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5058A -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5058A
KR20140085058A KR1020120155211A KR20120155211A KR20140085058A KR 20140085058 A KR20140085058 A KR 20140085058A KR 1020120155211 A KR1020120155211 A KR 1020120155211A KR 20120155211 A KR20120155211 A KR 20120155211A KR 20140085058 A KR20140085058 A KR 20140085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haft
reclining
fitting hole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5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5871B1 (ko
Inventor
성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20155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871B1/ko
Publication of KR20140085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5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with a transversal pin displaced by a slot or a cam along a predetermined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트 프레임에 결합되고, 관통홀이 형성되는 베이스 브래킷과, 상기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며, 시트백에 결합되는 회전축이 끼워져스플라인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구동샤프트와, 상기 구동샤프트를 회전시켜 상기 시트백을 차량 전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1회전수단과, 상기 구동샤프트를 회전시켜 상기 시트백을 차량 후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2회전수단과, 상기 구동샤프트에서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 브래킷에 구비되는 힌지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회전수단을 각각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레버와 제1 및 제2회전수단을 상기 베이스 브래킷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하 운동되는 작동레버의 조작력이 기어 및 롤러의 쐐기 구조에 의해 시트백을 고정하는 회전축으로 전달되는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RECLINING DEVICE OF VEHICLE SEE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버 조작으로 시트백의 회전축을 회전시켜서 시트백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조를 단순히 하여,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운전자나 승차자가 쾌적하게 앉을 수 있도록 시트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는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하고, 실내의 바닥면에 앞뒤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쿠션과, 이 시트쿠션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으로 구성된다.
운전자나 승차자는 자신의 체형에 맞추어 시트쿠션을 전후방으로 당기거나 밀어 시트의 전후방 위치를 조절하고, 시트쿠션에 대하여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하여 시트에 앉았을 때 가장 쾌적한 자세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시트쿠션에 대하여 각도가 조절되는 시트백은 통상 힌지 구조를 통하여 회동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시트 쿠션에 각도가 고정된 록킹 상태에서 회동이 가능한 언록킹 상태로 상호 전환이 가능한바, 이러한 록킹-언록킹 상태의 유지 및 전환 기능을 위한 리클라이닝 장치가 설치된다. 즉, 이 리클라이닝 장치에 의해 운전자나 승차자는 체형이나 편의에 따라 시트쿠션에 대하여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리클라이닝 장치는 작동레버를 조작하면, 리클라이닝 장치의 록킹이 해제되어 시트백을 탑승자가 등으로 밀어서 각도를 조절하는 레버방식과, 다이얼 형태로 되어 있는 조작노브를 회전시켜서 시트백의 각도를 조작하는 로터리 방식으로 분류된다.
상기 레버방식으로 된 리클라이닝 장치의 일예가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0627733호에 개시되어 있고, 상기 로터리 방식으로 된 리클라이닝 장치의 일예는 한국특허 공개번호 10-2010-0095171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특허에 개시된 레버방식으로 된 리클라이닝 장치는 섹터투스, 플레이트 홀더, 다수의 폴투스, 캠레버, 리턴 스프링, 가이드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레버식 리클라이닝 장치는 섹터투스에 형성된 내측기어와, 폴투스에 형성된 외측기어가 사용자가 레버를 작동함에 따라 서로 치합되거나 치합이 해제되는 것에 의하여 록킹 및 언록킹을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제조시 내측기어 및 외측기어의 치형 관리가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공개특허에 개시된 로터리 방식으로 된 리클라이닝 장치는 익스터널 기어브래킷, 인터널 기어브래킷, 소켓블록, 베어링, 커버 플레이트, 가이드 브래킷, 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로터리 방식으로 된 리클라이닝 장치는 익스터널 기어브래킷에 형성되는 익스터널기어와 인터널 기어브래킷에 형성되는 인터널기어가 서로 기어 물림된 상태에서 시트백의 경사각이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로터리 방식으로 된 리클라이닝 장치는 그 구성부품들이 너무 많아 구조가 매우 복잡하며, 익스터널 기어와 인터널 기어의 제조시 기어의 치수 관리가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레버 조작으로 회전축을 회전시켜서 시트백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하면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 프레임에 결합되고, 관통홀이 형성되는 베이스 브래킷과, 상기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며, 시트백에 결합되는 회전축이 