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7064A - 차량의 배터리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배터리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7064A
KR20140077064A KR1020120145790A KR20120145790A KR20140077064A KR 20140077064 A KR20140077064 A KR 20140077064A KR 1020120145790 A KR1020120145790 A KR 1020120145790A KR 20120145790 A KR20120145790 A KR 20120145790A KR 20140077064 A KR20140077064 A KR 20140077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oc
temperature
vehicle
depar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9164B1 (ko
Inventor
박현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5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164B1/ko
Publication of KR20140077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7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9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출발준비시간이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체크단계; 출발준비시간이 도달한 경우, SOC를 기준SOC로 저장하고 배터리온도를 체크하는 초기단계; 배터리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낮은 경우 배터리승온제어를 시작하는 승온단계; 승온에 소요되는 배터리 소모전류를 피드백 받는 피드백단계; 및 SOC가 기준SOC보다 낮은 경우 소모전류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배터리 관리방법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배터리 관리방법 {BATTERY MANAGING METHOD FOR VEHICLE}
본 발명은 동력성능을 향상하고, 주행거리를 증대하며, 충전불가 상태를 탈출하고 충전성능이 향상되는 차량의 배터리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 등의 고전압배터리의 성능은 환경차의 성능을 좌우하는 요소이다. 그러나 고전압배터리는 온도에 따라 성능이 크게 좌우되며 극저온일 경우 기능 수행 자체가 불가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배터리승온시스템을 이용하여 배터리온도를 높여줄 필요가 있다. 하지만 배터리승온을 항상 수행할 수는 없으며, 이상적으로는 운전자의 주행, 충전 수행 직전에 승온을 완료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운전자의 주행의지가 없는 상태에서 배터리승온을 수행한다면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만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런 이유로 에너지낭비를 최소화하면서 배터리성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최적제어 방안이 필요한 것이다.
종래의 KR10-2012-0036694 A "전기자동차의 공조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조작수단에서 공조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을 하고 실제 차량 운행을 시작하고자 하는 주행시작시간 및 실내 목표온도를 설정, 입력하는 과정; 공조제어기가 조작수단에서 입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실내온도를 목표온도로 승온시키기 위해 상기 설정된 주행시작시간 전에 실내난방을 위한 공조제어를 수행하는 과정; 및 공조제어기가 배터리 제어기와 통신하여 외부충전장치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실내난방을 실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공조제어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의하더라도 실내의 공조에 관하여만 언급하고 있을뿐, 배터리의 예약공조는 언급하지 않고, 더욱이 주차 중인 상태에서 배터리를 승온하는 것에 관하여 에너지의 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2-0036694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동력성능을 향상하고, 주행거리를 증대하며, 충전불가 상태를 탈출하고 충전성능이 향상되는 차량의 배터리 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배터리 관리방법은, 출발준비시간이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체크단계; 출발준비시간이 도달한 경우, SOC를 기준SOC로 저장하고 배터리온도를 체크하는 초기단계; 배터리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낮은 경우 배터리승온제어를 시작하는 승온단계; 승온에 소요되는 배터리 소모전류를 피드백 받는 피드백단계; 및 SOC가 기준SOC보다 낮은 경우 소모전류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출발준비시간은 저장된 출발예약시간에서 일정시간을 뺀 시간일 수 있다.
