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8018A - 보이스 코일 모터 - Google Patents

보이스 코일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8018A
KR20140078018A KR1020120145911A KR20120145911A KR20140078018A KR 20140078018 A KR20140078018 A KR 20140078018A KR 1020120145911 A KR1020120145911 A KR 1020120145911A KR 20120145911 A KR20120145911 A KR 20120145911A KR 20140078018 A KR20140078018 A KR 20140078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focus
bobbin
magnets
coil block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9758B1 (ko
Inventor
박상옥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5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758B1/ko
Priority to US14/650,476 priority patent/US9554023B2/en
Priority to PCT/KR2013/010961 priority patent/WO2014092363A1/ko
Priority to CN201380065673.9A priority patent/CN104885347B/zh
Publication of KR20140078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8018A/ko
Priority to US15/378,967 priority patent/US1011684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2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one len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ens Barrel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보이스 코일 모터는 렌즈를 고정하는 보빈의 외주면에 등 간격으로 형성된 오토 포커스 마그네트들 및 상기 보빈의 상기 외주면 중 상기 오토 포커스 마그네트들 사이에 배치된 손떨림 보정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가동자; 상기 오토 포커스 마그네트들과 각각 마주하는 오토 포커스 코일 블럭들, 상기 손떨림 보정 마그네트들과 각각 마주하는 손떨림 보정 마그네트 및 상기 오토 포커스 코일 블럭 및 상기 손떨림 보정 마그네트를 고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에 대하여 상기 가동자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 상기 고정자를 서포트 하는 베이스; 및 상기 하우징을 덮으며 상기 베이스에 결합 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본 발명은 보이스 코일 모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베이스로부터 플로팅되어 양방향으로 구동되면서 오토 포커스 기능 및 오토 포커스 중 손떨림 보정을 함께 구현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피사체를 디지털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저장하는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및 렌즈를 통과한 광을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및 이미지 센서 모듈 사이의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오토 포커싱 기능이 없어 고품질 디지털 이미지를 획득하기 어려우며 사용자의 손이 흔들림에 따라 발생 되는 손떨림에 의한 이미지 품질 저하가 발생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았을 때 렌즈를 포함하는 가동자를 베이스로부터 플로팅 시켜 양방향으로 포커싱 동작 및 포커싱 동작 중 손떨림 보정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로서, 보이스 코일 모터는 렌즈를 고정하는 보빈의 외주면에 등 간격으로 형성된 오토 포커스 마그네트들 및 상기 보빈의 상기 외주면 중 상기 오토 포커스 마그네트들 사이에 배치된 손떨림 보정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가동자; 상기 오토 포커스 마그네트들과 각각 마주하는 오토 포커스 코일 블럭들, 상기 손떨림 보정 마그네트들과 각각 마주하는 손떨림 보정 마그네트 및 상기 오토 포커스 코일 블럭 및 상기 손떨림 보정 마그네트를 고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에 대하여 상기 가동자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 상기 고정자를 서포트 하는 베이스; 및 상기 하우징을 덮으며 상기 베이스에 결합 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이스 코일 모터에 의하면, 보빈의 외주면에 오토 포커싱 및 손떨림 보정을 위한 마그네트들을 교대로 형성하고, 보빈과 마주하는 고정자의 하우징에는 오토 포커싱을 위한 마그네트 및 손떨림 보정을 위한 마그네트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코일 블럭을 배치하여 오토 포커싱 및 손떨림 보정을 독자적으로 또는 오토 포커싱 중 손떨림 보정을 수행하여 오토 포커싱 및 손떨림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코일 모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중 베이스, 가동자, 오토 포커스 코일 블럭 및 손떨림 보정 코일 블럭을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이스 코일 모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중 베이스, 가동자, 오토 포커스 코일 블럭 및 손떨림 보정 코일 블럭을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보이스 코일 모터(800)는 오토 포커스 기능 및 손떨림 보정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
오토 포커스 기능은 가동자(100)를 고정자(200)로부터 구동시키는 기능으로,오토 포커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렌즈가 탑재되어 포커스 기능을 수행하는 가동자(100) 및 베이스(300)는 가동자(100) 및/또는 고정자(200)에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았을 때 상호 이격 된다.
