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3098A -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3098A
KR20140073098A KR1020120140820A KR20120140820A KR20140073098A KR 20140073098 A KR20140073098 A KR 20140073098A KR 1020120140820 A KR1020120140820 A KR 1020120140820A KR 20120140820 A KR20120140820 A KR 20120140820A KR 20140073098 A KR20140073098 A KR 20140073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portion
edge
frame
base portion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우
민강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0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3098A/ko
Publication of KR20140073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0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배터리 커버(Battery Cover) 및 상기 배터리 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위치하는 프레임(Frame)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베이스부(Base Part) 및 금속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부에 접합되는 가장자리부(Edge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요즘 이동통신 단말기는 보다 빠른 데이터 처리 속도, 더욱 선명한 화질, 더욱 다양한 기능 등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더 구비함에 따라, 그 구조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Frame)의 강성이 향상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배터리 커버(Battery Cover) 및 상기 배터리 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위치하는 프레임(Frame)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베이스부(Base Part) 및 금속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부에 접합되는 가장자리부(Edge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테두리에 배치되며, 상기 가장자리부에 연결되는 몰드(Mol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의 강성은 상기 가장자리부의 강성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의 크롬(Cr) 함량은 상기 가장자리부의 크롬 함량보다 더 높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제 1 장변(First Long Side), 상기 제 1 장변에 대항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상기 제 1 장변 및 상기 제 2 장변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및 상기 제 1 단변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를 포함하고, 상기 가장자리부는 상기 제 1 장변에 본딩되는 제 1 가장자리부 및 상기 제 2 장변에 본딩되는 제 2 가장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장자리부는 상기 제 1 단변에 본딩되는 제 3 가장자리부 및 상기 제 2 단변에 본딩되는 제 4 가장자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 3 가장자리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제 1 코너에서 이격되고, 상기 제 1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 4 가장자리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제 2 코너에서 이격되고, 상기 제 2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 3 가장자리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제 3 코너에서 이격되고, 상기 제 2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 4 가장자리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제 4 코너에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는 헤밍(Hemming)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가장자리부는 선용접법으로 용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강성이 큰 재질을 포함하는 베이스부(Base Part)에 성형성이 우수한 재질을 포함하는 가장자리부(Edge Part)를 접합하여 프레임을 제작함으로써 프레임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5 내지 도 16은 프레임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바(Bar)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형태가 바 타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전면커버(Front Cover, 210), 배터리커버(Battery Cover, 220) 및 디스플레이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전면커버(210)와 배터리커버(220)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151)와 배터리커버(220)의 사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양한 회로기판(Circuit Board) 및 전자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혹은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이라고 칭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부(151)는 2D 영상 및/또는 3D 영상을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표시패널(LCD), 유기발광표시패널(OLED) 등 다양한 타입이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전면커버(21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테두리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전면커버(21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측면을 덮는(Cover)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전면커버(21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방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151)를 보호하기 위한 필름 재질 혹은 유리 재질의 윈도우기판(Window Substrate)이 더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배터리커버(22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장착되는 배터리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배터리를 구속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 및 도 2의 경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음향출력부(152), 전면카메라(280a), 사용자 입력부(281, 284), 마이크(122), 후방카메라(280b), 및 인터페이스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음향출력부(152)는 수화음 등을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일 수 있다. 음향출력부(152)는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음향출력부(152)는 수화음을 출력하기 위한 제 1 음향출력부, 벨소리, 메시지 수신음 등 다양한 어플레케이션(Application)에 따른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 2 음향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방카메라(280a)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 등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는 전방카메라(280a)로 촬영한 자신의 영상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와 화상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81, 284)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281, 284)는 다양한 조작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부(281, 284)는 터치 입력부(281) 및 사이드버튼(284)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터치 입력부(281)는 사용자의 근접 터치 및/또는 접촉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버튼(284)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81)는 정전식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터치 입력부(281)에 대응되는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소정의 명령이 실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사용자의 명령 입력, 즉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터치 입력부(281)에서 광이 발생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터치한 영역을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81, 284)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281)의 사이드 버튼(284)은 물리적인 버튼(physical button)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 입력부(281, 284)에는 사용빈도가 높거나 주요한 기능이 할당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시작 및/또는 종료, 음향 조절 등의 기능이 사용자 입력부(281, 284)에 할당될 수 있다.
