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5031A - 플렉서블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85031A KR20140085031A KR1020120155154A KR20120155154A KR20140085031A KR 20140085031 A KR20140085031 A KR 20140085031A KR 1020120155154 A KR1020120155154 A KR 1020120155154A KR 20120155154 A KR20120155154 A KR 20120155154A KR 20140085031 A KR20140085031 A KR 201400850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 driving circuit
- flexible
- polarizing film
- displa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9000002313 adhesive fil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8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12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457 sulfo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서블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연성 기판; 상기 연성 기판의 표시영역에 형성되는 화소들; 상기 연성 기판의 비표시영역에 접착되어 상기 화소들에 구동 신호들을 공급하는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상기 화소들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화소들을 덮도록 상기 연성 기판상에 부착되는 보호필름; 상기 보호필름상에 부착되는 편광필름; 및 상기 편광필름과 윈도우 기판을 접착하기 위해 상기 편광필름과 상기 윈도우 기판 사이에 접착되는 투명접착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필름과 상기 편광필름은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고, 상기 투명접착필름은 상기 편광필름과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렉서블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Device),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및 전기영동 표시장치(Electro Phoretic Display Device)와 같은 여러가지 평판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특히, 액정표시장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전기영동 표시장치는 박형화가 가능하므로, 이들을 유연성을 갖는 플렉서블 표시장치(flexible display device)로 구현하기 위한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폴리이미드 필름(polyimide film)과 같은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거나, 유리(glass) 대비 유연성이 좋은 기판을 사용한다.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폴리이미드 필름상에 구동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이하 "IC"라 칭함)를 실장하는데, 구동회로가 실장되는 영역은 비표시영역(non-display area)에 해당하므로, 외부의 충격에 그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구동회로에는 쿠션 테이프(cushion tape)가 부착되었다. 이 경우, 쿠션 테이프의 부착 공정이 필요하므로 공정 수가 증가하며, 특히 쿠션 테이프 부착 공정은 작업자가 일일이 손으로 부착해야하는 수작업으로 행해지므로, 비용 상승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공정 수 감소를 통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연성 기판; 상기 연성 기판의 표시영역에 형성되는 화소들; 상기 연성 기판의 비표시영역에 접착되어 상기 화소들에 구동 신호들을 공급하는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상기 화소들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화소들을 덮도록 상기 연성 기판상에 부착되는 보호필름; 상기 보호필름상에 부착되는 편광필름; 및 상기 편광필름과 윈도우 기판을 접착하기 위해 상기 편광필름과 상기 윈도우 기판 사이에 접착되는 투명접착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필름과 상기 편광필름은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고, 상기 투명접착필름은 상기 편광필름과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연성 기판의 표시영역에 형성되는 화소들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화소들을 덮도록 상기 연성 기판상에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보호필름상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보호필름 및 상기 편광필름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연성 기판의 비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 구동회로를 접착하는 단계; 연성 필름을 상기 비표시영역에 접착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와 상기 연성 필름에 자외선 경화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편광필름과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를 덮도록 상기 편광필름상에 투명접착필름을 접착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접착필름상에 윈도우 기판을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연성 기판의 표시영역에 형성되는 화소들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화소들을 덮도록 상기 연성 기판상에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보호필름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연성 기판의 비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 구동회로를 접착하는 단계; 상기 보호필름상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연성 필름을 상기 비표시영역에 접착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와 상기 연성 필름에 자외선 경화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편광필름과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를 덮도록 상기 편광필름상에 투명접착필름을 접착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접착필름상에 윈도우 기판을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투명접착필름을 디스플레이 구동회로의 상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은 쿠션 테이프를 부착하지 않고도 디스플레이 구동회로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쿠션 테이프 부착 공정을 삭제할 수 있으므로, 공정 수 감소를 통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의 단면도.
