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4903A - 광 마이크로폰 및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광 마이크로폰 및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4903A
KR20140084903A KR1020120154914A KR20120154914A KR20140084903A KR 20140084903 A KR20140084903 A KR 20140084903A KR 1020120154914 A KR1020120154914 A KR 1020120154914A KR 20120154914 A KR20120154914 A KR 20120154914A KR 20140084903 A KR20140084903 A KR 20140084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optical
optical signal
rectangular frame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8750B1 (ko
Inventor
임영민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54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750B1/ko
Publication of KR20140084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 G02B26/0833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the reflecting element being a micromechanical device, e.g. a MEMS mirror, DM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2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dif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 G02B7/18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for rotating or oscillating mi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0Transducer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s H04R9/00 - H04R21/00
    • H04R23/008Transducer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s H04R9/00 - H04R21/00 using optical signals for detecting or generating sou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static, Electromagnetic, Magneto- Strictive, And 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마이크로폰 및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단들을 가지고 상기 제1 단이 오픈된 사각 프레임, 상기 제2 단에 형성되며 외부 소리에 따라 상기 사각 프레임의 복수의 면들과 떨어져서 흔들리는 진동판 및 상기 진동판의 일면에 광 신호를 반사시켜 상기 진동판의 흔들림을 검출하는 사운드 검출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단일 지향성 효과는 증가될 수 있고 광 신호 전달의 수신도는 개선되어 신뢰성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 마이크로폰 및 제작 방법{OPTICAL MICROPHONE AND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 마이크로폰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 방향에서 발생하는 외부 소리를 주로 수신할 수 있는 광 마이크로폰 및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 마이크로폰은 광섬유를 통해 역학적인 음향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광 변환기술에 기초한 것으로서, 주변의 전자기장이나 방사선에 의한 간섭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 음압에 대한 감도가 뛰어나고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그 응답 특성이 우수하여, 기존의 콘덴서 마이크로폰을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로 인정받고 있다. 또한, 광 마이크로폰은 사용하는 광 변조방식에 따라 세기변조, 위상변조, 편광변조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광 마이크로폰은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와 CT(Computed Tomography) 등의 의료 장비 시스템에서 장비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고 환자와 의사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에 응용될 수 있으며, 공항 등과 같이 소음이 심한 곳에서의 교통이나 환경 등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81669호는 진동판의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광을 전달하는 한 쌍의 광섬유가 지그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된 광 마이크로폰을 개시한다. 이러한 광 마이크로폰은 외부의 충격에 의한 광 신호 전달의 오류를 방지함으로써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93506호는 마이크로링 공진기와 진동판을 동일한 기판 상부에 형성하여 구조를 단순화시켜 소자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안정적인 소자를 구현할 수 있는 광 마이크로폰을 개시한다.
기존의 광 마이크로폰은 방향성이 없어 모든 방향에서 들리는 소리에 따라 진동판이 진동하였고, 외부의 충격에 의해 광 송신부와 광 수신부가 쉽게 흔들려 진동판의 진동을 올바르게 감지할 수 없게 되며, 이로 인해 진동판이 진동을 올바르게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지 못하므로, 성능 저하의 문제점을 갖는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81669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93506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 방향에서 발생하는 외부 소리를 주로 수신할 수 있는 광 마이크로폰 및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각 프레임을 통해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광 마이크로폰 및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진동판의 일부를 사각 프레임에 고정하여 외부 소리가 적은 경우라도 진동판의 흔들림을 발생시킬 수 있는 광 마이크로폰 및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진동판의 비 고정된 부분을 사각 프레임과 이격시켜서 외부 소리가 적은 경우라도 진동판의 흔들림을 발생시킬 수 있는 광 마이크로폰 및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광 신호 세기에 따라 사각 프레임의 제1 및 제2 단들의 면적을 다르게 하여 외부 소리가 적은 경우라도 진동판의 흔들림을 발생시킬 수 있는 광 마이크로폰 및 제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광 마이크로폰은 대향하는 제1 및 제2 단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이 오픈된 사각 프레임, 상기 제2 단에 형성되며 외부 소리에 따라 상기 사각 프레임의 복수의 면들과 떨어져서 흔들리는 진동판 및 상기 진동판의 일면에 광 신호를 반사시켜 상기 진동판의 흔들림을 검출하는 사운드 검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각 프레임은 그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진동판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각 프레임은 상기 일면의 중간에 상기 진동판을 고정시킬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각 프레임은 상기 일면의 양 말단에 상기 진동판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각 프레임은 상기 일면의 중간에서 일정 간격으로 상기 진동판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면들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면들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면의 길이보다 짧아서 상기 진동판의 흔들림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오픈된 제1 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픈될 수 있다.
