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4082A - 감귤박과 어류부산물의 발효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류의 복부지방 축적 억제용 사료 첨가제 - Google Patents

감귤박과 어류부산물의 발효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류의 복부지방 축적 억제용 사료 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4082A
KR20140074082A KR1020120142289A KR20120142289A KR20140074082A KR 20140074082 A KR20140074082 A KR 20140074082A KR 1020120142289 A KR1020120142289 A KR 1020120142289A KR 20120142289 A KR20120142289 A KR 20120142289A KR 20140074082 A KR20140074082 A KR 20140074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ltry
feed
abdominal fat
fish
feed add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3466B1 (ko
Inventor
한종권
오미향
남정옥
박근태
지기쁨
김성진
장지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자원엠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자원엠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자원엠엘
Priority to KR20120142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466B1/ko
Publication of KR20140074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7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wast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6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waste material, e.g. feathers, bones or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금류의 복부지방 축적 억제용 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가금류에 급여시킬 경우 기존의 사료와 비교하여 사료효율이 크게 향상되어 사료 요구량이 감소되는 효과를 수득할 수 있으며, 체중이 증가하면서도 복부지방 체적율은 감소되는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료 조성물을 가금류에 급여시킬 경우 사료 대비 효율적인 체중 증가에 따른 농가의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중 증가에도 불구하고 복부지방 체적율은 감소되어 육계를 위한 사료로서 실질적인 생산성 향상 면에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감귤박과 어류부산물의 발효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류의 복부지방 축적 억제용 사료 첨가제{Feed additive for preventing accumulation of abdominal fat of poultry comprising fermented mixture of citrus peels and seafood wastes as active ingredients}
본 발명은 가금류의 복부지방 축적 억제를 통해 실질적인 생산량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금류의 체중은 증체시키면서 복부지방 축적은 억제시킬 수 있는 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가금류에게 급여시킴으로써 복부지방 축적을 억제시켜 실질적인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금류"란 고기, 알, 털, 깃털 등 인간에게 유용한 축산물을 얻기 위해서 사람에 의해서 사육되는 조류를 의미하며, 닭, 칠면조, 거위, 집오리, 화조, 집비둘기, 메추리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가금류 일반 사료"란 사육되는 가금류의 종류 등에 따라 급여되는 사료 조성물로서 가금류의 사육을 위하여 제공되는 유기 또는 무기 영양소를 함유하는 물질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사료는 영양소의 함량이 많고 가축에게 유해한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한편 쉽게 다량으로 쉽게 제조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사료는 사육되는 가축의 종류에 따라 주성분이 달라져야 하고 주성분, 수분 함량 또는 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가금류의 사육 과정에서 육질 또는 부산물의 품질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첨가물이 사료에 첨가될 수 있다. 가금류의 사료에 추가되는 첨가물은 주로 사육 기간의 단축, 육질의 개선 또는 부산물의 향상을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닭 사료에 첨가되는 부산물은 닭의 사육 기간을 단축시켜 생산량을 증가시키거나, 닭의 육질의 개선시켜 사람의 몸에 좋은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계란의 품질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가금류의 사료로서 90% 이상은 배합사료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들 배합사료를 급여하여 가금류를 사육하는 데는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배합사료를 급여해 사육한 가금류의 경우 복부지방 축적율이 높아 실질적인 생산량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현실을 감안할 때 국내에서 생산되는 부존자원을 이용하여 사료비를 절감하고 육질이 개선된 가금류, 식육을 위한 가금류를 사육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금류의 체중은 증체시키면서 복부지방 축적은 억제시킬 수 있는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사료 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급여하여 가금류를 사육하는 방법 및 가금류의 체중은 증체시키면서 복부지방 축적은 억제시키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일 양태로, 본 발명에서는 감귤박과 어류부산물의 발효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류의 복부지방 축적 억제용 사료 첨가물을 제공한다.
상기 "가금류"란 고기, 알, 털, 깃털 등 인간에게 유용한 축산물을 얻기 위해서 사람에 의해서 사육되는 조류를 의미하며, 닭, 칠면조, 거위, 집오리, 화조, 집비둘기, 메추리 등이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식용 가금류를 의미하고, 가장 바람직하게 육계를 의미한다.
