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6694A - 전기자동차의 공조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의 공조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6694A
KR20120036694A KR1020100098508A KR20100098508A KR20120036694A KR 20120036694 A KR20120036694 A KR 20120036694A KR 1020100098508 A KR1020100098508 A KR 1020100098508A KR 20100098508 A KR20100098508 A KR 20100098508A KR 20120036694 A KR20120036694 A KR 20120036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air conditioning
driving
vehicl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8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0795B1 (ko
Inventor
박준규
김현
박희상
윤정환
구준모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8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795B1/ko
Publication of KR20120036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공조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배터리 충전 동안 또는 충전 후 차량이 주행을 시작한 상태에서 실내난방에 소모되는 전력량을 줄이면서 충전 후 차량 출발시 최적의 배터리 충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행 가능 거리를 연장시킬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공조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수단에서 공조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을 하고 실제 차량 운행을 시작하고자 하는 주행시작시간 및 실내 목표온도를 설정, 입력하는 과정; 공조제어기가 원격제어기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설정된 주행시작 전에 실내난방을 위한 공조제어를 수행하는 과정; 및 공조제어기가 배터리 제어기와 통신하여 실내난방이 이루어지는 동안 또는 실내난방 중지 후 외부충전장치에 의해 실내난방으로 방전된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공조제어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의 공조제어방법{Air-conditioning method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공조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배터리 충전 동안 또는 충전 후 차량이 주행을 시작한 상태에서 실내난방에 소모되는 전력량을 줄이면서 충전 후 차량 출발시 최적의 배터리 충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행 가능 거리를 연장시킬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공조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가솔린 엔진과 디젤 엔진은 배기가스로 인한 환경오염, 이산화탄소로 인한 지구온난화, 오존 생성 등으로 인한 호흡기 질환 유발 등과 같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지구상에 존재하는 화석연료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언젠가는 고갈될 위기에 처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주행하는 순수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EV)나, 엔진과 구동모터로 주행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HEV), 연료전지에서 생성되는 전력으로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주행하는 연료전지 자동차(Fuel Cell Electric Vehicle,FCEV) 등과 같은 전기자동차가 개발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전기자동차는 차량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더불어 구동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탑재되며, 순수 전기자동차나 플러그인(Plug-In)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경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충전장치(100)로부터 배터리를 충전한 뒤 주행하게 된다.
한편, 전기자동차의 실내난방을 위해서는 엔진의 고온 냉각수를 이용하는 기존의 내연기관 자동차(일반 가솔린 또는 디젤 자동차)와는 달리 배터리의 전력으로 작동하는 전기식 난방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순수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 연료전지 자동차의 경우 엔진이 아예 없거나 엔진이 정지하는 전기차 모드(EV 모드)가 존재하므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는 별도의 난방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난방장치의 예로서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히터를 들 수 있으며, PTC 히터는 기존의 가솔린(또는 디젤) 자동차에서도 난방성능을 보완해주기 위한 보조난방장치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기자동차에서 난방을 위해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는 PTC 히터만을 이용하면, 배터리 전력 등 차량 내 전력을 소모해야 하므로 차량의 주행 가능 거리가 짧아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순수 전기자동차나 플러그인(Plug-In) 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 외부충전장치로 배터리의 충전을 완료한 뒤 실내온도가 낮은 상태에서 주행을 시작하고 이어 초기 실내난방을 위해 주행 동안 PTC 히터(전기히터)를 사용하게 되면, 충전 완료시점에 비해 많은 전력을 소모하게 되어, 주행 동안 실내난방으로 인해 배터리 충전율이 그만큼 다시 낮아지므로, 주행 가능 거리가 현저히 짧아진다(도 4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차량 배터리 충전 동안 또는 충전 후 차량이 주행을 시작한 상태에서 실내난방에 소모되는 전력량을 줄이면서 충전 후 차량 출발시 최적의 배터리 충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행 가능 거리를 연장시킬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공조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조작수단에서 공조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을 하고 실제 차량 운행을 시작하고자 하는 주행시작시간 및 실내 목표온도를 설정, 입력하는 과정; 공조제어기가 조작수단에서 입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실내온도를 