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9953A -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9953A
KR20140079953A KR1020120149187A KR20120149187A KR20140079953A KR 20140079953 A KR20140079953 A KR 20140079953A KR 1020120149187 A KR1020120149187 A KR 1020120149187A KR 20120149187 A KR20120149187 A KR 20120149187A KR 20140079953 A KR20140079953 A KR 20140079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vehicle
start button
starting
control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환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9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9953A/ko
Publication of KR20140079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9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의 푸시(Push) 및 회전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시동 버튼;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차량상태 수집부; 상기 입력신호 및 상기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신호 및 상기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시동상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를 전환하는 동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 및 그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Starting}
본 실시예는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입력신호 및 차량으로부터 수집한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시동상태를 OFF, 액세서리 전원 ON, 차량 기능 전원 ON 및 엔진 ON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제어하는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차량의 보급이 늘어감에 따라 차량은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보다 편리한 자동차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스마트키 시스템은 운전자 또는 차량의 소유자가 기계적인 키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Self-Return 방식의 SSB(Start-Stop Button)을 이용하여 차량의 전원인가 및 시동상태 등을 제어하는 방식이다. 즉, 스마트키 시스템은 버튼이 눌리는 신호를 체크하여 차량에 전원을 인가하고 이를 통해, 버튼이 눌릴 때마다 차량 시동상태를 OFF → ACC(Accessory 전원) → IGN(차량 기능 전원) → Start(시동)의 순서로 전환시킨다.
한편, 기계적인 키를 사용하여 차량의 시동상태를 제어하는 기존의 시스템에서는 운전자가 운행을 멈춘 상황에서 IGN → ACC → OFF의 순서로 차량의 시동상태를 제어할 수 있었다. 하지만, SSB를 이용한 스마트키 시스템에서는 오직 하나의 버튼을 가지고 시동상태를 제어하는 방식이므로, 버튼의 누름 순서에 따라 차량 시동상태가 OFF → ACC → IGN → OFF 또는 OFF → ACC → IGN → START 등으로 제어가 된다. 이와 같이, 버튼을 이용한 스마트키 시스템은 기계적인 키를 사용하는 경우와 달리 손쉽게 시동상태에 따른 전원 분배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버튼 누름 횟수나 시간을 통해서 차량 시동상태를 전환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SSB를 이용한 스마트키 시스템은 운행을 멈춘 상황에서 버튼을 동작하는 경우, IGN → OFF로만 동작되기 때문에 차량의 ACC 전원도 동시에 OFF 상태가 되며, 이에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네비게이션, 오디오 등이 꺼지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는, 시동 버튼의 푸시 및 회전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를 제작하고, 수신한 입력신호 및 차량의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시동상태를 OFF, 액세서리 전원 ON, 차량 기능 전원 ON 및 엔진 ON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제어한다. 이를 통해 단순히 버튼을 순차적으로 눌러 차량의 시동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보다 원활하게 차량의 시동상태를 전환하고자 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버튼을 좌 또는 우로 회전시키는 과정을 통해 차량의 시동을 바로 OFF 시키지 않고 ACC 또는 IGN 상태로 천이시킴으로써 제어과정에서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는,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의 푸시(Push) 및 회전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시동 버튼;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차량상태 수집부; 상기 입력신호 및 상기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신호 및 상기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시동상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를 전환하는 동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버튼의 푸시(Push) 및 회전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시동 버튼을 포함하는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가 차량의 시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시동 버튼의 푸시 및 회전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입력신호 및 상기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신호 및 상기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를 전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동상태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시동 버튼의 푸시 및 회전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를 제작하고, 수신한 입력신호 및 차량의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시동상태를 OFF, 액세서리 전원 ON, 차량 기능 전원 ON 및 엔진 ON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제어한다. 이를 통해 단순히 버튼을 순차적으로 눌러 차량의 시동상태를 제어하는 경우보다 원활하게 차량의 시동상태를 전환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버튼을 좌 또는 우로 회전시키는 과정을 통해 차량의 시동을 바로 OFF 시키지 않고 ACC 또는 IGN 상태로 천이시킴으로써 제어과정에서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 내 시동 버튼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차량의 시동상태 제어과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를 통해 차량의 시동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스마트키(Smart Key) 시스템 즉,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는 기계적인 키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차량의 핸들 등과 같은 운전자가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존재하는 SSB(Start-Stop Button)를 통해 차량의 전원인가 및 시동상태 등을 제어하는 방식이다. 즉,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는 SSB를 통해 운전자로부터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통해 차량의 시동상태를 OFF, ACC, IGN, 및 Start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는 SSB를 통해 푸시 및 회전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시동상태를 제어하는 한편,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차량의 시동상태를 OFF 시키지 않고, ACC 또는 IGN 상태로 천이시켜 차량이 운행하지 않고 대기할 시에도 운전자가 의도하는 바를 정확하게 충족하고자 하는 장치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1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100)는 시동 버튼(110), 차량상태 수집부(120), 시동상태 제어부(130) 및 액세서리 전원 동작부(142), 차량기능 전원 동작부(144), 엔진 전원 동작부(146)를 포함하는 동작부(140)를 포함한다.