베이스(300)로부터 플로팅 된 가동자(100)에 가동자(100)를 상승시키는 정방향 전류와 같은 구동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가동자(100)는 베이스(300)와 멀어지는 제1 방향으로 구동되면서 특정 포커스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베이스(300)로부터 플로팅 된 가동자(100)에 가동자(100)를 하강시키는 역방향 전류와 같은 구동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가동자(100)는 베이스(300)와 가까워지는 제2 방향으로 구동되면서 특정 포커스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베이스(300)에 대하여 플로팅 된 가동자(100)에 서로 다른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양방향으로 가동자(100)를 구동 시킬 경우, 전류량을 감소시켜 소모 전류량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저소비전력 특성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동자(100)의 구동 거리를 감소시켜 가동자(100)의 포커싱 동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가동자(100)와 마주하는 고정자에는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하는 마그네트 및 코일 블럭이 배치되어 가동자(100)가 오토 포커스 동작을 수행하는 도중 손떨림 보정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
이하, 이와 같이 양방향 구동에 의한 오토 포커스 기능 및 손떨림 보정 기능을 갖는 보이스 코일 모터(8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보이스 코일 모터(800)는 가동자(100), 고정자(200), 탄성 부재(250), 베이스(300) 및 케이스(400)를 포함한다.
가동자(100)는 보빈(110), 오토 포커스 마그네트(120) 및 손떨림 보정 마그네트(130)를 포함한다.
가동자(100)는 후술 될 고정자(200)와의 작용에 의하여 베이스(300)의 상부에서 업-다운되면서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 및 베이스(300)의 상부에서 틸팅 되면서 손떨림 보정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
보빈(110)은, 예를 들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보빈(110)의 내주면에는 렌즈(미도시)와 결합 되기 위한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보빈(110)에는 각각 후술 될 탄성 부재(250)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 돌기(112)가 형성된다.
보빈(110)의 외주면은 곡선 구간 및 직선 구간이 교대로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보빈(110)의 외주면에는 4 개의 직선 구간들 및 4 개의 곡선 구간들이 형성된다.
보빈(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4 개의 직선 구간들의 하단에는 보빈(1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서포트부(114)가 형성되고, 보빈(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4 개의 곡선 구간들에는 보빈(110)의 외주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함몰된 홈(116)들이 형성된다.
오토 포커스 마그네트(120)는 보빈(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4 개의 직선 구간들에 각각 배치되며, 오토 포커스 마그네트(120)는 서포트부(114)에 의하여 지지된다. 오토 포커스 마그네트(120)는 평판 마그네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오토 포커스 마그네트(120)는 제1 사이즈로 형성된다.
오토 포커스 마그네트(120)는 접착제 등에 의하여 보빈(110)의 외주면에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오토 포커스 마그네트(120)는 보빈(110)의 외주면에 등 간격으로 형성되며, 오토 포커스 마그네트(120)는 보빈(110)의 외주면에 90°간격으로 4 개가 배치된다.
손떨림 보정 마그네트(130)는 보빈(110)의 곡선 구간에 형성된 홈(116)들에 배치되며, 따라서, 손떨림 보정 마그네트(130)는 오토 포커스 마그네트(120)들의 사이에 배치된다.
손떨림 보정 마그네트(130)는 오토 포커스 마그네트(120)들의 사이에 짝수개가 등 간격으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손떨림 보정 마그네트(130)는 오토 포커스 마그네트(120)들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며, 손떨림 보정 마그네트(130)는, 예를 들어, 4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손떨림 보정 마그네트(130)는 접착제 등에 의하여 보빈(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116)에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손떨림 보정 마그네트(130)는 오토 포커스 마그네트(120)의 제1 사이즈보다 작은 제2 사이즈로 형성되는데, 이는 오토 포커싱에 소요되는 자기력이 손떨림 보정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자기력보다 크고, 보빈(110)의 외주면 면적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고정자(200)는 하우징(210), 오토 포커스 코일 블럭(220) 및 손떨림 보정 코일 블럭(230)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고정자(200)는 터미널 핀(24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예를 들어, 하면이 개구된 사각 통 형상을 갖는다. 하우징(210)은, 예를 들어, 합성 수지를 이용한 사출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가동자(100)가 배치되며, 하우징(210)은 가동자(100)의 보빈(110)의 외주면에 배치된 오토 포커스 마그네트(120) 및 손떨림 보정 마그네트(130)를 감싼다.
