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374B1 -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374B1
KR102018374B1 KR1020120123689A KR20120123689A KR102018374B1 KR 102018374 B1 KR102018374 B1 KR 102018374B1 KR 1020120123689 A KR1020120123689 A KR 1020120123689A KR 20120123689 A KR20120123689 A KR 20120123689A KR 102018374 B1 KR102018374 B1 KR 102018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liding key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7052A (ko
Inventor
이우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3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374B1/ko
Publication of KR20140057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 1 커버(First Cover), 상기 제 1 커버에 대항되는 제 2 커버(Second Cover), 상기 제 1 커버와 상기 제 2 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 및 상기 제 1 커버에 배치되는 슬라이딩 키(Sliding Key)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나란한 베이스부(Base Portion) 및 상기 베이스부의 적어도 일측 끝단에서 상기 베이스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Side Wall)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키는 상기 베이스부와 나란한 제 1 부분(First Portion) 및 상기 측벽과 나란한 제 2 부분(Second Portion)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요즘 이동통신 단말기는 보다 빠른 데이터 처리 속도, 더욱 선명한 화질, 더욱 다양한 기능 등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더 구비함에 따라, 그 구조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으면서도 조립공정이 용이한 슬라이딩 키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Cover), 상기 커버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커버에 배치되는 슬라이딩 키(Sliding Key)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키는 상기 커버의 인접하는 적어도 두 개의 면(Surface)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제 1 커버(First Cover) 및 상기 제 1 커버에 대항되는 제 2 커버(Second Cover)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 1 커버와 상기 제 2 커버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커버는 상기 제 1 커버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나란한 베이스부(Base Portion) 및 상기 베이스부의 적어도 일측 끝단에서 상기 베이스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Side Wall)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키는 상기 베이스부와 나란한 제 1 부분(First Portion) 및 상기 측벽과 나란한 제 2 부분(Second Por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은 상기 베이스부의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측벽의 경계부분에는 개구부(Opening)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키는 상기 개구부를 따라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이동가능(Movable) 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개구부의 크기는 상기 측벽과 나라한 방향으로 상기 개구부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부분의 크기는 상기 제 2 부분이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와 인접한 부분에서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측벽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개구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후크(First Hook)가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키는 상기 제 1 후크에 대응되는 제 2 후크(Second Hook)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키는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외부부분(Outer Part) 및 상기 외부부분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부분(Inner Part)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부분은 외부로 노출(Externally Exposed) 되고, 상기 제 2 후크는 상기 내부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부분의 탄력성은 상기 외부부분의 탄력성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내부부분과 상기 외부부분의 사이에 끼워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부분은 상기 제 2 부분에 대응되는 제 3 부분 및 상기 제 3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 3 부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4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부분과 상기 제 4 부분의 사이 각도는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의 사이 각도보다 작고, 상기 제 2 후크는 상기 제 4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소정의 커버(Cover)의 두 면(Surface)에 인접하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키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으면서도 조립공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5 내지 도 23은 슬라이딩 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은 소정의 커버가 제 1 면(First Surface) 및 제 1 면에 교차하며 제 1 면의 끝단에서 연장되는 제 2 면(Second Surface)를 포함하는 전자 제품이면 어떤 것에라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바(Bar)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형태가 바 타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전면커버(Front Cover, 210), 배터리커버(Battery Cover, 220) 및 디스플레이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전면커버(210)와 배터리커버(220)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전면커버(210)를 제 1 커버(First Cover)라 하고, 배터리커버(220)를 제 2 커버(Second Cover)라 칭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혹은 이와 반대로 배터리커버(220)를 제 2 커버라 하고, 전면커버(210)를 제 1 커버라 칭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151)와 배터리커버(220)의 사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동보드(Driving Board) 및 전자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이라고 칭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부(151)는 2D 영상 및/또는 3D 영상을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패널(Display Panel)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액정표시패널(LCD), 유기발광표시패널(OLED) 등 다양한 타입이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전면커버(21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테두리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전면커버(21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측면을 덮는(Cover)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전면커버(21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방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151)를 보호하기 위한 필름 재질 혹은 유리 재질의 보호기판이 더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배터리커버(22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장착되는 배터리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배터리를 구속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 및 도 2의 경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음향출력부(152), 전면카메라(280a), 사용자 입력부(281, 284), 마이크(122), 후방카메라(280b), 슬라이딩 키(Sliding Key, 500) 및 인터페이스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음향출력부(152)는 수화음 등을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일 수 있다. 음향출력부(152)는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음향출력부(152)는 수화음을 출력하기 위한 제 1 음향출력부, 벨소리, 메시지 수신음 등 다양한 어플레케이션(Application)에 따른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 2 음향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방카메라(280a)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 등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는 전방카메라(280a)로 촬영한 자신의 영상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와 화상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81, 284)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281, 284)는 다양한 조작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부(281, 284)는 터치 입력부(281) 및 사이드버튼(284)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터치 입력부(281)는 사용자의 근접 터치 및/또는 접촉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버튼(284)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81)는 정전식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터치 입력부(281)에 대응되는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소정의 명령이 실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사용자의 명령 입력, 즉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터치 입력부(281)에서 광이 발생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터치한 영역을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81, 284)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281)의 사이드 버튼(284)은 물리적인 버튼(physical button)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 입력부(281, 284)에는 사용빈도가 높거나 주요한 기능이 할당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시작 및/또는 종료, 음향 조절 등의 기능이 사용자 입력부(281, 284)에 할당될 수 있다.
