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2259A - 필기구 유닛과 필기구 - Google Patents

필기구 유닛과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2259A
KR20140072259A KR1020120136790A KR20120136790A KR20140072259A KR 20140072259 A KR20140072259 A KR 20140072259A KR 1020120136790 A KR1020120136790 A KR 1020120136790A KR 20120136790 A KR20120136790 A KR 20120136790A KR 20140072259 A KR20140072259 A KR 20140072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housing
writing
shim
s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6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호
Original Assignee
김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호 filed Critical 김일호
Priority to KR1020120136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2259A/ko
Publication of KR20140072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2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12Holders for attachment to finger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4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ssisting handicapped or disabled persons to wr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1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 B43K24/1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operating by means sliding in longitudinally-slotted casing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필기구 유닛과 필기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유닛은, 필기구; 손가락에 착용 가능하며 자력을 가지는 착용구; 및 상기 필기구에 마련되어 상기 착용구와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 가능한 자력 부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착용구 및 자력 부착부재에 의해 필기구가 사용자의 손 근처에 항상 있도록 함으로써, 필기구의 분실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조작하기 용이한 위치에 상부 심 선별 버튼과 연동하도록 하부 심 선별 버튼을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색상 변경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 가능하도록 하여 필기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필기구 유닛과 필기구{WRITING INSTRUMENT UNIT AND WRITING INSTRUMENT}
본 발명은, 필기구 유닛과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기구의 분실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더 신속하게 연속적인 필기 작업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다색 볼펜의 경우 색상 변경 작업을 한층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필기구 유닛과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필기구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업무나 공부를 하다가 컴퓨터 키보드 작업, 좌석 이동 등 다른 일을 해야하는 경우, 현재 파지하고 있던 필기구를 일단 책상 위에 놓고 수행하게 된다.
이후 다시 사용자가 필기구를 파지하여 다시 업무나 공부를 하고자 할 경우, 책상 위에 놓아두었던 필기구를 다시 찾아야 하며, 만약 이러한 필기구가 굴러서 다른 위치로 이동하였을 경우 필기구를 찾는 수고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필기구를 찾는 과정 동안의 시간적 낭비가 발생하게 되어 사용자가 다시 신속하게 공부 등을 하기 어렵게 되며, 나아가서는 공부 또는 업무의 리듬이 깨져 효율이 저감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다양한 필기구 중에는 샤프 펜슬 기능을 포함한 3색(4색) 볼펜이 있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현재 사용중인 색상을 다른 색상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필기 작업을 위한 손잡이 자세를 변경하여 전혀 새로운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검지 등을 이용하여 필기구 심 선별 버튼을 이동하거나 예를 들어 왼손(오른손으로 필기구를 파지한 경우)으로 필기구 심 선별 버튼을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필기 작업 중 순간적으로 리듬이 깨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필기 및 업무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기구의 분실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필기구 유닛과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다색 볼펜과 같은 경우 사용자가 색상 변경 버튼을 작동하는 것과 같은 색상 변경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 가능하도록 하여 리듬이 깨져 필기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필기구 유닛과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필기 작업을 수행하다 이외의 다른 작업을 한 후 다시 필기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때, 필기구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신속한 재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 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필기구 유닛과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필기구; 손가락에 착용 가능하며 자력을 가지는 착용구; 및 상기 필기구에 마련되어 상기 착용구와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 가능한 자력 부착부재를 포함하는 필기구 유닛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착용구는 링 형상 또는 골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자력 부착부재는, 상기 필기구의 외면에 삽입 가능한 삽입링 또는 상기 필기구의 외면에 마련되는 자성 페인트층일 수 있다.
