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0512A -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위한 회전/푸시 작동 장치 - Google Patents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위한 회전/푸시 작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0512A
KR20140080512A KR1020147011138A KR20147011138A KR20140080512A KR 20140080512 A KR20140080512 A KR 20140080512A KR 1020147011138 A KR1020147011138 A KR 1020147011138A KR 20147011138 A KR20147011138 A KR 20147011138A KR 20140080512 A KR20140080512 A KR 20140080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braking
rotary
bearing ring
guid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1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2176B1 (ko
Inventor
윈프라이드 퍼스트
프랜크 포크트
Original Assignee
베르-헬라 테르모콘트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르-헬라 테르모콘트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르-헬라 테르모콘트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80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5Means for returning or tending to return controlling members to an inoperative or neutral position, e.g. by providing return springs or resilient end-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K35/10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6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for holding members in one or a limited number of definite positions only
    • G05G5/065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for holding members in one or a limited number of definite positions only using a spring-loaded ba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207Multiple controlling elements for single controlled element
    • Y10T74/20372Manual controlling elements

Abstract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위한 회전/푸시 작동 장치, 특히 에어컨 시스템과 같은 차량 부품용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위한 회전/푸시 작동 장치로, 가이드 샤프트(14)에 대해 회전 이동되고 가이드 샤프트(14)를 따라 축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외부 베어링 링(32), 내부 베어링 링(34), 및 그 사이에 배치되는 롤링 몸체(36, 38)들을 갖는 롤러 베어링 유닛(30), 상기 베어링 링(32, 34)들 중 하나는 상기 회전/푸시 작동 부재(12)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푸시 작동 부재(12)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회전/푸시 작동 장치는상기 회전/푸시 작동 부재(12)의 회전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회전 센서(42), 시작 위치에서 가압되는 위치로의 상기 가이드 샤프트(14)를 따라 이루어지는 회전/푸시 작동 부재(12)의 축 이동에 대응하는 압력 센서(50)를 포함한다. 또한, 회전/푸시 작동 장치는 상기 회전/푸시 작동 부재(12)를 상기 가압되는 위치에서 상기 시작 위치로 자동으로 되돌리기 위한 복귀 부재(46)를 포함하고, 상기 복귀 부재(46)는 상기 롤러 베어링 유닛(3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작용하고, 상기 베어링 링(32, 34)들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가이드 샤프트(14)를 따라 축 이동이 가능한 방식으로 안내되고 상기 가이드 샤프트(14)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방지되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위한 회전/푸시 작동 장치{ROTARY/PUSH OPERATING DEVICE FOR A HUMAN-MACHINE INTERFACE}
본 발명은 인간-기계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위한 회전/푸시 작동 장치(rotary/push operating devic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작동 장치에서의 회전/푸시 작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내의 소위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입력을 하기 위한 회전/푸시 작동 장치 및/또는 차량의 작동 유닛들을 위한 회전/푸시 작동 장치는 공지된 기술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회전/푸시 작동 장치에는 회전/푸시 작동 부재가 제공된다. 회전/푸시 작동 부재 문자들을 회전함으로써 신호 또는 기능들이 선택되고, 상기 부재를 가압함으로써 인식된다. 이러한 입력이 인식된 후에는 상기 입력에 해당하는 임무(task)가 수행된다.
DE-A-102 61 284에서는 상기 부재에 힘이 작용할 때 회전 축을 따라 움직이도록 마련된 회전 작동 부재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작동 부재는 작동 부재의 회전을 기어 휠(gear wheel)로 전달하기 위해 기어 휠과 결합하는 톱니부(toothed portion)를 포함한다. 상기 기어 휠의 회전 축은 작동 부재의 회전 축의 측면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는 상기 작동 부재가 그 회전 축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톱니부 자체도 상기 작동 부재가 완전히 회전할 수 있도록 기어 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종래의 공지된 회전/푸시 작동 장치들에는 회전 가능한 회전 부재 안에 배치되고 보통은 회전되지 않도록 보호되는 중앙 키(central key) 또는 복수의 중앙 키들을 포함하는 장치들이 있다. 이러한 키들은 가압될 수 있고, 데이터 입력 및/또는 입력된 데이터의 인식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회전 작동 부재 자체는 가압되도록 형성되지 않는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 다른 회전/푸시 작동 장치들은 DE-A-10 2006 018 518, DE 10-A-2004 054 178, DE-A-199 64 131, DE-A-101 37 883, EP-B-O 282 817 및 GB-A-2 186 668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위한 회전/푸시 작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회전/푸시 작동 부재를 2개의 직각 방향으로 움직이는 데에 대해 결함이 없는 단순한 디자인을 갖는 회전/푸시 작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위한 회전/푸시 작동 장치, 특히 아래 구성 요소들을 구비한, 에어컨 시스템과 같은 차량 부품을 위한 회전/푸시 작동 장치를 제공한다.
