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899B1 -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899B1
KR101969899B1 KR1020120121430A KR20120121430A KR101969899B1 KR 101969899 B1 KR101969899 B1 KR 101969899B1 KR 1020120121430 A KR1020120121430 A KR 1020120121430A KR 20120121430 A KR20120121430 A KR 20120121430A KR 101969899 B1 KR101969899 B1 KR 101969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home key
window substrate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5092A (ko
Inventor
김한수
한기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1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899B1/ko
Publication of KR20140055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에 위치하며 홀(Hole)을 포함하는 윈도우 기판(Window Substrate),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위치하는 프레임(Frame),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는 메인 회로 기판(Main Printed Circuit Board) 및 상기 윈도우 기판의 상기 홀에 배치되는 홈키부(Home Key Part)를 포함하고, 상기 홈키부는 홈키(Home Key), 상기 홈키의 하부에 위치하는 압전소자(Piezoelectricity) 및 상기 압전소자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극단자를 포함하는 연성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기판은 상기 메인 회로 기판에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요즘 이동통신 단말기는 보다 빠른 데이터 처리 속도, 더욱 선명한 화질, 더욱 다양한 기능 등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더 구비함에 따라, 그 구조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
이처럼,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가 복잡해짐에 따라 그 두께 및 크기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면서도 두께 및 크기가 슬림화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에 위치하며 홀(Hole)을 포함하는 윈도우 기판(Window Substrate),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위치하는 프레임(Frame),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는 메인 회로 기판(Main Printed Circuit Board) 및 상기 윈도우 기판의 상기 홀에 배치되는 홈키부(Home Key Part)를 포함하고, 상기 홈키부는 홈키(Home Key), 상기 홈키의 하부에 위치하는 압전소자(Piezoelectricity) 및 상기 압전소자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극단자를 포함하는 연성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기판은 상기 메인 회로 기판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 기판의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상기 홈키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중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키는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제 1 부분(First Portion), 상기 제 1 부분의 끝단에서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Second Portion) 및 상기 제 2 부분의 끝단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부분(Third Portion)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의 적어도 일측에서 상기 제 2 부분 및 상기 제 3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부분의 벽두께는 상기 윈도우 기판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윈도우 기판의 제 1 면(First Surface)보다 더 돌출되고, 상기 제 3 부분은 상기 윈도우 기판의 상기 제 1 면에 대항되는 제 2 면(Second Surface)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또한, 홈키는 지르코니아(Zirconia)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압전소자를 사용하여 홈키를 구현함으로써 홈키의 기능을 구현하면서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두께 및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6 내지 도 14는 홈키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은 홈키를 사용하는 전자 제품이면 어떤 것에라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해 홈키(Home Key)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홈키 이외에 다른 기능을 구현하는 어떠한 키라도 본 발명에 적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바(Bar)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형태가 바 타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전면커버(Front Cover, 210), 배터리커버(Battery Cover, 220) 및 디스플레이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전면커버(210)와 배터리커버(220)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151)와 배터리커버(220)의 사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동보드(Driving Board) 및 전자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이라고 칭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부(151)는 2D 영상 및/또는 3D 영상을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표시패널(LCD), 유기발광표시패널(OLED) 등 다양한 타입이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모듈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소자를 포함하는 드라이브 IC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면커버(21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테두리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전면커버(21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측면을 덮는(Cover)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전면커버(21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방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151)를 보호하기 위한 필름 재질 혹은 유리 재질의 윈도우 기판(Window Substrate)이 더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배터리커버(22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장착되는 배터리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배터리를 구속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 및 도 2의 경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음향출력부(152), 전면카메라(280a), 사용자 입력부(281, 284), 마이크(122), 후방카메라(280b), 및 인터페이스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홈키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홈키부(5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시에 미리 설정된 메인 화면으로 복귀할 때 사용할 수 있다.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스탠바이(Stand-by) 상태에서 활성화상태로 상태를 변경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사용하여 소정의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웹서핑을 수행하는 도중에 홈키부(500)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화면에는 웹 사이트의 영상이 아닌 미리 설정된 메인 화면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파워(Power)가 온(On)된 상태에서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를 유지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홈키부(500)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스탠바이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활성화 모드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로의 접속, 발신 통화, 수신 통화 등의 기능 수행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홈키부(500)의 기능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음향출력부(152)는 수화음 등을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일 수 있다. 음향출력부(152)는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음향출력부(152)는 수화음을 출력하기 위한 제 1 음향출력부, 벨소리, 메시지 수신음 등 다양한 어플레케이션(Application)에 따른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 2 음향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방카메라(280a)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 등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는 전방카메라(280a)로 촬영한 자신의 영상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와 화상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81, 284)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281, 284)는 다양한 조작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부(281, 284)는 터치 입력부(281) 및 사이드버튼(284)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터치 입력부(281)는 사용자의 근접 터치 및/또는 접촉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버튼(284)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81)는 정전식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터치 입력부(281)에 대응되는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소정의 명령이 실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사용자의 명령 입력, 즉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터치 입력부(281)에서 광이 발생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터치한 영역을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81, 284)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281)의 사이드 버튼(284)은 물리적인 버튼(physical button)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 입력부(281, 284)에는 사용빈도가 높거나 주요한 기능이 할당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시작 및/또는 종료, 음향 조절 등의 기능이 사용자 입력부(281, 284)에 할당될 수 있다.