하우징(210)을 이루는 4 개의 측벽(214)들은 각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210)의 측벽(214)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는 오토 포커스 코일 블럭(220) 및 손떨림 보정 코일 블럭(230)을 수납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오토 포커스 코일 블럭(220)은 하우징(210)의 내부에 배치된 보빈(110)의 외주면에 배치된 각 오토 포커스 마그네트(120)들과 마주하게 배치된다.
오토 포커스 코일 블럭(220)은 코일을 장방형 형상으로 권선하여 형성되며, 오토 포커스 코일 블럭(220)은 오토 포커스 마그네트(120)들의 제1 사이즈와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된다.
보빈(110)의 외주면에는 등 간격으로 4 개의 오토 포커스 마그네트(120)들이 배치되기 때문에 하우징(210)에 배치되는 오토 포커스 코일 블럭(220)들 역시 하우징(210)에 등 간격으로 4 개가 배치된다.
오토 포커스 코일 블럭(220)은 구동 신호에 의하여 전자기력을 발생시키고 오토 포커스 코일 블럭(220)으로부터 발생된 전자기력은 오토 포커스 마그네트(120)들과 반응하여 가동자(100)를 베이스(3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또는 가동자(100)를 베이스(300)에 대하여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각각 구동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오토 포커스 코일 블럭(220)의 양쪽 단자들 중 하나는 공통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손떨림 보정 코일 블럭(230)는 하우징(210)에 결합 되며, 손떨림 보정 코일 블럭(230)는 하우징(210)의 내부에 배치된 보빈(110)의 외주면에 배치된 각 손떨림 보정 마그네트(130)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손떨림 보정 코일 블럭(230)은 코일을 장방형 형상으로 권선하여 형성되며, 손떨림 보정 코일 블럭(220)은 손떨림 보정 마그네트(130)의 제2 사이즈와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된다.
보빈(110)의 외주면에는 등 간격으로 손떨림 보정 마그네트(130)들이 배치되기 때문에 하우징(210)에 배치되는 손떨림 보정 코일 블럭(230)들 역시 하우징(210)에 등 간격으로 4 개가 배치된다.
4 개의 손떨림 보정 코일 블럭(230)들은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 한 쌍의 손떨림 보정 코일 블럭(230)에 각각 자이로 센서로부터 감지된 손떨림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구동신호가 인가되어 손떨림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손떨림 보정 마그네트(130)와 손떨림 보정 코일 블럭(230)에 의한 손떨림 보정 기능은 오토 포커스 마그네트(120)와 오토 포커스 코일 블럭(110)에 의한 오토 포커스가 완료된 후 수행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손떨림 보정 마그네트(130)와 손떨림 보정 코일 블럭(230)에 의한 손떨림 보정 기능은 오토 포커스 마그네트(120)와 오토 포커스 코일 블럭(110)에 의한 오토 포커스가 수행되는 도중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210) 중 각 손떨림 보정 코일 블럭(230)의 양쪽 단부들 및 오토 포커스 코일 블럭(220)의 양쪽 단부들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각각 손떨림 보정 코일 블럭(230) 및 오토 포커스 코일 블럭(220)에 외부로부터 인가된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터미널 핀(240)이 배치될 수 있고, 터미널 핀(240)은 하우징(210)내에 인서트 될 수 있다.
터미널 핀(240)는 얇은 두께로 형성된 금속 플레이트 형태로 제작되며, 터미널 핀(240) 전기적 접속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금층이 형성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하우징(210)의 측벽(214)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오토 포커스 코일 블럭(220) 및 손떨림 보정 코일 블럭(230)이 형성되는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이와 다르게 제1 구동부(120)와 대응하는 하우징(210)에 관통홀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베이스(30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베이스(300)의 중앙부에는 개구(305)가 형성된다. 베이스(300)에는 하우징(200)과 결합 되기 위한 결합 기둥(310)이 돌출된다.
베이스(300)의 결합 기둥(310) 및 결합 기둥(310)과 대응하는 하우징(200)에 형성된 결합홈은 상호 끼워 맞춤 방식으로 결합 된다.
베이스(300)의 후면에는 IR 필터 및 이미지 센서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300)의 상면에는 가동자(100)의 보빈(110)과 베이스(300)가 접촉되었을 때 가동자(100) 및 후술 될 탄성 부재(25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충격 흡수 부재(250)가 배치될 수 있다.