끼워져스플라인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구동샤프트와, 상기 구동샤프트를 회전시켜 상기 시트백을 차량 전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1회전수단과, 상기 구동샤프트를 회전시켜 상기 시트백을 차량 후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2회전수단과, 상기 구동샤프트에서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 브래킷에 구비되는 힌지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회전수단을 각각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레버와 제1 및 제2회전수단을 상기 베이스 브래킷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회전수단은, 상기 구동샤프트의 외주가 끼워지는 제1끼움홀이 형성되고, 외주에 제1외측기어가 형성되는 제1기어와, 상기 힌지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외측기어에 내접되는 제1내측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레버의 조작시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1래크부재와, 상기 제1래크부재를 상기 힌지핀에 대하여 탄력 지지하는 제1스프링과,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샤프트 사이를 록킹시켜 상기 작동레버의 조작으로 상기 제1래크부재가 회동될 때, 상기 제1기어와 샤프트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1록킹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록킹부는, 상기 제1기어의 제1끼움홀 내주면에서 외측을 향하여 형성되되 일방향으로 깊이가 커지도록 형성되는 제1홈부와, 상기 제1끼움홀에 끼워진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과 상기 제1홈부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제1구름부재와, 상기 제1구름부재를 상기 제1끼움홀에서 탄력 지지하는 제1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회전수단은, 상기 구동샤프트의 외주가 끼워지는 제2끼움홀이 형성되고, 외주에 제2외측기어가 형성되는 제2기어와, 상기 힌지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외측기어에 내접되는 제2내측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레버의 조작시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2래크부재와, 상기 제2래크부재를 상기 힌지핀에 대하여 탄력 지지하는 제2스프링과, 상기 제2기어와 상기 샤프트 사이를 록킹시켜 상기 작동레버의 조작으로 상기 제2래크부재가 회동될 때, 상기 제2기어와 샤프트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2록킹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록킹부는, 상기 제2기어의 제2끼움홀 내주면에서 외측을 향하여 형성되되 일방향으로 깊이가 커지도록 형성되는 제2홈부와, 상기 제2끼움홀에 끼워진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과 상기 제2홈부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제2구름부재와, 상기 제2구름부재를 상기 제2끼움홀에서 탄력 지지하는 제2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하 운동되는 작동레버의 조작력이 기어 및 롤러의 쐐기 구조에 의해 시트백을 고정하는 회전축으로 전달되는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리클라이닝 장치에서 작동레버를 위로 당김시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제1 및 제2록킹부의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1이 리클라이닝 장치에서 작동레버를 아래로 내렸을 때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제1 및 제2록킹부를 보인 도면.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리클라이닝 장치에서 작동레버를 위로 당김시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제1 및 제2록킹부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이 리클라이닝 장치에서 작동레버를 아래로 내렸을 때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제1 및 제2록킹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100)는, 베이스 브래킷(110), 샤프트(120), 제1회전수단(130), 제2회전수단(140), 작동레버(160), 결합부재(170)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닝 장치(100)는 시트쿠션이 결합되는 시트쿠션 프레임에 결합되며, 백프레임에 결합되고 회전축에 의해 시트쿠션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시트백을 탑승자가 후술하는 작동레버(160)의 조작으로 전방이나 후방으로 회전시켜 경사각을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 브래킷(110)은 시트쿠션 프레임에 고정되며, 회전축이 끼워져서 회전되도록 하는 관통홀(111)이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 브래킷(110)의 가장자리에는 시트쿠션 프레임에 체결부재로 고정하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11)의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원호 형상의 제1가이드홀(112)이 형성되며, 이 제1가이드홀(112)은 후술하는 제1래크부재(132)와 제2래크부재(142), 작동레버(160)가 결합부재(170)에 의해 결합되어 회동될 때, 결합부재(17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샤프트(120)는 시트백에 고정되어 있는 회전축에 끼워져 스플라인 결합되는 것으로, 축방향으로 내주면이 스플라인 형상으로 된 결합홀(1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샤프트(120)는 회전축에 끼워진 상태에서 베이스 브래킷(110)의 관통홀(111)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다. 또한, 이 샤프트(120)는 베이스 브래킷(110)의 관통홀(111)에 끼워지는 부분의 직경은 작게 형성되어, 관통홀(111)에 끼워진 샤프트(120)가 관통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회전수단(130)은 샤프트(120)를 회전시켜 시트백을 차량 후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기어(131), 제1래크부재(132), 제1스프링(133), 제1록킹부(134)를 포함한다.
