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482B1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482B1
KR101469482B1 KR1020120050341A KR20120050341A KR101469482B1 KR 101469482 B1 KR101469482 B1 KR 101469482B1 KR 1020120050341 A KR1020120050341 A KR 1020120050341A KR 20120050341 A KR20120050341 A KR 20120050341A KR 101469482 B1 KR101469482 B1 KR 101469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light emitting
wave plate
organic
organic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6042A (ko
Inventor
이재영
양원재
김명섭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3/492,263 priority Critical patent/US9891361B2/en
Priority to GB1211141.5A priority patent/GB2493417B/en
Priority to CN201210225083.5A priority patent/CN102916034B/zh
Priority to DE102012013460.6A priority patent/DE102012013460B4/de
Publication of KR20130016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2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막 봉지 구조에 있어서 편광판측에 유무기 박막을 형성하고, 편광판을 유기 발광패널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봉지를 수행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구조를 단순화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기판;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와, 유기막, 무기막이 한쌍 이상 교번적층된 제 1 박막 적층체를 포함한 편광판; 및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를 덮도록,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가 형성된 플렉서블 기판과 상기 편광판 사이에 개재된 접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Organic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박막 봉지 구조에 있어서 편광판측에 유무기 박막을 형성하고, 편광판을 유기 발광패널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봉지를 수행하여 향상된 편광 특성과 구조 단순화가 가능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정보를 화면으로 구현하는 영상 표시 장치는 정보 통신 시대의 핵심 기술로 더 얇고 더 가볍고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고성능의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공간성, 편리성의 추구로 구부릴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가 요구되면서 평판 표시 장치로 유기 발광층의 발광량을 제어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근래에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상에 양극, 유기 발광층, 음극을 순서대로 적층해 형성한 유기 발광 장치와, 상기 유기 발광 장치를 캐핑(capping)하여 덮는 캐핑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유기 발광 장치의 동작 원리는 다음과 같다. 즉, 유기 발광층 양단에 형성된 음극 및 양극 사이에 전계를 가하여 유기 발광층 내에 전자와 정공을 주입 및 전달시켜 서로 결합할 때의 결합 에너지에 의해 발광되는 전계 발광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유기 발광층에서 전자와 정공이 쌍을 이룬 후 여기상태에서 기저상태로 떨어지면서 발광한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박막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산소에 의한 전극 및 발광층의 열화, 발광층-계면간의 반응에 의한 열화 등 내적 요인에 의한 열화가 있는 동시에 외부의 수분, 산소, 자외선과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해 쉽게 열화가 일어나는 단점이 있으므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패키징(packaging) 및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이 매우 중요하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인캡슐레이션하는 방법으로 유기 발광층이 형성된 기판과 대향 기판을 두고 가장자리에 실런트로 봉지하는 방법과, 유기 발광층이 형성된 기판 상에 박막의 유무기막을 교번 적층하여 봉지하는 방법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전자의 봉지 방식에 따른 글래스 입캡슐레이션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과 같이,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글래스 기판(10)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20),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30)가 형성되며, 상기 글래스 기판(10)과 대향되는 대향 글래스 기판(40)이 배치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글래스 기판(10)과 대향 글래스 기판(40) 중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에 실런트가 도포되어 봉지가 이루어진다. 이로써, 외부로부터 수분과 충격으로부터 내부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30) 및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20)를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향 글래스 기판(40)의 외측에는 외광으로 의해 반사되는 광을 차단하기 위해 편광판(50)이 별도로 접착층(미도시)을 개재하여 부착되어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대향 글래스 기판과 실런트를 이용한 봉지 방식은, 글래스 기판의 두께와 특성상 휘어짐이 없어 현재 대두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적용이 어렵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서는,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를 전면 덮도록 유무기 박막 필름을 교번하여 적층하는 봉지 방식의 이용이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봉지에 이용되는 박막 필름은 유무기 박막과 수분 투습 방지 필름 등이 포함된 것으로 광등방성의 글래스 기판과 달리, 주 기재가 플라스틱 성분으로 비등방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외부 광원이 입사하여 반사될 때 편광이 깨지면서 빛샘 발생에 따른 외광이 시인되어버리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박막 필름의 추가에 따른 광의 위상이 달라지게 되어 이를 고려한 광학 필름의 배치가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박막 봉지 구조에 있어서 편광판측에 유무기 박막을 형성하고, 편광판을 유기 발광패널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봉지를 수행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구조를 단순화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플렉서블 기판 상에,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를 형성하는 단계;와, 사분파장판의 제 1 면에, 유기막과 무기막이 한쌍 이상 교번적층된 제 1 박막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박막 적층체가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를 덮도록, 상기 제 1 박막 적층체와 상기 플렉서블 기판 사이에 접착층을 개재하여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를 봉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분파장판의 제 2 면에 선형 편광층을 부착하여 상기 사분파장판과 선형 편광층이 적층된 편광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사분파장판의 제 2 면에 선형 편광층을 형성시, 상기 사분파장판의 지상축에 대해 상기 선형 편광층의 흡수축이 서로 45°를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사분파장판의 제 1 면에, 제 1 박막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분파장판의 제 2 면에, 유기막, 무기막이 한쌍 이상 교번 적층된 제 2 박막 적층체를 함께 형성한다.
