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7429B1 - 휴대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휴대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7429B1
KR101667429B1 KR1020100097013A KR20100097013A KR101667429B1 KR 101667429 B1 KR101667429 B1 KR 101667429B1 KR 1020100097013 A KR1020100097013 A KR 1020100097013A KR 20100097013 A KR20100097013 A KR 20100097013A KR 101667429 B1 KR101667429 B1 KR 101667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and portion
band
portabl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7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5483A (ko
Inventor
허훈
안택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7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429B1/ko
Publication of KR20120035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 G06F1/182Enclosures with special features, e.g. for use in industrial environments; grounding or shielding against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RFI] or electromagnetical interference [EMI]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프론트 케이스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결합되는 리어 케이스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 감겨지는 금속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밴드는 케이스의 외측면에 형성된 장착홈에 장착되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양단에 형성되어 밴드부의 양쪽 끝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어, 데코 역할을 수행하고 코팅이 벗겨지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전자기기{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자기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전자기기이다.
휴대 전자기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휴대 전자기기의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 케이스와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어 디자인을 미려하게 하는 데코 역할을 하고 금속 느낌을 주는 중간 케이스가 구비된다.
종래의 중간 케이스는 사출물의 외면에 금속느낌을 줄 수 있도록 주석 증착을 하게 되는데, 주석 증착의 경우 후가공 불량이 많고, 사용 기간이 증가됨에 다라 주석 증착된 코팅부위가 벗겨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를 조립할 때 프론트 케이스, 중간 케이스, 리어 케이스를 조립해야되므로, 조립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케이스의 측면에 금속 밴드를 설치하여 데코 역할을 수행하고 코팅이 벗겨지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중간 케이스를 삭제할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측면에 설치되는 금속밴드가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를 상호 고정시켜 충격으로 인하여 케이스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휴대 전자기기는 프론트 케이스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결합되는 리어 케이스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 감겨지는 금속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밴드는 케이스의 외측면에 형성된 장착홈에 장착되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양단에 형성되어 밴드부의 양쪽 끝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밴드부의 상단 및 하단에서 각각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밴드부의 상단에 복수로 형성되는 제1플랜지부와, 상기 밴드부의 하단에 복수로 형성되는 제2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는 상기 제1플랜지부가 삽입되는 제1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리어 케이스에는 상기 제2플랜지부가 삽입되는 제2걸림홈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휴대 전자기기에 따르면, 케이스의 외측면에 금속 밴드를 구비하여 중간 케이스가 구비될 때 주석 층착된 코팅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있고, 조립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밴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밴드 결합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휴대 전자기기에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렛 PC,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전자기기(100)의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전자기기(100)는 하나의 바디(또는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휴대 전자기기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휴대 전자기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10)(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110)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전자기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음향출력 모듈(114), 카메라(115), 사용자 입력부(116)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프론트 케이스(11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프론트 케이스(111)의 주면은 전자기기 바디의 전면이라 칭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시각 정보 또는 영상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터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으로서 동작한다.
디스플레이부(113)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6)는 휴대 전자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16a, 116b)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16a, 116b)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16a, 116b)은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조작 유닛들(116a, 116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16a)은 시작, 종료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16b)은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또는 음향 출력 모듈(114)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도록 형성된다.
디스플레이부(113)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 출력 모듈(114)와 카메라(115)가 배치된다. 상기 음향 출력 모듈(114)은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115)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전자기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바디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부(113) 및 사용자 입력부(116)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가 배치된다. 제어 장치는 인쇄회로기판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자기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휴대 전자기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 모듈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프론트 케이스의 음향 출력 모듈(114, 도 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휴대 전자기기 바디의 측면에는 무선통신 또는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휴대 전자기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휴대 전자기기 바디에는 마이크(117), 연결 포트(118)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에서 음향 출력 모듈(114)이 배치되는 일단부와 다른 단부로부터 인접한 영역에는 마이크(117)가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11) 및 리어 케이스(112)의 측면들에는 연결 포트(118)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연결 포트(118)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전자기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전자기기(2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 포트(118)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연결 포트(118)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전자기기 바디에는 휴대 전자기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는 내장형 배터리로서 바디의 내부에 내장된다. 그리고, 바디의 후면에는 내장형 배터리를 보호하기 위한 배터리 커버(130)가 장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의 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자기기의 측면에는 데코 역할을 수행하는 금속밴드(140)가 장착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는 상호 결합되고, 프론트 케이스(111)의 외측면 및 리어 케이스(112)의 외측면에는 금속밴드(140)가 장착되는 장착홈(160)이 마련된다.
장착홈(160)은 프론트 케이스(111)의 외측면 가장자리와 리어 케이스(112)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금속밴드(140)가 장착홈에 장착되면 금속밴드(140)가 케이스(110)의 측면에서 약간 돌출된 형태이거나 케이스(110)의 측면과 동일한 평면 형태를 갖게 된다.
금속밴드(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외측면 둘레에 감겨지는 밴드부(142)와, 이 밴드부(142)의 양단에 형성되어 밴드부(142)의 양쪽 끝부분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148)와, 밴드부(142)에 간격을 두고 복수로 내측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케이스에 걸림되는 플랜지부(144,146)를 포함한다.
밴드부(142)는 일정 두께 즉, 케이스(110)에 형성되는 장착홈(16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장착홈(160)의 높이에 비해 높도록 일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케이스(110)의 외측면에 감겨져서 전체적으로 사각 띠 형태로 형성되며 데코 역할을 함과 아울러 케이스(110)의 강도를 보강해준다.
그리고, 플랜지부(144,146)는 밴드부(142)의 상단 및 하단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단에 형성되는 제1플랜지부(144)는 프론트 케이스(111)에 형성된 제1걸림홈(162)에 끼워지고, 하단에 형성되는 제2플랜지부(145)는 리어 케이스(112)에 형성된 제2걸림홈(164)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제1플랜지부(144)가 프론트 케이스(111)에 걸림되고, 제2플랜지부(146)가 리어 케이스(112)에 걸림되어, 케이스(110)에 충격이 가해질 때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플랜지부(144,146)는 밴드부의 모서리 부위, 직선 부위에 간격 두고 복수로 형성된다.
연결부(148)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부(142)의 일단에 형성되어 밴드부(142)의 타단이 끼워지는 끼움홀(150)과, 밴드부(142)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홀(150)에 끼워진 후 절곡시켜 스크류 체결되는 스크류 체결부(156)를 포함한다.
즉, 밴드부(142)의 타단에는 두 개의 스크류 체결홀(152,154)이 형성되어, 밴드부의 타단을 끼움홀(150)에 삽입한 후 절곡시키면 두 스크류 체결홀(152,154)이 연통되고, 이 스크류 체결홀(152,154)에 스크류(158)를 체결하여 밴드부(142)의 양쪽 끝부분을 상호 연결한다. 이때, 스크류(158)는 케이스(110)에 형성된 스크류 체결홀(152,154)에 결합되어 밴드부(142)를 케이스(110)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연결부는 위에서 설명한 구조 이외에 용접 등 밴드부의 양쪽 끝부분을 연결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도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밴드부(142)의 내면에는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케이스의 장착홈(160)에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밴드의 조립 공정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먼저,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를 상호 결합시킨다. 여기에서, 두 케이스(111,112)만 결합시키면 되므로, 기존의 중간 케이스가 있을 때, 세 개의 케이스를 조립할 때에 비해 조립시간을 단축하고 조립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게 된다.
그런 후, 금속밴드(140)의 밴드부(142)를 케이스(110)의 외측면에 형성된 장착홈(160)에 감는다. 이때, 밴드부(142)의 내면에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가 구비될 경우 금속밴드(140)는 장착홈(160)에 접착된다.
그리고, 밴드부(142)의 상단에 형성된 제1플랜지부(144)를 프론트 케이스(111)에 형성된 제1걸림홈(162)에 삽입하고, 밴드부(142)의 하단에 형성된 제2플랜지부(146)를 리어 케이스(112)에 형성된 제2걸림홈(164)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는 제1플랜지부(144) 및 제2플랜지부(146)에 의해 상호 맞물린 상태로 되어, 외부의 충격 등으로 인하여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밴드부(142)의 양단에 형성된 연결부(148)를 체결한다. 즉, 밴드부(142)의 일단에 형성된 끼움홀(150)에 밴드부(142)의 타단을 끼운 후 절곡시키고 밴드부(142)의 타단에 형성된 두 스크류 체결홀(152,154)을 연통시킨 후 스크류(158)를 체결하여 조립을 완성한다.
연결부는 구조는 이러한 구조 이외에도 밴드부의 양단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케이스 111: 프론트 케이스
112: 리어 케이스 140: 금속밴드
142: 밴드부 144,146: 플랜지부
148: 연결부 150: 끼움홀
152,154: 스크류 체결홀 158: 스크류
160: 장착홈 162,164: 제1끼움홈, 제2끼움홈