사이드 버튼(284)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음량 등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사이드버튼(284)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등을 획득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후면을 보면, 도 2의 경우와 같이, 배터리커버(220)가 노출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후방카메라(280b)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후방카메라(280b)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 등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후방카메라(280b)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영상을 확인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후방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후방카메라(280b) 및 전방카메라(280a)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후방카메라(280b) 및 전방카메라(280a)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에는 플래시(Flash) 및/또는 미러(Mirror)가 더 배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플래시는 촬영 시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어 피사체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하게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로부터 데이터, 전력 등을 공급받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안테나(Antenna)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안테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방 혹은 후방에 터치 동작을 위한 터치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전면커버(210), 배터리커버(220), 배터리커버(220)와 전면커버(210)의 사이에 위치하는 하우징(Housing, 24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윈도우 기판(500), 윈도우 기판(500)과 하우징(240)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기판(500)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부(151)를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윈도우 기판(500)은 실질적으로 투명하며, 유리 재질 혹은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윈도우 기판(500)에는 터치 센싱을 위한 전극 및 근접 센싱을 위한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40)은 다양한 전자부품,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40)은 배터리커버(220)에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커버(220)와 하우징(240)의 연결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커버(220)는 하우징(240)에 팝업 타입(pop-up type), 슬라이드 타입(slide type), 풀 타입(pull type) 등으로 연결되거나 탈착될 수 있다.
하우징(240)에는 후방카메라(280b)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후방카메라(280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배터리커버(220)에 후방카메라(280b)에 대응되는 제 1 홀(Hole, 221)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240)에는 배터리(27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240)은 배터리(270)가 장착되는 부분, 즉 배터리 결합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40)은 배터리 단자(37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단자(371)는 배터리(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터리(270)의 에너지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공급될 수 있다.
배터리 단자(371)는 배터리 결합부(370)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270)가 배터리 결합부(370)에 배치되면 배터리(270)가 안전하게 구속될 수 있으며, 배터리(270)가 배터리 단자(371)에 안정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하우징(240)에서 배터리커버(220)를 분리시킨 후에 배터리(270)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240)에는 메모리 결합부(38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 결합부(380)에 메모리 카드, USIM 카드 등의 메모리(390)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하우징(140)에 대해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하우징(240)은 프레임(Frame, 310)과 후면커버(Rear Cover, 3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310)에는 다양한 전자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31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 기판(400)이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프레임(310)과 후면커버(320)의 사이에 회로 기판(400)이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회로 기판(400)에는 다양한 회로부품(401)이 배치될 수 있다.
회로 기판(4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회로 기판(400)은 제어부(Controller)라고 칭할 수 있다.
또는, 회로 기판(40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메모리(Memory)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프레임(310)에는 배터리 단자(371)가 배치된 단자 몸체(372), 메모리 결합부(380), 후방카메라(280b)가 배치될 수 있다.
후방카메라(280b) 및/또는 메모리 결합부(380)는 후면커버(320)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단자 몸체(372)는 프레임(310)에서 배터리(270)에 대응되는 영역(370a)에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310)에는 후면커버(320)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340)가 배치될 수 있다. 후면커버(320)에는 프레임(310)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341)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342)이 체결홀(341)을 관통하여 체결부(340)에 연결됨으로써, 프레임(310)과 후면커버(320)가 체결될 수 있다.
후면커버(320)는 프레임(310)과 연결되어 프레임(310)에 배치되는 다양한 전자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
후면커버(320)에는 배터리 결합부(370)를 위한 배터리홀(370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홀(370b)은 프레임(310)의 배터리(270)에 대응되는 영역(370a)에 대응될 수 있다.