목표온도로 승온시키기 위해 상기 설정된 주행시작시간 전에 실내난방을 위한 공조제어를 수행하는 과정; 및 공조제어기가 배터리 제어기와 통신하여 외부충전장치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실내난방을 실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공조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공조제어방법에 의하면, 차량 주행 이전에 실내난방이 시작되어 주행시작시점에서는 대략 사용자 설정온도를 만족시키게 되며, 사전 실내난방이 이루어지는 동안 배터리 추가 충전이 이루어지므로 주행시작시점에서는 높은 배터리 충전 상태에서 차량 출발이 가능하고, 또한 출발 후 주행 중 실내난방을 위한 배터리 소모가 작으므로 주행 가능 거리가 연장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조제어 과정을 수행하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조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공조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자동차의 공조장치를 원격 제어하여 배터리 충전 여부 및 충전 상태에 따라 주행 전에 실내난방제어를 수행하되, 배터리 외부 충전이 가능한 상태로 주행 전 충전과 동시에 실내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실내난방 후 추가 충전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주행이 시작될 수 있도록 하여 주행 가능 거리를 연장시키는 것에 주된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주행 전 배터리 충전시 발생하는 폐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실내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주된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조제어 과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외부충전장치(100)에 의해 차량의 배터리(11)를 충전하는 순수 전기자동차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 실내난방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참조하면, 차량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에 구동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11), 배터리 상태를 감시하고 관리하는 배터리 제어기(12)(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상기 배터리(11)를 충전시키기 위한 외부충전장치(100), 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인버터 및 기타 배터리 전력을 소모하는 전력전자부품(Inverter/Recharge System) 등의 발열부품(20), 실내온도 및 외기온도 등의 온도 정보와 사용자가 조작하게 되는 조작수단(200)의 신호를 입력받아 공조장치의 작동 전반을 제어하는 공조제어기(31), 실내난방을 위한 전기히터(32)(PTC 히터) 및 히터코어(33), 블로워팬(34)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전기히터(32)와 히터코어(33)는 공기를 통과시켜 승온시킨 뒤 실내에 공급하는데, 전기히터(32)는 실내난방시 배터리(11)의 전기에너지로 작동하므로 배터리 전력을 소모하는 장치이다.
또한 히터코어(33)는 냉각수와의 열교환을 통해 공기를 승온시켜 공급하며, 블로워팬(34)은 승온된 공기를 차량 실내로 토출될 수 있도록 송풍한다.
상기 조작수단(200)으로는 통상의 경우 차량에 구비된 공조스위치 등 조작부가 되나, 본 발명에서는 공조장치를 원격으로 작동시키고 사용자 요구 입력, 즉 주행시작시간(운전자가 차량 운행을 시작하고자 하는 시간) 입력 및 목표온도 설정 등을 원격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무선 원격제어기(200)가 조작수단으로 이용된다.
이를 위해 공조제어기(31)에는 무선통신모듈(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되고, 상기 원격제어기(200)로는 공조제어기(31)의 무선통신모듈과 무선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예컨대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차량 리모컨 등이 될 수 있다.
그 밖에 사용자의 입력 조작이 가능하면서 공조제어기(31)의 무선통신모듈과 통신하여 사용자 입력 데이터 등 각종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휴대용 기기(운전자가 소지 가능한 기기)라면 본 발명에서 특정하게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작동시 열이 발생하는 차량의 발열부품(20), 예컨대 배터리(11), 인버터 등의 전력전자부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시스템이 구비되며, 이 냉각시스템은 냉각수가 발열부품(20)을 차례로 통과하여 순환하도록 구비되는 냉각수 라인(41)과, 상기 냉각수 라인(41)을 따라 순환하도록 냉각수를 펌핑하여 압송하는 워터펌프(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밖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시동 초기 냉각수를 적정 온도까지 승온시키기 위한 냉각수 히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조제어 과정에서 통상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목표온도(사용자 요구 온도)까지 실내난방을 위해 요구되는 열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차량 실내온도를 검출하는 실내온센서(도시하지 않음)와, 외기온도를 검출하는 외기온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이용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공조제어 과정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터리 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열 에너지의 열량 산출을 위하여 냉각수 온도를 검출하는 수온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이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조제어 과정에 대해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조제어 과정을 수행하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공조제어 과정은 사용자가 차량 외부에서 공조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난방 상태 정보와 충전 후 주행 가능 거리 정보를 전송받도록 한 점, 외부충전장치에 의한 차량 배터리 충전 여부에 따라 차별적으로 난방 제어가 수행되는 점, 사용자가 원격으로 원하는 주행시작시간(출발예상시간 정보)을 입력하면 입력된 시간에 맞춰 사전에 실내난방이 수행되도록 하는 점, 차량이 외부충전장치와 연결된 상태에서 실내난방과 동시에 또는 실내난방이 이루어진 뒤 전력 소모에 따라 추가 충전 후 차량 주행이 시작되도록 한 점, 주행 전 배터리 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실내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점 등에 특징이 있다.