사이드 버튼(284)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음량 등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사이드버튼(284)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슬라이딩 키(500)는 다른 종류의 사용자 입력부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키(5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딩 키(500)의 슬라이딩 방식의 움직임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파워-온/오프(On/Off), 음량 조절, 스크롤 업/다운(Scroll Up/Down),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에서 활성화 모드로 모드 전환, 미리 설정된 메인 화면으로의 화면 전환 등 다양한 기능이 슬라이딩 키(500)에 적용될 수 있다. 슬라이딩 키(500)의 기능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 키(500)가 소정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슬라이딩 키(500)의 슬라이딩 방식의 움직임에 따른 신호가 메인 회로 기판(400)에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설명을 하지 않더라도 충분히 구현가능하기 때문에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1의 경우와 같이, 슬라이딩 키(500)가 전면커버(210)에 배치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슬라이딩 키(500)는 서로 인접하는 적어도 두 면(Surface)을 포함하는 구조물이라면 어디에든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라이딩 키(500)는 배터리커버(220)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슬라이딩 키(500)의 보다 상세한 구성은 이하에서 설명한다.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등을 획득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후면을 보면, 도 2의 경우와 같이, 배터리커버(220)가 노출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후방카메라(280b)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후방카메라(280b)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 등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후방카메라(280b)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영상을 확인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후방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후방카메라(280b) 및 전방카메라(280a)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후방카메라(280b) 및 전방카메라(280a)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에는 플래시(Flash) 및/또는 미러(Mirror)가 더 배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플래시는 촬영 시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어 피사체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하게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로부터 데이터, 전력 등을 공급받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측면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안테나(Antenna)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안테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방 혹은 후방에 터치 동작을 위한 터치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전면커버(210), 배터리커버(220), 배터리커버(220)와 전면커버(210)의 사이에 위치하는 하우징(Housing, 240), 디스플레이 모듈(151)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는 기판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기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기판은 실질적으로 투명하며, 유리 재질 혹은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면커버(210)와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사이에 사용자의 터치(Touch)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널(Touch Panel)이 더 배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하우징(240)은 다양한 전자부품,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Driver)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240)은 배터리커버(220)에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커버(220)와 하우징(240)의 연결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커버(220)는 하우징(240)에 팝업 타입(pop-up type), 슬라이드 타입(slide type), 풀 타입(pull type) 등으로 연결되거나 탈착될 수 있다.
하우징(240)에는 후방카메라(280b)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후방카메라(280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배터리커버(220)에 후방카메라(280b)에 대응되는 제 1 홀(Hole, 221)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240)에는 배터리(27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240)은 배터리(270)가 장착되는 부분, 즉 배터리 결합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40)은 배터리 단자(37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단자(371)는 배터리(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터리(270)의 에너지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공급될 수 있다.