아울러, 배터리홀(370b)에는 단자 몸체(372)를 위한 단자홀(370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면커버(320)는 메모리 결합부(380)에 대응되는 메모리홀(361) 및 후방카메라(280b)에 대응되는 카메라홀(221)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레임(310)에 배치되는 후방카메라(280b)는 카메라홀(221) 및 배터리커버(220)에 형성된 제 1 홀(22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310)에 배치되는 메모리 결합부(380)는 메모리홀(361)을 통해 후면커버(320) 밖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어폰(Earphone), 헤드셋(Headset) 등의 외부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 내지 도 16은 프레임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살펴보면, 프레임(310)은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베이스부(Base Part, 500) 및 금속재질을 포함하고 베이스부(50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부(Edge Part, 510, 52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500)의 강성은 가장자리부(510, 520)의 강성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500)의 강성이 가장자리부(510, 520)의 강성보다 더 크다는 것의 의미는 베이스부(500)의 재질의 강성은 가장자리부(510, 520)의 재질의 강성보다 더 큰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베이스부(500)의 구조가 강성이 큰 형태를 갖거나 가장자리부(510, 520)의 구조가 강성이 약한 형태를 갖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부(500) 및 가장자리부(510, 520)의 구조적 형태와는 관계없이 베이스부(500)의 강성이 가장자리부(510, 520)의 강성보다 더 큰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프레임(510)에는 다양한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510)에는 전면카메라(미도시)가 장착되는 전면카메라 지지부(600)가 배치되고, 배터리(미도시)가 장착되는 배터리 지지부(610)가 배치도리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지지부(610)에 의해 구획된 공간(370a)에 배터리가 배치될 수 있다.
가장자리부(510, 520)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가장자리부(510, 520)는 베이스부(300)에 본딩(Bonding)될 수 있다. 즉, 가장자리부(510, 520)는 베이스부(300)에 접합될 수 있는 것이다.
제 2 방향(DR2)과 교차(수직)하는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으로의 프레임(310)의 단면을 살펴보면, 도 6의 경우와 같이, 제 1 방향(DR1)으로 베이스부(500)의 제 1 끝단에는 제 1 가장자리부(510)가 접합되고, 베이스부(500)의 제 1 끝단에 대항되는 제 2 끝단에는 제 2 가장자리부(520)가 접합될 수 있다. 즉, 베이스부(500)의 양쪽 끝단에는 각각 가장자리부(510, 520)가 접합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가장자리부(510, 520)의 적어도 일부는 헤밍(Hemming)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헤밍 처리는 부품의 모서리를 구부려 접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가장자리부(510, 520)의 모서리가 구부려져서 접힐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가장자리부(510, 520)는 수평부분(Horizontal Portion, HP), 수평부분(HP)으로부터 상부방향(DRUP)으로 연장되는 제 1 수직부분(First Vertical Portion, VP1), 제 1 수직부분(VP1)의 끝단에서 하부방향(DRDN)으로 연장되는 제 2 수직부분(Second Vertical Portion, VP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수직부분(VP2)의 길이(W2)는 제 1 수직부분(VP1)의 길이(W1)보다 클 수 있다. 이처럼, 제 2 수직부분(VP2)의 길이(W2)를 상대적으로 길게 하게 되면, 제 2 수직부분(VP2)에 다른 부품, 예컨대 도시하지 않은 후면커버, 전면커버 등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상부방향(DRUP)과 하부방향(DRDN)은 제 1 방향(DR1) 및 제 2 방향(DR2)에 교차(수직)하는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에 포함될 수 있다. 이처럼, 상부방향(DRUP)과 하부방향(DRDN)이 제 3 방향(DR3)에 포함되는 것은 도 6에서 직관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베이스부(500)와 가장자리부(510, 520)는 선용접법으로 접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의 경우와 같이, 베이스부(500)의 측면에 제 1 가장자리부(510)를 근접하게 위치시킨 이후에, 용접장치(700)를 이용하여 베이스부(500)와 제 1 가장자리부(510)의 경계면을 따라 선용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부(5000와 제 1 가장자리부(510)의 용접부위는 제 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용접방법으로는 레이저(Lazer) 용접, 블래이징(Blazing) 용접 법 등이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용접 후의 프레임(310)의 기계적 강성 및 제조단가 등을 고려하면 블래이징 용접 법을 이용하여 베이스부(500)에 가장자리부(510, 520)를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베이스부(500)에 가장자리부(510, 520)를 접합한 이후에는, 도 8의 (A)의 제 1 영역(AR1) 및 제 2 영역(AR2)에서와 같이, 베이스부(500)와 가장자리부(510, 520)의 접합 부위가 용융되면서 그 두께가 다른 부분에 비해 두꺼워질 수 있다.
