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3925A -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3925A
KR20140063925A KR1020120130636A KR20120130636A KR20140063925A KR 20140063925 A KR20140063925 A KR 20140063925A KR 1020120130636 A KR1020120130636 A KR 1020120130636A KR 20120130636 A KR20120130636 A KR 20120130636A KR 20140063925 A KR20140063925 A KR 20140063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touch pe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0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지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0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3925A/ko
Publication of KR20140063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39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면커버(Front Cover), 배터리 커버(Battery Cover) 및 상기 전면커버와 상기 배터리 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폰 바디(Phone Body) 및 상기 폰 바디에 배치되는 터치펜(Touch Pen)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펜의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의 단면의 일측은 상기 전면커버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펜의 타측은 상기 배터리 커버에 위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요즘 이동통신 단말기는 보다 빠른 데이터 처리 속도, 더욱 선명한 화질, 더욱 다양한 기능 등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더 구비함에 따라, 그 구조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
아울러, 요즘 이동통신 단말기는 터치 기술을 적용하여 보다 편리한 UI(User Interface)를 구현하고 있다.
본 발명은 터치펜(Touch Pen)을 사용하는 구조에서 터치펜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디(Body)에 보다 용이하게 장착하고, 장착한 터치펜을 보다 용이하게 사용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면커버(Front Cover), 배터리 커버(Battery Cover) 및 상기 전면커버와 상기 배터리 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폰 바디(Phone Body) 및 상기 폰 바디에 배치되는 터치펜(Touch Pen)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펜의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의 단면의 일측은 상기 전면커버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펜의 타측은 상기 배터리 커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펜은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으로 상기 폰 바디에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펜은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적어도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도전성 팁(Tip)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면커버(Front Cover), 배터리 커버(Battery Cover) 및 상기 전면커버와 상기 배터리 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폰 바디(Phone Body) 및 상기 폰 바디에 배치되며, 상기 폰 바디의 적어도 일측 측면을 덮는 터치펜(Touch Pe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펜은 튜브(Tube) 형태로서 측벽(Side Wall)의 일부가 개구(Open)된 펜 바디(Pen Body) 및 상기 펜 바디의 적어도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도전성의 펜 팁(Pen Tip)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펜 바디는 도전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펜 바디는 비도전성 재질로 구성되는 베이스부(Base Portion) 및 상기 베이스부의 표면에 배치되며 도전성 재질로 구성되는 표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부와 상기 펜 팁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펜 바디의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의 단면은 상기 전면커버에 인접하는 제 1 부분(First Portion), 상기 배터리 커버에 인접하는 제 2 부분(Second Portion) 및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부분(Third Por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부분의 벽두께(Wall Thickness)는 상기 제 1 부분의 벽두께 및 상기 제 2 부분의 벽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부분에는 제 1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부분에는 제 2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커버에는 상기 제 1 돌기에 대응되는 제 3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 커버에는 상기 제 2 돌기에 대응되는 제 4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터치펜을 측벽(Side Wall)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Open)된 튜브(Tube)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터치펜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디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아울러 장착한 터치펜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5 내지 도 15는 터치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은 홈키를 사용하는 전자 제품이면 어떤 것에라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바(Bar)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형태가 바 타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전면커버(Front Cover, 210), 배터리커버(Battery Cover, 220) 및 디스플레이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전면커버(210)와 배터리커버(220)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151)와 배터리커버(220)의 사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동보드(Driving Board) 및 전자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이라고 칭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부(151)는 2D 영상 및/또는 3D 영상을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표시패널(LCD), 유기발광표시패널(OLED) 등 다양한 타입이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모듈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소자를 포함하는 드라이브 IC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면커버(21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테두리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전면커버(21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측면을 덮는(Cover)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전면커버(21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방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151)를 보호하기 위한 필름 재질 혹은 유리 재질의 윈도우 기판(Window Substrate)이 더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배터리커버(22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장착되는 배터리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배터리를 구속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 및 도 2의 경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음향출력부(152), 전면카메라(280a), 사용자 입력부(281, 284), 마이크(122), 후방카메라(280b), 홈키부(500) 및 인터페이스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홈키부(5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시에 미리 설정된 메인 화면으로 복귀할 때 사용할 수 있다.