게 되어 버릴 수 있다. 치수 H1을 줄임으로써, 중량체(12)의 과잉 회전이 억제된다. 과잉 회전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비(H1/d1)는 바람직하게는 0.915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890 이하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870 이하이다.
40℃의 환경하에서, 착탈 시에 필요한 최대 토크(N·m)를 T40으로 한다. 25℃의 환경하에서, 착탈 시에 필요한 최대 토크(N·m)를 T25로 한다. 5℃의 환경하에서, 착탈 시에 필요한 최대 토크(N·m)를 T5로 한다. 온도에 관계없이 원활한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관점에서, 비(T40/T5)는 바람직하게는 0.30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35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40 이상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41 이상이다.
온도에 관계없이 원활한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관점에서, 비(T25/T5)는 바람직하게는 0.57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60 이상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61 이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T40/T5)와 마찬가지로, 비(T25/T5)는 1 이하인 것으로 고려된다.
저온에서의 원활한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관점에서, 최대 토크 T5는 바람직하게는 6.3 (N·m)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6.0 (N·m)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N·m) 이하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0 (N·m) 이하이다.
고온에서의 고정을 확실하게 하는 관점에서, 최대 토크 T40는 바람직하게는 1.0 (N·m)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5 (N·m) 이상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8 (N·m) 이상이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를 밝힌다. 그러나, 본 발명은 실시예의 기재에 기초하여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헤드 본체의 제작]
마레이징강을 이용하여 중공형 헤드 본체를 제작하였다. 페이스 부재와 보디 부재를 용접함으로써, 헤드 본체를 얻었다. 압연재에 프레스 가공을 행함으로써, 페이스 부재를 얻었다. 로스트-왁스 정밀 주조에 의해 보디 보재를 얻었다. 보디 부재의 재료로서, Carpenter Technology Corporation에서 제조한 "CUSTOM450"(상표명)을 이용하였다. 이 헤드 본체에 리세스를 형성하였다. 각 소켓에 대응하도록 리세스를 형성하였다. 리세스의 내경을 소켓의 외경 B3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하였다. 솔의 후방에 리세스를 형성하였다. 단 1개의 리세스를 형성하였다. 이 헤드는 페어웨이 우드였다. 이 헤드에서, 리얼 로프트각을 15도로 설정하였고; 헤드 체적을 150 cc로 설정하였으며; 헤드 최대 두께 Th를 35.5 ㎜로 설정하였다. 후술하는 각 테스트에 대응하게, 리세스의 치수를 조정하였다.
[소켓의 제작]
도 12에 도시된 형상을 가진 소켓을 제작하였다. 이 소켓은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졌다. 소켓의 재료로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를 사용하였다. "Elastollan 1164D", "Elastollan 1198A", "Elastollan 1174D" 및 "Elastollan 1154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로서 사용하였다. 소켓의 경도 Hs를 조정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이들 엘라스토머를 블렌딩하였다. 성형 조건에 대해서는, 냉각 시간을 50초로 설정하였고, 압력을 22%로 설정하였다.
[중량체의 제작]
텅스텐 니켈 합금(W-Ni 합금)을 중량체의 재료로서 이용하였다. W-Ni 합금을 분말 소결에 의해 성형하여, 중량체를 얻었다.
헤드 본체의 리세스와 소켓을 접착하는 데에는, Sumitomo 3M Ltd.에서 제조한 "DP460"(상표명)을 이용하였다.
[테스트 1]
테스트 1은, 후술하는 테스트 2 및 테스트 3의 결과를 포함하는 종합 평가이다. 64 종류의 소켓 샘플의 평가 결과가, 표 1에 8행×8열의 매트릭스로 나타내어져 있다. 예를 들어, 매트릭스에 있어서, 가장 왼쪽과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소켓 샘플에서는, 개재부의 두께 B2가 0.2 ㎜이고, 소켓(10)의 외경 B3가 10 ㎜이며, 이 소켓 샘플의 평가는 "1"이다.
이들 64 종류의 소켓에서는, 전체 길이 S1을 일정한 것으로 설정하였다.
