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0316A -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0316A
KR20140080316A KR1020120149999A KR20120149999A KR20140080316A KR 20140080316 A KR20140080316 A KR 20140080316A KR 1020120149999 A KR1020120149999 A KR 1020120149999A KR 20120149999 A KR20120149999 A KR 20120149999A KR 20140080316 A KR20140080316 A KR 20140080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sound
sound source
cell system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1238B1 (ko
Inventor
박현석
유성목
조진호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9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238B1/ko
Priority to DE102013114364.4A priority patent/DE102013114364B4/de
Priority to US14/135,370 priority patent/US9145087B2/en
Publication of KR20140080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5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3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for signaling silent vehicles, e.g. for warning that a hybrid or electric vehicle is approa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544Volt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574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동력원인 연료전지 시스템의 상태를 감지하고, 연료전지 시스템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며, 또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상이한 음원을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차량의 구동음으로써 출력되는 음향이 가변되어, 차량의 상태 및 연료전지의 상태 변화를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구동음으로 출력되는 음향을 통해 모터 구동시의 이질감을 감소시켜 운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면서 출력되는 음향을 통해 차량 주변의 보행자가 차량의 접근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를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Electric vehicle and method}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연료전지의 상태에 대응하여 차량 주행 중의 구동음을 소정 음향으로 출력하는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는 장래의 자동차 공해 및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가능성 높은 대안이라는 점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행 중 차량 주변의 보행자를 감지하여 보행자가 차량을 인지할 수 있도록 소정 음향을 출력함과 동시에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보행자가 보다 쉽게 차량의 접근을 인하도록 하는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는 주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AC 또는 DC 모터를 구동하여 동력을 얻는 자동차로서, 크게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로 분류되며,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고 전원이 다 소모되면 재충전하고,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엔진을 가동하여 전기발전을 하여 배터리에 충전을 하고 이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모터를 구동하여 차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직렬 방식과 병렬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직렬 방식은 엔진에서 출력되는 기계적 에너지는 발전기를 통하여 전기적 에너지로 바뀌고 이 전기적 에너지가 배터리나 모터로 공급되어 차량은 항상 모터로 구동되는 자동차로 기존의 전기자동차에 주행거리의 증대를 위하여 엔진과 발전기를 추가시킨 개념이고, 병렬 방식은 배터리 전원으로도 차를 움직이게 할 수 있고 엔진(가솔린 또는 디젤)만으로도 차량을 구동시키는 두가지 동력원을 사용하고 주행조건에 따라 병렬 방식은 엔진과 모터가 동시에 차량을 구동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모터를 이용하여 주행하므로, 일반적인 자동차와는 차이점이 있다.
일반적인 자동차가 연료를 공급받아 엔진이 구동하여 주행하므로, 그에 따른 엔진 구동음이 발생하는 반면,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경우에는 이러한 엔진 구동음이 없어,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는 그에 대한 이질감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엔진 구동음이 상이하여, 보행자가 차량을 인식하지 못하여 주의하지 못하고, 그로 인하여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주행의 주요 동작전원인 연료전지의 상태를 감지하고, 연료전지의 상태에 따라 엔진 구동음과 유사한 소정의 음향을 출력하는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의 제공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는 차량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연료전지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의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의 상태에 대응하는 음원을 생성하는 음원생성부; 및 상기 음원생성부의 음원에 대응하여 소정 음향을 차량의 구동음으로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원생성부는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의 