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8261A - 임피던스 조정 기능을 갖는 적층형 반도체 회로 - Google Patents

임피던스 조정 기능을 갖는 적층형 반도체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8261A
KR20140078261A KR1020120147438A KR20120147438A KR20140078261A KR 20140078261 A KR20140078261 A KR 20140078261A KR 1020120147438 A KR1020120147438 A KR 1020120147438A KR 20120147438 A KR20120147438 A KR 20120147438A KR 20140078261 A KR20140078261 A KR 20140078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dance
semiconductor chips
impedance adjustment
semiconductor
semiconductor 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7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7930B1 (ko
Inventor
변상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7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930B1/ko
Priority to US13/845,628 priority patent/US9030026B2/en
Publication of KR20140078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8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2Disposition of storage elements, e.g. in the form of a matrix arra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6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ng storage elements electrically, e.g. by wir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10Aspects relating to interfaces of memory device to external buses
    • G11C2207/105Aspects related to pads, pins or termi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22Control and timing of internal memory operations
    • G11C2207/2254Calibration

Landscapes

  • Dram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Logic Circuit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복수의 반도체 칩이 적층된 적층형 반도체 회로로서,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이 임피던스 조정 정보를 공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은 각각의 외부 저항 연결 패드가 관통 비아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외부 저항의 저항값을 상기 임피던스 조정 정보로서 공유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임피던스 조정 기능을 갖는 적층형 반도체 회로{STACK TYPE SEMICONDUCTOR CIRCUIT WITH IMPEDANCE CALIBRATION}
본 발명은 반도체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임피던스 조정 기능을 갖는 적층형 반도체 회로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회로는 온 다이 터미네이션(on die termination) 회로 구성 및 드라이버의 정확한 동작을 위해 해당 구성의 임피던스를 목표값으로 조정하는 동작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반도체 회로는 임피던스 조정을 위한 임피던스 조정부를 구비해야 한다.
반도체 회로는 복수의 반도체 칩을 적층한 형태로도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각 반도체 칩에 대하여 임피던스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복수의 반도체 칩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동작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확한 임피던스 조정이 가능하도록 한 적층형 반도체 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의 반도체 칩이 적층된 적층형 반도체 회로로서,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이 임피던스 조정 정보를 공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은 각각의 외부 저항 연결 패드가 관통 비아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외부 저항의 저항값을 상기 임피던스 조정 정보로서 공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의 반도체 칩이 적층된 적층형 반도체 회로로서,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 각각의 외부 저항 연결 패드가 관통 비아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반도체 칩의 외부 저항 연결 패드가 외부 저항과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의 임피던스 조정 동작이 서로 다른 시간에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의 반도체 칩이 적층된 적층형 반도체 회로로서,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 각각은 적층되는 반도체 칩의 수만큼의 외부 저항 연결 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 각각의 외부 저항 연결 패드들은 서로 다른 반도체 칩의 외부 저항 연결 패드들과 크로스 커플드(Cross Coupled) 구조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반도체 칩의 외부 저항 연결 패드들이 각각 서로 다른 외부 저항과 독립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의 임피던스 조정 동작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의 반도체 칩이 적층된 적층형 반도체 회로로서,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 각각은 적층되는 반도체 칩의 수만큼의 외부 저항 연결 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 각각의 외부 저항 연결 패드들은 서로 다른 반도체 칩의 외부 저항 연결 패드들과 크로스 커플드(Cross Coupled) 구조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반도체 칩의 외부 저항 연결 패드들이 각각 서로 다른 외부 저항과 독립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의 임피던스 조정 동작이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동시 또는 서로 다른 시간에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기술은 적층형 반도체 회로의 임피던스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반도체 회로(1)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반도체 회로(100)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반도체 회로(200)의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반도체 회로(1)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반도체 회로(1)는 제 1 반도체 칩(10)과 제 2 반도체 칩(20)이 적층된다.
제 1 반도체 칩(10)과 제 2 반도체 칩(20)의 외부 저항 연결 패드(ZQ)에는 각각의 외부 저항(Rext1, Rext2)이 연결된다.
즉, 제 1 반도체 칩(10)의 외부 저항 연결 패드(ZQ)에는 외부 저항(Rext1)이 연결되고, 제 2 반도체 칩(20)의 외부 저항 연결 패드(ZQ)에는 또 다른 외부 저항(Rext2)이 연결된다.