도 3은 연성 기판을 상세히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도 1의 화소의 등가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6a 내지 도 6h는 도 5의 흐름도에 따른 I-I'의 단면도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Ⅱ-Ⅱ'와 Ⅲ-Ⅲ'의 단면도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10a 내지 도 10h는 도 9의 흐름도에 따른 Ⅱ-Ⅱ'와 Ⅲ-Ⅲ'의 단면도들.
도 2는 도 1의 I-I'의 단면도.
도 3은 연성 기판을 상세히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도 1의 화소의 등가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6a 내지 도 6h는 도 5의 흐름도에 따른 I-I'의 단면도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Ⅱ-Ⅱ'와 Ⅲ-Ⅲ'의 단면도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10a 내지 도 10h는 도 9의 흐름도에 따른 Ⅱ-Ⅱ'와 Ⅲ-Ⅲ'의 단면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일 수 있는 것으로서, 실제 제품의 부품 명칭과는 상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연성 기판의 일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화소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연성 기판(10),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 연성 필름(30), 보호필름(40), 편광필름(50), 투명접착필름(60), 보강 기판(70), 윈도우 기판(80)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또는 전기영동 표시장치(Electro Phoretic Display Device)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 예에서 플렉서블 표시장치가 유기발광다이오드 소자로 구현된 것을 중심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윈도우 기판(80)을 도시하지 않았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I-I'의 단면은 비표시영역(NAA)의 단면에 해당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연성 기판(10)은 구부러지거나 휘어질 수 있으며, 복원력이 높은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성 기판(10)은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폴리에스테르설폰(PES)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연성 기판(10)의 일면에는 화소들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화소들이 형성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을 도 3과 같이 표시영역(AA)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비표시영역(NAA)은 화소들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으로 표시영역(AA)을 제외한 영역을 의미한다. 따라서, 비표시영역(NAA)에는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다.
연성 기판(10)의 표시영역(AA)에는 데이터 라인(DL)들과 스캔 라인(SL)들의 교차되도록 형성되고, 매트릭스 형태로 화소들이 형성된다. 화소(P)들 각각은 스위칭 TFT(thin film transistor)(ST)와 구동 TFT(DT)를 이용하여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화소(P)들 각각은 도 4와 같이 스위칭 TFT(ST), 구동 TFT(DT),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및 보상회로(PIXC)를 포함한다. 스위치 TFT(ST)는 스캔 라인(SL)의 스캔 펄스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DL)의 데이터 전압을 보상회로(PIXC)에 공급한다. 보상회로(PIXC)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 TFT와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를 포함하여 구동 TFT(DT)의 게이트 전극을 초기화한 후에 구동 TFT(DT)의 문턱 전압을 센싱하고 데이터 전압에 문턱 전압을 가산하여 데이터 전압을 보상할 수 있다. 구동 TFT(DT)는 게이트 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에 따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한다. 구동 TFT(DT)는 고전위 전압(VDD)이 공급되는 고전위 전압 배선에 접속될 수 있고,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저전위 전압(VSS)이 공급되는 저전위 전압 배선에 접속될 수 있다. 보상회로(PIXC)는 이미 공지된 어떠한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의 화소 보상회로도 적용 가능하다. 화소(P)들은 배면발광(Bottom emission), 전면발광(Top emission) 등의 형태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는 COG(chip on glass) 공정에 의해 연성 기판(10)의 비표시영역(NAA)에 접착된다.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고, 데이터 전압을 표시영역의 데이터 라인(DL)들에 공급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는 스캔 구동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스캔 구동회로로 출력할 수도 있다.
