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2151A - 브레이스 이송용 패드아이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브레이스 이송용 패드아이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2151A
KR20140082151A KR1020120151673A KR20120151673A KR20140082151A KR 20140082151 A KR20140082151 A KR 20140082151A KR 1020120151673 A KR1020120151673 A KR 1020120151673A KR 20120151673 A KR20120151673 A KR 20120151673A KR 20140082151 A KR20140082151 A KR 20140082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e
pad eye
center
pad
inst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1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철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1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2151A/ko
Publication of KR20140082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21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T- or I-section beams or gi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드아이의 설치위치구조를 개선하여 브레이스의 이송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브레이스 이송용 패드아이의 설치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반경이 R이고,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브레이스를 이송하기 위한 패드아이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중앙에 크레인의 와이어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패드아이와 브레이스 센터와의 거리를 [수 1]을 이용하여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상기 패드아이와 브레이스 센터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패드아이를 상기 브레이스의 일측면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브레이스 이송용 패드아이의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수 1]
L=
Figure pat00004
Ⅹ (R+H) Ⅹ 안전계수
L : 브레이스 센터에서 패드아이까지의 거리
θ : 브레이스 설치각도
R : 브레이스 반경
H : 브레이스와 결합홈 중심과의 거리

Description

브레이스 이송용 패드아이의 설치방법{METHOD FOR INSTALLING PADEYE FOR TRANSFERING BRACE}
본 발명은 브레이스 이송용 패드아이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브레이스를 이송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패드아이의 설치방법을 개선하여 브레이스의 이송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브레이스 이송용 패드아이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레이스(brace)는 구조물 등에 사용하는 지주, 철근 등을 명명하는 것으로서, 선박의 탑사이드 구조물의 보강을 위하여 사용되며, H빔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브레이스는 크레인에 의하여 설치위치로 이송되는데, 브레이스에는 브레이스 이송 시 크레인과 연결시키기 위한 패드아이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패드아이가 설치된 브레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패드아이(20)는 크레인의 와이어(30)를 체결하는 결합홈(21)이 중앙에 형성되며, 한 쌍의 패드아이(20)가 브레이스(10)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브레이스(10)를 이송하는 경우, 브레이스(10)의 양측에 형성된 패드아이(20)의 결합홈(21)에 크레인의 와이어(30)를 삽입, 결합한 후, 크레인을 작동 시켜 상기 브레이스(10)를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킨다.
이러한 브레이스(10) 양측에 패드아이(20)를 설치하고 브레이스(10)를 이송하는 방법은, 반드시 한 쌍의 패드아이(20)를 필요로 하므로 작업이 많아지고, 또한 브레이스 이송 시 흔들림이 발생하여 정확한 위치 및 정확한 각도로 이동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송된 상기 브레이스(10)를 경사지게 위치시킨 후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브레이스 양측에 패드아이를 설치하는 패드아이 설치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패드아이의 설치위치구조를 개선하여 브레이스의 이송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브레이스 이송용 패드아이의 설치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반경이 R이고,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브레이스를 이송하기 위한 패드아이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중앙에 크레인의 와이어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패드아이와 브레이스 센터와의 거리를 [수 1]을 이용하여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상기 패드아이와 브레이스 센터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패드아이를 상기 브레이스의 일측면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브레이스 이송용 패드아이의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 의한 브레이스 이송용 패드아이의 설치방법에 따르면, 브레이스 일측의 특정위치에 패드아이를 설치하여 소요되는 패드아이의 개수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브레이스를 보다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각도로 설치위치에 이송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브레이스 이송용 패드아이의 설치방법으로 설치한 패드아이를 구비한 브레이스를 이송하는 경우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레이스 이송용 패드아이의 설치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브레이스 이송용 패드아이의 설치방법으로 설치한 패드아이를 구비한 브레이스를 이송하는 경우의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부의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레이스 이송용 패드아이의 설치방법은, 패드아이와 브레이스 센터와의 거리를 결정하는 단계(S100) 및 브레이스를 결합하는 단계(S200)를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스(110)는, 반경이 R이고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패드아이(120)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브레이스를 이송하기 위하여 임시로 설치되는 브라켓으로서, 중앙에 크레인의 와이어(13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홈(1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패드아이(120)는 상기 브레이스 중량에 따라 결정되며, 브레이스 이송 후에는 제거된다.
상기 패드아이(120)를 설치하기 위하여, 우선 상기 패드아이(120)와 브레이스 센터(C) 사이의 거리를 결정한다.(S100)
상기 브레이스 센터(C)는 브레이스의 정 가운데 부분을 의미하며, 상기 브레이스 센터(C)와 패드아이(120)의 설치위치 사이의 거리(L)은 다음 [수 1]을 통하여 구하여 진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2
[수학식 1] 을 참조하면, 상기 브레이스 센터(C)와 패드아이(120)의 설치위치 사이의 거리는, 브레이스(110)의 설치각도(θ), 브레이스 반경(R), 브레이스(110)와 결합홈 중심과의 거리(H) 및 안전계수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브레이스(110)의 설치각도(θ)는, 도면상에 도시되는 설치각도로서 설계 조건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스 반경(R)은 원형 단면을 가지는 빔 형태로 형성된 브레이스의 반지름에 해당하는 것이다
브레이스(110)와 상기 패드아이(120)의 결합홈 중심과의 거리(H)는, 브레이스(110)의 일측표면과 패드아이(120)에 형성된 결합홈의 중심과의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안전계수는, 1.1 정도로 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브레이스 센터(C)에서 패드아이(120)까지의 거리(L)이 결정되면, 상기 브레이스 센터(C)에서 패드아이(120)까지의 거리에 따라 상기 패드아이(120)를 상기 브레이스(110)의 일측면에 결합시킨다.
상기 패드아이(120)는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패드아이(120)가 상기 브레이스(110)에 결합되면, 상기 패드아이(120)의 결합홈(121)으로 크레인의 와이어(130)를 삽입, 체결하고, 크레인을 작동 시켜 상기 브레이스(110)를 선박의 탑사이드와 같은 소정의 설치위치로 이송시킨다.
상기 브레이스(110)가 이송되는 경우, 상기 브레이스(110)는 도면 상의 설치각도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며 이송되고, 경사진 상태로 설치위치로 이송된 브레이스(110)는 구조물과 결합되어 설치된다. 이에 따라 브레이스(110)를 설치각도에 맞추어 별도로 회전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공정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된다.
상기 브레이스(110)의 설치가 종료되면 상기 패드아이(120)를 제거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브레이스 120 : 패드아이
121 : 결합홈 130 : 크레인와이어