상기 "감귤박"은 귤 껍질로, 비타민을 비롯한 여러 가지 영양소(알카로이드, 플라보노이드 등)가 함유되어 있으며, 주성분인 리모넨(D-limonene)의 향긋한 냄새는 먹이 섭취를 유도하고, 장기 섭취하였을 때 분뇨의 악취제거에도 도움이 된다.
상기 "감귤박"은 바람직하게는 건조된 감귤박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감귤박의 수분함량이 바람직하게 3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 15%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 "건조"를 위한 건조시간, 건조횟수, 및 건조온도 등을 포함한 건조조건 또는 건조방법은 당업계 공지된 통상의 기술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2차 건조 공정을 거칠 수 있고, 1차 건조를 통해 감귤박의 수분함량은 바람직하게 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 35%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 30% 이하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2차 건조를 통해 최종적으로 감귤박의 수분함량이 15% 이하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자들은 고속원심건조법에 의한 1차 건조 및 원적외선에 의한 2차 건조를 모두 거친 건조 감귤박에서 모든 일반성분, 즉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탄수화물, 및 조섬유의 함유율이 현저히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건조방법으로 바람직하게 1차 건조시에는 고속원심건조법으로 그리고 2차 건조시에는 원적외선건조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1차 건조시 고속원심건조법을 이용하면, 고속으로 회전하는 프로펠러의 원심력으로 인해 샘플이 지속적으로 가열된 기기표면에 접촉하여 빠르게 수분을 증발시켜 단시간에 효과적인 건조가 가능하다. 고속원심건조법에 의하는 경우, 감귤박의 중량은 30kg을 초과하여 건조시키는 것이 덩어리지지 않고 건조시키기에 바람직하며, 감귤박 표면이 타지않도록 100분 미만 동안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차 건조시 원적외선건조법을 이용하면, 1차 건조된 감귤박의 표면이 굳어 건조율이 감소하는 것을 해결하고 내부로의 열전달이 용이하므로, 건조물의 빠르고 균일한 건조가 가능하고, 건조물의 색상을 유지하면서 건조물의 주요한 유용 성분의 파괴 없이 건조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살균 효과가 있어 건조제품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차 건조는 감귤박의 중량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4시간 내지 6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4시간 미만으로 건조시키면 충분한 건조가 이뤄지지않고 6시간 초과하여 건조시키면 비경제적이다.
상기 "어류부산물"은 어류를 가공 또는 조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부산물, 예를 들어 머리, 꼬리, 지느러미, 내장 등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어류부산물"은 추가 가공 공정, 예를 들어, 건조 또는 분쇄 공정을 거치지 않고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류부산물"의 유래가 되는 어류는 가금류에 유해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이상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광어, 멸치, 연어, 고등어 및 갈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갈치부산물 및 고등어부산물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으며, 신속한 발효를 위해 갈치부산물 : 고등어부산물이 3: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물에서 상기 "감귤박"과 "어류부산물"은 1:1 내지 1:3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으며, 상기 감귤박의 중량이 어류부산물에 대해 1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상대적으로 일반성분(예를 들어, 조단백, 조지방, 조회분, 탄수화물)의 함량이 적고 건조시간이 오래 소요되며, 상기 감귤박의 중량이 어류부산물에 대해 1/3 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대적으로 어류부산물의 함량이 너무 높아져서 사료의 향미를 떨어뜨릴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물은 감귤박과 어류부산물의 혼합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한다. 상기 "발효"를 위해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미생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바실러스(Basillus) 속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바실러스 속 미생물에는 예를 들어, 바실러스 스테아로서모필루스(Bacillus stearothermophilus), 바실러스 아시도칼다리우스(Bacillus acidocaldarius),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바실러스 아밀로솔벤스(Bacillus amylosolvens), 바실러스 브레비스(Bacillus brevis), 바실러스 칼돌라이티쿠스(Bacillus caldolyticus),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바실러스 서큘란스(Bacillus circulans), 바실러스 코아귤란스(Bacillus coagulans), 바실러스 피르무스(Bacillus firmus), 바실러스 렌투스(Bacillus lentus),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바실러스 모리타에(Bacillus moritae), 바실러스 폴리믹사(Bacillus polymyxa), 바실러스 포필리아에(Bacillus popiliae), 바실러스 푸밀리스(Bacillus pumilis)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발효조건은 미생물의 종류, 감귤박과 어류부산물의 혼합물의 양, 또는 급여 가금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70 ~ 100℃에서 발효시킬 수 있다. 70℃ 미만에서 발효시키면 발효되는데에 소요되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고, 100℃ 초과에서 발효시키면 감귤박과 어류부산물의 주요성분이 변성될 위험이 있다.