스캔 구동회로(21)는 도 3과 같이 비표시영역(NAA)에 형성되며, 특히 표시영역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캔 구동회로(21)는 도 3과 같이 GIP(Gate In Panel) 공정에 의해 화소들과 동시에 연성 기판(10)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스캔 구동회로(21)는 TCP(tape carrier package) 상에 실장될 수 있고, TAB(tape automated bonding) 공정에 의해 연성 기판(10)에 접합될 수 있다. 또는, 스캔 구동회로(21)는 COG 공정으로 연성 기판(10)상에 접착될 수 있다. 스캔 구동회로(21)는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화소들 각각의 스위칭 TFT(ST)를 제어하기 위한 스캔 펄스를 스캔 라인(SL)들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보호필름(40)은 화소(P)들을 보호하기 위해 화소(P)들을 덮도록 연성 기판(10)상에 부착된다. 보호필름(40)은 적어도 표시영역(AA)을 덮도록 연성 기판(10)상에 부착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포함하는 화소(P)들은 산소나 수분 등에 취약하므로, 보호필름(40)을 이용하여 화소(P)들을 덮음으로써, 화소(P)들은 산소나 수분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보호필름(40)은 유무기 복합층을 포함하는 투명한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보호필름(40)은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와 제1 간격(G1)만큼 떨어지도록 부착될 수 있다. 보호필름(40)은 도 1과 같이 사각형의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편광필름(50)은 표시영역(AA)에서 외부광 반사에 의한 시인성을 개선하기 위해 보호필름(40)상에 부착된다. 편광필름(50)은 적어도 표시영역(AA)을 덮도록 보호필름(40)상에 부착될 수 있다. 편광필름(50)은 보호필름(40)과 같이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와 제1 간격(G1)만큼 떨어지도록 부착될 수 있다. 편광필름(50)은 도 1과 같이 사각형의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성 필름(30)은 FOG(film on glass) 공정에 의해 연성 기판(10)의 비표시영역(NAA)에 접착된다. 특히, 연성 필름(30)은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보다 외곽에 접착된다. 연성 필름(30)에는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원이 실장될 수 있다.
투명접착필름(60)은 윈도우 기판(80)과 편광필름(50)을 접착하기 위해 윈도우 기판(80)과 편광필름(50) 사이에 접착된다. 투명접착필름(60)은 OCA(optically clear adhesive)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투명접착필름(60)은 도 1과 같이 편광필름(50)을 덮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투명접착필름(60)에서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에 인접한 측면은 도 1과 같이 "ㅏ"자 형태의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투명접착필름(60)은 도 7과 같이 사각형의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와 같이 투명접착필름(60)이 접착되는 편광필름(50)의 상면에서의 높이와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의 상면에서의 높이는 서로 다르다. 편광필름(50)과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 사이의 높이의 차로 인한 단차(D)를 채우기 위해,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의 상부에 자외선 경화수지(90)를 도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 경화수지(90)를 경화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투명접착필름(60)은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의 상부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수지(90)에 접착될 수 있다. 그 결과, 투명접착필름(60)은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는 쿠션 테이프를 부착하지 않고도 투명접착필름(60)에 의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보강 기판(70)은 화소(P)들이 형성되는 연성 기판(10)의 일면의 반대 면에 부착된다. 보강 기판(70)은 연성 기판(10)에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기판이다. 보강 기판(70)은 연성 기판(10)과 같이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폴리에스테르설폰(PES)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윈도우 기판(80)은 투명접착필름(60)에 접착되며, 연성 기판(10)을 덮는 커버(cover)와 같은 역할을 한다. 윈도우 기판(80)은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a 내지 도 6h는 도 5의 흐름도에 따른 I-I'의 단면도들이다. 이하에서, 도 5 및 도 6a 내지 도 6h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첫 번째로, 도 6a와 같이 연성 기판(10)의 화소(P)들을 보호하기 위해 화소(P)들을 덮는 보호필름(40)을 연성 기판(10)상에 부착한다. 보호필름(40)은 적어도 표시영역(AA)을 덮도록 연성 기판(10)상에 부착될 수 있다. (S101)
두 번째로, 도 6b와 같이 보호필름(40)상에 편광필름(50)을 부착한다. 편광필름(50)은 표시영역(AA)에서 외부광 반사에 의한 시인성을 개선하기 위해 보호필름(40)상에 부착된다. (S102)
세 번째로, 도 6c와 같이 연성 기판(10)상의 비표시영역(NAA)에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를 COG 공정에 의해 접착한다. 특히,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 헤드(bonding head)(110)의 폭이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의 폭보다 넓기 때문에, 접착 헤드(110)가 COG 공정시 편광필름(50)에 의해 방해를 받게 된다.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는 접착 헤드(110)의 폭을 고려하여 보호필름(40)과 편광필름(50)과 제1 간격(G1)만큼 떨어지도록 부착된다. 또한, 연성 기판(10) 상의 비표시영역(NAA)에 연성 필름(30)을 FOG 공정에 의해 접착한다. (S103)
