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9005A - 낙하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낙하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9005A
KR20140079005A KR1020120148422A KR20120148422A KR20140079005A KR 20140079005 A KR20140079005 A KR 20140079005A KR 1020120148422 A KR1020120148422 A KR 1020120148422A KR 20120148422 A KR20120148422 A KR 20120148422A KR 20140079005 A KR20140079005 A KR 20140079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
horizontal
net
disposed
lowe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7063B1 (ko
Inventor
최완석
Original Assignee
최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완석 filed Critical 최완석
Priority to KR20120148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7063B1/ko
Publication of KR20140079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계에서 낙하는 낙하물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비계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1차 그물과 상기 1차 그물의 저면에 경사지게 배치되되 메쉬는 1차 그물보다 작은 2차 그물을 포함하여 낙하물의 낙하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낙하물을 지지하여 외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낙하 방지 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낙하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dropping}
본 발명은 비계에서 낙하는 낙하물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비계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1차 그물과 상기 1차 그물의 저면에 경사지게 배치되되 메쉬는 1차 그물보다 작은 2차 그물을 포함하여 낙하물의 낙하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낙하물을 지지하여 외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낙하 방지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공사 현장에는 작업자가 사용하기 위한 비계가 설치된다. 상기 비계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다수 개 설치되어 있고, 작업자는 상기 설치된 비계에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비계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하는 중 건축 자재 등이 낙하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낙하하는 낙하물이 외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낙하 방지 장치로서 통상적으로 비계 외측면에 걸쳐지는 그물을 사용함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그물을 사용하는 낙하 장지 방치로서는 낙하하는 낙하물을 저지하기가 불충분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계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1차 그물과 상기 1차 그물의 저면에 경사지게 배치되되 메쉬는 1차 그물보다 작은 2차 그물을 포함하여 낙하물의 낙하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낙하물을 지지하여 외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낙하 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계(P)에 설치되어 낙하를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비계(P) 중 동일한 높이를 갖는 수평 비계(P1)사이에 설치되는 1차 그물(110)과, 상기 1차 그물(110)의 저면에 배치되되 일측은 상기 1차 그물(110)이 고정된 수평 비계(P1)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수평 비계(P1)보다 높이가 낮은 반대측 수평 비계(P1-1)에 고정되어 건축물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메쉬의 크기는 상기 1차 그물보다 작은 제2그물(120)을 포함하는 낙하 방지 장치에 일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2차 그물(120)의 저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비계(P)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3차 낙하 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발판(1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판체 형상으로서, 상기 비계(P)의 일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4차 낙하 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낙하 방지턱(140)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비계(P)를 지지하는 지지 비계(2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 비계(200)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비계(P)를 저면에서 지지하는 수평 비계(210)와, 상기 수평 비계(210)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비계(230) 및 상기 회동 비계(230)와 수평 비계(210)사이에 설치되는 회동부(240)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수평 비계(210) 및 회동 비계(23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비계에 고정되는 클램프(260,250)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수평 비계(210)의 일 측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 비계(270)와, 상기 연결 비계(270)상에 배치되는 수직 비계(P2)를 자동으로 잠 금하기 위한 자동 잠금 장치(28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자동 잠금 장치(280)는 상기 연결 비계(270) 일 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바아(282)와, 상기 하부 바아(282)의 상부측에 핀 결합된 상부 바아(281)와, 상기 하부 바아(282)를 연결 비계(270)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283)를 포함하여, 상기 수직 비계(P2)의 하강에 의해 상기 상부 바아(281)가 수평방향이 되도록 회동한 후 상기 수직 비계(P2) 및 연결 비계(270)의 관통공(P2a,270a)에 상기 상부 바아(281)가 관통 후 삽입되어 상기 수직 비계(P2)와 연결 비계(270)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연결 비계(270) 일 측에 부착되되 상기 하부 바아(282)가 내부에 수용되는 중공의 하우징(284)을 더 포함하여, 상기 하부 바아(282)의 하단부는 상기 하우징(284) 내부에서 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283)는 상기 하부 바아(282)와 하우징(284) 내측면사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라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비계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1차 그물과 상기 1차 그물의 저면에 경사지게 배치되되 메쉬는 1차 그물보다 작은 2차 그물을 포함하여 낙하물의 낙하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낙하물을 지지하여 외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차 그물 및 2차 그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1차 그물 및 2차 그물에 의해 낙하를 방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지지 비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자동 잠금 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면", "타면"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1차 그물 및 2차 그물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1차 그물 및 2차 그물에 의해 낙하를 방지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지지 비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자동 잠금 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비계(P)에 설치되어 낙하를 방지하는 낙하 장지 장치(100)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계(P) 중 동일한 높이를 갖는 수평 비계(P1)사이에 설치되는 1차 그물(110)과, 상기 1차 그물(110)의 저면에 배치되되 일측은 상기 1차 그물(110)이 고정된 수평 비계(P1)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수평 비계(P1)보다 높이가 낮은 반대측 수평 비계(P1-1)에 고정되어 건축물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메쉬의 크기는 상기 1차 그물보다 작은 제2그물(120)을 포함한다.
