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6271A - 전해조,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전해조,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6271A
KR20140076271A KR1020120144634A KR20120144634A KR20140076271A KR 20140076271 A KR20140076271 A KR 20140076271A KR 1020120144634 A KR1020120144634 A KR 1020120144634A KR 20120144634 A KR20120144634 A KR 20120144634A KR 20140076271 A KR20140076271 A KR 20140076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ic
chamber
water
electrod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7954B1 (ko
Inventor
유재혁
원성범
Original Assignee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4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954B1/ko
Publication of KR20140076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6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17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 C25B9/19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with diaphragms
    • C25B9/23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with diaphragms comprising ion-exchange membranes in or on which electrode material is embedde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s; Regeneration of electroly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해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해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중간실과 전해수 생성실로 구획하는 격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해수 생성실은 상기 중간실의 양측에 위치되고, 상기 중간실에는 제 1 전극이 위치되고, 상기 격벽들은 각각 제 2 전극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해조,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Electrolyzer, Substrate treating apparatus and Substrate treating method}
본 발명은 전해 이온수를 생성하는 전해조 및 기판을 세정하는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판 표시 소자나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에는 기판에 부착된 각종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해 세정 공정이 수행된다. 완성된 소자의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기판의 표면 및 기판에 형성된 패턴 등이 손상되지 않으면서 기판에 잔류하는 오염원이 완전히 제거되어야 한다. 세정액으로는 전해조에서 전해질 용액과 순수(DIW)를 전기 분해하여 생성된 전해 이온수(electrolyzed water, EW)를 사용할 수 있다.
세정 공정에서 기판상에 공급되는 전해 이온수는 일정범위의 수소 이온 농도 지수(hydrogenion exponent, PH) 및 산화 환원 전위(oxidation redution potential, ORP)를 갖는다. 전해 이온수는 기판과 오염원사이의 정전기적인 인력을 상쇄시켜 오염원이 기판에서 떨어지게 하여, 오염원을 기판에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전해 이온수를 이용하면, 기판의 손상을 방지되면서 오염원이 기판에서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전해조에서 전해 이온수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기판의 세정에 사용되지 않는 폐수 및 폐 전해질 용액이 다량 발생한다. 따라서, 폐수 및 폐 전해질 용액의 처리 비용이 증가 된다. 그리고, 전해조에 공급되는 전해질 용액 및 순수의 양에 비해 생산되는 전해 이온수의 양이 충분하지 않다.
본 발명은 전해 이온수의 생산량이 증가되는 전해조,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해 이온수의 생산 과정에서 폐수의 발생이 감소되는 전해조,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중간실과 전해수 생성실로 구획하는 격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해수 생성실은 상기 중간실의 양측에 위치되고, 상기 중간실에는 제 1 전극이 위치되고, 상기 격벽들은 각각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전해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은 상기 중간실 방향에 위치되는 이온교환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극은 중간실의 반대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은 상기 이온교환막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되는 지지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은 상기 전해수 생성실 방향에 위치되는 지지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지지막과 상기 이온교환막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은 그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은 서로 반대되는 극성의 전압이 인가되고, 각각의 상기 제 2 전극은 동일한 극성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해수 생성실은 3개 이상 제공되고, 상기 전해수생설실 사이에는 각각 상기 중간실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실은 전해질 용액이 유입되는 전해질 라인과 상기 전해질 라인이 유출되는 전해질 유출 라인에 연결고, 상기 전해수 생성실은 순수가 유입되는 순수 라인 및 상기 전해 이온수가 유출되는 세정액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해조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전해 이온수를 이용하여 기판을 세정하는 기판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해조; 상기 기판이 세정 되는 공정 챔버; 및 상기 전해조에서 만들어진 상기 전해 이온수를 상기 공정 챔버로 공급하는 세정액 라인을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정 챔버는,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세정액 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기판으로 상기 전해 이온수를 분사하는 노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기판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기판을 세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에 플러스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 2 전극 각각에 마이너스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해수 생성실에서 만들어진 상기 전해 이온수를 상기 공정 챔버로 공급하는 기판 세정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해조로 공급된 전해질 용액에 비해 다량의 전해 이온수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해조에서 배출되는 폐수의 량이 감소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판 처리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정 챔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전해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격벽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전해 이온수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해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판 처리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판 처리 장치(1)는 전해질 탱크(10), 순수 탱크(20), 전해조(40) 및 공정챔버(50)를 포함한다.