시동 버튼(110)은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차량의 시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의 푸시(Push) 및 회전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한다. 즉, 시동 버튼(110)은 차량의 핸들 등과 같은 운전자가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존재하며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버튼의 푸시 및 회전 등과 같은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입력신호를 시동상태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동 버튼(110)은 단순히 버튼을 푸시하는 기존의 SSB와는 달리 운전자로부터 회전 동작을 추가로 수신할 수 있다
시동 버튼(110)은 소정 깊이로 파인 홈을 구비하고, 해당 홈은 운전자의 손가락을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일측 선단이 개방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즉, 시동 버튼(110)은 운전자가 푸시 및 회전 등의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운전자의 검지 손가락이 알맞게 위치할 수 있는 크기의 홈을 구비한다. 이때, 시동 버튼(110)에 구비되는 홈은 검지 손가락이 위치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가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운전자가 푸시 및 회전 등의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든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시동 버튼(110)은 시동 버튼(110)이 푸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각도(약 45도)로 좌 또는 우로 회전이 가능하며 회전 후, 시동 버튼(110)의 푸시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시동 버튼(110)이 회전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를 위해, 시동 버튼(110)은 고정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시동 버튼(110)은 버튼의 푸시 및 회전을 인식하기 위한 센서(미도시)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운전자로부터 푸시 및 회전에 대한 입력신호를 인식한다. 이후, 입력신호는 무선 또는 유선통신 등을 통해 시동상태 제어부(130)로 전송된다.
차량상태 수집부(120)는 차량의 시동상태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집한다. 즉, 차량상태 수집부(120)는 차량의 현재 시동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시동상태를 시동상태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이후,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이를 수신하여 차량의 시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준으로 사용한다.
한편, 차량상태 수집부(120)가 수집하는 상태정보는 차량의 시동상태뿐만 아니라 차량의 클러치(Clutch) 또는 브레이크의 동작여부, 차량의 현재 기어 상태 등을 포함될 수 있다. 즉, 차량상태 수집부(120)는 차량으로부터 차량의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의 동작여부, 차량의 현재 기어 상태 및 시동상태 등을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시동상태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이때, 차량상태 수집부(120)는 차량이 수동 기어를 사용하는 경우, 클러치의 동작 여부를 수집하고 차량이 자동 기어를 사용하는 경우, 브레이크의 동작 여부를 수집한다. 마찬가지로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이를 수신하여 차량의 시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준으로 사용한다.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시동 버튼(110)으로부터 수신한 입력신호 및 차량상태 수집부(120)로부터 수신한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시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즉,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버튼의 푸시(Push) 및 회전에 대한 입력신호 및 차량의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의 동작여부, 차량의 현재 기어 상태 및 차량의 시동상태 등을 포함한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시동상태를 OFF, 액세서리 전원 ON, 차량 기능 전원(IGN) ON 및 엔진 ON 상태로 제어한다.
한편, OFF 상태는 차량의 엔진, 액세서리 전원 및 차량 기능 전원이 모두 OFF된 상태를 의미하며 액세서리 전원(ACC) ON 상태는 차량의 시가 소켓, 오디오 조명, 시계 등과 같이 차량에 보조적으로 존재하는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차량 기능 전원(IGN)은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 에어백, 계기판 등 차량이 움직이는 필요한 전장에 전원이 인가되는 상태를 의미하며 엔진 ON 상태(Start)는 최종적으로 차량에 엔진이 동작하도록 하는 전원이 인가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입력신호 및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시동상태가 OFF 상태이고, 시동 버튼(110)이 푸시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OFF 상태를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한편,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차량의 시동상태가 OFF 상태이고, 시동 버튼(110)이 푸시 및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가 동작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OFF 상태를 엔진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한편,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차량의 시동상태가 OFF 상태이고, 해당 상태에서 입력신호 및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차량의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의 잠금을 해제시키는 ESCL(Elecrtonic Steering Column Lock)로 스티어링 휠의 잠금의 해제를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전달한다. 이후, ESCL은 이를 수신하여 인증 과정을 거침으로써 스티어링 휠의 잠금을 해제한다. 이를 통해, 차량의 시동상태는 제어 가능하도록 동작한다.
