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3092A - 물티슈 및 이를 적층 한 물티슈 조립체 - Google Patents

물티슈 및 이를 적층 한 물티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3092A
KR20140073092A KR1020120140810A KR20120140810A KR20140073092A KR 20140073092 A KR20140073092 A KR 20140073092A KR 1020120140810 A KR1020120140810 A KR 1020120140810A KR 20120140810 A KR20120140810 A KR 20120140810A KR 20140073092 A KR20140073092 A KR 20140073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wet tissue
folded
segment
w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종우
Original Assignee
한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종우 filed Critical 한종우
Priority to KR1020120140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3092A/ko
Publication of KR20140073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0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0Holders; Receptacles for piled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B65H45/02Folding limp material without application of pressure to define or form crease lines
    • B65H45/04Folding she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anitary Thin Pa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군의 물티슈와 제2 군의 물티슈가 서로 교대로 겹쳐지게 되는 구조를 새로운 타입으로 개선하여 물티슈를 뽑아 쓸 때, 이어서 연속 인출되는 물티슈의 인출 길이가 짧거나 과도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의 제공은 물론, 물티슈 일부 인출된 부분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물티슈 및 이를 적층한 물티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양편이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획되도록 물티슈의 절반 지점에 형성되는 제1 접힘선과, 상기 제2 영역에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는 제3 및 제 4 접힘선과, 상기 상기 제1 내지 제3 접힘선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 세그먼트 접힘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세그먼트 접힘편의 상면에 제2 세그먼트 접힘편이 배치되도록 제1 접힘선을 중심으로 접히고, 상기 제2 세그먼트 접힘편의 상면에 제3 세그먼트 접힘편이 배치되도록 제2 접힘선을 중심으로 반대 방향으로 접히게 되며, 상기 제3 세그먼트 접힘편의 상면에 제4 세그먼트 접힘편이 배치되도록 제3 접힘선을 중심으로 접혀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물티슈가 제공된다.
아울러 상기 물티슈를 1군과 2군으로 나누어 양편에 배치하고 교대로 겹쳐지는 부분을 일부 가지고 적층 되는 물티슈 조립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물티슈 및 이를 적층 한 물티슈 조립체{Wet Tissue and Wet Tissue Assembly Stacking The Same}
본 발명은 물티슈 및 이를 적층 한 물티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군의 물티슈와 제2 군의 물티슈가 서로 교대로 겹쳐지게 되는 구조를 새로운 타입으로 개선하여 물티슈를 뽑아 쓸 때, 이어서 연속 인출되는 물티슈의 인출 길이가 짧거나 과도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의 제공은 물론, 물티슈 일부 인출된 부분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휴대 시, 물티슈 조립체의 구겨짐과 압축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편심 이동 방지와 그에 따른 물티슈의 인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 물티슈는 미사용시 또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 습윤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기 위해 포대형 수용체에 형성되는 물티슈 인출구를 밀봉하게 된다. 이러한 포대형 수용체 내에는 물티슈 인출구로부터 물티슈를 연속적으로 뽑아 쓸 수 있도록 물티슈 적층체가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물티슈 조립체에 형성되는 물티슈를 물티슈 인출구로부터 뽑게 되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어서 연속되는 다음 물티슈는 뽑히는 물티슈와 겹쳐지는 부분에서 재질적인 부착력 및 밀착력에 의해 당겨지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이어서 연속되는 다음 물티슈는 뽑혀 지는 물티슈와의 겹쳐진 접촉 길이 정도만큼 물티슈 인출구로부터 인출되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물티슈 조립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군의 물티슈(12)와 제2 군의 물티슈(14)가 겹쳐지게 되는 접촉 길이(L1)는 제1 군의 물티슈(12) 또는 제2 군의 물티슈(14) 한 장의 길이 방향에 대한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할 때, 약 절반 정도이므로 이러한 물티슈 조립체(10)의 상위 물티슈를 뽑았을 때 이어서 연속되는 다음 물티슈의 인출 길이는 전체 길이에 대한 접촉 길(L1)이 즉, 약 1/2 정도로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이 물티슈(12, 14)의 인출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미사용시 물티슈(12, 14)의 인출부분을 말거나 접어서 수용체(T)의 내부로 밀어 넣고 물티슈 인출구(I)를 밀봉하게 될 때, 물티슈의 인출 부분에 대한 불규칙한 접힘 및 포개짐, 뭉쳐짐에 의해 부피가 상당히 커지게 됨으로써, 좁은 통로를 형성하고 있는 물티슈 인출구(I)로 밀어 넣기가 어렵다. 아울러 통과시키기도 용이하지 못하여 물티슈의 인출 부분에 대한 처리는 물론, 물티슈 인출구(I)의 밀봉 처리도 신속 용이하지 못한 불편함이 있었다.