네 번째로, 도 6d와 같이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와 연성 필름(30)에 자외선 경화수지(90)를 도포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킨다. 도 6d와 같이, 투명접착필름(60)이 접착되는 편광필름(50)의 상면에서의 높이와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의 상면에서의 높이는 서로 다르다.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의 상부에 자외선 경화수지(90)를 도포함으로써, 편광필름(50)의 상면에서의 높이와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의 상면에서의 높이의 차로 인한 단차(D)를 채울 수 있다. (S104)
다섯 번째로, 도 6e와 같이 지지 기판(100)과 연성 기판(10)을 분리시킨다. 지지 기판(100)과 연성 기판(10) 사이에는 희생층이 존재하는데, 희생층은 레이저 조사에 의해 반응하여 지지 기판(100)과 연성 기판(10)을 분리시킨다. 지지 기판(100)은 연성 기판(10)에 다수의 TFT들을 포함하는 화소(P)들을 형성시 연성 기판(10)을 지지하기 위한 기판이다. 연성 기판(10)은 쉽게 구부러지거나 휘어질 수 있으므로, 화소들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지지 기판(100)이 필요하다. 화소(P)들을 형성하는 공정이 고온 공정이므로, 지지 기판(100)은 유리(glass) 기판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105)
여섯 번째로, 도 6f와 같이 화소(P)들이 형성된 연성 기판(10)의 일면의 반대면에 보강 기판(70)을 접합한다. 보강 기판(70)은 연성 기판(10)에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기판이며, 연성 기판(10)과 같이 쉽게 구부러지거나 휘어질 수 있는 재료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106)
일곱 번째로, 도 6g와 같이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를 덮도록 편광필름(50)상에 투명접착필름(60)을 접착한다. 구체적으로, 투명접착필름(60)은 편광필름(50)에 접착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의 상부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수지(90)에 접착될 수 있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는 쿠션 테이프를 부착하지 않고도 투명접착필름(60)에 의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S107)
여덟 번째로, 도 6h와 같이 투명접착필름(60)상에 윈도우 기판(80)을 접착한다. (S108)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Ⅱ-Ⅱ'와 Ⅲ-Ⅲ'의 단면도들이다.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윈도우 기판(80)을 도시하지 않았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8에 도시된 Ⅱ-Ⅱ'와 Ⅲ-Ⅲ'의 단면들은 비표시영역(NAA)의 단면에 해당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연성 기판(10), 보호필름(40), 편광필름(50),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 연성 필름(30), 투명접착필름(60), 보강 기판(70), 윈도우 기판(80)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보호필름(40), 편광필름(50), 및 투명접착필름(60)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현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보호필름(40)은 화소(P)들을 보호하기 위해 화소(P)들을 덮도록 연성 기판(10)상에 부착된다. 보호필름(40)은 적어도 표시영역(AA)을 덮도록 연성 기판(10)상에 부착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포함하는 화소(P)들은 산소나 수분 등에 취약하므로, 보호필름(40)을 이용하여 화소(P)들을 덮음으로써, 화소(P)들은 산소나 수분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특히, 보호필름(40)은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와 제2 간격(G2)만큼 떨어지도록 부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제2 간격(G2)은 도 1에 도시된 제1 간격(G1)보다 짧게 구현된다. 보호필름(40)에서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에 인접한 측면은 도 7과 같이 "ㄷ"자 형태의 평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보호필름(40)은 도 7과 같이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의 네 측면들 중에서 세 측면들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보호필름(40)에서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에 인접한 측면은 "ㄷ"자 형태의 평면뿐만 아니라, "ㄴ"자 형태의 평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편광필름(50)은 표시영역(AA)에서 외부광 반사에 의한 시인성을 개선하기 위해 보호필름(40)상에 부착된다. 편광필름(50)은 적어도 표시영역(AA)을 덮도록 보호필름(40)상에 부착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와 제2 간격(G2)만큼 떨어지도록 부착될 수 있다. 편광필름(50)에서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에 인접한 측면은 도 7과 같이 "ㄷ"자 형태의 평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편광필름(50)은 도 7과 같이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의 네 측면들 중에서 세 측면들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편광필름(50)에서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에 인접한 측면은 "ㄷ"자 형태의 평면뿐만 아니라, "ㄴ"자 형태의 평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투명접착필름(60)은 윈도우 기판(80)과 편광필름(50)을 접착하기 위해 윈도우 기판(80)과 편광필름(50) 사이에 접착된다. 