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4388A - 자동 제어 가능한 음향 기기 - Google Patents

자동 제어 가능한 음향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4388A
KR20150084388A KR1020140004356A KR20140004356A KR20150084388A KR 20150084388 A KR20150084388 A KR 20150084388A KR 1020140004356 A KR1020140004356 A KR 1020140004356A KR 20140004356 A KR20140004356 A KR 20140004356A KR 20150084388 A KR20150084388 A KR 20150084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set
speaker unit
terminal
speaker
reed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주희
김숙경
김태언
박철용
정성훈
김준태
이선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4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4388A/ko
Priority to CN201510018671.5A priority patent/CN104780476B/zh
Priority to US14/596,454 priority patent/US9961430B2/en
Priority to EP15151094.8A priority patent/EP2894878B1/en
Publication of KR20150084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3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3Aspects of the reduction of energy consumption in hea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Abstract

헤드셋에 있어서, 제 1 스피커부; 제 2 스피커부; 상기 제 1 스피커부와 상기 제 2 스피커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 1 스피커부와 제 2 스피커부의 근접 또는 이격을 감지하여,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적 신호는 상기 헤드셋에서 출력 중인 컨텐츠의 출력 제어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제어 가능한 음향 기기 {Sound accessory for automatic control}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자동 제어 가능한 음향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부를 이용하여 음향 기기를 쓰고 벗는 행위만으로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음향 기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스마트폰(Smart Phone)과 같은 휴대 단말기가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면서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음악 출력 기능은 많은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기능 중 하나이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 사용자들의 음악 청취를 위한 음향 기기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한편, 음악 청취를 위한 음향 기기 중에서 헤드셋은 액티브(Active) 헤드셋과 패시브(Passive) 헤드셋으로 나눌 수 있다. 액티브 헤드셋은 능동 소자(Active headset)를 이용하여 별도의 센서를 실장할 수 있는 특징이 있고, 패시브 헤드셋은 수동 소자(Passive headset)를 이용하여 별도의 센서를 구비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헤드셋을 통해 단말기의 컨텐츠를 듣는 중, 용무가 생기면, 두 가지 행위가 필요하였다. 즉,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헤드셋을 벗는 행위와 사용자가 출력하던 컨텐츠를 멈추기 위해 버튼을 직접 누르는 행위가 필요하였다. 이 경우 일부 상황에서는 사용자가 급하게 행동한 나머지 의도치 않게 번거로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헤드셋을 쓸 경우 압력 센서 등을 활용하여 압력 정도를 인지하고 자동으로 오디오 설정을 변경해주는 기술을 생각해볼 수 있으나, 이는 별도의 센서 실장이 필요하므로 오로지 액티브(Active) 헤드셋에만 적용이 가능하였다.
즉, 패시브(Passive) 헤드셋에서는 별도의 센서 실장이 불가능하기에, 헤드셋을 쓰고 벗는 행위만으로도 오디오 설정을 변경해주는 기술을 적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패시브(Passive) 헤드셋은 상대적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또한, 액티브(Active) 헤드셋의 경우에도 동작 인식을 자동으로 감지하는 센서를 실장함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단가가 상승한다거나 회로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헤드셋에 스위치를 이용한 회로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단순히 헤드셋을 쓰고 벗는 행위만으로도 간단한 오디오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이를 통해 컨텐츠 출력에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을 높여주는 음향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헤드셋의 종류를 가리지 않고 액티브(Active) 헤드셋 및 패시브(Passive) 헤드셋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헤드셋에 있어서, 제 1 스피커부; 제 2 스피커부; 상기 제 1 스피커부와 상기 제 2 스피커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 1 스피커부와 제 2 스피커부의 근접 또는 이격을 감지하여,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적 신호는 상기 헤드셋에서 출력 중인 컨텐츠의 출력 제어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수동(Passive) 소자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단순히 헤드셋을 벗고 쓰는 행위만으로도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값이 비싼 능동(Active) 소자를 이용하지 않기에 헤드셋의 원가를 절감하여 사용자 선택의 폭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헤드셋의 블록도,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헤드셋의 리드 스위치 동작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헤드셋의 리드 스위치의 동작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헤드셋의 리드 스위치와 자석의 실장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 중 다른 하나에 따른 헤드셋의 돔 스위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헤드셋의 동작 인식을 위한 단자 활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헤드셋의 스위치 동작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present disclosure)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통신 기능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장치,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카메라(camera),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전자 시계(electronic clock), 손목 시계(wrist watch), 가전 제품(home appliance)(예: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등), 인공 지능 로봇, TV,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각종 의료장치(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전자 사전,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electronic equipment for ship, 예를 들면,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장치(avionics), 보안 장치, 전자 의복,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게임 콘솔(game consoles), HMD(head-mounted display),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 전자 액자, 전자 앨범, 통신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또는 프로젝터(projector) 등의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장치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헤드셋의 블록도이다.