- 회전 이동하고 가이드 샤프트(guide shaft)를 따라 축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회전/푸시 작동 부재,
- 외부 베어링 링(outer bearing ring), 내부 베어링 링(inner bearing ring), 및 그 사이에 배치되는 롤링 몸체(rolling bodies)들을 갖는 롤러 베어링 유닛(roller bearing unit),
- 상기 베어링 링 중 하나는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방식으로 회전/푸시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푸시 작동 부재와 함께 회전되도록 형성되고,
- 작동 부재의 회전 이동을 감지하는 회전 센서(rotation sensor),
- 시작 위치에서 가압 위치로의 가이드 샤프트를 따라 이루어지는 회전/푸시 작동 부재의 축 이동에 반응하는 압력 센서(pressure sensor),
- 회전/푸시 작동 부재를 가압되는 위치(depressed position)에서 시작 위치(starting position)로 자동으로 되돌리기 위한 복귀 부재(return element)를 포함하고,
- 상기 복귀 부재는 상기 롤러 베어링 유닛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작용하고,
- 베어링 링(32, 34)들 중 나머지 하나는 가이드 샤프트(14)를 따라 축 이동이 가능하게 안내되고 가이드 샤프트에서 회전이 방지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구성 요소가 제공된다.
- 내부 베어링 링과 외부 베어링 링 사이 또는 내부 베어링 링과 기계적으로 결합한 제1 부품과 외부 베어링 링과 기계적으로 결합한 제2 부품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 제동 유닛(rotary arresting unit),
- 상기 회전 제동 유닛은 제동 리세스들(arresting recesses) 및 제동 리세스들 중 하나 안으로 들어갔다 나갔다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동 돌출부(arresting projection)가 제공되는 제동 템플릿(arresting template)을 포함하고,
- 상기 제동 템플릿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동 돌출부는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되고,
- 상기 제동 템플릿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동 돌출부는 탄력적으로 이동 또는 변형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푸시 작동 장치는 롤링 베어링 유닛에 의해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지지되는 회전/푸시 작동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회전/푸시 작동 부재는 가이드 샤프트를 따라 축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롤링 베어링 유닛은 외부 베어링 링과 내부 베어링 링을 포함한다. 그 사이에는 롤링 몸체들이 배치된다. 2개의 베어링 링들 중 하나 (일반적으로는 외부 베어링 링)는, 회전/푸시 작동 부재가 회전될 때 외부 베어링 링도 함께 회전되도록 회전/푸시 작동 부재에 연결된다. 나머지 베어링 링 (일반적으로 내부 베어링 링)은 회전 축을 형성하는 고정된 가이드 샤프트를 따라 축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안내되고 가이드 샤프트에서 회전에 대해 보호되도록 마련된다. 회전/푸시 작동 부재의 회전 이동은 회전 센서 (가령 절대적 또는 상대적 경로 센서)에 의해 감지된다. 여기서, 회전 /푸시 작동 부재와 맞물리거나 회전/푸시 작동 부재와 회전 연결되는 차광막(light barrier) 등의 형태로 된 광학 센서(optical sensor) 또는 회전 전위차계(potentiometer) 형태의 기계적 센서가 마련되는 것이 적합한 선택 사항이다. 다른 구조로 된 회전 센서 또한 착안 가능하다. 회전/푸시 작동 부재의 푸시 이동은 가이드 샤프트를 따라 시작 위치에서 가압되는 위치로 가압되는 회전/푸시 작동 부재의 이동에 반응하는 압력 센서의 도움을 받아 탐지된다. 이러한 압력 센서는 가장 단순한 형태로는 (단부) 스위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가압되는 위치에서 시작 위치로의 회전/푸시 작동 부재의 자동 복귀 이동은 복귀 부재(return element)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복귀 부재는, 가령 회전/푸시 작동 부재에 가압력이 중심으로 가해졌을 때 롤링 베어링 전체 그리고 이에 따른 회전/푸시 작동 부재가 가압되도록 롤링 베어링 유닛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작용한다.