상기 사각 프레임에 있는 제1 단의 면적은 상기 광 신호의 세기를 기초로 제2 단의 면적 보다 증가시켜 상기 진동판의 흔들림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단들의 면적은 하기의 수학식을 통해 설계될 수 있다.
[수학식]
S1 = f(O_sig)*S2, S1 및 S2는 제1 및 제2 단들의 면적, f(O_sig)는 상기 광 신호의 세기에 대한 함수
실시예들 중에서, 광 마이크로폰은 진동판,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픈된 제1 단과 상기 제1 단과 마주보고 그 일부에서 상기 진동판을 고정시키는 제2 단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진동판의 일면에 광 신호를 송신하는 광 송신부 및 상기 진동판의 일면에 반사되는 광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진동판의 흔들림을 검출하는 광 수신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 송신부는 소정의 광 신호 세기를 가지는 광 신호를 상기 광 송신부로 전달하는 광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 수신부는 상기 광 수신부에 의해 전송된 광 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화시키는 광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광 마이크로폰의 제작 방법은 대향하는 제1 및 제2 단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은 오픈된 사각 프레임을 배치하는 단계, 외부 소리에 따라 상기 사각 프레임의 복수의 면들과 떨어져서 흔들리는 진동판을 상기 제2 단에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진동판의 일면에 광 신호를 반사시켜 상기 진동판의 흔들림을 검출하는 사운드 검출부를 상기 배치된 사각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마이크로폰 및 이와 연관된 기술(들)은 일 방향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주로 감지하여 단일 지향성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고, 광 신호 전달의 수신도를 개선하여 신뢰성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 마이크로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 마이크로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 마이크로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광 마이크로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광 마이크로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5에 있는 실시예들 각각에서 구현될 수 있는 광 마이크로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광 마이크로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 내지 도 5 및 도 7에 있는 실시예들 각각에서 구현될 수 있는 광 송신부 및 광 수신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 내지 도 5 및 도 7에 있는 실시예들 각각에서 구현될 수 있는 광 마이크로폰의 제작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 마이크로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광 마이크로폰(100)은 사각 프레임(110), 진동판(120) 및 사운드 검출부(130)를 포함한다.
사각 프레임(110)은 오픈된 제1 단(111)을 가지는 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단(111)은 사각 프레임(110)의 진동판(120)의 반대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사각 프레임(110)의 오픈된 제1 단(111)은 사운드 검출부(130)가 외부의 소리를 송신하여 사각 프레임의 제2 단에 형성되어 있는 진동판(120)에 광 신호를 반사시켜 진동판(120)의 흔들림을 검출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사각 프레임(110)은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사각 프레임(110)의 제2 단은 제1 단(111)과 마주본다. 제2 단은 진동판(120)을 형성하여 진동판(120)을 일 방향에서 주로 발생하는 외부 소리에 따라 진동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일 방향은 오픈된 제1 단(111)의 반대 방향(예를 들어, 도 1의 상부)에 해당할 수 있다.
