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6690A - 차량 내 환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내 환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6690A
KR20140086690A KR1020120157488A KR20120157488A KR20140086690A KR 20140086690 A KR20140086690 A KR 20140086690A KR 1020120157488 A KR1020120157488 A KR 1020120157488A KR 20120157488 A KR20120157488 A KR 20120157488A KR 20140086690 A KR20140086690 A KR 20140086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ower window
sunroof
opening
position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7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7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6690A/ko
Publication of KR20140086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6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0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of positioning data,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2Carbon mon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 내 환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환기 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외부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싱정보 수집부; 차량의 종류별 내부 구조, 체적 및 속도를 고려하여 내부 공기 순환을 위한 최적화된 선루프 및 파워윈도우의 개폐량 조절 정보를 설정하는 개폐 위치 설정부; TCU(Transmission Control Unit)로부터 차량 속도 신호를 수집하는 속도 측정부; 선루프 및 파워윈도우의 개폐상태에 따른 각 현재 위치 값을 측정하는 개폐상태 측정부; 및 상기 외부 공기 오염도가 허용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파워윈도우 및 선루프를 자동 폐쇄하고, 환기 제어 모드시 상기 차량 속도 신호, 상기 파워원도우와 선루프의 현재 위치값 및 상기 개폐량 조절 정보에 기초한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선루프 및 파워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위치를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내 환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VENTILATION CONTROL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내 환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환기장치는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하고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프레쉬 에어 모드(Fresh air mode)와 재순환 모드 등이 있다. 주행 중에 차량 내부의 공기를 환기 시키려면 프레쉬 에어 모드로 전환하여 히터덕트 내의 흡입구를 열어주어, 주행풍에 의해 또는 블로워 모터를 작동하여 외부로부터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게 된다.
그러나, 차량의 실내에서 흡연을 하거나 탑승객이 많은 경우 차량 내 불쾌한 냄새뿐 아니라 이산화 탄소 및 일산화 탄소의 농도가 급격히 높아져 기존의 공기순환기능만으로 환기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다.
이렇듯, 차량 내 환기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는 경우 실내에 축적되는 유독성 공기로 인해 두통이나 운전자의 피로도가 높아져 졸음 운전 등으로 인한 대형 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를 예방하고자 운전자가 직접 파워 윈도우나 선루프를 일일이 조작하는 경우 안전운전에 방해가 될 뿐 아니라 선행차량의 매연이나 미세 먼지로 인해 오염된 지역을 운행시 오히려 오염된 공기가 차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쾌적한 차량 실내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한편, 특허문헌 한국공개특허 제2011-0024728호에는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 감지를 이용한 차량용 자동환기장치 및 그 환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실내의 이산화탄소 감지에 따른 환기를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한국공개특허 제2011-0024728호 (2011.03.09.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외부 공기 오염 농도를 고려하여 주행속도에 따라 최적화된 내부 공기 순환을 위해 파워윈도우 및 선루프의 개폐 여부와 정도를 제어하는 차량 내 환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내 환기 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외부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싱정보 수집부; 차량의 종류별 내부 구조, 체적 및 속도를 고려하여 내부 공기 순환을 위한 최적화된 선루프 및 파워윈도우의 개폐량 조절 정보를 설정하는 개폐 위치 설정부; TCU(Transmission Control Unit)로부터 차량 속도 신호를 수집하는 속도 측정부; 선루프 및 파워윈도우의 개폐상태에 따른 각 현재 위치 값을 측정하는 개폐상태 측정부; 및 상기 외부 공기 오염도가 허용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파워윈도우 및 선루프를 자동 폐쇄하고, 환기 제어 모드시 상기 차량 속도 신호, 상기 파워원도우와 선루프의 현재 위치값 및 상기 개폐량 조절 정보에 기초한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선루프 및 파워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위치를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외부 공기 측정 결과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 및 미세먼지 중 적어도 하나가 허용 기준치를 초과하면 클러스터 경고등 및 부저와 함께 상기 파워윈도우 및 선루프를 자동 폐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 위치 설정부는, 차량의 속도 측정 구간별로 파워윈도우를 개별적인 소정 단위로 조작하며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는 총 공기량과 차량 외부로 배출되는 총 공기량을 측정한 제1 실험 결과; 상기 제1 실험과 동시에 차량으로 유입된 기체의 양 측정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파워윈도우의 각 위치 값에 따른 차량 내부의 공기 순환 정도를 분류한 제2 실험 결과; 및 상기 제1 실험과 동시에 탑승자의 머리 부분과 가슴 부분에 풍량 센서를 장착하여 유입되는 바람의 세기가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는 정도의 파워윈도우 위치 값 