제 1 반도체 칩(10)은 임피던스 조정부(11), 드라이빙 블록(12) 및 데이터 입/출력 패드(DQ)를 포함한다.
드라이빙 블록(12)은 데이터(DATA)를 드라이빙하여 데이터 입/출력 패드(DQ)로 출력한다.
임피던스 조정부(11)는 외부 저항 연결 패드(ZQ)와 연결된 외부 저항(Rext1)을 기준으로 드라이빙 블록(12)의 임피던스를 조정한다.
임피던스 조정부(11)는 외부 저항(Rext1)을 기준으로 생성한 임피던스 조정신호(PCODE<0:N>, NCODE<0:N>)를 이용하여 드라이빙 블록(12)의 임피던스를 외부 저항(Rext1)과 동일한 값으로 조정하는 임피던스 조정 동작을 수행한다.
제 2 반도체 칩(20)은 임피던스 조정부(21), 드라이빙 블록(22) 및 데이터 입/출력 패드(DQ)를 포함한다.
드라이빙 블록(22)은 데이터(DATA)를 드라이빙하여 데이터 입/출력 패드(DQ)로 출력한다.
임피던스 조정부(21)는 외부 저항 연결 패드(ZQ)과 연결된 외부 저항(Rext1)을 기준으로 드라이빙 블록(22)의 임피던스를 조정한다.
임피던스 조정부(21)는 외부 저항(Rext1)을 기준으로 생성한 임피던스 조정신호(PCODE<0:N>, NCODE<0:N>)를 이용하여 드라이빙 블록(22)의 임피던스를 외부 저항(Rext2)과 동일한 값으로 조정하는 임피던스 조정 동작을 수행한다.
즉, 제 1 반도체 칩(10)과 제 2 반도체 칩(20)은 서로 독립적인 외부 저항(Rext1, Rext2)을 이용하여 독립적인 임피던스 조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반도체 회로(100)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반도체 회로(100)는 복수의 반도체 칩이 적층되며, 도 2와 같이,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반도체 칩(110)과 제 2 반도체 칩(120)을 도시하였다. 이후, 제 1 반도체 칩(110)과 제 2 반도체 칩(120)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이 임피던스 조정 정보로서, 외부 저항 값을 공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반도체 회로(100)는 적층된 복수의 반도체 칩들이 외부 저항 값을 공유하고, 서로 다른 시간에(순차를 두고) 임피던스 조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적층된 복수의 반도체 칩들의 데이터 출력은 각자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DQ)를 통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 1 반도체 칩(110)과 제 2 반도체 칩(120)의 외부 저항 연결 패드들(ZQ)이 관통 비아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때 관통 비아로서 TSV(Through Silicon Via)가 사용될 수 있다.
제 1 반도체 칩(110)의 외부 저항 연결 패드(ZQ)가 외부 저항(Rext)과 연결된다.
제 1 반도체 칩(110)과 제 2 반도체 칩(120)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들(DQ)이 관통 비아(TSV)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또한 제 1 반도체 칩(110)의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CAL_END0)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라인이 관통 비아(TSV)를 통해 제 2 반도체 칩(120)과 연결된다.
제 1 반도체 칩(110)과 제 2 반도체 칩(120)의 외부 저항 연결 패드들(ZQ)이 관통 비아를 통해 서로 연결되므로 제 1 반도체 칩(110)과 제 2 반도체 칩(120)의 임피던스 조정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질 경우, 임피던스 조정 동작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반도체 칩(110)과 제 2 반도체 칩(120)은 서로 다른 시간에 각각의 임피던스 조정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 1 반도체 칩(110)은 임피던스 조정부(111), 드라이빙 블록(112), 데이터 입/출력 패드(DQ), 외부 저항 연결 패드(ZQ) 및 복수의 관통 비아(TSV)를 포함한다.
드라이빙 블록(112)은 데이터(DATA)를 드라이빙하여 데이터 입/출력 패드(DQ)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임피던스 조정부(111)는 임피던스 조정 인에이블 신호(ZQCAL)와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CAL_END)가 모두 활성화되면, 외부 저항(Rext)을 기준으로 생성한 임피던스 조정신호(PCODE<0:N>, NCODE<0:N>)를 이용하여 드라이빙 블록(112)의 임피던스를 외부 저항(Rext)과 동일한 값으로 조정하는 임피던스 조정 동작을 개시하도록 구성된다.