다른 양태로,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물과 통상의 사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물은 사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5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중량%,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며, 상기 혼합물의 양이 1중량% 미만일 경우 체중 증가 효과 및 복부지방 축적 감소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상기 혼합물의 양이 50중량%를 초과할 경우 비용대비 효과 면에서 만족스럽지 못하다.
상기 "통상의 사료 조성물"에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무기질, 비타민, 광물질 및 물과 같은 사료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각 성분의 종류에 있어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바가 없으며,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모두 사용 가능하다.
또 다른 양태로, 본 발명에서는 감귤박 및 어류부산물을 혼합하는 단계 및 혼합물을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의 복부지방 축적 억제용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1) 수분함량이 20%-50%가 되도록 고속원심건조법에 의해 감귤박을 1차 건조하는 단계;
(S2) 상기 1차 건조된 감귤박의 수분함량이 15% 이하가 되도록 원적외선 건조에 의해 2차 건조하는 단계;
(S3) 건조된 감귤박과 어류부산물을 혼합하는 단계; 및
(S4) 혼합물에 바실러스(Basillus) 속 미생물을 처리하고 70 ~ 100℃에서 발효시키는 단계.
아울러, 추가로 (S5) 발효물에서 어뼈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사료 첨가물 1 내지 50중량%과 통상의 사료 조성물 50 내지 99중량%를 배합하고 제제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가금류 사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조성물은 가금류의 사육 목적에 따라 적정 체중이 되는 통상적인 기간 동안 급여시킬 수 있으며, 육계의 경우 10 내지 30일 동안 급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료 조성물을 가금류에 급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의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가금류에 급여시킬 경우 기존의 사료와 비교하여 체중 증체량은 증가하면서도 사료 요구량은 감소되었으며, 특히 복부지방 체적율은 감소되어 실질적인 생산량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가금류에 급여시킬 경우 가금류의 복부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가금류에 급여시킬 경우 기존의 사료와 비교하여 사료효율이 크게 향상되어 사료 요구량이 감소되는 효과를 수득할 수 있으며, 체중이 증가하면서도 복부지방 체적율은 감소되는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료 조성물을 가금류에 급여시킬 경우 사료 대비 효율적인 체중 증가에 따른 농가의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중 증가에도 불구하고 복부지방 체적율은 감소되어 육계를 위한 사료로서 실질적인 생산성 향상 면에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a는 고속원심건조기를 도시한 것이며, 도 1b은 고속원심건조기를 이용한 건조 장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고속원심건조기의 원리 및 이상적인 건조 조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3b는 감귤박 원사료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원적외선 건조기를 도시한 것이며, 도 4b는 원적외선 건조기를 이용한 건조 장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원적외선 건조시간에 따른 수분 함유량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고속발효건조기 BF-30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는 발효 유/무 판단 및 발효정도 측정을 위해 VBN 변화를 측정한 것이며, 도 7b는 TMA 변화를 측정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조예 및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및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제조예 및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제조예 1> 감귤박의 제조
종래에는 감귤박의 상태(수분함유량이나 발생기간, 저장기간 등)을 고려하지 않고 통상적으로 우수한 방법이라고 공지된 방법을 적용하였는바, 감귤박이 제대로 건조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감귤박의 빠르고 완벽한 건조를 위해 본 발명자들은 하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감귤박은 제주도 서귀포시 남원읍 한남리 소재의 감귤가공공장에서 수거 후, 2±1℃의 저온창고에 보관하였다. 수거된 감귤박은 감귤가공과정에서 발생한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저온보관시 상층(고체상)과 중간층(액상), 하층(고체상)으로 분리되어 건조에 어려움이 있었다(도 2).
이에, 고속원심건조기((주)오카도라코리아)를 이용하여 건조 조건을 확립하였다(도 1 참고). 1차 건조에 사용된 고속원심건조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프로펠러의 원심력으로 인해 샘플이 지속적으로 가열된 기기표면에 접촉하여 빠르게 수분을 증발시켜 단시간에 효과적인 건조를 할 수 있는 건조 기술이다(도 2 참고).