Claims (2)

  1. 반경이 R이고,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브레이스를 이송하기 위한 패드아이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중앙에 크레인의 와이어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패드아이와 브레이스 센터와의 거리를 [수 1]을 이용하여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상기 패드아이와 브레이스 센터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패드아이를 상기 브레이스의 일측면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브레이스 이송용 패드아이의 설치방법.
    [수학식 1]
    Figure pat00003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계수는 1.1인 브레이스 이송용 패드아이의 설치방법.
KR1020120151673A 2012-12-24 2012-12-24 브레이스 이송용 패드아이의 설치방법 KR201400821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673A KR20140082151A (ko) 2012-12-24 2012-12-24 브레이스 이송용 패드아이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673A KR20140082151A (ko) 2012-12-24 2012-12-24 브레이스 이송용 패드아이의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2151A true KR20140082151A (ko) 2014-07-02

Family

ID=51733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1673A KR20140082151A (ko) 2012-12-24 2012-12-24 브레이스 이송용 패드아이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21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72011A (zh) 钢管拱肋竖向提升方法
SG11201902739UA (en) Ship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for launching and recovering vehicles
JP2014516854A (ja) ヘッドレストを車両シートに固定するための装置及びヘッドレストを備えた車両シート
CN203927088U (zh) 一种加油管总成固定支架
RU2016104607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одъема ковша
KR20140082151A (ko) 브레이스 이송용 패드아이의 설치방법
EP2590284A3 (en) Mounting device for mounting a cable or a line on a structural component of an aircraft or spacecraft, and aircraft or spacecraft
CN203937468U (zh) 汽车上摆臂锻件
JP6820605B2 (ja) 吊り具及び重量物の搬送方法
CN204077372U (zh) 选换挡软轴固定支架及汽车
US20090302643A1 (en) Method for mounting underbody elements on a motor vehicle
US20140199154A1 (en) Lifting system for lifting an item
KR20160002045U (ko) 리프팅 러그
CN103770862B (zh) 车辆座垫安装板
KR200482671Y1 (ko) 선박의 프로펠러 축 설치용 보링 바 설치 장치
CN205523524U (zh) 汽车稳定杆托架及汽车
JP6553638B2 (ja) 走行装置の取付ガイド手段を備える自動車
KR200476956Y1 (ko) 크레인의 어태치먼트 장착구조
CN205661337U (zh) 一种汽车座椅减震底座结构
JP2010073444A (ja) バッテリ搬入装置及びバッテリユニット
KR20150004379U (ko) 러그 이동용 지그
CN206374706U (zh) 一种新型前下防护支架
KR101717939B1 (ko) 와이어 하네스의 배선 안내장치
CN104370206B (zh) 变速器吊挂专用工装
KR102047683B1 (ko) 서포트 타워 운반 및 조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