임피던스 조정부(111)는 임피던스 조정 인에이블 신호(ZQCAL)와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CAL_END)가 모두 활성화되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로직 게이트(113)를 포함한다.
로직 게이트(113)는 전원 전압(VDD)을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CAL_END)로서 제공받도록 구성된다.
이때 임피던스 조정 인에이블 신호(ZQCAL)는 임피던스 조정부(111) 내부 신호이거나, 외부 신호일 수 있다.
임피던스 조정 동작은 반도체 회로의 초기 동작 구간 중에 수행될 수 있으며, 임피던스 조정 인에이블 신호(ZQCAL)는 내부 또는 외부에서 발생되어 임피던스 조정 가능 구간을 정의하는 신호일 수 있다.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CAL_END)는 자신 보다 하위 반도체 칩이 임피던스 조정 동작의 완료를 정의하는 신호이다. 따라서 제 1 반도체 칩(110) 즉, 최하위 반도체 칩의 임피던스 조정부(111)는 전원 전압(VDD)을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CAL_END)로서 제공받는다.
임피던스 조정부(111)는 전원 전압(VDD)을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CAL_END)로서 제공받으므로 임피던스 조정 인에이블 신호(ZQCAL)가 활성화되면 임피던스 조정 동작을 개시한다.
인피던스 조정부(111)는 임피던스 조정 동작이 완료되면 자신의 임피던스 조정 동작의 완료를 정의하는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CAL_END0)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CAL_END0)는 관통 비아(TSV)를 통해 제 2 반도체 칩(120)으로 전달된다.
제 2 반도체 칩(120)은 임피던스 조정부(121), 드라이빙 블록(122), 데이터 입/출력 패드(DQ), 외부 저항 연결 패드(ZQ) 및 복수의 관통 비아(TSV)를 포함한다.
드라이빙 블록(122)은 데이터(DATA)를 드라이빙하여 데이터 입/출력 패드(DQ)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임피던스 조정부(121)는 임피던스 조정 인에이블 신호(ZQCAL)와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CAL_END0)가 모두 활성화되면, 외부 저항(Rext)을 기준으로 생성한 임피던스 조정신호(PCODE<0:N>, NCODE<0:N>)를 이용하여 드라이빙 블록(122)의 임피던스를 외부 저항(Rext)과 동일한 값으로 조정하는 임피던스 조정 동작을 개시하도록 구성된다.
임피던스 조정부(121)는 임피던스 조정 인에이블 신호(ZQCAL)와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CAL_END0)가 모두 활성화되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로직 게이트(123)를 포함한다.
임피던스 조정부(121)는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CAL_END0) 및 임피던스 조정 인에이블 신호(ZQCAL)가 활성화되면 임피던스 조정 동작을 개시한다.
인피던스 조정부(121)는 임피던스 조정 동작이 완료되면 자신의 임피던스 조정 동작의 완료를 정의하는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CAL_END1)를 활성화시킨다.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CAL_END1)는 관통 비아(TSV)를 통해 상위의 반도체 칩으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반도체 회로(100)의 임피던스 조정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임피던스 조정 인에이블 신호(ZQCAL)가 활성화되면 제 1 반도체 칩(110)이 임피던스 조정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제 1 반도체 칩(110)이 자신의 임피던스 조정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정의하는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CAL_END0)을 활성화시킨다.
한편, 제 2 반도체 칩(120)은 임피던스 조정 인에이블 신호(ZQCAL)가 활성화되더라도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CAL_END0)가 활성화되지 않았으므로 임피던스 조정 동작을 수행하지 못한다.
즉, 제 2 반도체 칩(120)은 제 1 반도체 칩(110)이 임피던스 조정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자신으로 인한 임피던스 미스매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후, 제 2 반도체 칩(120)은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CAL_END0)가 활성화됨에 따라 임피던스 조정 동작을 수행하고, 임피던스 조정 동작이 완료되면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CAL_END1)를 활성화시킨다.
