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1154A - 가스 오븐 - Google Patents

가스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1154A
KR20140081154A KR1020120150580A KR20120150580A KR20140081154A KR 20140081154 A KR20140081154 A KR 20140081154A KR 1020120150580 A KR1020120150580 A KR 1020120150580A KR 20120150580 A KR20120150580 A KR 20120150580A KR 20140081154 A KR20140081154 A KR 20140081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air supply
exhaust
air
cook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0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0539B1 (ko
Inventor
문성철
김성광
황윤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0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539B1/ko
Priority to EP13198895.8A priority patent/EP2746669B1/en
Priority to CN201310714536.5A priority patent/CN103876645B/zh
Priority to US14/136,008 priority patent/US9568200B2/en
Publication of KR20140081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154A/ko
Priority to US15/407,924 priority patent/US1030965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8Arrangement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king compartments, e.g. for warming or for storing utensils or fuel containers; Arrangement of additional heating or cooking apparatus, e.g. gr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1Details arrangements for discharging combustion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24C3/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in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3/00Gaseous fuel burners
    • F23D2203/007Mixing tubes, air supply reg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하나의 조리공간을 디바이더를 장착하여 복수의 개별조리공간으로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스 오븐을 개시한다. 가스 오븐은 디바이더에 각 개별조리공간이 차단될 때 상부의 개별조리공간에 공기를 강제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강제 급기 장치와, 하부의 개별조리공간의 폐가스를 자연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자연 배기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스 오븐{Gas Oven}
본 발명은 조리공간을 디바이더에 의해 복수의 개별조리공간으로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스 오븐에 관한 것이다.
가스 오븐은 조리물이 수용되는 조리공간과, 가스와 공기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버너와,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 유로와, 불꽃을 발생시키는 점화장치를 구비하여, 조리공간에 수용된 조리물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조리하는 가전기기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연소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공기가 필요하고 연소가 발생한 후에는 폐가스인 연소 가스(combustion gas)가 발생하므로, 가스 오븐은 조리공간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급기 유로와 조리공간의 폐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 유로를 더 구비한다.
급기 유로와 배기 유로는 각각 조리공간의 내부와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킨다. 이때, 밀도 차이에 의해 따뜻한 공기는 상승하고 차가운 공기는 하강하므로, 급기 유로는 조리공간의 하부에 연통되도록 마련되고, 배기 유로는 조리공간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리공간 전체를 사용하여 조리물을 조리할 수도 있고, 조리공간을 복수의 개별조리공간으로 분할하여 복수의 개별조리공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조리물을 조리할 수도 있는 가스 오븐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조리공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의 버너를 갖는 가스 오븐에 있어서, 복수의 버너를 함께 가동시킬 수 있는 가스 오븐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가스 오븐은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공간으로서, 상기 조리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디바이더에 의해 상부의 제 1 개별조리공간과 하부의 제 2 개별조리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는 조리공간;과,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에 마련되는 제 1 버너;와,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에 마련되는 제 2 버너;와,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과 상기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메인 급기 유로;와,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의 폐가스를 배출하도록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과 상기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메인 배기 유로;와, 상기 디바이더가 상기 조리공간에 장착되거나 상기 제 1 버너와 상기 제 2 버너가 함께 가동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되, 상기 제 1 버너와 상기 제 2 버너가 함께 가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으로 공기를 강제적으로 공급하는 보조 급기 장치; 및 상기 디바이더가 상기 조리공간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의 폐가스를 배출하는 보조 배기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 급기 장치는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과 상기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보조 급기 유로와, 상기 보조 급기 유로를 개폐하는 급기 댐퍼와, 공기를 강제적으로 유동시키는 급기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 급기 유로를 형성하는 급기 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버너는 상기 급기 덕트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 중에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버너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급기 덕트의 내부에 배치되는 유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급기 덕트는 상기 급기 덕트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 중 나머지 일부가 상기 급기 덕트의 외부로 빠져나가 상기 제 1 버너의 주변으로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오버플로우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더가 상기 조리공간에서 분리되고 상기 제 1 버너와 상기 제 2 버너 중 어느 하나만 가동되는 경우에, 상기 보조 급기 장치는 상기 보조 급기 유로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오븐의 셀프 클리닝이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보조 급기 장치는 상기 보조 급기 유로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배기 장치는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과 상기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보조 배기 유로와, 상기 보조 배기 유로를 개폐하는 배기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 배기 유로는 상기 메인 배기 유로와 별개로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메인 배기 유로의 일 지점에서 상기 메인 배기 유로에 합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더가 상기 조리공간에서 분리되는 경우에, 상기 보조 배기 장치는 상기 보조 배기 유로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오븐의 셀프 클리닝이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보조 배기 장치는 상기 보조 배기 유로를 폐쇄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가스 오븐은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공간으로서, 상기 조리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디바이더에 의해 상부의 제 1 개별조리공간과 하부의 제 2 개별조리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는 조리공간;과,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에 