롤링 베어링 유닛의 직선 이동성 대신 또는 이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회전/푸시 작동 장치는 내부 베어링 링 및 외부 베어링 링 사이 또는 내부 베어링 링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제1 부품 및 외부 베어링 링에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제2 부품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 제동 유닛(rotary arresting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제동 유닛은 제동 리세스들 및 제동 리세스들 중 하나로 들어갔다 나갔다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동 돌출부(arresting projection)를 포함한다. 제동 템플릿과 적어도 하나의 제동 돌출부는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제동 템플릿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동 돌출부는 탄력적으로 이동하거나 변형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측면에 따르면, 복귀 부재는 롤링 베어링 유닛의 내부 베어링 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작용한다. 여기서, 복귀 부재는 코일 스프링(coil spring)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연결에 따르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복귀 부재들은 롤링 베어링 유닛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회전/푸시 작동 부재는 본질적으로 캡(cap) 형태의 구조를 가지며 정면측(front side)과 원주면측(circumferential side)을 갖는다. 회전/푸시 작동 부재는 정면측에는 고정된 키 몸체(key body)를 포함하고 그 원주면측에는 키 몸체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링 부재를 적합하게 포함하는데, 여기서 키 몸체는 내부 베어링 링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링 부재는 롤링 베어링 유닛의 외부 베어링 링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푸시 작동 부재에서 고정된 키 몸체(즉 캡-형태의 회전/푸시 작동 부재의 정면측이 가압되면, 회전/푸시 작동 부재는 전체적으로 회전 가능한 링 부재와 함께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가압력(depressing force)이 가령 회전/푸시 작동 부재의 링 부재에 작용하면 고정된 키 몸체는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회전/푸시 작동 부재의 기계적인 안정화를 위해, 롤링 베어링 유닛은 가이드 샤프트를 따라 서로 축 방향으로 이격되는 2개 열의 롤링 몸체들을 적합하게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념은 최소 설치 공간이 요구되는 회전/푸시 작동 장치가 실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장치는 플라스틱 물질, 즉 플라스틱 내부 및 외부 베어링 링들로 이루어진 롤링 베어링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에 따르면, 회전 햅틱 생산(rotary haptics production)(즉 제동) 및/또는 직선 안내(translator guiding)가 통합될 수 있다. 따라서, 직경이 작은 회전 작동 장치들의 경우, 모든 바람직한 기계적인 기능들이 실현될 수 있는데, 이와 동시에, 가령 회전/푸시 작동 장치의 중심에 고정 푸시 버튼을 배치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남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푸시 작동 장치의 길이방향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에서 II-II면을 따라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회전/푸시 작동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화살표는 회전/푸시 작동 장치의 중심에 가압력이 가해지는 방향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1의 회전/푸시 작동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화살표는 회전/푸시 작동 장치의 모서리 영역에 가압력이 가해지는 방향을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실시 예를 바탕으로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회전/푸시 작동 장치(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작동 장치(10)는 중공축(hollow shaft)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 샤프트(회전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푸시 작동 부재(12)를 포함한다. 가이드 샤프트(14)는 보통 회로 기판인 캐리어 플레이트(carrier plate, 16)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된다. 회전/푸시 작동 장치(10)의 하우징(20)의 정면 패널(18)은 캐리어 플레이트(16)와 이격되는 관계로 배치되고 회전/푸시 작동 부재(12)를 에두른다.
정면 패널(18)에는 일반적으로 원형의 캐비티(cavity, 22)가 형성되는데, 회전/푸시 작동 부재(12)는 이 캐비티(22)를 통해 위쪽으로 연장된다.