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스탠바이(Stand-by) 상태에서 활성화상태로 상태를 변경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152)는 수화음 등을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일 수 있다. 음향출력부(152)는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음향출력부(152)는 수화음을 출력하기 위한 제 1 음향출력부, 벨소리, 메시지 수신음 등 다양한 어플레케이션(Application)에 따른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 2 음향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방카메라(280a)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 등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는 전방카메라(280a)로 촬영한 자신의 영상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와 화상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81, 284)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281, 284)는 다양한 조작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부(281, 284)는 터치 입력부(281) 및 사이드버튼(284)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터치 입력부(281)는 사용자의 근접 터치 및/또는 접촉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버튼(284)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81)는 정전식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터치 입력부(281)에 대응되는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소정의 명령이 실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사용자의 명령 입력, 즉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터치 입력부(281)에서 광이 발생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터치한 영역을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81, 284)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281)의 사이드 버튼(284)은 물리적인 버튼(physical button)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 입력부(281, 284)에는 사용빈도가 높거나 주요한 기능이 할당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시작 및/또는 종료, 음향 조절 등의 기능이 사용자 입력부(281, 284)에 할당될 수 있다.
사이드 버튼(284)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음량 등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사이드버튼(284)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등을 획득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터치펜(60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폰 바디(Phone Body, 100B)와 폰 바디(100B)에 연결되는 터치펜(600)을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터치펜(600)은 폰 바디(100B)의 적어도 일측 측면을 덮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터치펜(600)이 폰 바디(100B)에 연결된 상태에서 터치펜(600)의 측벽(Side Wall)의 표면이 노출될 수 있다.
터치펜(60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후면을 보면, 도 2의 경우와 같이, 배터리커버(220)가 노출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후방카메라(280b)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후방카메라(280b)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 등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후방카메라(280b)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영상을 확인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후방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후방카메라(280b) 및 전방카메라(280a)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후방카메라(280b) 및 전방카메라(280a)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에는 플래시(Flash) 및/또는 미러(Mirror)가 더 배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플래시는 촬영 시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어 피사체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하게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로부터 데이터, 전력 등을 공급받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안테나(Antenna)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안테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방 혹은 후방에 터치 동작을 위한 터치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전면커버(210), 배터리커버(220), 배터리커버(220)와 전면커버(210)의 사이에 위치하는 하우징(Housing, 2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에 위치하는 윈도우 기판(Window Substrate) 및 윈도우 기판과 디스플레이 모듈의 사이에 위치하는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윈도우 기판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윈도우 기판은 실질적으로 투명하며, 유리 재질 혹은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디스플레이 모듈과 기판의 사이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윈도우 기판을 터치하는 경우, 터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하우징(240)은 다양한 전자부품,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Driver)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240)은 배터리커버(220)에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커버(220)와 하우징(240)의 연결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커버(220)는 하우징(240)에 팝업 타입(pop-up type), 슬라이드 타입(slide type), 풀 타입(pull type) 등으로 연결되거나 탈착될 수 있다.
하우징(240)에는 후방카메라(280b)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후방카메라(280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배터리커버(220)에 후방카메라(280b)에 대응되는 제 1 홀(Hole, 221)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240)에는 배터리(27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240)은 배터리(270)가 장착되는 부분, 즉 배터리 결합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40)은 배터리 단자(37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단자(371)는 배터리(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터리(270)의 에너지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공급될 수 있다.