마련되는 제 1 버너;와,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에 마련되는 제 2 버너;와,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과 상기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 1 급기 유로;와,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의 폐가스를 배출하도록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과 상기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 1 배기 유로;와,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과 상기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 2 급기 유로;와,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의 폐가스를 배출하도록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과 상기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 2 배기 유로;와, 상기 디바이더의 착탈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급기 유로를 개폐하는 급기 댐퍼;와, 상기 제 1 버너와 상기 제 2 버너가 함께 가동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급기 유로를 통해 상기 본체의 외부의 공기를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으로 강제적으로 유동시키는 급기 팬; 및 상기 디바이더의 착탈 여부에 따라 상기 제 2 배기 유로를 개폐하는 배기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더가 장착되고 상기 제 1 버너만 가동되는 제 1 모드와, 상기 디바이더가 장착되고 상기 제 2 버너만 가동되는 제 2 모드와, 상기 디바이더가 장착되고 상기 제 1 버너와 상기 제 2 버너가 함께 가동되는 제 3 모드와, 상기 디바이더가 분리되고 상기 제 1 버너만 가동되는 제 4 모드와, 상기 디바이더가 분리되고 상기 제 2 버너만 가동되는 제 5 모드와, 상기 디바이더가 분리되고 상기 제 1 버너와 상기 제 2 버너가 함께 가동되는 제 6 모드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에 공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급기 댐퍼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모드에서,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의 폐가스가 배출되도록 상기 배기 댐퍼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모드에서,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에 공기를 강제적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급기 댐퍼가 개방되고 상기 급기 팬이 가동되고,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의 폐가스가 배출되도록 상기 배기 댐퍼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모드와 상기 제 5 모드에서, 상기 조리공간의 열기가 상기 제 2 급기 유로와 상기 제 2 배기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급기 댐퍼와 상기 배기 댐퍼가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6 모드에서,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에 공기를 강제적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급기 댐퍼가 개방되고 상기 급기 팬이 가동되고,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의 열기가 상기 제 2 배기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기 댐퍼가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오븐의 셀프 클리닝이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조리공간의 열기가 상기 제 2 급기 유로와 상기 제 2 배기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급기 댐퍼와 상기 배기 댐퍼가 폐쇄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가스 오븐은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공간;과, 상기 조리공간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 1 버너;와, 상기 조리공간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 2 버너;와, 상기 조리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조리공간의 하부에 연결되는 메인 급기 유로;와, 상기 조리공간의 폐가스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조리공간의 상부에 연결되는 메인 배기 유로; 및 상기 제 1 버너와 상기 제 2 버너가 함께 가동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버너에서 발생하는 폐가스에 의해 상기 제 1 버너에서 불완전연소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 1 버너에 공기를 강제적으로 공급하는 강제 급기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가스 오븐의 조리공간을 전체적으로 사용하여 조리물을 조리할 수도 있고, 조리공간을 복수의 개별조리공간으로 분할하여 복수의 개별조리공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조리물을 조리할 수도 있다.
또한, 조리공간에 마련되는 상부 버너와 하부 버너를 동시에 가동하여 조리물을 조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오븐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가스 오븐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가스 오븐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4는 도 1의 가스 오븐의 보조 급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가스 오븐의 보조 급기 장치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보조 급기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의 가스 오븐의 보조 배기 장치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보조 배기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1의 가스 오븐의 보조 급기 장치와 보조 배기 장치의 제어 블록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가스 오븐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가스 오븐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가스 오븐(1)은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조리물을 수용하는 조리공간(40)과, 가스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버너(61,62)와, 조리공간(40)의 공기를 대류시키는 복수의 컨벡션 팬(51,52)을 포함한다.
조리공간(40)은 상부벽(31)과, 하부벽(32)과, 좌측벽(33)과, 우측벽(34)과, 후벽(35)에 의해 대략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조리물의 출납을 위해 전면은 개방되도록 마련된다. 개방된 전면은 본체(10)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도어(2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20)에는 손잡이(21)가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의 상단에는 조리물이 담긴 용기를 올려 놓고 가열시킬 수 있는 쿡탑부(13)와, 가스 오븐(1)의 각종 작동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1)와, 가스 오븐(1)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12)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조리공간(40)의 내부에는 조리물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랙(rack,미도시)을 장착할 수 있는 복수의 지지대(36)가 마련된다. 복수의 지지대(36)는 좌측벽(33)과 우측벽(34)에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대(36)에는 조리공간(40)을 분할할 수 있는 디바이더(43)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디바이더(43)는 조리공간(40)에 수평하게 장착되어, 조리공간(40)을 상부의 개별조리공간(41)과, 하부의 개별조리공간(42)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부의 개별조리공간(41)을 제 1 개별조리공간(41)으로, 하부의 개별조리공간(42)을 제 2 개별조리공간(42)으로 칭하기로 한다. 제 1 개별조리공간(41)과 제 2 개별조리공간(42) 각각의 크기가 서로 동일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제 1 개별조리공간(41)과 제 2 개별조리공간(42) 각각의 크기가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디바이더(43)는 단열 재질을 갖고, 제 1 개별조리공간(41)과 제 2 개별조리공간(42)을 단열시킬 수 있다.
제 1 개별조리공간(41)에는 복수의 버너(61,62) 중 어느 하나의 버너(61)가 마련되고, 제 2 개별조리공간(42)에는 복수의 버너(61,62) 중 나머지 하나의 버너(62)가 마련된다. 이하에서, 제 1 개별조리공간(41)에 마련되는 버너(61)를 제 1 버너(61)로, 제 2 개별조리공간(42)에 마련되는 버너(62)를 제 2 버너(62)로 칭하기로 한다. 따라서, 제 1 버너(61)는 제 1 개별조리공간(41)에 열을 발산할 수 있고, 제 2 버너(62)는 제 2 개별조리공간(42)에 열을 발산할 수 있다.
또한, 제 1 개별조리공간(41)에는 복수의 컨벡션 팬(51,52) 중 어느 하나의 컨벡션 팬(51)이 마련되고, 제 2 개별조리공간(42)에는 복수의 컨벡션 팬(51,52) 중 나머지 하나의 컨벡션 팬(52)이 마련된다. 따라서, 컨벡션 팬(51)은 제 1 개별조리공간(41)의 공기를 대류시킬 수 있고, 컨벡션 팬(52)은 제 2 개별조리공간(42)의 공기를 대류시킬 수 있다.