상태가 가변됨에 따라 각각 상이한 음원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연료전지 시스템으로부터 차량의 모터로 동작전원이 공급되어 차량이 주행하는 단계;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으로부터 연료전지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연료전지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이 정상인 경우, 상기 연료전지 정보에 대응하는 음원을 설정하여, 음원에 대응하는 음향을 차량의 구동음으로써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은 차량 구동의 주 동작전원인 연료전지의 상태를 감지하여 연료전지 시스템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또한 연료전지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상이한 음원을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차량의 구동음으로써 출력되는 음향이 가변되어, 차량의 상태 및 연료전지의 상태 변화를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구동음으로 출력되는 음향을 통해 모터 구동시의 이질감을 감소시켜 운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면서 출력되는 음향을 통해 보행자가 차량의 접근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연료전지 스택의 전압에 대한 주파수 분석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연료전지 스택의 특성 곡선이 도시된 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연료전지 스택의 상태에 따른 음향출력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자동차는 연료전지시스템(200), 모터(195), 모터제어부(190), 음원생성부(170), 음향출력부(160), 데이터부(120), 감지부(130), 표시부(140), 입력부(150), 그리고 차량 주행 및 동작에 따른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연료 전지 시스템(200)은 연료 공급부(미도시), 가습부(미도시), 산화제 공급부(미도시), 공급량 조절부(미도시), 연료 전지 스택(미도시), 부하(미도시) 및 연료전지 감지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연료 전지 시스템(200)은 연료를 개질(reforming)하여 수소를 발생시키고, 수소와 산소를 전기 화학적으로 반응시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Polymer Electrode Membrane Fuel Cell; PEMFC)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200)은 메탄올, 에탄올, LPG, LNG, 가솔린, 부탄가스 등과 같이 수소를 함유한 액체 또는 기체 연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스택은 단위 셀에서 액체 또는 기체 연료와 산소의 직접적인 반응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직접 산화형 연료 전지(Direct Oxidation Fuel Cell) 방식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연료 전지 스택은 연료와 산화제의 산화/환원 반응을 유도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단위 셀을 포함한다. 복수의 단위 셀 중 하나의 단위 셀은 연료와 산화제 중의 산소를 산화/환원시키는 막-전극 집합체(ME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및 연료와 산화제를 막-전극 집합체로 공급하기 위한 세퍼레이터(바이폴라 플레이트(Bipolar Plate)라고도 함)(separator) 를 포함한다. 단위 셀의 구조는 막-전극 집합체를 중심에 두고 양측에 세퍼레이터가 각각 배치된 구조이다.
연료 전지 시스템(200)에 사용되는 연료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천연가스, LPG 등과 같이 액상 또는 기체 상태로 이루어진 탄화수소계 연료를 통칭한다. 그리고, 연료 전지 시스템(200)은 수소와 반응하는 산화제로서 별도의 저장 수단에 저장된 산소 가스를 사용하거나 공기를 사용할 수 있다.
연료전지 시스템(200)에서 부하는 연료 전지 스택의 (+) 단자 및 (-)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고, 연료 전지 스택으로 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한다. 즉, 자동차의 모터, 직류전기를 교류전기로 변환하는 인버터 등은 연료전지 시스템의 부하로써 작용한다. 이하에서는, 부하는 자동차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모터인 것으로 보고 설명한다.
또한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경우 모터 및 배터리가 구비됨은 물론 엔진이 동시에 구비되어 운전자는 동력원을 선택하여 주행할 수 있고, 운전 조건에 따라, 예를 들어 배터리가 소진된 경우 엔진으로 동작하는 등 동력원이 자동 변경되기도 한다.
모터(195)는 연료전지 등의 동력원으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전기자동차가 주행 가능하도록 한다.
모터제어부(190)는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모터(195)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모터제어부(190)는 인버터(미도시) 를 포함하여, 인버터를 제어함으로써 모터(195)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감지부(130)는 차량 주행, 또는 소정 동작 중에 발생하는 신호를 감지하여 입력하고 이를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감지부(130)는 차량 내부 및 외부에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다양한 감지신호를 입력한다. 이때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센서의 종류 또한 상이할 수 있다.
입력부(150)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는 복수의 스위치 버튼, 터치입력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입력부(150)는 차량 주행에 따름 방향지시등, 테일램프, 헤드램프, 브러시 등의 동작을 위한 복수의 스위치, 버튼 등을 포함하며, 스티어링 휠, 액셀러레이터, 브레이크와 같은 운전을 위한 조작수단을 포함한다.
표시부(140)는 차량의 주행상태 및 정보를 표시한다.
특히 표시부(140)는 차량의 속도 변화 및 동력원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160)는 음악, 효과음 및 경고음을 출력한다.