회전/푸시 작동 부재(12)는 손에 잡힐 수 있도록 형성되고 중심이 고정되게 배치되는 키 몸체(26)를 포함하는 캡-형태의 상부 작동부(24) 및 상기 키 몸체(26)를 에두르고 가령 오돌도톨한 외부 (그립)면에 제공되는 회전 가능한 링 부재(28)를 포함한다. 키 몸체(26)는 링 부재(28)하고만 함께 가압될 수 있으며, 회전하지 않도록, 즉 링 부재(28)와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키 몸체(26)는 함께 회전하지 않는 고정된 심볼-유형 또는 터치-유형 등의 데이터 입력 필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푸시 작동 부재(12)는 외부 베어링 링(32), 내부 베어링 링(34), 및 그 사이에 배치되는 2개 그룹의 롤링 몸체(36, 38)들을 포함하는 롤링 베어링 유닛(30)을 더 포함한다.
작동부(24)의 링 부재(28)는, 그것이 회전되면 외부 베어링 링(32)도 회전하도록 외부 베어링 링(32)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내부 베어링 링(34)은 회전에 대해 보호되고 가이드 샤프트(14)에서 축 방향으로 안내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회전 가능한 외부 베어링 링(32) 아래쪽에는 회전 센서(42)로서 차광막과 협력하는 원형 회전 어셈블리(40)가 위치한다. 원형 회전 어셈블리(40)는 링 부재(28)가 회전될 때 회전되며, 차광막, 즉 회전 센서(42)는 회전 이동되는 양을 탐지한다. 원형 회전 어셈블리(40)는 링 부재(28)에서 광학적 표시(optical indication)를 위한 광 안내 기능(light guide function)을 추가적으로 제공한다. 또한, 원형 회전 어셈블리(40)에는 회전 센서로서 회전 전위차계를 작동시키기 위한 톱니 및/또는 3-방향 센서(차광막 대신)가 제공될 수 있다. 회전/푸시 작동 부재(12)의 회전 이동은 가령 홀 센서(Hall sensor)가 대신 감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샤프트(14)를 너머 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내부 베어링 링(34) 영역의 내부에는, 가령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반사 기능을 제공하는 삽입 슬리브(insert sleeve, 44)가 삽입된다. 이 삽입 슬리브(44)는 고정된 키 몸체(26)를 운반한다. 삽입 슬리브(44)는 캐리어 플레이트(16) 반대편의 2개(대칭을 위해)의 복귀 스프링(46)들을 통해 지지된다. 캐리어 플레이트(16)에서, 압력 센서(50)는 삽입 슬리브(44)가 차지하는 영역에 위치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력 센서(50)는 제한 스위치(limit switch)로 구성되고 삽입 슬리브(44)에 형성된 돌출부(48)에 의해 작동된다.
회전/푸시 작동 부재(12)가 가압되면, 스프링(46)이 압축되고 압력 센서(50)가 작동된다. 가압력이 제거되면, 복귀 스프링(46)은 도 1에 도시된 위치로 회전/푸시 작동 부재(12)를 이동시키게 된다.
압력 센서, 복귀 스프링 및 가압 센서를 다른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 또한 가능하다. 가령, 복귀 스프링(46)은 내부 베어링 링(34)과 직접 결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귀 스프링(46)은 내부 베어링 링(34)과 단단하게 연결된 부재, 즉 삽입 슬리브(44)와 결합한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대로 연속적으로 배치된 (제동) 리세스(56)들 및 올려진 부분(raised portions, 58)들을 갖는 제동 템플릿(54), 및 대칭을 이루기 위해 2개의 스프링-탄성이 있는 제동 돌출부(60)들을 포함하는 회전 제동 유닛(52)이 내부 베어링 링(34)과 외부 베어링 링(32)과 연결된 원형 회전 어셈블리(40) 사이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동 템플릿(54)은 원형 회전 어셈블리(40)를 마주보는 내부 베어링 링(34)의 외측(62)(또는 그 위에 형성된 부품) 상에 형성되는 한편 제동 돌출부(60)들은 원형 회전 어셈블리(40)에서 유지된다. 제동 돌출부(60)들은 더 나아가 외부 베어링 링(32)에서 직접 유지될 수 있다. 2개의 제동 돌출부(60)들은 (금속) 스프링 클립(64)들에 의해 형성된다.