또한, 외부서버에서 사용자로부터 출발예약시간을 입력받는 경우 이를 차량통신부에 송신하고, 차량제어부는 출발예약시간을 전달받아 저장하는 입력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단계는 저장된 출발예약시간을 차량통신부를 통하여 외부서버에 역으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입력단계는 출발준비시간의 도달전에는 배터리제어부의 동작금지를 수행하고, 상기 체크단계는, 출발준비시간의 도달시 차량의 이그니션을 온하고 배터리제어부의 동작허용을 수행하는 온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크단계는, 출발준비시간이 도달한 경우 차량의 이그니션을 온하는 온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단계는, 배터리온도가 목표온도에 도달한 경우 배터리승온제어를 종료하고 SOC가 기준SOC보다 낮은 경우 최대전류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배터리 관리방법은, 차량이 플러그인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플러그인 상태인 경우 출발준비시간이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체크단계; 출발준비시간이 도달한 경우, SOC를 기준SOC로 저장하고 배터리온도를 체크하는 초기단계; 배터리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낮은 경우 배터리승온제어를 시작하는 승온단계; 승온에 소요되는 배터리 소모전류를 피드백 받는 피드백단계; 및 SOC가 기준SOC보다 낮은 경우 소모전류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배터리 관리방법은, 차량이 플러그인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언플러그 상태인 경우 출발준비시간이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체크단계; 출발준비시간이 도달한 경우, SOC를 배터리승온제어에 필요한 최소SOC와 비교하는 비교단계; 및 SOC가 최소SOC보다 높고 배터리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낮은 경우 배터리승온제어를 시작하는 승온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배터리 관리방법에 따르면, 배터리온도 저하에 따른 가용에너지 감소 및 방전출력 제한량이 커지는 문제를 약간의 배터리 승온만으로도 극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배터리승온에 의해 소모되는 에너지보다 승온에 의해 증가되는 에너지가 더 크기 때문에 에너지의 관리차원에서도 매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배터리 관리방법의 순서도.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배터리 관리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배터리 관리방법의 순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배터리 관리방법은, 출발준비시간이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체크단계; 출발준비시간이 도달한 경우, SOC를 기준SOC로 저장하고 배터리온도를 체크하는 초기단계; 배터리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낮은 경우 배터리승온제어를 시작하는 승온단계; 승온에 소요되는 배터리 소모전류를 피드백 받는 피드백단계; 및 SOC가 기준SOC보다 낮은 경우 소모전류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출발준비시간은 저장된 출발예약시간에서 일정시간을 뺀 시간일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미리 예약하는 출발예약시간에서 어느 정도 배터리 승온에 필요한 시간을 뺀 시간으로 정해지는 것이다.
또한, 출발예약시간은 차량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스마트폰이나 인터넷 또는 문자메시지나 ARS 등을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시간으로써, 주로 예약공조나 예약충전 등의 기능 입력시 함께 입력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를 위해 외부서버에서 사용자로부터 출발예약시간을 입력받는 경우 이를 차량통신부에 송신하고, 차량제어부는 출발예약시간을 전달받아 저장하는 입력단계를 먼저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외부에 웹서버 등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원격으로 출발예약시간을 외부서버에 전송하는 경우 외부서버에서는 이를 차량의통신부에 송신하고 차량통신부는 이를 차량제어부에 전달하여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출발하고자 하는 시간을 예약하고, 이로부터 배터리 승온에 필요한 시점을 감안하여 출발준비시간을 정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입력단계는 저장된 출발예약시간을 차량통신부를 통하여 외부서버에 역으로 전송하고, 외부서버에서는 이를 사용자에게 역으로 전송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정확히 의도가 반영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입력단계에서는 출발준비시간의 도달전에는 배터리제어부의 동작금지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기본적으로 차량제어부(VCU,VEHICLE CONTROL UNIT)에서 배터리제어부(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 OBC, ON BOARD CHARGER 등)에 동작금지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나서 상기 체크단계는, 출발준비시간의 도달시 차량의 이그니션을 온하고 배터리제어부의 동작허용을 수행하는 온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차량제어부에는 자체적인 카운터가 구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제어부에서 출발준비시간이 도달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다시 상기 배터리제어부를 동작허용으로 제어하여 필요한 충전 혹은 배터리 승온 등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불필요하게 제어기들이 깨어있거나 승온작동 등이 수행되는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에너지 소모를 효과적으로 줄이며 차량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충전단계는, 배터리온도가 목표온도에 도달한 경우 배터리승온제어를 종료하고 SOC가 기준SOC보다 낮은 경우 최대전류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차량의 배터리 관리방법은, 차량이 플러그인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플러그인 상태인 경우 출발준비시간이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체크단계; 출발준비시간이 도달한 경우, SOC를 기준SOC로 저장하고 배터리온도를 체크하는 초기단계; 배터리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낮은 경우 배터리승온제어를 시작하는 승온단계; 승온에 소요되는 배터리 소모전류를 피드백 받는 피드백단계; 및 SOC가 기준SOC보다 낮은 경우 소모전류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차량의 배터리 관리방법은, 차량이 플러그인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언플러그 상태인 경우 출발준비시간이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체크단계; 출발준비시간이 도달한 경우, SOC를 배터리승온제어에 필요한 최소SOC와 비교하는 비교단계; 및 SOC가 최소SOC보다 높고 배터리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낮은 경우 배터리승온제어를 시작하는 승온단계;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경우 플러그인(완속충전)에 따라 경우를 나누어 제어함으로써 에너지의 관리에 유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배터리를 미리 승온하기 위한 것으로서, 극저온의 상태에서 냉시동시 매우 유리한 것이다. 따라서, 이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차량, 연료전지 차량 등 배터리가 사용되는 모든 차량에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배터리의 히팅은 배터리에 장착된 히터 또는 공조장치를 이용한 히팅 등의 다양한 방법들이 가능할 것이다.