투명접착필름(60)은 OCA(optically clear adhesive)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투명접착필름(60)은 도 7과 같이 편광필름(50)을 덮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투명접착필름(60)은 도 7과 같이 편광필름(50)과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를 덮는 사각형의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투명접착필름(60)은 "ㄷ"자 형태의 평면에서도 편광필름(50)에 접착될 수 있으므로, 투명접착필름(60)은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는 쿠션 테이프를 부착하지 않고도 투명접착필름(60)에 의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한편, 도 8과 같이 투명접착필름(60)이 접착되는 편광필름(50)의 상면에서의 높이와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의 상면에서의 높이는 서로 다르다. 편광필름(50)의 상면에서의 높이와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의 상면에서의 높이의 차로 인한 단차(D)를 채우기 위해,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의 상부에 자외선 경화수지(90)를 도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투명접착필름(60)은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의 상부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수지(90)에 접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h는 도 9의 흐름도에 따른 Ⅱ-Ⅱ'와 Ⅲ-Ⅲ'의 단면도들이다. 이하에서, 도 9 및 도 10a 내지 도 10h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첫 번째로, 도 10a와 같이 연성 기판(10)의 화소(P)들을 보호하기 위해 화소(P)들을 덮는 보호필름(40)을 연성 기판(10)상에 부착한다. 보호필름(40)은 적어도 표시영역(AA)을 덮도록 연성 기판(10)상에 부착될 수 있다. 특히, 보호필름(40)은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가 접착되는 영역을 제외한 비표시영역(NAA)을 덮도록 연성 기판(10)상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필름(40)의 일 측면은 도 10a와 같이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가 접착되는 영역이 오픈되도록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S201)
두 번째로, 도 10b와 같이 연성 기판(10)상의 비표시영역(NAA)에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를 COG 공정에 의해 접착한다. 특히,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 헤드(bonding head)(110)의 폭이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의 폭보다 넓지만, 접착 헤드(110)가 보호필름(40)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COG 공정시 보호필름(40)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는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는 보호필름(40)과 최대한 가깝게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는 제2 간격(G2)만큼 떨어지도록 부착될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제2 간격(G2)은 도 1에 도시된 제1 간격(G1)보다 짧게 구현된다. 또한, 연성 기판(10) 상의 비표시영역(NAA)에 연성 필름(30)을 FOG 공정에 의해 접착한다. FOG 공정은 보호필름(40)상에 편광필름(50)을 부착한 후에 실시될 수도 있다. (S202)
세 번째로, 도 10c와 같이 보호필름(40)상에 편광필름(50)을 부착한다. 편광필름(50)은 표시영역(AA)에서 외부광 반사에 의한 시인성을 개선하기 위해 보호필름(40)상에 부착된다. 특히, 편광필름(50)은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가 접착되는 영역을 제외한 비표시영역(NAA)을 덮도록 보호필름(40)상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광필름(50)의 일 측면은 도 10c과 같이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가 접착되는 영역이 오픈되도록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편광필름(50)은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와 제2 간격(G2)만큼 떨어지도록 부착될 수 있다. (S203)
네 번째로, 도 10d와 같이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와 연성 필름(30)에 자외선 경화수지(90)를 도포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킨다. 도 10d와 같이, 투명접착필름(60)이 접착되는 편광필름(50)의 상면에서의 높이와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의 상면에서의 높이는 서로 다르다.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의 상부에 자외선 경화수지(90)를 도포함으로써, 편광필름(50)의 상면에서의 높이와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의 상면에서의 높이의 차로 인한 단차(D)를 채울 수 있다. (S204)