건조량 및 건조시간을 달리하여 건조를 수행하였고. 최적 건조의 지표를 수분함량 30% 내외로 정하였다. 건조량 및 건조시간 별 수분함량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건조시간 ( min )
건조량 ( kg )
70 80 90 100 110 120




(%)
20 26±1 24±1 24±1 23±1 22±1 22±1
30 41±1 33±2 30±1 27±1 24±2 23±1
40 - - 56±2 45±1 33±1 27±1
50 - - 61±1 51±2 47±2 36±1
(건조시간 경과 후 액상일 경우“-”로 명시함)
건조시간 경과 후에도 상태가 액상인 샘플은 “-”으로 명시하였으며, 최종 건조물의 수분 함량과 건조 상태를 비교하여 최적 건조 조건을 정하였다. 건조 샘플량 20kg 또는 30kg은 건조시 건조 감귤박의 형태가 균일하지 못하고 다량의 덩어리를 이루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100분 이상 건조시 건조 감귤박의 표면이 타버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속원심건조기를 이용하여 1차 건조된 감귤박은 사료첨가제로써의 활용성 및 저장성을 고려하여 수분함량이 15% 이하가 되도록 2차 건조과정을 수행하였다. 2차 건조과정으로는 1차 건조된 감귤박의 표면이 굳어 수분이 잘 마르지 않는 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로의 열전달이 용이한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방법을 수행하였다. 2차 건조에 사용된 원적외선 건조에 의하면, 건조물의 빠르고 균일한 건조가 가능하고, 건조물의 색상을 유지하면서 건조물의 주요한 유용 성분의 파괴 없이 건조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살균 효과가 있어 건조제품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도 3 참조).
대용량 원적외선 건조기를 이용하여 1차 건조과정을 거친 건조물을 건조시키면서 시간대별로 측정하여 수분함유량이 15% 이하로 떨어지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한 결과, 건조시간 5시간 이후로는 수분함유량이 15% 이하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참조). 아울러, 감귤박의 건조량에 따른 건조시간 차이는 거의 확인할 수 없었다.
1차, 2차 건조 과정을 통해 수분함유량이 15% 이하가 되도록 건조 후, 건조 감귤박의 일반성분 분석을 한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 수율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탄수화물 조섬유
감귤박 86.8 1.5 0.0 0.6 11.1 2.8
고속원심건조
감귤박
32.4 7.0 0.5 2.6 57.5 14.7
고속원심건조 +
원적외선
감귤박
14.8 8.7 9.0 3.5 64.0 19.6
고속원심건조법에 의한 1차 건조 및 원적외선에 의한 2차 건조를 모두 거친 건조 감귤박에서 모든 일반성분, 즉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탄수화물, 및 조섬유의 함유율이 현저히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최적 조건을 확립한 건조 감귤박을 양계용 사료 첨가제로 사용하기 위하여 수산가공부산물을 혼합한 뒤, 발효 공정을 수행하였다.
< 제조예 2> 감귤박 및 어류부산물 혼합물의 발효
실험에 사용된 수산가공부산물은 서귀포시 남원읍에 위치한 ㈜청룡수산에서 수산가공 중 발생된 수산가공부산물(갈치 머리 및 꼬리, 고등어 내장 등)을 구입하였으며, 수산 가공 과정 중 발생 즉시 수거되었으며, 수거 직후 급냉되어 보관되었다.
수산가공부산물과 감귤박을 혼합 발효하기 위해 사용된 고속발효 건조장치는 기존에 식품가공부산물로부터 유기질 비료생산에 사용되고 있던 장치로서, 일본 나가사끼현의 미쯔비시전기에서 개발된 Biofeeder 제품의 BF-30 모델을 사용하였다(도 5 참조).
한편, 고속발효건조기를 이용한 발효에 사용된 발효 균주는 일본 Seiwa 사에서 구입한 바실러스(Bacillus ) 속에 속하는 복수종 호기성 고온균으로, 주로 식품 발효에 사용되는 균으로, 내열성이 매우 강해 고속발효건조기 내부 온도인 80~90℃에서도 유기물 샘플을 분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
건조된 감귤박과 수산가공부산물의 최적 발효 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최적 발효 조건인 수분함량 30% 이하를 유지하는 조건에서 감귤박과 수산가공부산물의 첨가 비율을 조정하였다. 고속발효건조기에 감귤박과 수산가공부산물을 첨가한 후, 일본 Seiwa 사에서 구입한 발효균을 전체 기질량에 대하여 10,000:1의 비율로 첨가하고, 발효기의 외부 스팀온도를 250-300℃로 조절하여 10-30분간 대기한 후, 발효기의 내부온도가 90±5℃가 될 때 발효공정을 시작하였다.
