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8167A -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8167A
KR20140078167A KR1020120147213A KR20120147213A KR20140078167A KR 20140078167 A KR20140078167 A KR 20140078167A KR 1020120147213 A KR1020120147213 A KR 1020120147213A KR 20120147213 A KR20120147213 A KR 20120147213A KR 20140078167 A KR20140078167 A KR 20140078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flexibl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7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0569B1 (ko
Inventor
이재영
임희철
변현태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7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569B1/ko
Priority to CN201310136137.5A priority patent/CN103872069B/zh
Priority to US13/932,865 priority patent/US9508943B2/en
Publication of KR20140078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8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6Fillings or auxiliary members in containers or encapsulations, e.g. centering rings
    • H01L23/18Fill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its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its arrangement within the complete device
    • H01L23/26Fill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its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r its arrangement within the complete device including materials for absorbing or reacting with moisture or other undesired substances, e.g. gett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6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compris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includ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상에 부착되는 커버 필름과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가 형성된 플렉서블 기판 배면에 부착되는 바텀 필름이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고, 바텀 필름에 흡습제를 형성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플렉서블 기판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를 덮도록 형성된 커버 필름; 및 상기 플렉서블 기판 배면에 부착된 바텀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필름과 상기 바텀 필름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바텀 필름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 사이에 흡습제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정보를 화면으로 구현해 주는 영상 표시 장치는 정보 통신 시대의 핵심 기술로 더 얇고 더 가볍고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고성능의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음극선관(CRT)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평판 표시 장치로 유기 발광층의 발광량을 제어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가 각광받고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는 기판의 서브 화소 영역마다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속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그리고,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수분 및 산소에 취약하므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덮도록 봉지(Encapsulation) 기판이 형성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차례로 형성된 양극(Anode)인 제 1 전극, 발광층(Emission Layer; EML) 및 음극(Cathode)인 제 2 전극을 포함한다. 제 1, 제 2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면 정공과 전자가 발광층 내에서 재결합하여 엑시톤(Exciton)을 형성하고, 엑시톤이 기저상태로 떨어지며 발광한다.
특히,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플렉서블 기판 상에 형성하고, 봉지 기판 역시 플렉서블한 커버 필름으로 형성하여 플렉서블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그런데, 이 경우, 플렉서블 기판을 통해 수분이나 산소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렉서블 기판 하부에 부착되는 바텀 필름과 봉지 기판의 열팽창 계수가 달라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가 휘어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바텀 필름과 플렉서블 기판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OCA)를 통해서 부착되는데, 광학용 투명 접착제 및 바텀 필름은 투습 방지 능력이 낮다. 따라서,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수분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상에 부착되는 커버 필름과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가 형성된 플렉서블 기판 배면에 부착되는 바텀 필름이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고, 바텀 필름에 흡습제가 구비되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기판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를 덮도록 형성된 커버 필름; 및 상기 플렉서블 기판 배면에 부착된 바텀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필름과 상기 바텀 필름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바텀 필름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 사이에 흡습제가 형성된다.
상기 바텀 필름 상부면에 복수 개의 흡습제가 구비된다.
상기 복수 개의 흡습제는 서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거나, 서로 상이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 필름 및 상기 바텀 필름은 아크릴(Acrylic)계 감압성 점착제, 올레핀(Olefin)계 감압성 점착제, 실리콘(Silicone)계 감압성 점착제 중에서 선택된 물질로 형성된 점착층을 통해 각각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및 상기 플렉서블 기판에 부착된다.
상기 커버 필름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일 측면 및 상기 바텀 필름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일 측면에 형성된 배리어층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배리어층은 무기막 또는 유기막만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이거나, 무기막과 유기막이 적층된 다중층 구조이다.
