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942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942B1
KR101437942B1 KR1020120064255A KR20120064255A KR101437942B1 KR 101437942 B1 KR101437942 B1 KR 101437942B1 KR 1020120064255 A KR1020120064255 A KR 1020120064255A KR 20120064255 A KR20120064255 A KR 20120064255A KR 101437942 B1 KR101437942 B1 KR 101437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ode
vehicle
control unit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4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1114A (ko
Inventor
박지용
이동석
김기홍
김재호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4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942B1/ko
Publication of KR20130141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1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92Add-on devices, e.g. heat/cooling boxes, compartment dividers, upgrade 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28Ventilators, e.g. spee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58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청정기와 전석 공조장치를 유기적으로 연동제어함으로써 차실내의 공기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고, 공기청정기가 강제적 오프된 상태라도 차실내의 공기질 저하현상을 방지하여 차실내의 공기를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실내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와, 차실내 공기에 포함된 유해가스 농도에 따라 공기청정기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차실내의 앞부분에 설치되는 전석 공조장치를 포함하며, 전석 공조장치는, 내,외기도입구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인테이크 도어와, 내,외기를 흡입하여 차실내로 송풍하는 블로어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차실내의 공기에 포함된 유해가스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농도 이상일 시에, 정화모드로 진입하면서 공기청정기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전석 공조장치의 인테이크 도어를 제어하여 차실내에 대한 외기도입율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제어부는, 공기청정기가 강제적으로 오프(OFF)되었을 시에, 보상정화모드로 진입하면서 외기도입구에 대한 인테이크 도어의 개도량을 정화모드일 때보다 더 증가시켜, 차실내에 대한 외기도입율을 정화모드일 때보다 더 증가시킨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청정기와 전석 공조장치를 유기적으로 연동제어함으로써, 차실내의 공기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고, 공기청정기가 강제적 오프된 상태라도 차실내의 공기질 저하현상을 방지하여 차실내의 공기를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실내의 쾌적성을 높이기 위한 편의장치를 다양하게 갖추고 있다. 그 일례로서, 차실내의 공기질을 높이기 위한 공기정화장치가 있다.
공기정화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실내의 후석부분에 설치되는 공기청정기(10)와, 공기청정기(10)를 제어하는 콘트롤러(20)를 포함한다.
공기청정기(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실내와 연통되는 공기흡입구(12)와, 공기흡입구(12)를 통해 차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블로어(14)와, 흡입된 공기를 여과하는 에어필터(16) 및, 여과된 공기를 차실내로 배출하는 공기배출구(18)를 구비한다.
콘트롤러(20)는, 차실내의 공기에 포함된 유해가스, 예를 들면,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 총휘발성 유기화합물(TVOC), 질소산화물(NOX) 등을 감지하는 각종 가스센서(22)들과, 이들 가스센서(22)들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공기청정기(10)를 제어하는 제어부(24)를 포함한다.