Claims (5)

  1. 프론트 케이스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결합되는 리어 케이스를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 감겨지는 금속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밴드는 케이스의 외측면에 형성된 장착홈에 장착되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양단에 형성되어 밴드부의 양쪽 끝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의 상단 및 하단에서 각각 내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전자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밴드부의 상단에 복수로 형성되는 제1플랜지부와, 상기 밴드부의 하단에 복수로 형성되는 제2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는 상기 제1플랜지부가 삽입되는 제1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리어 케이스에는 상기 제2플랜지부가 삽입되는 제2걸림홈이 형성되는 휴대 전자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상기 장착홈에 접착제 또는 접착 테이프에 의해 접착되는 휴대 전자기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밴드부의 일단에 형성된 끼움홀에 상기 밴드부의 타단을 삽입하고 절곡시키면 상기 밴드부의 타단에 형성된 두 스크류 체결홀이 연통되고 스크류를 상기 스크류 체결홀에 체결하여 연결하는 휴대 전자기기.



KR1020100097013A 2010-10-05 2010-10-05 휴대 전자기기 KR101667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013A KR101667429B1 (ko) 2010-10-05 2010-10-05 휴대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013A KR101667429B1 (ko) 2010-10-05 2010-10-05 휴대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483A KR20120035483A (ko) 2012-04-16
KR101667429B1 true KR101667429B1 (ko) 2016-10-18

Family

ID=46137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013A KR101667429B1 (ko) 2010-10-05 2010-10-05 휴대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74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3579B (zh) * 2017-11-16 2020-09-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及其外壳、及外壳的加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6569A (ja) 1999-03-30 2000-10-13 Pfu Ltd 小型携帯端末装置
KR100655062B1 (ko) 2005-12-28 2006-12-06 주식회사 팬택 케이스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이동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448A (ja) * 1994-06-16 1996-01-12 Mitsubishi Materials Corp 携帯電話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6569A (ja) 1999-03-30 2000-10-13 Pfu Ltd 小型携帯端末装置
KR100655062B1 (ko) 2005-12-28 2006-12-06 주식회사 팬택 케이스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483A (ko) 2012-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9131B2 (en) Handheld device enclosure
US11438024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two-piece housing
US20170311456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using Structures
KR102468709B1 (ko) 키 모듈과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키 모듈 조립 방법
US20120268879A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JP4909827B2 (ja) 携帯電子機器
KR101667429B1 (ko) 휴대 전자기기
US7447004B2 (en) Portable display apparatus
KR1019698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1837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