64 종류의 소켓을 평가하였다. 평가에서는, 1점에서 5점까지의 5단계 평가가 이루어졌다. 점수가 높을수록, 평가가 높다. 평가에서는 이하의 점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1a) 중량체의 설계 및 제조 용이성;
(1b) 소켓과 리세스 사이의 접착 면적(소켓의 표면적);
(1c) 헤드의 설계 자유도; 및
(1d) 소켓의 성형성.
이들 64 종류의 소켓 샘플의 평가가 표 1에 나타내어져 있다.
[테스트 2]
테스트 2의 사양 및 평가 결과가 이하의 표 2에 나타내어져 있다. 소켓의 샘플 2-1에서 2-8까지를 제작하였다. 이들 샘플에서, 개재부의 두께 B2를 변경하였다. 개재부의 두께 B2를 변경하기 위해, 외경 B3도 또한 변경하였다. 샘플을 평가하였다. 평가에서는, 1점에서 5점까지의 5단계 평가가 이루어졌다. 점수가 높을수록, 평가가 높다. 평가 항목은 이하와 같다:
(2a) 소켓의 중량;
(2b) 개재부의 성형성; 및
(2c) 개재부의 내구성.
이들 3종류의 평가점의 총합이, 표 2에 "종합 점수"로서 나타내어져 있다.
평가 항목 (2a)에 대해서는, 소켓이 가벼울수록, 평가가 높다. 소켓이 가벼우면, 중량체 및 헤드에서의 중량 설정의 자유도가 높아서, 무게 중심의 위치의 설계가 용이해진다. 평가 항목 (2b)에 대해서는, 개재부가 얇을수록, 성형성이 저하되었다.
[테스트 3]
테스트 3의 사양 및 평가 결과가 이하의 표 3에 나타내어져 있다. 소켓의 샘플 3-1에서 3-8까지를 제작하였다. 이들 샘플에서, 소켓의 외경 B3을 변경하였다. 개재부의 두께 B2는 일정한 것으로 설정하였다. 샘플을 평가하였다. 평가에서는, 1점에서 5점까지의 5단계 평가가 이루어졌다. 점수가 높을수록, 평가가 높다. 평가 항목은 이하와 같다:
(3a) 소켓의 중량;
(3b) 소켓의 성형성;
(3c) 소켓과 헤드 본체 사이의 접착 면적(소켓의 외면의 면적);
(3d) 헤드 본체(h1)의 리세스이 성형성; 및
(3e) 중량체의 중량 W1의 설계 자유도.
이들 5종류의 평가점의 총합이, 표 3에 "종합 점수"로서 나타내어져 있다.
평가 항목 (3d)에 대해서는, 헤드 본체(h1)의 리세스의 내경이 과도하게 크면, 용탕 흐름이 나빠지고, 이는 주조 불량을 초래하기 쉽다. 이 주조 불량은 주로 공기 구멍(캐비티)의 발생이었다. 곡면인 솔에 원기둥형 리세스를 형성하는 것은, 리세스의 직경이 클수록 곤란하였다.
[테스트 4]
테스트 4의 사양 및 평가 결과가 이하의 표 4에 나타내어져 있다. 소켓의 샘플 4-1에서 4-8까지를 제작하였다. 이들 샘플에서, 개재부의 삽입 방향의 길이 B1을 변경하였다. 테스트 4의 헤드에서는, 개재부의 기점과 리세스의 개구 가장자리 사이의 삽입 방향의 길이 Y1(도 12 참조)을 3.35 ㎜로 설정하였다. 중량체의 단부면과 리세스의 개구 가장자리 사이의 삽입 방향의 길이 Y2(도 12 참조)를 0.5 ㎜로 설정하였다. 샘플을 평가하였다. 평가에서는, 1점에서 5점까지의 5단계 평가가 이루어졌다. 점수가 높을수록, 평가가 높다. 평가 항목은 이하와 같다:
(4a) 이물의 부착;
(4b) 울림;
(4c) 리세스 설계 자유도; 및
(4d) 소켓의 중량;
(4e) 외관; 및
(4f) 소켓과 리세스 사이의 접착 면적(소켓의 표면적).
이들 6종류의 평가점의 총합이, 표 4에 "종합 점수"로서 나타내어져 있다.