전해질 탱크(10)는 전해질을 저장한다. 전해질 탱크(10)의 전해질은 전해질 라인(11)을 통해 전해조(40)로 유입된다. 전해질 라인(11) 상에는 혼합 탱크(30)가 위치될 수 있다. 혼합 탱크(30)는 전해질과 순수(DIW)를 혼합하여 설정 농도의 전해질 용액을 생성한다.
순수 탱크(20)는 순수를 저장한다. 순수 탱크(20)는 순수 라인(21)을 통해 전해조(40)에 순수를 공급한다. 순수 라인(21)은 메인 순수 라인(21a), 제 1 순수 라인(21b) 및 제 2 순수 라인(21c)을 포함한다. 순수 탱크(20)에 저장된 순수는 메인 순수 라인(21a)으로 공급된다. 제 1 순수 라인(21b)은 메인 순수 라인(21a)에서 분기되어 혼합 탱크(30)에 연결되고, 제 2 순수 라인(21c)은 메인 순수 라인(21a)에서 분기되어 전해조(40)로 연결된다.
전해조(40)는 전해질 용액 및 순수를 전기 분해하여 전해 이온수를 생성한다. 전해조(40)에는 전해질 라인(11) 및 제 2 순수 라인(21c)을 통해 전해질 용액 및 순수가 공급된다. 전해조(40)에서 생성된 액 중에서, 기판의 세정에 사용될 전해 이온수는 세정액 라인(41)을 통해 공정 챔버(50)에 공급된다. 세정액 라인(41)에서는 세정액 순환 라인(42)이 분기 될 수 있다. 세정액 순환 라인(42)은 공정 챔버(50)의 동작 여부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정 챔버(50)에서 전해 이온수로 기판을 세정하는 때에는 세정액 순환 라인(42)은 차폐된다. 그리고, 공정 챔버(50)로 전해 이온수가 공급되지 않는 때에는 세정액 순환 라인(42)이 개방된다. 세정액 순환 라인(42)은 제 2 순수 라인(21c)에 연결된다. 따라서, 세정액 순환 라인(42)으로 유입된 전해 이온수는 전해조(40)로 유입된다. 세정액 순환 라인(42)에는 저장 탱크(60)가 제공될 수 있다. 저장 탱크(60)는 세정액 순환 라인(42)으로 유입된 전해 이온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기판의 세정에 사용되지 않는 액은 세정액 순환 라인(42)을 통해 전해조(40)에서 혼합 탱크(30)로 유입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공정 챔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공정 챔버(50)의 내부에는 지지부재(110), 용기(120), 승강유닛(200), 노즐부(300) 및 백노즐부(400)가 제공된다. 지지부재(110)는 기판(S)을 지지하고, 용기(120)는 기판(S)으로부터 비산되는 약액들을 모은다. 승강유닛(200)는 스핀 헤드(111)에 대한 상대 높이가 조절되도록 용기(1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노즐부(300)는 기판(S)의 상면으로 전해 이온수를 공급한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지지부재(110)는 공정 처리시 기판(S)을 지지한다. 지지부재(110)는 스핀 헤드(111), 지지핀(112), 척킹핀(113), 지지축(114) 그리고 지지축 구동기(115)를 포함한다.
스핀 헤드(111)는 기판(S)을 지지한다. 스핀 헤드(111)의 상면은 대체로 원형으로 제공되며, 기판(S)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스핀 헤드(111)의 하면은 상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그리고, 스핀 헤드(111)의 측면은 상면에서 하면으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제공된다.