조리공간(40)의 하측에는 조리 용기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저장실(90)이 마련될 수 있다. 저장실(90)은 슬라이딩 인입 및 인출되는 드로어(9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드로어(91)에는 손잡이(92)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가스 오븐(1)은 제 2 개별조리공간(42)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 2 개별조리공간(42)과 본체(10)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메인 급기 유로(70)를 갖는다. 알려진 바와 같이, 연소에는 가스와 공기와 불꽃이 필요하고, 메인 급기 유로(70)를 통해 제 2 개별조리공간(42)으로 연소용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메인 급기 유로(70)는 바닥벽(32)을 관통하는 관통홀(70a)과, 저장실(90)과, 후벽(14)에 형성되는 통공(70b)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메인 급기 유로(70)는, 디바이더(43)가 조리공간(4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제 2 개별조리공간(42)에 공기를 공급하고, 디바이더(43)가 조리공간(4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조리공간(40) 전체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가스 오븐(1)은 제 1 개별조리공간(41)의 폐가스를 배출하도록 제 1 개별조리공간(41)과 본체(10)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메인 배기 유로(80)를 갖는다. 여기서, 폐가스란 연소 후에 발생하는 연소 가스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가스가 완전 연소하는 경우에는 일산화탄소와, 수증기 등이 발생하며, 가스가 불완전 연소하는 경우에는 일산화탄소, 수소, 유황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폐가스가 배출되지 않고 남아 있으면 버너에서 불완전연소가 발생하게 되므로 폐가스는 외부로 배출되어야 한다.
메인 배기 유로(80)는 상부벽(31)을 관통하는 배기홀(80a)과, 배기홀(80a)과 본체(10)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배기 덕트(80b)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배기 유로(80)는, 디바이더(43)가 조리공간(4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제 1 개별조리공간(41)의 폐가스를 배출하고, 디바이더(43)가 조리공간(4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조리공간(40) 전체의 폐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가스 오븐(1)은 제 1 개별조리공간(41)으로 공기를 자연적으로 또는 강제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보조 급기 장치(100)를 갖는다. 기본적으로 보조 급기 장치(100)는 디바이더(43)가 조리공간(40)에 장착된 경우에 제 1 개별조리공간(41)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왜냐하면, 디바이더(43)가 조리공간(40)에 장착된 경우에는 메인 급기 유로(70)를 통해 제 2 개별조리공간(42)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제 1 개별조리공간(41)으로 유동되는 것이 차단되기 때문이다.
나아가, 보조 급기 장치(100)는 제 1 버너(61)와 제 2 버너(62)가 함께 가동되는 경우에 제 1 개별조리공간(42)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특히, 이 경우에 보조 급기 장치(100)는 제 1 개별조리공간(42)으로 강제적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조 급기 장치(100)는 강제 급기 장치(100)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급기 장치(100)의 자세한 구성 및 기능에 대하여는 후에 부연 설명하겠다.
또한, 가스 오븐(1)은 제 2 개별조리공간(42)의 폐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보조 배기 장치(200)를 갖는다. 보조 배기 장치(200)는 디바이더(43)가 조리공간(40)에 장착된 경우에 제 2 개별조리공간(41)의 폐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왜냐하면, 디바이더(43)가 조리공간(40)에 장착된 경우에 제 2 개별조리공간(41)의 폐가스는 메인 배기 유로(80)를 통해 배출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보조 배기 장치(200)의 자세한 구성 및 기능에 대하여는 후에 부연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가스 오븐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가스 오븐의 보조 급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가스 오븐의 보조 급기 장치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보조 급기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보조 급기 장치(100)는 제 1 개별조리공간(41)과, 본체(10)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보조 급기 유로(110)와, 보조 급기 유로(110)를 개폐하는 급기 댐퍼(120)와, 조리공간(40) 외부의 공기를 보조 급기 유로(110)를 통해 제 1 개별조리공간(41)으로 강제로 유동시키는 급기 팬(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급기 유로(110)는 조리공간(40)의 후벽(35)과 본체(10)의 외부 케이스(14)를 모두 관통할 수 있다. 보조 급기 유로(110)는 급기 덕트(111,도 4)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급기 덕트(111)의 일부분은 제 1 개별조리공간(41)에 배치될 수 있다. 급기 덕트(111)에는 제 1 버너(61)가 삽입되는 삽입홀(113)이 마련되고, 삽입홀(113)을 통해 제 1 버너(61)의 헤드부(66)가 급기 덕트(11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가스와 공기는 제 1 버너(61)의 헤드부(66)를 통해 제 1 버너(61)의 내부공간(63)으로 유입될 수 있다. 가스는 가스 공급 유로(300)를 통해 헤드부(66)의 내부로 안내되고, 가스 공급 유로(300)의 단부에 마련되는 노즐(320)을 통해 제 1 버너(61)의 내부공간(63)으로 분사될 수 있다. 가스 공급 유로(300)는 홀더(310)에 의해 후벽(35)에 고정될 수 있다.
노즐(320)을 통해 가스가 제 1 버너(61)의 내부공간(63)으로 분사될 때, 급기 덕트(111) 내부의 공기 중 일부가 헤드부(66)에 형성된 유입홀(64)을 통해 가스와 함께 제 1 버너(61)의 내부공간(63)으로 빨려 들어갈 수 있다.
제 1 버너(61)의 내부공간(63)으로 유입되는 가스와 공기는 제 1 버너(61)의 내부공간(63)에서 혼합되어 제 1 버너(61)의 토출홀(65,도 3)을 통해 토출될 수 있다. 혼합 가스는 점화장치(미도시)에서 점화되는 불꽃에 의해 연소될 수 있다. 이때, 이와 같이 가스와 함께 제 1 버너(61)로 유입되는 공기를 1차 공기라고 칭할 수 있다.