상기 제1기어(131)는 중앙에 샤프트(120)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끼움홀(131a)이 형성되고, 외주에 제1외측기어(131b)가 형성된다.
상기 제1래크부재(132)는 일단부(132a)가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부에 제1외측기어(131b)에 내접되는 제1내측기어(132b)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래크부재(132)의 타단부는 베이스 브래킷(110)에 힌지핀(150)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1래크부재(132)의 일단부(132a)에는 제1래크부재(132)가 타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될때, 일단부가 후술하는 작동레버(160)의 조작에 의해 위쪽으로 회동될 때, 축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제1래크부재(132)를 베이스 브래킷(110)에 결합하는 결합부재(17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홀(132c)이 형성된다.
상기 제1스프링(133)는 힌지핀(150)에 끼워져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이 제1래크부재(132)의 타단부에 지지되며, 제1래크부재(132)가 타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일단부가 위쪽으로 이동될 때 탄성을 받는 스파이럴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록킹부(134)는 제1기어(131)의 제1끼움홀(131a) 내주면에서 외측을 향하여 형성되되 일방향으로 깊이가 커지도록 형성되는 제1홈부(134a)와, 제1끼움홀(131a)에 끼워진 샤프트(120)의 외주면과 제1홈부(134a)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제1구름부재(134b)와, 제1구름부재(134b)를 제1끼움홀(131a)에서 탄력 지지하는 제1탄성체(134c)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홈부(134a)의 깊이는, 작동레버(160)의 작동에 의해 제1래크부재(132)가 타단부를 중심으로 회동될 때, 제1래크부재(132)의 일단부가 상측으로 이동될 때, 제1기어(131)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커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1탄성체(134c)는 제1홈부(134a)의 측면 중 깊이가 큰 측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구름부재(134b)를 탄력 지지하게 된다.
즉, 제1록킹부(134)는 작동레버(160)의 작동에 의해 제1래크부재(132)가 회동될 때, 도 3과 같이, 제1기어(13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1구름부재(134b)가 제1홈부(134a)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구름부재(134b)가 제1기어(131)와 샤프트(120) 사이를 서로 록킹시켜 샤프트(120)를 상기 제1기어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제2회전수단(140)은 샤프트(120)를 회전시켜 시트백을 차량 전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2기어(141), 제2래크부재(142), 제2스프링(143), 제2록킹부(144)를 포함한다.
상기 제2기어(141)는 중앙에 샤프트(120)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끼움홀(141a)이 형성되고, 외주에 제2외측기어(141b)가 형성된다.
상기 제2래크부재(142)는 일단부(142a)가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부에 제2외측기어(141b)에 내접되는 제2내측기어(142b)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래크부재(142)의 타단부는 베이스 브래킷(110)에 힌지핀(150)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2래크부재(142)의 일단부(142a)에는 제2래크부재(142)가 타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될 때, 일단부가 후술하는 작동레버(160)의 조작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동될 때, 축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제2래크부재(142)를 베이스 브래킷(110)에 결합하는 결합부재(17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3가이드홀(142c)이 형성된다.
상기 제2스프링(143)은 힌지핀(150)에 끼워져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이 제2래크부재(142)의 타단부에 지지되며, 제2래크부재(142)가 타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일단부가 위쪽으로 이동될 때 탄성을 받는 스파이럴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록킹부(144)는 제2기어(141)의 제2끼움홀(141a) 내주면에서 외측을 향하여 형성되되 일방향으로 깊이가 커지도록 형성되는 제2홈부(144a)와, 제2끼움홀(141a)에 끼워진 샤프트(120)의 외주면과 제2홈부(144a)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제2구름부재(144b)와, 제2구름부재(144b)를 제2끼움홀(141a)에서 탄력 지지하는 제2탄성체(144c)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홈부(144a)의 깊이는, 작동레버(160)의 작동에 의해 제2래크부재(142)가 타단부를 중심으로 회동될 때, 제2래크부재(142)의 일단부가 하측으로 이동될 때, 제2기어(141)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커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2탄성체(144c)는 제2홈부(144a)의 측면 중 깊이가 큰 측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2구름부재(144b)를 탄력 지지하게 된다.