베이스부(500)와 가장자리부(510, 520)의 접합 부위의 두께를 다른 부분과 거의 동일하게 하기 위해, 도 8의 (B)의 경우와 같이, Re-Striking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Re-Striking 공법은 프레스(Press, 800)를 이용하여 제품을 눌러주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Re-Striking 단계를 거친 이후에는 베이스부(500)와 가장자리부(510, 520)의 두께가 대략 동일해질 수 있다.
본 발명과는 다른 비교예에 대해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제 1 비교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도 9의 경우와 같이, 프레임(310)을 강성이 강한 재질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900)을 강성이 강한 SUS301 계열의 재질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재료의 모서리의 헤밍 처리가 어려울 수 있다. 그 이유는 SUS301 재질은 강성이 강한 반면에 성형성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기 때문에 재료의 모서리를 접는 헤밍 공법은 적용하기 어려울 수 있는 것이다. 만약, 프레임(900)을 SUS301 재질로 구현하는 경우에 프레임(900)의 모서리를 무리하게 헤밍 처리하는 경우에는 프레임(900)에 크랙(Crack)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프레임(900)을 강성이 강한 재질, 예컨대 SUS301 재질로 구현하는 경우에는, 도 9의 (A)의 경우와 같이 프레임(900)의 양쪽 끝단을 벤딩(Vending)하여 베이스부(910)와 벤딩부(920)를 형성할 수 있다.
혹은, 도 9의 (B)의 경우와 같이, 프레임(900)의 가장자리 일부를 상부방향(DRUP)으로 벤딩하여 제 1 벤딩부(921)를 형성하고, 프레임(900)의 가장자리 일부를 하부방향(DRDN)으로 벤딩하여 제 2 벤딩부(922)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비교예에서는, 도 10의 경우와 같이, 프레임(900)을 비틀거나 혹은 구부리는 경우에, 비록 프레임(900)이 강성이 충분히 강한 재질로 형성되더라도, 프레임(900)이 쉽게 변형될 수 있다.
즉, 제 1 비교예에서는 프레임(900)의 기계적 강성이 상대적으로 약한 것이다.
제 1 비교예와는 다른 제 2 비교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프레임(1000)을 강성은 상대적으로 약하지만 성형이 용이한 재질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1000)을 성형성이 우수한 SUS304 계열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11의 경우와 같이, 프레임(1000)의 모서리를 접는 헤밍 공법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반면에, 제 2 비교예에서는, 프레임(1000)의 양쪽 끝단을 비록 헤밍 처리할 수는 있으나, 프레임(1000)을 구성하는 SUS304 계열의 재질의 강성이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프레임(1000)의 기계적 강성이 상대적으로 약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부(500)의 가장자리에 가장자리부(510, 520)를 접합시키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베이스부(500)는 강성이 상대적으로 강한 재질을 포함하고, 가장자리부(510, 520)는 모서리를 헤밍 처리할 수 있을 정도로 성형성이 우수한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레임(310)의 기계적 강성이 앞선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비해 더 클 수 있는 것이다.