사각 프레임(110)은 유연하고 탄성력을 가지며 전자기장의 영향을 줄일 수 있는 절연 재질의 PDMS(Polydimethyl-siloxane)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PDMS가 적은 진동에도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사각 프레임(110)은 제2 단의 일면(112)에 진동판(1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사각 프레임(110)은 진동판(120)을 복수의 면들과 이격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면들은 일면(112)을 제외한 나머지 면들에 해당할 수 있다.
진동판(120)은 사각 프레임(110)의 제1 단(111)과 마주보는 제2 단에 형성되고 외부 소리에 따라 사각 프레임(110)의 복수의 면들과 떨어져서 흔들릴 수 있다. 즉, 진동판(120)은 사각 프레임(110)의 제2 단 일면(112)에 고정될 수 있다.
진동판(120)은 외부 소리에 따라 흔들리고 광 신호를 반사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동판(120)의 두께는 외부의 미세한 소리 압력에도 흔들릴 수 있도록 약 0.1 um ~ 10 um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동판(120)은 반사율이 우수하도록 금속(예를 들어, 금, 은, 알루미늄, 구리, 니켈 등)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금속으로 코팅될 수 있다.
진동판(120)은 외부 소리(음파)의 세기에 비례하여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소리의 세기가 커지면 진동판(120)의 흔들림이 커지게 되고, 사운드 검출부(130)는 진동판(120)에 의해 반사되는 광 신호에 따라 상대적으로 큰 진동판(120)의 흔들림을 검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외부 소리의 세기가 작아지면 진동판(120)의 흔들림이 작아지게 되고, 사운드 검출부(130)는 진동판(120)에 의해 반사되는 광 신호에 따라 상대적으로 적은 진동판(120)의 흔들림을 검출할 수 있다.
사운드 검출부(130)는 광 신호를 생성하여 진동판(120)의 일면에 광 신호를 반사시켜 진동판(120)의 흔들림을 검출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있는 사운드 검출부에 포함된 광 송신부 및 광 수신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광 마이크로폰(100)은 진동판(810), 프레임(820), 광 송신부(830) 및 광 수신부(84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진동판(810) 및 프레임(820)은 상기 도 1에서 도시된 진동판(120) 및 사각 프레임(1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광 송신부(830)는 광원부(831)를 포함하고, 진동판(810)의 일면에 광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광원부(831)는 소정 광 신호의 세기를 가지는 광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발광다이오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광 신호는 1,550 um ~ 1,600 um 파장의 광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해당 파장의 광이 전송 손실이 가장 적고 광섬유의 특성과 잘 부합되기 때문이다.
광 수신부(840)는 광 검출부(841)를 포함하고, 광 송신부(830)에 의해 송신된 광 신호를 진동판(810)을 통해 반사 광 신호로서 수신한다. 즉, 광 수신부(840)는 진동판(810)이 광 신호를 반사하면 반사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진동판(810)은 외부 소리의 세기에 비례하여 흔들릴 수 있다. 광 검출부(841)는 포토 다이오드로 구현될 수 있고, 반사 광 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광 송신부(830)와 광 수신부(840)는 사각 프레임(820)의 제2 단의 중앙을 향해 경사질 수 있다. 즉, 광 송신부(830)와 광 수신부(840)는 서로 이격되고, 가상 연장선은 진동판(810)의 하부에서 교차될 수 있다.