헤드셋(100)은 감지부(102), 스피커부(104) 및 연결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02)는 수동(Passive) 소자를 이용하여 제 1 스피커부와 제 2 스피커부의 근접 또는 이격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헤드셋(100)을 쓰고 있는 경우, 제 1 스피커부와 제 2 스피커부는 서로 이격 상태에 놓이게 된다. 반면에, 사용자가 헤드셋(100)을 벗는 경우, 제 1 스피커부와 제 2 스피커부는 서로 근접하고 이러한 상태를 감지부(102)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102)는 제 1 스피커부와 제 2 스피커부의 근접 또는 이격을 감지한 경우,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발생한 전기적 신호를 단말기(110)로 전달하여 단말기(110)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헤드셋(100)의 감지부(102)는 리드 스위치(Reed switch)와 자성 물체를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자석의 접근에 의해 리드선(Reed)이 자화(Magnetization)되는 현상을 이용한 스위치이다. 리드 스위치(Reed switch)와 자성 물체를 이용한 감지부(102)는 헤드셋(100)의 스피커부(104)에 위치하여 제 1 스피커부와 제 2 스피커부가 근접(단락) 또는 이격(개방)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헤드셋(100)의 감지부(102) 돔 스위치(Dome switch)를 포함할 수 있다. 돔 스위치는 상부와 하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돔 스위치를 이용한 감지부(102)는 헤드셋(100)의 연결부(106)에 위치하여 제 1 스피커부와 제 2 스피커부가 근접(단락) 또는 이격(개방)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스피커부(104)는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부(104)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헤드셋(100)은 두 개의 스피커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각각의 제 1 스피커부 및 제 2 스피커부라 정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헤드셋(100)의 스피커부(104)는 리드 스위치(Reed switch)와 자성 물체를 이용한 감지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06)는 제 1 스피커부와 제 2 스피커부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106)는 사용자가 벗고 쓰기에 편리하게 탄성체로 이루어 질 수 있고, 편안한 착용감을 위해 별도의 고무 또는 스폰지 등을 입힐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헤드셋(100)의 연결부(106)는 돔 스위치(Dome switch)를 이용한 감지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헤드셋(100)의 리드 스위치(Reed switch) 동작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리드 스위치(Reed switch)는 자석의 접근에 의해 리드선(Reed)이 자화(Magnetization)되는 현상을 이용한 스위치이다. 도 2A에서 210은 리드 스위치가 오프(Off)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212의 리드선(Reed)들은 자석의 접근이 없기에 자화되지 않아 리드선들이 접촉하지 않는다. 한편, 도 2A에서 220은 리드 스위치가 온(On)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자석(221)이 리드선들(222, 224)에 근접함에 따라 리드선들(222, 224)이 자화됨을 나타내고 있다. 자석(221)의 N극과 가까운 좌측 리드선(224)의 왼쪽은 S극으로 자화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좌측 리드선(224)의 오른쪽은 N극으로 자화될 수 있다. 또한, 자석(221)의 S극과 가까운 우측 리드선(222)의 오른쪽은 N극으로 자화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우측 리드선(222)의 왼쪽은 S극으로 자화될 수 있다. 이때, 좌측 리드선(224)의 오른쪽은 N극이고, 우측 리드선(222)의 왼쪽은 S극이기에 226과 같이 접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리드선들의 접촉을 통해 개방된 리드 스위치가 단락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도 2B는 자석(240)의 접근 방향에 따른 리드 스위치(Reed switch, 230)의 동작을 설명하고 있다. 자석(240)이 리드 스위치(230)를 향하여 다가가면 자화되는 정도가 강해지기에 스위치가 동작할 수 있다. 반대로, 자석(240)이 리드 스위치(230)와 멀어지면 자화되는 정도가 약해지기에 스위치가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자석이 리드 스위치의 중심이 아닌 좌우로 치우쳐서 위치하는 경우에는 양 리드선들의 자화가 고르게 발생하지 않아 스위치가 제대로 동작하기 어려울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헤드셋의 리드 스위치의 동작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리드 스위치(Reed switch)와 자석과의 거리에 따라 스위치의 동작이 달라지는 예시를 설명하고 있다. 