도 3 및 도 4를 바탕으로, 본 발명에 따른 회전/푸시 작동 부재의 푸시 작동 시 “엔트레이너 개념(entrainer concept)”이 실현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는데, 각각 2a 내지 2f 및 3a 내지 3f 화살표들로 표시되어 있다. 도 3에 따르면, 키 몸체(26)(화살표 2a 참조)에 가압력이 가해진다. 키 몸체(26)를 가압함으로써, 삽입 슬리브(44) 또한 복귀 스프링(46)들의 힘에 대항해 가압된다(화살표 2b 참조). 삽입 슬리브(44)는 내부 베어링 링(34)와 연결된다. 외부 베어링 링(32)는 내부 베어링 링(32)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동되며, 롤링 베어링 유닛(30)의 롤링 몸체(36, 38)들을 통해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화살표 2c, 2d 및 2e 참조). 이어, 외부 베어링 링(32)은 회전/푸시 작동 부재(12)의 링 부재(28)와 단단하게 연결됨으로써 키 몸체(26)와 함께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화살표 2f 참조).
도 4는 회전/푸시 작동 부재(12)의 링 부재(28)에 가압력이 가해지는 엔트레이너 개념을 도시하고 있다 (화살표 3a 참조). 링 부재(28)가 가압되면, 외부 베어링 링(32)이 가압된다 (화살표 3b 참조). 롤링 몸체(36, 38)들을 통해, 외부 베어링 링(32)은 내부 베어링 링(34)을 엔트레인(끌다)한다 (화살표 3c 참조). 이에 따라, 이 내부 베어링 링(34) 또한 아래쪽으로 이동된다 (화살표 3d 참조). 내부 베어링 링(34)에는 역시 아래쪽으로 이동됨으로써 (화살표 3e 참조) 복귀 스프링(46)을 압축하는 삽입 슬리브(44)가 단단히 연결된다. 삽입 슬리브(44)에는, 키 몸체(26)가 링 부재(28)와 함께 최종적으로 아래쪽으로 움직이도록 (화살표 3f 참조) 키 몸체(26)와 단단히 연결된다.
10 작동 장치
12 회전/푸시 작동 부재
14 회전/푸시 작동 부재의 가이드 샤프트
16 하우징 내의 캐리어 플레이트
18 하우징의 정면 패널
20 하우징
22 정면 패널 내의 캐비티
24 회전/푸시 작동 부재의 작동부
26 작동부의 키 몸체
28 작동부의 키 몸체를 따라 연장되는 링 부재
30 롤링 베어링 유닛
32 롤링 베어링 유닛의 외부 베어링 링
34 롤링 베어링 유닛의 내부 베어링 링
36 롤링 몸체
38 롤링 몸체
40 원형 회전 어셈블리
42 회전 센서
44 삽입 슬리브
46 복귀 스프링
48 삽입 슬리브 내의 돌출부
50 압력 센서
52 회전 제동 유닛
54 회전 제동 유닛의 제동 템플릿
56 제동 템플릿의 제동 리세스들
58 제동 템플릿의 올려진 부분들
60 제동 돌출부들
62 내부 베어링 링의 외부
64 제동 돌출부들의 (금속) 스프링 클립

Claims (9)

  1.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위한 회전/푸시 작동 장치, 특히 에어컨 시스템과 같은 차량 부품용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위한 회전/푸시 작동 장치로,
    가이드 샤프트(14)에 대해 회동되고 가이드 샤프트(14)를 따라 축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회전/푸시 작동 부재(12),
    외부 베어링 링(32), 내부 베어링 링(34), 및 그 사이에 배치되는 롤링 몸체(36, 38)들을 갖는 롤러 베어링 유닛(30),
    상기 베어링 링(32, 34)들 중 하나는 상기 회전/푸시 작동 부재(12)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푸시 작동 부재(12)와 함께 회전될 수 있고,
    상기 회전/푸시 작동 부재(12)의 회전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회전 센서(42),
    시작 위치에서 가압되는 위치로의 상기 가이드 샤프트(14)를 따라 이루어지는 회전/푸시 작동 부재(12)의 축 이동에 반응하는 압력 센서(50), 및
    상기 회전/푸시 작동 부재(12)를 상기 가압되는 위치에서 상기 시작 위치로 자동으로 되돌리기 위한 복귀 부재(46)를 포함하고,
    상기 복귀 부재(46)는 상기 롤러 베어링 유닛(3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작용하고,
    상기 베어링 링(32, 34)들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가이드 샤프트(14)를 따라 축 이동이 가능한 방식으로 안내되고 상기 가이드 샤프트(14)에서 회전이 방지되도록 마련되는 회전/푸시 작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베어링 링(34)과 외부 베어링 링(32) 사이, 또는 상기 내부 베어링 링(34)과 기계적으로 결합된 제1 부품과 상기 외부 베어링 링(32)과 기계적으로 결합된 제2 부품(40)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 제동 유닛(52)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제동 유닛(52)은 제동 리세스(56)들 및 상기 제동 리세스(56)들 내부로 들어갔다 나왔다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동 돌출부(60)가 제공되는 제동 템플릿(54)을 포함하고,