예컨대, 제1 군의 물티슈(12)와 제2 군의 물티슈(14)의 인출부분에 대한 인출 길이를 짧게 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티슈 조립체(10)의 중심(S)을 기준으로 제1 군의 물티슈(12)와 제2 군의 물티슈(14) 간에 사이 거리를 넓히게 되면, 접촉 길이(L2)는 도 1의 접촉 길이(L1)보다 짧게 할 수 있어 인출 길이를 줄이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경우, 제1 군의 물티슈(12)와 제2 군의 물티슈(14) 간에 양편으로 벌어진 거리 만큼도 2에 도시된 물티슈 조립체(10)의 수평 길이 방향에 대한 길이는 도 1에 도시된 물티슈 조립체(10)보다 길어지게 되어 휴대에 대한 불편함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제1 군의 물티슈와 제2 군의 물티슈가 서로 교대로 겹쳐지게 되는 구조를 새로운 타입으로 개선하여 물티슈를 뽑아 쓸 때, 이어서 연속 인출되는 물티슈의 인출 길이가 짧거나 과도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의 제공은 물론, 물티슈 일부 인출된 부분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물티슈 및 이를 적층 한 물티슈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으로, 물티슈 조립체의 구겨짐과 압축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편심 이동 방지와 그에 따른 물티슈의 인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물티슈 및 이를 적층 한 물티슈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양편이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획되도록 물티슈의 절반 지점에 형성되는 제1 접힘선과, 상기 제2 영역에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는 제3 및 제 4 접힘선과, 상기 제1 내지 제3 접힘선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 세그먼트 접힘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세그먼트 접힘편의 상면에 제2 세그먼트 접힘편이 배치되도록 제1 접힘선을 중심으로 접히고, 상기 제2 세그먼트 접힘편의 상면에 제3 세그먼트 접힘편이 배치되도록 제2 접힘선을 중심으로 반대 방향으로 접히게 되며, 상기 제3 세그먼트 접힘편의 상면에 제4 세그먼트 접힘편이 배치되도록 제3 접힘선을 중심으로 접혀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물티슈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3 접힘선은 제2 영역의 길이 방향 길이를 기준으로 하여 2/5 지점에 형성되고, 제4 접힘선은 제2 영역의 길이 방향 길이를 기준으로 하여 4/5 지점에 형성되는 물티슈가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물티슈를 1군과 2군으로 나누어 양편에 배치하고 교대로 겹쳐지는 부분을 일부 가지고 적층 되는 물티슈 조립체로서, 하위에 배치되는 제2군의 제1 물티슈의 제1 및 제2 세그먼트 접힘편 사이에는 제1 군의 제1 물티슈의 제1 세그먼트 접힘편이 제2군의 제1 물티슈의 제2 세그먼트 접힘편과 면 접촉하도록 끼워지고, 상기 제1군의 제1 물티슈의 제1 및 제2 세그먼트 접힘편 사이에는 제2군의 제1 물티슈의 상위에 배치되는 제2 군의 제2 물티슈의 제1 세그먼트 접힘편이 제1군의 제1 물티슈의 제2 세그먼트 접힘편과 면 접촉하도록 끼워지게 되며, 