한편, 급기 덕트(111) 내부의 공기 중 나머지 일부는 급기 덕트(111)에 형성되는 오버플로우홀(112)을 통해 급기 덕트(111)를 빠져 나가 제 1 개별조리공간(41)으로 공급될 수 있다.
오버플로우홀(112)을 통해 제 1 개별조리공간(41)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제 1 버너(61)의 토출홀(65) 주변으로 유동하여 토출홀(65)에서 토출되는 가스와 함께 혼합되어 연소될 수 있다. 이때, 이와 같이 제 1 버너(61)의 내부로 유동되지 않고, 오버플로우홀(112)을 통해 제 1 버너(61)의 토출홀(65) 주변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2차 공기라고 칭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버너(61)는 1차 공기와 2 차 공기를 공급받아 연소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한편, 급기 팬(130)은 조리공간(40)의 외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제 1 버너(61)의 내부 또는 제 1 버너(61)의 주변으로 유동시킨다. 이와 같이, 급기 팬(130)이 공기를 강제로 유동시키는 이유는 제 1 버너(61)와, 제 2 버너(62)의 동시 가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왜냐하면, 제 1 버너(61)와 제 2 버너(62)가 동시에 가동되면 제 2 버너(62)에서 발생하는 폐가스가 상승하여 제 1 버너(61)의 주변으로 유동되고, 이렇게 제 1 버너(61)의 주변으로 유입되는 폐가스에 의해 제 1 버너(61)에서 불완전연소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다른 관점에서, 제 2 버너(62)의 폐가스에 의해 1 버너(61)로의 2차 공기의 공급이 원활해지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1 버너(61)와 제 2 버너(62)가 동시에 가동될 수 있으려면, 급기 팬(130)에 의해 강제 급기되는 공기 중에 오버플로우홀(112)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제 2 버너(62)의 폐가스를 메인 배기 유로(80)로 밀어낼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양이 되어야 한다.
한편, 디바이더(43)가 조리공간(40)에서 분리된 경우는 물론이고, 디바이더(43)가 조리공간(40)에 장착된 경우에도, 급기 팬(130)에 의한 강제 급기가 필요하다. 왜냐하면, 디바이더(43)가 조리공간(40)에 장착된 경우에도 디바이더(43)와 도어(20) 사이의 틈새, 디바이더(43)와 양측벽(33,34,도 2) 사이의 틈새 및 디바이더(43)와 후벽(35) 사이의 틈새를 통해 제 2 버너(62)의 폐가스가 제 1 버너(61) 주변으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디바이더(43)가 조리공간(40)에서 분리되고 제 1 버너(61)와 제 2 버너(62) 중에 어느 하나만 가동되는 경우에 급기 댐퍼(120)는 보조 급기 유로(110)를 폐쇄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이 경우에 조리공간(40)으로의 공기의 공급은 메인 급기 유로(70)를 통해 이루어지고, 조리공간(40)의 폐가스의 배출은 메인 배기 유로(8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조 급기 유로(110)가 개방되면 오히려 조리공간(40)의 뜨거운 폐가스가 불필요하게 많이 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가스 오븐(1)이 고온으로 셀프 클리닝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급기 댐퍼(120)는 보조 급기 유로(110)를 폐쇄하여야 한다.
한편, 보조 급기 장치(100)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달성할 수 있는 한도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에 그 일례를 도시하였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급기 장치(100)는 보조 급기 유로(110)를 형성하는 급기 덕트(111)와, 보조 급기 유로(110)를 개폐하는 급기 댐퍼(120)와, 급기 댐퍼(120)를 구동시키는 댐퍼 구동 모터(122)와,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급기 팬(130)과, 급기 팬(130)을 구동시키는 팬 모터(131)와, 급기 댐퍼(12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 스위치(125)를 포함할 수 있다.
급기 덕트(111)는 제 1 덕트부(111a)와, 제 2 덕트부(111b)와, 제 3 덕트부(11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덕트부(111a)와, 제 2 덕트부(111b), 제 3 덕트부(111c)는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 1 덕트부(111a)는 후벽(35,도 3)과, 외부 케이스(14,도 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 2 덕트부(111b)와, 제 3 덕트부(111c)는 외부 케이스(14)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급기 덕트(111)는 제 1 덕트부(111a)에 연결되고 제 1 개별조리공간(41)의 내부에 배치되는 혼합 덕트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혼합 덕트부에는 가스 공급 유로(300,도 4)와 제 1 버너(61,도 4)가 삽입될 수 있다. 혼합 덕트부에는 오버플로우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덕트부(111a)와 제 2 덕트부(111b)는 각각 지지브래킷(126)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브래킷(126)은 체결부재(S1)에 의해 외부 케이스(14,도 3)에 결합될 수 있다.
급기 댐퍼(120)는 힌지축(1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 1 덕트부(111a)에 결합될 수 있다. 급기 댐퍼(120)는 제 1 개별조리공간(41)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후벽(35,도 3)과, 외부 케이스(14,도 3)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급기 댐퍼(120)를 구동하는 댐퍼 구동 모터(122)는 제 2 덕트부(111b)에 결합될 수 있다. 댐퍼 구동 모터(122)의 출력축에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 회전 레버(123)가 결합되어, 댐퍼 구동 모터(122)의 가동 시에 회전 레버(123)가 회전할 수 있다.