이때 음향출력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포함한다. 이때 음향출력부(160)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됨은 물론, 차량의 외부에도 설치될 수 있다.
출력수단으로써 표시부(140) 및 음향출력부(160)는 주행 중 차량 상태를 출력함은 물론 이상 발생 시, 그에 따른 경고음, 경고등, 경고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여 운전자가 인지하도록 한다.
음원생성부(170)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소정 음원을 생성 및 변환하여 음향출력부(160)로 인가하여,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그에 대한 음향이 차량의 구동음으로써 출력되도록 한다.
음원생성부(170)는 음원에 따라, 엔진 구동음에 유사한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거나, 또는 특정 멜로디를 갖는 음향이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데이터부(120)에는 차량 주행을 위한 제어데이터, 운전자의 차량이용에 따른 설정데이터 또는 주행기록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부(120)에는 음원생성부(170)를 통해 생성 및 변환되는 음원데이터가 저장된다. 데이터부(120)에는 음원생성부(170)에서 사용되는 음원 샘플, 또는 별도로 기록 저장된 음원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입력부(150) 및 감지부(130)의 입력에 대응하여 설정된 동작이 수행되도록 차량을 제어하고, 소정 명령을 생성하여 모터로 인가하여 차량이 주행하도록 하며, 표시부(140) 및 음향출력부(160)를 통해 차량의 동작상태가 출력되도록 한다.
제어부(110)는 연료전지 시스템(200)으로부터 공급되는 동작전원에 의해 상기 모터가 구동되도록 하며, 연료전지 시스템(200)의 상태에 대응하여 소정 음향이 음향출력부(160)로 출력되도록 음원생성부를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연료전지 시스템(200) 내의 연료전지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연료전지 정보에 대응하여 음향이 출력되도록 한다.
연료전지 감지부는 연료전지 스택의 전압에 대한 주파수를 분석하여, 연료전지의 이상 여부를 판단한다.
연료전지 감지부는 연료전지의 정상상태와 비정상 상태를 판단하여 연료전지 정보를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이때, 연료전지 정보에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이상 여부,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전압 및 전류값, 전압 및 전류에 대한 주파수 성분 정보,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사용 가능 시간, 및 연료전지의 발전량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포함된다.
제어부(110)는 연료전지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연료전지 정보로부터 전고조파 왜율을 산출하여 그에 따라 음향이 상이하게 출력되도록 음원생성부(170)를 제어하며, 연료전지에 이상이 있는 경우, 구비되는 다른 동력원으로 전환하거나 또는 소정의 경고가 출력되도록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연료전지 스택의 전압에 대한 주파수 분석예가 도시된 도이다.
연료전지 시스템(200)은 연료전지 스택의 전압을 측정하여, 그 주파수 성분을 분석함으로써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연료전지 스택에 교류전류를 주입하여 측정되는 연료전지 스택의 전압의 전고조파 왜율을 분석함으로써, 이상 여부를 판단한다.
전고조파 왜율이 기준값 이상이면 연료전지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2의 a와 같이 연료전지가 정상 상태인 경우와 도 2의 b와 같이 비정상 상태에서 주파수 특성이 상이하게 나타나며, 비정상 상태에서는 고조파 성분이 검출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연료전지 스택의 특성 곡선이 도시된 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셀전압은 일정 곡선을 그리며 감소하는데, 정상일 때와 비정상일때의 특성 곡선에 차이가 발생한다. 즉 비정상일 때는 정상인 경우에 비해 동일 전류에서 그 전압값이 상이하고, 동일 전압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전류값이 상이해 진다.