상기 제2군의 제2 물티슈의 제1 및 제2 세그먼트 접힘편 사이에는 제1군의 제1 물티슈 상위에 배치되는 제1 군의 제2 물티슈의 제1 세그먼트 접힘편이 제2군의 제2 물티슈의 제2 세그먼트 접힘편과 면 접촉하도록 끼워지고, 상기 제1군의 제2 물티슈의 제1 및 제2 세그먼트 접힘편 사이에는 제2군의 제2 물티슈의 상위에 배치되는 제2 군의 제3 물티슈의 제1 세그먼트 접힘편이 제1군의 제2 물티슈의 제2 세그먼트 접힘편과 면 접촉하도록 끼워지는 배열 구조로 적층 되는 물티슈 조립체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및 이를 적층 한 물티슈 조립체를 사용하게 되면, 물티슈를 잡아 뽑았을 때, 다음에 연속하는 물티슈의 인출길이가 물티슈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할 때, 약 1/4 정도이므로 물티슈를 뽑기 위한 잡기에 전혀 불편함이 없으면서도 과도한 인출이 방지되어 미 사용시, 물티슈 인출구를 통해 인출된 물티슈 부분을 밀어 넣는 상태로 밀봉 처리가 용이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포대 타입의 수용체에 수용되는 물티슈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제1 군의 물티슈와 제2 군의 물티슈 간에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조립체를 구성하는 제1 및 제 2군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물티슈로서, 도 3a는 물티슈 접힘 전개도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3b는 물티슈의 접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조립체를 구성하는 제1 및 제 2군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물티슈로서, 도 3a에서는 물티슈 접힘 전개도를 보여주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b에서는 물티슈의 접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20)는, 먼저 물티슈(20)의 길이 방향에 따른 전체 길이(L3)를 기준으로 하여 절반, 즉 1/2 지점에 제1 접힘선(28)이 형성되며, 이러한 제1 접힘선(22)에 의해 양편이 제1 영역(24)과 제2 영역(26)으로 구획된다.
또한, 상기 제2 영역(26)의 길이(d1)를 기준으로 하여 2/5 지점과 4/5 지점에는 제2 및 제 3접힘선(28, 30)이 각각 형성되며, 이와 같이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접힘선(22, 28, 30)에 의해 물티슈(20)는 제1 내지 제4 세그먼트 접힘편(32, 34, 36, 38)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제1 내지 제3 접힘선(22, 28, 30)을 가지는 물티슈(20)를 접게 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1 세그먼트 접힘편(32)의 상면에 제2 세그먼트 접힘편(34)이 배치되도록 제1 접힘선(22)을 중심으로 접고, 제2 세그먼트 접힘편(34)의 상면에 제3 세그먼트 접힘편(36)이 배치되도록 제2 접힘선(28)을 중심으로 되 접게 된다.
그리고, 제3 세그먼트 접힘편(36)의 상면에 제4 세그먼트 접힘편(38)이 배치되도록 제3 접힘선(30)을 중심으로 접게 된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b에 도시된 구조로 접혀지는 물티슈(20)를 제1 군과 제 2군으로 나누어 양편에 각각 배치하고 일부 겹쳐지는 상태로 각각 1 장씩 쌓아 적층 하게 된다.