배터리 단자(371)는 배터리 결합부(370)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270)가 배터리 결합부(370)에 배치되면 배터리(270)가 안전하게 구속될 수 있으며, 배터리(270)가 배터리 단자(371)에 안정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하우징(240)에서 배터리커버(220)를 분리시킨 후에 배터리(270)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240)에는 메모리 결합부(38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 결합부(380)에 메모리 카드, USIM 카드 등의 메모리(390)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하우징(140)에 대해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하우징(240)은 프레임(Frame, 310)과 후면커버(Rear Cover, 3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310)에는 다양한 전자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31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메인 회로 기판(400)이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프레임(310)과 후면커버(320)의 사이에 메인 회로 기판(400)이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메인 회로 기판(400)에는 다양한 회로부품(401)이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회로 기판(4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메인 회로 기판(400)은 제어부(Controller)라고 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메인 회로 기판(400)은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프레임(310)에는 배터리 단자(371)가 배치된 단자 몸체(372), 메모리 결합부(380), 후방카메라(280b)가 배치될 수 있다.
후방카메라(280b) 및/또는 메모리 결합부(380)는 후면커버(320)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단자 몸체(372)는 프레임(310)에서 배터리(270)에 대응되는 영역(370a)에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310)에는 후면커버(320)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340)가 배치될 수 있다. 후면커버(320)에는 프레임(310)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341)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342)이 체결홀(341)을 관통하여 체결부(340)에 연결됨으로써, 프레임(310)과 후면커버(320)가 체결될 수 있다.
후면커버(320)는 프레임(310)과 연결되어 프레임(310)에 배치되는 다양한 전자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
후면커버(320)에는 배터리 결합부(370)를 위한 배터리홀(370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홀(370b)은 프레임(310)의 배터리(270)에 대응되는 영역(370a)에 대응될 수 있다.
아울러, 배터리홀(370b)에는 단자 몸체(372)를 위한 단자홀(370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면커버(320)는 메모리 결합부(380)에 대응되는 메모리홀(361) 및 후방카메라(280b)에 대응되는 카메라홀(221)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레임(310)에 배치되는 후방카메라(280b)는 카메라홀(221) 및 배터리커버(220)에 형성된 제 1 홀(22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310)에 배치되는 메모리 결합부(380)는 메모리홀(361)을 통해 후면커버(320) 밖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어폰(Earphone), 헤드셋(Headset) 등의 외부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 내지 도 23은 슬라이딩 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Cover)와 커버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커버에는 슬라이딩 키(Sliding Key)가 배치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 키는 커버의 인접하는 적어도 두 개의 면(Surface)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 경우와 같이, 슬라이딩 키(500)는 전면커버(210)에서 인접하는 적어도 두 개의 면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슬라이딩 키(500)가 배치되는 전면커버(210)는 베이스부(Base Portion, 600) 및 베이스부(600)의 적어도 일측 끝단에서 베이스부(60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Side Wall, 6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600)를 제 1 면(First Surface)라 하고, 측벽(610)을 제 2 면(Second Surface)라고 칭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베이스부(600)는 전면커버(210)에서 도시하지 않은 디스플레이 모듈과 나란한 부분일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베이스부(600)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일 수 있다.
슬라이딩 키(500)는 베이스부(600)와 측벽(610)의 경계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면커버(210)의 베이스부(600)와 측벽(610)의 경계부분에 개구부(Opening, 620)가 형성되고, 슬라이딩 키(500)는 개구부(620)를 따라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이동가능(Movable) 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슬라이딩 키(500)는 베이스부(600)와 나란한 제 1 부분(First Portion, 510) 및 측벽(610)과 나란한 제 2 부분(Second Portion, 52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면커버(210)의 전방에서 슬라이딩 키(500)의 제 1 부분(510)을 관찰할 수 있고, 아울러 전면커버(210)의 측면에서 슬라이딩 키(500)의 제 2 부분(520)을 관찰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슬라이딩 키(500)의 제 1 부분(510)은 전면커버(210)의 베이스부(600)에서 외부로 노출되고, 슬라이딩 키(500)의 제 2 부분(520)은 전면커버(210)의 측벽(610)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슬라이딩 키(500)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고, 아울러 슬라이딩 키(500)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전면커버(210)에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690은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되는 화면 영역(Display Area)일 수 있고, 부호 680은 소정의 키(Key)가 노출되기 위한 홀일 수 있다.
도 5에서 전면커버(210)의 구조는 앞선 도 1에서 설명한 구조와 다르게 개시되어 있지만, 도 1의 전면커버(210)와 도 5의 전면커버(210)는 베이스부(600)와 측벽(610)을 포함하는 점에서 동일할 수 있다.