또한, 상기 사분파장판의 제 1 면에 상기 제 1 박막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분파장판의 제 1 면에, 유기 용제를 기상화하여 코팅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유기 용제를 경화시켜 유기막으로 형성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유기막 상에 무기막을 증착하여 성막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박막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분파장판이 롤 상에 감겨진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분파장판의 제 2 면에 선형 편광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분파장판의 제 2면과 상기 선형 편광층 사이에 접착층을 더 개재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기판;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와, 유기막, 무기막이 한쌍 이상 교번적층된 박막 적층체를 포함한 편광판; 및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를 덮도록,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가 형성된 플렉서블 기판과 상기 편광판 사이에 개재된 접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기판;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 와,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가 형성된 플렉서블 기판에 대향하는 면에 유기막, 무기막이 한쌍 이상 교번적층된 제 1 박막 적층체를 포함한 편광판; 및 상기 제 1 박막 적층체가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를 마주보도록,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가 형성된 플렉서블 기판과 편광판 사이에 개재된 접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편광판은, 상기 제 1 박막 적층체에 가장 인접하여 사분파장판(quarter wave plate: λ/4 plate)과, 상기 사분파장판 상에 선형 편광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사분파장판과 상기 제 1 박막 적층체의 유기막이 접한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상기 사분파장판과 상기 선형 편광층 사이에 유기막, 무기막이 한쌍 이상 교번 적층된 제 2 박막 적층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혹은 상기 사분파장판과 상기 선형 편광층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 또는 무기막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박막 적층체를 포함한 사분파장판은 50㎛ 내지 8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사분파장판의 지상축과 상기 선형 편광판의 흡수축은 서로 45°을 이룬다.
상기 사분파장판은 팔분파장판(λ/8 plate)이 이중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분파장판은 400nm 내지 500nm의 파장에서, 5% 이하의 반사율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사분파장판의 리타데이션 값은 138nm 내지 148 nm이다.
상기 플렉서블 기판은 플라스틱, 0.2mm 이하의 박막 글래스 및 금속 호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분파장판의 수분 투습도는 10-3g/m2·day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는 다른 형태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기판;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와,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 상에 위치하며, 원형 편광층 및 상기 원형 편광층의 제 1 면에 유기막, 무기막이 한쌍 이상 교번적층된 제 1 박막 적층체가 형성된 편광판; 및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를 덮도록,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가 형성된 플렉서블 기판과 상기 편광판 사이에 개재된 접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이 때, 상기 편광판은, 상기 제 1 박막 적층체 상부에, 투명 광학 필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이방성을 갖는 플라스틱 성분의 박막 필름을 배제하고, 편광판을 이루는 위상차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봉지용 유무기 박막을 성막하여, 편광판과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 형성된 기판을 대향시킨 후 그 사이에 접착층을 개재하여 봉지를 수행한다. 이 경우, 편광판과 기판 사이의 플라스틱 성분의 박막 필름이 생략되어, 이로 인한 외광 시인이 방지될 수 있다. 즉, 편광판과 일체형으로 유무기 박막을 형성함에 따라,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와 편광판 사이에 접착층 외의 필름을 배제할 수 있어, 필름 구비시 발생할 수 있는 광경로차 등으로 인해 편광이 깨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봉지형 유무기 박막을 편광판측에 형성하여, 종래 유무기 박막 외로 요구되는 기재 생략이 가능하고 또한, 종래의 글래스 인캡슐레이션에 대비하여 글래스 기판 생략이 가능하여, 디스플레이의 두께를 현저히 줄일 수 있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구현에 유리하다.
셋째, 편광판을 이루는 위상차판의 적어도 일면에 일체형으로 유무기 박막을 형성함으로써, 봉지 구조 단순화가 가능하다. 즉, 롤투롤 공정에 의해 위상차판에 유무기 박막을 성막하여, 위상차판과 유무기 박막 사이에 접착층을 생략할 수 있고, 종래 유무기 박막에 요구되는 별도의 기재 필름 생략이 가능하여, 구조 단순화가 꾀해진다.