스핀헤드(111)의 상면에는 지지핀(112)과 척킹핀(113)이 제공된다. 지지핀(112)은 스핀헤드(111)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며, 상단에 기판(S)이 놓인다. 지지핀(112)은 스핀헤드(111)의 상면에 서로 이격하여 복수개 제공된다. 지지핀(112)은 적어도 3개 이상 제공되며, 서로 조합되어 대체로 링 형상으로 배치된다.
척킹핀(113)은 스핀 헤드(111)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며, 기판(S)의 측부을 지지한다. 척킹핀(113)들은 스핀 헤드(111)가 회전될 때, 원심력에 의해 기판(S)이 스핀 헤드(111)로부터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척킹핀(113)은 스핀 헤드(111)의 상면 가장자리영역을 따라 서로 이격하여 복수개 제공된다. 척킹핀(113)들은 적어도 3개 이상 제공되며, 서로 조합되어 링 형상으로 배치된다. 척킹핀(113)들은 스핀 헤드(111)의 중심을 기준으로 지지핀(112)들보다 직경이 큰 링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척킹핀(113)들은 스핀 헤드(111)의 반경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척킹핀(113)들은 기판(S)의 로딩 또는 언로딩시 기판(S)의 측면과 이격 또는 접촉되도록 반경방향을 따라 직선이동한다.
지지축(114)은 스핀 헤드(111)의 하부에 위치하며 스핀 헤드(111)를 지지한다. 지지축(114)은 중공 축(hollow shaft) 형상으로 제공되며, 지지축 구동기(115)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스핀 헤드(111)에 전달한다. 지지축(114)의 하단에는 지지축 구동기(115)가 제공된다. 지지축 구동기(115)는 지지축(114)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용기(120)는 공정에 사용된 처리액 및 공정시 발생됨 흄(fume)이 외부로 튀거나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용기(120)는 상부가 개방되고 기판(S)이 처리되는 공간을 내부에 가진다.
실시예에 의하면, 용기(120)는 공정에 사용된 처리액들을 분리하여 회수할 수 있는 복수의 회수통들(120a, 120b, 120c)을 가진다. 각각의 회수통(120a, 120b, 120c)은 공정에 사용된 처리액들 중 서로 상이한 종류의 처리액을 회수한다. 본 실시 예에서 용기(120)는 3개의 회수통들을 가진다. 각각의 회수통들을 내부 회수통(120a), 중간 회수통(120b), 그리고 외부 회수통(120c)이라 칭한다.
내부 회수통(120a)은 스핀 헤드(111)를 감싸는 환형의 링 형상으로 제공되고, 중간 회수통(120b)은 내부 회수통(120a)을 감싸는 환형의 링 형상으로 제공되며, 외부 회수통(120c)은 중간 회수통(120b)을 감싸는 환형의 링 형상으로 제공된다. 각각의 회수통(120a, 120b, 120c)은 용기(120) 내 공간과 통하는 유입구(121a, 121b, 121c)를 가진다. 각각의 유입구(121a, 121b, 121c)는 스핀 헤드(111) 둘레에 링 형상으로 제공된다. 기판처리에 제공된 처리액들은 기판(S)의 회전력에 의해 비산되어 유입구(121a, 121b, 121c)를 통해 회수통(120a, 120b, 120c)으로 유입된다. 외부 회수통(120c)의 유입구(121c)는 중간 회수통(120b)의 유입구(121b)의 수직 상부에 제공되고, 중간 회수통(120b)의 유입구(121b)는 내부 회수통(120a)의 유입구(121a)의 수직 상부에 제공된다. 즉, 내부 회수통(120a), 중간 회수통(120b), 그리고 외부 회수통(120c)의 유입구(121a,121b,121c)들은 서로 간에 높이가 상이하도록 제공된다. 회수통(120a, 120b, 120c)들의 바닥벽(122a, 122b, 122c)에는 배출관(125a, 125b, 125c)이 각각 결합된다. 각각의 회수통(120a, 120b, 120c)들로 유입된 처리액들은 배출관(125a, 125b, 125c)들을 통해 분리되어 회수된다. 그리고, 외부 회수통(120c)의 바닥벽(122c)에는 배기관(127)이 설치된다. 배기관(127)은 회수통(120a, 120b, 120c)들로 유입된 처리액에서 발생된 가스를 외부로 배기한다.