도 6의 경우와 같이, 전면커버(210)의 단면 구조를 살펴보면, 수평방향으로 베이스부(600)가 배치되고, 베이스부(600)의 끝단에서 측벽(610)이 베이스부(60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슬라이딩 키(500)가 배치될 수 있는 커버는 베이스부(600)와 측벽(610)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의 경우와 같이, 전면커버(210)의 베이스부(600)는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 1 장변(LS1)에 대항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 1 장변(LS1)과 제 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제 1 단변(SS1)에 대항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할 때,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에는 각각 측벽(610)이 형성될 수 있고, 제 1 단변(SS1) 및 제 2 단변(SS2)에는 측벽(610)이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전면커버(210)에서도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 중 적어도 하나에서 베이스부(600)와 측벽(610)의 경계영역에 개구부(620)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개구부(620)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키(500)가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8의 경우와 같이, 전면커버(210)에서 측벽(610)은 베이스부(60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전면커버(210)의 적어도 일측에서 베이스부(600)와 측벽(610)의 경계영역에서는 개구부(620)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키(500)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전면커버(210)에 슬라이딩 키(500)가 배치된 상태에서는, 도 9의 (A)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슬라이딩 키(500)에 하부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에, 슬라이딩 키(500)는 사용자가 가한 힘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면에, 도 9의 (B)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슬라이딩 키(500)에 상부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에, 슬라이딩 키(500)는 사용자가 가한 힘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방식의 이동에 따라 소정의 기능이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9의 (A)의 경우에는 음향을 줄이거나, 소정 화면을 줌 아웃(Zoom Out)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워를 오프(Off) 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도 9의 (B)의 경우에는 음향을 높이거나, 소정 화면을 줌 업(Zoom Up)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워를 온(On) 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슬라이딩 키(500)의 기능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전면커버(210)의 개구부(620)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10의 경우와 같이, 개구부(620)는 베이스부(600)와 인접하는 부분(OA1) 및 측벽(610)과 인접하는 부분(OA2)을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620)는 베이스부(600)와 측벽(610)의 경계영역에서 베이스부(600)의 일부 및 측벽(610)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개구부(620)에서 베이스부(600)와 인접하는 부분(OA1)의 크기는 측벽(610)과 인접하는 부분(OA2)의 크기와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구부(620)에서 베이스부(600)와 인접하는 부분(OA1)의 크기는 측벽(610)과 인접하는 부분(OA2)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면커버(210)의 전방으로 슬라이딩 키(500)가 과도하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베이스부(600)와 나란한 방향으로 개구부(620)의 크기는 측벽(610)과 나라한 방향으로 개구부(620)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또 다르게 표현하면, 도 10의 경우와 같이,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으로 개구부(620)의 폭(L1)은 제 2 방향(DR2)과 교차하는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으로 개구부(620)의 폭(L2)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제 3 방향(DR3)은 측벽(610)이 베이스부(600)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2 방향(DR2)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기준으로 가로 방향이라고 볼 수 있으며, 제 2 방향(DR2) 및 제 3 방향(DR3)과 교차하는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기준으로 세로 방향이라고 볼 수 있다.
또는,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함께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칭하고, 제 3 방향(DR3)을 수직방향이라고 칭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키(5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부(620)의 주위에는 주변보다 높이가 낮은 부분(611, 612)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부호 611을 제 1 저고도 부분이라 칭하고, 부호 612를 제 2 저고도 부분이라 칭한다.
제 1 저고도 부분(611)은 베이스부(600)에 형성되며, 베이스부(600)를 기준으로 제 1 저고도 부분(611)의 높이는 베이스부(600)의 다른 부분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저고도 부분(611)은 베이스부(600)에서 소정 깊이 함몰된 부분이라고도 볼 수 있다. 또는, 제 1 저고도 부분(611)의 두께는 베이스부(600)의 다른 부분에서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아울러, 제 2 저고도 부분(612)은 측벽(610)에 형성되며, 측벽(610)을 기준으로 제 2 저고도 부분(612)의 높이는 측벽(610)의 다른 부분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2 저고도 부분(612)은 측벽(610)에서 소정 깊이 함몰된 부분이라고도 볼 수 있다. 또는, 제 2 저고도 부분(612)의 두께는 측벽(610)의 다른 부분에서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제 1 저고도 부분(611) 및 제 2 저고도 부분(612)은 슬라이딩 키(5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슬라이딩 키(500)가 베이스부(600) 및 측벽(610)으로부터 과도하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면커버(210)의 내측을 살펴보면 도 11의 경우와 같다.