사이드 버튼(284)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음량 등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사이드버튼(284)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등을 획득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후면을 보면, 도 2의 경우와 같이, 배터리커버(220)가 노출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후방카메라(280b)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후방카메라(280b)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 등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후방카메라(280b)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영상을 확인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후방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후방카메라(280b) 및 전방카메라(280a)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후방카메라(280b) 및 전방카메라(280a)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에는 플래시(Flash) 및/또는 미러(Mirror)가 더 배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플래시는 촬영 시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어 피사체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하게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로부터 데이터, 전력 등을 공급받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안테나(Antenna)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안테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방 혹은 후방에 터치 동작을 위한 터치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전면커버(210), 배터리커버(220), 배터리커버(220)와 전면커버(210)의 사이에 위치하는 하우징(Housing, 2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에 위치하는 윈도우 기판(Window Substrate) 및 윈도우 기판과 디스플레이 모듈의 사이에 위치하는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윈도우 기판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윈도우 기판은 실질적으로 투명하며, 유리 재질 혹은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디스플레이 모듈과 기판의 사이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윈도우 기판을 터치하는 경우, 터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하우징(240)은 다양한 전자부품,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Driver)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240)은 배터리커버(220)에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커버(220)와 하우징(240)의 연결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커버(220)는 하우징(240)에 팝업 타입(pop-up type), 슬라이드 타입(slide type), 풀 타입(pull type) 등으로 연결되거나 탈착될 수 있다.
하우징(240)에는 후방카메라(280b)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후방카메라(280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배터리커버(220)에 후방카메라(280b)에 대응되는 제 1 홀(Hole, 221)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240)에는 배터리(27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240)은 배터리(270)가 장착되는 부분, 즉 배터리 결합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40)은 배터리 단자(37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단자(371)는 배터리(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터리(270)의 에너지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공급될 수 있다.
배터리 단자(371)는 배터리 결합부(370)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270)가 배터리 결합부(370)에 배치되면 배터리(270)가 안전하게 구속될 수 있으며, 배터리(270)가 배터리 단자(371)에 안정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하우징(240)에서 배터리커버(220)를 분리시킨 후에 배터리(270)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240)에는 메모리 결합부(38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 결합부(380)에 메모리 카드, USIM 카드 등의 메모리(390)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하우징(140)에 대해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하우징(240)은 프레임(Frame, 310)과 후면커버(Rear Cover, 3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310)에는 다양한 전자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31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메인 회로 기판(400)이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프레임(310)과 후면커버(320)의 사이에 메인 회로 기판(400)이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메인 회로 기판(400)에는 다양한 회로부품(401)이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회로 기판(4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메인 회로 기판(400)은 제어부라고 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메인 회로 기판(400)은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프레임(310)에는 배터리 단자(371)가 배치된 단자 몸체(372), 메모리 결합부(380), 후방카메라(280b)가 배치될 수 있다.
후방카메라(280b) 및/또는 메모리 결합부(380)는 후면커버(320)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단자 몸체(372)는 프레임(310)에서 배터리(270)에 대응되는 영역(370a)에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310)에는 후면커버(320)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340)가 배치될 수 있다. 후면커버(320)에는 프레임(310)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341)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342)이 체결홀(341)을 관통하여 체결부(340)에 연결됨으로써, 프레임(310)과 후면커버(320)가 체결될 수 있다.
후면커버(320)는 프레임(310)과 연결되어 프레임(310)에 배치되는 다양한 전자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
후면커버(320)에는 배터리 결합부(370)를 위한 배터리홀(370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홀(370b)은 프레임(310)의 배터리(270)에 대응되는 영역(370a)에 대응될 수 있다.