넷째, 편광판에 일체화하여 유무기 박막이 성막되어, 편광판의 편광 특성이 유지될 수 있어, 명대조비(ACR: Ambient Contrast Ratio)가 일정 값 이상 확보된다. 따라서, 외부광이 있는 상황에서도 디스플레이 시청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는 도 3의 편광판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b는 도 4a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3의 선형 편광층의 흡수축 및 사분파장판의 지상축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선형 편광층 흡수축에 따라 외부광이 사분파장판을 통과하였을 때의 위상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외부광의 반사 방지 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박막 형성을 나타낸 공정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대표도이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기판(100)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100)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10)와, 유기막, 무기막이 한쌍 이상 교번적층된 제 1 박막 적층체(131)를 포함한 편광판(130) 및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10)를 덮도록,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10)가 형성된 플렉서블 기판(100)과 상기 편광판(130) 사이에 개재된 접착층(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10)는 매트릭스상으로 구획된 픽셀별로 유기 발광 소자를 갖는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10) 하부의 상기 플렉서블 기판(100) 상에는, 구동을 위해 각 유기 발광 소자의 양극과 접속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렉서블 기판(100)은 연성으로 휘어지거나 접을 수 있는 것으로,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휴대가 용이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그 형태를 가변할 수 있다. 또한, 대형 크기로 형성시에는 일정한 면에 고정 방식으로 장착되며,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양 가장자리와 시청자 사이의 거리 조절을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하여, 화면을 입체감 있게 조절 가능하여 시감 및 입체감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수분 투습 방지 및 외기 유입 방지를 위한 배리어 기능을 갖는 박막 적층체를 포함한 편광판을 구비하고, 상기 박막 적층체를 포함한 편광판을 통해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의 봉지 기능을 하는 것으로, 박막 적층체를 포함한 편광판이 마련된 후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를 포함한 플렉서블 기판 상에 접착층을 개재하여 봉지가 이루어진다. 이 경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 자체의 별도 봉지 공정이 생략되고, 편광판의 부착 공정만으로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의 인캡슐레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 표시 장치의 유연화 요구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플렉서블 기판(100)을 대체하여 일반 글래스 기판으로 형성하고, 상술한 박막 적층체를 포함한 편광판으로 봉지 기능만 꾀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접착층(120)은 접착성을 가지며, 투습방지에 강한 재료로 이루어지며, 통상적인 두께보다는 크게 하여,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10)의 가장자리까지 충분히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별로 플렉서블 기판 및 그 상부에 형성되는 어레이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a는 도 3의 편광판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a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기판(100)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100)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10)와,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10)가 형성된 플렉서블 기판에 대향하는 면에 유기막, 무기막이 한쌍 이상 교번적층된 제 1 박막 적층체를 포함한 편광판(130) 및 상기 제 1 박막 적층체가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를 덮도록, 상기 플렉서블 기판과 편광판 사이에 개재된 접착층(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편광판(130)은, 상기 제 1 박막 적층체(131)가 그 일면에 일체화하여 성막하여 형성된 사분파장판(quater wave plate: λ/4 plate)(132)으로 이루어지는 위상차부(1300)와, 상기 사분파장판 상에 선형 편광층(1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1 박막 적층체(131)는 도 4와 같이, 상기 사분파장판(132)의 한 면에 유기막(131a, 131c)과 무기막(131b)이 한쌍 이상 교번하여 적층하여 형성된다. 도 4a에 도시된 도면 상에는 유기막(131a), 무기막(131b), 유기막(131c)의 순으로 적층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어느 경우나, 상기 사분파장판(132)에 가장 인접하여 형성된 막은 유기막이며, 가장 외부에 있는 층 역시 유기막이다. 전자의 이유는 사분파장판(132)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며, 충분한 두께로 성막하여, 성막 표면의 평탄성을 주기 위해서이고, 후자의 이유는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10)에 대향되는 면에 들어오는 접착층(120)과의 계면 접합성을 좋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유무기막이 교번 적층되어 이루어진 제 1 박막 적층체(131)는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10)의 봉지(sealing)를 위한 보호막들로, 사분파장판(132)을 롤(roll) 상에 기재로 감은 상태에서, 유기 용제를 기상으로 도포하고, 무기막 가스를 증착하여 형성한다.
여기서, 무기막(131b)은 외부의 수분이나 외기가 내부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10)로 투습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유기막(131a, 131c)은 일정 수준의 두께를 유지하여,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10)를 커버하며, 공정상 발생된 이물을 커버하여, 이물이 내부의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10)를 열화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도 4b와 같이, 제 1 박막 적층체(131A)와 함께, 상기 사분파장판(132)의 제 2 면에는 상기 선형 편광층(1400) 사이에 유기막(131a), 무기막(131b)이 한쌍 이상 교번 적층된 제 2 박막 적층체(131B)를 더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 제 2 박막 적층체(131B)는 슬림화를 고려할 때,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막(131a), 무기막(131b)의 2층의 최소 단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혹은, 상기 제 2 박막 적층체(131B)을 대체하여 한 층의 유기막 혹은 무기막만이 상기 사분파장판(132)의 제 2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의 상기 유기막은 약 0.2㎛ 내지 0.5㎛의 성막된 것이고, 상기 무기막은 0.05~0.35㎛의 수준으로 성막된 것으로, 제 1 박막 적층체(131)는 이들 유무기막의 전체 교번 적층된 것으로, 약 3㎛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박막 적층체(131B)를 구비하는 경우, 제 1 박막 적층체(131A)와 동일 또는 유사한 조건의 두께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선형 편광층(1400)은 도시된 적층 구조의 중심에 위치하여 일축 방향으로 광의 흡수축을 갖는 편광 기능을 갖는 PVA(Polyvinyl Alcohol)층(135)과, 상기 PVA층(135)의 양면에 제 1, 제 2 TAC(TriAcetyl Cellulose)층 (134, 136)과, 상기 제 2 TAC층(136) 표면에 외부로부터 보호를 위한 하드 코팅층(137)과, 상기 제 1 TAC층(134) 외측에 외부 필름과의 접착을 위한 점착층(1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점착층(133)는 상기 선형 편광층(1400)이 표면에 구비한 것으로, 별도의 접착층을 더 구비하지 않고, 상기 선형 편광층(1400)을 상기 사분파장판(132) 상에 부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형 편광층(1400)의 총 두께는 약 60㎛ 내지 100㎛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박막 적층체(131)와 사분파장판(132)을 포함한 위상차부(1300)는 50㎛ 내지 80㎛의 두께를 가진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상기 사분파장판(132)은 팔분파장판(λ/8 plate)이 이중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분파장판(132)은 400nm 내지 500nm의 파장(단파장 영역)에서, 5% 이하의 반사율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져, 사분파장판(132)에서의 외광 반사가 이루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사분파장판의 리타데이션 값(retardation)은 138nm 내지 148 nm이다.