특히, 제어부(24)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가스센서(22)들로부터 입력된 각종 유해가스의 농도가 "기준농도" 이상이면, 차실내의 공기가 오염되었다고 판단하여 "정화모드"로 전환된다. 그리고 "정화모드"로 전환된 제어부(24)는 공기청정기(10)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차실내의 공기정화작용이 시작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의 공기정화장치는, 차실내의 공기가 오염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공기청정기(10)를 작동시켜 차실내의 공기를 정화하는 구조이므로, 차실내의 공기질을 높여준다. 이로써, 차실내의 쾌적성을 향상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조장치는, 차실내의 탑승자가 공기청정기(10)를 강제적으로 오프(OFF)시켰을 경우, 공기청정기(10)의 작동이 멈추면서 차실내의 공기정화작용이 급격하게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차실내의 유해가스 농도가 점차 높아지면서 차실내의 공기질이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차실내의 운전환경이 매우 취약해진다는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공기청정기가 오프(OFF)되었을 시에, 차실내에 대한 외기도입율을 제어하여 차실내의 공기정화효율을 보상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청정기가 오프되었을 시에, 차실내에 대한 외기도입율을 제어하여 차실내의 공기정화효율을 보상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공기청정기의 온,오프 여부에 관계없이 차실내의 공기질을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실내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와, 차실내 공기에 포함된 유해가스 농도에 따라 상기 공기청정기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차실내의 앞부분에 설치되는 전석 공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석 공조장치는, 내,외기도입구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인테이크 도어와, 내,외기를 흡입하여 차실내로 송풍하는 블로어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실내의 공기에 포함된 유해가스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농도 이상일 시에, 정화모드로 진입하면서 상기 공기청정기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전석 공조장치의 인테이크 도어를 제어하여 차실내에 대한 외기도입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화모드 시에, 차실내에 대한 상기 외기도입율이 차실내의 유해가스 농도에 비례하도록, 상기 인테이크 도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정화모드 시에, 상기 전석 공조장치의 블로어를 제어하여 차실내에 대한 풍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화모드 시에, 차실내에 대한 상기 풍량이 차실내의 유해가스 농도에 비례하도록, 상기 블로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청정기의 강제적인 오프(OFF)를 감지하는 공기청정기 강제오프 감지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청정기 강제오프 감지수단으로부터 강제오프신호가 입력될 시에, 보상정화모드로 진입하면서 상기 외기도입구에 대한 상기 인테이크 도어의 개도량을 상기 정화모드일 때보다 더 증가시켜, 차실내에 대한 상기 외기도입율을 상기 정화모드일 때보다 더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상정화모드 시에, 상기 블로어의 회전속도를 상기 정화모드일 때보다 더 증가시켜, 차실내에 대한 상기 풍량을 상기 정화모드일 때보다 더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차실내의 공기가 오염될 시에, 공기청정기와 전석 공조장치를 동시에 유기적으로 연동 제어하면서 차실내의 공기를 정화하는 구조이므로, 차실내의 공기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가 강제로 오프될 시에는, 전석 공조장치를 보상 제어하여 차실내로 도입되는 외기도입율과 풍량을 증가시키는 구조이므로, 공기청정기가 강제 오프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차실내의 공기정화효율이 저하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가 강제 오프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차실내의 공기정화효율이 저하되지 않으므로, 공기청정기의 온,오프 여부에 관계없이 차실내의 공기질은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공기정화장치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가 정화모드와 보상정화모드로 제어될 시, 외기도입율과 풍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차량의 공기정화장치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공기정화장치는, 공기청정기(10)와, 공기청정기(10)를 제어하는 콘트롤러(20)를 포함한다.
공기청정기(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흡입구(12)와, 공기흡입구(12)를 통해 차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블로어(14)와, 흡입된 공기를 여과하는 에어필터(16) 및, 여과된 공기를 차실내로 배출하는 공기배출구(18)를 구비한다.
콘트롤러(20)는, 차실내의 공기에 포함된 유해가스들을 감지하는 각종 가스센서(22)들과, 이들 가스센서(22)들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공기청정기(10)를 제어하는 제어부(24)를 포함한다.
특히, 제어부(24)는, 가스센서(22)들로부터 입력된 각종 유해가스가 "기준농도" 이상이면, 차실내의 공기가 오염되었다고 판단하여 "정화모드(24a)"로 전환된다. 그리고 "정화모드(24a)"로 전환된 제어부(24)는 공기청정기(10)를 온(ON)시킨다. 따라서, 차실내의 공기정화작용이 시작되게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공기정화장치의 콘트롤러(20)를 구비하되, 상기 콘트롤러(20)는, 가스센서(22)들로부터 입력된 각종 유해가스가 "기준농도" 이상일 경우, 즉, "정화모드(24a)"로 전환될 시에, 차실내의 전석부분에 설치된 전석 공조장치(30)도 유기적으로 연동 제어한다.
특히, 전석 공조장치(30)의 인테이크 도어(32)를 외기모드(X)측으로 이동시켜 외기도입구(32a)의 개도량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차실내로의 외기도입율을 증가시킨다. 이로써, 차실내로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도입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공기청정기(10)와 함께 차실내의 공기를 빠르고 신속하게 정화시킨다. 이에 따라, 차실내의 공기질을 빠르고 신속하게 개선시킨다.