아울러, 배터리홀(370b)에는 단자 몸체(372)를 위한 단자홀(370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면커버(320)는 메모리 결합부(380)에 대응되는 메모리홀(361) 및 후방카메라(280b)에 대응되는 카메라홀(221)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레임(310)에 배치되는 후방카메라(280b)는 카메라홀(221) 및 배터리커버(220)에 형성된 제 1 홀(22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310)에 배치되는 메모리 결합부(380)는 메모리홀(361)을 통해 후면커버(320) 밖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어폰(Earphone), 헤드셋(Headset) 등의 외부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단면의 구조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도 5에서 부호 600은 윈도우 기판이다.
도 5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단면 구조의 일례를 개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도 5에 한정되지는 않을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4는 홈키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살펴보면, 윈도우 기판(600)에는 적어도 하나의 홀(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윈도우 기판(600)에는 음향출력부(152)에 대응되는 음향홀(620)이 형성될 수 있다.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은 음향홀(620)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아울러, 윈도우 기판(600)에는 홈키부(Home Key Part, 500)에 대응되는 홀(610)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홈키부(500)는 윈도우 기판(600)의 홀(610)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홈키부(500)는, 도 7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Touch)하여 압력을 가하기 위한 홈키(Home Key, 510), 홈키(5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압전소자(Piezoelectricity, 500) 및 압전소자(52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극단자(710)를 포함하는 연성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7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연성기판(700)은 메인 회로 기판(400)에 연결될 수 있다.
압전소자(520)는 연성기판(700)의 전극단자(710)와 접촉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연성기판(700)의 전극단자(710)가 홈키(510)와 압전소자(520)의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홈키(510)와 연성기판(700)의 전극단자(710)의 사이에 압전소자(520)가 위치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연성기판(700)의 전극단자(710)가 홈키(510)와 압전소자(520)의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만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홈키(510)와 전극단자(710)의 사이에는 홈키(510)에 전극단자(710)를 부착하기 위한 제 1 접착층(530)이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압전소자(520)와 다른 부분, 예컨대 디스플레이 모듈의 드라이브 IC의 사이에는 개스킷 테잎(Gasket Tape, 54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개스킷 테잎(540)은 압전소자(520)의 움직임을 단속할 수 있다.
사용자가 홈키부(500)에 압력을 가하면, 사용자가 가한 압력은 홈키부(500)에 의해 압전소자(520)에 전달될 수 있다. 그러면, 압전소자(520)가 압력에 대응하여 소정의 전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압전소자(520)가 발생시킨 전기 신호는 전극단자(520)에 전달되고, 전극단자(520)에 전달된 전기 신호는 연성기판(700)을 통해 메인 회로 기판에 전달될 수 있다.
메인 회로 기판에서는 압전소자(520)로부터 전달된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고, 아울러 전기 신호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기능은 메인 화면으로의 화면 전환, 스탠바이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의 모드 전환 등에 해당될 수 있다.
홈키(510)의 단면을 보면, 도 8의 경우와 같이, 홈키(510)는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으로 연장되는 제 1 부분(First Portion, 511), 제 1 부분(511)의 끝단에서 제 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Second Portion, 512) 및 제 2 부분(512)의 끝단에서 제 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제 3 부분(Third Portion, 513)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홈키(510)는, 제 1 영역(AR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 1 부분(511)의 적어도 일측에서 제 2 부분(512) 및/또는 제 3 부분(513)의 전체 혹은 일부가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홈키(510)를 뒤집어서 살펴보면, 도 9의 경우와 같은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를 살펴보면, 제 1 부분(511)의 적어도 일측에서 제 2 부분(512) 및/또는 제 3 부분(513)의 전체 혹은 일부가 생략됨에 따라 홈키(510)에는 입구(515)가 생긴 것으로도 볼 수 있다.
혹은 홈키(510)는 제 1 부분(511)을 바닥으로 일측이 개구된 그릇 형태를 갖는다고도 볼 수 있다.