또한, 상기 사분파장판(132)의 수분 투습도는 10-3g/m2·day 이하로 하여, 하부에 형성된 제 1 박막 적층체(131)와 함께 충분히 외부로부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10) 내로 수분이 침투됨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플렉서블 기판(100)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내부에 포함하는 것으로, 그 두께는 플라스틱, 0.2mm 이하의 박막 글래스 및 금속 호일(foil)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기판(100)은 휘어짐이 가능하며, 휜 상태에서 다시 평판을 회복할 때 크랙(crack)이 없는 재질의 재료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 또는 금속 호일을 이용시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 공정시, 기판이 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라스틱 필름 또는 금속 호일을 글래스 기판과 같은 일정한 경화 기판 상에 고정시켜 공정을 진행하고, 어레이 형성 공정 후에 상기 글래스 기판을 제거한다. 박막 글래스의 경우는, 어레이 형성 공정에서 일반 글래스 상에 진행하고, 어레이 형성 후, 글래스는 일정 두께 에칭하여 연성 가능한 두께로 형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 기판(100)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100)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10)와,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10) 상에 위치하며, 원형 편광층(230) 및 상기 원형 편광층(circular polarizing layer)(230) 상에 유기막(241), 무기막(242)이 한쌍 이상 교번 적층된 제 1 박막 적층체(240)를 포함한 편광판(2300) 및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10)를 덮도록,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10)가 형성된 플렉서블 기판(100)과 상기 원형 편광층(230) 사이에 개재된 접착층(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 5와 같이, 상기 편광판(2300)은 최외부면에 투명 광학 필름(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투명 광학 필름(250)은 상기 제 1 박막 적층체(240) 상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박막 적층체(240)는 평탄하고 광이방성을 갖는 투명 광학 필름(250) 상에 직접 증착/코팅하여 형성한 후, 상기 원형 편광층(230)의 일면이 갖는 점착층(미도시)에 의해 상기 원형 편광층(230)에 부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원형 편광층(230)은 내부가 원형 편광 기능을 갖기 위해 광학적으로 처리되어 있고, 또한, 표면이 매끄럽지 않아 유기막 또는 무기막의 증착 또는 코팅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박막 적층체(240)는 상기 투명 광학 필름(250) 상에 직접 증착/코팅시 상기 원형 편광층(230)에 제 1 박막 적층체(240)를 증착하는 경우 대비 수율이 더 향상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원형 편광층(230)은 투습 방지 또는 외기 유입 방지 기능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 제 1 박막 적층체(240)와 마주보지 않은 면에 유기막 또는 무기막의 단일층 혹은 유기막/무기막이 한쌍 이상 교번 적층된 제 2 박막 적층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최종적으로 도 5와 같이, 상기 투명 광학 필름(250)은, 제 1 박막 적층체(240)가 원형 편광층(230)에 대면하도록 하여, 최상부면에 위치하는 데, 투명 광학 필름(250)이 광이방성을 갖더라도, 원형 편광층(230) 외부에 투명 광학 필름(250)이 위치하여, 원형 편광층(230) 내로 입사된 광의 편광 특성은 유지된다.
상기 원형 편광층(230)은 원편광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하기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광학적으로 투과되는 Y축 진동 성분의 광과 λ/4만큼 지연된 X축 진동 성분의 광의 벡터합에 의해 마치 원형으로 회전하는 광학 효과를 갖는 것으로, 원형 편광이라 한다. 이러한 원형 편광층(230)은 상술한 선형 편광층과 사분파장판이 적층된 형태에서 얻는 광학 효과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투명 광학 필름(250)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광이방성의 투명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10㎛ 내지 90㎛ 의 두께로, 바람직하게는 50㎛ 전후의 두께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원형 편광층(230)의 총 두께는 약 60㎛ 내지 100㎛이다.
