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6090A -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6090A
KR20130106090A KR1020120027730A KR20120027730A KR20130106090A KR 20130106090 A KR20130106090 A KR 20130106090A KR 1020120027730 A KR1020120027730 A KR 1020120027730A KR 20120027730 A KR20120027730 A KR 20120027730A KR 20130106090 A KR20130106090 A KR 20130106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housing
front cover
cover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7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6090A/ko
Publication of KR20130106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0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되는 배터리 커버(Battery Cover)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두리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전면커버(Front Cover)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커버는 제 1 후크(First Hook)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후크에 대응되는 제 2 후크(Second Hook)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후크와 상기 제 2 후크는 제 1 방향(First Direction) 및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으로 서로 중첩(Overlap)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아울러, 휴대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는 점점 작고 가볍게 제작되고 있다.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는 작고 가벼워지는 추세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수직방향 뿐 아니라 수평방향으로 전면커버와 하우징을 충분히 강하게 결속하기 위해 전면커버와 하우징에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서로 맞물리는 후크(Hook)가 형성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되는 배터리 커버(Battery Cover)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두리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전면커버(Front Cover)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커버는 제 1 후크(First Hook)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후크에 대응되는 제 2 후크(Second Hook)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후크와 상기 제 2 후크는 제 1 방향(First Direction) 및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으로 서로 중첩(Overlap)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구동부(Driver)가 배치되는 프레임(Frame)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배터리 커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후면커버(Rear Cov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배터리(Battery)가 장착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후크는 상기 전면커버의 측벽(Side Wall)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부분(First Portion) 및 상기 제 1 부분에서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Second Portion)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후크는 상기 하우징의 바디부(Body Portion)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제 2 부분과 중첩하는 제 3 부분(Third Portion) 및 상기 제 3 부분에서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제 2 부분과 중첩하는 제 4 부분(Fourth Por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부분은 상기 제 2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는 상기 측벽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5 부분을 포함하는 제 3 후크(Third Hook)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3 후크에 대응되는 제 4 후크(Fourth Hook)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제 3 후크의 길이는 상기 제 1 후크의 길이와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제 1 후크는 상기 제 3 후크보다 더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2 방향과 직교하는 제 3 방향으로 상기 제 3 후크의 양쪽 끝단에는 각각 상기 제 1 후크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후크는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6 부분, 상기 제 6 부분에서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7 부분 및 상기 제 7 부분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5 부분과 중첩하는 제 8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2 방향과 직교하는 제 3 방향으로 상기 제 4 후크의 양쪽 끝단에는 각각 상기 제 2 후크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8 부분은 상기 제 5 부분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제 2 후크와 상기 측벽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4 후크와 상기 측벽 사이의 간격과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후크는 상기 후면커버에 배치되거나 혹은 상기 프레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후크는 상기 후면커버에 배치되는 제 2-1 후크 및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제 2-2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후크는 상기 제 2-1 후크에 대응되는 제 1-1 후크 및 상기 제 2-2 후크에 대응되는 제 1-2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면커버와 하우징에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서로 맞물리는 후크(Hook)를 형성함으로써 수직방향 뿐 아니라 수평방향으로 전면커버와 하우징이 충분히 강하게 결속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5 내지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바(Bar)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형태가 바 타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전면커버(Front Cover, 110), 배터리커버(Battery Cover, 120) 및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130)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전면커버(110)와 배터리커버(120)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2D 영상 및/또는 3D 영상을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액정표시패널(LCD), 유기발광표시패널(OLED) 등 다양한 타입이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전면커버(110)는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테두리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전면커버(110)는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전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커버(11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패널(130)을 보호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전면에 위치하며 유리 재질 혹은 수지 재질을 포함하는 보호 패널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터리커버(12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장착되는 배터리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 및 도 2의 경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음향출력부(182), 전면카메라(180a), 사용자 입력부(181), 마이크(183), 후방카메라(180b) 및 사이드버튼(184)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음향출력부(182)는 수화음 등을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일 수 있다. 음향출력부(182)는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음향출력부(182)는 수화음을 출력하기 위한 제 1 음향출력부, 벨소리, 메시지 수신음 등 다양한 어플레케이션(Application)에 따른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제 2 음향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방카메라(180a)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 등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는 전방카메라(180a)로 촬영한 자신의 영상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와 화상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81)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81)는 다양한 조작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81)는 정전식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81)에 대응되는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소정의 명령이 실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사용자의 명령 입력, 즉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181)에서 광이 발생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터치한 영역을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81)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81)는 물리적인 버튼(physical button)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 입력부(181)에는 사용빈도가 높거나 주요한 기능이 할당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시작 및/또는 종료, 음향 조절 등의 기능이 사용자 입력부(181)에 할당될 수 있다.