다시 도 1에서, 사운드 검출부(130)는 비록 도 1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광섬유를 통해 광 신호를 진동판(120)에 송신하는 광 송신부(830)와 진동판(120)에서 반사된 광 신호를 수신하는 광 수신부(8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 마이크로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광 마이크로폰(200)은 사각 프레임(210), 진동판(220) 및 사운드 검출부(23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각 프레임(210), 진동판(220) 및 사운드 검출부(230)는 도 1에서 도시된 사운드 검출부(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사각 프레임(210)과 진동판(220) 간의 결합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사각 프레임(210)은 제2 단 일면의 중간(212)에 진동판(220)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제2 단 일면의 중간(212)은 수 미리 정도(예를 들어, 1 mm ~ 3 mm)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은 외부 소리에 대해 진동판(220)의 수평적인 흔들림을 검출하고 또한, 외부 소리의 세기가 적더라도 진동판(220)의 흔들림을 용이하게 검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단 일면의 중간(212)은 외부 환경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고, 소음이 상대적으로 적은 환경에서는 제2 단 일면의 중간(212)을 줄일 수 있으며 반대로 소음이 상대적으로 큰 환경에서는 제2 단 일면의 중간(212)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 마이크로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광 마이크로폰(300)은 사각 프레임(310), 진동판(320) 및 사운드 검출부(33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각 프레임(310), 진동판(320) 및 사운드 검출부(330)는 도 1에서 도시된 사운드 검출부(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사각 프레임(310)과 진동판(320) 간의 결합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사각 프레임(310)은 제2 단 일면의 양 말단(312)에 진동판(320)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제2 단 일면의 양 말단(312)은 수 미리 정도(예를 들어, 1 mm ~ 3 mm)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은 외부 소리에 대해 진동판(320)의 수평적인 흔들림을 검출하고 또한, 외부 소리의 세기가 적더라도 진동판(320)의 흔들림을 용이하게 검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단 일면의 양 말단(312)은 외부 환경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고, 소음이 상대적으로 적은 환경에서는 제2 단 일면의 양 말단(312)을 줄일 수 있으며 반대로 소음이 상대적으로 큰 환경에서는 제2 단 일면의 양 말단(312)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광 마이크로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광 마이크로폰(400)은 사각 프레임(410), 진동판(420) 및 사운드 검출부(43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각 프레임(410), 진동판(420) 및 사운드 검출부(430)는 도 1에서 도시된 사운드 검출부(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사각 프레임(410)과 진동판(420) 간의 결합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사각 프레임(410)은 제2 단 일면의 중간에서 일정 간격(412)으로 진동판(420)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제2 단 일면의 중간에서 일정 간격(412)은 수 미리 정도(예를 들어, 1 mm ~ 3 mm)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은 외부 소리에 대해 진동판(420)의 수평적인 흔들림을 검출하고 또한, 외부 소리의 세기가 적더라도 진동판(420)의 흔들림을 용이하게 검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단 일면의 중간에서 일정 간격(412)은 외부 환경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고, 소음이 상대적으로 적은 환경에서는 제2 단 일면의 중간에서 일정 간격(412)을 줄일 수 있으며 반대로 소음이 상대적으로 큰 환경에서는 제2 단 일면의 중간에서 일정 간격(412)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광 마이크로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광 마이크로폰(500)은 사각 프레임(510), 진동판(520) 및 사운드 검출부(53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각 프레임(510), 진동판(520) 및 사운드 검출부(530)는 도 1에서 도시된 사운드 검출부(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사각 프레임(510)과 진동판(520) 간의 결합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사각 프레임(510)의 제1 단(511) 및 제2 단을 제외한 복수의 면들의 길이는 복수의 면들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면의 길이보다 짧아서 진동판(520)의 흔들림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각 