이때 제 1 반도체 칩(110)의 임피던스 조정 동작이 중지된 상태이므로 제 2 반도체 칩(120)의 임피던스 조정 동작에서의 임피던스 미스매치가 방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든 반도체 칩들이 서로 다른 시간 동안 임피던스 조정 동작을 수행하게 되고, 각 반도체 칩들의 임피던스 조정 동작이 서로 방해를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 1 반도체 칩(110)과 제 2 반도체 칩(120)은 칩 선택 신호(CS0, CS1)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시간에 임피던스 조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칩 선택 신호(CS0, CS1)는 각각 제 1 반도체 칩(110)과 제 2 반도체 칩(120)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이다. 즉, 칩 선택 신호(CS0, CS1)에 따라 제 1 반도체 칩(110)과 제 2 반도체 칩(120) 각각의 활성화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칩 선택 신호(CS0)와 칩 선택 신호(CS1)를 정해진 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활성화시키고, 그에 따라 제 1 반도체 칩(110)과 제 2 반도체 칩(120)이 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시간에 상술한 임피던스 조정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반도체 회로(200)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반도체 회로(200)는 복수의 반도체 칩이 적층되며, 도 3과 같이, 제 1 반도체 칩(210)과 제 2 반도체 칩(220)으로 구성된 예를 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반도체 회로(200)는 제 1 반도체 칩(210)과 제 2 반도체 칩(220)이 동시 또는 서로 다른 시간에 임피던스 조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제 1 반도체 칩(210)과 제 2 반도체 칩(220)의 데이터 출력은 각자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DQ)를 통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 1 반도체 칩(210)과 제 2 반도체 칩(220)은 각각 적층된 반도체 칩들의 수만큼 즉, 2개의 외부 저항 연결 패드들(ZQ)을 포함한다.
제 1 반도체 칩(210)의 2개의 외부 저항 연결 패드들(ZQ)과 제 2 반도체 칩(220)의 2개의 외부 저항 연결 패드들(ZQ)을 관통 비아(TSV)를 통해 크로스 커플드(Cross Coupled) 구조로 연결한다.
이때 관통 비아로서 TSV(Through Silicon Via)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외부 저항 연결 패드들(ZQ)을 크로스 커플드 구조로 연결하는 것은 생산성 측면과 관통 비아(TSV)의 구조적 특성을 고려한 것이다.
먼저, 적층되는 복수의 반도체 칩들 중에서 특정 칩을 다르게 설계하는 것은 생산성 측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일 수 있고, 관통 비아(TSV)는 적층된 반도체 칩들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외부 저항 연결 패드들(ZQ)을 크로스 커플드 구조로 연결한 것이다.
제 1 반도체 칩(210)의 2개의 외부 저항 연결 패드(ZQ) 중에서 어느 하나는 외부 저항(Rext1)과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외부 저항(Rext2)과 연결된다.
즉, 2개의 외부 저항 연결 패드(ZQ)가 각각의 외부 저항과 독립적으로 연결된다.
결국, 상술한 크로스 커플드 구조로 인하여 외부 저항들(Rext1, Rext2)은 제 1 반도체 칩(210) 및 제 2 반도체 칩(220)과 서로 독립적으로 연결된다.
즉, 외부 저항(Rext1)은 제 1 반도체 칩(210)의 임피던스 조정부(211)와 연결되고, 외부 저항(Rext2)은 제 2 반도체(220)의 임피던스 조정부(221)와 연결된다.
제 1 반도체 칩(210)과 제 2 반도체 칩(220)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들(DQ)이 관통 비아(TSV)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또한 제 1 반도체 칩(210)의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CAL_END0)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라인이 관통 비아(TSV)를 통해 제 2 반도체 칩(220)과 연결된다.
제 1 반도체 칩(210)은 임피던스 조정부(211), 드라이빙 블록(212), 데이터 입/출력 패드(DQ), 복수의 외부 저항 연결 패드(ZQ) 및 복수의 관통 비아(TSV)를 포함한다.
드라이빙 블록(212)은 데이터(DATA)를 드라이빙하여 데이터 입/출력 패드(DQ)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임피던스 조정부(211)는 임피던스 조정 인에이블 신호(ZQCAL)와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CAL_END)가 모두 활성화되면, 외부 저항(Rext1)을 기준으로 생성한 임피던스 조정신호(PCODE<0:N>, NCODE<0:N>)를 이용하여 드라이빙 블록(212)의 임피던스를 외부 저항(Rext1)과 동일한 값으로 조정하는 임피던스 조정 동작을 개시하도록 구성된다.