범위를 설정한 제3 실험 결과를 종합하여 상기 개폐 위치 값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내 환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파워윈도우를 구동하는 파워윈도우 구동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선루프를 구동하는 선루프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어윈도우 구동부 및 상기 선루프 구동부는, 상기 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각 파워 윈도우 및 선루프가 개폐되는 정도를 복수의 레벨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상태 측정부는, 상기 파워윈도우 및 선루프의 위치와 모터의 구동 방향을 측정하기 위한 홀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홀 센서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파워윈도우 및 선루프의 위치 값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네비게이션으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상에 있는 터널정보를 이용하여 터널진입시 경고메시지와 함께 상기 파워윈도우 및 선루프를 자동 폐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내 환기 제어 방법은, a) 차량 내 환기 제어 모드가 시작되면 외부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외부 공기 오염도가 허용 기준치를 초과하면 파워윈도우 및 선루프를 자동 폐쇄하는 단계; c) 상기 외부 공기 오염도가 상기 허용 기준치 미만으로 내려가면 주행중인 차량 속도 신호를 수집하고, 상기 선루프 및 파워윈도우의 개폐상태에 따른 각 현재 위치 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차량 속도 신호, 상기 파워원도우와 선루프의 현재 위치값 및 차량 속도에 따른 개폐량 조절 정보에 기초한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선루프 및 파워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위치를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a) 단계 이전에, 차량의 종류별 내부 구조, 체적 및 속도를 고려하여 내부 공기 순환을 위한 최적화된 상기 선루프 및 상기 파워윈도우의 상기 개폐량 조절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량 조절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는, 1) 차량의 속도 측정 구간별로 파워윈도우를 개별적인 소정 단위로 조작하며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는 총 공기량과 차량 외부로 배출되는 총 공기량을 측정하는 단계; 2) 상기 1) 단계와 동시에 차량으로 유입된 기체의 양 측정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파워윈도우의 각 위치 값에 따른 차량 내부의 공기 순환 정도를 분류하는 단계; 3) 상기 1) 단계와 동시에 탑승자의 머리와 가슴에 풍량 센서를 장착하여 유입되는 바람의 세기가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는 정도의 파워윈도우 위치 값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1), 2) 및 3) 단계의 실험 결과를 종합하여 상기 개폐 위치 값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내 환기 제어 방법은, a) 차량의 종류별 내부 구조, 체적 및 속도를 고려하여 내부 공기 순환을 위한 최적화된 선루프 및 파워윈도우의 개폐량 조절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b) 차량 내 환기 제어 모드가 시작되면 주행중인 차량 속도 신호를 수집하고, 선루프 및 파워윈도우의 개폐상태에 따른 각 현재 위치 값을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차량 속도 신호, 상기 파워원도우와 선루프의 현재 위치값 및 차량 속도에 따른 개폐량 조절 정보에 기초한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선루프 및 파워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위치를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단계; 및 d) 네비게이션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상 차량의 터널 진입 예정 정보를 수신하면 안내 메시지와 함께 상기 파워윈도우 및 선루프를 자동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상기 차량이 터널로부터 소정 기준거리 미만에 위치하면 상기 파워윈도우 및 선루프의 동작 위치 값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 단계 이후에, e) 상기 네비게이션으로부터 터널 통과 완료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선루프 및 파워윈도우의 위치 값을 상기 저장된 터널 진입 이전의 위치 값으로 복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외부공기의 오염도를 고려하고 차량의 종류와 주행 속도에 맞춰 최적화된 차량 내 환기를 수행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성과 주행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효율적인 차량 내 환기 시스템으로 인한 운전자의 편의성 및 주행 안전성 증대에 따른 감성 브랜딩 전략을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환기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환기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환기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환기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환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환기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기 제어 시스템(100)은 센싱정보 수집부(110), 개폐 위치 설정부(120), 속도 측정부(130), 개폐상태 측정부(140), 파워윈도우 구동부(150), 선루프 구동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센싱정보 수집부(110)는 외부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각종 센서를 통해 측정된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 및 미세먼지 등의 농도를 수집한다. 그리고, 수집된 공기의 오염도를 각각 미리 설정된 허용 기준치와 비교한 외부 공기 측정 결과를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예들 들어, 센싱정보 수집부(110)는 측정된 외부 공기에 대한 각각의 허용 기준치를 일산화탄소(CO)는 50ppm, 이산화탄소(CO2)는 1000ppm, 미세먼지는 80
Figure pat00001
g/
Figure pat00002
을 기준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허용 기준치를 초과여부에 따른 외부 공기 측정 결과를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개폐 위치 설정부(120)는 차량의 종류별 내부 구조, 체적 및 속도를 고려하여 최적화된 내부 공기 순환을 위한 선루프 및 파워 윈도우의 개폐 위치 값(이하, 개폐량 조절 정보라 명명함)을 설정하고 설정된 정보를 DB 화하여 저장한다.