    상기 제동 템블릿(54)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동 돌출부(60)는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동 템블릿(54)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동 돌출부(60)는 탄력적으로 이동되거나 변형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푸시 작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부재(46)는 상기 롤링 베어링 유닛(30)의 내부 베어링 링(34)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푸시 작동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부재(46)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푸시 작동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복귀 부재(46)들은 상기 롤링 베어링 유닛(3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푸시 작동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푸시 작동 부재(12)는 본질적으로 정면측과 원주면측을 갖는 구성으로, 상기 정면측에는 고정된 키 몸체(26) 및 상기 원주면측에는 상기 키 몸체(26)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링 부재(28)를 포함하는 캡-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키 몸체(26)는 상기 내부 베어링 링(34)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링 부재(28)는 상기 롤링 베어링 유닛(30)의 외부 베어링 링(32)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푸시 작동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베어링 유닛(30)은 상기 가이드 샤프트(14)를 따라 서로 축 방향으로 이격되는 2개 열의 롤링 몸체(36, 38)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푸시 작동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동 돌출부(60)는 (금속) 스프링 클립(6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푸시 작동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동 유닛(52)은 상기 외부 베어링 및 내부 베어링 링(32, 34)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들, 또는 상기 외부 베어링 및 내부 베어링 링(32, 34)과 기계적으로 결합된 부품(40)들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들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푸시 작동 장치.
KR1020147011138A 2011-09-27 2012-09-27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위한 회전/푸시 작동 장치 KR1019121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83524.5A DE102011083524B4 (de) 2011-09-27 2011-09-27 Dreh-/Drück-Bedienvorrichtung für ein Mensch-Maschine-Interface
DE102011083524.5 2011-09-27
PCT/EP2012/069037 WO2013045528A2 (de) 2011-09-27 2012-09-27 Dreh-/drück-bedienvorrichtung für ein mensch-maschine-interf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512A true KR20140080512A (ko) 2014-06-30
KR101912176B1 KR101912176B1 (ko) 2018-10-26

Family

ID=47010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1138A KR101912176B1 (ko) 2011-09-27 2012-09-27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위한 회전/푸시 작동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72498B2 (ko)
EP (1) EP2761385B1 (ko)
KR (1) KR101912176B1 (ko)
CN (1) CN103946763B (ko)
DE (1) DE102011083524B4 (ko)
ES (1) ES2731465T3 (ko)
WO (1) WO201304552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02227A1 (de) 2014-02-21 2015-08-27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Dreh-/Drücksteller
JP6660527B2 (ja) * 2014-04-14 2020-03-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入力装置
DE102014110176A1 (de) * 2014-07-18 2016-01-21 Sick Ag Optoelektronischer Sensor
US9810314B2 (en) * 2015-02-25 2017-11-07 Kongsberg Driveline Systems I, Inc. Rotary shifter assembly
CN105501159B (zh) * 2015-11-23 2017-12-22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车辆中应用使用方法和车载娱乐信息系统
CN109641525B (zh) * 2016-07-08 2021-12-14 贝洱海拉温控系统有限公司 车辆的操作单元
CN109803564B (zh) * 2016-08-04 2022-06-14 布瑞威利私人有限公司 用于器具的机电接口
US10606302B2 (en) * 2017-03-13 2020-03-31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elf-centering mechanism for an appliance knob
DE102017005533B4 (de) * 2017-06-10 2023-03-09 Diehl Ako Stiftung & Co. Kg Bausatz zum Herstellen eines Drehwahlschalters