또한,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차량의 시동상태가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이고, 시동 버튼(110)이 푸시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를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한편,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차량의 시동상태가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이고, 시동 버튼(110)이 푸시 및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가 동작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를 엔진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또한,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차량의 시동상태가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이고, 시동 버튼(110)이 푸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각도로 제1 방향으로 회전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를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차량의 시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준으로 시동 버튼(110)의 회전을 이용하는 경우이다.
한편,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차량의 시동상태가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이고, 시동 버튼(110)이 푸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각도로 제2 방향으로 회전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를 OFF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이며, 좌 또는 우측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차량의 시동상태가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이고, 시동 버튼(110)이 푸시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를 OFF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한편,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차량의 시동상태가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이고, 시동 버튼(110)이 푸시 및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가 동작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를 엔진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또한,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차량의 시동상태가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이고, 시동 버튼(110)이 푸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각도로 제1 방향으로 회전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를 OFF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역시, 차량의 시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준으로 시동 버튼(110)의 회전을 이용하는 경우이다.
한편,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차량의 시동상태가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이고, 시동 버튼(110)이 푸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각도로 제2 방향으로 회전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를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차량의 시동상태가 엔진 ON 상태이고, 시동 버튼(110)이 푸시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엔진 ON 상태를 OFF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한편,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차량의 시동상태가 엔진 ON 상태이고, 차량의 현재 기어 상태가 N단(중립)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엔진 ON 상태를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즉, 차량은 차량의 시동상태가 엔진 ON 상태이고, 차량의 기어 상태가 N단인 경우 차량의 엔진이 동작되며, 운전자의 안전을 위해 N단이 아닌 경우에는 시동상태 제어부(130)로부터 생성된 제어명령에 의해 엔진 ON 상태가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로 천이된다.
또한,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차량의 시동상태가 엔진 ON 상태인 경우, 엔진의 정상동작 여부를 추가로 파악한다. 이후,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차량의 엔진이 동작중에, 시동 버튼(110)이 푸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각도로 제1 방향으로 회전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차량의 시동상태를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한편,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차량의 엔진이 동작중에, 시동 버튼(110)이 푸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각도로 제2 방향으로 회전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차량의 시동상태를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이때,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차량의 운행 여부를 파악하고, 차량이 운행 중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엔진 ON 상태를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 또는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한편,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시동 버튼(110)이 푸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각도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차량의 시동상태를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 또는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함으로써 기존의 스마트키 시스템이 운행을 멈춘 상황에서 SSB의 동작을 통해 ACC 상태를 거치지 않고 바로 IGN → OFF로 동작하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이를 통해 차량이 운행하지 않고 대기할 시에도 운전자가 의도하는 바를 정확하게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차량이 운행중이 아니라고 판단되고, 시동 버튼(110)이 푸시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엔진의 동작을 OFF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동작부(140)는 시동상태 제어부(130)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차량의 시동상태가 전환되도록 동작한다. 한편, 동작부(140)는 액세서리 전원 동작부(142), 차량기능 전원 동작부(144) 및 엔진 전원 동작부(146)를 포함한다.
액세서리 전원 동작부(142)는 시동상태 제어부(130)로부터 차량의 시동상태를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100)에 구비된 회로 중 액세서리 전원의 Relay에만 전력이 인가되도록 동작하여 차량의 시동상태를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로 천이시킨다.
차량기능 전원 동작부(144)는 시동상태 제어부(130)로부터 차량의 시동상태를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100)에 구비된 회로 중 차량 기능 전원의 Relay에만 전력이 인가되도록 동작하여 차량의 시동상태를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로 천이시킨다.