제어부(110)는 연료전지 정보에 대응하여, 연료전지 시스템(200)에 이상이 있는 경우 표시부(140)를 통해 경고메시지, 경고등이 출력되도록 하고, 더불어 출력되는 음향을 가변하여 운전자가 차량의 이상을 인지 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고조파 왜율을 이용하여, 연료전지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뿐 아니라, 연료전지 스택의 전압과 전류간의 특성의 이용하여 소정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고, 전고조파 왜율의 값에 따라 상이한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음원생성부(170)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음원을 생성하는데, 연료전지 스택의 전고조파 왜율값이 가변됨에 따라 음원을 가변하여 상이한 음향이 출력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음원생성부(170)는 전고조파 왜율의 값을 복수의 단계로 구분하여 그 값이 증가함에 따라 단계별로 음원을 변경하거나 또는 음원을 생성하기 위한 음원샘플의 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단계적으로 음향이 상이하게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연료전지 정보를 바탕으로, 연료전지 스택의 임피던스값을 연산하여 임피던스 구간에 따라 상이한 음향이 출력되도록 음원생성부(170)를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연료전지 스택의 전류와 전압이 특정되어 연료전지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면, 주파수 변환을 통해 주파수 스펙트럼의 주파수의 전류크기를 해당 주파수의 전압의 크기로 나누어 임피던스를 연산할 수 있다.
음원생성부(170)는 각 임피던스 구간에 대하여, 상이함 음원을 설정하거나 또는 음원을 생성하는 음원샘플의 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상이한 음원을 생성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시동키가 입력되면(S310), 모터 구동신호가 모터제어부(190)로 입력된다(S320). 이때 제어부(110)는 연료전지 시스템(200)으로부터 모터제어부(190)로 일정 전압의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그에 따라 모터가 구동하여 차량의 주행이 가능해 진다 (S330).
연료전지 시스템(200)의 연료전지 감지부는 연료전지의 상태를 측정하여, 연료전지 정보를 제어부(110)로 입력한다(S340).
이때, 제어부(110)는 연료전지 정보에 따라, 연료전지 시스템(200)이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정상인 경우에는 연료전지 상태에 따라 음원이 생성되도록 음원생성부(170)를 제어한다(S370).
한편, 연료전지 시스템에 이상이 있는 경우, 제어부(110)는 소정의 경고가 출력되도록 한다(S360). 또는 차량의 구동음으로 출력되는 음향 외의 다른 음향이 경고로써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경고는 소리뿐 아니라, 표시부(14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음원생성부(170)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연료전지의 상태에 대응하는 음원을 생성한다.
음원생성부(170)는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즉 연료전지의 전고조파 왜율값을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한 각 구간값 또는 제어부(110)에 의해 연산된 연료전지 스택의 임피던스값에 대응하여 각 단계별로 음원을 설정하거나, 또는 단계에 따라 음원생성에 사용되는 음원샘플의 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상이한 음원을 생성한다.
음원생성부(170)는 연료전지 스택의 전고조파 왜율 또는 임피던스 값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음원을 변환하여 음향출력부(160)로 인가하고, 그에 따라 음향출력부는 음원에 대응하는 소정의 음향을 차량의 구동음으로써 출력한다(S380).
차량 주행 중에 연료전지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변경되므로, 음원생성부(170)는 연료전지 상태가 가변됨에 따라 상이한 음원을 생성하거나 설정하고, 그에 따라 상이한 음향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음원생성부는 연료전지 시스템에 이상이 있는 경우, 제어부(110)의 경고신호 생성명령에 따라 주행중 출력되는 음원과는 상이한 음원을 설정하여 음향출력부(160)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음향출력부(160)는 연료전지의 이상 여부에 따라 차량의 구동음인 음향을 상이하게 출력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연료전지 스택의 상태에 따른 음향출력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연료전지 감지부는 연료전지 시스템 내부의 데이터를 측정 또는 감지하여 연료전지 정보를 제어부(110)로 입력한다(S410).
제어부(110)는 연료전지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연료전지 정보를 바탕으로 연료전지 시스템의 이상 여부를 우선 판단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상이 있는 경우 그에 대한 경고가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연료전지에 대한 전고조파 왜율값과 임피던스 값을 각각 연산한다(S420, S430).
경우에 따라, 전고조파 왜율값은 연료전지 시스템 내부적으로 연산 될 수 있으며 이경우 연료전지 정보에 포함되어 제어부(110)로 입력된다. 연료전지 정보에 전고조파 왜율값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10)는 이를 연산한다.