회전 레버(123)는 그 회전축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돌출되는 삽입바(123a)를 포함하고, 삽입바(123a)는 가압 레버(124)에 형성되는 삽입홀(124a)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가압 레버(124)의 삽입홀(124a)은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회전 레버(123)의 회전 운동은 가압 레버(124)의 수평 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가압 레버(124)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압바(124b)를 포함하고, 가압바(124b)는 급기 댐퍼(120)에 접촉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회전 레버(123)의 회전 방향에 따라 가압 레버(124)의 가압바(124b)가 급기 댐퍼(120)를 미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압 레버(124)의 가압바(124b)가 급기 댐퍼(120)를 밀게 되면 급기 댐퍼(120)는 개방될 수 있고, 가압 레버(124)가 급기 댐퍼(120)를 미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 급기 댐퍼(120)는 자중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감지 스위치(125)는 제 2 덕트부(111b)에 결합되어 급기 댐퍼(120)의 개폐 여부 및 개도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 스위치(125)는 회전 레버(123)의 회전 방향 및 회전량을 측정하여 급기 댐퍼(120)의 개폐 여부 및 개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제 3 덕트부(111c)는 스크롤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결합 브래킷(127)에 의해 제 2 덕트부(111b)에 결합될 수 있다. 제 3 덕트부(111c)의 팬설치부(111d)에 급기 팬(130)이 설치될 수 있다. 급기 팬(130)은 원심팬일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보조 배기 장치(200)는 제 2 개별조리공간(42)과, 조리공간(40)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보조 배기 유로(210)와, 보조 배기 유로(210)를 개폐하는 배기 댐퍼(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배기 유로(210)는 조리공간(40)의 후벽(35)과 본체(10)의 외부 케이스(14)의 사이의 공간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메인 배기 유로(80)에 합류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는 다르게, 보조 배기 유로(210)는 메인 배기 유로(80)에 합류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본체(1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써, 제 2 개별조리공간(42)의 폐가스는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디바이더(43)가 조리공간(40)에서 분리되는 경우에 배기 댐퍼(220)는 보조 배기 유로(210)를 폐쇄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이 경우에 조리공간(40)의 폐가스는 메인 배기 유로(80)를 통해 배출될 수 있고, 보조 배기 유로(210)가 개방되면 오히려 조리공간(40)의 뜨거운 폐가스가 보조 배기 유로(210)를 통해 불필요하게 많이 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가스 오븐(1)이 고온으로 셀프 클리닝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배기 댐퍼(220)는 보조 급기 유로(210)를 폐쇄하여야 한다.
한편, 보조 배기 장치(200)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달성할 수 있는 한도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에 그 일례를 도시하였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배기 장치(200)는 보조 배기 유로(210)를 형성하는 덕트부(211)와, 보조 배기 유로(210)를 개폐하는 배기 댐퍼(220)와, 배기 댐퍼(220)를 구동시키는 댐퍼 구동 모터(222)와, 배기 댐퍼(22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 스위치(225)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부(211)는 후벽(35,도 3)과, 외부 케이스(14,도 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 배기 장치(200)는 배기 덕트부(211)와 메인 배기 유로(80)를 연결하거나 덕트부(211)와 본체(10)의 외부를 연결하는 연장 덕트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기 덕트부(211)와 연장 덕트부는 함께 보조 배기 유로(210)를 형성할 수 있다.
배기 덕트부(211)는 지지브래킷(226)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브래킷(226)은 체결부재(S2)에 의해 후벽(35,도 3)에 결합될 수 있다.
배기 댐퍼(220)는 힌지축(2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기 덕트부(211)에 결합될 수 있다. 배기 댐퍼(120)는 제 2 개별조리공간(42)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후벽(35,도 3)과, 외부 케이스(14,도 3)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배기 댐퍼(220)를 구동하는 댐퍼 구동 모터(222)는 결합브래킷(227)에 결합될 수 있다. 댐퍼 구동 모터(222)의 출력축에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 회전 레버(223)가 결합되어, 댐퍼 구동 모터(222)의 가동 시에 회전 레버(223)가 회전할 수 있다.
회전 레버(223)는 그 회전축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돌출되는 삽입바(223a)를 포함하고, 삽입바(223a)는 가압 레버(224)에 형성되는 삽입홀(224a)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가압 레버(224)의 삽입홀(224a)은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회전 레버(223)의 회전 운동은 가압 레버(224)의 수평 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가압 레버(224)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가압바(224b)를 포함하고, 가압바(224b)는 배기 댐퍼(220)에 접촉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회전 레버(223)의 회전 방향에 따라 가압 레버(224)의 가압바(224b)가 배기 댐퍼(220)를 미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압 레버(224)의 가압바(224b)가 배기 댐퍼(220)를 밀게 되면 배기 댐퍼(220)는 개방될 수 있고, 가압 레버(224)가 급기 댐퍼(220)를 미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 배기 댐퍼(220)는 자중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감지 스위치(225)는 결합브래킷(227)에 결합되어 배기 댐퍼(220)의 개폐 여부 및 개도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 스위치(225)는 회전 레버(223)의 회전 방향 및 회전량을 측정하여 배기 댐퍼(220)의 개폐 여부 및 개도를 감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가스 오븐의 보조 급기 장치와 보조 배기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가스 오븐의 동작 및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조 급기 장치(100)와, 보조 배기 장치(200)는 디바이더(43)의 장착 여부와, 제 1 버너(61)의 가동 여부와, 제 2 버너(62)의 가동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된다.
이를 위해 가스 오븐(1)은 디바이더(43)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디바이더 착탈 감지부(410)와, 제 1 버너(61)의 가동 여부를 감지하는 제 1 버너 가동 감지부(420)와, 제 2 버너(62)의 가동 여부를 감지하는 제 2 버너 가동 감지부(430)와, 디바이더(43)의 장착 여부와, 제 1 버너(61)의 가동 여부와, 제 2 버너(62)의 가동 여부에 따라 보조 급기 장치(100)와, 보조 배기 장치(200)를 구동시키는 제어부(440)를 포함한다.