마이크(183)는 사용자의 음성 등을 획득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후면을 보면, 도 2의 경우와 같이, 배터리커버(120)가 노출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음량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사이드버튼(184)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사이드버튼(184)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후방카메라(184b)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후방카메라(180b)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후방에 위치하는 사용자 등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후방카메라(180b)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30)에 표시된 영상을 확인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후방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방에 위치하는 하우징(Housing, 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40)은 디스플레이 패널(130)과 배터리커버(12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배터리커버(120)는 하우징(140)에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커버(120)와 하우징(140)의 연결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커리커버(120)는 하우징(140)에 팝업 타입(pop-up type), 슬라이드 타입(slide type), 풀 타입(pull type) 등으로 연결되거나 탈착될 수 있다.
하우징(140)에는 후방카메라(180b)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후방카메라(180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배터리커버(120)에 후방카메라(180b)에 대응되는 제 1 홀(Hole, 121)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140)에는 배터리(17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140)은 배터리(170)가 장착되는 부분, 즉 배터리 결합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40)은 배터리 단자(27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단자(271)는 배터리(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터리(170)의 에너지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공급될 수 있다.
배터리 단자(271)는 배터리 결합부(270)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170)가 배터리 결합부(270)에 배치되면 배터리(170)가 안전하게 구속될 수 있으며, 배터리(170)가 배터리 단자(271)에 안정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하우징(140)에서 배터리커버(120)를 분리시킨 후에 배터리(170)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140)에는 메모리 결합부(28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 결합부(280)에 메모리 카드, USIM 카드 등의 메모리(290)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하우징(140)에 대해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하우징(140)은 프레임(Frame, 210)과 후면커버(Rear Cover, 2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10)에는 다양한 전자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21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Driver)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210)에는 배터리 단자(271)가 배치된 단자 몸체(272), 메모리 결합부(280), 후방카메라(180b)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후방카메라(180b) 및/또는 메모리 결합부(280)는 후면커버(220)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단자 몸체(272)는 프레임(210)의 배터리(170)에 대응되는 영역(270a)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프레임(210)에는 구동부를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보드(250, 251)가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210)에는 후면커버(220)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240)가 배치될 수 있다. 후면커버(220)에는 프레임(210)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241)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242)이 체결홀(241)을 관통하여 체결부(240)에 연결됨으로써, 프레임(210)과 후면커버(220)가 체결될 수 있다.
후면커버(220)는 프레임(210)과 연결되어 프레임(210)에 배치되는 다양한 전자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
후면커버(220)에는 배터리 결합부(270)를 위한 배터리홀(270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홀(270b)은 프레임(210)의 배터리(170)에 대응되는 영역(270a)에 대응될 수 있다.