설명에 앞서 제1 군의 제1 및 제2 물티슈(40, 42)와 제2 군의 제1 내지 제3 물티슈(44, 46, 48)는 도 3a 및 도 3b를 통해 설명된 물티슈(20)와 동일한 것이나, 물티슈 조립체(50)의 적층 설명 과정에서 혼동될 수 있어 참조 부호를 별도로 부여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하위에 배치되는 제2군의 제1 물티슈(44)의 제1 및 제2 세그먼트 접힘편(32, 34) 사이에는 제1 군의 제1 물티슈(40)의 제1 세그먼트 접힘편(32)이 제2군의 제1 물티슈(44)의 제2 세그먼트 접힘편(34)과 면 접촉하는 구조로 끼워지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제1군의 제1 물티슈(40)의 제1 및 제2 세그먼트 접힘편(32, 34) 사이에는 제2군의 제1 물티슈(44)의 상위에 배치되는 제2 군의 제2 물티슈(46)의 제1 세그먼트 접힘편(32)이 제1군의 제1 물티슈(40)의 제2 세그먼트 접힘편(34)과 면 접촉하는 구조로 끼워지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제2군의 제2 물티슈(46)의 제1 및 제2 세그먼트 접힘편(32, 34) 사이에는 제1군의 제1 물티슈(40) 상위에 배치되는 제1 군의 제2 물티슈(42)의 제1 세그먼트 접힘편(32)이 제2군의 제2 물티슈(46)의 제2 세그먼트 접힘편(34)과 면 접촉하는 구조로 끼워지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제1군의 제2 물티슈(42)의 제1 및 제2 세그먼트 접힘편(32, 34) 사이에는 제2군의 제2 물티슈(46)의 상위에 배치되는 제2 군의 제3 물티슈(48)의 제1 세그먼트 접힘편(32)이 제1군의 제2 물티슈(42)의 제2 세그먼트 접힘편(34)과 면 접촉하는 구조 끼워지게 된다.
위와 같은 적층 구조를 반복하여 제1군의 제1 및 제2 물티슈(40, 42)와 제2 군의 제1 내지 제3 물티슈(44, 46, 48)를 순차적으로 쌓으면서 최종적으로는 제2 군의 제3 물티슈(48)의 제4 세그먼트 접힘편(38)이 물티슈 인출구(I) 바로 아래에 배치되는 상태로 물티슈 조립체(50)를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이 구성되는 물티슈 조립체(50)를 사용하여 물티슈 인출구(I)를 통해 제2 군의 제3 물티슈(48)의 제4 세그먼트 접힘편(38)을 잡아 뽑게 될 경우, 물티슈 인출구(I)로부터 이어서 연속되는 다음 제1 군의 제2 물티슈(42)의 인출길이는 제1 군의 제2 물티슈(42)와 제2 군의 제3 물티슈(48)가 접촉하고 있는 접촉 길이(L4)와 거의 같게 된다.
특히, 수분을 포함하고 있는 물티슈에서는 물티슈끼리 밀착력과 부착력이 강하기 때문에 제1 군의 제2 물티슈(42)의 인출 길이는 미세한 차이는 있으나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접촉길이(L4) 그대로 끌려나오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접촉길이(L4)는 도 3a 및 도 3b에 보듯이 제2 세그먼트 접힘편(34)의 길이 방향 길이(d2)로써 물티슈(20)의 전체길이(L3)에 약 1/4 정도 해당되므로 사용자가 물티슈를 뽑아 쓰는데 불편함이 없으면서도 종래와 같이 필요 이상으로 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위와 같이 다음에 연속해서 인출되는 물티슈의 인출 길이가 물티슈의 전체길이(L3)의 약 1/4 정도로 인출되게 되면, 미사용시 물티슈의 인출부분을 말아서 물티슈 인출구(I)를 통해 수용체(T)의 내부로 밀어 넣게 될 때, 물티슈의 불규칙한 접힘 및 포개짐, 뭉쳐짐의 부피가 작아져 좁은 통로를 형성하고 있는 물티슈의 인출구(I)로 밀어 넣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그로 인해 물티슈 인출구(I)의 밀봉이 보다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로 설명된 도 2와 같이 물티슈 조립체(10)의 중심(S)을 기준으로 하여 제1 군 물티슈(12)와 제2 군 물티슈(14) 간에 간격을 넓힘으로써 발생하게 되는 물티슈 조립체(10)의 과도한 크기 증대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조립체(50)를 사용하게 되면, 제1 군의 제1 및 제2 물티슈(40, 42)와 제2 군의 제1 내지 제3 물티슈(44, 46, 48)가 겹쳐지는 접촉길이(L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세그먼트 접힘편(32)의 약 절반 정도 길이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물티슈 조립체(50)의 양측 선단에서 중앙 부분까지 겹쳐지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그에 따라 물티슈 조립체(50)의 양측 부분과 중앙 부분에 대한 두께가 비슷하게 형성됨으로써 수평 밸런스를 맞출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물티슈 조립체(50)의 중앙 부분이 양측 부분에 비해 움푹 파지는 모양으로 내려앉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현상이 방지되면, 휴대 시 물티슈 조립체(50)의 구겨짐과 압축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아 편심 이동이 방지되고, 아울러 물티슈의 인출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물티슈의 조립체(50)의 중앙 부분이 움푹 파지는 모양으로 내려앉게 되어 수평 밸런스가 맞지 않게 되면, 양측 부분의 두께와 중앙 부분 간에 두께 차이에 의한 굴곡 구간이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굴곡 구간이 형성되어 있는 물티슈 조립체가 편심 이동하게 될 경우, 굴곡이 형성되는 구간, 즉 물티슈 조립체(50)의 중앙 부분이 쉽게 구겨지는 상태로 압축되어 중앙 부분의 배열이 뭉쳐지게 되고, 이와 같은 뭉쳐짐이 발생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물티슈의 인출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도 3b 참조).