베이스부(500)의 강성을 가장자리부(510, 520)의 강성보다 더 크게 하기 위해, 도 12의 제 1 타입(Type 1)의 경우와 같이, 베이스부(500)는 강성이 우수한 티타늄(Ti) 재질을 포함하고, 가장자리부(510, 520)는 헤밍 공법을 적용할 수 있을 만큼 성형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스틸(SUS) 재질, 예컨대 SUS304 계열의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도 12의 제 2 타입(Type 2)의 경우와 같이, 베이스부(500) 및 가장자리부(510, 520)는 모두 스테인리스 스틸(SUS)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베이스부(500)의 크롬(Cr) 함량은 가장자리부(510, 520)의 크롬 함량보다 더 높은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500)는 SUS301 계열의 재질을 포함하고, 가장자리부(510, 520)는 SUS304 계열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가장자리부는 베이스부(500)의 상하좌우에 각각 접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3의 경우와 같이, 프레임(310)의 베이스부(500)는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 1 장변(LS1)에 대항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 1 단변(SS1)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가장자리부(510)는 베이스부(500)의 제 1 장변(LS1)에 접합되고, 제 2 가장자리부(520)는 베이스부(500)의 제 2 장변(LS2)에 접합되고, 제 3 가장자리부(530)는 베이스부(500)의 제 1 단변(SS1)에 접합되고, 제 4 가장자리부(540)는 베이스부(500)의 제 2 단변(SS2)에 접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2 가장자리부(510, 520)의 길이(L1)는 제 3, 4 가장자리부(530, 540)의 길이(L2)보다 더 길 수 있다.
이처럼, 베이스부(500)의 상하좌우에 가장자리부(510~540)가 접합되는 경우에는, 도 14의 경우와 같이, 제 1 가장자리부(510)와 제 3 가장자리부(530)는 베이스부(500)의 제 1 코너(First Corner, C1)에서 이격되고, 제 1 가장자리부(510)와 제 4 가장자리부(540)는 베이스부(500)의 제 2 코너(Second Corner, C2)에서 이격되고, 제 2 가장자리부(520)와 제 3 가장자리부(530)는 베이스부(500)의 제 3 코너(Third Corner, C3)에서 이격되고, 제 2 가장자리부(520)와 제 4 가장자리부(540)는 베이스부(500)의 제 4 코너(Fourth Corner, C4)에서 이격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500)의 코너부분에서 인접하는 두 개의 가장자리부는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5의 경우와 같이, 제 1 가장자리부(510)와 제 3 가장자리부(530)는 베이스부(500)의 제 1 코너(C1)에서 접촉하고, 제 1 가장자리부(510)와 제 4 가장자리부(540)는 베이스부(500)의 제 2 코너(C2)에서 접촉하고, 제 2 가장자리부(520)와 제 3 가장자리부(530)는 베이스부(500)의 제 3 코너(C3)에서 접촉하고, 제 2 가장자리부(520)와 제 4 가장자리부(540)는 베이스부(500)의 제 4 코너(C4)에서 접촉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베이스부(500)의 코너부분에서 인접하는 두 개의 가장자리부의 수평부분이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부(500)의 제 2 코너(C2)에서 제 1 가장자리부(510)의 수평부분(HP)과 제 4 가장자리부(540)의 수평부분(HP)은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베이스부(500)의 제 2 단변(SS2)에 제 4 가장자리부(540)를 접합한 이후에, 제 1 가장자리부(510)의 수평부분(HP)을 베이스부(500)의 제 1 장변(LS1) 및 제 4 가장자리부(540)의 수평부분(HP)에 용접하여 접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프레임(310)에 연결되는 몰드(Mol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6의 경우와 같이, 몰드(1100)는 프레임(310)의 테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는, 몰드(1100)가 프레임(310)과 별개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몰드(1100)는 프레임(310)에 포함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즉, 프레임(310)은 베이스부(500), 가장자리부(510~540) 및 몰드(1100)를 포함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자세하게는, 몰드(1100)는 프레임(310)의 가장자리부(510~540)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몰드(1100)는 성형이 용이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몰드(110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몰드(1100)는 프레임(310)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구조물을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몰드(1100)와 프레임(310)을 연결하기 위해 스크류(Screw) 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몰드(1100)에는 복수의 제 1 체결홀(HA1~HA8)을 형성하고, 가장자리부(510~540)에는 제 1 체결홀(HA1~HA8)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 2 체결홀(HB1~HB8)을 형성할 수 있다.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SCR)이 제 1 체결홀(HA1~HA8)과 제 2 체결홀(HB1~HB8)을 관통하여 몰드(1100)와 가장자리부(510~540)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는, 몰드(1100)와 프레임(310)을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SCR)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몰드(1100)와 프레임(310)을 접착제 혹은 접착시트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몰드(1100)가 베이스부(500)에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배터리 커버(Battery Cover); 및
    상기 배터리 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위치하는 프레임(Frame);
    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베이스부(Base Part); 및
