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1893A - 축전 장치 - Google Patents

축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1893A
KR20140071893A KR1020130140532A KR20130140532A KR20140071893A KR 20140071893 A KR20140071893 A KR 20140071893A KR 1020130140532 A KR1020130140532 A KR 1020130140532A KR 20130140532 A KR20130140532 A KR 20130140532A KR 20140071893 A KR20140071893 A KR 20140071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ttery
insulating member
container
bu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0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5615B1 (ko
Inventor
스미오 모리
도모노리 가코
아키히코 미야자키
겐타 나카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Publication of KR20140071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1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Connection only in s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2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복수의 전지를 포함하는 축전 장치로서, 비통상 상태에서의 버스 바와 전지의 용기와의 사이의 단락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축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의 전지(10)를 포함하는 축전 장치(1)로서, 복수의 전지(10) 각각은, 전극체(400)를 수용하는 용기(100)와, 용기(100)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전극체(4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양극 단자(200) 및 음극 단자(300)를 가지고, 축전 장치(1)는 복수의 전지(10) 중 제1 전지(10a)의 양극 단자(200) 및 음극 단자(300) 중 한쪽인 제1 단자와, 복수의 전지(10) 중 제2 전지(10b)의 양극 단자(200) 및 음극 단자(300) 중 한쪽으로서 제1 단자와는 반대 극인 제2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버스 바(150); 제1 단자와 제1 전지(10a)의 용기(100)와의 사이에 배치된 패킹(330); 및 버스 바(150)와 제1 전지(10a)의 용기와의 사이에 배치된 절연 부재(16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축전 장치 {ELECTRIC STORAGE MODULE}
본 발명은 복수의 전지를 구비하는 축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인 환경 문제에 대한 대처로서, 종래의 가솔린 자동차 대신에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전기 자동차 등의 전력원으로서 모터를 구비하는 자동차가 보급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축전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강성이 높은 금속제의 커버 부재 속에, 인접하는 전지 간이 버스 바(bus bar)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전지가 배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이러한 축전 장치에 있어서, 버스 바와 금속제의 커버 부재와의 사이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1-216400호
여기서, 버스 바(bus bar)는 전열 피복되어 있지 않은 금속제의 판형 또는 봉형의 도체이며, 전지의 용기의 소재로서도 일반적으로 금속이 채용된다. 또, 전지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 중 적어도 한쪽은 그 용기와는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그 용기에 장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축전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버스 바는, 각 전지의 용기와는 접촉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버스 바는 전지의 전극 단자에 연결되므로, 전지의 용기에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축전 장치에 대한 소형화의 요청도 있어, 버스 바와 전지의 용기와의 거리를 크게 할 수 없다는 배경도 있다.
따라서, 만일, 강한 충격에 의해 축전 장치가 변형되는 비통상(非通常) 상태에 축전 장치가 놓여졌을 경우, 버스 바가 전지의 용기에 접촉하는 것이 생각할 수 있다. 즉, 버스 바와 전지의 용기와의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는, 비통상 상태에서의 버스 바와 전지의 용기와의 사이의 단락의 발생을 억제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복수의 전지를 구비하는 축전 장치로서, 비통상 상태에서의 버스 바와 전지의 용기와의 사이의 단락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축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態樣)에 따른 축전 장치는, 복수의 전지를 포함하는 축전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전지 각각은, 전극체를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상기 전극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축전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전지 중 제1 전지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 중 어느 한쪽인 제1 단자, 상기 복수의 전지 중 제2 전지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 중 어느 한쪽으로서, 상기 제1 단자와는 반대 극인 제2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버스 바와,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1 전지의 용기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1 절연 부재와, 상기 버스 바와 상기 제1 전지의 용기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2 절연 부재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지의 용기와 절연되어 있는 제1 단자에 접속된 버스 바, 즉 상기 용기와는 전기적으로 절연되어야 하는 버스 바와, 상기 용기와의 사이에 제2 절연 부재가 배치된다.
그러므로, 만일, 축전 장치가 변형되는 등에 의해, 버스 바와 상기 용기와의 거리가 통상 시보다 가까워진 경우라도, 제2 절연 부재에 의해, 버스 바와 상기 용기가 접촉할 가능성이 감소한다.