즉, 제2록킹부(144)는 작동레버(160)의 작동에 의해 제2래크부재(142)가 타단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제2래크부재(142)의 일단부가 하측으로 이동할 때, 도 5와 같이, 제2기어(14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2구름부재(144b)가 제2홈부(144a)에서 시계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구름부재(144b)가 제2기어(141)와 샤프트(120) 사이를 서로 록킹시켜 샤프트(120)를 상기 제2기어(14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록킹부(134)는 작동레버(160)를 하측으로 작동시 제2래크부재(142)의 일단부(142a)가 하측으로 이동할 때, 제2기어(141)가 제2래크부재(142)의 제2내측기어(142b)에 따라 도 5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샤프트(120)가 제2록킹부(144)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제1기어(131)와 샤프트(120) 사이의 록킹을 해제하여 제1기어(131)의 제1끼움홀(131a)에서 샤프트(120)가 슬립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작동레버(160)를 상측으로 작동시 제1래크부재(132)의 일단부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제1기어(131)가 제1래크부재(132)의 제1내측기어(132b)에 따라 도 3과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샤프트(120)가 제1록킹부(134)에 의해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2록킹부(144)는 제2기어(141)와 샤프트(120) 사이의 록킹을 해제하여 제2기어(141)의 제2끼움홀(141a)에서 샤프트(120)가 슬립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작동레버(160)는 일단부가 베이스 브래킷(110)에 고정되되, 관통홀(111)을 중심으로 제1가이드홀(112)의 맞은편에 힌지핀(150)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재(170)는 작동레버(160)의 작동시 상기 제1래크부재(132)와 제2래크부재(142)중 하나의 래크부재를 가압하고, 작동레버(160), 제1래크부재(132), 제2래크부재(142)를 베이스 브래킷(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작동레버(160)의 작동시 축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차량용 리클라이닝 장치(100)에서 제1회전수단(130)은 시트백을 후방으로 회동시키고, 제2회전수단(140)은 시트백을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것으로 기술하였는데, 상기 리클라이닝 장치(100)의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제1회전수단(130)은 시트백을 전방으로 회전시키고, 제2회전수단(140)은 시트백을 후방으로 회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한 설명에서는 시트백을 후방으로 회동시키기 위하여 작동레버(160)를 위로 작동시키고, 시트백을 전방으로 회동시키기 위하여 작동레버(160)를 아래로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기술하였으나, 작동레버(160)를 아래로 작동시킬 때 시트백을 후방으로 회전시키고, 작동레버(160)를 위로 작동시킬 때 시트백을 전방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에 대한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닝 장치(100)에서 작동레버(160)를 위로 올릴 때, 시트백을 후방으로 회동시키고, 작동레버(160)를 아래로 내릴 때, 시트백을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일예로 하여 그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탑승자가 시트백의 경사를 조절하기 위해서 작동레버(160)를 조작하게 되는데, 여기에서 탑승자는 시트백을 후방으로 더 기울이기 위해서는 도 2와 같이 작동레버(160)를 위쪽으로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결합부재(170)에 의해 상기 제1래크부재(132)는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며, 제1래크부재(132)의 제1내측기어(132b)에 내접되는 제1기어(13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제1록킹부(134)는 록킹 상태가 되어, 제1기어(131)의 회전력을 샤프트(120)로 전달하게 된다. 그러면, 샤프트(120)는 제1기어(131)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이 샤프트(120)에 고정되는 시트백이 차량의 후방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또한, 탑승자가 시트백을 전방으로 더 기울이기 위해서는 도 4와 같이, 작동레버(160)를 아래로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결합부재(170)에 의해 상기 제2래크부재(14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며, 제2래크부재(142)의 제2내측기어(142b)에 내접되는 제2기어(14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제2록킹부(144)는 록킹 상태가 되어, 제2기어(141)의 회전력을 샤프트(120)로 전달하게 된다. 그러면, 샤프트(120)는 제2기어(141)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이 샤프트(120)에 고정되는 시트백이 차량의 전방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리클라이닝 장치
110 : 베이스 브래킷 111 : 관통홀
112 : 제1가이드홀
120 : 샤프트 121 : 결합홀
130 : 제1회전수단 131 : 제1기어
132 : 제1래크부재 133 : 제1스프링
134 : 제1록킹부 134a : 제1홈부
134b : 제1구름부재 134c : 제1탄성체
140 : 제2회전수단 141 : 제2기어
142 : 제2래크부재 143 : 제2스프링
144 : 제2록킹부
150 : 힌지핀
160 : 작동레버
170 : 결합부재

Claims (5)

  1. 시트 프레임에 결합되고, 관통홀이 형성되는 베이스 브래킷과,
    상기 관통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며, 시트백에 결합되는 회전축이 끼워져스플라인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구동샤프트와,
    상기 구동샤프트를 회전시켜 상기 시트백을 차량 전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1회전수단과,
    상기 구동샤프트를 회전시켜 상기 시트백을 차량 후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2회전수단과,