먼저, 사용자(운전자)가 조작수단인 원격제어기(200)에서 공조장치를 작동(난방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을 하고, 실제 차량 운행을 시작하고자 하는 시점을 예측하여 주행시작시간(출발예상시간 정보)를 설정, 입력하며, 목표온도(사용자가 원하는 실내온도)와 도착지까지의 이동거리를 입력하게 된다.
이에 공조제어기(31)는 원격제어기(200)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른 신호, 즉 사용자 요구 신호를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입력받게 되는데, 실내난방 전인 현재의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목표온도까지 실내난방을 위한 요구 열량을 산출한다.
예컨대, 공조제어기(31)가 실내온센서의 검출값인 실내온도와 외기온센서의 검출값인 외기온도를 입력받아, 실내온도와 외기온도에 기초하여 사용자 요구 온도(설정온도)인 목표온도까지 실내온도를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을 산출하게 된다.
사용자 설정온도까지 실내난방을 위한 요구 열량을 산출하는 과정은 공조장치에서 통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실제 다양한 방법으로 산출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산출 과정을 특정하게 한정하지는 않으며, 또한 상세한 과정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 공조제어기(31)는 배터리 제어기(12)와 통신하여 현재 외부충전장치(100)에 의해 차량 배터리(11)의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차량과 외부충전장치(100)가 연결된 상태로 현재 배터리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외부충전모드인 경우라면, 배터리 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열 에너지를 실내난방에 이용할 수 있도록 수온센서에 의한 냉각수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폐열 에너지 열량을 산출하게 된다.
알려진 바와 같이 충전 중인 배터리(11)로부터는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충전 동안 배터리 등에서 발생하는 열을 실내난방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원격제어기(200)의 조작이 있고 난 뒤 외부충전장치(100)에 의해 배터리(11)가 충전 중인 외부충전모드인 것으로 판단하게 되면, 공조제어기(31)는 워터펌프(42)를 구동시켜 냉각수가 냉각수 라인(41)을 따라 순환되도록 하고, 이로써 냉각수 라인(41)을 따라 순환되는 냉각수가 배터리(11) 등의 발열에 의해 승온되도록 한다.
이때 공조제어기(31)는 워터펌프 작동시점을 배터리 제어기(12)로 전달하게 된다.
또한 냉각수가 승온되는 동안 냉각수 온도로부터 폐열 에너지 열량을 산출하고, 이어 폐열 에너지 열량과 전기히터(32)의 발열성능(발열량) 정보, 그리고 앞서 산출된 목표온도까지의 실내난방 요구 열량 정보를 기초로 하여 주행시작시간 전 전기히터(32)를 작동시킬 시점을 계산한 뒤, 전기히터 작동시점 정보를 배터리 제어기(12)로 전달한다.
이후 전기히터 작동시점이 되는 시간이 되면, 공조제어기(31)는 전기히터(32)와 블로워팬(34)을 작동시키고, 작동시점부터 배터리 제어기(12)가 전기히터(32) 및 블로워팬(34), 워터펌프(42)에 의해 소모된 전기에너지, 즉 배터리 방전량을 고려하여 추가 충전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기히터(32)와 블로워팬(34), 워터펌프(42)가 구동되는 상태에서는 냉각수로 전달된 충전 과정의 폐열에 의해 히터코어(33)에서 공기가 승온됨과 동시에 전기히터(32)에 의해 공기가 승온된 상태에서 실내로 공급될 수 있는 바, 실내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실내난방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실내온도가 목표온도에 도달하면, 공조제어기(31)가 워터펌프(42)와 전기히터(32), 블로워팬(34)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이어 주행시작시간이 되면 차량 난방 상태 정보(실내온도 등)와 차량 주행 가능 거리(배터리 제어기에서 전달되는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로부터 산출)를 사용자의 원격제어기(200)에 전송하여 전달하게 된다.
결국, 시간이 경과하여 사용자가 설정 입력한 주행시작시간이 되면, 주행 이전에 차량 내부의 실내온도는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목표온도)를 만족하게 되며, 이때 실내난방시 소모된 배터리 방전량에 대해서 앞서 실시된 배터리 추가 충전이 진행된 상태가 된다.