승강 유닛(200)은 스핀 헤드(111)에 대한 상대 높이가 조절되도록 용기(12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승강 유닛(200)은 브라켓(210), 이동 축(220), 그리고 구동기(230)를 가진다. 브라켓(210)은 용기(120)의 외벽에 고정설치되고, 브라켓(210)에는 구동기(23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 축(220)이 고정결합된다. 승강 유닛(200)은 기판(S)이 스핀 헤드(111)에 로딩되거나, 스핀 헤드(111)로부터 언로딩될 때 스핀 헤드(111)가 용기(12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용기(120)를 하강시킨다. 또한, 공정의 진행시에는 기판(S)에 공급된 처리액의 종류에 따라 처리액이 기설정된 회수통(120a,120b,120c)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용기(120)의 높이를 조절한다. 상술한 바와 달리, 승강 유닛(200)은 스핀 헤드(11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노즐부(300)는 기판의 상면으로 전해 이온수를 분사한다. 노즐부(300)는 전해 이온수 분사노즐(312), 노즐 이동부(320)를 포함한다.
전해 이온수 분사노즐(312)은 분사헤드(316)의 저면에 각각 설치된다. 전해 이온수 분사노즐(312)은 세정액 라인(41)에 연결되어, 기판(S)의 상면으로 전해 이온수를 공급한다. 전해 이온수는 기판과 오염원사이의 정전기적인 인력을 상쇄시켜 오염원이 기판에서 떨어지게 하여, 오염원을 기판에서 제거한다.
이동부(320)는 노즐부(300)에서 분사되는 유체가 기판(W)의 중심영역에서부터 가장자리영역까지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전해 이온수 분사노즐(312)을 이동시킨다. 이동부(320)는 아암(322), 지지축(324) 그리고 구동모터(326)를 포함한다. 아암(322)은 그 일단에 분사헤드(316)가 설치되며, 분사헤드(316)를 지지한다. 아암(322)의 타단에는 지지축(324)이 연결된다. 지지축(324)은 구동모터(326)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회전력을 이용하여 아암(322)에 연결된 분사헤드(310)를 이동시킨다.
이동부(320)에 의해 전해 이온수 분사노즐(312)을 이동시키는 방법은 직선 운동 방식과 회전 운동 방식이 있으며, 두 가지 방식을 각각 사용하거나,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노즐부(300)는 HF(Hydrofluoric Acid) 용액 등 식각액(etchant)을 분사하는 노즐, 기판 건조를 위한 유기용제를 분사하는 유기용제 노즐 또는 건조가스 분사하는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식각액 분사 노즐, 유기용제 노즐 및 건조가스 노즐은 별도의 분사헤드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백노즐부(400)는 스핀헤드(111)에 설치된다. 백노즐부(400)는 기판의 저면으로 초순수 또는 질소가스 등의 유체를 분사하기 위한 것이다. 백노즐부(400)는 스핀헤드(111)의 중앙부에 위치된다.
도 3은 도 1의 전해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후술할 중간실(401) 및 전해수 생성실(402)의 길이 방향을 제 1 방향(2)이라 하고, 제 1 방향(2)에 수직 한 방향을 제 2 방향(3)이라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해조(40)는 하우징(410), 격벽(420), 제 1 전극(430)을 포함한다.