제어부(110)는 전고조파 왜율과 임피던스 중 어느 하는 선택하거나, 또는 전고조파 왜율과 임피던스 두 값을 모두 고려하여 음원 출력을 위한 구간값을 음원생성부(170)로 입력한다.
이때, 구간값이란, 연료전지 시스템(200)이 정상인 상태에서도 전고조파 왜율과 임피던스는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가변되므로, 정상 범위에서 가변되는 전고조파 왜율과 임피던스를 그 값에 따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각 구간에 대한 구간값을 음원생성부로 인가한다.
음원생성부(170)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연료전지의 상태에 대응하는 음원을 설정한다.
이때 제어부(110)로부터 입력되는 구간값이 제 1 구간에 해당하는 경우(S440) 음원생성부(170)는 복수의 음원 중 제 1 음원을 설정한다(S450).
또한, 음원생성부(170)는 제어부(110)로부터 입력되는 구간값이 제 2 구간에 해당하는 경우(S460), 복수의 음원 중 제 2 음원을 설정한다(S470).
이때 제어부(110)로부터 입력되는 구간값이 제 3 구간에 해당하는 경우(S480), 음원생성부(170)는 복수의 음원 중 제 3 음원을 설정한다(S490).
한편, 음원생성부(170)는 제 1 내지 3구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제 4 음원을 설정할 수 있다(S500).
음원생성부(170)는 설정된 음원을 변환하여 음향출력부(160)로 인가하고, 그에 따라 음향출력부(160)는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상이한 음향을 구동음으로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차량의 주행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단계적으로 음향이 변경되어 출력되므로, 운전자는 차량의 상태가 가변됨을 출력되는 음향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료전지의 상태에 따라 차량의 주행상태를 판단하여 차량의 구동음으로써 출력되는 음향이 가변되도록 하여, 운전자는 출력되는 음향을 통해 운전에 대한 이질감을 해소하고 음향을 통해 차량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제어부 120: 데이터부
130: 감지부 140: 표시부
150: 입력부 160: 음향출력부
170: 음원생성부
190: 모터제어부 195: 모터
200: 연료전지 시스템

Claims (16)

  1. 차량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연료전지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의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의 상태에 대응하는 음원을 생성하는 음원생성부; 및
    상기 음원생성부의 음원에 대응하여 소정 음향을 차량의 구동음으로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원생성부는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의 상태가 가변됨에 따라 각각 상이한 음원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은 연료전지 스택의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발전량, 이상 여부,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전압 및 전류값, 전압 및 전류에 대한 주파수 성분 정보,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사용 가능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상기 연료전지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는 연료전지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전지 정보로부터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의 연료전지 스택의 전고조파 왜율을 연산하고, 정상 범위 내에서, 전고조파 왜율의 값을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상기 음원생성부로 구간값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전지 정보로부터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의 연료전지 스택의 임피던스를 연산하고 정상 범위 내에서, 임피던스의 값을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상기 음원생성부로 구간값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간값이 정상이 아닌 경우, 경고를 생성하여, 구비되는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음향출력부를 통해 경고성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생성부는 상기 제어부의 경고에 대응하여, 주행 중 출력되는 음원과는 상이한 다른 음원을 설정하고, 상기 다른 음원에 따른 경고성 음향을 출력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7.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생성부는 상기 구간값에 대응하여, 각 구간별로 상이한 음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8.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생성부는 상기 구간값에 대응하여, 음원을 생성하기 위한 음원샘플의 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음원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9. 연료전지 시스템으로부터 차량의 모터로 동작전원이 공급되어 차량이 주행하는 단계;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으로부터 연료전지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연료전지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이 정상인 경우, 상기 연료전지 정보에 대응하는 음원을 설정하여, 음원에 대응하는 음향을 차량의 구동음으로써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이 정상이 아닌 경우, 경고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에 대응하는 다른 음원으로 변경하여 주행 중 출력되는 음향과는 상이한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에 대응하는 경고메시지를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주행 중 지속적으로 입력되는 상기 연료전지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의 상태가 가변됨에 따라 상이한 음원을 설정하여, 단계적으로 가변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정보로부터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의 연료전지 스택의 전고조파 왜율 또는 임피던스를 연산하고,
    정상 범위 내에서, 상기 전고조파 왜율 또는 상기 임피던스의 값을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구간값을 음원생성부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생성부가 상기 구간값에 대응하여, 각 구간별로 상이한 음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생성부가 상기 구간값에 대응하여, 음원샘플의 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상이한 음원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제어방법.
