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0774A - 차량 이동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이동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0774A
KR20140080774A KR1020120148222A KR20120148222A KR20140080774A KR 20140080774 A KR20140080774 A KR 20140080774A KR 1020120148222 A KR1020120148222 A KR 1020120148222A KR 20120148222 A KR20120148222 A KR 20120148222A KR 20140080774 A KR20140080774 A KR 20140080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ved
double
movement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6537B1 (ko
Inventor
이기홍
허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20148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537B1/ko
Publication of KR20140080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60W10/18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including control of parking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1Detecting parameters used in the regulation; Measuring values used in the reg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이동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차량이 이동됨을 감지하는 과정; 상기 감지된 결과에 대응하여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었다면 차량 이동을 정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차량의 이동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이동 제어장치 및 방법{APPARATA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MOVING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이동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차량을 안전하게 제동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이동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차 공간은 한정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수는 계속 증가함에 따라 차량을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가 편리한 장소에 주차를 하기에는 많은 어려운 점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생활하는 주거 공간의 주변뿐만 아니라, 직장 및 상점 등의 주차 공간 역시 많은 제약이 따른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차 공간을 많이 확보하는 것이 최선의 방안이나 공간적인 제약 및 설치 비용의 한계에 따라 이중 주차가 많이 실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중 주차를 한 경우 그에 따른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어, 그 한계점이 들어나고 있다. 예를 들면, 사람이 이중 주차된 차량을 수동적으로 밀고 당기기에 버거운 무게 일 경우 및 경사진 장소에 이중 주차가 된 경우, 차량이 파손되거나 인명 사고가 발생하는 등 이에 따른 안전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주차 공간이 부족하여 부득이하게 차량을 이중 주차 시킬 때, 차량의 무게 및 주변 주차 공간의 경사 등과 관계없이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된 후, 자동으로 차량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의 제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었음을 감지한 경우 전자 주차 브레이크를 동작시켜 자동적으로 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이동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차 공간에 따라 이동 거리를 운전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이동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행 거리 센서가 휠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이동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차량 이동 제어방법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차량이 이동됨을 감지하는 과정; 상기 감지된 결과에 대응하여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었다면 차량 이동을 정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차량 이동 제어장치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차량이 이동됨을 감지하는 주행 거리 센서; 및 상기 감지된 결과에 대응하여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었다면 차량 이동을 정지하는 프로세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었음을 감지한 경우 전자 주차 브레이크를 동작시킴으로써 자동적으로 차량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고, 주차 공간에 따라 운전자가 이동 거리를 직접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켰으며, 주행 거리 센서를 구비하여 휠의 회전수 및 이동방향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동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기어 상태 중 중립 상태의 기어를 입력받기 위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중 주차 여부 및 이동 거리를 설정받는 이중 주차 스위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행 거리 센서의 동작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주차 브레이크가 작동될 수 있는 신호 조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평지 상태 및 경사로 상태에서 이중 주차된 차량이 이동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을 제어하는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차량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동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이동 제어장치는 변속 레버(101), 이중 주차 스위치(102), 주행 거리 센서(103), 프로세서 유닛(104) 및 전자 주차 브레이크(10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변속 레버(101)는 차량의 기어 상태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변속 레버(101)가 차량의 기어 상태를 중립 상태로 입력받은 경우서만 차량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왜냐하면, 차량의 기어 상태가 중립 상태로 설정된 경우에 차량이 이동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중 주차 스위치(102)는 차량의 이중 주차 여부 및 이동 거리를 설정받을 수 있는 스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중 주차 스위치(102)는 켜짐과 꺼짐으로 설정받을 수 있고, 이중 주차 스위치(102)가 켜짐으로 설정받은 경우에는 세부적인 이동 거리를 함께 입력받을 수 있다.