도 6은 도 3의 선형 편광층의 흡수축 및 사분파장판의 지상축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과 같이, 상기 선형 편광층(1400) 내의 PVA층(135)의 흡수축(Θp)과 상기 사분파장판(132)의 지상축(slow axis)(Θr)은 서로 45°의 상호각을 이룬다. 여기서, 선형 편광층(1400)에서 상기 PVA층(135)이 광학 기능을 갖는 것으로, 상기 PVA층(135)의 흡수축은 전체 선형 편광층(1400)의 흡수축이다.
이 때, 상기 선형 편광층(1400)은 일 방향으로 흡수축을 갖고, 외부로부터(하드 코팅층(137)을 통해) 광이 입사되면 흡수축을 경계로 ±45°로 X축 진동 성분, Y축 진동 성분의 광의 투과된다. 이 중 X 축 진동 성분의 광이 상기 사분파장판(132)의 지상축과 만나며 λ/4만큼 지연되어 통과된다. 이에 따라, 선형 편광층(1400)을 거쳐 사분파장판(132)을 광이 통과할 경우, 정상적으로 투과되는 Y축 진동 성분의 광과 λ/4만큼 지연된 X축 진동 성분의 광의 벡터합에 의해 마치 원형으로 회전하는 것처럼 보여 이를 원형 편광이라 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10) 내에 반사성의 양극(도 7의 111 참조)이 포함되어 있어, 상기 원형 편광되어 내부로 입사된 광이 다시 반사되어 반대 방향으로 원형 편광되어 상부로 나오고, 이는 다시 사분파장판(132)을 거쳐 X축 진동 성분의 광의 성분이 λ/4만큼 지연되어 나온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반사된 광은 이중으로 사분파장판(132)을 지나게 되어, 상기 선형 편광층(1400)을 투과한 광이 λ/2만큼 지연되어, X축 진동 성분의 광과 Y축 진동 성분의 광이 벡터합된 광은 상기 선형 편광층(1400)의 흡수축에 상당하여 외부로의 광의 출사가 차단된다. 이와 같은 원리에 의해 상기 편광판(130)은 난반사 혹은 산란되어 여러 방향으로 들어오는 외부광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변형예에 따른 선형 편광층 흡수축 및 이에 따라 외부광이 위상차층을 통과하였을 때의 위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선형 편광층의 흡수축이 사분파장판(위상차층)의 지상축에 대해 우상에서 좌하를 향하는 방향으로 45°를 이룬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선형 편광층의 흡수축에 대해 90° 틀어진 방향은 상기 편광판에 구비된 사분파장판(위상차층)의 지연 기능에 의한 광경로가 틀어지는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즉, 사분파장판(위상차층)의 우측 방향을 향하는 지상축에 대해 선형 편광층이 45° 회전한 방향으로 선형 편광층이 흡수축을 갖고 있을 때, 사분파장판을 통과시 지상축에 대해 135°(-45°)회전한 것과 같은 광경로 틀어짐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선형 편광층의 흡수축과 90° 교차하는 방향으로 선형 편광판과 사분파장판을 부착하여 형성한 편광판을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사분파장판(위상차층)의 우측 방향을 향하는 지상축에 대해 선형 편광층이 -45° 회전한 방향으로 선형 편광층이 흡수축을 갖고 있을 때, 사분파장판을 통과시 지상축에 대해 -135°(+45°) 회전한 것과 같은 광경로 틀어짐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7a 및 도 7b와 같이, 어느 경우이든 수평한 방향의 지상축을 갖는 사분파장판 상에 +45° 또는 -45° 틀어, 선형 편광층을 부차하여 편광판(130)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편광판(130)이 덮는 플렉서블 기판(100) 상에는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가 형성되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 하부에는, 유기 발광 소자의 양극과 접속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250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플렉서블 기판 및 그 상부에 형성되는 어레이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본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도 8과 같이,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90)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가 형성되고, 그 상부에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10)가 형성되고, 상기 기판(90)에 대향되어 편광판(130)이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편광판(130)과 상기 기판(90) 사이를 접착하며,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10)를 충분히 덮도록 접착층(120)이 형성된다.