엔진 전원 동작부(146)는 시동상태 제어부(130)로부터 차량의 시동상태를 엔진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100)에 구비된 회로 중 엔진 ON 전원의 Relay에만 전력이 인가되도록 동작하여 차량의 시동상태를 엔진 ON 상태로 천이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100) 내 시동 버튼(11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도시하듯이, 시동 버튼(110)은 차량의 핸들 등과 같이 운전자가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존재하며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버튼의 푸시 및 회전 등과 같은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입력신호를 시동상태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동 버튼(110)은 단순히 버튼의 푸시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던 기존의 SSB와는 달리 운전자로부터 회전 동작을 추가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시동 버튼(110)이 차량의 핸들에 부착되어 있도록 도시되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차량의 운전자의 입력신호를 용이하게 수신할 수 있으면 어느 위치라도 위치할 수 있다.
시동 버튼(110)은 소정 깊이로 파인 홈을 구비하고, 해당 홈은 운전자의 손가락을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일측 선단이 개방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즉, 시동 버튼(110)은 운전자가 푸시 및 회전 등의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운전자의 검지 손가락이 알맞게 위치할 수 있는 크기의 홈을 구비한다. 이때, 시동 버튼(110)에 구비되는 홈은 검지 손가락이 위치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가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운전자가 푸시 및 회전 등의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든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시동 버튼(110)은 시동 버튼(110)이 푸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각도(약 45도)로 좌 또는 우로 회전이 가능하며 회전 후, 시동 버튼(110)의 푸시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시동 버튼(110)이 회전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를 위해, 시동 버튼(110)은 고정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시동 버튼(110)은 버튼의 푸시 및 회전을 인식하는 센서(미도시)를 통해, 운전자로부터 푸시 및 회전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무선 또는 유선통신 등을 통해 입력신호를 시동상태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차량의 시동상태 제어과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한편, 도 3에서는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를 ACC,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를 IGN, 엔진 ON 상태를 Start로 도시하였다.
도 3에서 도시하듯이,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하기 위해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 차량의 시동상태는 차량의 모든 기능이 정지되어 있는 OFF 상태(①)로 유지되어 있다. 이후, 차량의 운전자는 운행을 위해 차량에 부착된 시동 버튼(110)에 푸시 및 회전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상태가 OFF 상태인 경우에서, 시동 버튼(110)을 푸시하는 경우, 차량의 시동상태는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100)에 구비된 회로 중 액세서리 전원의 Relay에만 전력이 인가되어 OFF 상태에서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③)로 천이된다.
한편, 차량의 운전자가 시동 버튼(110)을 푸시하고,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를 동작하는 경우, 차량의 시동상태는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100)에 구비된 회로 중 엔진 ON 전원의 Relay에만 전력이 인가되어 OFF 상태에서 엔진 ON 상태(⑤)로 천이된다. 이때, 도 3에서는 클러치의 동작 여부만을 확인하도록 도시되었지만 이는 차량의 시동상태 전환 과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차량의 시동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상태가 OFF인 상태에서 시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차량 내 ESCL(②)은 해당 동작을 인지하고, 인증 과정을 거침으로써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잠금을 해제시킨다. 이를 통해, 차량의 시동상태는 제어 가능하도록 동작한다.
또한,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상태가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인 상태에서 시동 버튼(110)을 푸시하는 경우, 차량의 시동상태는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100)에 구비된 회로 중 차량 기능 전원의 Relay에만 전력이 인가되어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에서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④)로 천이된다.
한편, 차량의 운전자는 차량의 시동상태를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에서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해 시동 버튼(110)을 푸시하고, 시동 버튼(110)을 푸시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각도로 제1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차량 시동상태를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에서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로 천이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상태가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에서 시동 버튼(110)을 푸시하고,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를 동작하는 경우, 차량의 시동상태는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100)에 구비된 회로 중 엔진 ON 전원의 Relay에만 전력이 인가되어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에서 엔진 ON 상태로 천이된다.
또한,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상태가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에서 시동 버튼(110)을 푸시하는 경우, 차량의 시동상태는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100)에 구비된 회로에 인가되는 전력이 차단되어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천이된다.
한편, 차량의 운전자는 차량의 시동상태를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천이하기 위해 시동 버튼(110)을 푸시하고, 시동 버튼(110)을 푸시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각도로 제1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차량 시동상태를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천이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의 운전자는 차량의 시동상태가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에서 시동 버튼(110)을 푸시하고, 시동 버튼(110)을 푸시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각도로 제2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차량 시동상태를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에서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로 천이할 수도 있다.