주행 거리 센서(103)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의 휠에 구비되어 휠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행 거리 센서(103)는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휠 중 어느 하나의 휠에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휠에 구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유닛(104)은 차량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 유닛(104)은 차량이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었다면 차량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먼저, 프로세서 유닛(104)은 차량이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프로세서 유닛(104)에서 차량이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었다고 판단되면, 프로세서 유닛(104)은 전자 주차 브레이크(105)로 전자 주차 브레이크(105)가 동작되도록 하는 명령어를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주차 브레이크((Electronic Parking Brake, 105)는 프로세서 유닛(104)으로부터 동작의 명령어를 전달받아 차량이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전자 주차 브레이크(105)는 이동되고 있는 차량이 더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차량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전자 주차 브레이크(105)는 차량의 기어 상태가 중립 상태에 있는 경우, 이중 주차 스위치(102)가 켜져 있는 경우 및 주행 거리 센서(103)가 동작하는 경우를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만 동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기어 상태 중 중립 상태의 기어를 입력받기 위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차량에 구비된 변속 레버는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어 상태 중 어느 하나의 기어 상태로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변속 레버는 차량의 기어 상태가 주차, 후진, 중립, 드라이브, 2단계(기어 2단) 및 1단계(기어 1단)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변속 레버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의 기어 상태 중 현재 차량의 기어 상태가 중립 상태에 있는 경우에만 차량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기어 상태가 중립 상태에 있는 경우에만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이 제어될 수 있는 첫 번째 조건이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기어 상태가 중립 상태에 있을 것, 이중 주차 스위치가 켜져 있을 것 및 주행 거리 센서가 설정된 이동 거리만큼 이동되었음을 감지하였을 것이라는 세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만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차량의 기어 상태 중 현재 차량의 기어 상태가 중립 상태로 입력받은 경우에만 차량의 이동이 제어될 수 있다. 왜냐하면, 차량의 기어 상태가 중립 상태로 설정된 경우에만 차량이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중 주차 여부 및 이동 거리를 설정받는 이중 주차 스위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이중 주차 스위치는 차량의 이중 주차 여부 및 이동 거리를 설정받을 수 있는 스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중 주차 스위치는 켜짐과 꺼짐으로 설정받을 수 있고, 이중 주차 스위치가 켜짐으로 설정받은 경우에는 세부적인 이동 거리를 함께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중 주차 스위치는 네 개의 단계로 구성될 수 있고, 제0 단계로 설정받은 경우 이중 주차가 수행될 수 없는 꺼짐 상태에 있는 것이고, 제1 단계로 설정받은 경우 설정된 이동 거리는 2,000mm, 제2 단계로 설정받은 경우 설정된 이동 거리는 3,000mm, 제3 단계로 설정받은 경우 설정된 이동 거리는 4,000mm라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이중 주차 스위치가 제0 단계로 설정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 거리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 수행될 수 없다. 그러나, 이중 주차 스위치가 제1 단계로 설정받은 경우 차량의 설정된 이동 거리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최대 2,000mm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이중 주차 스위치가 제2 단계로 설정받은 경우 차량의 설정된 이동 거리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최대 3,000mm 이동될 수 있다. 같은 의미로, 이중 주차 스위치가 제3 단계로 설정받은 경우 차량의 설정된 이동 거리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최대 4,000mm 이동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중 주차 스위치는 차량의 이중 주차 여부 및 차량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최대 이동 거리를 입력받을 수 있는 스위치이다. 