임피던스 조정부(211)는 임피던스 조정 인에이블 신호(ZQCAL)와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CAL_END)가 모두 활성화되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로직 게이트(213)를 포함한다.
로직 게이트(213)는 전원 전압(VDD)을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CAL_END)로서 제공받도록 구성된다.
이때 임피던스 조정 인에이블 신호(ZQCAL)는 임피던스 조정부(211) 내부 신호이거나, 외부 신호일 수 있다.
임피던스 조정 동작은 반도체 회로의 초기 동작 구간 중에 수행될 수 있으며, 임피던스 조정 인에이블 신호(ZQCAL)는 내부 또는 외부에서 발생되어 임피던스 조정 가능 구간을 정의하는 신호일 수 있다.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CAL_END)는 자신 보다 하위 반도체 칩이 임피던스 조정 동작의 완료를 정의하는 신호이다. 따라서 제 1 반도체 칩(210) 즉, 최하위 반도체 칩의 임피던스 조정부(211)는 전원 전압(VDD)을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CAL_END)로서 제공받는다.
임피던스 조정부(211)는 전원 전압(VDD)을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CAL_END)로서 제공받으므로 임피던스 조정 인에이블 신호(ZQCAL)가 활성화되면 임피던스 조정 동작을 개시한다.
인피던스 조정부(211)는 임피던스 조정 동작이 완료되면 자신의 임피던스 조정 동작의 완료를 정의하는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CAL_END0)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CAL_END0)는 관통 비아(TSV)를 통해 제 2 반도체 칩(220)으로 전달된다.
제 2 반도체 칩(220)은 임피던스 조정부(221), 드라이빙 블록(222), 데이터 입/출력 패드(DQ), 복수의 외부 저항 연결 패드(ZQ) 및 복수의 관통 비아(TSV)를 포함한다.
드라이빙 블록(222)은 데이터(DATA)를 드라이빙하여 데이터 입/출력 패드(DQ)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임피던스 조정부(221)는 임피던스 조정 인에이블 신호(ZQCAL)와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CAL_END0)가 모두 활성화되면, 외부 저항(Rext2)을 기준으로 생성한 임피던스 조정신호(PCODE<0:N>, NCODE<0:N>)를 이용하여 드라이빙 블록(222)의 임피던스를 외부 저항(Rext2)과 동일한 값으로 조정하는 임피던스 조정 동작을 개시하도록 구성된다.
임피던스 조정부(221)는 임피던스 조정 인에이블 신호(ZQCAL)와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CAL_END0)가 모두 활성화되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로직 게이트(223)를 포함한다.
임피던스 조정부(221)는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CAL_END0) 및 임피던스 조정 인에이블 신호(ZQCAL)가 활성화되면 임피던스 조정 동작을 개시한다.
인피던스 조정부(221)는 임피던스 조정 동작이 완료되면 자신의 임피던스 조정 동작의 완료를 정의하는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CAL_END1)를 활성화시킨다.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CAL_END1)는 관통 비아(TSV)를 통해 상위의 반도체 칩으로 전달된다.
한편, 상술한 로직 게이트들(213, 223)은 제어 신호(도시 생략)에 따라 그 동작이 비 활성화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로직 게이트들(213, 223)이 비 활성화되는 경우, 임피던스 조정 인에이블 신호(ZQCAL)에 따라 임피던스 조정 동작 개시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소스로서, 테스트 모드 신호, MRS(Mode Register Set) 또는 전자 퓨즈(E-Fus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반도체 회로(200)의 임피던스 조정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저항들(Rext1, Rext2)은 제 1 반도체 칩(210) 및 제 2 반도체 칩(220)과 서로 독립적으로 연결되므로 제 1 반도체 칩(210)과 제 2 반도체 칩(220)은 동시에 독립적인 임피던스 조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 1 반도체 칩(210)과 제 2 반도체 칩(220)이 동시에 독립적인 임피던스 조정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술한 로직 게이트들(213, 223)을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비 활성화시킨다.