여기서, 콘트롤러(20)는, "정화모드(24a)" 시에, 전석 공조장치(30)의 인테이크 도어(32)를 제어하여 외기도입율을 증가시키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기도입율이 유해가스의 농도에 비례(A)하도록 구성된다.
즉, 차실내의 유해가스 농도가 증가할 수록, 외기도입구(32a)에 대한 인테이크 도어(32)의 개도량을 점차 증가시킨다. 따라서, 차실내의 유해가스 농도가 증가할 수록, 외기도입율을 차등적으로 증가시킨다. 이로써, 차실내의 유해가스 농도가 증가할 수록, 이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면서 차실내의 공기질을 향상시킨다.
이를 위해, 콘트롤러(20)에는, "유해가스 농도"별 "외기도입율"이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유해가스 농도"별 "외기도입율"을 근거로하여 인테이크 도어(32)의 개도량을 차실내의 "유해가스 농도"에 따라 차등 제어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콘트롤러(20)는, "정화모드(24a)" 시에, 전석 공조장치(30)의 블로어(34)를 제어하기도 한다.
특히, 블로어(34)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차실내로 도입되는 외기의 풍량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다량의 신선한 외기가 차실내로 도입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차실내의 공기질이 신속하게 개선되게 한다.
여기서, 콘트롤러(20)는, "정화모드(24a)" 시에, 전석 공조장치(30)의 블로어(34)를 제어하여 풍량을 증가시키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풍량이 유해가스의 농도에 비례(B)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차실내의 유해가스 농도가 증가할 수록, 풍량이 점차 증가되게 한다. 이로써, 차실내의 유해가스 농도가 증가할 수록, 이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콘트롤러(20)에는, "유해가스 농도"별 "풍량"이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유해가스 농도"별 "풍량"을 근거로하여 블로어(34)의 회전속도를 차실내의 "유해가스 농도"에 따라 차등 제어한다.
다시,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공기청정기(10)의 강제적인 오프(OFF)를 감지하는 공기청정기 강제오프 감지수단(40)을 더 포함한다.
공기청정기 강제오프 감지수단(40)은, 공기청정기(10)의 주전원을 인가 및 차단하기 위한 주전원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된다.
주전원 스위치는, 사용자가 공기청정기(10)의 주전원을 차단하여 강제적으로 오프(OFF)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가 공기청정기(10)를 강제적으로 오프시키는 것을 감지하고, 감지된 "강제오프신호(S)"를 콘트롤러(20)의 제어부(24)에 입력시킨다.
한편, 콘트롤러(20)의 제어부(24)는, 공기청정기 강제오프 감지수단(40)으로부터 "강제오프신호(S)"가 입력되더라도, 가스센서(22)들로부터 입력된 각종 유해가스 농도를 계속해서 비교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24)는, 가스센서(22)들로부터 입력된 각종 유해가스 농도가 "기준농도" 이상일 경우, 현재 차실내의 공기가 오염되어 있지만 공기청정기(10)가 강제오프되어 차실내의 공기정화작용이 정지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이러한 판단에 따라 공기청정기(10)의 오프 상태를 보상하기 위해서 "보상정화모드(24b)"로 전환된다. 그리고 "보상정화모드(24b)"로 전환된 제어부(24)는, 전석 공조장치(30)의 인테이크 도어(32)를 외기모드(X)측으로 더 이동시켜 외기도입구(32a)의 개도량을 더 증가시킨다.
특히, "정화모드(24a)"일 때보다 외기모드(X)측으로 더 이동시켜 외기도입구(32a)의 개도량을 더욱 더 증가시킨다. 따라서, 차실내로 도입되는 외기도입율을 "정화모드(24a)"일 때보다 더욱 증가시킨다.