충격 흡수 부재(250)는, 예를 들어, 탄성을 갖는 고무 재질, 탄성을 갖는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스(400)는 가동자(100)를 감싸는 고정자(200)를 감싸며, 고정자(200)의 오토 포커스 코일 블럭(220) 및 손떨림 코일 블럭(230)으로부터 발생 된 전자기파 또는 외부로부터 전자기파가 오토 포커스 코일 블럭(220) 및 손떨림 코일 블럭(230)으로 인가되는 것을 방지한다.
케이스(400)는 전자기파를 차단하기 위해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400)는 상판(410) 및 측면판(420)을 포함한다. 상판(410) 및 측면판(420)은 일체로 형성된다.
상판(410)은,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판(410)의 중앙부에는 가동자(100)의 보빈(110)에 고정된 렌즈를 노출하는 개구가 형성된다.
측면판(420)은 상판(410)의 테두리로부터 고정자(200)의 하우징(210)의 측벽(214)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되며, 측면판(420)은 베이스(300)에 고정된다.
탄성 부재(250)는 가동자(100)의 상단에 결합 되어 가동자(1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며, 탄성 부재(250)는 가동자(100) 및/또는 고정자(200)에 구동 신호가 인가되지 않았을 때, 가동자(100)가 베이스(300)로부터 플로팅 되도록 가동자(1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탄성 부재(250)가 가동자(100)를 베이스(300)의 상면으로부터 플로팅 되도록 함으로써 가동자(100)는 베이스(300)에 대하여 양방향으로 구동되면서 포커싱 동작을 수행 또는 손떨림 보정을 수행 할 수 있게 된다.
탄성 부재(250)는 상부 탄성 부재(260) 및 하부 탄성 부재(270)를 포함한다.
상부 탄성 부재(260)는 내측 탄성부(262), 외측 탄성부(264) 및 연결 탄성부(266)를 포함한다.
내측 탄성부(262)는 보빈(110)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 돌기(112)에 결합 되며, 내측 탄성부(262)는, 예를 들어,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측 탄성부(264)는 내측 탄성부(622)의 외측에 배치되며, 외측 탄성부(264)는, 예를 들어, 사각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 탄성부(264)는 하우징(210)의 상면에 배치된다.
연결 탄성부(266)는 외측 탄성부(264) 및 내측 탄성부(262)를 연결하여 내측 탄성부(262)에 탄성을 부여한다.
연결 탄성부(266)는 지그재그 형태로 구부러져 탄성을 발생시키는 긴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결 탄성부(266)는, 예를 들어, 내측 탄성부(262)를 기준으로 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연결 탄성부(266)는 내측 탄성부(262)를 기준으로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부 탄성 부재(270)는, 상부 탄성 부재(260)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 탄성 부재(270)는 보빈(110)의 하면에 결합 되어 보빈(110)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탄성 부재(250)의 각 연결 탄성부(266)는 예를 들어 동일한 탄성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탄성 부재(250)의 각 연결 탄성부(266)는 서로 다른 탄성 계수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보빈의 외주면에 오토 포커싱 및 손떨림 보정을 위한 마그네트들을 교대로 형성하고, 보빈과 마주하는 고정자의 하우징에는 오토 포커싱을 위한 마그네트 및 손떨림 보정을 위한 마그네트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코일 블럭을 배치하여 오토 포커싱 및 손떨림 보정을 독자적으로 또는 오토 포커싱 중 손떨림 보정을 수행하여 오토 포커싱 및 손떨림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800...보이스 코일 모터 100...가동자
200...고정자 250...탄성 부재
300...베이스 400...케이스

Claims (13)

  1. 렌즈를 고정하는 보빈의 외주면에 등 간격으로 형성된 오토 포커스 마그네트들 및 상기 보빈의 상기 외주면 중 상기 오토 포커스 마그네트들 사이에 배치된 손떨림 보정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가동자;
    상기 오토 포커스 마그네트들과 각각 마주하는 오토 포커스 코일 블럭들, 상기 손떨림 보정 마그네트들과 각각 마주하는 손떨림 보정 마그네트 및 상기 오토 포커스 코일 블럭 및 상기 손떨림 보정 마그네트를 고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에 대하여 상기 가동자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
    상기 고정자를 서포트 하는 베이스; 및
    상기 하우징을 덮으며 상기 베이스에 결합 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 포커스 마그네트들은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4 개가 등 간격으로 형성된 보이스 코일 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떨림 보정 마그네트들은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짝수개가 등 간격으로 형성된 보이스 코일 모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떨림 보정 마그네트들은 보빈의 외주면에 4 개가 등 간격으로 형성된 보이스 코일 모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는 상기 오토 포커스 마그네트들 및 상기 손떨림 보정 마그네트들을 수납하는 홈이 형성된 보이스 코일 모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 포커스 코일 블럭의 단자들 중 하나는 공통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보이스 코일 모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 포커스 코일 블럭들에 구동 전류가 인가되지 않았을 때 상기 보빈의 하면은 상기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된 보이스 코일 모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과 마주하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는 충격 흡수 부재가 배치된 보이스 코일 모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오토 포커스 코일 블럭 및 상기 손떨림 보정 코일 블럭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터미널 핀을 포함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외측 탄성 부재,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내측 탄성 부재 및 상기 외측 및 내측 탄성 부재들을 연결하는 연결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보이스 코일 모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탄성 부재들은 복수개가 등 간격으로 상기 외측 및 내측 탄성 부재들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 탄성 부재들의 각 탄성 계수는 동일한 보이스 코일 모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탄성 부재들은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된 보이스 코일 모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 포커스 코일 블럭들은 제1 사이즈로 형성되고, 상기 손떨림 보정 코일 블럭은 상기 제1 사이즈보다 작은 제2 사이즈로 형성된 보이스 코일 모터.