수직축의 X는 리드 스위치와 자석과의 직선거리를 의미할 수 있고, 수평축의 Z는 리드 스위치와 자석과의 좌우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X의 직선 거리가 늘어날수록 스위치 단락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변할 수 있고, Z의 수평 거리가 늘어날수록 스위치 단락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헤드셋의 리드 스위치와 자석의 실장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헤드셋(100)은 제 1스피커부(410), 제 2 스피커부(420) 및 연결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스피커부(410)는 자성 물체(4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자성 물체(415)는 별도의 자석 또는 헤드셋(100)의 스피커를 이용할 수 있다. 제 2 스피커부(420)는 리드 스위치(4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 2 스피커부의 스피커가 리드 스위치(425)를 작동하는 자성 물체로 작용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리드 스위치(425)가 실장되는 부분을 스피커 마그넷과 이격하기 위해 별도의 차폐막(427)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막(427)은 차폐 테이프 및 기구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연결부(430)는 제 1 스피커부(410)와 제 2 스피커부(420)를 연결할 수 있다.
헤드셋(100)은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헤드셋(100)에서 출력 중인 컨텐츠의 출력 제어에 사용될 수 있다. 헤드셋(100)의 제 1 스피커부(410)와 제 2 스피커부(420)가 서로 근접하는 경우, 상기 도 1과 도 2에서 설명한 리드 스위치(Reed switch)의 동작 원리가 적용되어 스위치가 단락 상태에 놓이게 되며 이를 통해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헤드셋(100)을 머리에 쓰고 있다가 벗어 놓는 경우, 서로 떨어져 있던 제 1 스피커부와 제 2 스피커부가 서로 맞닿을 정도로 근접하게 된다. 이 경우, 리드 스위치가 단락 되어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헤드셋(100)은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일단부에 연결된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고, 단말기로 하여금 미리 설정된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헤드셋(100)을 쓰고 벗는 행위에 따라 스위치가 개방 혹은 단락 상태가 되므로 헤드셋(100)은 서로 다른 두 가지 전기적 신호를 단말기에 전달할 수 있다. 헤드셋(100)은 단말기에 서로 다른 두 가지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단말기에서 미리 설정된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헤드셋(100)을 벗는 경우, 리드 스위치와 자성 물체가 근접하기에 리드 스위치가 단락된다. 이 경우 헤드셋(100)은 단말기에 저수준(low level) 신호를 전달할 수 있고 단말기로 하여금 컨텐츠 출력을 중단하게 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헤드셋(100)을 쓰는 경우, 리드 스위치와 자성 물체가 멀어지기에 리드 스위치가 개방된다. 이 경우 헤드셋(100)은 단말기에 고수준(high level) 신호를 전달할 수 있고 단말기로 하여금 컨텐츠를 출력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 중 다른 하나에 따른 헤드셋(100)의 돔 스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헤드셋(100)은 제 1 스피커부(510), 제 2 스피커부(520) 및 연결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530)는 돔 스위치(Dome switch, 540)를 포함할 수 있다. 돔 스위치(540)는 상부(542)와 하부(54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542)는 연결부(530)의 천장에 고정될 수 있고, 하부(544)는 상부(542)보다 아래에 고정될 수 있다. 특히, 헤드셋(100)의 하부(544)는 헤드셋(100)을 벗는 경우, 펼쳐져 있던 연결부가 휘어짐을 이용하여 헤드셋(100)의 상부(542)를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스피커부(510)와 제 2 스피커부(520)가 가까워질수록 연결부(530)의 휘어지는 정도가 커지게 되며 이 때, 하부(544)가 튀어올라 상부(542)를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이 발생하면 개방 상태에 있던 돔 스위치(540)가 단락 상태에 놓이게 되며 이를 통해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헤드셋(100)은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일단부에 연결된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고, 단말기로 하여금 미리 설정된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헤드셋(100)을 쓰고 벗는 행위에 따라 스위치가 개방 혹은 단락 상태가 되므로 헤드셋(100)은 서로 다른 두 가지 전기적 신호를 단말기에 전달할 수 있다. 헤드셋(100)은 단말기에 서로 다른 두 가지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단말기에서 미리 설정된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헤드셋(100)을 벗는 경우, 돔 스위치(540)의 상부(542)와 하부가(544) 접촉하기에 돔 스위치가 단락된다. 이 경우 헤드셋(100)은 단말기에 low level 신호를 전달할 수 있고 단말기로 하여금 컨텐츠 출력을 중단하게 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헤드셋(100)을 쓰는 경우, 돔 스위치(540)의 상부(542)와 하부가(544) 접촉하지 않기에 돔 스위치가 개방된다. 이 경우 헤드셋(100)은 단말기에 high level 신호를 전달할 수 있고 단말기로 하여금 컨텐츠를 출력하게 할 수 있다.