따라서, 이중 주차 스위치는 이중 주차 스위치가 켜지도록 설정받음과 동시에 이중 주차 스위치의 적어도 하나의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설정받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이중 주차 스위치는 제2 단계로 설정받았기 때문에, 상술한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최대 3,000mm 이동된 후, 더 이상 차량의 이동이 없도록 차량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주차 스위치가 켜지도록 설정받음과 동시에 이중 주차 스위치의 적어도 하나의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로 설정받은 경우에만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이 제어될 수 있는 두 번째 조건이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기어 상태가 중립 상태에 있을 것, 이중 주차 스위치가 켜져 있을 것 및 주행 거리 센서가 설정된 이동 거리만큼 이동되었음을 감지하는 경우를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만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이중 주차 스위치의 적어도 하나의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로 설정받은 경우에만 차량의 이동이 제어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주차 공간의 협소 등의 문제로 사용자의 차량을 이중 주차 시킨 경우, 사용자는 차량의 기어 상태를 중립으로 입력하고, 주차 공간에 따라 이중 주차 스위치의 적어도 하나의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로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이중 주차를 한 후, 이중 주차를 시킨 사용자의 차량이 앞 또는 뒤로 많이 이동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이중 주차 스위치의 단계 중 높은 단계로 입력하여 먼저 주차된 차량이 원활하게 주차 공간을 빠져나갈 수 있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이중 주차를 시킨 사용자의 차량이 앞 또는 뒤로 많이 이동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면,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이중 주차 스위치의 단계 중 낮은 단계로 입력하여 만일에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중 주차 스위치는 사용자로부터 매번 차량의 주차 시 마다 어느 하나의 단계를 입력받을 수도 있지만, 이중 주차 스위치의 어느 하나의 단계를 디폴트 단계로 설정받을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행 거리 센서의 동작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주행 거리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의 휠에 구비되어 휠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 개의 휠로 구성된 차량에 있어서, 주행 거리 센서는 각각의 네 개의 휠 마다 구비될 수도 있으며, 네 개의 휠 중 어느 하나의 휠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거리 센서(401)는 차량의 휠에 구비되어 차량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으며, 차량에 설정된 이동 거리가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2,000mm로 설정받았다고 가정해 보자. 또한,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설정된 이동 거리인 2,000mm는 차량의 휠이 1회전할 때의 거리라고 가정해 보자. 또한, 사용자의 차량(402)은 주차 공간 등의 문제로 인하여 먼저 주차된 차량들(403, 404)에 이중 주차된 상태라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좌측 차량(403)의 사용자가 주차 공간을 가장 먼저 벗어나고자 할 때, 좌측 차량(403)의 사용자는 이중 주차된 차량(402)을 앞으로 밀어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이중 주차된 차량(402)의 설정된 이동 거리는 2,000mm로 선택받았기 때문에, 이중 주차된 차량(402)은 차량의 앞 방향으로 휠이 1회전한 후에는 더 이상 이동되지 않고, 그대로 정지할 수 있다. 같은 의미로, 우측 차량(404)의 사용자가 이중 주차된 차량(402)보다 주차 공간을 먼저 벗어나고자 할 때, 우측 차량(404)의 사용자는 이중 주차된 차량(402)을 뒤로 밀어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이중 주차된 차량(402)의 설정된 이동 거리는 2,000mm로 선택받았기 때문에, 이중 주차된 차량은(402)은 차량의 뒷 방향으로 휠이 1회전한 후에는 더 이상 이동되지 않고, 그대로 정지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이중 주차된 차량을 제3 자가 차량의 앞 또는 뒤 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 이중 주차된 차량의 이동 거리는 제한이 없기 때문에 후발적인 인적 및 물적 손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면, 제 3자가 사람의 힘으로 컨트롤할 수 없는 이중 주차된 차량을 차량의 앞 또는 뒤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이중 주차된 차량이 주변 물체에 접속되어 물적 손해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경사면에 이중 주차된 주차 공간이 위치한 경우, 이중 주차된 차량이 차량의 앞 또는 뒤 방향으로 이동되어 주변 사람이 다치는 인적 손해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서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이동 거리만큼만 이동되었다면, 차량은 더 이상 이동되지 않고 자동으로 이동이 정지되어 물적 및 인적 손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주차 브레이크가 작동될 수 있는 신호 조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주차 브레이크는 세 가지 조건이 모두 충족된 경우에만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a) 내지(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기어 상태가 중립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 이중 주차 스위치가 꺼져 있는 경우 및 주행 거리 센서가 설정된 이동 거리만큼 이동되었음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에 해당되는 경우에 전자 주차 브레이크는 동작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도 5의(a)에서는 차량의 기어 상태가 중립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이고, 도 5의(b)에서는 이중 주차 스위치가 꺼져 있는 경우이며, 도 5의(c)에서는 주행 거리 센서가 설정된 이동 거리만큼 이동되었음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이다. 