디바이더 착탈 감지부(410)는 디바이더 감지 스위치(44,도 3)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더 감지 스위치(44)는 디바이더(43)에 의해 가해 지는 물리적 가압을 통해 디바이더(43)의 장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 1 버너(61) 및 제 2 버너(62)의 가동 여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 1 버너 가동 감지부(420) 및 제 2 버너 가동 감지부(430)는 각각 조작부(12)에 입력된 조작 신호를 통해 제 1 버너(61) 및 제 2 버너(62)의 가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스 오븐(1)은 디바이더(43)의 장착 여부와, 제 1 버너(61) 및 제 2 버너(62)의 가동 여부에 따라 총 6 가지 모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가스 오븐(1)은 디바이더(43)가 장착되고 제 1 버너(61)만 가동되는 제 1 모드와, 디바이더(43)가 장착되고 제 2 버너(62)만 가동되는 제 2 모드와, 디바이더(43)가 장착되고 제 1 버너(61)와 제 2 버너(62)가 함께 가동되는 제 3 모드와, 디바이더(43)가 분리되고 제 1 버너(61)만 가동되는 제 4 모드와, 디바이더(43)가 분리되고 제 2 버너(62)만 가동되는 제 5 모드와, 디바이더(43)가 분리되고 제 1 버너(61)와 제 2 버너(62)가 함께 가동되는 제 6 모드를 가질 수 있다.
각 모드에서 급기 댐퍼(120)의 개폐 여부와, 급기 팬(130)의 가동 여부와, 배기 댐퍼(220)의 개폐 여부를 정리하면 아래의 표와 같다.
Figure pat00001

즉, 제 1 모드에서 제 1 개별조리공간(41)으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급기 댐퍼(120)가 개방된다.
제 2 모드에서 제 2 개별조리공간(42)의 폐가스가 배출되도록 배기 댐퍼(220)가 개방된다.
제 3 모드에서 제 1 개별조리공간(41)으로 공기를 강제로 공급하도록 급기 댐퍼(120)가 개방되고 급기 팬(130)이 가동되고, 제 2 개별조리공간(42)의 폐가스가 배출되도록 배기 댐퍼(220)가 개방된다.
제 4 모드와 제 5 모드에서 조리공간(40)의 열기가 보조 급기 유로(110)와 보조 배기 유로(21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급기 댐퍼(120)와 배기 댐퍼(220)가 폐쇄된다.
제 6 모드에서 제 1 개별조리공간(41)으로 공기를 강제로 공급하도록 급기 댐퍼(120)가 개방되고 급기 팬(130)이 가동되고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42)의 열기가 보조 배기 유로(21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기 댐퍼(220)가 폐쇄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가스 오븐(1)은 사용자의 선호 및 필요에 의해 다양한 조리환경으로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사상은 디바이더(43)가 구비되는 가스 오븐(1)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바이더(43)가 없더라도 복수의 버너(61,62)를 갖는 가스 오븐(1)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종래 가스 오븐(1)의 경우 상부 버너(61) 주변으로 하부 버너(62)에서 발생하는 폐가스가 유동되어 상부 버너(61)에서 불완전 연소가 발생되고, 따라서, 복수의 버너(61,62)를 함께 가동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보조 급기 장치(100)를 통해 상부 버너(61)에 원활하게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여 줌으로써 복수의 버너(61,62)를 함께 가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설명한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가스 오븐 10 : 본체
11 : 디스플레이 12 : 조작부
13 : 쿡탑부 14 : 외부 케이스
20 : 도어 21 : 손잡이
30 : 조리실 31 : 상부벽
32 : 바닥벽 33 : 좌측벽
34 : 우측벽 35 : 후벽
36 : 지지대 40 : 조리공간
41 : 제 1 개별조리공간 42 : 제 2 개별조리공간
43 : 디바이더 44 : 디바이더 감지 스위치
51 : 제 1 컨벡션 팬 52 : 제 2 컨벡션 팬
61 : 제 1 버너 62 : 제 2 버너
63 : 버너 내부공간 64 : 유입홀
65 : 토출홀 66 : 헤드부
70 : 메인 급기 유로 70a : 관통홀
70b : 통공 80 : 메인 배기 유로
80a : 배기홀 80b : 배기 덕트
90 : 저장실 91 : 드로어
100 : 보조 급기 장치 110 : 보조 급기 유로
111 : 급기 덕트 111a,111b,111c : 제 1,2,3 덕트부
111c : 팬설치부 112 : 오버플로우홀
113 : 삽입홀 120 : 급기 댐퍼
121 : 힌지축 122 : 급기 댐퍼 구동 모터
123 : 회전 레버 123a : 삽입바
124 : 가압 레버 124a : 삽입홀
124b : 가압바 125 : 감지 스위치
126 : 지지브래킷 127 : 결합브래킷
130 : 급기 팬 131 : 팬 구동 모터
200 : 보조 배기 장치 210 : 보조 배기 유로
211 : 덕트부 220 : 배기 댐퍼
221 : 힌지축 222 : 배기 댐퍼 구동 모터
223 : 회전 레버 223a : 삽입바
224 : 가압 레버 224a : 삽입홀
225 : 감지 스위치 226 : 지지브래킷
227 : 결합브래킷 300 : 가스 공급 유로
310 : 홀더 320 : 분사노즐
410 : 디바이더 착탈 감지부 420 : 제 1 버너 가동 감지부
430 : 제 2 버너 가동 감지부 440 : 제어부

Claims (18)

  1.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공간으로서, 상기 조리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디바이더에 의해 상부의 제 1 개별조리공간과 하부의 제 2 개별조리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는 조리공간;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에 마련되는 제 1 버너;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에 마련되는 제 2 버너;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과 상기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메인 급기 유로;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의 폐가스를 배출하도록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과 상기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메인 배기 유로;
    상기 디바이더가 상기 조리공간에 장착되거나 상기 제 1 버너와 상기 제 2 버너가 함께 가동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되, 상기 제 1 버너와 상기 제 2 버너가 함께 가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으로 공기를 강제적으로 공급하는 보조 급기 장치; 및
    상기 디바이더가 상기 조리공간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의 폐가스를 배출하는 보조 배기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오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급기 장치는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과 상기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보조 급기 유로와, 상기 보조 급기 유로를 개폐하는 급기 댐퍼와, 공기를 강제적으로 유동시키는 급기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오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급기 유로를 형성하는 급기 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버너는 상기 급기 덕트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 중에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버너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급기 덕트의 내부에 배치되는 유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오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 덕트는 상기 급기 덕트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 중 나머지 일부가 상기 급기 덕트의 외부로 빠져나가 상기 제 1 버너의 주변으로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오버플로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오븐.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더가 상기 조리공간에서 분리되고 상기 제 1 버너와 상기 제 2 버너 중 어느 하나만 가동되는 경우에, 상기 보조 급기 장치는 상기 보조 급기 유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오븐.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오븐의 셀프 클리닝이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보조 급기 장치는 상기 보조 급기 유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오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기 장치는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과 상기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보조 배기 유로와, 상기 보조 배기 유로를 개폐하는 배기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오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기 유로는 상기 메인 배기 유로와 별개로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메인 배기 유로의 일 지점에서 상기 메인 배기 유로에 합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오븐.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더가 상기 조리공간에서 분리되는 경우에, 상기 보조 배기 장치는 상기 보조 배기 유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오븐.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오븐의 셀프 클리닝이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보조 배기 장치는 상기 보조 배기 유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오븐.