골프 클럽을 이용하여, 평가 (4a)와 평가 (4b)를 행하였다. 헤드 본체의 리세스에 샘플 소켓을 접착하여 헤드를 제작하였다. 이 소켓에 중량체를 장착하고, 헤드를 이용하여 골프 클럽을 제작하였다. 풀 위에 놓인 볼을 실제로 골프 클럽을 이용해 타격하여 골프 클럽을 평가하였다.
평가 (4d)에 대해서는, 길이 B1이 길수록 리세스를 보다 깊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리세스의 설계 자유도가 저하된다. 깊은 리세스는, 헤드 최대 두께 Th가 작은 헤드에 있어서 설계 상의 장해가 된다.
[테스트 5]
테스트 5의 사양 및 평가 결과가 이하의 표 5에 나타내어져 있다. 소켓의 샘플 5-1에서 5-6까지를 제작하였다. 이들 샘플에서, 소켓의 삽입 방향의 전체 길이 S1을 변경하였다. 샘플을 평가하였다. 평가에서는, 1점에서 5점까지의 5단계 평가가 이루어졌다. 점수가 높을수록, 평가가 높다. 평가 항목은 이하와 같다:
(5a) 헤드의 무게 중심의 높이;
(5b) 소켓의 중량;
(5c) 소켓과 헤드 본체 사이의 접착 면적(소켓의 외면의 면적);
(5d) 리세스 설계 자유도; 및
(5e) 중량체의 중량 W1의 설계 자유도.
이들 5종류의 평가점의 총합이, 표 5에 "종합 점수"로서 나타내어져 있다.
평가 (5a)에 대해서는, 전체 길이 S1이 길수록, 리세스가 깊어지며, 헤드의 무게 중심이 높아지기 쉽다. 헤드의 무게 중심을 낮추기 위해서는, 전체 길이 S1이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에서, 전체 길이 S1이 짧을수록, 항목 (5a)의 평가가 높다.
[테스트 6]
테스트 6의 사양 및 평가 결과가 이하의 표 6에 나타내어져 있다. 소켓의 샘플 6-1에서 6-8까지를 제작하였다. 이들 샘플에서, 소켓의 경도 Hs를 변경하였다. 샘플을 평가하였다. 평가에서는, 1점에서 5점까지의 5단계 평가가 이루어졌다. 점수가 높을수록, 평가가 높다. 평가 항목은 이하와 같다:
(6a) 고정 안정성; 및
(6b) 내마모성.
이들 2종류의 평가점의 총합이, 표 6에 "종합 점수"로서 나타내어져 있다.
평가 (6b)에 대해서는, 소켓의 경도 Hs가 작을수록, 비결합 위치(NP)와 결합 위치(EP)의 상호 이행에 의해 야기되는 마모가 억제된다. 따라서, 소켓의 경도 Hs가 작을수록, 항목 (6b)의 평가가 높다.
[테스트 7]
테스트 7의 사양 및 평가 결과가 이하의 표 7에 나타내어져 있다. 골프 클럽의 샘플 7-1에서 7-8까지를 제작하였다. 이들 샘플에서, 개재부의 삽입 방향의 길이 B1을 변경하였다. 샘플을 평가하였다. 평가에서는, 1점에서 5점까지의 5단계 평가가 이루어졌다. 점수가 높을수록, 평가가 높다. 평가 항목은 진동 흡수성이었다.
이 테스트 7에서는, 모든 샘플에 동일한 중량체를 장착하였다. 중량체의 헤드부와 리세스 사이의 간극 거리 X1(도 12 참조)를, 개재부의 두께 B2와 동일하게 하였다.
진동 흡수성은 골프 클럽에 의해 평가되었다. 이 평가는 관능 평가이다. 상기 헤드 본체의 리세스에 샘플 소켓을 접착하여 헤드를 제작하였다. 중량체를 소켓에 장착하였다. 이 헤드를 이용하여 골프 클럽을 제작하였다. Dunlop Sports Co., Ltd.에서 제조한 "Miyazaki Kusala"(상표명)를 샤프트로 사용하였다. 풀 위에 놓인 볼을 실제로 골프 클럽을 이용해 타격하여 골프 클럽을 평가하였다. 10 이하의 핸디캡을 갖는 10명의 골퍼가 타구를 행하여, 진동 흡수성을 평가하였다. 10명의 골퍼의 평가점의 평균점(소수점 이하의 숫자는 반올림)이 표 7에 나타내어져 있다.