배터리 단자(371)는 배터리 결합부(370)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270)가 배터리 결합부(370)에 배치되면 배터리(270)가 안전하게 구속될 수 있으며, 배터리(270)가 배터리 단자(371)에 안정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하우징(240)에서 배터리커버(220)를 분리시킨 후에 배터리(270)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240)에는 메모리 결합부(38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 결합부(380)에 메모리 카드, USIM 카드 등의 메모리(390)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하우징(140)에 대해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하우징(240)은 프레임(Frame, 310)과 후면커버(Rear Cover, 3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310)에는 다양한 전자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31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메인 회로 기판(400)이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프레임(310)과 후면커버(320)의 사이에 메인 회로 기판(400)이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메인 회로 기판(400)에는 다양한 회로부품(401)이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회로 기판(4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메인 회로 기판(400)은 제어부라고 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메인 회로 기판(400)은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프레임(310)에는 배터리 단자(371)가 배치된 단자 몸체(372), 메모리 결합부(380), 후방카메라(280b)가 배치될 수 있다.
후방카메라(280b) 및/또는 메모리 결합부(380)는 후면커버(320)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단자 몸체(372)는 프레임(310)에서 배터리(270)에 대응되는 영역(370a)에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310)에는 후면커버(320)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340)가 배치될 수 있다. 후면커버(320)에는 프레임(310)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341)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342)이 체결홀(341)을 관통하여 체결부(340)에 연결됨으로써, 프레임(310)과 후면커버(320)가 체결될 수 있다.
후면커버(320)는 프레임(310)과 연결되어 프레임(310)에 배치되는 다양한 전자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
후면커버(320)에는 배터리 결합부(370)를 위한 배터리홀(370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홀(370b)은 프레임(310)의 배터리(270)에 대응되는 영역(370a)에 대응될 수 있다.
아울러, 배터리홀(370b)에는 단자 몸체(372)를 위한 단자홀(370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면커버(320)는 메모리 결합부(380)에 대응되는 메모리홀(361) 및 후방카메라(280b)에 대응되는 카메라홀(221)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레임(310)에 배치되는 후방카메라(280b)는 카메라홀(221) 및 배터리커버(220)에 형성된 제 1 홀(22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310)에 배치되는 메모리 결합부(380)는 메모리홀(361)을 통해 후면커버(320) 밖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어폰(Earphone), 헤드셋(Headset) 등의 외부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 내지 도 15는 터치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의 (A), (B), (C)를 살펴보면, 터치펜(600)은 펜 바디(600B) 및 펜 팁(Pen Tip, 600T)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의 (A)의 경우와 같이, 펜 바디(600B)는 측벽(Side Wall)의 일부가 개구(Open)된 튜브(Tube)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펜 바디(600B)에는 개구부(600P)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B)의 경우와 같이, 펜 바디(600B)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으로 연장된 형태로서, 도 5의 (C)의 경우와 같이 개구부(600P)도 제 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제 2 방향(DR2)으로 펜 바디(600B)의 적어도 일측 끝단에는 도전성의 펜 팁(600T)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는, 펜 바디(600B)의 한쪽 끝단에 1개의 펜 팁(600T)이 배치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펜 바디(600B)의 양쪽 끝단에 각각 1개씩의 펜 팁(600T)이 배치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터치펜(600)은, 도 6의 경우와 같이, 제 2 방향(DR2)으로 폰 바디(100B)에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폰 바디(100B)에는 터치펜(600)에 대응되는 제 1 레일(700)과 제 2 레일(7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터치펜(600)은 제 2 방향(DR2)으로 폰 바디(100B)의 측면에 제 1 레일(700)과 제 2 레일(710)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면, 도 7과 같이, 터치펜(600)은 폰 바디(100B)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터치펜(600)이 폰 바디(100B)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는 용이하게 터치펜(600)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터치펜(600)의 직경이 충분히 클 수 있기 때문에 터치펜(600)의 조작성도 우수할 수 있다.
도 8을 살펴보면, 제 1 레일(700)은 배터리 커버(220)에 형성되고, 제 2 레일(710)은 전면커버(21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펜(600)의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으로의 단면의 일측은 전면커버(210)에 위치하고, 터치펜(600)의 타측은 배터리 커버(200)에 위치할 수 있다. 터치펜(600)은 폰 바디(100B)의 전면커버(210) 및 배터리 커버(220)에 각각 접촉할 수 있다.