한편,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상태가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에서 시동 버튼(110)을 푸시하고,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를 동작하는 경우, 차량의 시동상태는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100)에 구비된 회로 중 엔진 ON 전원의 Relay에만 전력이 인가되어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에서 엔진 ON 상태로 천이된다.
또한,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상태가 엔진 ON 상태에서 시동 버튼(110)을 푸시하는 경우, 차량의 시동상태는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100)에 구비된 회로에 인가되는 전력이 차단되어 엔진 ON 상태에서 OFF 상태로 천이된다.
한편,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상태가 엔진 ON 상태에서 차량의 현재 기어를 N단(중립)으로 두지 않는 경우에는 엔진이 동작하지 않고 차량의 시동상태가 엔진 ON 상태에서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로 천이된다.
한편, 차량의 시동상태가 엔진 ON 상태이고 차량의 현재 기어가 N단인 경우, 시동이 성공적으로 걸려 엔진이 동작하게 된다. 이때, 엔진이 동작중에 차량의 운전자가 시동 버튼(110)을 푸시하고, 시동 버튼(110)을 푸시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각도로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차량의 시동상태는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100)에 구비된 회로 중 액세서리 전원의 Relay에만 전력이 인가되어 엔진 동작 상태에서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로 천이된다. 한편, 해당 기능은 운전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차량이 주행하지 않는 경우에만 동작한다.
한편, 엔진이 동작중에 차량의 운전자가 시동 버튼(110)을 푸시하고, 시동 버튼(110)을 푸시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각도로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차량의 시동상태는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100)에 구비된 회로 중 차량 기능 전원의 Relay에만 전력이 인가되어 엔진 동작 상태에서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로 천이된다. 이 경우 또한, 운전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차량이 주행하지 않는 경우에만 동작한다.
또한, 엔진이 동작중에 차량의 운전자가 시동 버튼(110)을 푸시하는 경우, 차량의 시동상태는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100)에 구비된 회로에 인가되는 전력이 차단되어 엔진 동작 상태에서 OFF 상태로 천이된다. 이 경우, 또한 운전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차량이 주행하지 않는 경우에만 동작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100)를 통해 차량의 시동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에서 도시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100)를 통해 차량의 시동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은 차량의 시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시동 버튼(110)의 푸시 및 회전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으로부터 시작된다(S400). 즉, 시동 버튼(110)은 버튼의 푸시 및 회전을 인식하기 위한 센서(미도시)를 통해 운전자로부터 푸시 및 회전에 대한 입력신호를 인식한다. 이후, 인식된 입력신호는 무선 또는 유선통신 등을 통해 시동상태 제어부(130)로 전송된다. 한편, 시동 버튼(110)은 소정 깊이로 파인 홈을 구비하고, 해당 홈은 운전자의 손가락을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일측 선단이 개방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시동 버튼(110)은 시동 버튼(110)이 푸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각도(약 45도)로 좌 또는 우로 회전이 가능하며 회전 후, 시동 버튼(110)의 푸시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시동 버튼(110)이 회전된 상태로 고정된다.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100)는 차량의 시동상태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집한다(S410). 즉,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100) 내 차량상태 수집부(120)는 차량의 현재 시동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시동상태를 시동상태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한편, 차량상태 수집부(120)가 수집하는 상태정보는 차량의 시동상태뿐만 아니라 차량의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의 동작여부, 차량의 현재 기어 상태 등을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차량상태 수집부(120)는 차량이 수동 기어를 사용하는 경우, 클러치의 동작 여부를 수집하고 차량이 자동 기어를 사용하는 경우, 브레이크의 동작 여부를 수집한다. 마찬가지로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이를 수신하여 차량의 시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준으로 사용한다.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100)는 시동 버튼(110)으로부터 수신한 입력신호 및 차량상태 수집부(120)로부터 수신한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시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S420). 즉,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100) 내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입력신호 및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시동상태가 OFF 상태이고, 시동 버튼(110)이 푸시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OFF 상태를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한편,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차량의 시동상태가 OFF 상태이고, 시동 버튼(110)이 푸시 및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가 동작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OFF 상태를 엔진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한편,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차량의 시동상태가 OFF 상태이고, 해당 상태에서 입력신호 및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차량의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의 잠금을 해제시키는 ESCL(Elecrtonic Steering Column Lock)로 스티어링 휠의 잠금의 해제를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전달한다. 이후, ESCL은 이를 수신하여 인증 과정을 거침으로써 스티어링 휠의 잠금을 해제한다. 이를 통해, 차량의 시동상태는 제어 가능하도록 동작한다.