상기 필기구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기구 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기구 심과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기구 심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부 영역에 마련되는 상부 심 선별 버튼; 상기 하우징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되, 상기 상부 심 선별 버튼과 연동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기구 심을 이동 가능한 하부 심 선별 버튼; 및 상기 상부 심 선별 버튼과 상기 하부 심 선별 버튼이 서로 연동하도록 상기 상부 심 선별 버튼과 상기 하부 심 선별 버튼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상부 심 선별 버튼에 형성된 상부 삽입공에 일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하부 심 선별 버튼에 형성된 하부 삽입공에 타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케이블 또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된 래치산을 포함하며, 상기 래치산은 상기 상부 삽입공 및 상기 하부 삽입공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 심 선별 버튼이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는 슬리브 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 심 선별 버튼의 외측부는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슬리브 링의 외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 심 선별 버튼의 외측부가 상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기구 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기구 심과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기구 심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부 영역에 마련되는 상부 심 선별 버튼; 상기 하우징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되, 상기 상부 심 선별 버튼과 연동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기구 심을 이동 가능한 하부 심 선별 버튼; 및 상기 상부 심 선별 버튼과 상기 하부 심 선별 버튼이 서로 연동하도록 상기 상부 심 선별 버튼과 상기 하부 심 선별 버튼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필기구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상부 심 선별 버튼에 형성된 상부 삽입공에 일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하부 심 선별 버튼에 형성된 하부 삽입공에 타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케이블 또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된 래치산을 포함하며, 상기 래치산은 상기 상부 삽입공 및 상기 하부 삽입공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 심 선별 버튼이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는 슬리브 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 심 선별 버튼의 외측부는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슬리브 링의 외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 심 선별 버튼의 외측부가 상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홈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필기구 유닛과 필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착용구 및 자력 부착부재에 의해 필기구가 사용자의 손 근처에 항상 있도록 함으로써, 필기구의 분실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사용자가 조작하기 용이한 위치에 상부 심 선별 버튼과 연동하도록 하부 심 선별 버튼을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색상 변경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 가능하도록 하여 필기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연결 부재가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된 래치산을 구비하는 간단한 구조로 마련됨으로써, 필기구 하우징과 같이 협소한 공간 내에서도 상부 심 선별 버튼과 하부 심 선별 버튼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유닛을 사용자가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내부 구성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의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유닛을 사용자가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내부 구성물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의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유닛과 필기구는, 필기구의 분실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3색 볼펜 등과 같은 필기구의 필기구 심 색상 변경시 이러한 변경 작업을 용이하도록 하여 계속 진행해오던 필기 작업 등의 리듬을 최대한 유지하여 작업 효율의 저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유닛은, 필기구(100), 손가락에 착용 가능하며 자력을 가지는 착용구(200), 및 필기구(100)에 마련되어 착용구(200)와 자력에 의해 부착 가능한 자력 부착부재(300)를 포함한다.
먼저, 착용구(2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 가능하도록 링 형상 또는 골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정 이상의 자력을 갖도록 마련된다. 사용자는 링 형상 또는 골무 형상의 착용구(200)를 손가락의 끼워서 사용 가능하다. 일 예로, 이러한 착용구(200)는 일정 이상의 강성을 갖거나 고무 재질의 마그네트로 적용 가능하다.
다음, 자력 부착부재(300)는, 필기구(100)에 마련되어 착용구(200)와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 가능하도록 마련된 것으로서, 착용구(200)와 마찬가지로 일정 이상의 자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일 예로, 자력 부착부재(300)는, 필기구(100)의 외면에 삽입 가능한 삽입링 또는 필기구(100)의 외면에 마련되는 자성 페인트층(미도시)으로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삽입링은 일정 이상의 강성을 갖는 마그네트로 적용되거나 고무 재질로 마그네트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가 필기구의 배치 방향(회전 방향)에 크게 상관없이 필기구를 고정 가능하도록, 삽입링은 필기구(100)의 외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마련되는 링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착용구(200) 및 자력 부착부재(300)에는 일종의 광고 문구가 더 인쇄 또는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정리하자면, 본 실시예는, 일정 이상의 자력을 갖는 착용구(200)와 자력 부착부재(300)가 각각 마련됨으로써, 필기구(100)의 이탈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필기구(100)를 파지한 상태로 필기 작업을 수행하다 별도의 작업, 예를 들면 전화 수신, 컴퓨터 타이핑 작업 등을 수행하더라도 필기구(100)의 분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다시 필기 작업을 하고자 할 때에도 신속하게 재차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리듬이 깨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는, 일 예로 3색(4색) 볼펜 등과 같은 다색 볼펜으로 적용 가능하며, 사용자가 필기구를 파지한 상태에서 색상 변경을 보다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실시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관련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는 필기구가 3색 볼펜으로 적용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필기구는, 하우징(110), 하우징(110) 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기구 심(120), 적어도 하나의 필기구 심(120)과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필기구 심(120)을 이동 가능하도록 하우징(110)의 상부 영역에 마련되는 상부 심 선별 버튼(130), 하우징(110)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되 상부 심 선별 버튼(130)과 연동하도록 마련되어 적어도 하나의 필기구 심(120)을 이동 가능한 하부 심 선별 버튼(140), 및 상부 심 선별 버튼(130)과 하부 심 선별 버튼(140)이 서로 연동하도록 상부 심 선별 버튼(130)과 하부 심 선별 버튼(140)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150)를 포함한다.