10, 50 : 물티슈 조립체 12 : 제1 군의 물티슈
14 : 제2 군의 물티슈 20 : 물티슈
22 : 제1 접힘선 24 : 제1 영역
26 : 제2 영역 28 : 제2 접힘선
30 : 제3 접힘선 32 : 제1 세그먼트 접힘편
34 : 제2 세크먼트 접힘편 36 : 제3 세그먼트 접힘편
38 : 제4 세그먼트 접힘편 40 : 제1 군의 제1 물티슈
42 : 제1군의 제2 물티슈 44 : 제2군의 제1 물티슈
46 : 제2군의 제2 물티슈 48 : 제2군의 제3 물티슈

Claims (3)

  1. 양편이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구획되도록 물티슈의 절반 지점에 형성되는 제1 접힘선과, 상기 제2 영역에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는 제3 및 제 4 접힘선과, 상기 상기 제1 내지 제3 접힘선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 세그먼트 접힘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세그먼트 접힘편의 상면에 제2 세그먼트 접힘편이 배치되도록 제1 접힘선을 중심으로 접히고, 상기 제2 세그먼트 접힘편의 상면에 제3 세그먼트 접힘편이 배치되도록 제2 접힘선을 중심으로 반대 방향으로 접히게 되며, 상기 제3 세그먼트 접힘편의 상면에 제4 세그먼트 접힘편이 배치되도록 제3 접힘선을 중심으로 접혀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접힘선은 제2 영역의 길이 방향에 대한 길이를 기준으로 하여 2/5 지점에 형성되고, 제4 접힘선은 제2 영역의 길이 방향에 대한 길이를 기준으로 하여 4/5 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물티슈를 1군과 2군으로 나누어 양편에 배치하고 교대로 겹쳐지는 부분을 일부 가지고 적층 되는 물티슈 조립체로서,
    하위에 배치되는 제2군의 제1 물티슈의 제1 및 제2 세그먼트 접힘편 사이에는 제1 군의 제1 물티슈의 제1 세그먼트 접힘편이 제2군의 제1 물티슈의 제2 세그먼트 접힘편과 면 접촉하도록 끼워지고,
    상기 제1군의 제1 물티슈의 제1 및 제2 세그먼트 접힘편 사이에는 제2군의 제1 물티슈의 상위에 배치되는 제2 군의 제2 물티슈의 제1 세그먼트 접힘편이 제1군의 제1 물티슈의 제2 세그먼트 접힘편과 면 접촉하도록 끼워지게 되며,
    상기 제2군의 제2 물티슈의 제1 및 제2 세그먼트 접힘편 사이에는 제1군의 제1 물티슈 상위에 배치되는 제1 군의 제2 물티슈의 제1 세그먼트 접힘편이 제2군의 제2 물티슈의 제2 세그먼트 접힘편과 면 접촉하도록 끼워지고,
    상기 제1군의 제2 물티슈의 제1 및 제2 세그먼트 접힘편 사이에는 제2군의 제2 물티슈의 상위에 배치되는 제2 군의 제3 물티슈의 제1 세그먼트 접힘편이 제1군의 제2 물티슈의 제2 세그먼트 접힘편과 면 접촉하도록 끼워지는 배열 구조로 적층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조립체.