개폐 위치 설정부(120)는 속도 측정 구간을 15km/h 단위로 설정하여 각 속도 구간에 따른 선루프 및 파워윈도우의 개폐 위치 값을 결정하여 개폐량 조절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량 조절 정보의 설정을 위한 파워윈도우의 개폐 위치 값을 결정하기 위한 실험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차량 종류를 4DR 타입(type) 세단으로 하여 실험을 할 경우 전좌석 파워윈도우(FR, FL, RR, RL) 주위에 풍량 센서를 장착한 후, 각 속도 측정 구간(15km/h 단위) 별로 파워윈도우를 개별적으로 5cm 단위로 조작하며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총 공기량과 차량 외부로 배출되는 총 공기량을 측정한다.
이 때, 파워윈도우의 조작 범위를 30cm라고 가정할 경우 총 경우의 수 = 74 = 2401 가지가 된다.
2) 상기 1)번 실험을 하면서 대기 중에 존재하지 않고 공기 중의 물질과 반응하지 않는 기체를 각 파워윈도우(FR, FL, RR, RL)를 통해 차량 내부로 유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유입시킨 기체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차량 내부에 배치한다. 예컨대, 상기 센서를 각 파워윈도우 입구, 차량 내부 중앙 부분, 각 탑승자의 머리, 가슴, 무릎, 발 부분에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유입된 기체의 양 측정 결과 데이터를 분석해서 파워윈도우의 각 위치 값에 따른 차량 내부의 공기 순환 정도를 분류한다. 이 때, 모든 센서들에서 고르게 기체가 검출된 위치 값을 최적 공기 순환 위치 값으로 정할 수 있다.
3) 각 탑승자의 머리 부분과 가슴 부분에 풍량 센서를 장착하여 유입되는 바람의 세기가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는 정도의 파워윈도우 위치 값 범위를 설정한다.
4) 위의 1), 2), 3) 실험들의 결과를 종합하여 최적의 파워윈도우 개폐 위치 값을 도출한다.
즉, 개폐 위치 설정부(120)는 차량의 종류별 상기한 실험을 통해 도출된 개폐량 조절 정보를 DB 화함으로써 차량 내 자동 환기제어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속도 측정부(130)는 TCU(Transmission Control Unit)로부터 차량 속도 신호를 수집한다.
개폐상태 측정부(140)는 선루프 및 파워윈도우(FR, FL, RR, RL)의 개폐상태에 따른 각 현재 위치 값을 측정한다.
개폐상태 측정부(140)는 후술되는 파워윈도우 구동부(150) 및 선루프 구동부(160)의 구동에 따른 위치 값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각 위치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개폐상태 측정부(140)는 파워윈도우 및 선루프의 위치와 모터의 구동 방향을 알기 위해 홀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홀 센서의 정보를 바탕으로 파워윈도우 및 선루프의 위치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워윈도우의 폐쇄 위치(최상단 위치) 및 선루프의 폐쇄 위치(최전방 위치)를 감지하여 각각 0레벨로 설정한다.
그리고, 윈도우 하강이나 선루프의 후방 슬라이딩시 입력되는 홀센서의 정보를 바탕으로 파워윈도우 및 선루프의 위치 값(레벨)이 증가하고, 반대로 윈도우 상승 및 선루프의 전방 슬라이딩 시 위치 값(레벨)이 감소하는 것을 측정한다.
개폐상태 측정부(140)는 측정된 파워윈도우 및 선루프의 위치 값을 제어부로 피드백하여 실시간 환기량 제어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파워윈도우 구동부(150)는 각 파워윈도우(FR, FL, RR, RL)별로 설치되어 제어부(170)에서 인가되는 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파워윈도우를 구동한다.
또한, 선루프 구동부(160)는 제어부(170)에서 인가되는 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선루프를 구동한다.