    상기 구동샤프트에서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 브래킷에 구비되는 힌지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회전수단을 각각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레버와 제1 및 제2회전수단을 상기 베이스 브래킷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수단은,
    상기 구동샤프트의 외주가 끼워지는 제1끼움홀이 형성되고, 외주에 제1외측기어가 형성되는 제1기어와,
    상기 힌지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외측기어에 내접되는 제1내측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레버의 조작시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1래크부재와,
    상기 제1래크부재를 상기 힌지핀에 대하여 탄력 지지하는 제1스프링과,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샤프트 사이를 록킹시켜 상기 작동레버의 조작으로 상기 제1래크부재가 회동될 때, 상기 제1기어와 샤프트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1록킹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록킹부는,
    상기 제1기어의 제1끼움홀 내주면에서 외측을 향하여 형성되되 일방향으로 깊이가 커지도록 형성되는 제1홈부와,
    상기 제1끼움홀에 끼워진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과 상기 제1홈부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제1구름부재와,
    상기 제1구름부재를 상기 제1끼움홀에서 탄력 지지하는 제1탄성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수단은,
    상기 구동샤프트의 외주가 끼워지는 제2끼움홀이 형성되고, 외주에 제2외측기어가 형성되는 제2기어와,
    상기 힌지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외측기어에 내접되는 제2내측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레버의 조작시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2래크부재와,
    상기 제2래크부재를 상기 힌지핀에 대하여 탄력 지지하는 제2스프링과,
    상기 제2기어와 상기 샤프트 사이를 록킹시켜 상기 작동레버의 조작으로 상기 제2래크부재가 회동될 때, 상기 제2기어와 샤프트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2록킹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록킹부는,
    상기 제2기어의 제2끼움홀 내주면에서 외측을 향하여 형성되되 일방향으로 깊이가 커지도록 형성되는 제2홈부와,
    상기 제2끼움홀에 끼워진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과 상기 제2홈부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제2구름부재와,
    상기 제2구름부재를 상기 제2끼움홀에서 탄력 지지하는 제2탄성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KR1020120155211A 2012-12-27 2012-12-27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KR101945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211A KR101945871B1 (ko) 2012-12-27 2012-12-27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211A KR101945871B1 (ko) 2012-12-27 2012-12-27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5058A true KR20140085058A (ko) 2014-07-07
KR101945871B1 KR101945871B1 (ko) 2019-02-11

Family

ID=51734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5211A KR101945871B1 (ko) 2012-12-27 2012-12-27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8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2586A (ko) * 2015-11-27 2017-06-08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651B1 (ko) 2006-10-20 2007-09-04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백의 각도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2586A (ko) * 2015-11-27 2017-06-08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5871B1 (ko)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35141B2 (ja) 定点復帰機能付きリクライニング装置並びに同リクライニング装置を備える車両用シート
EP2476581B1 (en) Vehicle seat
US8162404B2 (en) Seat
JP5558110B2 (ja) 車両シート
US8985690B2 (en) Seat reclining device and seat device
WO2008020647A1 (fr) Siège de véhicule
EP2236348A2 (en) Seat reclining apparatus
JP2009154682A (ja) 車両用シート
WO2007086468A1 (ja) シート
JP2009292435A (ja) シート
US20100150645A1 (en) Connector for vehicle seat
KR20060132687A (ko) 자동차 좌석용 트윈 리클라이너
KR101945871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US10052978B2 (en) Seat reclining apparatus for vehicle
JP5186850B2 (ja) 車両用シート
KR101283186B1 (ko) 차량용 리클라이너 장치
JP2016020155A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WO2016009874A1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1853739B1 (ko) 워크인 기능을 갖는 차량용 리클라이너 장치
JP2008054712A (ja) シート
KR101586948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JP7187027B2 (ja) 座席のアームレスト構造
JP2009056268A (ja) 電動式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10221803A (ja) シート位置形状変更装置
KR101752228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