[테스트 8]
테스트 8의 사양 및 평가 결과가 이하의 표 8에 나타내어져 있다. 골프 클럽의 샘플 8-1에서 8-8까지를 제작하였다. 이들 샘플에서, 개재부의 두께 B2를 변경하였다. 샘플을 평가하였다. 평가에서는, 1점에서 5점까지의 5단계 평가가 이루어졌다. 점수가 높을수록, 평가가 높다. 평가 항목은 진동 흡수성이었다.
테스트 8에서는, 중량체의 헤드부의 직경을 조정함으로써, 간극 거리 X1과 개재부의 두께 B2를 동일하게 하였다. 공간(r1)의 체적에 의해 헤드부의 중량간의 차이를 상쇄하여, 중량체의 중량 W1을 일정하게 설정하였다. 헤드부의 직경을 제외하고는, 공통의 외형을 갖는 중량체가 이용되었다. 소켓의 외경 B3을 고정하고, 두께 B2를 변경시켰다.
진동 흡수성은 골프 클럽에 의해 평가되었다. 이 평가는 관능 평가이다. 상기 헤드 본체의 리세스에 샘플 소켓을 접착하여 헤드를 제작하였다. 중량체를 소켓에 장착하였다. 이 헤드를 이용하여 골프 클럽을 제작하였다. 테스트 7과 동일한 샤프트를 이용하였다. 풀 위에 놓인 볼을 실제로 골프 클럽을 이용해 타격하여 골프 클럽을 평가하였다. 10명의 골퍼가 타구를 향하여, 진동 흡수성을 평가하였다. 10명의 골퍼의 평가점의 평균점(소수점 이하의 숫자는 반올림)이 표 8에 나타내어져 있다.
Figure 112013064516617-pat00001
Figure 112013064516617-pat00002
Figure 112013064516617-pat00003
Figure 112013064516617-pat00004
Figure 112013064516617-pat00005
Figure 112013064516617-pat00006
Figure 112013064516617-pat00007
Figure 112013064516617-pat00008
표 1 내지 표 8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점은 명백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모든 골프 클럽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우드 타입 클럽, 유틸리티 타입 클럽, 하이브리드 타입 클럽, 아이언 타입 클럽 및 퍼터 클럽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어디까지나 일례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실시될 수 있다.

Claims (13)

  1. 골프 클럽 헤드로서,
    솔을 갖는 헤드 본체;
    상기 솔에 형성되어 있고 외측으로 개구되어 있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에 부착된 소켓; 및
    상기 소켓에 착탈 가능한 중량체
    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체는 상기 소켓에 대한 각도 θ의 상대 회전에 의해 착탈될 수 있으며;
    상기 중량체는 결합부와 노출부를 갖고;
    상기 소켓은 제1 구멍부와, 제2 구멍부, 그리고 개재부를 가지며;
    상기 각도 θ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 구멍부 내에서 결합 위치(EP)와 비결합 위치(NP)를 취할 수 있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결합 위치(EP)에 놓여 있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개재부는 상기 노출부와 상기 헤드 본체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상기 개재부는 상기 중량체의 고정을 담당하지 않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재부의 삽입 방향의 길이 B1이 0.5 ㎜ 이상 5 ㎜ 이하이고;
    상기 소켓의 삽입 방향의 전체 길이 S1이 5 ㎜ 이상 13 ㎜ 이하이며;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개재부는 상기 중량체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고;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상기 개구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재부의 두께 B2가 0.4 ㎜ 이상 1 ㎜ 이하이고;
    상기 개재부의 외경 B3이 13 ㎜ 이상 17 ㎜ 이하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재료가 우레탄계 폴리머이고;
    상기 소켓의 경도 Hs는 D40 이상 D80 이하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의 중량(W1)은 1 g 이상 15 g 이하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본체는 크라운을 더 갖고;
    상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의 내면과 상기 소켓의 바닥면 사이의 최단 거리 T1이 5 ㎜ 이상 15 ㎜ 이하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7. 제1항에 있어서, 헤드 최대 두께가 35 ㎜ 이상 70 ㎜ 이하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멍부는, 상기 상대 회전의 도중에 상기 결합부에 의해 압박되는 저항면을 갖고;
    서로 대향하는 복수의 상기 저항면이 마련되며;
    상기 저항면 간의 거리를 F1로 하고, 상기 결합부의 최장 단면 치수를 d1로 하였을 때, F1/d1은 0.935 이상 0.965 이하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최장 횡단선의 양 끝점을 p1로 하고; 상기 결합 위치에서 상기 양 끝점 p1이 접촉하게 되는 위치 사이에서의 제2 구멍부의 횡단 길이를 G1로 하며; 상기 결합부의 최장 단면 치수를 d1로 하였을 때,
    G1/d1은 0.987 이상 0.996 이하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멍부의 최단 횡단선의 길이를 H1로 하고, 상기 결합부의 최장 단면 치수를 d1로 하였을 때,
    H1/d1은 0.785 이상 0.915 이하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11. 제1항에 있어서, 40℃의 환경하에서, 착탈 시에 필요한 최대 토크(N·m)를 T40으로 하고, 5℃의 환경하에서, 착탈 시에 필요한 최대 토크(N·m)를 T5로 하였을 때,