발효된 샘플에는 다량의 어뼈가 함유되어 분쇄 및 사용의 용이성을 위해 0.5 cm X 0.5 cm 규격 사이즈의 체를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갈치 부산물과 고등어 부산물을 각각 1:1, 2:1, 1:2, 3:1, 1:3으로 첨가 비율을 조정하여 감귤박과 1:1로 섞어 발효를 수행한 결과, 아래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갈치부산물: 고등어부산물의 함량이 3:1일 때, 빠른 발효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고등어부산물의 함유량이 높아질수록 건조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후 실험에서는 갈치부산물의 함유량을 3, 고등어부산물을 1의 비율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첨가 비율 발효 종료 시간 (hr)
1(갈치부산물) : 1(고등어부산물) 7
2(갈치부산물) : 1(고등어부산물) 5 - 6
1(갈치부산물) : 2(고등어부산물) 10 - 11
3(갈치부산물) : 1(고등어부산물) 4
1(갈치부산물) : 3(고등어부산물) 12 이상
수산가공부산물의 비율을 확립 후, 수산가공부산물과 감귤박의 비율을 확립하기 위해서 수산가공부산물과 감귤박의 비율을 1:1, 2:1, 3:1 으로 비율을 조정하여 발효하였다. 표 4에 수산가공부산물과 감귤박의 비율 별 일반성분 및 발효시간을 정리하였다. 그 결과, 수산가공부산물과 감귤박의 비율에 따라 건조시간에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수산가공부산물의 상대적 비율이 높아질수록 조단백 및 조지방의 함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수분 (%) 조단백
(%)
조지방
(%)
조회분
(%)
탄수화물
(%)
생산량
( kg )
건조시간
( hr )



수 1 : 감 1 16.0 16.3 4.5 7.3 55.9 24±1 4
수 2 : 감 1 16.1 20.8 6.2 7.7 49.2 18±1 4-5
수 3 : 감 1 15.1 26.6 10.1 10.1 38.1 22±1 5-6
(수-수산가공부산물, 감-감귤박)
생산된 발효 샘플의 발효 진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휘발성 염기질소(Volatile Basic Nitrogen, VBN) 및 트리메틸아민(Trimethylamine, TMA)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VBN은 TMA를 비롯한 각종 염기성 아민류, 암모니아 등 휘발성이 있는 염기성 저급 질소 화합물이며, VBN은 신선한 어육에서는 극히 적게 측정되지만 선도의 저하와 동시에 증가하기 때문에 어육의 선도 및 젓갈의 발효정도를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발효 균주를 넣은 샘플의 경우,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균주를 넣지 않고 BF-30으로 건조시킨 샘플에 비하여 VBN의 수치가 크게 증가하였다(도 7a 참조). 어육 선도 판정의 유효한 지표이자 젓갈의 숙성 중 악취성분인 TMA는 신선한 육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 물질이다. 발효 균주를 넣은 샘플과 넣지 않은 샘플의 시간대별 TMA의 변화는 도 7b와 같았다.
도 7a 및 b를 통해서 발효 균주를 첨가함으로써 건조된 수산가공부산물과 감귤박 혼합 샘플의 발효가 이루어졌으며, 발효시간에 따라 발효도가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이와 같은 일련의 건조 및 발효 공정을 통하여 발효된 감귤박 및 어류부산물 혼합 소재를 수득할 수 있었다.