여기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포함한 기판(90)을 플렉서블 기판(100)이라 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는, 반도체층(101), 반도체층(101)을 포함한 기판(90) 전면에 형성된 제 1 절연막(102)과, 상기 반도체층(101)의 중앙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103)과, 상기 게이트 전극(103)을 덮으며 상기 제 1 절연막(102) 전면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104)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104) 및 제 1 절연막을 일부 제거하여 상기 반도체층(101)의 양측과 접속된 드레인 전극(105a) 및 소오스 전극(105b)과, 상기 드레인 전극(105a) 및 소오스 전극(105b)을 포함한 상기 제 1 절연막(102) 상에 형성된 제 2 절연막(106a)과, 상기 제 2 절연막(106a) 상에 상기 드레인 전극(105a)과 접속된 콘택 전극(107) 및, 상기 콘택 전극(107)을 포함한 제 2 절연막(106a) 상에 형성된 제 3 절연막(106b)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3 절연막(106b)을 생략할 수 있으며, 제 2, 제 3 절연막(106a, 106b)은 한 층(106)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콘택 전극(107)과 일부 오버랩하며 그 하부에, 상기 게이트 전극(103)과 동일층에 게이트 금속 패턴(108)을 더 구비하며, 오버랩된 위치에 스토리지 캐패시터를 정의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반도체층과 동일층에 상기 게이트 금속 패턴에 대응하여 반도체층 패턴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생략 가능하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에는 상기 게이트 전극(103)과 연결되는 일 방향의 게이트 라인(미도시)과, 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소오스 전극(105b)과 연결된 데이터 라인(미도시)을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10)는 매트릭스 상의 화소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화소 영역에 유기 발광 소자를 구비하며, 각 유기 발광 소자는 상기 콘택 전극(107)과 접속된 양극(111)과, 발광층(113), 음극(1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화소 영역은 뱅크(112)에 의해 나뉘어진다.
여기서, 상기 양극(111)은 반사성 금속으로 외부광이 입사되면 상기 양극(111) 표면에서 반사된다.
또한,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10)의 최상부는 상기 각 유기 발광 소자(110)를 덮는 무기보호막(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보호막(116)은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편광판(130)은 제 1 박막 적층체(131)가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10)를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편광판(130)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100) 사이에는 접착층을 개재하여 봉지를 꾀한다.
도 9는 도 8의 외부광의 반사 방지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와 같이, 외부에서 입사된 외부광은 선형 편광층(1400)을 투과하며, 특히, PVA층(135)을 지나며 특정 방향의 투과축(X축 방향의 진동된 광과 Y축 방향으로 진동된 광의 벡터합)을 가지며 입사(대략 선형 편광층의 흡수축의 수직인 방향)(input 편광 상태)되고, 입사된 광은 사분파장판(132)을 지나며 우원 편광되고, 우원편광되어 입사된 광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110)의 반사성 양극(110)에서 반사된다. 양극(110)에서 반사된 광은 우원편광된 광이 반전되어 좌원 편광된 광으로 이는 다시 사분파장판(132)을 지나며, 선형 편광층(1400)의 투과축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틀어 진행한다. 이와 같이, 상기 선형 편광층(1400)의 투과축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의 광(output 편광상태)은 다시 선형 편광층(1400)의 PVA층(135)의 흡수축에 일치하여 상기 선형 편광층(1400)에 흡수되어 버린다.
이하,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특히, 사분파장판에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박막 형성을 나타낸 공정도면이다.
도 10과 같이, 상술한 수분 흡습도, 반사율, 특정 리타데이션 조건 및 두께를 갖는 사분파장판(132)을 외부에서 필름 상의 기재로 코팅 롤(450)에 공급한다. 이 경우, 상기 사분파장판(132) 역시 외부에서 롤 상태로 감긴 상태로, 사분파장판(132) 상에 유기막, 무기막을 형성하는 공정은 롤투롤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코팅 롤(450)에 기재로 공급된 사분파장판(132) 상에 일차로 유기 용제 펌프(410)로부터 유기 용제를 이베포레이터(420)를 통해 기상화하여 도포한다. 이어, 도포된 유기 용제 성분을 큐어링부(430)에서 열 등을 가하여 건조시켜 유기막(131a)을 형성한다.
이어, 상기 유기막(131a) 상에 무기막 스퍼터(440)을 이용하여 무기막(131b)을 증착하여 성막한다.
도시된 도면 상에는 유기막(131a)이 바로 사분파장판(132) 상에 도포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사분파장판(132) 표면의 거친 면을 상기 유기막(131a)이 일정 두께 이상 덮도록 코팅하여 표면의 평탄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경우에 따라, 무기막(131b)을 유기막(131b) 상에 형성 후, 별도의 유기막 이베포레이터, 큐어링부를 더 구비하여, 유기막을 상기 무기막(131b) 상에 더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유무기막은 도시된 한쌍 이상으로 하여 복수 쌍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유기 용제 펌프(410)는 일반 대기압 조건에 배치시켜 두고, 나머지, 이베포레이터(420), 큐어링부(430), 무기막 스퍼터(440) 및 코팅 롤(450)은 진공 챔버 내에 구비한다.
이와 같이, 유기막(131a), 무기막(131b)이 한쌍 이상 교번 적층된 제 1 박막 적층체(131)가 일면에 형성된 상기 사분파장판(132)을 마련한다.