따라서, 도 5의(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주차 브레이크가 동작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도 5의(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기어 상태가 중립 상태에 있고, 이중 주차 스위치가 켜져 있으며, 주행 거리 센서가 설정된 이동 거리만큼 이동되었음을 감지한 경우, 전자 주차 브레이크는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평지 상태 및 경사로 상태에서 이중 주차된 차량이 이동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6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지 상태의 주차 공간에 이중 주차된 차량이 이동되는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예를 들면, 사용자가 쇼핑을 하기 위하여 백화점의 지하 주차장에 차량(601)을 주차시킬 때, 사용자의 차량(601)을 주차 공간이 협소하여 먼저 주차된 차량들(602, 603)에 이중 주차한 상태라고 가정해 보자. 또한, 먼저 주차된 차량들(602, 603)에 이중 주차된 차량(601)의 사용자는 차량(601)의 기어 상태를 중립 상태에 놓고, 차량에 설정된 이동 거리가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3,000mm로 설정한 후, 지상 백화점으로 이동하였다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좌측 차량(602)의 사용자가 주차 공간을 가장 먼저 벗어나고자 할 때, 좌측 차량(602)의 사용자는 이중 주차된 차량(601)을 앞으로 밀어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이중 주차된 차량(601)의 설정된 이동 거리는 3,000mm로 선택받았기 때문에, 이중 주차된 차량(601)은 차량의 앞 방향으로 설정된 이동 거리인 3,000mm가 이동된 후에는 더 이상 이동되지 않고, 그대로 정지할 수 있다. 이후, 좌측 차량(602)은 좌측 차량(602)이 주차장을 벗어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였기 때문에, 안전하게 본인의 차량(602)을 운전하여 외부로 나아갈 수 있다. 같은 의미로, 우측 차량(603)의 사용자가 이중 주차된 차량(601)보다 주차 공간을 먼저 벗어나고자 할 때, 우측 차량(603)의 사용자는 이중 주차된 차량(601)을 뒤로 밀어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이중 주차된 차량(601)의 설정된 이동 거리는 3,000mm로 선택받았기 때문에, 이중 주차된 차량은(601)은 차량의 뒷 방향으로 설정된 이동 거리인 3,000mm가 이동된 후에는 더 이상 이동되지 않고, 그대로 정지할 수 있다. 이후, 우측 차량(603)은 우측 차량(603)이 주차장을 벗어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였기 때문에, 안전하게 본인의 차량(603)을 운전하여 외부로 나아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로 상태의 주차 공간에 이중 주차된 차량이 이동되는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예를 들면, 이중 주차된 차량(604)의 사용자는 차량(604)의 기어 상태를 중립 상태에 놓고, 차량에 설정된 이동 거리가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5,000mm로 설정한 후, 제3의 장소로 이동하였다고 가정해 보자. 또한, 사용자가 경사로가 있는 언덕을 넘어 차량(604)을 이중 주차 시켰다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도 6의(b)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먼저 주차된 차량의 사용자가 이중 주차된 차량(604)보다 주차 공간을 먼저 벗어나고자 할 때, 먼저 주차된 차량의 사용자는 이중 주차된 차량(604)을 뒤로 밀어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이중 주차된 차량(604)의 설정된 이동 거리는 5,000mm로 선택받았기 때문에, 이중 주차된 차량(604)은 차량의 뒷 방향으로 설정된 이동 거리인 5,000mm가 이동된 후에는 더 이상 이동되지 않고, 그대로 정지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이중 주차된 차량을 제3 자가 차량의 앞 또는 뒤 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 이중 주차된 차량의 이동 거리는 제한이 없기 때문에 후발적인 인적 및 물적 손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면, 제 3자가 사람의 힘으로 컨트롤할 수 없는 이중 주차된 차량을 차량의 앞 또는 뒤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이중 주차된 차량이 주변 물체에 접속되어 물적 손해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경사면에 이중 주차된 주차 공간이 위치한 경우, 이중 주차된 차량이 차량의 앞 또는 뒤 방향으로 이동되어 주변 사람이 다치는 인적 손해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서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이동 거리만큼만 이동되었다면, 차량은 더 이상 이동되지 않고 자동으로 이동이 정지되어 물적 및 인적 손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이동을 제어하는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기어 상태를 중립으로 설정받을 수 있다(S701).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변속 레버는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기어 상태 중 어느 하나의 기어 상태로 설정받을 수 있다.