하우징(410)은 전해질 용액 및 순수가 전기 분해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하우징(410)의 내부 공간에는 2개의 격벽(420)이 나란하게 위치된다. 하우징(410)의 내부공간은 격벽(420)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실(401)과 중간실(401)의 양측에 위치되는 전해수 생성실(402)로 구획된다. 중간실(401)의 전단은 전해질 라인(11)에 연결되고, 중간실(401)의 후단은 전해질 유출 라인(42)에 연결된다. 따라서, 혼합탱크(30)의 전해질 용액은 중간실(401)에서 전기 분해된 후 혼합 탱크(30)로 유입된다. 전해수 생성실(402)들의 일측은 제 2 순수 라인(21c)에 연결되고, 전해수 생성실(402)들의 타측은 세정액 라인(41)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 2 순수 라인(21c)으로 공급된 순수는 전기분해 되어 전해 이온수가 된 후, 공정 챔버(50)로 공급된다.
격벽(420)은 그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격벽(420)은 중간실(401)과 전해수 생성실(402) 방향을 오가면서 수차례 굴곡질 수 있다. 따라서, 중간실(401)과 전해수 생성실(402)에 형성되는 유로는 길어진다. 그리고, 격벽(420)이 중간실(401) 또는 전해수 생성실(402)과 접하는 면적이 증가 된다. 또한, 격벽(420)과 마주보는 하우징(410)의 내면도 격벽(420)에 대응하여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중간실(401)에는 제 1 전극(430)이 위치된다. 제 1 전극(430)은 중간실(4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고, 격벽(420)에 대향되게 위치될 수 있다. 제 1 전극(430)은 격벽(420)과 이격되게 위치된다. 제 1 전극(430)의 일측 또는 양측은 하우징(410)에 고정된다. 제 1 전극(430)의 길이는 하우징(410)이 전해질 라인(11)과 연결되는 측면과 전해질 유출 라인(42)이 연결되는 측면이 이격된 거리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짧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전해질 라인(11)으로 유입된 전해질 용액은 제 1 전극(430)의 양측으로 분배될 수 있다.
격벽(420)은 이온교환막(421), 제 2 전극(422) 및 지지막(423)을 포함한다.
이온교환막(421), 지지막(423) 및 제 2 전극(422)은 제 2 방향(3)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이온교환막(421)은 중간실(401) 방향에 위치되고, 제 2 전극(422)은 전해수 생성실(402) 방향에 위치된다. 이온교환막(421)은 양이온 또는 음이온 중 한쪽을 통과시키도록 제공된다.
도 4는 제 2 전극 또는 지지막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 2 전극(422) 및 지지막(423)은 미세 홀들이 형성되는 메쉬(mesh)형상으로 제공된다. 제 2 전극(422)은 도체로 제공된다. 제 1 전극(430)과 제 2 전극(422)에 직류전압이 인가되면, 중간실(401)의 전해질 용액 및 전해수 생성실(402)의 순수는 전기 분해된다. 지지막(423)은 형상이 고정되거나 높은 탄성을 갖도록 제공된다. 이온교환막(421) 또는 제 2 전극(422)은 이온의 투과성을 위해 얇은 판 형상으로 제공되어, 전해질 용액 또는 순수의 유통으로 발생되는 힘에 의해 그 형상이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막(423)은 이온 교환막 또는 제 2 전극(422)의 부족한 탄성을 보충하여, 격벽(420)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도 5는 전해 이온수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전해질로 암모니아(NH3)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전해질은 염화 수소(HCl)와 같이 암모니아 이외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해수 생성실에서 음 전하를 띄는 전해 이온수가 생성되는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 1 전극(430)은 플러스 전압이 인가된다. 격벽(420)의 제 2 전극(422)은 각각 마이너스 전압이 인가된다. 전해질 용액인 수산화 암모늄(NH4OH)은 중간실(401)로 공급되고, 전해수 생성실(402)에는 순수가 공급된다. 수산화 암모늄은 양 이온인 수소 이온(H+), 암모늄 이온(NH4 +)과 음이온인 수산화 이온(OH-)을 포함한다. 순수는 양이온인 수소 이온(H+)과 음이온인 수산화 이온(OH-)을 포함한다. 중간실(401)의 양이온(H+, NH4 +)은 격벽(420)의 마이너스 전압에 의해 전해수 생성실(402)로 이동된다. 전해수 생성실(402)의 수소이온은 제 2 전극(422)에서 전자를 공급받아 수소(H2)로 환원된다. 따라서, 전해수 생성실(402)의 순수는 수소이온이 감소 되고, 수산화 이온은 잔류하게 되어 염기성 및 마이너스 전압의 산화환원전위(Oxidation Redution Potential, ORP)를 갖는 전해이온수가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중간실(401) 양측에 위치되는 전해수 생성실(402)에서 전해이온수가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해조(40)로 공급되는 전해질 용액의 유량에 비해 많은 양의 전해 이온수를 단시간에 만들 수 있다. 또한, 전해조(40)에 공급된 순수는 모두 기판의 세정에 사용될 전해 이온수로 변환된다. 