여기서, 상기 사분파장판(132) 마련시 상기 제 1 박막 적층체(131) 외에, 제 1 박막 적층체(131)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면에 유기막, 무기막이 한쌍 이상 적층된 제 2 박막 적층체 혹은 절연막 또는 유기막의 단일막을 더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제 1 박막 적층체의 형성 방법은, 제 2 실시예에서는 사분파장판 대신 투명 광학 필름 상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어, 상기 제 1 박막 적층체가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를 덮도록, 상기 사분파장판(132)과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를 포함한 플렉서블 기판(도 3의 100 참조)의 사이에 접착층(도 3의 120 참조)을 개재하여,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를 봉지한다. 이 때, 접착층(120)의 상하는 직접적으로 사분파장판의 제 1 박막 적층체(131)과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를 포함한 플렉서블 기판(도 3의 100 참조)과 접한다.
이어, 상기 제 1 박막 적층체(131)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사분파장판(132)의 다른 면에, 선형 편광층을 대향시킨 후 사분파장판(132)과 선형 편광층을 부착시킨다 (도 4 참조). 이 경우, 상기 선형 편광층(1400)은 상기 사분파장판(132)과 대향하는 면에 점착층(133)을 자체적으로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혹은 사분파장판(132)과 선형 편광층(1400) 사이에 점착층(도 4의 133 참조)을 더 개배하여, 부착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이방성을 갖는 플라스틱 성분의 박막 필름을 배제하고, 편광판을 이루는 위상차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봉지용 유무기 박막을 성막하여, 편광판과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 형성된 기판을 대향시킨 후 그 사이에 접착층을 개재하여 봉지를 수행한다.
이 경우, 편광판과 기판 사이의 플라스틱 성분의 박막 필름이 생략되어, 이로 인한 외광 시인이 방지될 수 있다. 즉, 편광판과 일체형으로 유무기 박막을 형성함에 따라,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와 편광판 사이에 접착층 외의 필름을 배제할 수 있어, 필름 구비시 발생할 수 있는 광경로차 등으로 인해 편광이 깨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봉지형 유무기 박막을 편광판측에 형성하여, 종래 유무기 박막 외로 요구되는 기재 생략이 가능하고 또한, 종래의 글래스 인캡슐레이션에 대비하여 글래스 기판 생략이 가능하여, 디스플레이의 두께를 현저히 줄일 수 있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구현에 유리하다.
그리고, 편광판을 이루는 위상차판의 적어도 일면에 일체형으로 유무기 박막을 형성함으로써, 봉지 구조 단순화가 가능하다. 즉, 롤투롤 공정에 의해 위상차판에 유무기 박막을 성막하여, 위상차판과 유무기 박막 사이에 접착층을 생략할 수 있고, 종래 유무기 박막 형성에 요구되는 별도의 기재 필름 생략이 가능하여, 구조 단순화가 꾀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편광판에 일체화하여 유무기 박막이 성막되어, 편광판의 편광 특성이 유지되어, 명대조비(ACR: Ambient Contrast Ratio)가 일정 이상 확보된다. 예를 들어, 실험상에서 5000 lux 의 조건에서 6 이상의 값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외부광이 있는 상황에서도 명암 식별이 가능하여 디스플레이 시청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기술들은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의 변경 및 다른 용도는 당업자들에게는 알 수 있을 것이며, 상기 변경 및 다른 용도는 본 발명의 취지 내에 포함되거나 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100: 플렉서블 기판 110: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
120: 접착층 130: 편광판
131: 제 1 박막 적층체 132: 사분파장판
133: 점착층 134: 제 1 TAC층
135: PVA층 136: 제 2 TAC층
137: 하드 코팅층 140: 선형 편광층
131A: 제 1 박막 적층체 131B: 제 2 박막 적층체
230: 원형 편광층 240: 제 2 박막 적층체
250: 투명 광학 필름

Claims (21)

  1. 플렉서블 기판;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
    유기막, 무기막이 한쌍 이상 교번적층된 박막 적층체와, 상기 박막 적층체에 가장 인접하여 사분파장판(quarter wave plate: λ/4 plate)과, 상기 사분파장판 상에 선형 편광층을 포함한 편광판; 및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를 충분히 덮도록,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가 형성된 플렉서블 기판의 가장자리까지 대응하여, 상기 플렉서블 기판과 상기 편광판 사이에 개재된 접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박막 적층체는 상기 접착층과 직접 접하며, 상기 사분파장판은 상기 박막 적층체의 상기 접착층과 접하지 않은 면의 최상부에 있는 유기막과 직접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플렉서블 기판;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가 형성된 플렉서블 기판에 대향하는 면에 유기막, 무기막이 한쌍 이상 교번적층된 제 1 박막 적층체와, 상기 제 1 박막 적층체에 가장 인접하여 사분파장판(quarter wave plate: λ/4 plate)과, 상기 사분파장판 상에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 또는 무기막의 박막 보호층과, 상기 박막 보호층 상에 선형 편광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편광판; 및
    상기 제 1 박막 적층체가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를 마주보도록,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가 형성된 플렉서블 기판과 편광판 사이에 개재된 접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분파장판과 상기 제 1 박막 적층체의 유기막이 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보호층은 상기 사분파장판과 상기 선형 편광층 사이에 유기막, 무기막이 한쌍 이상 교번 적층된 제 2 박막 적층체의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삭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박막 적층체를 포함한 사분파장판은 50㎛ 내지 80㎛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분파장판의 지상축과 상기 선형 편광판의 흡수축은 서로 45°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분파장판은 팔분파장판(λ/8 plate)이 이중 적층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분파장판은 400nm 내지 500nm의 파장에서, 5% 이하의 반사율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분파장판의 리타데이션 값은 138nm 내지 148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기판은 플라스틱, 0.2mm 이하의 박막 글래스 및 금속 호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분파장판의 수분 투습도는 10-3g/m2·day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4. 플렉서블 기판;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 상에 위치하며, 원형 편광층 및 상기 원형 편광층 상에 유기막, 무기막이 한쌍 이상 교번적층된 제 1 박막 적층체 및 상기 제 1 박막 적층체 상부에, 투명 광학 필름을 포함한 편광판; 및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를 충분히 덮도록,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가 형성된 플렉서블 기판의 가장자리까지 대응하여, 상기 플렉서블 기판과 상기 편광판 사이에 개재된 접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편광판 내의 상기 제 1 박막 적층체는 상기 투명 광학 필름에 직접 코팅되어, 상기 원형 편광층에 대면 접착되며,