다음으로, 제 1 반도체 칩(210)과 제 2 반도체 칩(220)이 서로 다른 시간에 임피던스 조정 동작을 수행하는 방식을 설명하기로 한다.
임피던스 조정 인에이블 신호(ZQCAL)가 활성화되면 제 1 반도체 칩(210)이 임피던스 조정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제 1 반도체 칩(210)이 자신의 임피던스 조정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정의하는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CAL_END0)을 활성화시킨다.
한편, 제 2 반도체 칩(220)은 임피던스 조정 인에이블 신호(ZQCAL)가 활성화되더라도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CAL_END0)가 활성화되지 않았으므로 임피던스 조정 동작을 수행하지 못한다.
이후, 제 2 반도체 칩(220)은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CAL_END0)가 활성화됨에 따라 임피던스 조정 동작을 수행하고, 임피던스 조정 동작이 완료되면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CAL_END1)를 활성화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반도체 칩(210)와 제 2 반도체 칩(220)의 임피던스 조정 동작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 1 반도체 칩(210)과 제 2 반도체 칩(220)은 칩 선택 신호(CS0, CS1)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시간에 임피던스 조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칩 선택 신호(CS0, CS1)는 각각 제 1 반도체 칩(210)과 제 2 반도체 칩(220)을 선택하기 위한 신호이다. 즉, 칩 선택 신호(CS0, CS1)에 따라 제 1 반도체 칩(210)과 제 2 반도체 칩(220) 각각의 활성화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칩 선택 신호(CS0)와 칩 선택 신호(CS1)를 정해진 시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활성화시키고, 그에 따라 제 1 반도체 칩(210)과 제 2 반도체 칩(220)이 순차적으로 서로 다른 시간에 상술한 임피던스 조정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8)

  1. 복수의 반도체 칩이 적층된 적층형 반도체 회로로서,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이 임피던스 조정 정보를 공유하도록 구성되는 적층형 반도체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은
    각각의 외부 저항 연결 패드가 관통 비아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외부 저항의 저항값을 상기 임피던스 조정 정보로서 공유하도록 구성되는 적층형 반도체 회로.
  3. 복수의 반도체 칩이 적층된 적층형 반도체 회로로서,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 각각의 외부 저항 연결 패드가 관통 비아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반도체 칩의 외부 저항 연결 패드가 외부 저항과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의 임피던스 조정 동작이 서로 다른 시간에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적층형 반도체 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 각각은 자신의 임피던스 조정 동작이 완료됨을 정의하는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를 상위의 반도체 칩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적층형 반도체 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를 상기 상위의 반도체 칩으로 전송하기 위한 관통 비아를 더 포함하는 적층형 반도체 회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의 반도체 칩은 상기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의 임피던스 조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적층형 반도체 회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은 각각
    입력된 데이터를 드라이빙하도록 구성된 드라이빙 블록, 및
    임피던스 조정 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가 모두 활성화되면, 상기 외부 저항의 저항값을 기준으로 상기 드라이빙 블록의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동작을 개시하도록 구성된 임피던스 조정부를 포함하는 적층형 반도체 회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은
    서로 다른 시간에 활성화되는 칩 선택 신호들 각각에 응답하여 상기 임피던스 조정 동작이 서로 다른 시간에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적층형 반도체 회로.
  9. 복수의 반도체 칩이 적층된 적층형 반도체 회로로서,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 각각은 적층되는 반도체 칩의 수만큼의 외부 저항 연결 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 각각의 외부 저항 연결 패드들은 서로 다른 반도체 칩의 외부 저항 연결 패드들과 크로스 커플드(Cross Coupled) 구조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반도체 칩의 외부 저항 연결 패드들이 각각 서로 다른 외부 저항과 독립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의 임피던스 조정 동작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적층형 반도체 회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은 각각
    입력된 데이터를 드라이빙하도록 구성된 드라이빙 블록, 및
    임피던스 조정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화되면, 자신과 연결된 외부 저항의 저항값을 기준으로 상기 드라이빙 블록의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동작을 개시하도록 구성된 임피던스 조정부를 포함하는 적층형 반도체 회로.