이후, 차량은 이중 주차 스위치의 적어도 하나의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설정받을 수 있다(S702).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이중 주차 스위치는 켜짐과 꺼짐으로 설정받을 수 있고, 이중 주차 스위치가 켜짐으로 설정받은 경우에는 세부적인 이동 거리를 함께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이중 주차 스위치는 세 개의 단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단계로 설정받은 경우 설정된 이동 거리는 3,000mm, 제2 단계로 설정받은 경우 설정된 이동 거리는 4,000mm, 제3 단계로 설정받은 경우 설정된 이동 거리는 5,000mm라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차량의 이중 주차 스위치가 제1 단계로 설정받은 경우 차량의 설정된 이동 거리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최대 3,000mm 이동될 수 있다. 같은 의미로, 차량의 이중 주차 스위치가 제2 단계로 설정받은 경우 차량의 설정된 이동 거리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최대 4,000mm 이동될 수 있다. 같은 의미로, 차량의 이중 주차 스위치가 제3 단계로 설정받은 경우 차량의 설정된 이동 거리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최대 5,000mm 이동될 수 있다.
이후, 차량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됨을 감지할 수 있다(S703).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주행 거리 센서는 차량의 휠에 각각 구비되어 휠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차량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04).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은 차량이 전진하는 방향 및 차량이 후진하는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차량은 최초 정지된 위치에서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각각 최대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이 설정된 이동 거리로 5,000mm를 설정받았다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차량은 차량이 전진하는 방향 및 차량이 후진하는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각각 최대 5,000mm까지 이동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이 최초 정지된 위치에서 차량이 전진하는 방향으로 3,000mm를 이동한 후 제1 위치에서 정지하였다면, 차량은 제1 위치를 기준으로 차량이 전진하는 방향으로 최대 2,000mm까지 이동할 수 있고, 차량이 후진하는 방향으로 최대 8,000mm까지 이동할 수 있다.
만약, 상술한 판단과정(S704)에서, 차량이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었다고 판단되면, 차량은 전자 주차 브레이크를 동작시켜 이동을 정지할 수 있다(S705). 예를 들면, 차량이 설정된 이동 거리로 3,000mm를 설정받았으며, 차량은 차량이 전진하는 방향으로 이동을 감지하였다고 가정해 보자. 상술한 가정에서, 차량은 차량이 전진하는 방향으로 3,000mm가 이동되었다고 판단되면, 차량의 전자 주차 브레이크를 동작시켜 차량의 이동을 정지한다.
만약, 상술한 판단과정(S704)에서, 차량이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본 차량의 동작 순서가 바로 종료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1: 변속 레버 102: 이중 주차 스위치
103: 주행 거리 센서 104: 프로세서 유닛
105: 전자 주차 브레이크 401: 주행 거리 센서
402: 이중 주차된 차량 403: 먼저 주차된 차량 중 좌측 차량
404: 먼저 주차된 차량 중 우측 차량 601: 이중 주차된 차량
602: 먼저 주차된 차량 중 좌측 차량 603: 먼저 주차된 차량 중 우측 차량
604: 이중 주차된 차량

Claims (10)

  1.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차량이 이동됨을 감지하는 과정;
    상기 감지된 결과에 대응하여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었다면 차량 이동을 정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이동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차량이 이동됨을 감지하는 과정은,
    적어도 하나의 주행 거리 센서가 휠의 회전수 및 회전 방향을 감지하여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됨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이동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최초 정지된 위치에서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각각 최대 상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이동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을 정지하는 과정은,
    상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었음을 확인하여 전자 주차 브레이크(Electronic Parking Brake)를 동작시켜 차량 이동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이동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중립의 기어 상태에서 설정된 거리를 단계적으로 입력받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이동 제어방법.