    T40/T5는 0.30 이상 1 이하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12. 제1항에 있어서, 25℃의 환경하에서, 착탈 시에 필요한 최대 토크(N·m)를 T25으로 하고, 5℃의 환경하에서, 착탈 시에 필요한 최대 토크(N·m)를 T5로 하였을 때,
    T25/T5는 0.57 이상 1 이하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13. 제1항에 있어서, 40℃의 환경하에서, 착탈 시에 필요한 최대 토크(N·m)를 T40으로 하고, 5℃의 환경하에서, 착탈 시에 필요한 최대 토크(N·m)를 T5로 하였을 때,
    T40은 1.0 (N·m) 이상이고, T5는 6.3 (N·m) 이하인 것인 골프 클럽 헤드.
KR1020130084318A 2012-07-17 2013-07-17 골프 클럽 헤드 KR1014362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58619A JP5956861B2 (ja) 2012-07-17 2012-07-17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JP-P-2012-158619 2012-07-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905A KR20140010905A (ko) 2014-01-27
KR101436258B1 true KR101436258B1 (ko) 2014-08-29

Family

ID=49947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4318A KR101436258B1 (ko) 2012-07-17 2013-07-17 골프 클럽 헤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68439B2 (ko)
JP (1) JP5956861B2 (ko)
KR (1) KR101436258B1 (ko)
CN (1) CN1035370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3439A (ja) * 2011-12-13 2013-06-24 Dunlop Sports Co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8758165B1 (en) * 2012-02-28 2014-06-24 Callaway Gold Company Customizable golf club head
JP5956861B2 (ja) * 2012-07-17 2016-07-27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109564B2 (ja) * 2012-12-28 2017-04-05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257908B2 (ja) * 2013-03-28 2018-01-10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109642B2 (ja) * 2013-05-21 2017-04-05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105394B2 (ja) * 2013-05-31 2017-03-29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358854B2 (ja) 2014-05-27 2018-07-1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US9561406B2 (en) * 2014-06-20 2017-02-07 Nike, Inc. Golf club with polymeric insert and removeable weight
US10150016B2 (en) 2014-07-22 2018-12-11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with modifiable sole and crown features adjacent to leading edge
JP2016179061A (ja) * 2015-03-24 2016-10-13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766354B2 (ja) * 2015-12-21 2020-10-1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10518145B2 (en) * 2016-10-31 2019-12-31 Acushnet Company Golf club having removable weight
US11013966B2 (en) 2016-10-31 2021-05-25 Acushnet Company Golf club having removable weight
US10786713B2 (en) 2016-10-31 2020-09-29 Acushnet Company Golf club having removable weight
WO2019075079A1 (en) * 2017-10-10 2019-04-18 Gross Dakota Taylor GOLF CLUB DEVICE
JP7034671B2 (ja) * 2017-11-07 2022-03-14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974141B2 (ja) * 2017-11-30 2021-12-01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1655312S (ko) * 2019-04-23 2020-03-23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1865U (ko) * 1989-11-11 1991-07-19
KR970020934U (ko) * 1995-11-14 1997-06-18 이두평 퍼팅용 골프채
JP3518382B2 (ja) * 1998-12-21 2004-04-12 ヤマハ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のヘッド重量体の固定構造
JP3142270U (ja) * 2007-11-20 2008-06-05 明安國際企業股▲分▼有限公司 ゴルフクラブヘッド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36680Y (zh) * 1992-10-28 1993-06-23 黄辉铭 高尔夫球金属杆头
JPH10234902A (ja) * 1997-02-24 1998-09-08 Daiwa Seiko Inc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とこれに取り付くウエイト部材の取付方法
US20030162608A1 (en) * 2002-02-22 2003-08-28 Wen-Hsiang Chen Structure of a golf club head
US7744484B1 (en) * 2002-11-08 2010-06-29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Movable weights for a golf club head