또한,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차량의 시동상태가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이고, 시동 버튼(110)이 푸시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를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한편,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차량의 시동상태가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이고, 시동 버튼(110)이 푸시 및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가 동작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를 엔진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또한,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차량의 시동상태가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이고, 시동 버튼(110)이 푸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각도로 제1 방향으로 회전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를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차량의 시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준으로 시동 버튼(110)의 회전을 이용하는 경우이다.
한편,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차량의 시동상태가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이고, 시동 버튼(110)이 푸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각도로 제2 방향으로 회전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를 OFF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이며, 좌 또는 우측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차량의 시동상태가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이고, 시동 버튼(110)이 푸시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를 OFF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한편,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차량의 시동상태가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이고, 시동 버튼(110)이 푸시 및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가 동작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를 엔진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또한,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차량의 시동상태가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이고, 시동 버튼(110)이 푸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각도로 제1 방향으로 회전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를 OFF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역시, 차량의 시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준으로 시동 버튼(110)의 회전을 이용하는 경우이다.
한편,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차량의 시동상태가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이고, 시동 버튼(110)이 푸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각도로 제2 방향으로 회전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를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차량의 시동상태가 엔진 ON 상태이고, 시동 버튼(110)이 푸시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엔진 ON 상태를 OFF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한편,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차량의 시동상태가 엔진 ON 상태이고, 차량의 현재 기어 상태가 N단(중립)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엔진 ON 상태를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즉, 차량은 차량의 시동상태가 엔진 ON 상태이고, 차량의 기어 상태가 N단인 경우 차량의 엔진이 동작되며, 운전자의 안전을 위해 N단이 아닌 경우에는 시동상태 제어부(130)로부터 생성된 제어명령에 의해 엔진 ON 상태가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로 천이된다.
또한,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차량의 시동상태가 엔진 ON 상태인 경우, 엔진의 정상동작 여부를 추가로 파악한다. 이후,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차량의 엔진이 동작중에, 시동 버튼(110)이 푸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각도로 제1 방향으로 회전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차량의 시동상태를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한편,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차량의 엔진이 동작중에, 시동 버튼(110)이 푸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각도로 제2 방향으로 회전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차량의 시동상태를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이때,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차량의 운행 여부를 파악하고, 차량이 운행 중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엔진 ON 상태를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 또는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또한, 시동상태 제어부(130)는 차량이 운행중이 아니라고 판단되고, 시동 버튼(110)이 푸시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엔진의 동작을 OFF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100)는 생성된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차량의 시동상태를 전환한다(S430). 즉,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100) 내 동작부(140)는 시동상태 제어부(130)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차량의 시동상태가 전환되도록 동작한다. 한편, 동작부(140)는 액세서리 전원 동작부(142), 차량기능 전원 동작부(144) 및 엔진 전원 동작부(146)를 포함한다.
액세서리 전원 동작부(142)는 시동상태 제어부(130)로부터 차량의 시동상태를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100)에 구비된 회로 중 액세서리 전원의 Relay에만 전력이 인가되도록 동작하여 차량의 시동상태를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로 천이시킨다.
차량기능 전원 동작부(144)는 시동상태 제어부(130)로부터 차량의 시동상태를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100)에 구비된 회로 중 차량 기능 전원의 Relay에만 전력이 인가되도록 동작하여 차량의 시동상태를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로 천이시킨다.
엔진 전원 동작부(146)는 시동상태 제어부(130)로부터 차량의 시동상태를 엔진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100)에 구비된 회로 중 엔진 ON 전원의 Relay에만 전력이 인가되도록 동작하여 차량의 시동상태를 엔진 ON 상태로 천이시킨다.