<실시예 1> 감귤박과 어류부산물의 발효 혼합물 함유 사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수득한 감귤박과 제조예 2에서 수득한 어류부산물을 7:3의 중량비로 혼합 후 발효시키고, 이를 사료 조성물 중량 대비 5 중량%의 양으로 일반 사료(미국NRC(National Research Council) 사양 표준의 육계 영양소 요구량에 따라 isonitrogenous, isocaloric이 되도록 조합된 사료에 첨가하여 감귤박과 발효된 어류부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어류부산물의 발효 혼합물을 사료 조성물 중량 대비 10 중량%의 양으로 첨가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발효 과정을 거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발효 과정을 거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시험예 1> 사료효율 측정
1일령 육계 수평아리(Ross 308)를 입수하여 2일간 거친 3일령 육계 75마리를 5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15마리씩 배치한 후 일반 사료를 섭취시켜 12일령까지 사육하였으며, 각 그룹별로 특이 증상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13일령의 각 그룹에게 상기 1 및 2, 및 1 및 2에서 제조된 각 사료 조성물을 급여시켰다. 환기 및 온도는 모두 동일한 조건으로 하면서 사료와 음수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점등시간은 1일 23시간이 되도록 하였다. 대조군 일반 사료를 동일 조건으로 계속 급여시켰다.
조사항목 및 분석 방법은 처리구간의 사양 성적을 산출하기 위하여 각 처리구간의 체중 증체량(weight gain, G)과 사료 섭취량(feed intake, F)을 실험개시일(13일령) 및 종료일(21일령)에 측정하여 기록하고, 이에 따라 사료 요구율(feed conversion rate, g/g)을 산술하여 평가하였다. 실험과정은 5회 반복하여 평균값으로 기록하였다.
분석된 통계자료의 처리는 SAS(2000)의 GLM procedur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Duncan’s multiple range test 에 의하여 95% 수준에서 처리 평균치 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p<0.05).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사료 섭취량(F)
(g/ bird )
체중 증체량 (G)
(g/ bird )
사료 요구율
( Feed Conversion Rate )
(F/G)
대조군 2725.9± 181.0 b 1309.5± 95.3 c 2.08± 0.11 a
비교예 1 2868.1± 139.3 ab 1406.7± 160.1 bc 2.05± 0.13 ab
비교예 2 2730.9± 152.1 b 1396.4± 103.8 bc 1.96± 0.07 abc
실시예 1 2812.2± 140.3 ab 1423.1± 40.2 bc 1.98±.0.08 abc
실시예 2 3008.0± 116.7 a 1570.0± 57.1 a 1.92± 0.08 bc
# 상기 a, ab, b, bc, c 는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실험 결과가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지 혹은 없는지를 나타내 주는 표기로서, 예를 들어 a와 b는 명백한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표 5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감귤박과 어류부산물의 발효 혼합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1 및 2의 사료 조성물을 급여시킨 육계의 경우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사료 조성물을 급여시킨 육계에 비하여 사료 섭취량은 동등 정도의 수준이면서도 체중 증체량이 월등하게 향상되어 사료 요구량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일반 사료를 섭취시킨 대조군에 비해서는 사료 요구량이 현격하게 낮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감귤박과 발효된 수산 부산물 혼합물의 첨가량이 전체 사료 조성물 중량 대비 10중량%인 경우가 사료 효율에 있어 가장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효과는 육계 사양 말기까지 지속되었다.
< 시험예 2> 주요 장기 무게 및 복부지방 변화 측정
각 실험군의 내장 기관에 대한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상기 시험예 1의 시험을 거친 각 실험군의 각 처리군 별로 3수씩 해부하여 주요 장기인 간(Liver), 심장(Heart), 췌장(Pancreas), 모낭(Follicle) 및 비장(Spleen)의 무게 변화(중량, g) 및 복부 지방(Abdominal Fat)의 변화(중량, g)를 측정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복부지방 심장 췌장 모낭 비장
%/body weight
대조군 2.37± 0.29a 1.36± 0.50b 0.59± 0.10 0.27± 0.03a 0.24± 0.05 0.12± 0.05
비교예 1 2.10± 0.21b 1.50± 0.30ab 0.57± 0.08 0.23± 0.04b 0.24± 0.06 0.10± 0.02
비교예 2 2.41± 0.23a 1.73± 0.41a 0.53± 0.08 0.22± 0.03bc 0.24± 0.04 0.10± 0.03
실시예 1 2.24± 0.25ab 1.38± 0.30b 0.54± 0.07 0.20± 0.03c 0.24± 0.06 0.10± 0.02
실시예 2 2.37± 0.37a 1.42± 0.50ab 0.53± 0.09 0.21± 0.03bc 0.20± 0.05 0.11± 0.03