먼저, 하우징(110)은 상부 하우징(111)과 하부 하우징(112)의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내부 공간이 마련된다. 이러한 하우징(110)의 상부에는 별도의 캡(미도시)으로 커버된 지우개 등이 더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외면에는 전술한 자력 부착부재(300)의 일 예로서 삽입링이 마련된다. 물론, 삽입링은 자성 페인트층(미도시)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하부 영역에는 사용자가 미끄러지지 않고 필기구를 파지하도록 일 예로 고무 재질의 미끄럼 방지 밴드(113)가 더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하우징(110) 내에는 적어도 하나, 구체적으로 3개의 필기구 심(120)이 마련된다. 각각의 필기구 심(120)의 상부에는 상부 심 선별 버튼(130)이 연결되며, 사용자는 이러한 상부 심 선별 버튼(130)을 하방으로 슬라이딩 동작하여 3개의 필기구 심(120)의 하단부를 하우징(110) 외측으로 노출시켜 사용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의 상부 영역에는 상부 심 선별 버튼(130)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노출공이 형성되며, 사용자는 상부 심 선별 버튼(130)의 노출된 부위를 하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필기구 심(120)을 이동하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 내에는 3개의 필기구 심(120)의 배치 위치를 일부 제한하도록 상부 슬리브 링(160)이 마련된다. 이러한 상부 슬리브 링(160)에는 대략 3개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각각의 필기구 심(120)은 이러한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3개의 상부 심 선별 버튼(130)과 상부 슬리브 링(160) 사이에는 각각 탄성 부재로서 스피링(170)이 마련되며, 이러한 스피링(170)은 필기구 심(120)과 이격되어 필기구 심(120)을 둘레 방향으로 감싸도록 배치되며, 각각의 필기구 심(120)을 탄성적으로 위치 복원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10)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며 상부 심 선별 버튼(130)과 연동하도록 마련되어 적어도 하나의 필기구 심(120)을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하부 심 선별 버튼(140)이 더 마련된다. 이러한 하부 심 선별 버튼(140)은 전술한 상부 심 선별 버튼(130)과 마찬가지로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0) 내에는 슬리브 링(180)이 마련되며, 이러한 슬리브 링(180)은 전술한 상부 슬리브 링(160)과 마찬가지로 필기구 심(120)과 대응하는 개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필기구 심(120)은 각각의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필기구 심(120)의 좌우 이동을 일정 부분 효율적으로 제한하도록, 상부 슬리브 링(160)과 슬리브 링(180)은 하우징(110) 내벽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3개의 하부 심 선별 버튼(140)의 외측부는 사용자가 쉽게 동작 가능하도록 하우징(110)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지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리브 링(180)의 외면에는 3개의 하부 심 선별 버튼(140)의 외측부가 상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홈(181)이 마련된다. 즉, 하부 심 선별 버튼(140)은 가이드 홈(181)의 길이 방향, 즉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블록으로서 기능한다. 이에 따라, 하우징(110) 내에서 3개의 하부 심 선별 버튼(140)의 회전을 제한하여 후술하는 연결 부재(150)가 서로 꼬이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필기구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부 심 선별 버튼(130)에 비해 상대적으로 손가락 단부와 가까운 위치(사용자가 조작하기 용이한 위치)에 배치된 하부 심 선별 버튼(140)을 작동하여 전체적으로 필기구 심(120)을 이동하기 위해서는, 하부 심 선별 버튼(140)과 상부 심 선별 버튼(130)이 서로 연동하는 상태로 동작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는, 상부 심 선별 버튼(130)과 하부 심 선별 버튼(140)이 서로 연동하도록 상부 심 선별 버튼(130)과 하부 심 선별 버튼(140)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150)가 마련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연결 부재(150)는, 상부 심 선별 버튼(130)에 형성된 상부 삽입공(131)에 일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하부 심 선별 버튼(140)에 형성된 하부 삽입공(141)에 타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연결 부재(150)는 케이블 또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 예로 일정 이상의 벤딩이 가능하도록 연성을 갖는 PP, PE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하부 심 선별 버튼(140)을 슬라이드 이동했을 때 마찬가지로 상부 심 선별 버튼(130)이 동일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필기구 심(120)을 이동하기 위해서는 연결 부재(150)가 각각 상부 및 하부 심 선별 버튼(130,140)에 견고하게 고정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150)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된 래치산(151)을 포함하며, 래치산(151)은 상부 삽입공(131) 및 하부 삽입공(141)에 걸림 결합된다. 