상기 무기막은 알루미늄 옥사이드(AlxOy), 질산화실리콘(SiONx), 질산화실리콘(SiONx), 산화실리콘(SiOx), 질화실리콘(SiNx)과 같이 실리콘(Si) 또는 알루미늄(Al)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기막은 에폭시(Epoxy)계열 또는 아크릴(Acrylic)계열에서 선택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상에 부착되는 커버 필름과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가 형성된 플렉서블 기판 배면에 부착되는 바텀 필름이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어, 커버 필름과 바텀 필름의 열 팽창 계수 차이로 인해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가 휘어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바텀 필름 상부면에 흡습제를 형성하여, 수분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커버 필름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일 측면 및 바텀 필름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일 측면에 배리어층을 더 형성하여, 외부의 산소가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로 유입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의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바텀 필름 상에 부착된 흡습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제 1 실시 예 *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의 단면도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기판(120)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140),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140)를 덮도록 부착된 커버 필름(100b) 및 플렉서블 기판(120) 배면에 부착된 바텀 필름(100a)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기판(120)은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lo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에테르프 탈레이트(polyethylene ether phthalate), 폴리 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폴리 아릴레이트(poly a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 imide), 폴리에테르 술폰산(polyether sulfon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등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기 물질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필름이다.
플렉서블 기판(120)과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140) 사이에는 버퍼층(130)이 구비된다. 버퍼층(130)은 플렉서블 기판(120)으로 유입된 수분 및 산소가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140)에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버퍼층(130)은 산화실리콘(SiOx), 질화실리콘(SiNx) 등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의 단일층으로 형성되거나, 다중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버퍼층(130)의 두께는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버퍼층(130)을 사이에 두고 플렉서블 기판(120) 상에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140)가 형성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140)는 도 2와 같이, 게이트 전극(140a), 게이트 절연막(141), 반도체층(142), 소스 전극(143a) 및 드레인 전극(143b)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제 1 전극(145), 유기 발광층(147) 및 제 2 전극(148)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버퍼층(130) 상에 게이트 전극(140a)이 형성되고, 게이트 전극(140a)을 덮도록 게이트 절연막(141)이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141) 상에는 게이트 전극(140a)과 중첩되도록 반도체층(142)이 형성된다. 반도체층(142) 상에는 서로 이격된 소스 전극(143a)과 드레인 전극(143b)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덮도록 아크릴계 수지 등과 같은 유기막(144)이 형성된다. 유기막(144)은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하부 플렉서블 기판(120a)을 평탄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게이트 절연막(141)과 유기막(144) 사이에 산화 실리콘(SiOx) 또는 질화 실리콘(SiNx) 등의 무기막(미도시)이 형성되어 게이트 절연막(141), 소스, 드레인 전극(143a, 143b) 각각과 유기막(144)의 계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유기막(144) 상에는 드레인 전극(143b)과 접속되는 제 1 전극(145), 제 1 전극(145)의 일부 영역을 노출시키는 뱅크 절연막(146), 노출된 제 1 전극(145)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147) 및 유기 발광층(147)을 덮도록 제 2 전극(148)이 형성된다. 뱅크 절연막(146)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의 발광 영역을 정의하며, 비 발광 영역의 빛샘을 방지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140)를 덮도록 보호막(150)이 형성된다. 보호막(150)은 산화 알루미늄(AlOx), 산질화 실리콘(SiON), 질화 실리콘(SiNx), 산화 실리콘(SiOx) 등과 같은 실리콘(Si) 또는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무기 절연 물질의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되거나, 에폭시(Epoxy)계열의 유기 절연 물질 또는 100℃ 이하의 열경화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 절연 물질과 상기와 같은 무기 절연 물질이 적층된 다중층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무기 절연 물질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140)를 보호하기 위해, 100℃ 이하의 저온 PECVD 공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 필름(100b)이 상부 점착층(110b)을 통해 보호막(150) 상에 부착된다. 커버 필름(100b)의 두께는 5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필름(100b)은 등방성 또는 이방성 성질을 갖는 사이클로 올레핀 코폴리머(Cyclic Olefin Copolymer; COC), 사이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ic Olefin Polymer; COP), 폴리 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등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커버 필름(100b)이 등방성 성질을 갖는 경우, 커버 필름(100b)은 0㎚ 내지 3㎚의 위상 지연값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 필름(100b)이 이방성 성질을 갖는 경우, 커버 필름(100b)은 120㎚ 내지 148㎚의 위상 지연값을 갖는다.