먼저, 사용자는 출발예약시간을 입력한다(S100). 그리고 차량에서는 이를 외부서버나 차량 입력부 또는 통신부 등의 다양한 수단을 통해 전달받아 출발예약시간을 저장한다(S110). 출발예약시간에서 일정시간 이전에 출발준비시간에 도달한 경우에는 미리 차량의 이그니션을 온한다(S120). 즉, 배터리의 예열에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그니션의 온에 따라 배터리를 제어하는 BMS/OBC 등도 온된다(S130). 또한, 이러한 배터리제어부(BMS/OBC)의 온제어는 차량제어부(VCU)에서 컨트롤하도록 할 수 있음은 앞서 살핀 바와 같다.
그 후 플러그인 상태인지를 확인한다(S200). 즉, 차량이 주차된 경우인바 플러그인을 통해서 완속충전을 하는 중인지 판단하는 것이다.
만약, 완속충전 중이라면, 일단 현재의 SOC를 기준SOC로 메모리에 저장하여 둔다(S300).
그리고 배터리온도를 체크하여 목표온도와 비교하고(S310), 만약 목표온도에 모자란다면 배터리히팅을 시작한다(S320). 그리고 온보드챠저(OBC) 즉, 완속충전기에 충전요청을 송신한다(S330). 그리고 나서 히팅중에 소모되는 전류를 측정한다(S340).
만약 충전도중 미리 저장한 기준SOC에 현재의 SOC가 부족한 상황이 발생된다면 상기 히팅중에 측정된 소모전류로 완속충전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S341,S343,S344).
그리고 만약 현재의 SOC가 기준SOC에 만족된다면 충전전류를 0A로 함으로써 충전을 수행하지 않도록 하여, 추후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충전량만큼 충전이되도록 하고, 동시에 불필요한 충전을 방지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여 차량의 상품성을 극대화하는 것이다(S342).
즉, SOC하강시에는 소모전류만큼 충전을 수행하게 되고, SOC가 하강하지 않으면 충전전류는 0A가 되는 것이다. 일반적인 경우라면 충전중 전류가 0A라면 고장처리가 되어 충전수행이 불가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일반적인 충전상황이 아닌 배터리 승온제어시 보충을 위한 충전상황에서는 BMS가 OBC에 해당 상황을 알리게 되고, OBC는 이 신호를 수신하여 BMS가 충전전류지령을 0A로 송신하더라도 이를 고장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정상 대기 상태로 머물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경우에는 차량의 배터리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고, 냉시동시에도 즉시 주행이 가능하며, 배터리 출력상황도 양호하여 연비가 향상되고 특히 불필요한 가열이나 충전을 방지하여 에너지의 절약에 도움이 되는 것이다.
한편, 배터리의 온도가 목표온도를 넘어서는 따듯한 날씨이거나 하는 등의 경우에는 SOC를 살피어 부족시 최대전류로 완속충전을 수행한다(S350,S360,S370). 그리고나서 미리 예약한 출발시간에 도달하면 이그니션을 오프하는 것이다(S500,S510).