즉, 본 실시예는, 래치산(151)의 간단한 구조를 통해 연결 부재(150)를 상부 및 하부 심 선별 버튼(130,140)에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연결 부재(150)는 상부 삽입공(131) 및 하부 삽입공(141)에 간단히 삽입되어 고정되며, 래치산(151)에 의해 상부 심 선별 버튼(130) 및 하부 심 선별 버튼(140)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덧붙여, 연결 부재(150)가 래치산(151)을 구비하는 간단한 구조로 마련됨으로써, 하우징(110)과 같이 협소한 공간 내에서도 상부 심 선별 버튼(130)과 하부 심 선별 버튼(140)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하우징(110)의 외면에 자력 부착부재(300)가 마련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본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는 자력 부착부재(300)가 생략된 상태에서 전술한 하부 심 선별 버튼(140) 및 연결 부재(150)가 마련된 경우로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정리하자면, 본 실시예는, 자력 부착부재(300) 및 착용구(200)가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필기구를 파지한 상태로 필기 작업을 하다가 이어서 기타 다른 일을 수행할 때 필기구의 분실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시 필기 작업을 수행할 때 신속하게 수행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하부 심 선별 버튼(140) 및 연결 부재(150)가 마련됨으로써, 굳이 상부 심 선별 버튼(130)을 동작시키지 않아도 하부 심 선별 버튼(140)을 동작시켜 필기구 심(120)을 이동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부연하자면, 하부 심 선별 버튼(140)은 사용자가 필기구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 단부에 가까운 곳에 위치하므로, 사용자는 간단히 엄지 또는 검지를 움직여서 하부 심 선별 버튼(140)을 동작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필기구 110: 하우징
113: 미끄럼 방지 밴드 120: 필기구 심
130: 상부 심 선별 버튼 131: 상부 삽입공
140: 하부 심 선별 버튼 141: 하부 삽입공
150: 연결 부재 151: 래치산
160: 상부 슬리브 링 170: 스프링
180: 슬리브 링 181: 가이드 홈
200: 착용구 300: 자력 부착부재

Claims (11)

  1. 필기구;
    손가락에 착용 가능하며 자력을 가지는 착용구; 및
    상기 필기구에 마련되어 상기 착용구와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 가능한 자력 부착부재를 포함하는 필기구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구는 링 형상 또는 골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정 이상의 강성을 갖거나 고무 재질의 마그네트로 이루어지는 필기구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부착부재는, 상기 필기구의 외면에 삽입 가능한 삽입링 또는 상기 필기구의 외면에 마련되는 자성 페인트층인 필기구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기구 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기구 심과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기구 심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부 영역에 마련되는 상부 심 선별 버튼;
    상기 하우징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되, 상기 상부 심 선별 버튼과 연동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기구 심을 이동 가능한 하부 심 선별 버튼; 및
    상기 상부 심 선별 버튼과 상기 하부 심 선별 버튼이 서로 연동하도록 상기 상부 심 선별 버튼과 상기 하부 심 선별 버튼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필기구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상부 심 선별 버튼에 형성된 상부 삽입공에 일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하부 심 선별 버튼에 형성된 하부 삽입공에 타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케이블 또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필기구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된 래치산을 포함하며, 상기 래치산은 상기 상부 삽입공 및 상기 하부 삽입공에 걸림 결합되는 필기구 유닛.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 심 선별 버튼이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는 슬리브 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 심 선별 버튼의 외측부는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슬리브 링의 외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 심 선별 버튼의 외측부가 상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홈이 마련되는 필기구 유닛.