도 11을 살펴보면, 전면커버(210)의 내측면에는 제 1 후크(First Hook, 601)가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전면커버(210)에는 개구부(620)와 인접한 부분에서 베이스부(600) 및 측벽(610) 중 어느 하나에는 개구부(6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후크(601)가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후크(601)는 베이스부(600)에서 개구부(620)의 인접하며, 제 1 방향(DR1)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제 1 후크(601)가 베이스부(600)에 형성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제 1 후크(601)는 측벽(610)에 형성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으며, 베이스부(600)와 측벽(610)에 각각 제 1 후크(601)가 형성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후크(601)가 베이스부(600)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러한 제 1 후크(601)는 도시하지 않은 슬라이딩 키(500)에 형성되는 제 2 후크(Second Hook)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600)에는 제 1 후크(601)의 주위에 제 1 돌출부(60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돌출부(603)는 제 1 후크(601)와 함께 소정의 레일(Rail, 60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레일(602)을 따라 슬라이딩 키(50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면커버(210)에서 제 1 돌출부(603)가 생략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슬라이딩 키(500)는, 도 12의 경우와 같이, 외부부분(Outer Part, 500A) 및 외부부분(500A)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부분(Inner Part, 500B)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부분(500A)은 외부로 노출(Externally Exposed)될 수 있다.
내부부분(500B)에는 앞서 설명한 전면커버(210)에 형성되는 제 1 후크(601)에 대응되는 제 2 후크(550)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외부부분(500A)과 내부부분(500B)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부분(500B)은 접착제, 접착시트 등에 의해 외부부분(500A)에 부착될 수 있다.
외부부분(500A)은 앞서 설명한 제 1 부분(510)과 제 2 부분(5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부분(510)의 폭(W1)은 제 2 부분(520)의 폭(W2)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면커버(210)의 전방으로 슬라이딩 키(500)가 과도하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내부부분(500B)은 외부부분(500A)의 제 2 부분(520)에 대응되는 제 3 부분(5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3 부분(530)은 제 2 부분(520)에 부착되는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내부부분(500B)은 제 3 부분(530)으로부터 제 3 부분(53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4 부분(5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4 부분(540)에는 앞서 설명한 제 2 후크(550)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내부부분(500B)의 제 3 부분(530)에는 제 2 돌출부(560)가 형성될 수있다.
도 13을 살펴보면, 외부부분(500A)과 내부부분(500B)의 사이에는 중간부분(700)이 더 배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중간부분(700)이 생략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혹은 외부부분(500A)과 내부부분(500B)이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혹은 외부부분(500A), 중간부분(700) 및 내부부분(500B)이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외부부분(500A), 중간부분(700) 및 내부부분(500B)이 각각 별개로 형성되는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이러한 중간부분(700)은 외부부분(500A)과 내부부분(500B)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중간부분(700)은 외부부분(500A)에 접착제, 접착시트 등에 의해 부착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중간부분(700)은 외부부분(500A)의 제 1 부분(510)과 접촉하는 부분(720) 및 제 2 부분(520)과 접촉하는 부분(7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중간부분(700)과 외부부분(500A)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내부부분(500B)은 중간부분(700)에 접착제, 접착시트 등에 의해 부착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내부부분(500B)과 중간부분(70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간부분(700)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홀(730)을 형성하고, 내부부분(500B)에는 제 1 홀(730)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531)를 형성할 수 있다.
내부부분(500B)과 중간부분(700)의 결합 시에 내부부분(500B)의 돌출부(531)가 중간부분(700)의 제 1 홀(730)에 끼워지게 되어 내부부분(500B)과 중간부분(700)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중간부분(700)에는 내부부분(500B)의 이탈을 방지하는 벽(740)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 14의 경우와 같이, 외부부분(500A)에 내부부분(500B)의 돌출부(531)에 대응하는 제 2 홀(5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내부부분(500B), 중간부분(700) 및 외부부분(500A)의 결합 시에 내부부분(500B)의 돌출부(531)가 중간부분(700)의 제 1 홀(730) 및 외부부분(500A)의 제 2 홀(521)을 관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도 15의 경우와 같이, 내부부분(500B)의 돌출부(531)는 외부부분(500A)의 제 2 홀(521)보다 소정 높이(W3)만큼 더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돌출부(531)를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슬라이딩 키(500)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외부부분(500A)과 내부부분(500B)이 결합하면 도 16과 같은 구조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중간부분(700)이 생략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외부부분(500A)과 내부부분(500B) 사이에 중간부분(700)이 위치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16을 살펴보면, 외부부분(500A)의 제 1 부분(510)과 제 2 부분(520) 사이의 각도(θ2)는 내부부분(500B)의 제 3 부분(530)과 제 4 부분(540) 사이의 각도(θ1)와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키(500)와 전면커버(210)의 결합을 용이하기 하기 위해 외부부분(500A)의 제 1 부분(510)과 제 2 부분(520) 사이의 각도(θ2)는 내부부분(500B)의 제 3 부분(530)과 제 4 부분(540) 사이의 각도(θ1)보다 클 수 있다. 예컨대, 외부부분(500A)의 제 1 부분(510)과 제 2 부분(520) 사이의 각도(θ2)는 둔각이고, 내부부분(500B)의 제 3 부분(530)과 제 4 부분(540) 사이의 각도(θ1)는 예각일 수 있다.