    금속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부에 접합되는 가장자리부(Edge Part);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테두리에 배치되며, 상기 가장자리부에 연결되는 몰드(Mold)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강성은 상기 가장자리부의 강성보다 더 큰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크롬(Cr) 함량은 상기 가장자리부의 크롬 함량보다 더 높은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제 1 장변(First Long Side);
    상기 제 1 장변에 대항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상기 제 1 장변 및 상기 제 2 장변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및
    상기 제 1 단변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를 포함하고,
    상기 가장자리부는
    상기 제 1 장변에 본딩되는 제 1 가장자리부; 및
    상기 제 2 장변에 본딩되는 제 2 가장자리부;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부는
    상기 제 1 단변에 본딩되는 제 3 가장자리부; 및
    상기 제 2 단변에 본딩되는 제 4 가장자리부;
    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 3 가장자리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제 1 코너에서 이격되고,
    상기 제 1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 4 가장자리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제 2 코너에서 이격되고,
    상기 제 2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 3 가장자리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제 3 코너에서 이격되고,
    상기 제 2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 4 가장자리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제 4 코너에서 이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는 헤밍(Hemming) 처리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가장자리부는 선용접법으로 용접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120140820A 2012-12-06 2012-12-06 이동통신 단말기 KR201400730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820A KR20140073098A (ko) 2012-12-06 2012-12-06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820A KR20140073098A (ko) 2012-12-06 2012-12-06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098A true KR20140073098A (ko) 2014-06-16

Family

ID=51126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820A KR20140073098A (ko) 2012-12-06 2012-12-06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309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79025A (zh) * 2015-03-06 2016-09-28 爱斯特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以加压方式加工的手机金属盒及其制作方法
CN108882583A (zh) * 2018-07-06 2018-11-23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电子装置、壳体组件、中框组件及与后盖的定位方法
KR20190097553A (ko) * 2018-02-12 2019-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하우징 구조
US10437374B2 (en) 2017-01-25 2019-10-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79025A (zh) * 2015-03-06 2016-09-28 爱斯特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以加压方式加工的手机金属盒及其制作方法
CN105979025B (zh) * 2015-03-06 2020-03-17 爱斯特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以加压方式加工的手机金属盒及其制作方法
US10437374B2 (en) 2017-01-25 2019-10-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0775919B2 (en) 2017-01-25 2020-09-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190097553A (ko) * 2018-02-12 2019-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하우징 구조
US11463570B2 (en) 2018-02-12 2022-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ousing structure
CN108882583A (zh) * 2018-07-06 2018-11-23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电子装置、壳体组件、中框组件及与后盖的定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0312B (zh) 行動終端機裝置
WO2016065542A1 (zh) 具有柔性屏幕的电子装置
US8891806B2 (en) Mobile terminal
JP2015097109A (ja) ハンドヘルド演算装置
US20150169005A1 (en) Electronic device and touchpad assembly
JP2013257662A (ja) 電子機器
US20150222735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KR20140073098A (ko) 이동통신 단말기
US9363459B2 (en) Electronic apparatus
JP6338976B2 (ja) 電子機器、取付部材、および取付方法
JP2014082632A (ja) 携帯電子機器
US20120287356A1 (en) Television and electronic device
US9137906B2 (en) Mobile terminal
US9857847B2 (en) Collapsible hinge assembly
JP2012138960A (ja) 電子機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携帯端末に関する。
CN104013183A (zh) 终端保护套、终端显示屏扩展方法及终端设备
CN108810208B (zh)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KR10197617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19698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1822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조 방법
CN208046736U (zh) 具有双显示屏的摄录一体机
CN204406914U (zh) 显示装置及终端
CN108566457B (zh) 用于电子装置中的传声网组件、电子装置及其装配方法
KR10201837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130106090A (ko)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