한편, 플러그인의 상황이 아닌 언플러그의 상황이라면 배터리의 온도를 측정한 후 목표온도에 미달시에만 배터리 히팅을 수행하는 것이다(S400,S410,S420).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배터리의 온도가 저하될 경우에는 방전효율과 셀전압이 감소되고 따라서 가용에너지가 감소되는 결과를 낳는다. 따라서, 배터리의 예열시에는 차량의 초기 출력이 상당히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동일한 충전량의 경우에서도 온도가 올라갈수록 배터리의 방전파워가 높아지는바, 출력이 증가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초기 구동시 배터리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라면 극저온 상태보다 차량의 컨디션이 원활히 확보되는 것이고 파워가 증가되어 연비도 향상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배터리 관리방법에 따르면, 배터리온도 저하에 따른 가용에너지 감소 및 방전출력 제한량이 커지는 문제를 약간의 배터리 승온만으로도 극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배터리승온에 의해 소모되는 에너지보다 승온에 의해 증가되는 에너지가 더 크기 때문에 에너지의 관리차원에서도 매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Claims (9)

  1. 출발준비시간이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체크단계;
    출발준비시간이 도달한 경우, SOC를 기준SOC로 저장하고 배터리온도를 체크하는 초기단계;
    배터리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낮은 경우 배터리승온제어를 시작하는 승온단계;
    승온에 소요되는 배터리 소모전류를 피드백 받는 피드백단계; 및
    SOC가 기준SOC보다 낮은 경우 소모전류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배터리 관리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발준비시간은 저장된 사용자의 출발예약시간에서 일정시간을 뺀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 관리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외부서버에서 사용자로부터 출발예약시간을 입력받는 경우 이를 차량통신부에 송신하고, 차량제어부는 출발예약시간을 전달받아 저장하는 입력단계;를 더 포함하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계는 저장된 출발예약시간을 차량통신부를 통하여 외부서버에 역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 관리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계는 출발준비시간의 도달전에는 배터리제어부의 동작금지를 수행하고, 상기 체크단계는, 출발준비시간의 도달시 차량의 이그니션을 온하고 배터리제어부의 동작허용을 수행하는 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 관리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크단계는, 출발준비시간이 도달한 경우 차량의 이그니션을 온하는 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 관리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단계는, 배터리온도가 목표온도에 도달한 경우 배터리승온제어를 종료하고 SOC가 기준SOC보다 낮은 경우 최대전류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 관리방법.
  8. 차량이 플러그인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플러그인 상태인 경우 출발준비시간이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체크단계;
    출발준비시간이 도달한 경우, SOC를 기준SOC로 저장하고 배터리온도를 체크하는 초기단계;
    배터리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낮은 경우 배터리승온제어를 시작하는 승온단계;
    승온에 소요되는 배터리 소모전류를 피드백 받는 피드백단계; 및
    SOC가 기준SOC보다 낮은 경우 소모전류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배터리 관리방법.
  9. 차량이 플러그인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언플러그 상태인 경우 출발준비시간이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체크단계;
    출발준비시간이 도달한 경우, SOC를 배터리승온제어에 필요한 최소SOC와 비교하는 비교단계; 및
    SOC가 최소SOC보다 높고 배터리온도가 목표온도보다 낮은 경우 배터리승온제어를 시작하는 승온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배터리 관리방법.
KR1020120145790A 2012-12-13 2012-12-13 차량의 배터리 관리방법 KR101449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790A KR101449164B1 (ko) 2012-12-13 2012-12-13 차량의 배터리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790A KR101449164B1 (ko) 2012-12-13 2012-12-13 차량의 배터리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064A true KR20140077064A (ko) 2014-06-23
KR101449164B1 KR101449164B1 (ko) 2014-10-15

Family

ID=51129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790A KR101449164B1 (ko) 2012-12-13 2012-12-13 차량의 배터리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164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249A (ko)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엘 일렉트로닉스 차량의 배터리 최대용량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60081239A (ko)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엘 일렉트로닉스 차량의 배터리 잔존용량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70058291A (ko) * 2015-11-18 2017-05-26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배터리 시스템
KR20180012591A (ko) * 2016-07-27 2018-02-0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주행거리 연장형 자동차의 고전압 배터리 수명연장을 위한 엔진 제어방법
US10059218B2 (en) 2015-11-09 2018-08-28 Hyundai Motor Company Control method for optimal reserved charging of battery and vehicle thereof
KR20190009531A (ko) * 2017-07-19 2019-01-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차량
CN112109588A (zh) * 2020-06-17 2020-12-22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充电控制方法、动力汽车及可读存储介质