  11. 복수의 반도체 칩이 적층된 적층형 반도체 회로로서,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 각각은 적층되는 반도체 칩의 수만큼의 외부 저항 연결 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 각각의 외부 저항 연결 패드들은 서로 다른 반도체 칩의 외부 저항 연결 패드들과 크로스 커플드(Cross Coupled) 구조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반도체 칩의 외부 저항 연결 패드들이 각각 서로 다른 외부 저항과 독립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의 임피던스 조정 동작이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동시 또는 서로 다른 시간에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적층형 반도체 회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 각각은 자신의 임피던스 조정 동작이 완료됨을 정의하는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를 상위의 반도체 칩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적층형 반도체 회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를 상기 상위의 반도체 칩으로 전송하기 위한 관통 비아를 더 포함하는 적층형 반도체 회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의 반도체 칩은 상기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의 임피던스 조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적층형 반도체 회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은 각각
    입력된 데이터를 드라이빙하도록 구성된 드라이빙 블록, 및
    임피던스 조정 인에이블 신호와 상기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가 모두 활성화되면, 자신과 연결된 외부 저항의 저항값을 기준으로 상기 드라이빙 블록의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동작을 개시하도록 구성된 임피던스 조정부를 포함하는 적층형 반도체 회로.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은 각각
    입력된 데이터를 드라이빙하도록 구성된 드라이빙 블록,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임피던스 조정 완료 신호와 상관없이 임피던스 조정 인에이블 신호가 활성화되면, 자신과 연결된 외부 저항의 저항값을 기준으로 상기 드라이빙 블록의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동작을 개시하도록 구성된 임피던스 조정부를 포함하는 적층형 반도체 회로.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테스트 모드 신호, MRS(Mode Register Set) 신호 또는 전자 퓨즈(E-Fuse) 신호를 포함하는 적층형 반도체 회로.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은
    서로 다른 시간에 활성화되는 칩 선택 신호들 각각에 응답하여 상기 임피던스 조정 동작이 서로 다른 시간에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적층형 반도체 회로.
KR1020120147438A 2012-12-17 2012-12-17 임피던스 조정 기능을 갖는 적층형 반도체 회로 KR102047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438A KR102047930B1 (ko) 2012-12-17 2012-12-17 임피던스 조정 기능을 갖는 적층형 반도체 회로
US13/845,628 US9030026B2 (en) 2012-12-17 2013-03-18 Stack type semiconductor circuit with impedance calib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438A KR102047930B1 (ko) 2012-12-17 2012-12-17 임피던스 조정 기능을 갖는 적층형 반도체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261A true KR20140078261A (ko) 2014-06-25
KR102047930B1 KR102047930B1 (ko) 2019-11-22

Family

ID=51129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7438A KR102047930B1 (ko) 2012-12-17 2012-12-17 임피던스 조정 기능을 갖는 적층형 반도체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930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0947A (ko) * 2012-12-21 2014-07-0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임피던스 조정 기능을 갖는 적층형 반도체 회로
KR20160049830A (ko) * 2014-10-28 2016-05-1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보정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보정 장치
KR20200008668A (ko) * 2017-06-22 2020-01-28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반도체 디바이스의 임피던스를 교정하기 위한 타이밍 기반 중재 방법 및 장치
US10860258B2 (en) 2015-12-24 2020-12-08 SK Hynix Inc. Control circuit,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US10868519B2 (en) 2016-12-09 2020-12-15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alibrating adjustable impedances of a semiconductor device
US11036396B2 (en) 2016-04-19 2021-06-15 SK Hynix Inc. Media controller and data storag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082043B2 (en) 2014-10-28 2021-08-03 SK Hynix Inc. Memory device
US11121714B2 (en) 2017-10-30 2021-09-14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memory devices of a semiconductor device sharing an external resistance
CN113540071A (zh) * 2020-04-17 2021-10-22 爱思开海力士有限公司 包括电阻器元件的半导体装置
US11200923B2 (en) 2018-05-08 2021-12-14 SK Hynix Inc. Semiconductor apparatus
US11237579B2 (en) 2019-11-19 2022-02-01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ZQ calibration
USRE49496E1 (en) 2015-07-30 2023-04-18 SK Hynix Inc. Semiconductor device
US11755255B2 (en) 2014-10-28 2023-09-12 SK Hynix Inc. Memory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memories sharing a resistance for impedance match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410A (ko) * 2009-06-30 2011-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임피던스 조정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410A (ko) * 2009-06-30 2011-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임피던스 조정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장치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0947A (ko) * 2012-12-21 2014-07-0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임피던스 조정 기능을 갖는 적층형 반도체 회로