여기서, 파워윈도우 구동부(150) 및 선루프 구동부(160)는 상기 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각 파워 윈도우 및 선루프가 개폐되는 정도(위치 값)를 복수의 레벨로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환기 제어를 위한 상기 각부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이를 위해 설정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때, 제어부(170)는 차량 내 환기 제어를 위한 제어기(ECU)이이거나 차량에 다양하게 적용된 제어기(ECU)를 통합 제어하는 통합 제어기(BCM)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차량 내 환기 제어함에 있어서, 센싱정보 수집부(110)에서 수신된 외부 공기 측정 결과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 및 미세먼지 중 적어도 하나가 허용 기준치를 초과하면 클러스터 경고등 및 부저와함께 파워윈도우 및 선루프를 자동 폐쇄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차량 내 자동 환기 모드가 동작한 상태에서 특정되는 차량 속도, 피드백된 파워원도우와 선루프의 실시간 위치 값 및 상기 DB 화된 개폐량 조절 정보에 기초한 연산을 수행하여 차량 종류별 내부구조, 체적 및 속도를 고려한 최적의 내부 공기 순환을 위한 위치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선루프 및 파워윈도우의 동작 위치를 실시간으로 제어한다.
한편, 아래의 도 2를 통하여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기 제어 시스템(100)의 구성을 바탕으로 하는 차량 내 환기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환기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기 제어 시스템(100)은 시스템 작동 버튼입력으로 차량 내 환기 제어 모드가 시작되면 외부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여(S101), 측정 결과에 따른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 및 미세먼지 중 적어도 하나가 허용 기준치를 초과하면(S103; 예), 경고 메시지와 함께 파워윈도우 및 선루프를 자동 폐쇄한다(S102).
반면, 환기 제어 시스템(100)은 공기 오염도가 허용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으면(S103; 아니오), 현재 주행중인 차량 속도 신호를 수집한다(S104). 그리고, 선루프 및 파워 윈도우의 상태에 따른 현재 위치값을 피드백 받는다(S105).
환기 제어 시스템(100)은 상기 차량 속도 신호, 상기 피드백 받은 선루프 및파워 윈도우의 위치 값 및 상기 DB화된 개폐량 조절 정보에 기초한 연산을 수행하여 파워윈도우 및 선루프에 대한 위치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106).
이 때, 상기 위치 제어 신호는 상기 선루프 및 파워 윈도우의 현재 위치값에서 상기 개폐량 조절정보에 따른 개폐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정보일 수 있다.
즉, 환기 제어 시스템(100)은 각 위치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파어윈도우 및 선루프를 개폐량 조절 정보에 맞게 구동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공기의 오염도를 고려하고 차량의 종류와 주행 속도에 맞춰 최적화된 차량 내 환기를 수행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성과 주행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환기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도 1과 유사하며 제어부(170)가 네비게이션(180)으로부터 차량의 주행 경로상에 있는 터널정보를 이용하여 경고메시지와 함께 파워윈도우 및 선루프를 자동 폐쇄할 수 있는 점만 다르다.
이러한 추가된 내용에 대한 환기 제어 방법은 다음의 도 4를 통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환기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환기 제어 방법은 상기 도 2에서 환기 제어 시스템(100)이 차량 내 환기 제어를 위해 파워윈도우 및 선루프를 구동하는 상기 S107 단계 이후를 가정하여 계속 설명한다.
환기 제어 시스템(100)은 시스템 작동 중 네비게이션(180)으로부터 주행 경로상 차량의 터널 진입 예정 정보를 획득하고(S201), 차량이 터널로부터 소정 기준거리 미만에 위치하면(S202; 예), 현재 차량 내 환기 제어중인 파워윈도우 및 선루프의 위치값을 저장한다(S203).
그리고, 환기 제어 시스템(100)은 차량의 터널진입에 따른 안내 메시지와 함께 파워윈도우 및 선루프를 자동 폐쇄한다(S204).
이후, 환기 제어 시스템(100)은 네비게이션(180)으로부터 터널 통과 완료정보를 수신하면(S205; 예), 선루프 및 파워윈도우의 위치값을 저장된 터널진입 이전 위치값으로 복원한다.
그리고, 환기 제어 시스템 모드의 작동 종료 버튼 또는 시동 오프로 종료된다.