  6.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차량이 이동됨을 감지하는 주행 거리 센서; 및
    상기 감지된 결과에 대응하여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었다면 차량 이동을 정지하는 프로세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이동 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거리 센서는,
    휠의 회전수 및 회전 방향을 감지하여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거리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이동 제어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최초 정지된 위치에서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각각 최대 상기 설정된 거리내에서 차량이 이동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이동 제어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설정된 거리만큼 차량이 이동되었음을 확인하여 전자 주차 브레이크를 동작시켜 이동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이동 제어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유닛은,
    상기 차량의 이동이 감지되면, 기어 상태를 중립으로 입력받음을 확인하고, 상기 중립의 기어 상태에서 설정된 거리를 단계적으로 입력받음을 확인한 후, 상기 설정된 거리 내에서 차량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이동 제어장치.
KR1020120148222A 2012-12-18 2012-12-18 차량 이동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446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222A KR101446537B1 (ko) 2012-12-18 2012-12-18 차량 이동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222A KR101446537B1 (ko) 2012-12-18 2012-12-18 차량 이동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774A true KR20140080774A (ko) 2014-07-01
KR101446537B1 KR101446537B1 (ko) 2014-10-07

Family

ID=51732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8222A KR101446537B1 (ko) 2012-12-18 2012-12-18 차량 이동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65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4397B2 (en) 2015-09-02 2018-12-0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viding stopped-vehicle movement mode, driver assistance apparatus providing the same, and vehicle including driver assistance apparatus
US20220356943A1 (en) * 2021-05-10 2022-11-10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arking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8501B1 (ko) * 1993-12-07 1999-03-20 전성원 차량의 이동방지 장치 및 방법
KR100622490B1 (ko) * 2004-08-10 2006-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주차관리방법
KR100861883B1 (ko) * 2007-11-21 2008-10-0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이중 주차 차량 손상방지장치
KR101103872B1 (ko) * 2009-03-05 2012-01-1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주차 차량의 이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4397B2 (en) 2015-09-02 2018-12-0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viding stopped-vehicle movement mode, driver assistance apparatus providing the same, and vehicle including driver assistance apparatus
US20220356943A1 (en) * 2021-05-10 2022-11-10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arking thereof
US11913541B2 (en) * 2021-05-10 2024-02-27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ark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6537B1 (ko) 2014-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55222B (zh) 驻车辅助装置
CN107054357B (zh) 平行泊车辅助
CN104520170B (zh) 借助驾驶员辅助系统实施车辆泊车过程的方法
KR101468791B1 (ko) 자동차의 주차 보조 방법 및 장치
CN105511662B (zh) 用于车辆的二元操作触屏装置
CN108944913B (zh) 协同停车辅助
EP2786917B1 (en) Birds-eye view parking assist system and method
JP6096155B2 (ja) 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システム
JP6110349B2 (ja) 駐車支援装置
KR101704244B1 (ko) 원격 주차 장치 및 주차 방법
EP3462269B1 (en) Vehicle driving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driving method
CN111332281A (zh) 运行交通运输工具的泊车辅助系统的方法及泊车辅助系统
CN107272671A (zh) 用于机动车辆远程控制的遥控装置
KR20130128987A (ko) 이중주차된 차량의 자동 주차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446537B1 (ko) 차량 이동 제어장치 및 방법
JP6641332B2 (ja) 車両制御装置および車両制御方法
KR20130057121A (ko) 경사로 주차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150757B1 (ko) 차종과 주차구역 정보에 기반한 차량 자율주차 시스템 및 차량 자율주차 방법
GB257438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movement
JP7336935B2 (ja) 車両の制御システム、及び、車両の制御方法
KR102518226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480913B1 (ko) 이동주차 지원 장치 및 방법
CN111127938A (zh) 车辆的安全预警方法、系统及车辆
CN112237513B (zh) 载具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KR102513946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