따라서, 전해 이온수의 생산 과정에서 발생 되는 폐수의 량이 적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전해수 생성실에서 양 전하를 띄는 전해 이온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전극(430)은 마이너스 전압이 인가되고, 격벽(420)의 제 2 전극(422)은 플러스 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중간실(401)의 음이온은 전해수 생성실(402)로 이동되어, 전해수 생성실(402)의 음이온과 함께 산화된다. 즉, 중간실(401)에서 이동된 음이온과 전해수 생성실(402)의 음이온은 격벽(420)의 제 2 전극(422)에 전자를 빼앗기면서 물과 산소로 산화된다. 따라서, 전해수 생성실(402)에는 양이온인 수소 이온의 양이 음이온인 수산화 이온보다 상대적으로 증가되어 산성 및 플러스 전압의 산화환원전위를 갖는 전해이온수가 된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해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해조(40b)에 제공되는 격벽(420b)은 굴곡 없이 평평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해수생설실(402b)을 형성하는 하우징(410b)의 내면도 굴곡 없이 제공될 수 있다. 중간실(401b)에 위치되는 제 1 전극(430b) 및 격벽(420b)을 이루는 이온교환막(421b), 제 2 전극(422b), 지지막(423b)의 구성은 도 3 및 도4의 전해조(40)와 동일하다. 그리고, 중간실(401b) 및 전해수 생성실(402b)에서 전해 이온수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도 5와 동일하다. 따라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해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해조(40c)에 제공되는 격벽(420c)에서 도 3에 개시된 전해조(40)에 포함되는 지지막(423)이 생략될 수 있다. 이온교환막(421c) 과 제 2 전극(422c)이 서로 접하게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410c) 및 중간실(401c)에 위치되는 제 1 전극(430c)의 구성은 도 3 및 도4의 전해조(40)와 동일하다. 그리고, 중간실(401c) 및 전해수 생성실(402c)에서 전해 이온수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도 5와 동일하다. 따라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해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격벽(420d)에 포함되는 이온교환막(421d), 지지막(421d) 및 제 2 전극(422d)은 도 3의 격벽(420)과 상이한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실(401d)에서 전해수 생성실(402d)방향으로 지지막(423d), 이온교환막(421d) 및 제 2 전극(422d)의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중간실(401d)에서 전해수 생성실(402d)방향으로 이온교환막(421d), 제 2 전극(422d) 및 지지막(423d)의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제 1 전극(430d)의 구성은 도 3과 동일하다. 중간실과(401d) 및 전해수 생성실(402d)에서 전해 이온수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도 5와 동일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해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2 전극(424e)은 격벽(420e)과 별도로 제공되어, 전해수생설실(402e)에 위치될 수 있다. 하우징(410e), 이온교환막(421e), 지지막(423e) 및 제 1 전극(430e)의 구성은 도 3과 동일하고, 중간실과(401e) 및 전해수 생성실(402e)에서 전해 이온수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도 5와 동일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 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해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해조(43)에는 중간실(403)이 2 개 이상 제공될 수 있다. 전해수 생성실(404)은 중간실(403)의 사이 및 최 외곽의 중간실(403) 외측에 각각 위치된다. 중간실(403)에 각각 연결되는 전해질 라인(11)과 전해질 유출 라인(42), 전해수 생성실(402)에 각각 연결되는 전해질 유출 라인(42)과 세정액라인은 도 3의 전해조(40)와 동일하다. 또한, 중간실(403)의 중심 제 2 전극(431)과 격벽(421)의 구성은 도 3의 전해조(40)와 동일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전해질 탱크 20: 순수 탱크
40: 전해조 50: 공정 챔버
110: 지지부재 120: 용기
200: 승강유닛 300: 노즐부
410: 하우징 420: 격벽
430: 제 1 전극

Claims (2)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중간실과 전해수 생성실로 구획하는 격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해수 생성실은 상기 중간실의 양측에 위치되고,
    상기 중간실에는 제 1 전극이 위치되고,
    상기 격벽들은 각각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전해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중간실 방향에 위치되는 이온교환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극은 중간실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전해조.