즉,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1차 그물(110)과 2차 그물(120)을 구비하여 1차 그물(110)이 낙하를 방지하지 못하는 경우라도 2차 그물(120)이 낙하를 방지하도록 하여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1차 그물(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 비계(P1)사이에 설치되며, 2차 그물(120)은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일 측은 상기 1차 그물(110)이 고정된 수평 비계(P1)에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수평 비계(P1)보다 높이가 낮은 수평 비계(P1-1)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낙하물이 1차 그물(110)을 뚫고 2차 그물(120)에 접하는 경우 상기 2차 그물(120)이 건축물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낙하물은 결과적으로 건축물 측으로 모여지게 되어 상기 낙하물의 외부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하물(D)이 낙하하여 1차 그물(110)에 접한 후 상기 1차 그물(110)이 파손되거나 혹은 변형되어 2차 그물(120)과 접한 경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그물(110)과 2차 그물(120)은 같이 변형된다.
그러나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차 그물(120)은 건축물 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낙하물(D)은 결국 건축물 방향(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모이게 된다.
한편, 상기 1차 그물(110)의 메쉬(그물 망)가 2차 그물(120)의 메쉬보다 크게 형성되는데, 이는 보다 큰 낙하물은 1차 그물(110)에서 낙하를 방지하고 보다 작은 낙하물은 2차 그물(120)에 걸려 낙하를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1차 그물(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비계(P1) 일 측에서 돌출된 삽입 바아(P1a)에 걸림 되어 상기 수평 비계(P1)에 고정될 수 있으며, 2차 그물(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철사(W)를 이용하여 수평 비계(P1-1)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그물(120)의 저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비계(P)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3차 낙하 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발판(130)을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낙하물에 의해 상기 2차 그물(120)이 파손되어 낙하를 방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3차 낙하 방지를 위해 발판(130)을 이용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발판(130)에 의해 3차 낙하 방지에 성공하더라도 낙하물이 발판(130)상에서 이동하여 외부로 추락할 수 있으므로, 상기 비계(P)의 일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4차 낙하 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판체 형상의 낙하 방지턱(140)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낙하 방지턱(1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계(P)이 외측 방향에 배치되는 수직 비계 사이에 설치되며 일정 높이를 갖도록 수직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낙하 방지턱(14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발판(130)에 떨어진 낙하물이 외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1차 그물(110) 및 2차 그물(120)이 설치되는 비계(P)를 저면에서 지지하는 지지 비계(20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통상적으로 건축물의 외벽에 근접하는 비계를 설치한 후 상기 비계 외측에 본 발명의 1차 그물(110) 및 2차 그물(120)을 설치하는데, 상기 1차 그물(110) 및 2차 그물(120)을 설치하기 위한 비계를 저면에서 지지하는 구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지지 비계(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비계(P)를 저면에서 지지하는 수평 비계(210)와, 상기 수평 비계(210)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비계(230) 및 상기 회동 비계(230)와 수평 비계(210)사이에 설치되는 회동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수평 비계(210)에 의해 상기 비계(P, 도 1참조)를 저면에서 지지하며 상기 회동 비계(230)에 의해 상기 수평 비계(210)를 지지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평 비계(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211,212) 설치될 수 있으며 그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부(220)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회동 비계(230)의 경우도 다수 개(231,232)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동 비계(230)는 상술된 바와 같이 회동부(24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데, 이는 후술하는 건축물측 비계와 보다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한 상기 회동부(2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비계(210)의 저면에 고정되는 브라켓(240A)과, 상기 회동 비계(230)에 고정되어 상기 브라켓(240A)에 삽입되는 삽입부(240B)와, 상기 삽입부(240B) 및 브라켓(240A)을 관통하는 