# 상기 a, ab, b, bc, c 는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실험 결과가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지 혹은 없는지를 나타내 주는 표기로서, 예를 들어 a와 b는 명백한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표 6에서 보듯이, 실시예 1 및 2의 사료 조성물을 급여시킨 육계와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사료 조성물을 급여시킨 육계를 비교해 보건대, 소화와 관련된 장기, 특히 췌장의 무게가 대조군은 물론이고 비교예 1 및 2에 비해 더 적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감귤박과 어류부산물의 발효 혼합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1 및 2의 사료 조성물이 육계의 소화를 저해시키지 않고 정상적으로 소화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및 2의 복부지방 중량은 비교예 1 및 2에 비해 더 적고 대조군과 비슷한 정도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5와 표 6의 결과를 종합해 보건대, 일반적으로 육계의 체중이 증가하게 되면 복부지방이 함께 증가하게 되는 것이 당업계 통상적인 기술 상식인데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육계를 급여시킬 경우 비교예 1 및 2에 비해서는 더 적고 대조군과는 비슷한 정도로 복부지방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대조군과 비교해 보면, 실시예 1 및 2는 대조군보다 사료요구율은 더 낮으면서 복부지방 증가율은 비슷한 정도를 나타내는바, 본 발명에 따른 감귤박과 어류부산물의 발효 혼합물 함유 사료 조성물이 복부지방 축적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감귤박과 발효된 어류부산물의 혼합물 함유 사료 조성물을 이용하면, 낮은 사료요구율로 낮은 복부지방 체적율을 가지는 육계를 수득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실제 식용되는 유효부분이 증가된 육계를 수득할 수 있어 실질적인 생산량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Claims (11)

  1. 감귤박과 어류부산물의 발효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류의 복부지방 축적 억제용 사료 첨가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귤박과 어류부산물이 1:1 내지 1:3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의 복부지방 축적 억제용 사료 첨가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금류는 육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의 복부지방 축적 억제용 사료 첨가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류부산물은 광어, 멸치, 연어, 고등어 및 갈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어류부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의 복부지방 축적 억제용 사료 첨가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류부산물은 갈치부산물 및 고등어부산물이 3:1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의 복부지방 축적 억제용 사료 첨가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사료 첨가물 1 내지 50중량%과 통상의 사료 조성물 50 내지 99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의 복부지방 축적 억제용 사료 조성물.
  7. 감귤박 및 어류부산물을 혼합하는 단계 및 혼합물을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의 복부지방 축적 억제용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의 복부지방 축적 억제용 사료 첨가제 제조방법:
    (S1) 수분함량이 20%-50%가 되도록 고속원심건조법에 의해 감귤박을 1차 건조하는 단계;
    (S2) 상기 1차 건조된 감귤박의 수분함량이 15% 이하가 되도록 원적외선 건조에 의해 2차 건조하는 단계;
    (S3) 건조된 감귤박과 어류부산물을 혼합하는 단계; 및
    (S4) 혼합물에 바실러스(Basillus) 속 미생물을 처리하고 70 ~ 100℃에서 발효시키는 단계.
  9. 제7항 또는 제8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사료 첨가물 1 내지 50중량%과 통상의 사료 조성물 50 내지 99중량%를 배합하고 제제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가금류의 복부지방 축적 억제용 사료 조성물 제조방법.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사료 첨가물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가금류에 급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의 사육방법.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사료 첨가물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가금류에 급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금류의 복부지방 축적 억제방법.