도 9를 살펴보면, 펜 바디(600B)의 제 1 방향(DR1)으로의 단면은 전면커버(210)에 인접하는 제 1 부분(First Portion, 610), 배터리 커버(220)에 인접하는 제 2 부분(Second Portion, 620) 및 제 1 부분(610)과 제 2 부분(6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부분(Third Portion, 6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부분(610)은 폰 바디(100B)의 전면의 일부를 가리고, 제 2 부분(620)은 폰 바디(100B)의 후면의 일부를 가리고, 제 3 부분(630)은 폰 바디(100B)의 측면의 일부를 가릴 수 있다.
아울러, 펜 바디(600B)의 제 1 부분(610)에는 제 1 돌기(820)가 형성되고, 제 2 부분(620)에는 제 2 돌기(810)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폰 바디(100B)의 전면커버(210)에는 제 1 돌기(820)에 대응하는 제 3 돌기(730)가 형성되고, 배터리 커버(220)에는 제 2 돌기(810)에 대응하는 제 4 돌기(72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돌기(820)는 제 3 돌기(730)와 맞물릴 수 있고, 제 2 돌기(810)는 제 4 돌기(720)와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폰 바디(100B)와 터치펜(600)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터치펜(600)은 스프링(Spring)과 같이 충분히 큰 탄성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자세하게는, 터치펜(600)의 펜 바디(600)가 충분히 큰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0의 (A)의 경우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에 터치펜(600)의 개구부(600P0)의 폭이 W1에서 W2로 증가할 수 있다.
반면에, 도 10의 (B)의 경우와 같이, 터치펜(600)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면 터치펜(600)의 개구부(600P)의 크기가 W2에서 W1로 다시 감소할 수 있다.
이처럼, 터치펜(600)이 충분히 큰 탄성을 갖는 경우에는, 도 11의 (A), (B), (C)의 경우와 같이, 터치펜(600)을 제 1 방향(DR1)으로 폰 바디(100B)에 연결할 수 있다.
한편, 터치펜(600)의 탄력성을 충분히 크게 유지하면서도 터치펜(6000의 강성을 충분히 크게 하기 위해, 도 12의 경우와 같이, 펜 바디(600B)의 제 3 부분(630)의 벽두께(Wall Thickness)를 상대적으로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세하게는, 펜 바디(600)의 제 3 부분(630)의 벽두께(T3)는 제 1 부분(610)의 벽두께(T1) 및 제 2 부분(620)의 벽두께(T2)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펜(600)을 이용하여 폰 바디(100B)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151)의 소정 영역을 터치하였을 경우에, 그 영역에 위치하는 소정의 객체를 선택하는 등의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터치펜(600)을 사용하여 터치 동작의 실행이 가능한 것이다.
이처럼 터치펜(600)을 이용하여 터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펜 팁(600T)은 도전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펜 팁(600T)은 도전성을 가지면서도 탄력성을 갖는 도전성 러버(Rubber)를 주재료로서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펜 바디(600B)도 도전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주로 터치펜(600)의 펜 바디(600B)를 파지한 상태에서 터치펜(600)을 사용하기 때문에 터치 신호가 입력되기 위해서는 펜 팁(600T) 뿐 아니라 펜 바디(600B)도 도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펜 바디(600B)의 전체가 알루미늄(Al) 등의 도전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또는 펜 바디(600B)의 일부가 도전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3의 경우와 같이, 펜 바디(600B)는 플라스틱 등의 비도전성 재질로 구성되는 베이스부(Base Portion, 1200) 및 베이스부(1200)의 표면에 배치되며 도전성 재질로 구성되는 표면부(1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면부(1210)는 두께가 얇은 금속판일 수 있다.