혹은 홈키(510)는 제 1 부분(511)을 바닥으로 하여 제 2 부분(512) 및 제 3 부분(513)으로 둘러싸인 함몰부(514)를 포함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홈키(510)는, 도 10의 경우와 같이, 윈도우 기판(600)의 홀(610)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홈키(510)가 윈도우 기판(600)의 홀(610)에 배치된 상태에서, 홈키(510)의 제 1 부분(511)은 윈도우 기판(600)의 제 1 면(First Surface, S1)보다 소정 높이(t3)만큼 더 돌출되고, 제 3 부분(513)은 윈도우 기판(600)의 제 1 면(S1)에 대항되는 제 2 면(Second Surface, S2)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홈키(510)의 제 3 부분(513)은 윈도우 기판(600)에 걸림으로써, 홈키(510)가 윈도우 기판(6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홈키(510)의 벽두께(Wall Thickness)는 윈도우 기판(600)의 두께(t1)보다 얇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홈키(510)의 제 1 부분(511)의 벽두께(t2)는 윈도우 기판(600)의 두께(t1)보다 얇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홈키(510)의 함몰부(514)는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 DRH)으로 윈도우 기판(600)과 중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수평방향(DRH)은 앞서 설명한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3 방향(DR3)일 수 있다.
아울러, 전극단자(710), 압전소자(520) 및 제 1 접착층(530) 중 적어도 하나는 홈키(510)의 함몰부(514)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의 경우와 같이, 전극단자(710), 압전소자(520) 및 제 1 접착층(530)은 모두 홈키(510)의 함몰부(514)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다르게 표현하면, 전극단자(710), 압전소자(520) 및 제 1 접착층(530)의 두께의 총 합(t10)은 홈키(510)의 함몰부(514)의 깊이(t11)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홈키부(500)의 총 두께를 줄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두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홈키(510)의 함몰부(514)에는 앞선 도 7에서 설명한 개스킷 테잎(540)이 더 배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극단자(710), 압전소자(520), 제 1 접착층(530) 및 개스킷 테잎(540)의 두께의 총 합은 홈키(510)의 함몰부(514)의 깊이(t11)보다 작은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이처럼, 홈키(510)의 함몰부(514)에 전극단자(710)가 배치되면, 도 12의 경우와 같이, 홈키(510)의 입구(515)는 연성기판(700)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연성기판(700)은 홈키(510)의 입구(515)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전극단자(710)가 홈키(510)의 함몰부(514)에 배치되고, 함몰부(514)의 깊이(t11)가 충분히 깊기 때문에, 연성기판(700)은 구부러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연성기판(700)은 전극단자(710), 전극단자(710)로부터 제 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분(First Extension Portion, 720), 제 1 연장부분(720)으로부터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분(730)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 1 연장부분(720)은 홈키(510)의 입구(515)에 대응될 수 있다. 혹은, 전극단자(710)의 넓이가 충분히 큰 경우에 전극단자(710)의 일부가 홈키(510)의 입구(515)에 대응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홈키(510)의 벽두께를 충분히 작게 하면서도 강도를 충분히 높게 유지하고, 아울러 외관도 미려하게 하기 위해서 홈키(510)는 지르코니아(Zirconia, Zro2)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압전 소자(52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전기 신호를 생성하게 되면, 압전 소자(520)에 전달되는 작은 압력만으로도 홈키부(500)의 효과적인 구동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홈키(510)를 지르코니아 등의 강도가 높은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하더라도 홈키부(500)의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한 것이다.
도 13에는 본 발명과 다른 비교예에 따른 홈키부(1400)의 구성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도 13을 살펴보면, 비교예에 따른 홈키부(1400)는 홈키(1300), 러버(Rubber, 1310) 및 돔 스위치(Dome Switch, 13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홈키(1300)에 압력을 가하면 홈키(1300)에 가해진 압력은 러버(1310)에 가해질 수 있다. 그러면 압력에 의해 러버(1310)가 휘어지면서 돔 스위치(1320)에 압력을 가하여 돔 스위치(1320)가 휘어지면서 접점 전극(1340)과 접촉할 수 있다.
돔 스위치(1320)가 접점 전극(1340)에 접촉하면 소정의 전기 신호가 생성되고, 이러한 전기 신호가 메인 회로 기판에 전달됨으로써 홈키부(1400)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비교예에 따른 홈키부(1400)에서는, 사용자가 가하는 압력에 의해 돔 스위치(1320)가 휘어져서 접점 전극(1340)에 접촉해야 하기 때문에, 압력 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따라, 홈키(1300) 및 러버(1310)는 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홈키(1300)이 두께(t22) 및 러버(1310)의 두께(t21)는 상대적으로 두꺼울 가능성이 높다. 아울러, 비교예에 따른 홈키부(1400)는 돔 스위치(1320)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홈키부(1400)의 총 두께(t20+t21+t22)가 과도하게 두꺼워질 가능성이 높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홈키부(500)는 압전 소자(520)를 사용하기 때문에 홈키(510)의 벽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아울러 돔 스위치도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홈키부(500)는 비교예에 따른 홈키부(1400)보다 두께가 얇을 수 있다.