도 6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헤드셋의 동작 인식을 위한 단자 활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헤드셋(100)의 동작을 인식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4극 단자(620)를 사용할 수 있다. 종래의 4극 단자는 레프트(L), 라이트(R), 그라운드(G), 마이크(M)의 순으로 배열되어 있었다. 동작 인식 가능한 헤드셋(100)을 구현하기 위해서, 마이크(M) 단자를 헤드셋 동작 인식용 단자(H, 628)로 활용할 수 있고 이는 도 6의 620과 같다. 따라서, 헤드셋(100)을 위한 신규 4극 단자는 레프트(L, 622), 라이트(R, 624), 그라운드(G, 626), 헤드셋(H, 628)의 순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3극 단자(610)도 도 6의 620과 같이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존의 3극 단자(610)는 레프트(L, 612), 라이트(R, 614), 그라운드(G, 616)의 순으로 배열되어 있었다. 동작 인식 가능한 헤드셋(100)을 구현하기 위해서, 그라운드(G, 616) 단자의 일부를 헤드셋 동작 인식용 단자(H, 628)로 활용할 수 있고 이는 도 6의 620과 같다. 따라서, 헤드셋(100)을 위한 신규 4극 단자는 레프트(L, 622), 라이트(R, 624), 그라운드(G, 626), 헤드셋(H, 628)의 순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헤드셋의 스위치 동작 회로도이다.
도 7의 회로는 헤드셋(100) 내부 회로(710)와 단말기 내부 회로(7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리드 스위치(Reed switch) 기반의 헤드셋(100)이나 돔 스위치(Dome switch) 기반의 헤드셋(100) 모두 도 7의 회로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헤드셋(100) 내부 회로(710)는 헤드셋 인식용 저항(712), 헤드셋 스위치(714) 및 헤드셋 동작 인식용 저항(716)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내부 회로(720)는 입력 전원 및 단말기 내부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셋 인식용 저항(712)은 헤드셋 동작 인식용 저항(716) 및 단말기 내부 저항에 비해 매우 큰 저항 값을 지닐 수 있고, 헤드셋 동작 인식용 저항(716)은 단말기 내부 저항과 같거나 작은 저항 값을 지닐 수 있다.