또는, 비도전성의 베이스부(1200)의 표면에 도전성 재질을 코팅하여 표면부(1210)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표면부(1210)와 펜 팁(600T)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 2 방향(DR2)으로 터치펜(600)의 한쪽 끝단은 개구되고, 나머지 한쪽의 끝단은 닫힌(Closed) 구조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의 경우와 같이, 터치펜(600)의 한쪽 끝단은 제 1 영역(AR1)에서와 같이 개구(Open)되고, 나머지 한쪽 끝단은 제 2 영역(AR2)에서와 같이 닫히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터치펜(600)의 끝단이 닫힌 영역, 즉 제 2 영역(AR2)에서 펜 팁(600T)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터치펜(600)의 한쪽 끝단이 닫힌 구조에서는 터치펜(600)이 폰 바디(100B)에 연결된 상태에서 폰 바디(100B)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터치펜(600)의 펜 바디(600B)의 단면이 원 형태인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5의 경우와 같이, 터치펜(600)의 펜 바디(600B)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인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펜(600)의 단면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전면커버(Front Cover), 배터리 커버(Battery Cover) 및 상기 전면커버와 상기 배터리 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폰 바디(Phone Body); 및
    상기 폰 바디에 배치되는 터치펜(Touch Pen);
    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펜의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의 단면의 일측은 상기 전면커버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펜의 타측은 상기 배터리 커버에 위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펜은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으로 상기 폰 바디에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펜은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적어도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도전성 팁(Tip)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전면커버(Front Cover), 배터리 커버(Battery Cover) 및 상기 전면커버와 상기 배터리 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폰 바디(Phone Body); 및
    상기 폰 바디에 배치되며, 상기 폰 바디의 적어도 일측 측면을 덮는 터치펜(Touch Pen);
    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펜은
    튜브(Tube) 형태로서 측벽(Side Wall)의 일부가 개구(Open)된 펜 바디(Pen Body); 및
    상기 펜 바디의 적어도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도전성의 펜 팁(Pen Tip);
    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펜 바디는 도전성 재질로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펜 바디는
    비도전성 재질로 구성되는 베이스부(Base Portion); 및
    상기 베이스부의 표면에 배치되며 도전성 재질로 구성되는 표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부와 상기 펜 팁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펜 바디의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의 단면은
    상기 전면커버에 인접하는 제 1 부분(First Portion);
    상기 배터리 커버에 인접하는 제 2 부분(Second Portion); 및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부분(Third Portion);
    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부분의 벽두께(Wall Thickness)는 상기 제 1 부분의 벽두께 및 상기 제 2 부분의 벽두께보다 두꺼운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에는 제 1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부분에는 제 2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커버에는 상기 제 1 돌기에 대응되는 제 3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 커버에는 상기 제 2 돌기에 대응되는 제 4 돌기가 형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120130636A 2012-11-19 2012-11-19 이동통신 단말기 KR201400639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636A KR20140063925A (ko) 2012-11-19 2012-11-19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636A KR20140063925A (ko) 2012-11-19 2012-11-19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925A true KR20140063925A (ko) 2014-05-28

Family

ID=50891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0636A KR20140063925A (ko) 2012-11-19 2012-11-19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39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3589B2 (en) Electronic device
EP3112977A1 (en) Mobile terminal with means for dissipating heat from display driver
EP3255967A1 (en) Mobile terminal
US10491728B2 (en)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key module
KR20140099006A (ko) 이동 단말기
US10558833B2 (en)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EP2515198B1 (en) Slidable mobile terminal
US20090015565A1 (en) Portable terminal
US20130057529A1 (en) Mobile terminal and power management unit thereof
US9137906B2 (en) Mobile terminal
US9813098B2 (en) Mobile terminal
CN104013183B (zh) 终端保护套、终端显示屏扩展方法及终端设备
US9525763B1 (en) Mobile terminal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KR20140073098A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197617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150084388A (ko) 자동 제어 가능한 음향 기기
KR1019698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140063925A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1837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1474748B1 (ko) 초슬림 스마트 키보드 커버 장치
KR101978203B1 (ko) 이동 단말기
KR10201837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CN103259135B (zh) 一种非带扣连接器及制造方法
KR20130106090A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53197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