그리고, 플렉서블 기판(120) 하부에도 하부 점착층(110a)을 통해 바텀 필름(100a)을 부착한다. 바텀 필름(100a)은 플렉서블 기판(120)을 통해 외부의 수분 및 산소가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14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바텀 필름(100a) 역시 커버 필름(100b)과 같이, 등방성 또는 이방성 성질을 갖는 사이클로 올레핀 코폴리머(Cyclic Olefin Copolymer; COC), 사이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ic Olefin Polymer; COP), 폴리 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등으로 형성된다.
바텀 필름(100a)이 등방성 성질을 갖는 경우, 바텀 필름(100a)은 0㎚ 내지 3㎚의 위상 지연값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바텀 필름(100a)이 이방성 성질을 갖는 경우, 바텀 필름(100a)은 120㎚ 내지 148㎚의 위상 지연값을 갖는다. 바텀 필름(100a)의 두께는 5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부 점착층(110b) 및 하부 점착층(110a)은 아크릴(Acrylic)계 감압성 점착제, 올레핀(Olefin)계 감압성 점착제, 실리콘(Silicone)계 감압성 점착제 등으로 형성되며, 50㎛ 내지 75㎛의 두께를 갖는다. 특히, 상부 점착층(110b) 및 하부 점착층(110a)은 10g/m2·day 이하의 수분 투습도를 가지며, 가시 광선 영역에서 95% 이상의 투과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부 점착층(110b) 및 하부 점착층(110a)의 점착력은 알칼리 프리 유리 기판에서 1300gf/inch 이상을 가지며, 상부 점착층(110b) 및 하부 점착층(110a)의 흐림도(Haze)는 Haze meter로 측정 시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는 커버 필름(100b)과 바텀 필름(100a)을 동일 물질로 형성하여, 열 팽창 계수의 차이에 의해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기판(120)과 바텀 필름(100a) 사이에 흡습제를 더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바텀 필름(100a) 상부면에 흡습제가 구비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바텀 필름 상에 부착된 흡습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와 같이, 바텀 필름(100a) 상부면에 흡습제(210)를 형성하여, 외부의 수분이 플렉서블 기판(도 1의 120)을 통해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도 1의 14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흡습제(210)는 바륨 옥사이드(BaO) 또는 칼슘 옥사이드(CaO)로 형성된다.
이 때, 도 3a와 같이, 흡습제(210)는 바텀 필름(100a) 상부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도 3b와 같이, 동일한 형태의 흡습제(210)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c와 같이, 서로 상이한 형태의 흡습제(210)가 복수 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커버 필름(100b) 하부면에도 흡습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커버 필름(100b) 상에 반사 방지부(200)가 형성된다. 반사 방지부(200)는 외부 광으로 인해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반사 방지부(200)는 110㎛ 내지 160㎛의 두께를 가지며, 위상차 필름(Quarter Wave Plate; QWP) 및 편광 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외부광은 폴리 비닐 알코올(Poly Vinyl Alcohol; PVA)로 이루어진 편광 필름을 통해 입사된다. 이 때, 편광 필름은 편광축과 일치하는 외부광은 통과시키고 편광축과 일치하지 않는 외부광은 흡수하므로, 외부광은 편광축 방향으로 선편광된다. 이어, 선편광된 외부광이 위상차 필름을 통과하며, 외부광의 진동 방향이 회전운동을 하도록 원편광된다.
그리고, 원편광된 외부광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140)에서 반사되어 회전방향이 역전되고, 다시 위상차 필름을 통과하며 선편광된다. 이 때, 위상차 필름을 통과하여 다시 선편광된 외부광의 편광면과 위상차 필름을 통과하지 않은 선편광의 편광면은 수직이므로, 다시 선편광된 외부광은 편광 필름의 편광축과 90°를 이룬다. 따라서, 외부광은 편광 필름에서 흡수되어 차단된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반사 방지부(200) 상에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와 같은 아세테이트계(Acetate) 수지, 폴리에스테르계(Polyester)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Polycarbonate) 수지, 폴리아미드계(Polyamide) 수지, 폴리이미드계(Polyimide) 수지, 폴리올레핀계(polyolefin) 수지, 아크릴계(Acrylic) 수지 등으로 형성된 보호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140) 상에 형성되는 커버 필름(100b)과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140)가 형성된 플렉서블 기판(120) 배면에 부착되는 바텀 필름(100a)이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어, 커버 필름(100b)과 바텀 필름(100a)의 열 팽창 계수 차이로 인해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가 휘어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바텀 필름(100a) 상에 흡습제(210)를 형성하여, 수분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제 2 실시 예 *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기판(220)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240),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240)를 덮도록 부착된 커버 필름(200b) 및 플렉서블 기판(220) 배면에 부착된 바텀 필름(200a)을 포함한다. 그리고, 커버 필름(200b)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일 측면 및 바텀 필름(200a)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일 측면에 배리어층(200c)이 더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기판(220)은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lo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에테르프 탈레이트(polyethylene ether phthalate), 폴리 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폴리 아릴레이트(poly a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 imide), 폴리에테르 술폰산(polyether sulfon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등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기 물질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필름이다.