또한, 내부부분(500B)의 제 3 부분(530)의 폭(T2)은 제 4 부분(540)의 폭(T1)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내부부분(500B)의 제 4 부분(540)의 탄력성이 충분히 클 수 있고, 이에 따라 슬라이딩 키(500)와 전면커버(210)의 결합이 용이할 수 있다.
슬라이딩 키(500)와 전면커버(210)가 결합되면 도 17과 같은 구조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도 17을 살펴보면, 전면커버(210)의 베이스부(600)에 형성된 제 1 후크(601)는 슬라이딩 키(500)의 내부부분(500B)의 제 4 부분(540)에 형성된 제 2 후크(550)와 맞물릴 수 있다.
아울러, 베이스부(600) 및 측벽(610) 중 적어도 하나는 내부부분(500A)과 외부부분(500B)의 사이에 끼워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면커버(210)의 측벽(610)은 내부부분(500B)의 제 2 돌출부(560)와 외부부분(500A)의 제 2 부분(520)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이처럼, 슬라이딩 키(500)와 전면커버(2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키(500)는, 앞선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슬라이딩 키(500)와 전면커버(21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는, 도 18의 경우와 같이, 제 1 후크(601)와 제 2 후크(550)를 결합한 이후에 슬라이딩 키(500)의 외부부분(500A)의 제 2 부분(520)과 내부부분(500B)의 제 3 부분(530)을 측벽(610)과 결합하도록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 넣을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딩 키(500)를 전면커버(210)에 멀어 넣는 간단한 방법으로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슬라이딩 키(500)와 전면커버(210)의 결합 공정을 더욱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슬라이딩 키(500)의 내부부분(500B)은 충분히 큰 탄력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슬라이딩 키(500)의 내부부분(500B)의 탄력성은 외부부분(500A)의 탄력성보다 큰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 키(500)의 외부부분(500A)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성 재질을 포함하고, 내부부분(500B)은 플라스틱 등의 탄력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딩 키(500)와 전면커버(21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 19의 경우와 같이, 전면커버(210)의 측벽(610)에 제 3 돌출부(630)를 형성할 수 있다. 제 3 돌출부(630)는 측벽(610)으로부터 내부부분(500B)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아울러, 슬라이딩 키(500)의 내부부분(500B)의 제 3 부분(530)은 제 3 돌출부(630)에 대응되는 제 4 돌출부(570)와 제 1 홈(58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측벽(610)의 제 3 돌출부(630)는 내부부분(500B)의 제 1 홈(580)에 끼워지게 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0의 경우와 같이, 슬라이딩 키(500)와 전면커버(21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슬라이딩 키(500)가 전면커버(2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4 돌출부(570)와 제 3 돌출부(630)는 맞물리고, 제 3 돌출부(630)의 일면은 비스듬한 형태의 표면(631)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슬라이딩 키(500)와 전면커버(210)의 결합 시 제 4 돌출부(570)가 제 3 돌출부(630)의 비스듬한 면(631)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스프링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21의 제 5 영역(AR5)에서와 같이, 전면커버(210)의 측벽(610)에는 스프링 장치(900)가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전면커버(210)의 측벽(610)의 끝단에 스프링 장치(9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 장치(900)는 도 22의 (A)의 경우와 같이, 바디부(920), 바디부(920) 내에 배치되는 스프링(930), 스프링(930)의 끝단에 위치하는 돌출부(9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 장치(900)의 돌출부(910)는 내부부분(500B)의 제 1 홈(580)에 대응될 수 있다.