이로써, 더욱 더 많은 외기가 차실내로 도입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공기청정기(10)의 오프 상태에 따른 공기정화작용의 정지현상을 보상해줄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10)가 강제오프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차실내의 공기질은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24)는, "보상정화모드(24b)" 시에 대응한 "유해가스 농도"별 "외기도입율"이 미리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보상정화모드(24b)" 시의 "유해가스 농도"별 "외기도입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모드(24a)" 시의 "유해가스 농도"별 "외기도입율"보다 높게 설정된다.
따라서, 제어부(24)는, "보상정화모드(24b)" 시에, "정화모드(24a)"일 때보다 더 많은 량의 외기를 차실내로 도입할 수 있다. 그 결과, 공기청정기(10)의 강제오프 상태에도 불구하고, 그에 따른 공기정화작용의 정지현상을 충분히 보상해줄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콘트롤러(20)의 제어부(24)는, "보상정화모드(24b)"로 진입할 시에, 전석 공조장치(30)의 블로어(34)를 보상 제어하기도 한다.
특히, 블로어(34)의 회전속도를 "정화모드(24a)"일 때보다 더 증가시켜 차실내로 도입되는 외기의 풍량을 더욱 더 증가시킨다. 따라서, 차실내로 도입되는 풍량을 "정화모드(24a)"일 때보다 더욱 더 증가시킨다.
이로써, 더욱 더 많은 풍량의 외기가 차실내로 도입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공기청정기(10)의 강제오프 상태에 따른 공기정화작용의 정지현상을 보상해줄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10)가 강제오프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차실내의 공기질은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24)는, "보상정화모드(24b)" 시에 대응한 "유해가스 농도"별 "풍량"이 미리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보상정화모드(24b)" 시의 "유해가스 농도"별 "풍량"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모드(24a)" 시의 "유해가스 농도"별 "풍량"보다 높게 설정된다.
따라서, 제어부(24)는, "보상정화모드(24b)" 시에, "정화모드(24a)"일 때보다 더 많은 풍량의 외기를 차실내로 도입시킬 수 있다. 이로써, 공기청정기(10)의 강제오프 상태를 충분히 보상해줄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예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과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24)는, 공기청정기(10)의 주전원이 인가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01). 이때의 판단은 공기청정기(10)의 주전원 스위치 신호에 의거한다.
판단 결과, 주전원이 인가되었으면, 차실내의 공기에 포함된 유해가스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농도" 이상인지를 다시 판단한다(S103). 이때의 판단은 가스센서(22)들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의거한다.
판단 결과, "기준농도"이상이면, 제어부(24)는, 차실내의 공기가 오염된 것으로 판단하여 "정화모드(24a)"로 전환되고(S105), "정화모드(24a)"로 전환된 제어부(24)는 공기청정기(10)를 온(ON)시키고, 전석 공조장치(30)의 인테이크 도어(32)와 블로어(34)를 제어한다(S107).
따라서, 차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키고, 외기도입율과 풍량을 증가시킨다(S109). 이로써, 차실내의 공기질이 향상되면서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24)는, "정화모드(24a)"로 전환된 상태에서, 공기청정기(10)가 강제적으로 오프(OFF)되었는지를 다시 판단한다(S111). 이때의 판단은 공기청정기(10)의 주전원 스위치 신호에 의거한다.
판단 결과, 공기청정기(10)가 강제 오프되었으면, 제어부(24)는, 차실내의 공기가 오염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공기청정기(10)가 강제오프되어 차실내의 공기정화작용이 정지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러한 판단에 따라 "보상정화모드(24b)"로 전환된다(S113).
그리고 "보상정화모드(24b)"로 전환된 제어부(24)는, 전석 공조장치(30)의 인테이크 도어(32)와 블로어(34)를 추가적으로 더 보상 제어한다(S115). 특히, 인테이크 도어(32)를 외기모드(X)측으로 더 이동시키고, 블로어(34)의 회전속도를 더 높인다.