핀(240C)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회동 브라켓(230)의 회동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수평 비계(210)와 회동 비계(230)의 도면상 좌측은 건축물에 근접 설치되는 비계에 각각 고정되며, 보다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수평 비계(210)와 회동 비계(2300 각각 클램프(260,250)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비계(210)에 설치되는 클램프(260)와 같이 모두 같은 형상의 클램프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회동 비계(230)에 설치되는 클램프(250)와 같이 상하 다른 형상의 클램프(251,252)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비계(210)의 일 측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 비계(270)와, 상기 연결 비계(270)상에 배치되는 수직 비계(P2)를 자동으로 잠 금하기 위한 자동 잠금 장치(28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2에 도시된 수직 비계(P2)를 상기 지지 비계(200)상에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비계(270) 및 자동 잠금 장치(28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자동 잠금 장치(28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비계(270) 일 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바아(282)와, 상기 하부 바아(282)의 상부측에 핀 결합된 상부 바아(281)와, 상기 하부 바아(282)를 연결 비계(270)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283)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상기 수직 비계(P2)의 하강에 의해 상기 상부 바아(281)가 수평방향이 되도록 회동한 후 상기 수직 비계(P2) 및 연결 비계(270)의 관통공(P2a,270a)에 상기 상부 바아(281)가 관통 후 삽입되어 상기 수직 비계(P2)와 연결 비계(270)를 자동으로 연결하게 된다.
즉, 수직 비계(P2)가 하강하면서 상부 바아(281)와 접촉하게 되며, 이에 의해 상부 바아(281)가 수평 방향(방향I)으로 회동하며, 수직 비계(P2)의 계속적인 하강으로 상기 상부 수직 비계(P2)의 관통공(P2a)과 연결 비계(270)의 관통공(270a)이 일치하는 순간 상부 바아(281)가 상기 관통공(P2a,270a)으로 삽입되고 결국 이에 의해 상기 수직 비계(P2)와 연결 비계(270)가 상호 고정된다.
한편, 상기 상부 바아(281)가 상기 관통공(P2a,270a)으로 삽입되는 것은 상기 하부 바아(282)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바아(282)를 연결 비계(270)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283)의 탄성력에 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바아(281)가 수평 방향(방향I)으로 회동할 때 후진(방향II)도 병행하게 되는데, 이에 의해 하부 바아(282) 역시 방향III으로 회동하며, 이에 의해 상기 탄성부(283)는 압축되어 탄성력을 저장하게 된다.
만일 상기 관통공(P2a,270a)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저장된 탄성력에 의해 하부 바아(282)는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 의해 상부 바아(281) 역시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관통공(P2a,270a)에 삽입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 비계(270) 일 측에 부착되되 상기 하부 바아(282)가 내부에 수용되는 중공의 하우징(284)을 더 포함하여, 상기 하부 바아(282)의 하단부는 상기 하우징(284) 내부에서 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283)는 상기 하부 바아(282)와 하우징(284) 내측면사이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낙하 방지 장치 110 : 1차 그물
120 : 2차 그물 130 : 발판
140 : 낙하 방지턱 200 : 지지 비계
210 : 수평 비계 220 : 보강부
230 : 회동 비계 240 : 회동부
240A : 브라켓 240B : 삽입부
240C : 핀 250 : 클램프
260 : 클램프 270 : 연결 비계
280 : 자동 잠금 장치 281 : 상부 바아
282 : 하부 바아 283 : 탄성부
284 : 하우징 P : 비계
P1 : 수평 비계 P2 : 수직 비계

Claims (7)

  1. 비계(P)에 설치되어 낙하를 방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비계(P) 중 동일한 높이를 갖는 수평 비계(P1)사이에 설치되는 1차 그물(110)과,
    상기 1차 그물(110)의 저면에 배치되되 일측은 상기 1차 그물(110)이 고정된 수평 비계(P1)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수평 비계(P1)보다 높이가 낮은 반대측 수평 비계(P1-1)에 고정되어 건축물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메쉬의 크기는 상기 1차 그물보다 작은 제2그물(120)을 포함하는 낙하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그물(120)의 저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비계(P)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3차 낙하 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발판(130)을 포함하는 낙하 방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판체 형상으로서, 상기 비계(P)의 일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4차 낙하 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낙하 방지턱(140)을 포함하는 낙하 방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계(P)를 지지하는 지지 비계(2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 비계(200)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비계(P)를 저면에서 지지하는 수평 비계(210)와,