    상기 제 1 박막 적층체와 대면하지 않은 상기 원형 편광층의 면이 상기 접착층에 직접 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상기 제 1 박막 적층체 상부에, 투명 광학 필름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6. 플렉서블 기판 상에,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를 형성하는 단계;
    사분파장판의 제 1 면에, 유기막과 무기막이 한쌍 이상 교번적층된 제 1 박막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박막 적층체가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를 충분히 덮도록,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가 형성된 플렉서블 기판의 가장자리까지 대응하여, 상기 제 1 박막 적층체와 상기 플렉서블 기판 사이에 접착층을 개재하여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어레이를 봉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분파장판의 제 2 면에 선형 편광층을 부착하여 상기 사분파장판과 선형 편광층이 적층된 편광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사분파장판의 제 2 면에 선형 편광층을 형성시, 상기 사분파장판의 지상축에 대해 상기 선형 편광층의 흡수축이 서로 45°를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사분파장판의 제 1 면에, 제 1 박막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분파장판의 제 2 면에, 유기막, 무기막이 한쌍 이상 교번 적층된 제 2 박막 적층체를 함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사분파장판의 제 1 면에 상기 제 1 박막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분파장판의 제 1 면에, 유기 용제를 기상화하여 코팅하는 제 1 단계;
    상기 유기 용제를 경화시켜 유기막으로 형성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유기막 상에 무기막을 증착하여 성막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박막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분파장판이 롤 상에 감겨진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사분파장판의 제 2 면에 선형 편광층을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사분파장판의 제 2면과 상기 선형 편광층 사이에 접착층을 더 개재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20050341A 2011-08-05 2012-05-1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69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492,263 US9891361B2 (en) 2011-08-05 2012-06-08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GB1211141.5A GB2493417B (en) 2011-08-05 2012-06-22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1210225083.5A CN102916034B (zh) 2011-08-05 2012-06-29 有机发光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DE102012013460.6A DE102012013460B4 (de) 2011-08-05 2012-07-04 Organische lichtemittierende anzeige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rselb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059 2011-08-05
KR20110078059 2011-08-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042A KR20130016042A (ko) 2013-02-14
KR101469482B1 true KR101469482B1 (ko) 2014-12-05

Family

ID=47895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341A KR101469482B1 (ko) 2011-08-05 2012-05-1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4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0231B2 (en) 2016-08-23 2018-08-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n encapsulation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087B1 (ko) * 2014-02-17 2020-06-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160060214A (ko) 2014-11-19 2016-05-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장치
KR20160080994A (ko) 2014-12-30 2016-07-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514873B1 (ko) * 2017-11-29 2023-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엘이디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6480A (ko) * 2006-06-05 2007-12-1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080006922A (ko) * 2006-07-14 2008-0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6480A (ko) * 2006-06-05 2007-12-1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080006922A (ko) * 2006-07-14 2008-0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0231B2 (en) 2016-08-23 2018-08-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n encapsulation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042A (ko)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136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079366B2 (en) Plastic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67459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for the same
US950894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WO2016000393A1 (zh) Amoled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和显示装置
KR102472607B1 (ko) 표시 장치
KR101861737B1 (ko) 광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46948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03224B1 (ko)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JP5814550B2 (ja) 平板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30061277A (ko) 편광 구조물, 편광 구조물의 제조 방법 및 편광 구조물을 구비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890774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000051B1 (ko) 플렉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50321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078504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GB2491916A (en) OLED device
JP2005216582A (ja) 有機elパネル
US20230129724A1 (en) Head mount display device
KR102122524B1 (ko) 플렉서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60786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CN117082906A (zh) 显示装置
KR20130143308A (ko) 블랙 매트릭스 코팅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oled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62896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