  11.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공간으로서, 상기 조리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디바이더에 의해 상부의 제 1 개별조리공간과 하부의 제 2 개별조리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는 조리공간;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에 마련되는 제 1 버너;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에 마련되는 제 2 버너;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과 상기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 1 급기 유로;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의 폐가스를 배출하도록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과 상기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 1 배기 유로;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과 상기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 2 급기 유로;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의 폐가스를 배출하도록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과 상기 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제 2 배기 유로;
    상기 디바이더의 착탈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급기 유로를 개폐하는 급기 댐퍼;
    상기 제 1 버너와 상기 제 2 버너가 함께 가동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급기 유로를 통해 상기 본체의 외부의 공기를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으로 강제적으로 유동시키는 급기 팬; 및
    상기 디바이더의 착탈 여부에 따라 상기 제 2 배기 유로를 개폐하는 배기 댐퍼; 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더가 장착되고 상기 제 1 버너만 가동되는 제 1 모드와, 상기 디바이더가 장착되고 상기 제 2 버너만 가동되는 제 2 모드와, 상기 디바이더가 장착되고 상기 제 1 버너와 상기 제 2 버너가 함께 가동되는 제 3 모드와, 상기 디바이더가 분리되고 상기 제 1 버너만 가동되는 제 4 모드와, 상기 디바이더가 분리되고 상기 제 2 버너만 가동되는 제 5 모드와, 상기 디바이더가 분리되고 상기 제 1 버너와 상기 제 2 버너가 함께 가동되는 제 6 모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오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에 공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급기 댐퍼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오븐.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드에서,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의 폐가스가 배출되도록 상기 배기 댐퍼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오븐.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모드에서,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에 공기를 강제적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급기 댐퍼가 개방되고 상기 급기 팬이 가동되고,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의 폐가스가 배출되도록 상기 배기 댐퍼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오븐.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모드와 상기 제 5 모드에서, 상기 조리공간의 열기가 상기 제 2 급기 유로와 상기 제 2 배기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급기 댐퍼와 상기 배기 댐퍼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오븐.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모드에서, 상기 제 1 개별조리공간에 공기를 강제적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급기 댐퍼가 개방되고 상기 급기 팬이 가동되고, 상기 제 2 개별조리공간의 열기가 상기 제 2 배기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기 댐퍼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오븐.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오븐의 셀프 클리닝이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조리공간의 열기가 상기 제 2 급기 유로와 상기 제 2 배기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급기 댐퍼와 상기 배기 댐퍼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오븐.
  18.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공간;
    상기 조리공간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 1 버너;
    상기 조리공간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 2 버너;
    상기 조리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조리공간의 하부에 연결되는 메인 급기 유로;
    상기 조리공간의 폐가스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조리공간의 상부에 연결되는 메인 배기 유로; 및
    상기 제 1 버너와 상기 제 2 버너가 함께 가동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버너에서 발생하는 폐가스에 의해 상기 제 1 버너에서 불완전연소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 1 버너에 공기를 강제적으로 공급하는 강제 급기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오븐.