아울러, 배터리홀(270b)에는 단자 몸체(272)를 위한 단자홀(270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면커버(220)는 메모리 결합부(280)에 대응되는 메모리홀(261) 및 후방카메라(180b)에 대응되는 카메라홀(260)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레임(210)에 배치되는 후방카메라(180b)는 카메라홀(260) 및 배터리커버(120)에 형성된 제 1 홀(12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10)에 배치되는 메모리 결합부(280)는 메모리홀(261)을 통해 후면커버(220) 밖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어폰(Earphone), 헤드셋(Headset) 등의 외부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 내지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는 AR10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전면커버(110)에 형성된 후크(Hook)와 하우징(140)에 형성된 후크가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 6의 경우와 같이, 전면커버(110)에는 제 1 후크(First Hook, 300)가 형성되고, 하우징(140)의 후면커버(220)에는 제 1 후크(300)에 대응되는 제 2 후크(Second Hook, 40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 2 후크(400)가 하우징(140)의 후면커버(220)에 형성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제 2 후크(400)는 프레임(210)에 형성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제 1 후크(300)와 제 2 후크(400)는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 및 제 1 방향(DR1)과 직교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으로 서로 중첩(Overlap)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면커버(110)와 하우징(140)이 단단히 결속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면커버(110)와 하우징(140)의 수직방향 뿐 아니라 수평방향으로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7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방향(DR1) 및 제 2 방향(DR2)으로 중첩하는 제 1 후크(300)와 제 2 후크(400)가 구비되지 않은 구조에서는 화살표 방향(수평방향)으로 전면커버(110)에 힘이 가해지면 전면커버(110)가 하우징(140)의 후면커버(22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면커버(110)와 하우징(140)의 사이 공간이 벌어지거나 혹은 전면커버(110)가 물리적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반면에, 도 7의 (B)의 AR20에서와 같이, 제 1 방향(DR1) 및 제 2 방향(DR2)으로 중첩하는 제 1 후크(300)와 제 2 후크(400)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화살표 방향(수평방향)으로 전면커버(110)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제 1 후크(300)와 제 2 후크(400)가 강하게 결속되어 있기 때문에 전면커버(110)와 하우징(140)의 사이 공간이 벌어지거나 혹은 전면커버(110)가 물리적 손상을 입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을 살펴보면, 제 1 후크(300)는 전면커버(110)의 측벽(Side Wall, 310)에서 제 1 방향(DR1)으로 연장된 제 1 부분(First Portion, 301) 및 제 1 부분(301)에서 제 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Second Portion, 30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면커버(110)의 측벽(310)은 제 1 후크(300)를 기준으로 제 1 방향(DR1) 및 제 2 방향(DR2)과 교차하는 제 3 방향(DR3)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 2 후크(400)는 하우징(140)의 바디부(Body Portion), 예컨대 후면커버(220)의 바디부(221)에서 제 1 방향(DR1)으로 연장되며 제 2 방향(DR2)으로 제 2 부분(302)과 중첩하는 제 3 부분(Third Portion, 401) 및 제 3 부분(401)에서 제 2 방향(DR2)으로 연장되며 제 1 방향(DR1)으로 제 2 부분(302)과 중첩하는 제 4 부분(Fourth Portion, 402)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방향(제 1 방향)으로 전면커버(110)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 제 1 후크(300)의 제 2 부분(302)과 제 2 후크(400)의 제 4 부분(402)이 맞물려서 후면커버(220)와 전면커버(11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9를 살펴보면, 제 2 후크(400)의 제 3 부분(401)은 제 1 후크(300)의 제 2 부분(30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부분, 즉 함몰부(40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후크(400)의 함몰부(403)는 제 1 후크(300)의 제 2 부분(302)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후크(300)의 제 2 부분(302)이 제 2 후크(400)의 함몰부(403)에 끼워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제 1 후크(300)와 제 2 후크(400)의 결속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0을 살펴보면, 전면커버(110)는 제 3 후크(Third Hook, 500)를 더 포함하고, 하우징(140), 예컨대 후면커버(220)는 제 3 후크(500)에 대응되는 제 4 후크(Fourth Hook, 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면커버(110)의 제 1 후크(300)와 제 3 후크(500)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후면커버(220)의 제 2 후크(400)와 제 4 후크(600)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 및 도 11을 살펴보면, 제 3 후크(500)는 전면커버(110)의 측벽(310)에서 제 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제 5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5 부분이 제 3 후크(500)에 대응될 수 있다.