KR1020120144634A 2012-12-12 2012-12-12 전해조,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KR101987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634A KR101987954B1 (ko) 2012-12-12 2012-12-12 전해조,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634A KR101987954B1 (ko) 2012-12-12 2012-12-12 전해조,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271A true KR20140076271A (ko) 2014-06-20
KR101987954B1 KR101987954B1 (ko) 2019-06-11

Family

ID=51128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634A KR101987954B1 (ko) 2012-12-12 2012-12-12 전해조,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9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5248A (ja) * 1995-09-22 1997-03-31 Hoshizaki Electric Co Ltd 電解水生成装置
JPH09108677A (ja) * 1995-10-23 1997-04-28 Hoshizaki Electric Co Ltd 電解水生成装置
JPH10128332A (ja) * 1996-11-05 1998-05-19 Shibaura Eng Works Co Ltd イオン水供給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洗浄処理装置
JP2012091121A (ja) * 2010-10-27 2012-05-17 Japan Organo Co Ltd 電解水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5248A (ja) * 1995-09-22 1997-03-31 Hoshizaki Electric Co Ltd 電解水生成装置
JPH09108677A (ja) * 1995-10-23 1997-04-28 Hoshizaki Electric Co Ltd 電解水生成装置
JPH10128332A (ja) * 1996-11-05 1998-05-19 Shibaura Eng Works Co Ltd イオン水供給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洗浄処理装置
JP2012091121A (ja) * 2010-10-27 2012-05-17 Japan Organo Co Ltd 電解水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7954B1 (ko) 201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86539B2 (ja) 洗浄装置および洗浄方法
KR101082812B1 (ko) 황산의 전해 장치, 전해 방법 및 기판 처리 장치
CN1423830A (zh) 用于多种处理的立式配置腔室
KR102107987B1 (ko) 기판 처리 장치
US10453672B2 (en) Dissolved ozone removal unit, apparatus for treating substrate, method of removing dissolved ozone, and method of cleaning substrate
CN110993524A (zh) 一种基板后处理装置和方法
KR101484078B1 (ko) 기판 처리 장치, 기판 처리 방법 및 이 기판 처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1329319B1 (ko) 노즐 및 이를 갖는 기판처리장치
KR101987954B1 (ko) 전해조,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CN214976106U (zh) 一种用于硅片的预清洗设备
KR20140112299A (ko) 기판처리장치
KR100276766B1 (ko) 기판세정장치및기판세정방법
CN103691714B (zh) 一种清洗装置和清洗方法
KR101870664B1 (ko) 기판처리장치
KR102358031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765900B1 (ko) 기판의 가장자리 식각장치 및 상기 장치를 구비하는 기판처리 설비, 그리고 기판 처리 방법
KR102096945B1 (ko) 기판처리장치 및 방법
KR20080009838A (ko)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096944B1 (ko) 기판처리장치 및 방법
JPH0254800A (ja) 半導体基板の洗浄方法および装置
KR101553365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약액 재생 방법
JP2004250776A (ja) 基板処理装置及び方法
KR102422256B1 (ko) 검사 유닛 및 검사 방법,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KR102250359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JP3960803B2 (ja) 電解加工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