도 7의 헤드셋 스위치(714)는 본 발명의 리드 스위치(Reed switch) 또는 돔 스위치(Dome switch)에 대응할 수 있다. 헤드셋 인식용 저항(712)은 헤드셋(100)이 단말기에 연결되었을 때 정상적으로 인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헤드셋 스위치(714)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 5에서 언급한 헤드셋 동작 인식용 단자(H)로 인식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헤드셋(100)을 벗고 쓰는 행위에 따라 헤드셋 스위치(714)가 단락 또는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헤드셋(100)을 벗는 경우, 본 발명의 리드 스위치(Reed switch) 또는 돔 스위치(Dome switch)가 각 스위치의 동작 원리에 기초하여 단락 상태가 된다. 도 7의 헤드셋 스위치(714)가 단락 상태가 되면 헤드셋 인식용 저항(712)과 헤드셋 동작 인식용 저항(716)이 병렬 연결되어 헤드셋(100) 내부 회로에 전달되는 전압 값이 개방 상태일 때의 전압 값보다 낮아질 수 있다. 이 경우 헤드셋(100)은 단말기에 저수준(low level) 신호를 전달할 수 있고 단말기로 하여금 컨텐츠 출력을 중단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헤드셋(100)을 쓰는 경우, 리드 스위치(Reed switch) 또는 돔 스위치(Dome switch)가 각 스위치의 동작 원리에 기초하여 개방 상태가 된다. 도 7의 헤드셋 스위치(714)가 개방 상태가 되면 헤드셋 인식용 저항(712)만이 작용하여 헤드셋(100) 내부 회로에 전달되는 전압 값이 단락 상태일 때의 전압 값보다 높아질 수 있다. 이 경우 헤드셋(100)은 단말기에 고수준(high level) 신호를 전달할 수 있고 단말기로 하여금 컨텐츠를 다시 출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두 가지 수준의 신호로 동작 가능한 기능이 출력 또는 멈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헤드셋(100)과 연결된 단말기의 자체 설정으로 출력, 멈춤, 앞 건너뛰기, 뒤 건너뛰기 등 여러 기능 중에서 원하는 기능 두 가지를 선택하도록 제조사 또는 사용자가 설정 및 변경을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헤드셋 102: 감지부
104: 스피커부 106: 연결부

Claims (18)

  1. 헤드셋에 있어서,
    제 1 스피커부;
    제 2 스피커부;
    상기 제 1 스피커부와 상기 제 2 스피커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 1 스피커부와 제 2 스피커부의 근접 또는 이격을 감지하여,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적 신호는 상기 헤드셋에서 출력 중인 컨텐츠의 출력 제어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수동(Passive)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Passive) 소자는
    리드 스위치(Reed switch)와 자성 물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스위치(Reed switch)와 상기 자성 물체는
    상기 제 1 스피커부 및 상기 제 2 스피커부 중 서로 다른 스피커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Passive) 소자는
    돔 스위치(Dome switc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의 일단부는 단말기, 나머지는 상기 헤드셋과 연결되고,
    상기 전기적 신호는 상기 일단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신호는 저수준(Low level) 신호 또는 고수준(High level) 신호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스위치(Reed switch)는 상기 제 1 스피커부와 상기 제 2 스피커부가 근접 시 단락되고, 상기 제 1 스피커부와 상기 제 2 스피커부가 이격시 개방되어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의 일단부는 단말기, 나머지는 상기 헤드셋과 연결되고,
    상기 전기적 신호는 상기 일단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스위치(Reed switch)는 단락 시, 저수준(Low level) 신호를 생성하여 단말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스위치(Reed switch)는 개방 시, 고수준(High level) 신호를 생성하여 단말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신호는
    상기 단말기로 전달되어 상기 단말기의 기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13.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돔 스위치(Dome switch)는 상기 제 1 스피커부와 상기 제 2 스피커부가 근접 시 단락되고, 상기 제 1 스피커부와 상기 제 2 스피커부가 이격시 개방되어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의 일단부는 단말기, 나머지는 상기 헤드셋과 연결되고,
    상기 전기적 신호는 상기 일단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돔 스위치(Dome switch)는 단락 시, 저수준(Low level) 신호를 생성하여 단말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돔 스위치(Dome switch)는 개방 시, 고수준(High level) 신호를 생성하여 단말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신호는
    상기 단말기로 전달되어 상기 단말기의 기 설정된 기능을 실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기능은
    재생, 멈춤, 앞 건너뛰기 및 뒤 건너뛰기 중 두 개의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KR1020140004356A 2014-01-14 2014-01-14 자동 제어 가능한 음향 기기 KR2015008438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356A KR20150084388A (ko) 2014-01-14 2014-01-14 자동 제어 가능한 음향 기기
CN201510018671.5A CN104780476B (zh) 2014-01-14 2015-01-14 可自动控制的声音配件
US14/596,454 US9961430B2 (en) 2014-01-14 2015-01-14 Automatically controllable sound accessory
EP15151094.8A EP2894878B1 (en) 2014-01-14 2015-01-14 Automatically controllable sound accesso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356A KR20150084388A (ko) 2014-01-14 2014-01-14 자동 제어 가능한 음향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388A true KR20150084388A (ko) 2015-07-22

Family