KR20120142289A 2012-12-07 2012-12-07 감귤박과 어류부산물의 발효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류의 복부지방 축적 억제용 사료 첨가제 KR101493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42289A KR101493466B1 (ko) 2012-12-07 2012-12-07 감귤박과 어류부산물의 발효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류의 복부지방 축적 억제용 사료 첨가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42289A KR101493466B1 (ko) 2012-12-07 2012-12-07 감귤박과 어류부산물의 발효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류의 복부지방 축적 억제용 사료 첨가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082A true KR20140074082A (ko) 2014-06-17
KR101493466B1 KR101493466B1 (ko) 2015-02-16

Family

ID=51127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42289A KR101493466B1 (ko) 2012-12-07 2012-12-07 감귤박과 어류부산물의 발효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류의 복부지방 축적 억제용 사료 첨가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346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78617A (zh) * 2016-12-05 2017-04-26 砀山县鑫汇养殖有限公司 黄河故道地区养鸡专用提高散养肉鸡快速增重的鸡饲料
CN106721071A (zh) * 2016-12-05 2017-05-31 砀山县鑫汇养殖有限公司 黄河故道地区养鸡专用提高散养肉鸡肉质的果渣鸡饲料
KR102191206B1 (ko) * 2020-08-20 2020-12-15 주은바이오주식회사농업회사법인 감귤박의 수분함량을 조절하는 신규 발효공정 및 이를 통하여 제조된 사료 조성물
KR102308922B1 (ko) * 2021-07-08 2021-10-07 주식회사 보삼바이오산업 산화질소수 및 수소수 혼합함유수를 이용한 육계의 면역 및 장기능 개선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562A (ko) 2018-07-04 2020-01-14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감귤껍질을 포함하는 전복용 배합사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593B1 (ko) * 1989-06-08 1991-07-08 민병욱 혈분, 어분 및 짬밥을 주원료로한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KR100688441B1 (ko) 2004-09-22 2007-03-0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감귤박을 이용한 사료첨가제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78617A (zh) * 2016-12-05 2017-04-26 砀山县鑫汇养殖有限公司 黄河故道地区养鸡专用提高散养肉鸡快速增重的鸡饲料
CN106721071A (zh) * 2016-12-05 2017-05-31 砀山县鑫汇养殖有限公司 黄河故道地区养鸡专用提高散养肉鸡肉质的果渣鸡饲料
KR102191206B1 (ko) * 2020-08-20 2020-12-15 주은바이오주식회사농업회사법인 감귤박의 수분함량을 조절하는 신규 발효공정 및 이를 통하여 제조된 사료 조성물
KR102308922B1 (ko) * 2021-07-08 2021-10-07 주식회사 보삼바이오산업 산화질소수 및 수소수 혼합함유수를 이용한 육계의 면역 및 장기능 개선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3466B1 (ko) 201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021B1 (ko) 동애등에 유충을 적용한 가축 전용 사료
KR101493466B1 (ko) 감귤박과 어류부산물의 발효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금류의 복부지방 축적 억제용 사료 첨가제
KR100934252B1 (ko) 산삼배양근을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사료
Patterson et al. The impact of dietary Black Soldier Fly larvae oil and meal on laying hen performance and egg quality
Odunsi Blend of bovine blood and rumen digesta as a replacement for fishmeal and groundnut cake in layer diets
Khawaja et al. Effect of different levels of blood meal on broiler performance during two phases of growth
KR102106623B1 (ko) 노령동물용 발효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053684A (zh) 一种猪肉风味营养型宠物犬粮的制备方法
MOUSA et al. Using dried leftover foods as untraditional feed in Muscovy duck diets
Norberg et al. Utilization of energy and amino acids of spray-dried egg, plasma protein, and soybean meal by ducks
KR101643501B1 (ko) 에르고티오네인이 함유된 채란용 닭의 사료 및 채란용 닭의 사육 방법
KR101174318B1 (ko) 황토 및 맥반석을 이용한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N1054175A (zh) 高级全价蛋白饲料添加剂及其生产方法
KR101187564B1 (ko) 팽이버섯 폐기물을 육계용 사료 첨가제로 재활용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육질을 개선시킨 육계 급여용 사료첨가제
Simonova et al. Amino acid composition of meat and bone meal from various manufacturers of pet food and animal feed
CN110447759A (zh) 一种畜禽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畜禽肉制品
CN109497339A (zh) 一种鹅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613440B1 (ko) 마늘 껍질을 포함하는 생균제의 제조방법
Srilatha et al. Effect of microbial proteases on the performance and carcass traits in commercial broilers fed maize-soy bean meal-meat cum bone meal based diets
Ndyomugyenyi et al. The nutritional value of soaked-boiled-fermented jackfruit (Artocarpus heterophyllus) seed meal for poultry
KR102560174B1 (ko) 동애등에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Malik et al. Growth respons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egg laying performance of Japanese quails (Coturnix coturnix japonica) fed diets containing varying levels of fermented cassava (Manihot esculenta) peel meal
Suparman et al. The effect of fish meal protein substitution with Black Soldier Fly (BSF) larva meal protein in quail feed on the chemical quality of eggs
RU2470521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белково-витаминной кормовой муки из гибрида красного калифорнийского дождевого червя и вермикомпостированных яблочных выжимок
Pérez-Corría et al. Chemical composition of earthworm (Eisenia foetida) co-dried with vegetable meals as an animal fe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