    상기 수평 비계(210)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비계(230) 및 상기 회동 비계(230)와 수평 비계(210)사이에 설치되는 회동부(240)를 포함하는 낙하 방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비계(210) 및 회동 비계(23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비계에 고정되는 클램프(260,250)를 포함하는 낙하 방지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비계(210)의 일 측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 비계(270)와, 상기 연결 비계(270)상에 배치되는 수직 비계(P2)를 자동으로 잠 금하기 위한 자동 잠금 장치(28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자동 잠금 장치(280)는 상기 연결 비계(270) 일 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바아(282)와, 상기 하부 바아(282)의 상부측에 핀 결합된 상부 바아(281)와, 상기 하부 바아(282)를 연결 비계(270)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283)를 포함하여,
    상기 수직 비계(P2)의 하강에 의해 상기 상부 바아(281)가 수평방향이 되도록 회동한 후 상기 수직 비계(P2) 및 연결 비계(270)의 관통공(P2a,270a)에 상기 상부 바아(281)가 관통 후 삽입되어 상기 수직 비계(P2)와 연결 비계(270)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낙하 방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비계(270) 일 측에 부착되되 상기 하부 바아(282)가 내부에 수용되는 중공의 하우징(284)을 더 포함하여,
    상기 하부 바아(282)의 하단부는 상기 하우징(284) 내부에서 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283)는 상기 하부 바아(282)와 하우징(284) 내측면사이에 배치되는 낙하 방지 장치.
KR20120148422A 2012-12-18 2012-12-18 낙하 방지 장치 KR101477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48422A KR101477063B1 (ko) 2012-12-18 2012-12-18 낙하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48422A KR101477063B1 (ko) 2012-12-18 2012-12-18 낙하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005A true KR20140079005A (ko) 2014-06-26
KR101477063B1 KR101477063B1 (ko) 2015-01-06

Family

ID=51130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48422A KR101477063B1 (ko) 2012-12-18 2012-12-18 낙하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70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8141A (zh) * 2019-09-20 2020-02-04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工地施工用防高空坠落砸伤防护装置
CN111809905A (zh) * 2020-08-10 2020-10-23 宁玉成 一种便于调节的工程防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800B1 (ko) 2004-04-13 2005-06-08 (주)삼아이엔지 건축용 안전망 지지장치
KR100956116B1 (ko) * 2008-01-30 2010-05-07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안전그물 개폐장치
KR100829209B1 (ko) 2008-01-31 2008-05-13 주식회사 필 종합건축사사무소 이중 안전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8141A (zh) * 2019-09-20 2020-02-04 中铁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工地施工用防高空坠落砸伤防护装置
CN111809905A (zh) * 2020-08-10 2020-10-23 宁玉成 一种便于调节的工程防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7063B1 (ko) 201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7063B1 (ko) 낙하 방지 장치
RU2008136213A (ru) Структурная стойка
JP2008500475A (ja) 羽目板用の取り付けクリップ
US4862669A (en) Alignment and support tool for building siding
TW201538108A (zh) 鞋子收納用具
CN213445918U (zh) 一种建筑机械施工塔式起重机塔身结构
JP4712362B2 (ja) ブレーカー遮断装置
PT1558523E (pt) Método e dispositivo para suportar redes catalíticas num queimador de oxidação de amoníaco
CN208783962U (zh) 一种可展开成会餐桌的茶几
JP2011136136A (ja) 景品取得ゲーム装置
KR200458155Y1 (ko) 전선거치대
KR101445288B1 (ko) 다용도 난간 장치
KR20170124311A (ko) 거푸집용 발판브라켓
KR101421084B1 (ko) 다용도 비계틀
KR102259386B1 (ko) 데크 드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크 분리 및 해체 방법
KR20080002718U (ko) 선반 받침의 지지대
KR102624735B1 (ko) 공동주택의 전선케이블 서포팅기구
GB2202262A (en) Securing scaffolding boards
KR20190000341U (ko) 작업대의 실족 방지용 발판
JP2011042965A (ja) 幅木取付具、部材取付具及び幅木
JP2008177359A (ja) 圧縮空気除湿装置の外装体
JP3672841B2 (ja) 警報器の取り付け構造
KR20140079004A (ko) 지지 비계
JP2010115326A (ja) 転倒防止家具
KR102624109B1 (ko) 신속한 화재발생확인이 용이한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라인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