DE102017005601B4 (de) * 2017-06-13 2022-06-30 Diehl Ako Stiftung & Co. Kg Drehwahlschalter
CN107146715A (zh) * 2017-06-27 2017-09-08 成都上生活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电子设备
DE102017120414A1 (de) * 2017-09-05 2019-03-07 Marquardt Gmbh Vorrichtung zur mechanischen Betätigung einer elektrischen oder elektronischen Eingabeeinheit
CN208256556U (zh) * 2018-03-23 2018-12-18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操作键结构及电子装置
CN117002213A (zh) * 2019-01-21 2023-11-07 宁波福尔达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车用空调控制器
CN109887793A (zh) * 2019-04-09 2019-06-14 深圳市瑞贝特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轴承辅佐件的旋钮结构
CN110001351A (zh) * 2019-04-23 2019-07-12 宁波福尔达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控制面板开关
DE102019115950A1 (de) * 2019-06-12 2020-12-17 Preh Gmbh Drehsteller mit Drückfunktion durch verbesserte Drehlagerung
KR20220021198A (ko) * 2020-08-13 2022-02-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다기능 노브
US11109135B1 (en) 2020-09-16 2021-08-31 Apple Inc. Headphones with rotatable user input mechanism
US11272279B1 (en) 2020-09-16 2022-03-08 Apple Inc. Headphones with off-center pivoting earpiece
US11190878B1 (en) 2020-09-16 2021-11-30 Apple Inc. Headphones with on-head detection
KR102370433B1 (ko) * 2020-09-16 2022-03-04 애플 인크. 오프-센터 피봇 이어피스를 갖는 헤드폰
US11272280B1 (en) 2020-09-16 2022-03-08 Apple Inc. Earpiece with cushion retention
US11457300B2 (en) 2020-09-16 2022-09-27 Apple Inc. Support structure for earpiece cushion
US11184696B1 (en) 2020-09-16 2021-11-23 Apple Inc. Wireless headphones with slot antenna
CN112413864B (zh) * 2020-11-25 2021-10-01 重庆瑞阳吉星科技有限公司 一种双温区空调控制器
DE102022126722A1 (de) 2022-10-13 2024-04-18 Marquardt Gmbh Bedienelement an welchem eine für einen Bediener wahrnehmbare passive Haptik und aktive Haptik erzeugbar ist
DE102022126721A1 (de) 2022-10-13 2024-04-18 Marquardt Gmbh Bedienelement an welchem eine für einen Bediener wahrnehmbare passive Haptik und aktive Haptik erzeugbar ist
DE102022126724A1 (de) 2022-10-13 2024-04-18 Marquardt Gmbh Bedienelement an welchem eine für einen Bediener wahrnehmbare passive Haptik und aktive Haptik erzeugbar ist
DE102022126723A1 (de) 2022-10-13 2024-04-18 Marquardt Gmbh Bedienelement an welchem eine für einen Bediener aktive Haptik erzeugbar is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9922A (en) * 1986-02-18 1989-08-22 Robert Bosch Gmbh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rating mode of a controlled apparatus
US6867379B2 (en) * 2003-02-07 2005-03-15 Alps Electric Co., Ltd. Rotary push switch device
EP1795990A1 (de) * 2005-12-07 2007-06-13 Behr-Hella Thermocontrol GmbH Bedieneinheit für eine Fahrzeugkomponent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57800B (en) * 1984-04-17 1987-07-15 Hoover Plc Rotary control
JP2668212B2 (ja) * 1987-03-04 1997-10-27 アンリツ株式会社 スイッチ付きダイヤル装置
US5187630A (en) * 1991-04-03 1993-02-16 Sony Corporation Of America Multi-parameter variable scale rotary switch
US5351161A (en) * 1991-04-03 1994-09-27 Sony Electronics, Inc. Variable scale rotary switch
DE19964131A1 (de) * 1999-11-22 2001-06-21 Preh Elektro Feinmechanik Drehknopf mit Tastfunktion
JP3831590B2 (ja) * 2000-08-22 2006-10-1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複合型スイッチ装置