KR1020120145911A 2012-12-14 2012-12-14 보이스 코일 모터 KR102079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911A KR102079758B1 (ko) 2012-12-14 2012-12-14 보이스 코일 모터
US14/650,476 US9554023B2 (en) 2012-12-14 2013-11-29 Lens driving actuator for auto-focus function and handshake compensation function
PCT/KR2013/010961 WO2014092363A1 (ko) 2012-12-14 2013-11-29 렌즈구동 액추에이터
CN201380065673.9A CN104885347B (zh) 2012-12-14 2013-11-29 镜头驱动致动器
US15/378,967 US10116849B2 (en) 2012-12-14 2016-12-14 Lens driving actu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911A KR102079758B1 (ko) 2012-12-14 2012-12-14 보이스 코일 모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430A Division KR102177034B1 (ko) 2020-02-14 2020-02-14 보이스 코일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018A true KR20140078018A (ko) 2014-06-25
KR102079758B1 KR102079758B1 (ko) 2020-02-20

Family

ID=50934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911A KR102079758B1 (ko) 2012-12-14 2012-12-14 보이스 코일 모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554023B2 (ko)
KR (1) KR102079758B1 (ko)
CN (1) CN104885347B (ko)
WO (1) WO2014092363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543A (ko) * 2014-07-03 2016-01-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CN105573014A (zh) * 2016-01-22 2016-05-11 南昌欧菲光电技术有限公司 具有对焦及防抖功能的摄像头模组
KR20160057721A (ko) * 2014-11-14 2016-05-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0634867B2 (en) 2014-11-28 2020-04-2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US11287603B2 (en) 2014-11-28 2022-03-2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988B1 (ko) * 2013-07-12 2020-08-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EP3713062A1 (en) 2013-12-23 2020-09-23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CN110531480B (zh) 2014-03-05 2022-10-11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移动单元和包含该透镜移动单元的摄像头模块
US9360653B2 (en) 2014-05-09 2016-06-07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KR102296767B1 (ko) 2014-05-09 2021-09-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US9791713B2 (en) * 2014-07-24 2017-10-17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CN204068636U (zh) * 2014-07-28 2014-12-31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电磁驱动模块及应用该电磁驱动模块的镜头装置
JP6488161B2 (ja) * 2015-03-13 2019-03-2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ブレ補正装置
WO2017024584A1 (zh) * 2015-08-13 2017-02-16 爱佩仪光电技术(深圳)有限公司 抗磁干扰平移式光学防抖音圈马达及其装配方法
KR102542645B1 (ko) * 2015-08-18 2023-06-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631961B1 (ko) * 2015-11-02 2024-01-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0082640B2 (en) 2016-05-24 2018-09-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ual stage actuator
US10317649B2 (en) * 2016-08-25 2019-06-11 Apple Inc. Camera actuator vibration damping
US10506086B2 (en) * 2016-10-20 2019-12-10 Tdk Taiwan Corp. Optical system and driving module therein without position-sensing element
CN109839789A (zh) * 2017-11-27 2019-06-04 格科微电子(上海)有限公司 摄像头模组
CN209858825U (zh) * 2018-05-11 2019-12-27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光学元件驱动机构
US11300803B2 (en) * 2019-03-06 2022-04-12 Tdk Taiwan Corp.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US11350018B2 (en) 2019-08-06 2022-05-31 Apple Inc. Camera with bumper for cushioning lateral movement
CN115023939A (zh) * 2019-12-26 2022-09-06 Lg 伊诺特有限公司 相机模块
US20230004017A1 (en) * 2021-06-30 2023-01-05 Apple Inc. Camera with Tilt Compensa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0064A (ja) 2009-10-20 2011-05-06 Shicoh Engineeri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携帯電話
KR101085645B1 (ko) * 2010-10-04 2011-11-22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기능이 구비된 영상촬상 장치
KR20120066264A (ko) * 2010-12-14 2012-06-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20120200176A1 (en) * 2011-02-07 2012-08-09 Lg Innotek Co., Ltd. Multifunctional Voice Coil Motor