프레임(510)의 a면, b면, c면들은 d면보다 진동판(520)과 r만큼 떨어져 있어서, 진동판(520)은 광 송신부(830)에서 송신받은 광 신호에 따라 r의 간격만큼 흔들림이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각 프레임(510)의 a면, b면, c면들은 d면보다 진동판(520)과 0.1 um ~ 10 um 떨어져 있어서, 광 송신부(830)에서 송신받은 광 신호에 따라 0.1 um ~ 10 um 만큼 진동판(520)의 흔들림이 증가될 수 있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5에 있는 실시예들 각각에서 구현될 수 있는 광 마이크로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광 마이크로폰(600)은 사각 프레임(610), 진동판(620) 및 사운드 검출부(63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각 프레임(610), 진동판(620) 및 사운드 검출부(630)는 도 1에서 도시된 진동판(1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사각 프레임(610)과 사운드 검출부(630) 간의 결합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사각 프레임(610)의 제1 단(611)은 부분적으로 오픈될 수 있으며, 오픈된 홀(611-1, 611-2, 611-3) 사이로 사운드 검출부(630)가 통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각 프레임(610)의 제1 단(611)은 가운데에 하나의 작은 홀(6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홀(611-1)은 광 송신부(830) 및 광 수신부(840)를 통과시킬 수 있다. 홀(611-1)은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사운드 검출부(630)가 흔들려 진동판(620)의 진동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를 예방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각 프레임(610)의 제1 단(611)은 가운데에 적어도 두 개의 작은 홀(611-2, 611-3)이 형성되어 있고, 제1 홀(611-2)은 광 송신부(830)를 통과시킬 수 있으며, 제2 홀(611-3)은 광 수신부(611-3)를 통과시킬 수 있다. 제1 홀(611-2) 및 제2 홀(611-3)은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사운드 검출부(630)가 흔들려 진동판(620)의 진동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를 예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광 마이크로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광 마이크로폰(700)은 사각 프레임(710), 진동판(720) 및 사운드 검출부(7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각 프레임(710), 진동판(720) 및 사운드 검출부(730)는 도 1에서 도시된 진동판(120) 및 사운드 검출부(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사각 프레임(710)의 결합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사각 프레임(710)은 제1 단(711)의 면적이 제2 단의 면적보다 증가되어 구현될 수 있다. 제1 단(711)의 면적은 광 송신부(830)에서 송신하는 광 신호의 세기를 기초로 제2 단의 면적 보다 증가시켜 진동판(720)의 흔들림을 제어할 수 있다.
사각 프레임(710)의 제1 단(711) 및 제2 단의 면적은 하기의 수학식을 통해 설계될 수 있다.
[수학식]
S1 = f(O_sig)*S2
(여기에서, S1 및 S2는 제1 및 제2 단들의 면적, f(O_sig)는 광 신호의 세기에 대한 함수)
사각 프레임(710)의 제1 단(711)은 광 송신부(830)에서 진동판(720)의 일면으로 광 신호를 반사시킬 때, 광 신호의 세기가 크면 면적이 커지며, 광 신호의 세기가 약하면 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제1 단(711)의 면적은 사각 프레임(710)의 제2 단의 면적에 광 신호의 세기를 곱한 값 즉, 광 송신부(830)에서 반사시키는 광 신호의 세기와 사각 프레임(710)의 제2 단의 면적에 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각 프레임(710)은 면적이 클수록 광 송신부(830)에서 진동판(720)의 일면에 반사시키는 광 신호의 세기가 커지게 되고, 광 수신부(840)는 진동판(720)의 흔들림을 크게 검출할 수 있다.
사각 프레임(710)은 면적이 작을수록 광 송신부(830)에서 진동판(720)의 일면에 반사시키는 광 신호의 세기가 작아지게 되고, 광 수신부(840)는 진동판(720)의 흔들림을 작게 검출할 수 있다.
도 8은 도 1 내지 도 5 및 도 7에 있는 실시예들 각각에서 구현될 수 있는 광 송신부 및 광 수신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광 마이크로폰(100)은 진동판(810), 프레임(820), 광 송신부(830) 및 광 수신부(84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진동판(810) 및 프레임(820)은 상기 도 1에서 도시된 진동판(120) 및 사각 프레임(1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광 송신부(830)는 광원부(831)를 포함하고, 진동판(810)의 일면에 광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광원부(831)는 소정 광 신호의 세기를 가지는 광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발광다이오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광 신호는 1,550 um ~ 1,600 um 파장의 광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해당 파장의 광이 전송 손실이 가장 적고 광섬유의 특성과 잘 부합되기 때문이다.