또한 실내난방이 어느 정도 이루어진 상태에서 이후 주행 중 소요되는 난방 열량은 종래와 같이 차량 출발시점에서 실내난방을 개시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주행 시작 후 요구되는 난방 열량 감소로 인하여 주행 동안의 배터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고, 충전 후 높은 배터리 충전 상태에서 주행을 시작하게 되므로 차량의 주행 가능 거리를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공조제어기(31)에서 원격제어기(200)의 조작이 있고 난 뒤 배터리(11)가 외부충전장치(100)에 의해 충전되고 있지 않은 경우(외부충전모드가 아닌 경우)라면, 폐열 에너지 열량 산출 과정, 냉각수 순환 과정은 생략되고 그 대신 전기히터(32)의 발열성능(발열량) 정보, 그리고 실내난방 요구 열량 정보를 기초로 하여 주행시작시간 전 전기히터(32)를 작동시킬 시점을 계산한 뒤, 전기히터 작동시점 정보를 배터리 제어기(12)로 전달한다.
이후 전기히터 작동시점이 되는 시간이 되면, 공조제어기(31)는 전기히터(32)와 블로워팬(34)을 작동시키고, 작동시점부터 배터리 제어기(12)가 전기히터(32) 및 블로워팬(34)에 의해 소모된 전기에너지, 즉 배터리 방전량을 고려하여 외부충전장치(100)에 의한 배터리 충전을 실시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배터리 충전 상태 대비 전기히터(32)의 작동이 과다한 경우, 즉 주행시작시점 이전에 배터리 충전 상태(배터리 제어기로부터 전달됨)로부터 계산된 차량의 주행 가능 거리가 사용자가 입력한 이동거리 미만이 되는 경우, 전기히터(32)의 작동을 즉시 중단하며, 이 상태에서 외부충전장치(100)에 의한 배터리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뒤 주행시작시간이 되면 차량 난방 상태 정보와 주행 가능 거리 정보를 원격제어기(200)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조제어 과정에 대해 상술하였으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 실제 주행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차량의 실내온도가 외기온도와 유사한 낮은 온도 상태이고, 주행 시작 후 초기 실내난방을 위해 전기히터를 작동시키게 되면, 실내온도가 목표온도에 도달하기까지 배터리 충전율이 감소하면서 주행 가능 거리가 단축된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주행 이전에 실내난방이 시작되어 주행시작시점에서는 대략 사용자 설정온도를 만족시키게 되며, 사전 실내난방이 이루어지는 동안 배터리 추가 충전이 이루어지므로 주행시작시점에서는 높은 배터리 충전 상태에서 차량 출발이 가능하고, 또한 출발 후 주행 중 실내난방을 위한 배터리 소모가 종래의 출발 후에 비해 작으므로 주행 가능 거리가 연장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 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1 : 배터리 12 : 배터리 제어기
20 : 발열부품 31 : 공조제어기
32 : 전기히터 33 : 히터코어
34 : 블로워팬 41 : 냉각수 라인
42 : 워터펌프 100 : 외부충전장치

Claims (8)

  1. 사용자가 조작수단에서 공조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을 하고 실제 차량 운행을 시작하고자 하는 주행시작시간 및 실내 목표온도를 설정, 입력하는 과정;
    공조제어기가 조작수단에서 입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실내온도를 목표온도로 승온시키기 위해 상기 설정된 주행시작시간 전에 실내난방을 위한 공조제어를 수행하는 과정; 및
    공조제어기가 배터리 제어기와 통신하여 외부충전장치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실내난방을 실시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공조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조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은,
    (a) 실내난방 전의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목표온도까지 실내난방을 위한 요구 열량을 산출하는 단계;
    (b) 공조제어기가 배터리 제어기와 통신하여 현재 외부충전장치에 의해 차량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차량 배터리의 충전 상태로 판단되면, 산출된 요구 열량을 충족시키기 위한 실내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전기히터에 의한 실내난방과 더불어, 배터리 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전달받은 냉각수를 이용하여 실내난방이 이루어지도록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공조제어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충전 상태로 판단되면, 공조제어기는,
    워터펌프를 구동시켜 배터리 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에 의해 냉각수가 승온되도록 하고, 이어 냉각수가 승온되는 동안 수온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냉각수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폐열 에너지 열량을 산출하며, 이어 폐열 에너지 열량과 전기히터의 발열량, 상기 산출된 요구 열량 정보를 기초로 하여 주행시작시간 전 전기히터를 작동시킬 시점을 계산한 뒤, 전기히터 작동시점이 되는 시간이 되면 전기히터와 공조용 블로워팬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공조제어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공조제어기가 전기히터 작동시점 정보를 배터리 제어기로 전달하고, 이에 배터리 제어기가 전기히터 작동시점부터 실내난방으로 인한 배터리 방전량을 고려하여 배터리의 추가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전기자동차의 공조제어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차량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아닌 경우, 전기히터에 의해서만 실내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공조제어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충전 상태가 아닌 경우, 공조제어기는,
    전기히터의 발열량과 상기 산출된 요구 열량 정보를 기초로 하여 주행시작시간 전 전기히터를 작동시킬 시점을 계산한 뒤, 전기히터 작동시점이 되는 시간이 되면 전기히터와 공조용 블로워팬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공조제어방법.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실내난방이 이루어지는 동안 주행시작시점 이전에, 배터리 제어기에서 전달된 배터리 충전 상태에 따른 차량 주행 가능 거리가 사용자가 조작수단을 통해 입력하여 전송된 이동거리 미만이 되는 경우, 전기히터의 작동을 즉시 중단하고, 이후 외부충전장치에 의한 배터리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이 공조제어기의 무선통신모듈과 무선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휴대하게 되는 원격제어기이고, 상기 공조제어기가 주행시작시간이 되면 차량 난방 상태 정보와 주행 가능 거리 정보를 원격제어기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공조제어방법.