다섯 번째로, 도 10e와 같이 레이저를 조사하여 지지 기판(100)과 연성 기판(10)을 분리시킨다. 지지 기판(100)과 연성 기판(10) 사이에는 희생층이 존재하는데, 희생층은 레이저 조사에 의해 반응하여 지지 기판(100)과 연성 기판(10)을 분리시킨다. 지지 기판(100)은 연성 기판(10)에 다수의 TFT들을 포함하는 화소(P)들을 형성시 연성 기판(10)을 지지하기 위한 기판이다. 연성 기판(10)은 쉽게 구부러지거나 휘어질 수 있으므로, 화소들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지지 기판(100)이 필요하다. 화소(P)들을 형성하는 공정이 고온 공정이므로, 지지 기판(100)은 유리(glass) 기판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205)
여섯 번째로, 도 10f와 같이 화소(P)들이 형성된 연성 기판(10)의 일면의 반대면에 보강 기판(70)을 접합한다. 보강 기판(70)은 연성 기판(10)에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기판이며, 연성 기판(10)과 같이 쉽게 구부러지거나 휘어질 수 있는 재료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206)
일곱 번째로, 도 10g와 같이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를 덮도록 편광필름(50)상에 투명접착필름(60)을 접착한다. 구체적으로, 투명접착필름(60)은 편광필름(50)에 접착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의 상부에 도포된 자외선 경화수지(90)에 접착될 수 있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0)는 쿠션 테이프를 부착하지 않고도 투명접착필름(60)에 의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S207)
여덟 번째로, 도 10h와 같이 투명접착필름(60)상에 윈도우 기판(80)을 접착한다. (S208)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투명접착필름을 디스플레이 구동회로의 상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은 쿠션 테이프를 부착하지 않고도 디스플레이 구동회로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쿠션 테이프 부착 공정을 삭제할 수 있으므로, 공정 수 감소를 통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 연성 기판 20: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30: 연성 필름 40: 보호필름
50: 편광필름 60: 투명접착필름
70: 보강 기판 80: 윈도우 기판
90: 자외선 경화 수지 100: 지지 기판
30: 연성 필름 40: 보호필름
50: 편광필름 60: 투명접착필름
70: 보강 기판 80: 윈도우 기판
90: 자외선 경화 수지 100: 지지 기판
Claims (13)
- 연성 기판;
상기 연성 기판의 표시영역에 형성되는 화소들;
상기 연성 기판의 비표시영역에 접착되어 상기 화소들에 구동 신호들을 공급하는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상기 화소들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화소들을 덮도록 상기 연성 기판상에 부착되는 보호필름;
상기 보호필름상에 부착되는 편광필름; 및
상기 편광필름과 윈도우 기판을 접착하기 위해 상기 편광필름과 상기 윈도우 기판 사이에 접착되는 투명접착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필름과 상기 편광필름은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고, 상기 투명접착필름은 상기 편광필름과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필름과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사이의 높이 차로 인한 단차를 채우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상에 도포되는 자외선 경화 수지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영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보다 외곽에 접착되는 연성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과 상기 편광필름은,
적어도 상기 표시영역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 연성 기판의 표시영역에 형성되는 화소들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화소들을 덮도록 상기 연성 기판상에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보호필름상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보호필름 및 상기 편광필름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연성 기판의 비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 구동회로를 접착하는 단계;
연성 필름을 상기 비표시영역에 접착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와 상기 연성 필름에 자외선 경화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편광필름과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를 덮도록 상기 편광필름상에 투명접착필름을 접착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접착필름상에 윈도우 기판을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와 상기 연성 필름에 자외선 경화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는,
상기 편광필름과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사이의 높이 차로 인한 단차를 채우도록 상기 자외선 경화 수지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필름을 상기 비표시영역에 접착하는 단계는,
상기 연성필름을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보다 외곽에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기판상에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는,
적어도 상기 표시영역을 덮도록 상기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상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적어도 상기 표시영역을 덮도록 상기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연성 기판의 표시영역에 형성되는 화소들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화소들을 덮도록 상기 연성 기판상에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보호필름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연성 기판의 비표시영역에 디스플레이 구동회로를 접착하는 단계;