KR1020120150580A 2012-12-21 2012-12-21 가스 오븐 KR101980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580A KR101980539B1 (ko) 2012-12-21 2012-12-21 가스 오븐
EP13198895.8A EP2746669B1 (en) 2012-12-21 2013-12-20 Gas Oven
CN201310714536.5A CN103876645B (zh) 2012-12-21 2013-12-20 燃气烤箱
US14/136,008 US9568200B2 (en) 2012-12-21 2013-12-20 Gas oven
US15/407,924 US10309659B2 (en) 2012-12-21 2017-01-17 Gas ov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580A KR101980539B1 (ko) 2012-12-21 2012-12-21 가스 오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154A true KR20140081154A (ko) 2014-07-01
KR101980539B1 KR101980539B1 (ko) 2019-05-21

Family

ID=49886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0580A KR101980539B1 (ko) 2012-12-21 2012-12-21 가스 오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568200B2 (ko)
EP (1) EP2746669B1 (ko)
KR (1) KR101980539B1 (ko)
CN (1) CN103876645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4263A (ko) * 2015-01-05 2016-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스오븐
KR20160108900A (ko) * 2015-03-09 2016-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200004154A (ko) * 2018-07-03 2020-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 오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48723B2 (ja) * 2012-03-29 2017-06-14 ビーイー・エアロスペー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B/E Aerospace, Inc. 最適化された空気流を有する車両用オーブン
KR101981670B1 (ko) * 2012-12-21 2019-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스 오븐
KR102208562B1 (ko) 2014-07-22 2021-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EP3040620B2 (en) 2015-01-05 2021-0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Gas ove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222071B2 (en) * 2015-01-12 2019-03-05 Hestan Commercial Corporation Oven system with heat exchanger
US9677774B2 (en) * 2015-06-08 2017-06-13 Alto-Shaam, Inc. Multi-zone oven with variable cavity sizes
US10088172B2 (en) 2016-07-29 2018-10-02 Alto-Shaam, Inc. Oven using structured air
US10337745B2 (en) 2015-06-08 2019-07-02 Alto-Shaam, Inc. Convection oven
US10890336B2 (en) 2015-06-08 2021-01-12 Alto-Shaam, Inc.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multizone oven
US9879865B2 (en) 2015-06-08 2018-01-30 Alto-Shaam, Inc. Cooking oven
US10571131B2 (en) * 2016-12-01 2020-02-2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Oven appliance having a convection assembly
EP3624654A1 (en) 2017-08-09 2020-03-2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1187433B2 (en) 2017-10-03 2021-11-30 Lennox Industries Inc. Pre-mix burner assembly for low NOx emission furnace
US10711997B2 (en) 2017-10-03 2020-07-14 Lennox Industries Inc. Burner box liner for low NOx emission furnace
US10711998B2 (en) * 2017-10-03 2020-07-14 Lennox Industries Inc. Fresh air intake for low NOx emission furnace
US10986843B2 (en) * 2018-02-05 2021-04-27 Alto-Shaam, Inc. Combination drain system for multizone oven
US11162677B2 (en) 2019-01-18 2021-11-02 Lennox Industries Inc. Air intake coupling with noise suppression for low NOx emission furnace
WO2021011642A1 (en) 2019-07-15 2021-01-21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N114526352B (zh) * 2021-12-31 2023-12-15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燃气设备及其应用的阀体总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4742A (en) * 1970-06-15 1971-11-30 Gen Electric Self-cleaning gas oven with heat exchanger
US3682156A (en) * 1970-05-14 1972-08-08 Richard L Perl Gas oven
JPS60164132A (ja) * 1984-02-06 1985-08-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組込型加熱調理器
DE102007039379A1 (de) * 2007-08-21 2009-02-26 Rational Ag Gargerät mit mehreren Klimazone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4068A (en) * 1966-12-09 1968-05-21 American Gas Ass Gas oven system
US3507265A (en) * 1968-08-27 1970-04-21 Gen Electric Self-cleaning gas cooking oven
GB2321962B (en) 1997-02-05 2000-09-20 Destech Cooking apparatus
FR2839546B1 (fr) * 2002-05-07 2006-09-22 Premark Feg Llc Four pour la cuisson d'aliments
CN1196890C (zh) * 2002-08-19 2005-04-1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燃气烤炉的排气温度调整装置
KR100463873B1 (ko) 2003-01-08 2004-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사버너의 연소장치
CN1548810A (zh) * 2003-05-20 2004-11-2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多功能燃气灶
KR101110634B1 (ko) * 2004-08-04 2012-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장치
KR20060044217A (ko) * 2004-11-11 200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오븐
CN201640276U (zh) * 2009-12-11 2010-11-24 徐建国 多用途燃气烘烤箱
KR101681773B1 (ko) 2010-02-09 201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 오븐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2156A (en) * 1970-05-14 1972-08-08 Richard L Perl Gas oven
US3624742A (en) * 1970-06-15 1971-11-30 Gen Electric Self-cleaning gas oven with heat exchanger
JPS60164132A (ja) * 1984-02-06 1985-08-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組込型加熱調理器
DE102007039379A1 (de) * 2007-08-21 2009-02-26 Rational Ag Gargerät mit mehreren Klimazon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4263A (ko) * 2015-01-05 2016-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스오븐
KR20160108900A (ko) * 2015-03-09 2016-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US10465914B2 (en) 2015-03-09 2019-11-05 Lg Electronics Inc. Cooking device
KR20200004154A (ko) * 2018-07-03 2020-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 오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46669A2 (en) 2014-06-25
EP2746669B1 (en) 2018-07-11
EP2746669A3 (en) 2016-06-01
US9568200B2 (en) 2017-02-14
US20140174426A1 (en) 2014-06-26
KR101980539B1 (ko) 2019-05-21
CN103876645B (zh) 2018-09-18
US20170138611A1 (en) 2017-05-18
US10309659B2 (en) 2019-06-04
CN103876645A (zh) 201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0539B1 (ko) 가스 오븐
US10989418B2 (en) Cooking appliance
EP3040620B1 (en) Gas oven and control method thereof
CA2834138C (en) Gas oven range
KR101428870B1 (ko) 가스 오븐 레인지
US10928062B2 (en) Cook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107946A (ko) 조리기기
US11125447B2 (en) Cooking apparatus
KR100700771B1 (ko) 슬라이딩 타입의 백가드가 구비된 오븐레인지
KR100938206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KR20160084263A (ko) 가스오븐
EP3599420B1 (en) Cooking appliance
KR101681773B1 (ko) 가스 오븐 및 그 제어방법
KR101864493B1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349307Y1 (ko) 가스파이프 체결구조
JP2014163596A (ja) 加熱調理器
KR20090063421A (ko) 빌트 인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