플렉서블 기판(220)과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240) 사이에는 버퍼층(230)이 구비된다. 버퍼층(230)은 플렉서블 기판(220)으로 유입된 수분 및 산소가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240)에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버퍼층(130)은 산화실리콘(SiOx), 질화실리콘(SiNx) 등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의 단일층으로 형성되거나, 다중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130)의 두께는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버퍼층(230)을 사이에 두고 플렉서블 기판(220) 상에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240)가 형성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240)는 게이트 전극, 게이트 절연막, 반도체층,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제 1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240)를 덮도록 보호막(250)이 형성된다. 보호막(250)은 산화 알루미늄(AlOx), 산질화 실리콘(SiON), 질화 실리콘(SiNx), 산화 실리콘(SiOx) 등과 같은 실리콘(Si) 또는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무기 절연 물질의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되거나, 에폭시(Epoxy)계열의 유기 절연 물질 또는 100℃ 이하의 열경화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 절연 물질 및 상기와 같은 무기 절연 물질과 적층된 다중층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무기 절연 물질은 100℃ 이하의 저온 PECVD 공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 필름(200b)이 상부 점착층(210b)을 통해 보호막(250) 상에 부착되고, 바텀 필름(200a)이 하부 점착층(210a)을 통해 플렉서블 기판(220) 배면에 부착된다.
이 때, 커버 필름(200b)과 바텀 필름(200a)은 등방성 또는 이방성 성질을 갖는 사이클로 올레핀 코폴리머(Cyclic Olefin Copolymer; COC), 사이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ic Olefin Polymer; COP), 폴리 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등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커버 필름(200b) 및 바텀 필름(200a)이 등방성 성질을 갖는 경우, 커버 필름(200b) 및 바텀 필름(200a)은 0㎚ 내지 3㎚의 위상 지연값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 필름(200b) 및 바텀 필름(200a)이 이방성 성질을 갖는 경우, 커버 필름(200b) 및 바텀 필름(200a)은 120㎚ 내지 148㎚의 위상 지연값을 갖는다. 이 때, 커버 필름(200a) 및 바텀 필름(200b)의 두께는 5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부 점착층(210b) 및 하부 점착층(210a)은 아크릴(Acrylic)계 감압성 점착제, 올레핀(Olefin)계 감압성 점착제, 실리콘(Silicone)계 감압성 점착제 등으로 형성되며, 50㎛ 내지 75㎛의 두께를 갖는다. 특히, 상부 점착층(210b) 및 하부 점착층(210a)은 10g/m2·day 이하의 수분 투습도를 가지며, 가시 광선 영역에서 95% 이상의 투과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부 점착층(210b) 및 하부 점착층(210a)의 점착력은 알칼리 프리 유리 기판에서 1300gf/inch 이상을 가지며, 상부 점착층(210b) 및 하부 점착층(210a)의 흐림도(Haze)는 Haze meter로 측정 시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커버 필름(200b)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일 측면 및 바텀 필름(200a)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일 측면에 배리어층(200c)이 더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커버 필름(200b)의 상부면 및 바텀 필름(200a)의 하부면에 배리어층(200c)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와 같은 배리어층(200c)은 무기막 또는 유기막만으로 형성된 단일층 또는 다중층이거나, 무기막과 유기막이 적층된 다중층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무기막은 10㎚ 내지 50㎚ 두께로 형성되며, 유기막은 1㎛ 내지 3㎛ 두께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무기막은 알루미늄 옥사이드(AlxOy), 질산화실리콘(SiONx), 질산화실리콘(SiONx), 산화실리콘(SiOx), 질화실리콘(SiNx) 등과 같이 실리콘(Si) 또는 알루미늄(Al)을 포함한다. 그리고, 유기막은 에폭시(Epoxy)계열, 아크릴(Acrylic)계열 등에서 선택된다.