광 수신부(840)는 광 검출부(841)를 포함하고, 광 송신부(830)에 의해 송신된 광 신호를 진동판(810)을 통해 반사 광 신호로서 수신한다. 즉, 광 수신부(840)는 진동판(810)이 광 신호를 반사하면 반사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진동판(810)은 외부 소리의 세기에 비례하여 흔들릴 수 있다. 광 검출부(841)는 포토 다이오드로 구현될 수 있고, 반사 광 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광 송신부(830)와 광 수신부(840)는 사각 프레임(820)의 제2 단의 중앙을 향해 경사질 수 있다. 즉, 광 송신부(830)와 광 수신부(840)는 서로 이격되고, 가상 연장선은 진동판(810)의 하부에서 교차될 수 있다.
다시 도 1에서, 사운드 검출부(130)는 비록 도 1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광섬유를 통해 광 신호를 진동판(120)에 송신하는 광 송신부(830)와 진동판(120)에서 반사된 광 신호를 수신하는 광 수신부(840)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마이크로폰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9는 도 1 내지 도 5 및 도 7에 있는 실시예들 각각에서 구현될 수 있는 광 마이크로폰의 제작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대향하는 제1 단(821) 및 제2 단을 가지고 제1 단(821)은 오픈된 사각 프레임(820)을 배치한다(단계 S101). 진동판(810)은 외부 소리에 따라 사각 프레임(820)의 복수의 면들과 떨어져서 흔들리도록 제2 단에 형성하여(단계 S102) 광 송신부(830)에서 진동판(810)의 일면에 반사시키는 광 신호에 의한 흔들림을 얻을 수 있도록 제공한다.
진동판(810)은 사각 프레임(820)의 오픈된 제1 단(821)과 마주보는 제2 단 일면(822)에 고정될 수 있으며, 진동판(810)은 사각 프레임(820)의 복수의 면들과 떨어져서 흔들린다. 외부 소리의 세기가 적더라도 진동판(810)의 흔들림을 용이하게 검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광 송신부(830)는 진동판(810)의 일면에 광 신호를 반사시켜 진동판(810)의 흔들림을 광 수신부(840)가 검출하도록 사각 프레임(820)에 결합시킨다(단계 S103).
이러한 결합 과정에서, 광 송신부(830)에 있는 광원부(831)와 광 수신부(840)에 있는 광 검출부(841)는 결합면의 하단(즉, 사각 프레임(820)의 바깥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는 광원부(831)와 광 검출부(841)의 크기들이 사각 프레임(820) 내부 보다 클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광 마이크로폰
110, 210, 310, 410, 510, 610, 710, 820: 사각 프레임
111, 211, 311, 411, 511, 611, 711, 821: 제1 단
120, 220, 320, 420, 520, 620, 720, 810: 진동판
130, 230, 330, 430, 530, 630, 730: 사운드 검출부
830: 광 송신부
831: 광원부
840: 광 수신부
841: 광 검출부

Claims (13)

  1. 대향하는 제1 및 제2 단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이 오픈된 사각 프레임;
    상기 제2 단에 형성되며 외부 소리에 따라 상기 사각 프레임의 복수의 면들과 떨어져서 흔들리는 진동판; 및
    상기 진동판의 일면에 광 신호를 반사시켜 상기 진동판의 흔들림을 검출하는 사운드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마이크로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 프레임은
    그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진동판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마이크로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 프레임은
    상기 일면의 중간에 상기 진동판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마이크로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 프레임은
    상기 일면의 양 말단에 상기 진동판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마이크로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 프레임은
    상기 일면의 중간에서 일정 간격으로 상기 진동판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마이크로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면들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면들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면의 길이보다 짧아서 상기 진동판의 흔들림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마이크로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된 제1 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마이크로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 프레임에 있는 제1 단의 면적은
    상기 광 신호의 세기를 기초로 제2 단의 면적 보다 증가시켜 상기 진동판의 흔들림을 제어하는 특징으로 하는 광 마이크로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들의 면적은
    하기의 수학식을 통해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마이크로폰.