따라서, 차실내로 도입되는 외기도입율과 풍량을 "정화모드(24a)"일 때보다 추가적으로 더 증가시킨다(S117). 이로써, 더욱 더 많은 량의 외기가 차실내로 도입된다. 그 결과, 공기청정기(10)의 오프 상태를 보상해준다.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10)가 강제오프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차실내의 공기질은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보상정화모드(24b)"로 제어된 상태에서, 공기청정기(10)의 주전원이 사용자에 의해 인가되어(S119), 공기청정기 강제오프 감지수단(40)으로부터 "강제오프신호(S)"가 소거되면, 제어부(24)는, "보상정화모드(24b)"에서 "정화모드(24a)"로 다시 복귀된다(S105).
그리고 "정화모드(24a)"로 복귀된 제어부(24)는, 공기청정기(10)를 온(ON)시키고, 전석 공조장치(30)의 인테이크 도어(32)와 블로어(34)를 원래의 제어값대로 제어한다(S107).
그리고, 최초의 (S101) 단계에서, 공기청정기(10)의 주전원이 인가되지 않았으면(S101-1), 제어부(24)는, 차실내의 공기에 포함된 유해가스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농도" 이상인지를 다시 판단한다(S121).
판단 결과, "기준농도"이상이면, 제어부(24)는, 차실내의 공기가 오염되어 있지만 공기청정기(10)의 주전원이 차단되어 차실내의 공기정화작용이 정지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러한 판단에 따라 "보상정화모드(24b)"로 직접 전환된다(S113).
그리고 "보상정화모드(24b)"로 전환된 제어부(24)는, 전석 공조장치(30)의 인테이크 도어(32)와 블로어(34)를 보상 제어한다(S115). 특히, 공기청정기(10)가 작동될 때의 "정화모드(24a)"보다 인테이크 도어(32)를 외기모드(X)측으로 더 이동시키고, 블로어(34)의 회전속도를 더 높인다.
따라서, 차실내로 도입되는 외기도입율과 풍량을 공기청정기(10)가 작동될 때보다 더 증가시킨다(S117). 이로써, 공기청정기(10)의 오프 상태에 따른 공기질 저하현상을 충분히 보상해준다. 그 결과, 공기청정기(10)가 오프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차실내의 공기질은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차실내의 공기가 오염될 시에, 공기청정기(10)와 전석 공조장치(30)를 동시에 유기적으로 연동 제어하면서 차실내의 공기를 정화하는 구조이므로, 차실내의 공기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10)가 강제로 오프될 시에는, 전석 공조장치(30)를 보상 제어하여 차실내로 도입되는 외기도입율과 풍량을 증가시키는 구조이므로, 공기청정기(10)가 강제 오프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차실내의 공기정화효율은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공기청정기(10)가 강제 오프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차실내의 공기정화효율이 저하되지 않으므로, 공기청정기(10)의 온,오프 여부에 관계없이 차실내의 공기질은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공기청정기 20: 콘트롤러(Controller)
22: 가스센서(Sensor) 24: 제어부
24a: 정화모드 24b: 보상정화모드
30: 전석 공조장치 32: 인테이크 도어(Intake Door)
32a: 외기도입구 32b: 내기도입구
34: 블로어(Blower) 40: 공기청정기 강제오프 감지수단

Claims (7)

  1. 차실내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10)와, 차실내 공기에 포함된 유해가스 농도에 따라 상기 공기청정기(10)를 제어하는 제어부(24)와, 차실내의 앞부분에 설치되는 전석 공조장치(30)를 포함하며, 상기 전석 공조장치(30)는, 내,외기도입구(32a)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인테이크 도어(32)와, 내,외기를 흡입하여 차실내로 송풍하는 블로어(34)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4)는, 차실내의 공기에 포함된 유해가스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농도 이상일 시에, 정화모드(24a)로 진입하면서 상기 공기청정기(10)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전석 공조장치(30)의 인테이크 도어(32)를 제어하여 차실내에 대한 외기도입율을 증가시키고,
    상기 공기청정기(10)의 강제적인 오프(OFF)를 감지하는 공기청정기 강제오프 감지수단(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4)는,
    상기 공기청정기 강제오프 감지수단(40)으로부터 강제오프신호가 입력될 시에, 보상정화모드(24b)로 진입하면서 상기 외기도입구(32a)에 대한 상기 인테이크 도어(32)의 개도량을 상기 정화모드(24a)일 때보다 더 증가시켜, 차실내에 대한 상기 외기도입율을 상기 정화모드(24a)일 때보다 더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4)는,
    상기 정화모드(24a) 시에, 차실내에 대한 상기 외기도입율이 차실내의 유해가스 농도에 비례하도록, 상기 인테이크 도어(32)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4)는,
    정화모드(24a) 시에, 상기 전석 공조장치(30)의 블로어(34)를 제어하여 차실내에 대한 풍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4)는,
    상기 정화모드(24a) 시에, 차실내에 대한 상기 풍량이 차실내의 유해가스 농도에 비례하도록, 상기 블로어(34)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4)는,