상기와 같은 배리어층(200c)의 수분 투습도는 5×10-1g/m2·day 내지 5×10-3g/m2·day이며, 배리어층(200c)의 투과율은 가시 광선 영역에서 89%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는 커버 필름(200b)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일 측면 및 바텀 필름(200a)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일 측면에 배리어층(200c)이 더 형성되어, 외부의 수분 및 산소의 유입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기판(220)과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240) 사이의 버퍼층(230)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거나 버퍼층(230)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바텀 필름(200a) 상부면에 바륨 옥사이드(BaO) 또는 칼슘 옥사이드(CaO)로 형성된 흡습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흡습제는 바텀 필름(200a) 상부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동일한 형태의 흡습제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상이한 형태의 흡습제가 복수 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커버 필름(200b) 하부면에도 흡습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필름(200b) 상에 반사 방지부(300)가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커버 필름(200b) 상에 배리어층(200c)이 형성되어, 반사 방지부(300)가 배리어층(200c) 상에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반사 방지부(300)는 외부 광으로 인해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반사 방지부(300)는 110㎛ 내지 160㎛의 두께를 가지며, 위상차 필름(Quarter Wave Plate; QWP) 및 편광 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는 커버 필름(200b)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일 측면 및 바텀 필름(200a)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일 측면에 배리어층(200c)을 형성하여, 외부의 산소가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240)로 유입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a, 200a: 바텀 필름 100b, 200b: 커버 필름
110a, 210a: 하부 점착층 110b, 210b: 상부 점착층
120, 220: 플렉서블 기판 130, 230: 버퍼층
140, 240: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140a: 게이트 전극
141: 게이트 절연막 142: 반도체층
143a: 소스 전극 143b: 드레인 전극
144: 유기막 145: 제 1 전극
146: 뱅크 절연막 147: 유기 발광층
148: 제 2 전극 150, 250: 보호막
200, 300: 반사 방지부 200c: 배리어층
210: 흡습제

Claims (8)

  1. 플렉서블 기판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를 덮도록 형성된 커버 필름; 및
    상기 플렉서블 기판 배면에 부착된 바텀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필름과 상기 바텀 필름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바텀 필름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 사이에 흡습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필름 상부면에 복수 개의 흡습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흡습제는 서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거나, 서로 상이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필름 및 상기 바텀 필름은 아크릴(Acrylic)계 감압성 점착제, 올레핀(Olefin)계 감압성 점착제, 실리콘(Silicone)계 감압성 점착제 중에서 선택된 물질로 형성된 점착층을 통해 각각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및 상기 플렉서블 기판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필름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일 측면 및 상기 바텀 필름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일 측면에 형성된 배리어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은 무기막 또는 유기막만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이거나, 무기막과 유기막이 적층된 다중층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막은 알루미늄 옥사이드(AlxOy), 질산화실리콘(SiONx), 질산화실리콘(SiONx), 산화실리콘(SiOx), 질화실리콘(SiNx)과 같이 실리콘(Si) 또는 알루미늄(Al)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은 에폭시(Epoxy)계열 또는 아크릴(Acrylic)계열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1020120147213A 2012-12-17 2012-12-17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101970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213A KR101970569B1 (ko) 2012-12-17 2012-12-17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CN201310136137.5A CN103872069B (zh) 2012-12-17 2013-04-18 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
US13/932,865 US9508943B2 (en) 2012-12-17 2013-07-01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213A KR101970569B1 (ko) 2012-12-17 2012-12-17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167A true KR20140078167A (ko) 2014-06-25
KR101970569B1 KR101970569B1 (ko) 2019-04-19

Family

ID=50910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7213A KR101970569B1 (ko) 2012-12-17 2012-12-17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08943B2 (ko)
KR (1) KR101970569B1 (ko)
CN (1) CN103872069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3993A (ko) * 2015-12-21 2017-06-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70119569A (ko) * 2016-04-19 2017-10-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및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815B1 (ko) 2014-02-19 2021-12-0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 및 박리 방법
KR102352288B1 (ko) * 2014-06-13 2022-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US9373817B2 (en) 2014-07-11 2016-06-2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ubstrate structure and device employing the same
CN105489789B (zh) 2016-01-18 2017-03-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器件制作方法及柔性显示器件