DE10137883A1 (de) * 2001-08-02 2003-02-27 Miele & Cie Drehschalter
US6578447B1 (en) * 2002-03-11 2003-06-17 The Boeing Company Rotary index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DE10261284B4 (de) * 2002-12-27 2017-12-07 Volkswagen Ag Drehbares Bedienelement mit Anzeigeeinheit
DE20314364U1 (de) * 2003-09-16 2004-02-26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Drehschalter in einem Kraftfahrzeug
JP4319890B2 (ja) * 2003-10-31 2009-08-2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複合操作機構
DE102004054178B4 (de) * 2004-11-10 2010-09-02 Preh Gmbh Bedienelement für Steuergeräte in Kraftfahrzeugen
DE102006018518B4 (de) * 2005-07-19 2022-04-07 Preh Gmbh Bedienknopf mit integrierter Funktionalität
EP1961025B1 (de) * 2005-07-19 2016-03-30 Preh GmbH Bedienknopf mit integrierter funktionalität
DE102006057311B4 (de) * 2006-11-05 2013-02-28 Zf Friedrichshafen Ag Dreh- und druckbetätigbare Vorrichtung
JP4551915B2 (ja) * 2007-07-03 2010-09-29 ホシデン株式会社 複合操作型入力装置
US20110061489A1 (en) * 2009-09-14 2011-03-17 Delphi Technologies, Inc. Rotary control knob apparatus
FR2959034B1 (fr) 2010-04-20 2012-06-08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 commande a indexage magnetiqu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9922A (en) * 1986-02-18 1989-08-22 Robert Bosch Gmbh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rating mode of a controlled apparatus
US6867379B2 (en) * 2003-02-07 2005-03-15 Alps Electric Co., Ltd. Rotary push switch device
EP1795990A1 (de) * 2005-12-07 2007-06-13 Behr-Hella Thermocontrol GmbH Bedieneinheit für eine Fahrzeugkomponen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731465T3 (es) 2019-11-15
EP2761385A2 (de) 2014-08-06
EP2761385B1 (de) 2019-04-24
US20150160683A1 (en) 2015-06-11
DE102011083524B4 (de) 2017-04-06
KR101912176B1 (ko) 2018-10-26
DE102011083524A1 (de) 2013-03-28
WO2013045528A3 (de) 2013-06-20
US9372498B2 (en) 2016-06-21
CN103946763B (zh) 2016-08-17
CN103946763A (zh) 2014-07-23
WO2013045528A2 (de) 201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2176B1 (ko)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위한 회전/푸시 작동 장치
KR102401278B1 (ko) 자동차용 작동장치
US9557761B2 (en) Rotary/push button controller
CN110716638A (zh) 电容性机动车操作系统
CN108944661B (zh) 用于机动车辆的控制面板
US20150009178A1 (en) Input device comprising a touch-sensitive input surface
CN104136274A (zh) 用于机动车辆的触摸感应操作装置,以及机动车辆
WO2012055563A1 (de) Schaltbedienfeld
US9298206B2 (en) Operator control element with magnetic return
KR20140002729A (ko) 맨-머신 인터페이스용 로터리/푸쉬 작동 장치
CN103813927A (zh) 旋转调节器
US20170108065A1 (en) Driving unit for electronic parking brake
US9190228B2 (en) Operating element that can be actuated by pressure and rotation
CN104204987A (zh) 用于机动车辆的可按压和转动操作的操纵元件
CN109751403B (zh) 电子自动变速系统
JP2013105499A (ja) 自動車用多機能システムの制御デバイス
JP4947653B2 (ja) 節度装置
AU2017279690B2 (en) Transmission device for push-button switch, push-button switch and socket
US9639109B2 (en) Input unit for an operating element that can be actuated by pressure or rotation
JP4579856B2 (ja) 回転操作式出力装置
CN108431737B (zh) 控制构件
JP4954847B2 (ja) 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
CN107921873B (zh) 操作元件
JP2013212748A (ja) 車載用入力装置
JP2017114225A (ja) 車両用シフトダイアル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