도 4에서는 단계 S400 내지 단계 S43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4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400 내지 단계 S430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4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 110: 시동 버튼
120: 차량상태 수집부 130: 시동상태 제어부
140: 동작부 142: 액세서리 전원 동작부
144: 차량기능 전원 동작부 146: 엔진 전원 동작부

Claims (17)

  1.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의 푸시(Push) 및 회전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시동 버튼;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차량상태 수집부;
    상기 입력신호 및 상기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신호 및 상기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시동상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를 전환하는 동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 버튼은 소정 깊이로 파인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운전자의 손가락을 상기 홈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일측 선단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 버튼은 상기 시동 버튼이 푸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각도로 좌 또는 우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회전 후, 상기 시동 버튼의 푸시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상기 시동 버튼이 회전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상태 제어부는 상기 입력신호 및 상기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를 OFF, 액세서리 전원 ON, 차량 기능 전원(IGN) ON 및 엔진 ON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상태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엔진이 동작중에, 상기 시동 버튼이 푸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각도로 제1 방향으로 회전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를 상기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상태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엔진이 동작중에, 상기 시동 버튼이 푸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각도로 제2 방향으로 회전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를 상기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상태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엔진이 동작중에, 상기 시동 버튼이 푸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각도로 제1 방향으로 회전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를 상기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시동 버튼이 푸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각도로 제2 방향으로 회전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를 상기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상태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가 상기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이고, 상기 시동 버튼이 푸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각도로 제1 방향으로 회전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를 상기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시동 버튼이 푸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각도로 제2 방향으로 회전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를 상기 OFF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상태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가 상기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이고, 상기 시동 버튼이 푸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각도로 제1 방향으로 회전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를 상기 OFF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시동 버튼이 푸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각도로 제2 방향으로 회전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를 상기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
  1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를 상기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액세서리 전원 동작부;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를 상기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차량기능 전원 동작부; 및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를 상기 엔진 ON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엔진 전원 동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
  13.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버튼의 푸시(Push) 및 회전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시동 버튼을 포함하는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가 차량의 시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시동 버튼의 푸시 및 회전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입력신호 및 상기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신호 및 상기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를 전환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동상태 제어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를 OFF, 액세서리 전원 ON, 차량 기능 전원(IGN) ON 및 엔진 ON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동상태 제어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차량의 엔진이 동작중에, 상기 시동 버튼이 푸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각도로 제1 방향으로 회전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를 상기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동상태 제어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차량의 엔진이 동작중에, 상기 시동 버튼이 푸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각도로 제2 방향으로 회전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를 상기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동상태 제어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차량의 엔진이 동작중에, 상기 시동 버튼이 푸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각도로 제1 방향으로 회전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를 상기 액세서리 전원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시동 버튼이 푸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일정 각도로 제2 방향으로 회전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차량의 시동상태를 상기 차량 기능 전원 ON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동상태 제어방법.
KR1020120149187A 2012-12-20 2012-12-20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799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187A KR20140079953A (ko) 2012-12-20 2012-12-20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187A KR20140079953A (ko) 2012-12-20 2012-12-20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953A true KR20140079953A (ko) 2014-06-30

Family

ID=51130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187A KR20140079953A (ko) 2012-12-20 2012-12-20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995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92393B2 (ja) 車両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4650359B2 (ja) 車両用アンテナの結線診断装置および車両用アンテナの結線診断方法
CN107253481B (zh) 一种电子换挡处理方法、装置及汽车
CN102465776B (zh) 车辆控制单元
JPWO2013137029A1 (ja) 電動車両の充電システムと携帯リモコンキー
CN103470747B (zh) 在具有至少一个驱动马达的汽车中的方法
JP2014114909A (ja) シフト装置
JP4464716B2 (ja) 駆動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自動車
JP2006002714A (ja)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および方法
KR20140079953A (ko) 차량 시동상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N111734820B (zh) 一种单稳态杆式电子换挡器及电子换挡方法
JP2009262856A (ja) エンジン始動装置
CN108944660B (zh) 一种带仪式感的启动开关背光控制装置及背光控制方法
JP4542061B2 (ja) 自動車の電源操作装置
JP2007015501A (ja) 車両用電源制御装置
JP2001334846A (ja) 車両用エンジン始動・停止装置
JP5191048B2 (ja) 自動車用電源制御装置
JP2002264682A (ja) シフト装置
KR100896904B1 (ko) 크랭킹 상태에서 버튼시동시스템의 전원이동 방법
CN110029892B (zh) 一种自动开启电动滑门的控制方法
JP4354847B2 (ja) スロット型キー装置のキーインターロック回路
CN102568875B (zh) 具有can通讯功能的汽车档位选择开关
JP4539114B2 (ja) 駆動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自動車
JP5170857B2 (ja) 車両用電源制御装置
JP6629680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装置、携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