  8.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기구 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기구 심과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기구 심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부 영역에 마련되는 상부 심 선별 버튼;
    상기 하우징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되, 상기 상부 심 선별 버튼과 연동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기구 심을 이동 가능한 하부 심 선별 버튼; 및
    상기 상부 심 선별 버튼과 상기 하부 심 선별 버튼이 서로 연동하도록 상기 상부 심 선별 버튼과 상기 하부 심 선별 버튼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필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상부 심 선별 버튼에 형성된 상부 삽입공에 일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하부 심 선별 버튼에 형성된 하부 삽입공에 타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케이블 또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필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된 래치산을 포함하며, 상기 래치산은 상기 상부 삽입공 및 상기 하부 삽입공에 걸림 결합되는 필기구.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 심 선별 버튼이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는 슬리브 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 심 선별 버튼의 외측부는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슬리브 링의 외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 심 선별 버튼의 외측부가 상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홈이 마련되는 필기구.

KR1020120136790A 2012-11-29 2012-11-29 필기구 유닛과 필기구 KR201400722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790A KR20140072259A (ko) 2012-11-29 2012-11-29 필기구 유닛과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790A KR20140072259A (ko) 2012-11-29 2012-11-29 필기구 유닛과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259A true KR20140072259A (ko) 2014-06-13

Family

ID=51126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6790A KR20140072259A (ko) 2012-11-29 2012-11-29 필기구 유닛과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22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27872A (zh) * 2016-11-02 2017-06-13 钱向东 新一代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27872A (zh) * 2016-11-02 2017-06-13 钱向东 新一代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0137B1 (en) Writing instrument
US7476043B1 (en) Fingertip writing instrument
US8444339B2 (en) Apparatus having a slidable cap
JP2017521290A (ja) 握持を容易にする異軸ペン
US20220225708A1 (en) Tool holder hand garment
KR101413201B1 (ko) 필기구
US9694227B2 (en) Exercise pen
KR20140072259A (ko) 필기구 유닛과 필기구
JP6201090B1 (ja) クリップを備えた物品
JP2008273030A (ja) 毛筆
KR200415160Y1 (ko) 손가락용 필기구 홀더
US20090115643A1 (en) Finger-Tip Key Depressor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0331974B1 (ko) 손가락 삽입형 링 마우스
JP3204986U (ja) ペン保持具
JP3183567U (ja) ペン型パネル入力装置
US20040242287A1 (en) Cell phone design
KR102618806B1 (ko) 다용도 컴퍼스
KR101159301B1 (ko) 필기연습 도구
JP3144419U (ja) ペン回し用筆記具
KR20090012426U (ko) 침핀 고정용 골무
JP3113182U (ja) 被覆された接続部
KR20100000678U (ko) 미술장갑
KR20170046209A (ko) 손가락 파지 기능 보조 장치
KR100418207B1 (ko) 홀더기능이 구비된 필기구
JP4282355B2 (ja) 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