상기 보호필름상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연성 필름을 상기 비표시영역에 접착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와 상기 연성 필름에 자외선 경화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편광필름과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를 덮도록 상기 편광필름상에 투명접착필름을 접착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접착필름상에 윈도우 기판을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필름을 상기 비표시영역에 접착하는 단계는,
상기 연성필름을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보다 외곽에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는,
적어도 상기 표시영역을 덮도록 상기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는,
적어도 상기 표시영역을 덮도록 상기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5154A KR102045564B1 (ko) | 2012-12-27 | 2012-12-27 | 플렉서블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5154A KR102045564B1 (ko) | 2012-12-27 | 2012-12-27 | 플렉서블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85031A true KR20140085031A (ko) | 2014-07-07 |
KR102045564B1 KR102045564B1 (ko) | 2019-11-15 |
Family
ID=51734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55154A KR102045564B1 (ko) | 2012-12-27 | 2012-12-27 | 플렉서블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5564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908340B2 (en) | 2014-09-02 | 2021-02-02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US10910572B2 (en) | 2015-03-05 | 2021-02-02 | Samsung Display Co., Ltd. | Flexible display device |
WO2024019270A1 (ko) * | 2022-07-20 | 2024-01-2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의 보호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30595A (ko) * | 2005-09-13 | 2007-03-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구동회로용 보호 수지층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및 이의제조방법 |
-
2012
- 2012-12-27 KR KR1020120155154A patent/KR10204556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30595A (ko) * | 2005-09-13 | 2007-03-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구동회로용 보호 수지층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및 이의제조방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908340B2 (en) | 2014-09-02 | 2021-02-02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US10910572B2 (en) | 2015-03-05 | 2021-02-02 | Samsung Display Co., Ltd. | Flexible display device |
US11588122B2 (en) | 2015-03-05 | 2023-02-21 | Samsung Display Co., Ltd. | Flexible display device |
WO2024019270A1 (ko) * | 2022-07-20 | 2024-01-2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의 보호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45564B1 (ko) | 2019-1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304294B2 (en) | Display device | |
KR101956549B1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US10499493B2 (en) |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CN107886848B (zh) | 柔性显示装置 | |
KR102597750B1 (ko) | 플렉서블 표시장치 | |
KR102037694B1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US8369107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JP5419435B2 (ja) | 有機発光表示装置の製造方法 | |
KR102275318B1 (ko) | 영상 표시 장치 | |
KR102027289B1 (ko) |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 |
KR102200912B1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JP2020013108A (ja) | 表示装置 | |
CN105529348A (zh) | 显示设备 | |
KR20140108827A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031684B1 (ko) | 곡면형 표시패널의 제조장비와 곡면형 표시패널의 제조방법 | |
KR20150063876A (ko) | 표시장치 | |
KR102081828B1 (ko) | 표시 장치용 보호창 및 이를 사용하는 표시 장치 | |
KR102045564B1 (ko) | 플렉서블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 |
CN112542490A (zh) | 显示装置 | |
KR20240132684A (ko) | 표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