즉, 본 태양의 축전 장치에 의하면, 비통상 상태에서의 버스 바와 전지의 용기와의 단락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축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 부재는, 상기 버스 바가 배치된 쪽에서 상기 제1 전지를 본 경우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버스 바와, 상기 제1 전지의 용기의 상기 제1 단자가 돌출 설치된 면이 중첩되는 영역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버스 바와 전지의 용기와의 사이의 단락의 발생이 더욱 확실하게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축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 부재는, 2개의 구멍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버스 바와, 상기 제1 전지의 용기 및 상기 제2 전지의 용기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버스 바는, 상기 제2 절연 부재에 설치된 상기 2개의 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축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 부재는, 2개의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2개의 구멍 중 한쪽을 통하여 상기 버스 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전지의 상기 제1 단자와는 반대 극의 양극 단자 또는 음극 단자는, 상기 2개의 구멍 중 다른 쪽을 통하여 다른 버스 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전극 단자에 대응하는 태양으로 제2 절연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복수의 전극 단자의 주위에서의, 버스 바와 전지의 용기와의 사이의 절연을, 하나의 부재(제2 절연 부재)에 의해 더욱 확실하게 보증할 수 있다. 또한, 전극 단자마다 제2 절연 부재를 설치하는 것보다, 예를 들면, 축전 장치의 생산 효율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축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 부재는,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층과 세라믹을 함유하는 세라믹층이 두께 방향으로 중첩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제2 절연 부재의 유연성 및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면, 버스 바와 전지의 용기와의 사이에 제2 절연 부재가 견고하게 끼워진 경우라도, 제2 절연 부재의 파괴가 억제되므로, 제2 절연 부재의 절연 성능이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축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 부재와 상기 제2 절연 부재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제1 단자와 용기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패킹에, 제1 절연 부재 및 제2 절연 부재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절연 부재와 제2 절연 부재를 별개로 하여 축전 장치에 설치하는 것보다, 예를 들면, 축전 장치의 생산 효율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축전 장치는, 복수의 전지를 구비하는 축전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전지 각각은, 전극체를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상기 전극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를 가지고, 상기 축전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전지 중 제1 전지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 중 한쪽인 제1 단자와, 상기 복수의 전지 중 제2 전지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 중 한쪽으로서 상기 제1 단자와는 반대 극인 제2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버스 바와, 상기 버스 바와, 상기 제1 단자와는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상기 제1 전지의 용기를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한 절연 부재를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용기와 절연되어야 하는 버스 바와, 상기 용기와의 사이에 절연 부재가 배치되므로, 비통상 상태에서의 버스 바와 전지의 용기와의 단락의 발생이 억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전지를 구비하는 축전 장치로서, 비통상 상태에서의 버스 바와 전지의 용기와의 사이의 단락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축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서의 축전 장치의 구성 개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서의 전지의 내부 구조의 개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서의 버스 바 및 절연 부재의 배치 위치의 일례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대응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서의 절연 부재의 형상의 일례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6a는 실시예에서의 절연 부재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b는 절연 부재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1장의 절연 부재에 의해 덮이는 영역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3개 이상의 전극 단자에 대응한 절연 부재의 형상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에 나타낸 절연 부재를 구비하는 축전 장치의 구성 개요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9는 3개 이상의 전극 단자에 대응한 절연 부재의 형상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는 제1 절연 부재로서의 기능과 제2 절연 부재로서의 기능을 구비한 패킹의 형상의 일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대응하는 상면도이다.
도 11a는 버스 바와 전지와의 접속 태양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에 대응하는 상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축전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각 도면은 모식도이며, 반드시 엄밀하게 도시한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수치, 형상, 재료, 구성요소, 구성요소의 배치 위치 및 접속 형태 등은 일례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의 구성요소 중, 최상위 개념을 나타내는 독립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임의의 구성요소로서 설명된다.
(축전 장치의 구성 개요)
먼저, 도 1 및 도 2를 사용하여, 실시예에서의 축전 장치(1)의 구성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서의 축전 장치(1)의 구성 개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서의 전지(10)의 내부 구조의 개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에서는, 용기(100)의 내부를 투시한 도면으로 되어 있다.
축전 장치(1)는 복수의 전지(10)와, 복수의 전지(10) 중 2개의 전지(1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버스 바(15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축전 장치(1)는 복수의 버스 바(150)를 구비하고, 각 버스 바(150)는 복수의 전지(10) 중 인접하는 2개의 전지(10)의 다른 극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그 결과, 이들 복수의 전지(10)는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축전 장치(1)는, 전지(10)의 용기(100)와, 그 전지(10)에 접속된 버스 바(150)와의 사이에 절연 부재(160)를 구비하고 있다. 절연 부재(160)의 배치 위치 및 구성의 변형예 등에 대해서는, 도 3∼도 10b를 사용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축전 장치(1)는, 복수의 전지를 구비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조(組)전지"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고, 또한 각 전지(10)는, 예를 들면, "셀(cell)"이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또한, 축전 장치(1)는, 직렬로 접속된 복수의 전지(10)를 수용하는 케이싱 등의, 도 1에 도시하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축전 장치(1)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케이싱 등의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에서의 축전 장치(1)가 구비하는 전지(10) 각각은, 전기를 충전하고, 또한 전기를 방전할 수 있는 2차 전지이며, 예를 들면, 비수 전해질 2차 전지이다.