또한, 홈키부(500)에서 압전 소자(520)를 사용하여 두께를 줄이게 되면 홈키부(500)의 위치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의 제 2 영역(AR2)에서와 같이, 윈도우 기판(600)의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 DRV)으로 홈키부(500)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중첩할 수 있다. 이처럼 홈키부(500)가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중첩하는 위치에 배치되더라도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총 두께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방향(DRV)은 앞서 설명한 제 2 방향(DR2)에 대응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영상을 표시하며 전면기판(1020)과 후면기판(101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1000)과 디스플레이 패널(100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소자를 포함하는 드라이브 IC(1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드라이브 IC(1100)는 광을 발생시키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홈키부(500)는, 수직방향(DRV)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드라이브 IC(1100)과 중첩할 수 있다.
아울러, 홈키부(500)와 드라이브 IC(1100)의 사이에는 홈키부(500)를 고정시키기 위한 패드(1210)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패드(1210)는 접착성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패드(1210)는 앞선 도 7에서 설명한 개스킷 테잎(540)과 동일할 수 있다. 즉, 개스킷 테잎(540)이 생략되고 패드(1210)가 개스킷 테잎(540)을 대체할 수 있다. 또는, 개스킷 테잎(540)과 패드(1210)가 함께 사용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개스킷 테잎(540)과 드라이브 IC(1100)의 사이에 패드(1210)가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연성기판(700)의 일측은 커넥터(Connector, 1200)를 통해 메인 회로 기판(400)과 연결되고, 연성기판(700)의 타측에는 전극 단자(710)가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도 14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와는 다르게 연성기판(700)이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프레임(310)의 사이를 지나 메인 회로 기판(400)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에 위치하며 홀(Hole)을 포함하는 윈도우 기판(Window Substrate);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위치하는 프레임(Frame);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위치하는 메인 회로 기판(Main Printed Circuit Board); 및
    상기 윈도우 기판의 상기 홀에 배치되는 홈키부(Home Key Part);
    를 포함하고,
    상기 홈키부는
    홈키(Home Key);
    상기 홈키의 하부에 위치하는 압전소자(Piezoelectricity); 및
    상기 압전소자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극단자를 포함하는 연성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기판은 상기 메인 회로 기판에 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기판의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으로 상기 홈키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중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키는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제 1 부분(First Portion);
    상기 제 1 부분의 끝단에서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Second Portion); 및
    상기 제 2 부분의 끝단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부분(Third Portion);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의 적어도 일측에서 상기 제 2 부분 및 상기 제 3 부분은 생략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의 벽두께는 상기 윈도우 기판의 두께보다 작은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윈도우 기판의 제 1 면(First Surface)보다 더 돌출되고,
    상기 제 3 부분은 상기 윈도우 기판의 상기 제 1 면에 대항되는 제 2 면(Second Surface)보다 더 돌출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키는 지르코니아(Zirconia) 재질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120121430A 2012-10-30 2012-10-30 이동통신 단말기 KR101969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430A KR101969899B1 (ko) 2012-10-30 2012-10-30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430A KR101969899B1 (ko) 2012-10-30 2012-10-30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092A KR20140055092A (ko) 2014-05-09
KR101969899B1 true KR101969899B1 (ko) 2019-04-17

Family

ID=50886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430A KR101969899B1 (ko) 2012-10-30 2012-10-30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8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467B1 (ko) * 2018-02-06 2020-03-04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입력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2603A (ko) * 2008-04-24 2009-10-28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전자 장치에 제공되는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622632B1 (ko) * 2009-08-26 2016-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610206B1 (ko) * 2009-08-26 2016-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092A (ko)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2632B1 (ko) 이동 단말기
TWI500312B (zh) 行動終端機裝置
KR20140099006A (ko) 이동 단말기
KR102468709B1 (ko) 키 모듈과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키 모듈 조립 방법
EP2515198B1 (en) Slidable mobile terminal
JP2010239323A (ja) 携帯端末装置
KR20140021928A (ko) 이동 단말기
CN108540616B (zh)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JP2010130581A (ja) 携帯端末装置
KR1019698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CN108810208B (zh)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US8367948B2 (en) Handheld device
KR20140073098A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1951415B1 (ko) 이동 단말기
KR101441922B1 (ko) 터치 센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97617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1837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EP2066102A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transparent touch control section
KR2022004350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622684B1 (ko) 휴대 단말기
KR10201837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1667429B1 (ko) 휴대 전자기기
KR101502008B1 (ko) 휴대 단말기
KR101495180B1 (ko)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140063925A (ko)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