KR1020120140810A 2012-12-06 2012-12-06 물티슈 및 이를 적층 한 물티슈 조립체 KR201400730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810A KR20140073092A (ko) 2012-12-06 2012-12-06 물티슈 및 이를 적층 한 물티슈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810A KR20140073092A (ko) 2012-12-06 2012-12-06 물티슈 및 이를 적층 한 물티슈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092A true KR20140073092A (ko) 2014-06-16

Family

ID=51126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810A KR20140073092A (ko) 2012-12-06 2012-12-06 물티슈 및 이를 적층 한 물티슈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309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185B1 (ko) * 2015-01-15 2015-07-09 하나네이처(주) 티슈 적층구조
KR20160096928A (ko) 2015-02-06 2016-08-17 김효영 워터 캡슐식 물티슈 패키지
KR101652662B1 (ko) * 2016-01-26 2016-08-30 한종우 물티슈 및 이를 구비한 물티슈조립체
CN107280559A (zh) * 2016-03-31 2017-10-24 金红叶纸业集团有限公司 抽取式折叠纸巾及抽纸用品
WO2017188776A1 (ko) * 2016-04-29 2017-11-02 이시홍 물티슈 적층 구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185B1 (ko) * 2015-01-15 2015-07-09 하나네이처(주) 티슈 적층구조
CN105795990A (zh) * 2015-01-15 2016-07-27 哈那内彻有限公司 纸巾堆叠结构
CN105795990B (zh) * 2015-01-15 2018-08-24 哈那内彻有限公司 纸巾堆叠结构
KR20160096928A (ko) 2015-02-06 2016-08-17 김효영 워터 캡슐식 물티슈 패키지
KR101652662B1 (ko) * 2016-01-26 2016-08-30 한종우 물티슈 및 이를 구비한 물티슈조립체
CN107280559A (zh) * 2016-03-31 2017-10-24 金红叶纸业集团有限公司 抽取式折叠纸巾及抽纸用品
CN107280559B (zh) * 2016-03-31 2021-03-26 金红叶纸业集团有限公司 抽取式折叠纸巾及抽纸用品
WO2017188776A1 (ko) * 2016-04-29 2017-11-02 이시홍 물티슈 적층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3092A (ko) 물티슈 및 이를 적층 한 물티슈 조립체
US6644501B2 (en) Sheet package
CN105845896B (zh) 分体压延一次性覆膜补锂装置
KR101992862B1 (ko) 웨트와이프용 약액 및 웨트와이프
JP2010042846A (ja) ウエットシートピロー包装体
CN105795990A (zh) 纸巾堆叠结构
CN102556520B (zh) 包装构造
JP6316789B2 (ja) 捲回装置
CN109153493A (zh) 湿巾包装体
JP2014028629A (ja) ティシュペーパー収納体及びその収納箱
EP3515270A1 (en) Stack of paper sheets, dispenser having such a stack and method for forming such a stack
CN107280559B (zh) 抽取式折叠纸巾及抽纸用品
KR101668344B1 (ko) 웨트 와이프의 제조 방법, 제조 장치 및 웨트 와이프
CN103987305A (zh) 片材产品的包捆及其制造方法
CN105845897B (zh) 分体压延分体复合补锂装置
JPH0889439A (ja) ウェットティシュの重畳構造
CN103383203A (zh) 一种大立方耐高压压缩机换热器
CN104332589B (zh) 极片及其制备方法
JP2016073933A (ja) ベルトプレスの脱水方法及びベルトプレス
KR101352822B1 (ko) 티슈 포장장치
JP2016073932A (ja) ろ布反転式ベルトプレス
EP3153083A1 (en) Stack of folded wipes
JP2016073931A (ja) 電気浸透式ベルトプレス
KR101928352B1 (ko) 캔디형 1회용 액체함유 티슈 및 그 포장방법
FI64051C (fi) Saett att tillverka en fiberproduk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