US11082043B2 (en) 2014-10-28 2021-08-03 SK Hynix Inc. Memory device
KR20160049830A (ko) * 2014-10-28 2016-05-1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보정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보정 장치
US11755255B2 (en) 2014-10-28 2023-09-12 SK Hynix Inc. Memory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memories sharing a resistance for impedance matching
US10897253B2 (en) 2014-10-28 2021-01-19 SK Hynix Inc. Calibration circuit and calibr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RE49496E1 (en) 2015-07-30 2023-04-18 SK Hynix Inc. Semiconductor device
US10860258B2 (en) 2015-12-24 2020-12-08 SK Hynix Inc. Control circuit,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US11347444B2 (en) 2015-12-24 2022-05-31 SK Hynix Inc. Memory device for controlling operations according to different access units of memory
US11036396B2 (en) 2016-04-19 2021-06-15 SK Hynix Inc. Media controller and data storag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868519B2 (en) 2016-12-09 2020-12-15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alibrating adjustable impedances of a semiconductor device
KR20210035924A (ko) * 2016-12-09 2021-04-01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반도체 디바이스의 조정 가능한 임피던스를 캘리브레이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482989B2 (en) 2016-12-09 2022-10-25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alibrating adjustable impedances of a semiconductor device
US11916527B2 (en) 2016-12-09 2024-02-27 Lodestar Licensing Group Ll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alibrating adjustable impedances of a semiconductor device
US11212142B2 (en) 2017-06-22 2021-12-28 Micron Technology, Inc. Timing based arbit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alibrating impedances of a semiconductor device
US10855495B2 (en) 2017-06-22 2020-12-01 Micron Technology, Inc. Timing based arbit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alibrating impedances of a semiconductor device
KR20200008668A (ko) * 2017-06-22 2020-01-28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인크. 반도체 디바이스의 임피던스를 교정하기 위한 타이밍 기반 중재 방법 및 장치
US11121714B2 (en) 2017-10-30 2021-09-14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memory devices of a semiconductor device sharing an external resistance
US11728812B2 (en) 2017-10-30 2023-08-15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memory devices of a semiconductor device sharing an external resistance
US11200923B2 (en) 2018-05-08 2021-12-14 SK Hynix Inc. Semiconductor apparatus
US11237579B2 (en) 2019-11-19 2022-02-01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ZQ calibration
CN113540071A (zh) * 2020-04-17 2021-10-22 爱思开海力士有限公司 包括电阻器元件的半导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930B1 (ko) 2019-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7930B1 (ko) 임피던스 조정 기능을 갖는 적층형 반도체 회로
US9030026B2 (en) Stack type semiconductor circuit with impedance calibration
KR101208962B1 (ko) 반도체 장치
US9076515B2 (en) Memor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command/address calibration
KR101443463B1 (ko) 다이 위치 보상
US10276218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2070619B1 (ko) 온다이 터미네이션 회로,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및 온다이 터미네이션 방법
US9373381B2 (en) System including memories sharing calibration reference resistor and calibration method thereof
US8526251B2 (en) Semiconductor apparatus, method for delaying signal thereof, stacked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signal thereof
KR101839881B1 (ko) 임피던스 조절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US8325539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physically shared data path and test device for the same
JP2013090100A (ja) 半導体装置
TW200910373A (en) Dynamic impedance control for input/output buffers
US20200303030A1 (en) Stacked semiconductor device and test method thereof
JP2005039549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2012235114A (ja) 半導体集積回路のテスト回路及び方法
US9576936B2 (en) Semiconductor system having semiconductor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delay amount using the semiconductor apparatus
KR102047932B1 (ko) 임피던스 조정 기능을 갖는 적층형 반도체 회로
US9859020B2 (en) Semiconductor devices
JP2009022029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11201149B2 (en) Semiconductor devices
TWI574258B (zh) 使用命令/位址校準之記憶體裝置,系統及方法
US11792052B2 (en) Semiconductor apparatus including calibration circuit
JP2015170370A (ja) 半導体装置
KR20110012405A (ko) 쓰루 실리콘 비아 방식의 반도체 집적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