KR20210013425A (ko) 2019-07-24 2021-02-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
CN112937370A (zh) * 2021-02-22 2021-06-11 北京车和家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车辆动力电池保温控制方法及装置
CN113820603A (zh) * 2021-08-29 2021-12-21 西北工业大学 一种预测锂电池组可输出能量的方法
CN114228459A (zh) * 2021-12-09 2022-03-25 深圳市德力普电池科技有限公司 一种软包锂电池的温度测控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EP4228116A1 (en) * 2020-03-27 2023-08-16 Honda Motor Co., Ltd. Control apparatus, management server,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876B1 (ko) 2019-06-05 2019-10-25 (주)티에스식스티즈 배터리의 soc 추정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0536A (ja) * 1998-07-23 2000-02-08 Toyota Motor Corp バッテリ暖機装置
JP2012044813A (ja) * 2010-08-20 2012-03-01 Denso Corp 車両用電源装置
KR101213921B1 (ko) * 2010-11-03 2012-12-18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급속충전 시스템
JP5521989B2 (ja) * 2010-11-15 2014-06-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システム、電池システム搭載車両及び二次電池の加熱方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239A (ko)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엘 일렉트로닉스 차량의 배터리 잔존용량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60081249A (ko)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엘 일렉트로닉스 차량의 배터리 최대용량 측정 장치 및 방법
US10059218B2 (en) 2015-11-09 2018-08-28 Hyundai Motor Company Control method for optimal reserved charging of battery and vehicle thereof
KR20170058291A (ko) * 2015-11-18 2017-05-26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배터리 시스템
KR20180012591A (ko) * 2016-07-27 2018-02-0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주행거리 연장형 자동차의 고전압 배터리 수명연장을 위한 엔진 제어방법
KR20190009531A (ko) * 2017-07-19 2019-01-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차량
US11679643B2 (en) 2019-07-24 2023-06-20 Hyundai Motor Company HVAC system of vehicle
KR20210013425A (ko) 2019-07-24 2021-02-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
EP4228116A1 (en) * 2020-03-27 2023-08-16 Honda Motor Co., Ltd. Control apparatus, management server,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1837903B2 (en) 2020-03-27 2023-12-05 Honda Motor Co., Ltd. Control apparatus, management server,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12109588A (zh) * 2020-06-17 2020-12-22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充电控制方法、动力汽车及可读存储介质
CN112937370A (zh) * 2021-02-22 2021-06-11 北京车和家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车辆动力电池保温控制方法及装置
CN112937370B (zh) * 2021-02-22 2024-05-14 北京车和家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车辆动力电池保温控制方法及装置
CN113820603A (zh) * 2021-08-29 2021-12-21 西北工业大学 一种预测锂电池组可输出能量的方法
CN114228459A (zh) * 2021-12-09 2022-03-25 深圳市德力普电池科技有限公司 一种软包锂电池的温度测控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228459B (zh) * 2021-12-09 2024-01-30 深圳市德力普电池科技有限公司 一种软包锂电池的温度测控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9164B1 (ko) 201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164B1 (ko) 차량의 배터리 관리방법
JP6402256B2 (ja) V2gシステム
KR101551011B1 (ko) 친환경차량의 충전방법
CN107571745B (zh) 电动车辆的电池充电系统以及电池充电方法
KR101519780B1 (ko) 차량 배터리의 예약 충전을 위한 제어 방법
EP2880739B1 (en) Method and system for battery charging and thermal management control in electrified vehicles
CN103098338B (zh) 车辆的充电控制装置
US8169183B2 (en)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and vehicle
KR101798514B1 (ko) 차량 및 그 충전 제어방법
EP2685596B1 (en) Battery charging control device
EP2685599B1 (en) Battery charging control device
CN113472885B (zh) 电池包远程预热控制方法及控制系统
US11108261B2 (en) Supplementary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auxiliary battery of eco-friendly vehicle
WO2017009977A1 (ja) 充放電装置及び充放電制御方法
JP6393834B2 (ja) サーバ装置
CN109677230B (zh) 新能源汽车预约控制方法和控制系统
CN103507592A (zh) 用于车辆座舱调节的方法和装置、对应的计算机程序和对应的计算机可读存储器
US20190214693A1 (en) On-board battery temperature regulating apparatus, the on-board battery temperature regulating method, and non-transitory tangible recording medium storing therein on-board battery temperature regulating program
KR101724728B1 (ko) 배터리 온도 제어를 통합한 전기 자동차의 난방 시스템 제어 방법
CN113043914B (zh) 电池加热方法、装置及电动汽车
WO2018210034A1 (zh) 电动汽车作为移动充电桩的补能方法、装置、系统
KR101390911B1 (ko) 전기자동차 충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36694A (ko) 전기자동차의 공조제어방법
CN115817282A (zh) 车辆电池加热方法、车辆及存储介质
CN211809179U (zh) 电动车辆驾驶环境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