제 4 후크(600)는 후면커버(220)의 바디부(221)에서 제 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제 6 부분(601), 제 6 부분(601)에서 제 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제 7 부분(602) 및 제 7 부분(602)에서 제 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제 2 방향(DR2)으로 5 부분(500)과 중첩하는 제 8 부분(60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전면커버(110)에 제 3 후크(500)가 배치되고 후면커버(220)에 제 3 후크(500)에 대응되는 제 4 후크(600)가 배치되면, 수직방향으로 전면커버(110)와 후면커버(220)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4 후크(600)의 제 8 부분(603)은 제 5 부분(500)과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후면커버(220)를 고정하는 추가적인 구조물이 없어도 후면커버(220)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를 살펴보면, 전면커버(110)에는 제 3 후크(500)와 인접하는 위치에 홀(510)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전면커버(110)에는 제 3 후크(500)와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사이에 홀(5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을 살펴보면, 제 4 후크(600)는 전면커버(110)의 홀(510)에 끼워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4 후크(600)의 제 8 부분(603)이 홀(510)에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면커버(110)의 하우징(140)의 결속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또는, 도 14의 경우와 같이, 전면커버(110)에는 제 3 후크(500)와 인접하는 위치에 홈(520)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 4 후크(600)의 제 8 부분(603)이 홈(520)에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전면커버(110)의 하우징(140)의 결속력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5를 살펴보면, 제 1, 2 방향(DR1, DR2)과 직교하는 제 3 방향(DR3)으로 제 3 후크(500)의 양쪽 끝단에는 각각 제 1 후크(300)가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으로 제 4 후크(600)의 양쪽 끝단에는 각각 제 2 후크(400)가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제 1 후크(300)와 제 2 후크(400)의 결합 및 제 3 후크(500)와 제 4 후크(60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 1 방향(DR1)으로 제 3 후크(500)의 길이(L2)를 제 1 후크(300)의 길이(L1)와 다르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방향(DR1)으로 제 1 후크(300)의 길이(L1)는 제 3 후크(500)의 길이(L2)보다 더 길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방향(DR1)으로 제 1 후크(300)는 제 3 후크(500)보다 전면커버(110)의 측벽(310)으로부터 더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위에서 아래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 2 후크(400)를 제 1 후크(300)에 먼저 결합한 후 제 4 후크(600)를 제 3 후크(500)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제 2 후크(400)와 제 4 후크(600)를 인접하게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 1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이하에서는 제 2 후크(400)와 제 4 후크(600)를 후면커버(220)에 형성하는 경우만을 설명하지만, 제 2 후크(400)와 제 4 후크(600)가 하우징(140)의 프레임(210)에 형성되는 경우도 가능하면, 이하의 내용은 제 2 후크(400)와 제 4 후크(600)가 하우징(140)의 프레임(210)에 형성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도 16의 (A)의 경우와 같이, 후면커버(200)의 가장자리에 돌출부(700)를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돌출부(700)는 미리 설정된 커팅라인(Cutting Line, CL)에 따라 커팅되어 제 1, 2, 3 돌출부(710, 720, 730)로 분할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3 돌출부(710, 730)는 제 1 후크(300)에 대응되고, 제 2 돌출부(720)는 제 3 후크(500)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제 1, 3 돌출부(710, 730)에는 소정의 제 1 폴딩라인(First Folding Line, FL1)이 설정되고, 제 2 돌출부(720)에는 제 1 폴딩라인(FL1) 및 제 2 폴딩라인(Second Folding Line, FL2)이 설정될 수 있다.
이후, 도 16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2 돌출부(720)를 제 1 폴딩라인(FL1) 및 제 2 폴딩라인(FL2)에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후면커버(220)에 제 4 후크(60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6의 (C)의 경우와 같이, 제 1, 3 돌출부(710, 730)를 제 1 폴딩라인(FL1)에 따라 구부릴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후면커버(220)에 제 2 후크(4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후크(400)의 제 4 부분(402)의 길이(L11)는 제 4 후크(600)의 제 8 부분(603)의 길이(L10)와 동일한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제 1 방향(DR1)으로 제 2 후크(400)의 길이(L4)와 제 4 후크(600)의 길이(L3)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아울러, 전면커버(110)의 측벽(310)과 제 2 후크(400) 사이의 간격은 제 4 후크(600)와 측벽(310) 사이의 간격과 다를 수 있다.