이로써, 차량의 터널 진입에 따른 오염된 공기의 실내 유입을 미리 차단할 수 있으며, 터널 진입/진출시 운전자의 파워윈도우 및 선루프 작동으로 인한 안전운전의 방해요소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환기 제어 시스템 110: 센싱정보 수집부
120: 개폐 위치 설정부 130: 속도 측정부
140: 개폐 상태 측정부 150: 파워윈도우 구동부
160: 선루프 구동부 170: 제어부
180: 네비게이션

Claims (13)

  1. 차량의 외부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센싱정보 수집부;
    차량의 종류별 내부 구조, 체적 및 속도를 고려하여 내부 공기 순환을 위한 최적화된 선루프 및 파워윈도우의 개폐량 조절 정보를 설정하는 개폐 위치 설정부;
    TCU(Transmission Control Unit)로부터 차량 속도 신호를 수집하는 속도 측정부;
    선루프 및 파워윈도우의 개폐상태에 따른 각 현재 위치 값을 측정하는 개폐상태 측정부; 및
    상기 외부 공기 오염도가 허용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파워윈도우 및 선루프를 자동 폐쇄하고, 환기 제어 모드시 상기 차량 속도 신호, 상기 파워원도우와 선루프의 현재 위치값 및 상기 개폐량 조절 정보에 기초한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선루프 및 파워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위치를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 내 환기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 공기 측정 결과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 및 미세먼지 중 적어도 하나가 허용 기준치를 초과하면 클러스터 경고등 및 부저와 함께 상기 파워윈도우 및 선루프를 자동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차량 내 환기 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위치 설정부는,
    차량의 속도 측정 구간별로 파워윈도우를 개별적인 소정 단위로 조작하며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는 총 공기량과 차량 외부로 배출되는 총 공기량을 측정한 제1 실험 결과;
    상기 제1 실험과 동시에 차량으로 유입된 기체의 양 측정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파워윈도우의 각 위치 값에 따른 차량 내부의 공기 순환 정도를 분류한 제2 실험 결과; 및
    상기 제1 실험과 동시에 탑승자의 머리 부분과 가슴 부분에 풍량 센서를 장착하여 유입되는 바람의 세기가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는 정도의 파워윈도우 위치 값 범위를 설정한 제3 실험 결과를 종합하여 상기 개폐 위치 값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환기 제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파워윈도우를 구동하는 파워윈도우 구동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선루프를 구동하는 선루프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내 환기 제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어윈도우 구동부 및 상기 선루프 구동부는,
    상기 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각 파워 윈도우 및 선루프가 개폐되는 정도를 복수의 레벨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환기 제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상태 측정부는,
    상기 파워윈도우 및 선루프의 위치와 모터의 구동 방향을 측정하기 위한 홀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홀 센서의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파워윈도우 및 선루프의 위치 값을 측정하는 차량 내 환기 제어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네비게이션으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상에 있는 터널정보를 이용하여 터널진입 시 경고메시지와 함께 상기 파워윈도우 및 선루프를 자동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환기 제어 시스템.
  8. a) 차량 내 환기 제어 모드가 시작되면 외부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외부 공기 오염도가 허용 기준치를 초과하면 파워윈도우 및 선루프를 자동 폐쇄하는 단계;
    c) 상기 외부 공기 오염도가 상기 허용 기준치 미만으로 내려가면 주행중인 차량 속도 신호를 수집하고, 상기 선루프 및 파워윈도우의 개폐상태에 따른 각 현재 위치 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차량 속도 신호, 상기 파워원도우와 선루프의 현재 위치값 및 차량 속도에 따른 개폐량 조절 정보에 기초한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선루프 및 파워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위치를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내 환기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차량의 종류별 내부 구조, 체적 및 속도를 고려하여 내부 공기 순환을 위한 최적화된 상기 선루프 및 상기 파워윈도우의 상기 개폐량 조절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내 환기 제어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량 조절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는,
    1) 차량의 속도 측정 구간별로 파워윈도우를 개별적인 소정 단위로 조작하며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는 총 공기량과 차량 외부로 배출되는 총 공기량을 측정하는 단계;
    2) 상기 1) 단계와 동시에 차량으로 유입된 기체의 양 측정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파워윈도우의 각 위치 값에 따른 차량 내부의 공기 순환 정도를 분류하는 단계;
    3) 상기 1) 단계와 동시에 탑승자의 머리와 가슴에 풍량 센서를 장착하여 유입되는 바람의 세기가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는 정도의 파워윈도우 위치 값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1), 2) 및 3) 단계의 실험 결과를 종합하여 상기 개폐 위치 값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내 환기 제어 방법.