비수 전해질 2차 전지로서는, 예를 들면, 양극 활물질이 코발트산 리튬 등의 리튬 전이 금속 산화물이며, 음극 활물질이 탄소 재료인 리튬 이온 2차 전지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전지(10)의 종류는, 비수 전해질 2차 전지에는 한정되지 않고, 비수 전해질 2차 전지 이외의 2차 전지라도 되고, 또한 1차 전지라도 된다.
전지(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체(400)를 수용하는 용기(100)와, 용기(100)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전극체(4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양극 단자(200) 및 음극 단자(300)를 가진다.
용기(100)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통형으로 바닥을 구비하는 용기 본체(101)와, 용기 본체(101)의 개구를 폐색(閉塞)하는 금속제의 커버판(110)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용기(100)의 안쪽에는, 전극체(400), 양극 집전체(120), 및 음극 집전체(13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지(10)의 용기(100)의 내부에는 전해액 등의 액체가 밀봉되어 있지만, 그 액체의 도시는 생략한다.
용기(100)는, 전극체(400) 등을 내부에 수용한 후, 커버판(110)과 용기 본체(101)가 용접 등 됨으로써 내부를 밀봉하는 구조를 가진다.
전극체(400)는, 양극과 음극과 격리판(separator)을 구비하고, 전기를 축적할 수 있는 부재이다. 구체적으로는, 전극체(400)는 음극과 양극 사이에 격리판이 끼워넣어지도록 층상(層狀)으로 배치된 것을 전체가 장원(長圓) 형상이 되도록 권취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극 박(箔)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음극 박은, 예를 들면, 구리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극체(400)의 형상으로서는 장원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상 또는 타원 형상이라도 된다. 또한, 전극체(400)의 형상은 권취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평판형 극판을 적층한 형상이라도 된다.
양극 단자(200)는 전극체(400)의 양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극 단자이며, 음극 단자(300)는 전극체(400)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극 단자이다.
또한, 양극 단자(200) 및 음극 단자(300)는, 전극체(400)의 위쪽에 배치된 커버판(110)에, 커버판(110)과는 절연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양극 단자(200)는 패킹(230)을 통하여 커버판(110)에 장착되어 있고, 음극 단자(300)는 패킹(330)을 통하여 커버판(110)에 장착되어 있다.
패킹(230) 및 패킹(330) 각각은, 예를 들면, 수지 등의 절연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즉, 패킹(230) 및 패킹(330) 각각은, 양극 단자(200) 및 음극 단자(300)와 커버판(110) 사이에서의 전기적인 절연과 기밀성 유지를 위한 부재로서 기능하고 있다.
양극 집전체(120)는 전극체(400)의 양극과 용기(100)의 측벽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양극 단자(200)와 전극체(400)의 양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성과 강성을 구비한 부재이다. 그리고, 양극 집전체(120)는, 전극체(400)의 양극 박과 마찬가지로,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 있다.
음극 집전체(130)는, 전극체(400)의 음극과 용기(100)의 측벽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음극 단자(300)와 전극체(400)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성과 강성을 구비한 부재이다. 그리고, 음극 집전체(130)는 전극체(400)의 음극 박과 마찬가지로, 구리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용기(100)의 내부에 밀봉되는 비수 전해질(전해액)은, 다양한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용기(100)의 내부에 밀봉되는 비수 전해질(전해액)은, 다양한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수 전해질의 유기 용매로서,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부틸렌 카보네이트, 트리플루오로 프로필렌 카보네이트,γ-부티로락톤,γ-발레로락톤, 술포란, 1,2-디메톡시 에탄, 1,2-디에톡시 에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메틸 테트라하이드로 퓨란, 2-메틸-1,3-디옥솔란, 디옥솔란, 플루오로 에틸 메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플로피오네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플로피오네이트, 아세트산 메틸,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프로필, 아세트산 부틸, 프로피온산 메틸, 프로피온산 에틸, 프로피온산 프로필,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메틸 카보네이트, 메틸 프로필 카보네이트, 에틸 프로필 카보네이트, 디프로필 카보네이트, 메틸 이소프로필 카보네이트, 에틸 이소프로필 카보네이트, 디이소프로필 카보네이트, 디부틸 카보네이트, 아세토니트릴, 플루오로 아세토니트릴, 에톡시 펜타플루오로 시클로 트리포스파젠, 디에톡시 테트라플루오로 시클로 트리포스파젠, 페녹시 펜타플루오로 시클로 트리포스파젠 등의 알콕시 및 할로겐 치환 환상(環狀) 포스파젠류 또는 쇄상(鎖狀) 포스파젠류; 인산 트리에틸, 인산 트리메틸, 인산 트리옥틸 등의 인산 에스테르류; 붕산 트리에틸, 붕산 트리부틸 등의 붕산 에스테르류; N-메틸 옥사졸리디논, N-에틸 옥산졸리디논 등의 비수 용매를 들 수 있다. 또한, 이것에 공지의 첨가제를 가할 수도 있다.