도 17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방향(DR1)으로 제 2 후크(400)와 측벽 사이의 간격(L5), 즉 제 2 후크(400)의 제 4 부분(402)과 전면커버(110)의 측벽(310) 사이의 간격(L5)은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반면에, 도 17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방향(DR1)으로 제 4 후크(600)와 측벽 사이의 간격(L6), 즉 제 4 후크(600)의 제 8 부분(603)과 전면커버(110)의 측벽(310) 사이의 간격(L6)은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L6>L5인 관계식이 성립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방향(DR1)으로 제 2 후크(400)는 제 4 후크(600)보다 전면커버(110)의 측벽(310)에 더 근접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40)에 형성되는 제 2 후크는 하우징(140)의 후면커버(220)에 배치되거나 혹은 하우징(140)의 프레임(210)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8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는 AR30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전면커버(110)에 형성된 후크와 하우징(140)의 프레임(210)에 형성된 후크가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 19의 경우와 같이, 전면커버(110)에는 제 1 후크(300)가 형성되고, 하우징(140)의 프레임(210)에는 제 1 후크(300)에 대응되는 제 2 후크(800)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40)의 프레임(210)에 형성되는 제 2 후크(800)의 구조는 앞선 도 5 내지 도 17에서 상세히 설명한 하우징(140)의 후면커버(220)에 형성되는 제 2 후크(400)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하우징(140)의 프레임(210)에 형성되는 제 2 후크(800)의 구조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하우징(140)의 프레임(210)과 후면커버(220)에 각각 후크가 형성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을 살펴보면, 하우징(140)의 후면커버(220)에 제 2-1 후크(400A)가 배치되고, 하우징(140)의 프레임(210)에 제 2-2 후크(400B)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2 후크(400)는 제 2-1 후크(400A)와 제 2-2 후크(40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면커버(110)에는 제 2-1 후크(400A)에 대응되는 제 1-1 후크(300A) 및 제 2-2 후크(400B)에 대응되는 제 1-2 후크(300B)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후크(300)는 제 1-1 후크(300A)와 제 1-2 후크(300B)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40)의 후면커버(220)에 제 2-1 후크(400A)와 제 4-1 후크(600A)가 배치되고, 하우징(140)의 프레임(210)에 제 2-2 후크(400B)와 제 4-2 후크(600B)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면커버(110)에는 제 2-1 후크(400A)에 대응되는 제 1-1 후크(300A), 제 4-1 후크(600A)에 대응되는 제 3-1 후크(500A), 제 2-2 후크(400B)에 대응되는 제 1-2 후크(300B) 및 제 4-2 후크(600B)에 대응되는 제 3-2 후크(500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면커버(110)에서 제 1-1 후크(300A)와 제 3-1 후크(500A)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 1-2 후크(300B)와 제 3-2 후크(500B)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2-1 후크(400A)와 제 4-1 후크(600A)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 2-2 후크(400B)와 제 4-2 후크(600B)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1 후크(400A)는 제 1-1 후크(300A)와 맞물리고, 제 4-1 후크(600A)는 제 3-1 후크(500A)와 맞물리고, 제 2-2 후크(400B)는 제 1-2 후크(300B)에 맞물리고, 제 4-2 후크(600B)는 제 3-2 후크(500B)에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우징(140)과 전면커버(110)의 결속력을 더욱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제 1-2 후크(300B)는 제 1-1 후크(300A)에 비해 디스플레이 패널(130)에 더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면이 아래를 향하는 것을 가정할 때, 전면커버(110)의 하부(Bottom Area)로부터 제 1-2 후크(300B)까지의 거리(H4)는 전면커버(110)의 하부로부터 제 1-1 후크(300A)까지의 거리(H2)보다 작을 수 있다. 아울러, 전면커버(110)의 하부로부터 제 2-2 후크(500B)까지의 거리(H3)는 전면커버(110)의 하부로부터 제 2-1 후크(500A)까지의 거리(H1)보다 작을 수 있다.
또는, 제 1-1 후크(300A)와 제 1-2 후크(300B)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1의 경우와 같이, 전면커버(110)에서 제 3 방향(DR3)으로 제 3 부분(500)의 일측에는 제 1-1 후크(300A)가 위치하고, 제 3 부분(500)의 타측에는 제 1-2 후크(300B)가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면이 아래를 향하는 것을 가정할 때, 전면커버(110)의 하부로부터 제 1-2 후크(300B)까지의 거리(H6)는 전면커버(110)의 하부로부터 제 1-1 후크(300A)까지의 거리(H5)보다 작을 수 있다. 아울러, 전면커버(110)의 하부로부터 제 1-2 후크(300B)까지의 거리(H6) 및 전면커버(110)의 하부로부터 제 1-1 후크(300A)까지의 거리(H5)는 전면커버(110)의 하부로부터 제 3 후크(500)까지의 거리(H7)보다 작을 수 있다.
이처럼, 제 1-1 후크(300A)와 제 1-2 후크(300B)가 제 3 후크(500)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2-1 후크(400A)와 제 2-2 후크(400B)도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2의 경우와 같이, 후면커버(220)에는 제 2-1 후크(400A)와 4-1 후크(600A)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후면커버(220)에는 제 4-1 후크(600A)와 인접하는 영역에 제 1 개구부(90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10)에는 제 2-2 후크(400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2 후크(400B)는, 도 23의 경우와 같이, 후면커버(220)의 제 1 개구부(900)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4-1 후크(600A)의 양쪽 끝단에 제 2-1 후크(400A)와 제 2-2 후크(400B)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 4-1 후크(600A)는 제 3 후크(500)에 대응될 수 있다.