US7108609B2 (en) * 2003-07-10 2006-09-19 Nike, Inc. Golf club having a weight positioning system
CN2662951Y (zh) * 2003-11-25 2004-12-15 林景钦 改良型高尔夫球杆头
JP2005160947A (ja) * 2003-12-05 2005-06-23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20060240907A1 (en) * 2005-04-25 2006-10-26 Mondher Latiri Golf club head with adjustable center of mass
US20060276263A1 (en) * 2005-06-07 2006-12-07 O-Ta Precision Industry Co., Ltd. Golf club head
US7749101B2 (en) 2005-08-23 2010-07-06 Bridgestone Sports Co., Ltd. Wood-type golf club head
JP4617238B2 (ja) 2005-10-25 2011-01-19 Sri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4745806B2 (ja) * 2005-12-05 2011-08-10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07151829A (ja) * 2005-12-05 2007-06-21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4326540B2 (ja) * 2006-04-05 2009-09-09 Sri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TWM316090U (en) * 2006-08-09 2007-08-01 Fu Sheng Ind Co Ltd Detachable weight structure for golf club head
JP3130408U (ja) * 2006-12-08 2007-03-29 蕭本融 配重調整可能な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7744485B2 (en) * 2008-04-10 2010-06-29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putter heads and removable putter weights
US8192302B2 (en) * 2008-05-30 2012-06-05 Acushnet Company Golf club head and removable weight
US7771290B2 (en) * 2008-05-30 2010-08-10 Acushnet Company Golf club head and removable weight
JP5752411B2 (ja) * 2010-12-27 2015-07-22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JP5647889B2 (ja) * 2010-12-29 2015-01-07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JP5956861B2 (ja) * 2012-07-17 2016-07-27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8905858B2 (en) * 2012-08-06 2014-12-09 Dunlop Sports Co., Ltd. Club head with insert including securing member on outer surface
JP6109564B2 (ja) * 2012-12-28 2017-04-05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109642B2 (ja) * 2013-05-21 2017-04-05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105394B2 (ja) * 2013-05-31 2017-03-29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1865U (ko) * 1989-11-11 1991-07-19
KR970020934U (ko) * 1995-11-14 1997-06-18 이두평 퍼팅용 골프채
JP3518382B2 (ja) * 1998-12-21 2004-04-12 ヤマハ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のヘッド重量体の固定構造
JP3142270U (ja) * 2007-11-20 2008-06-05 明安國際企業股▲分▼有限公司 ゴルフクラブヘ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56861B2 (ja) 2016-07-27
US9168439B2 (en) 2015-10-27
JP2014018350A (ja) 2014-02-03
KR20140010905A (ko) 2014-01-27
US20140024475A1 (en) 2014-01-23
CN103537079B (zh) 2016-06-15
CN103537079A (zh) 201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6258B1 (ko) 골프 클럽 헤드
US8944934B2 (en) Golf club head
JP6109564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109642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10974101B2 (en) Couplings for securing golf shaft to golf club head
JP6105394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9975022B2 (en) Golf club with weight receiving polymeric insert
JP6257908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8187116B2 (en)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US9339701B2 (en) Golf club with removable weight
US7128662B2 (en) Golf club head
US7588502B2 (en) Golf club head
JP5647889B2 (ja) ゴルフクラブ
US7399236B2 (en) Golf club grip and golf club using the same
US20110159982A1 (en) Golf club
KR101833751B1 (ko) 반발력이 향상된 골프클럽 헤드
JP2008142471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