    [수학식]
    S1 = f(O_sig)*S2, S1 및 S2는 제1 및 제2 단들의 면적, f(O_sig)는 상기 광 신호의 세기에 대한 함수
  10. 진동판;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픈된 제1 단과 상기 제1 단과 마주보고 그 일부에서 상기 진동판을 고정시키는 제2 단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진동판의 일면에 광 신호를 송신하는 광 송신부; 및
    상기 진동판의 일면에 반사되는 광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진동판의 흔들림을 검출하는 광 수신부를 포함하는 광 마이크로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 송신부는
    소정의 광 신호 세기를 가지는 광 신호를 상기 광 송신부로 전달하는 광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마이크로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 수신부는
    상기 광 수신부에 의해 전송된 광 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화시키는 광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마이크로폰.
  13. 대향하는 제1 및 제2 단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은 오픈된 사각 프레임을 배치하는 단계;
    외부 소리에 따라 상기 사각 프레임의 복수의 면들과 떨어져서 흔들리는 진동판을 상기 제2 단에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진동판의 일면에 광 신호를 반사시켜 상기 진동판의 흔들림을 검출하는 사운드 검출부를 상기 배치된 사각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마이크로폰의 제작 방법.
KR1020120154914A 2012-12-27 2012-12-27 광 마이크로폰 및 제작 방법 KR101418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914A KR101418750B1 (ko) 2012-12-27 2012-12-27 광 마이크로폰 및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914A KR101418750B1 (ko) 2012-12-27 2012-12-27 광 마이크로폰 및 제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903A true KR20140084903A (ko) 2014-07-07
KR101418750B1 KR101418750B1 (ko) 2014-07-11

Family

ID=51734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914A KR101418750B1 (ko) 2012-12-27 2012-12-27 광 마이크로폰 및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8750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11913A (en) * 1994-12-07 1997-07-13 Phone Or Ltd Sensor and a method for measuring distances to, and/or physical properties of, a medium
JP2001119796A (ja) * 1999-10-15 2001-04-27 Kenwood Corp 光マイクロフォン素子および光マイクロフォン装置
IL137069A0 (en) 2000-06-28 2001-06-14 Phone Or Ltd Optical microphone sensor
KR100521695B1 (ko) * 2003-12-29 2005-10-17 전자부품연구원 광학식 마이크로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8750B1 (ko) 2014-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36416A1 (zh) 麦克风芯片、麦克风及终端设备
WO2017163386A1 (ja) 光走査装置、映像装置、及びtof型分析装置
US7293463B2 (en) Acoustoelectric conversion device
CN107911782B (zh) 一种光纤传声器探头及光纤传声器系统
JP2012198193A (ja) 光ファイバ振動センサ
JP2007043291A (ja) マイクロフォン素子
WO2014192778A1 (ja) 音響機器及びその使用方法
CN209627688U (zh) 一种具有mems扬声器阵列的听筒及通信装置
CN102427573A (zh) 基于自混合干涉测量方法的实时语音信号拾取装置
CN110099343A (zh) 一种具有mems扬声器阵列的听筒及通信装置
JP7272613B2 (ja) イヤホン及び電子機器
KR101418750B1 (ko) 광 마이크로폰 및 제작 방법
CN104697624B (zh) 一种基于迈克尔逊干涉仪的声波探测器
WO2023061312A1 (zh) 麦克风结构和电子设备
KR101413159B1 (ko) 광 마이크로폰
JP2017034634A (ja) 圧電モジュール
RU2375842C1 (ru) Оптико-электронный микрофон
CN213403410U (zh) 光纤传输麦克风
EP3854110B1 (en) Speaker module having inclined diaphragm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JP2008175642A (ja) 振動検出装置
JP6765928B2 (ja) 光走査装置、tof型分析装置、および光干渉断層計測装置
US7995873B2 (en) Fiber optic sensor apparatus
CN112826492B (zh) 振动传感器及医疗成像设备
WO2020116269A1 (ja) 曲げ形状維持部、ケーブル維持構造及び信号送受信装置
WO2023021695A1 (ja) 超音波撮像素子および撮像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