  11. a) 차량의 종류별 내부 구조, 체적 및 속도를 고려하여 내부 공기 순환을 위한 최적화된 선루프 및 파워윈도우의 개폐량 조절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b) 차량 내 환기 제어 모드가 시작되면 주행중인 차량 속도 신호를 수집하고, 선루프 및 파워윈도우의 개폐상태에 따른 각 현재 위치 값을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차량 속도 신호, 상기 파워원도우와 선루프의 현재 위치값 및 차량 속도에 따른 개폐량 조절 정보에 기초한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선루프 및 파워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위치를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단계;
    d) 네비게이션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상 차량의 터널 진입 예정 정보를 수신하면 안내 메시지와 함께 상기 파워윈도우 및 선루프를 자동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내 환기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차량이 터널로부터 소정 기준거리 미만에 위치하면 상기 파워윈도우 및 선루프의 동작 위치 값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환기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e) 상기 네비게이션으로부터 터널 통과 완료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선루프 및 파워윈도우의 위치 값을 상기 저장된 터널 진입 이전의 위치 값으로 복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내 환기 제어 방법.
KR1020120157488A 2012-12-28 2012-12-28 차량 내 환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866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488A KR20140086690A (ko) 2012-12-28 2012-12-28 차량 내 환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488A KR20140086690A (ko) 2012-12-28 2012-12-28 차량 내 환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690A true KR20140086690A (ko) 2014-07-08

Family

ID=51735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7488A KR20140086690A (ko) 2012-12-28 2012-12-28 차량 내 환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669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2962A (zh) * 2018-07-16 2020-01-24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空气净化方法、装置及车辆
DE102019210822A1 (de) * 2019-07-22 2021-01-28 Audi Ag Verfahren zum Kontrollieren einer Lüftungseinrichtung für einen Innenraum eines Fahrzeugs
CN112776562A (zh) * 2021-01-29 2021-05-11 北京梧桐车联科技有限责任公司 车内空气的净化方法、装置及系统
FR3119797A1 (fr) 2021-02-15 2022-08-19 Psa Automobiles Sa Procédé de gestion de la ventilation de l’habitacle d’un véhicule automobil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2962A (zh) * 2018-07-16 2020-01-24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空气净化方法、装置及车辆
DE102019210822A1 (de) * 2019-07-22 2021-01-28 Audi Ag Verfahren zum Kontrollieren einer Lüftungseinrichtung für einen Innenraum eines Fahrzeugs
DE102019210822B4 (de) * 2019-07-22 2021-06-24 Audi Ag Verfahren zum Kontrollieren einer Lüftungseinrichtung für einen Innenraum eines Fahrzeugs
CN112776562A (zh) * 2021-01-29 2021-05-11 北京梧桐车联科技有限责任公司 车内空气的净化方法、装置及系统
FR3119797A1 (fr) 2021-02-15 2022-08-19 Psa Automobiles Sa Procédé de gestion de la ventilation de l’habitacle d’un véhicule automobi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39198A (zh) 用于交通工具厢室的自适应内部空气质量控制装置和方法
KR20170048789A (ko) 차량용 미세먼지 자동 제거 장치
US20160103111A1 (en) Occupant safety system with c02 detection
CN108025623A (zh) 汽车的主动式空气净化器
CN110722962B (zh) 一种车辆空气净化方法、装置及车辆
JP2007147592A (ja) 化学蒸気センサー測定に影響を及ぼす環境変動を補償するためのトレーサー
CN109808446A (zh) 一种车内空气质量监测及自动通风控制系统
US20160176261A1 (en) Autonomous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clean air optimization and pollution detector
KR20140086690A (ko) 차량 내 환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76420B1 (ko) 차량 내부 스마트 살균램프 시스템
JPH0788137B2 (ja) 特に自動車における内部室の通風制御装置
JP2009119928A (ja) 車両用換気装置
CN106114135A (zh) 汽车内外循环控制方法和系统
WO2017149280A1 (en) Internal air quality in vehicles
US20190275856A1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quality of the air in a passenger compartment of a vehicle
KR20180062884A (ko) 차량 실내의 산소 측정/공급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9132347A (ja) 飲酒運転防止装置
KR10143001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15021B1 (ko) 자동차 실내 환경의 복합 가스 제어를 위한 복합 가스측정 장치
JP2003072353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40121604A (ko) 자동차의 지능형 공조 시스템 및 방법
JP2007284038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43794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20066394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10968B1 (ko) 차량 내 이산화탄소 제어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