    상기 보상정화모드(24b) 시에, 상기 블로어(34)의 회전속도를 상기 정화모드(24a)일 때보다 더 증가시켜, 차실내에 대한 상기 풍량을 상기 정화모드(24a)일 때보다 더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4)는,
    상기 공기청정기 강제오프 감지수단(40)으로부터 강제오프신호가 소거될 시에, 상기 공기청정기(10)가 켜진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보상정화모드(24b)에서 정화모드(24a)로 전환되면서 상기 인테이크 도어(32)와 블로어(34)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20064255A 2012-06-15 2012-06-15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37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255A KR101437942B1 (ko) 2012-06-15 2012-06-15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255A KR101437942B1 (ko) 2012-06-15 2012-06-15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114A KR20130141114A (ko) 2013-12-26
KR101437942B1 true KR101437942B1 (ko) 2014-09-05

Family

ID=49985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4255A KR101437942B1 (ko) 2012-06-15 2012-06-15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9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96658A (ja) 2014-11-14 2016-05-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移動体の室内空間への燃料ガスの侵入を予防する方法および燃料電池移動体
CN114043852B (zh) * 2021-11-15 2023-06-23 东风悦享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gps定位的无人驾驶车辆除味系统及方法
KR20240014296A (ko) 2022-07-25 2024-02-01 강형석 차량의 실내 오염 방지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965Y1 (ko) 2000-12-07 2001-04-16 한국브이디오한라주식회사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공기특성 제어 시스템
KR20080095510A (ko) * 2007-04-24 2008-10-29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 제어 시스템
JP2009040246A (ja) * 2007-08-09 2009-02-26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換気装置
JP4310831B2 (ja) 1998-12-21 2009-08-12 株式会社エクォス・リサーチ 空気清浄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0831B2 (ja) 1998-12-21 2009-08-12 株式会社エクォス・リサーチ 空気清浄システム
KR200221965Y1 (ko) 2000-12-07 2001-04-16 한국브이디오한라주식회사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공기특성 제어 시스템
KR20080095510A (ko) * 2007-04-24 2008-10-29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 제어 시스템
JP2009040246A (ja) * 2007-08-09 2009-02-26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換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114A (ko) 201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7357B1 (ko) 차량의 능동형 공기 정화 장치
CN109849622B (zh) 用于车辆的空气净化装置
JP5119872B2 (ja) 車両用換気装置
JP4204570B2 (ja) 空気浄化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170071013A (ko) 자동차의 공기 청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43794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6193116A (ja) 内外気切替装置
JP2014088964A (ja) 空気清浄機
KR101318640B1 (ko) 차량용 공기정화기
JP2009035173A (ja) 車両用空調システム
KR10147579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967918B2 (ja) 車両用換気装置
KR102364961B1 (ko) 공기청정기
JP5021890B2 (ja) ブロワとフィルタ手段を具備する空調機の制御方法
KR10143001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60085992A (ko) 자동차용 공기청정기
KR20180047162A (ko) 오버헤드 콘솔형 차량용 공기 정화장치
JP2007090983A (ja) 内外気切換装置
JP2003072353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827165B1 (ko) 차량의 실내 공기 오염 저감 장치
KR10146734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864796B1 (ko) 차량의 실내 공간 정화 장치
JP2005145340A (ja) 車室内空気向上システム
JP2005047418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33989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