KR1020120149999A 2012-12-20 2012-12-20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KR101481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999A KR101481238B1 (ko) 2012-12-20 2012-12-20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DE102013114364.4A DE102013114364B4 (de) 2012-12-20 2013-12-18 Brennstoffzellenelektrofahrzeug und steuerungsverfahren
US14/135,370 US9145087B2 (en) 2012-12-20 2013-12-19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999A KR101481238B1 (ko) 2012-12-20 2012-12-20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316A true KR20140080316A (ko) 2014-06-30
KR101481238B1 KR101481238B1 (ko) 2015-01-09

Family

ID=50878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999A KR101481238B1 (ko) 2012-12-20 2012-12-20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45087B2 (ko)
KR (1) KR101481238B1 (ko)
DE (1) DE102013114364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760B1 (ko) 2014-08-29 2016-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스택의 상태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JP6136022B2 (ja) * 2014-11-12 2017-05-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車の制御方法
DE102015105330A1 (de) * 2015-04-08 2016-10-13 Ujet Vehicles S.À.R.L. Batteriebaugruppe und Motorroller mit einer Batteriebaugruppe
JP6382893B2 (ja) * 2016-07-28 2018-08-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の制御方法
DK180604B1 (en) * 2020-01-20 2021-10-14 Blue World Technologies Holding ApS Method and vehicle with a CO2 warn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4618A (ja) * 1999-05-06 2000-11-24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車両の駆動うなり低減装置
JP2006087206A (ja) * 2004-09-15 2006-03-30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車両および車両
WO2006077997A1 (ja) * 2005-01-19 2006-07-2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車両の警報装置
US8300844B2 (en) 2005-12-27 2012-10-30 Caterpillar Inc. Audible feedback of machine load
JP2008137610A (ja) * 2006-12-05 2008-06-19 Toyota Motor Corp 車両接近気付き音発生装置
JP2010186456A (ja) * 2009-02-11 2010-08-26 Saito Seisakusho:Kk 電気自動車の運転音および警報の発生方法
JP5548536B2 (ja) * 2010-06-11 2014-07-16 雅樹 酒井 車両接近警告装置
KR101500023B1 (ko) 2010-09-29 2015-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셀 운전상태 모니터링용 가상 음원 발생 장치 및 방법
JP5344016B2 (ja) * 2011-09-27 2013-11-2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存在通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76325A1 (en) 2014-06-26
KR101481238B1 (ko) 2015-01-09
DE102013114364A1 (de) 2014-06-26
US9145087B2 (en) 2015-09-29
DE102013114364B4 (de)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1238B1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JP5143665B2 (ja) 電力システム及び燃料電池車両
CN103052530B (zh) 电动汽车及其控制方法
JP4604389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4595993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CN102460921B (zh) 燃料电池系统
KR20120005729A (ko) 전기자동차 및 그 동작방법
KR20140080317A (ko) 가상 엔진음 발생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85915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virtual sound source for monitoring the operating state of a fuel cell stack
JP2002262404A (ja) 電気自動車
JP2013027275A (ja) 燃料電池車両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611285B1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JP2016225043A (ja) 燃料電池車両
JP2010124689A (ja) 燃料電池車両
KR20140065209A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JP2013072751A (ja) 絶縁状態判断装置
JP4743492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移動体
KR101363055B1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JP5167026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20140065208A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KR101427624B1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JP2009043645A (ja) 燃料電池の劣化判定システム
KR20120081825A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KR101406255B1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93122A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