또는, 도 24의 경우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면이 아래를 향하는 것을 가정할 때, 전면커버(110)의 하부로부터 제 1-2 후크(300B)까지의 거리(H13)는 전면커버(110)의 하부로부터 제 1-1 후크(300A)까지의 거리(H11)보다 작고, 전면커버(110)의 하부로부터 제 1-2 후크(300B)까지의 거리(H13)는 전면커버(110)의 하부로부터 제 3 후크(500)까지의 거리(H12)보다 작고, 전면커버(110)의 하부로부터 제 1-1 후크(300A)까지의 거리(H11)는 전면커버(110)의 하부로부터 제 3 후크(500)까지의 거리(H12)보다 큰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25의 경우와 같이, 후면커버(220)에는 제 2-1 후크(400A), 제 2-1 후크(400A)와 인접하는 영역에 제 2 개구부(91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10)에는 제 2-2 후크(400B)와 제 4-2 후크(600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2 후크(400B)와 제 4-2 후크(600B)는 후면커버(220)의 제 2 개구부(910)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4-2 후크(600B)의 양쪽 끝단에 제 2-1 후크(400A)와 제 2-2 후크(400B)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 4-2 후크(600B)는 제 3 후크(500)에 대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되는 배터리 커버(Battery Cover);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두리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전면커버(Front Cover);
    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커버는 제 1 후크(First Hook)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후크에 대응되는 제 2 후크(Second Hook)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후크와 상기 제 2 후크는 제 1 방향(First Direction) 및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으로 서로 중첩(Overlap)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구동부(Driver)가 배치되는 프레임(Frame)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배터리 커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후면커버(Rear Cover)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후크는
    상기 전면커버의 측벽(Side Wall)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부분(First Portion) 및 상기 제 1 부분에서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Second Portion)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후크는
    상기 하우징의 바디부(Body Portion)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제 2 부분과 중첩하는 제 3 부분(Third Portion) 및 상기 제 3 부분에서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제 2 부분과 중첩하는 제 4 부분(Fourth Portion)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부분은 상기 제 2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는 상기 측벽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5 부분을 포함하는 제 3 후크(Third Hook)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3 후크에 대응되는 제 4 후크(Fourth Hook)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제 3 후크의 길이는 상기 제 1 후크의 길이와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후크는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6 부분;
    상기 제 6 부분에서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7 부분; 및
    상기 제 7 부분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5 부분과 중첩하는 제 8 부분;
    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8 부분은 상기 제 5 부분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제 2 후크와 상기 측벽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4 후크와 상기 측벽 사이의 간격과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후크는 상기 후면커버에 배치되거나 혹은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후크는 상기 후면커버에 배치되는 제 2-1 후크 및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는 제 2-2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후크는 상기 제 2-1 후크에 대응되는 제 1-1 후크 및 상기 제 2-2 후크에 대응되는 제 1-2 후크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120027730A 2012-03-19 2012-03-19 이동통신 단말기 KR201301060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730A KR20130106090A (ko) 2012-03-19 2012-03-19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730A KR20130106090A (ko) 2012-03-19 2012-03-19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090A true KR20130106090A (ko) 2013-09-27

Family

ID=49454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730A KR20130106090A (ko) 2012-03-19 2012-03-19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609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134A (ko) 2017-07-21 2019-01-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센서장치
KR20190017561A (ko) 2017-08-11 2019-02-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센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134A (ko) 2017-07-21 2019-01-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센서장치
KR20190017561A (ko) 2017-08-11 2019-02-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센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9496B1 (en) Mobile terminal
US10491728B2 (en)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key module
EP2713585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CN105849664A (zh) 电子设备支架
CN201845269U (zh) 一种带键盘的平板电脑支撑保护套结构
JP2019502141A (ja) デュアルスクリーン端末、画面表示方法及び装置
KR20120120661A (ko)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
EP2515198B1 (en) Slidable mobile terminal
CN203278901U (zh) 一种三屏折叠式多功能智能手机
KR20110025939A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CN101111135A (zh) 具有板组件单元的显示装置
KR20130106090A (ko) 이동통신 단말기
US9282668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20140073098A (ko) 이동통신 단말기
CN204559650U (zh) 一种防水手机、防水手机套
CN204674481U (zh) 一种新型手机无线互联同屏显示后视镜
WO2015039556A1 (zh) 一种电子设备底座
KR10197617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1837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CN203243338U (zh) 一种双屏幕手机和一种双屏幕平板电脑
KR10201837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CN202306390U (zh) 便携式电子设备
WO2013018438A1 (ja)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システム
KR1019698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CN214627045U (zh) 一种安装屏幕的手机框架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