아울러, 슬라이딩 키(500)와 전면커버(210)의 결합 과정에서, 도 22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4 돌출부(570)가 스프링 장치(900)의 돌출부(910)에 압력을 가하면 돌출부(910)가 바디부(930) 내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키(500)와 전면커버(210)의 결합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슬라이딩 키(500)와 전면커버(210)가 결합된 이후에는, 도 21의 경우와 같이, 스프링 장치(900)의 돌출부(910)가 내부부분(500B)의 제 1 홈(580)에 끼워짐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딩 키(500)의 구조 및 전면커버(210)의 구조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3의 제 2 영역(AR2) 및 제 3 영역(AR3)의 경우와 같이, 전면커버(210)의 베이스부(600)의 끝단 및 측벽(610)의 끝단은 각각 슬라이딩 키(500)의 외부부분(500A)과 내부부분(500B)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슬라이딩 키(500)에는 베이스부(600)의 끝단 및 측벽(610)의 끝단이 끼워지기 위한 제 2 홈(800) 및 제 3 홈(8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도 슬라이딩 키(50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제 1 커버(First Cover)와 상기 제 1 커버에 대항되는 제 2 커버(Second Cover)를 구비하는 커버(Cover);
    상기 커버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커버에 배치되는 슬라이딩 키(Sliding Key);
    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키는 상기 커버의 인접하는 적어도 두 개의 면(Surface)에 걸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키는
    외부부분(Outer Part);와
    상기 외부부분에 물리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외부부분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내부부분(Inner Part);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나란한 베이스부(Base Portion); 및
    상기 베이스부의 적어도 일측 끝단에서 상기 베이스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Side Wall);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내부부분과 상기 외부부분의 사이에 끼워지는 부분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 1 커버와 상기 제 2 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키는 상기 베이스부와 나란한 제 1 부분(First Portion) 및 상기 측벽과 나란한 제 2 부분(Second Portion)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베이스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측벽의 경계부분에는 개구부(Opening)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키는 상기 개구부를 따라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이동가능(Movable) 하도록 설치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개구부의 크기는 상기 측벽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개구부의 크기보다 작은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의 크기는 상기 제 2 부분이 크기보다 작은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와 인접한 부분에서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측벽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개구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후크(First Hook)가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키는 상기 제 1 후크에 대응되는 제 2 후크(Second Hook)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부분은 외부로 노출(Externally Exposed) 되고,
    상기 제 2 후크는 상기 내부부분에 형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부분의 탄력성은 상기 외부부분의 탄력성보다 큰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부분은
    상기 외부부분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부분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돌출되는 돌출부를 더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부분은
    상기 제 2 부분에 대응되는 제 3 부분; 및
    상기 제 3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 3 부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4 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부분과 상기 제 4 부분의 사이 각도는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의 사이 각도보다 작고,
    상기 제 2 후크는 상기 제 4 부분에 형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120123689A 2012-11-02 2012-11-02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18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689A KR102018374B1 (ko) 2012-11-02 2012-11-02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689A KR102018374B1 (ko) 2012-11-02 2012-11-02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052A KR20140057052A (ko) 2014-05-12
KR102018374B1 true KR102018374B1 (ko) 2019-09-04

Family

ID=50888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689A KR102018374B1 (ko) 2012-11-02 2012-11-02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374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599A (ko) * 2007-07-12 2009-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 장치의 사이드 키 입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052A (ko) 201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1402B1 (ko)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663517B1 (ko) 이동 단말기
US10491728B2 (en)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key module
KR102152168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122514A (ko) 이동 단말기
US9137906B2 (en) Mobile terminal
US10225385B2 (en) Mobile terminal
EP3343884A1 (en) Mobile terminal
KR20110113243A (ko) 이동 단말기
US9813098B2 (en) Mobile terminal
CN108540616B (zh)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KR101271540B1 (ko) 이동 단말기
KR10201837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1951415B1 (ko) 이동 단말기
KR101561909B1 (ko) 휴대 단말기
KR1019698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1837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197617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1984089B1 (ko) 이동 단말기
KR101978203B1 (ko) 이동 단말기
KR101667429B1 (ko) 휴대 전자기기
KR20130106090A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1981095B1 (ko) 이동 단말기
KR101804915B1 (ko) 이동 단말기
KR20110028603A (ko) 소형 멀티미디어 기기용 입출력 확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