KR1020100098508A 2010-10-08 2010-10-08 전기자동차의 공조제어방법 KR101180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508A KR101180795B1 (ko) 2010-10-08 2010-10-08 전기자동차의 공조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508A KR101180795B1 (ko) 2010-10-08 2010-10-08 전기자동차의 공조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694A true KR20120036694A (ko) 2012-04-18
KR101180795B1 KR101180795B1 (ko) 2012-09-10

Family

ID=46138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508A KR101180795B1 (ko) 2010-10-08 2010-10-08 전기자동차의 공조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079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749A (ko) * 2018-07-25 2020-02-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75100A (ko) * 2018-12-11 2020-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정차 시 차량 공조 제어 방법
CN113492638A (zh) * 2020-04-01 2021-10-12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控制设备、车辆控制方法、非临时性存储介质和车辆控制系统
CN114407615A (zh) * 2022-02-23 2022-04-29 广汽埃安新能源汽车有限公司 一种外接加热器的控制方法及装置
WO2024011953A1 (zh) * 2022-07-13 2024-01-1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车辆空调器的运行控制方法、控制器、空调器及房车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5708B2 (ja) 2006-10-03 2011-07-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および車両充電システ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749A (ko) * 2018-07-25 2020-02-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0758046A (zh) * 2018-07-25 2020-02-0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电动汽车的空气调节装置及控制它的方法
KR20200075100A (ko) * 2018-12-11 2020-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정차 시 차량 공조 제어 방법
CN113492638A (zh) * 2020-04-01 2021-10-12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控制设备、车辆控制方法、非临时性存储介质和车辆控制系统
CN114407615A (zh) * 2022-02-23 2022-04-29 广汽埃安新能源汽车有限公司 一种外接加热器的控制方法及装置
CN114407615B (zh) * 2022-02-23 2024-04-12 广汽埃安新能源汽车有限公司 一种外接加热器的控制方法及装置
WO2024011953A1 (zh) * 2022-07-13 2024-01-1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车辆空调器的运行控制方法、控制器、空调器及房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0795B1 (ko) 2012-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3087B2 (ja) 電気自動車の空気調和装置とその制御方法
US20190241093A1 (en) Charging system
KR101114255B1 (ko)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차량
US8242737B2 (en) Motor-driven vehicle
KR101047413B1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제어를 이용한 실내 냉난방 장치 및 방법
JP6015618B2 (ja) 車両
US975008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KR101180795B1 (ko) 전기자동차의 공조제어방법
EP2956330B1 (en) Intermittent operation of battery temperature control system
CA2711788A1 (en) Hybrid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power of hybrid vehicle
KR101715700B1 (ko) 저온 환경의 성능 개선을 위한 배터리팩 제어장치
US11498454B2 (en) Power battery cool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solar sunroof
US9718453B2 (en) Hybrid vehicle
US9233595B2 (en) Method of controlling heating of hybrid electric vehicle
KR101724728B1 (ko) 배터리 온도 제어를 통합한 전기 자동차의 난방 시스템 제어 방법
US20200338953A1 (en) Plug-in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heating a passenger cabin
JP2011015544A (ja) 電動車両
JP6466787B2 (ja) 車載二次電池の冷却装置
US10071613B2 (en) Vehicle
JP5603404B2 (ja) 車両用昇温装置
KR20110002541A (ko) 차량용 무시동 냉난방장치
JP2013163412A (ja) 電気自動車の暖房装置
KR20110046620A (ko) 차량용 냉각수 가열식 전기히터 시스템
JP2016016711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US20240066954A1 (en) Heating control method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