KR20120090379A (ko) * 2011-02-07 2012-08-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복합 기능 보이스 코일 모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714B1 (ko) * 2005-01-17 2007-08-06 동인하이텍주식회사 정보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JP4315181B2 (ja) * 2006-10-30 2009-08-1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JP4315182B2 (ja) * 2006-10-30 2009-08-1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JP4992444B2 (ja) * 2007-02-02 2012-08-08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8197313A (ja) * 2007-02-13 2008-08-28 Alps Electric Co Ltd レンズ駆動装置
JP5201587B2 (ja) * 2008-03-31 2013-06-05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5357614B2 (ja) * 2009-04-15 2013-12-04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撮影用光学装置
JP5846346B2 (ja) 2009-08-21 2016-01-2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カメラの手振れ補正装置
CN201532486U (zh) * 2009-09-21 2010-07-21 常州美欧电子有限公司 镜头驱动装置
JP2011169443A (ja) * 2010-02-22 2011-09-01 Mitsumi Electric Co Ltd 板バネおよびレンズ駆動装置
JP5755414B2 (ja) * 2010-06-08 2015-07-29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5440796B2 (ja) * 2010-06-16 2014-03-12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2012242801A (ja) * 2011-05-24 2012-12-10 Micro Uintekku Kk 電磁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0064A (ja) 2009-10-20 2011-05-06 Shicoh Engineeri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携帯電話
KR101085645B1 (ko) * 2010-10-04 2011-11-22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기능이 구비된 영상촬상 장치
KR20120066264A (ko) * 2010-12-14 2012-06-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20120200176A1 (en) * 2011-02-07 2012-08-09 Lg Innotek Co., Ltd. Multifunctional Voice Coil Motor
KR20120090379A (ko) * 2011-02-07 2012-08-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복합 기능 보이스 코일 모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543A (ko) * 2014-07-03 2016-01-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KR20210143708A (ko) * 2014-07-03 2021-11-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KR20160057721A (ko) * 2014-11-14 2016-05-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0634867B2 (en) 2014-11-28 2020-04-2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US11287603B2 (en) 2014-11-28 2022-03-2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CN105573014A (zh) * 2016-01-22 2016-05-11 南昌欧菲光电技术有限公司 具有对焦及防抖功能的摄像头模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90148A1 (en) 2017-03-30
WO2014092363A1 (ko) 2014-06-19
KR102079758B1 (ko) 2020-02-20
US10116849B2 (en) 2018-10-30
US9554023B2 (en) 2017-01-24
CN104885347B (zh) 2018-02-09
US20150319345A1 (en) 2015-11-05
CN104885347A (zh) 201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8018A (ko) 보이스 코일 모터
US9632280B2 (en) Lens actuator having autofocus function and hand-shake correction function
US9766532B2 (en) Voice coil motor
KR101804575B1 (ko) 복합 기능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504024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966679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993904B1 (ko) 복합 기능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931183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848500B1 (ko) 복합 기능 보이스 코일 모터
JP2010096805A (ja) 撮影用光学装置
JP5653678B2 (ja) 撮影用光学装置
KR101950020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878907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706385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470470B1 (ko) 자동 초점 조절 및 손떨림 보정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액추에이터
KR101825746B1 (ko) 복합 기능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920918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및 보이스 코일 모터의 광축 보정 방법
KR101980290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946797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2177034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1951437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2101503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WO2010044195A1 (ja) 撮影用光学装置
KR102186479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KR102059540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및 보이스 코일 모터의 광축 보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