ID=52358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356A KR20150084388A (ko) 2014-01-14 2014-01-14 자동 제어 가능한 음향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61430B2 (ko)
EP (1) EP2894878B1 (ko)
KR (1) KR20150084388A (ko)
CN (1) CN1047804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06699B (zh) * 2015-09-30 2019-04-2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和信息处理方法
TWI559146B (zh) * 2015-11-23 2016-11-21 廣達電腦股份有限公司 可攜式電子系統
EP3588248B1 (en) 2017-03-09 2021-09-15 Huawei Technologies Co., Ltd. Earphones and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2290A (ja) 1991-09-03 1993-03-12 Sharp Corp 再生装置
JP2003037886A (ja) 2001-07-23 2003-02-07 Sony Corp ヘッドホン装置
KR20070066385A (ko) 2005-12-22 2007-06-27 남승현 정전용량 감지센서를 이용한 자동제어 이어폰 시스템
KR20080023479A (ko) 2006-09-11 2008-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오디오 재생기의 음향 제어 장치 및 방법
US8335312B2 (en) * 2006-10-02 2012-12-18 Plantronics, Inc. Donned and doffed headset state detection
US8134593B2 (en) 2006-11-22 2012-03-13 Nikon Corporation Output device
CN101211650A (zh) * 2006-12-25 2008-07-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音频播放装置及其应用的耳机、自动控制方法
US20080157991A1 (en) * 2007-01-03 2008-07-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mote monitor device with sensor to control multimedia playback
JP4905280B2 (ja) 2007-07-23 2012-03-28 船井電機株式会社 ヘッドホンシステム
US20100020982A1 (en) * 2008-07-28 2010-01-28 Plantronics, Inc. Donned/doffed multimedia file playback control
JP4612728B2 (ja) 2009-06-09 2011-01-12 株式会社東芝 音声出力装置、及び音声処理システム
CN102149032A (zh) * 2010-02-10 2011-08-10 美律实业股份有限公司 具有电容式感测功能的入耳式耳机
WO2011131823A1 (en) * 2010-04-23 2011-10-27 Nokia Corporation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ausing a change in the state of a headset
US8948412B2 (en) 2010-10-25 2015-02-03 Plantronics, Inc. Automatic detection of the wearing style of a convertible headset
US20130129110A1 (en) * 2011-11-18 2013-05-23 Kaddan Entertainment, Inc. Headphone System for Activating a Control Module
US8675885B2 (en) 2011-11-22 2014-03-18 Bose Corporation Adjusting noise reduction in headphones
US20130345842A1 (en) * 2012-06-25 2013-12-26 Lenovo (Singapore) Pte. Ltd. Earphone removal detection
CN203057476U (zh) * 2013-01-11 2013-07-10 易力声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基于张力检测的智能开关控制头戴式耳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780476A (zh) 2015-07-15
US20150201267A1 (en) 2015-07-16
US9961430B2 (en) 2018-05-01
EP2894878B1 (en) 2016-09-21
CN104780476B (zh) 2019-05-31
EP2894878A1 (en) 2015-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749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pplication Program, and Electronic Device
CN105393522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N110764730B (zh) 播放音频数据的方法和装置
EP2615805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7071648B (zh) 声音播放调节系统、装置及方法
US20110206215A1 (en) Personal listening device having input applied to the housing to provide a desired function and method
CN111050250B (zh) 降噪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9232035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eventing leakage of received sound
MX2014008710A (es) Metodo y dispositivo de control de terminal mediante el uso de cable de auriculares, y aparato.
KR20130141209A (ko) 근접 터치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7012629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8966067A (zh) 播放控制方法及相关产品
CN106130663B (zh) 调整天线状态的方法及装置、电子设备
KR20130124206A (ko) 뼈 전도 변환기를 갖는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장치
CN105554631B (zh) 音频切换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9525919B (zh) 开关机控制装置、开关机控制方法、系统及存储介质
KR20190037834A (ko) 외부 마이크로폰의 그라운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에 포함된 지정된 핀이 회로 기판의 지정된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KR20150084388A (ko) 자동 제어 가능한 음향 기기
CN109189313B (zh) 移动装置及其控制方法
JP2023521882A (ja) オーディオ出力方式の切り替え方法及び電子機器
CN109360577B (zh) 对音频进行处理的方法、装置存储介质
CN110708627B (zh) 一种耳机及其控制方法
JP2023516320A (ja) 電子機器
CN107124677B (zh) 声音输出控制系统、装置及方法
CN104902054A (zh) 滤除移动终端的干扰频点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