US9614187B1 (en) * 2016-03-29 2017-04-04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Electronic device package and package method thereof
CN106298858B (zh) * 2016-09-22 2019-05-14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及显示面板的制造方法
US10381425B2 (en) * 2016-12-08 2019-08-13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N106773384A (zh) * 2016-12-20 2017-05-3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Goa电路结构
CN107195800A (zh) * 2017-04-28 2017-09-2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及其制作方法
CN107154422B (zh) 2017-05-12 2019-11-15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及其制作方法
CN109148337A (zh) * 2018-08-31 2019-01-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的制备方法
CN109671763B (zh) * 2018-12-24 2021-02-2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KR20200102579A (ko) * 2019-02-21 2020-09-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 필름 및 이를 채용하는 표시 장치
CN110429123B (zh) * 2019-08-12 2022-03-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US11411149B2 (en) 2020-03-12 2022-08-09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panel
CN111341792B (zh) * 2020-03-12 2023-10-17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面板的制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7976A (ko) * 2003-10-20 2005-04-25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유기 el 표시 장치
JP2011082070A (ja) * 2009-10-08 2011-04-21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装置
KR20110101774A (ko) * 2010-03-09 2011-09-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4568B2 (en) * 2001-03-28 2003-09-23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Multilayer barrier region containing moisture- and oxygen-absorbing material for optoelectronic devices
EP1419286A1 (en) * 2001-08-20 2004-05-19 Nova-Plasma Inc. Coatings with low permeation of gases and vapors
CN100553388C (zh) * 2006-05-19 2009-10-21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双面有机发光显示装置
JP5473946B2 (ja) * 2008-02-08 2014-04-16 フジフィルム マニュファクチュアリング ヨーロッパ ビー.ヴィ. Wvtrバリア性を改善した多層スタック構造体の製造方法
GB2462844B (en) * 2008-08-21 2011-04-20 Cambridge Display Tech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8350470B2 (en) * 2008-12-17 2013-01-08 General Electric Company Encapsulation structures of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s
US20110025196A1 (en) * 2009-07-31 2011-02-03 General Electric Company Hermetic package with getter materials
US8920912B2 (en) * 2010-05-13 2014-12-30 Lg Chem, Ltd. Multilayer structured transparent electrically-conductive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230191B1 (ko) * 2010-12-14 2013-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7976A (ko) * 2003-10-20 2005-04-25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유기 el 표시 장치
JP2011082070A (ja) * 2009-10-08 2011-04-21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装置
KR20110101774A (ko) * 2010-03-09 2011-09-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3993A (ko) * 2015-12-21 2017-06-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70119569A (ko) * 2016-04-19 2017-10-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및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72069B (zh) 2017-07-25
US20140166995A1 (en) 2014-06-19
KR101970569B1 (ko) 2019-04-19
CN103872069A (zh) 2014-06-18
US9508943B2 (en) 201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0569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US10297647B2 (en) Circular polarizer f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US915995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308480B1 (ko) 플라스틱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I468793B (zh) 有機發光顯示裝置
KR20220012386A (ko)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361401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US20170301736A1 (en) Display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CN103178081B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及其制造方法
KR101920447B1 (ko) 광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70001844A (ko) 표시 장치
US9772435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20160119374A (ko)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890774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20004862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180157369A1 (en) Flexible touch panel
CN111312768A (zh) 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面板
KR102000051B1 (ko) 플렉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20064359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46948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9205435A1 (zh) Oled显示装置
KR20130077015A (ko)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190334127A1 (en) Oled display device
KR102122524B1 (ko) 플렉서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217933844U (zh) 显示面板、显示屏以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