또한,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분자 고체 전해질로서 유공성(有孔性) 고분자 고체 전해질 막을 사용하고, 고분자 고체 전해질에 전해액을 더 함유시키면 된다. 또한, 겔 상태의 고분자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겔을 구성하는 전해액과, 세공(細孔) 속 등에 함유되어 있는 전해액은 달라도 된다. 단, 고출력, 고용량이 요구되는 중대형 전지의 경우에는, 고체 전해질 또는 고분자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것보다 비수 전해질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편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축전 장치(1)는, 상기 구성의 전지(10)를 예를 들면, 12개 구비하고 있고, 1개의 전지(10)의 기전력이 4.2V인 경우, 축전 장치(1)로서의 기전력은 50.4V이다.
또한, 축전 장치(1)에는, 이들 12개의 전지(10)를 직렬 접속하기 위해 11개의 버스 바(15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전지(10) 및 버스 바(150)의 개수는 예시이며, 축전 장치(1)는, 적어도, 2개의 전지(10)와, 이들 전지(10)의 다른 극 사이를 접속하는 1개의 버스 바(150)를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버스 바 및 절연 부재의 배치 위치의 예)
이상과 같은 기본적인 구성을 가지는 실시예의 축전 장치(1)에서의, 버스 바(150) 및 절연 부재(16o)의 배치 위치 등에 대하여 도 3∼도 6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실시예에서의 버스 바(150) 및 절연 부재(160)의 배치 위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대응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서의 절연 부재(160)의 형상의 일례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전지(10)에서의 전극 단자[양극 단자(200) 및 음극 단자(300) 중 적어도 한쪽. 이하 같다]의 돌출 방향(Z축 양의 방향)을 위로서 취급하지만, 축전 장치(1)가, 자동차 등에 배치될 때의 축전 장치(1)의 방향에 특별히 한정은 없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는, 복수의 전지(10) 중 2개의 전지(10), 및 이들 2개의 전지(10)를 접속하는 1개의 버스 바(150)에 주목하여, 그 버스 바(150) 및 그 버스 바(150)에 대응하는 절연 부재(160)의 배치 위치 등을 설명한다.
또한, 이들 2개의 전지(10)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이들 2개의 전지(10) 중 한쪽을 제1 전지(10a)라고 표기하고, 다른 쪽을 제2 전지(10b)라고 표기한다.
버스 바(150)는, 절연 피복되어 있지 않은 금속제의 판형 또는 봉형의 도체이며,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전지(10a)의 양극 단자(200)와 제2 전지(10b)의 음극 단자(30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재이다.
즉, 버스 바(150)에 의해, 인접하는 2개의 전지(10)에서의 다른 극 사이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전지(10a)의 양극 단자(200)는 제1 단자의 일례이며, 제2 전지(10b)의 음극 단자(300)는 제2 단자의 일례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버스 바(150)와 전극 단자는 용접(1)에 의해 접합되어 있지만, 버스 바(150)와 전극 단자의 접합 방법으로서 용접 이외의 것이 채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볼트 또는 리벳 등에 의해 전극 단자와 버스 바(150)가 체결되어도 된다.
여기서, 양극 단자(200)에 주목한 경우, 양극 단자(200)와 제1 전지(10a)의 용기(100)와의 사이에 패킹(230)이 배치되고, 버스 바(150)와 제1 전지(10a)의 용기(100)와의 사이에 절연 부재(160)가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패킹(230)은 제1 절연 부재의 일례이며, 절연 부재(160)는 제2 절연 부재의 일례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스 바(150)와, 제1 전지(10a)의 용기(100) 및 제2 전지(10b)의 용기(100)와의 사이에, 1장의 절연 부재(16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버스 바(150)는, 절연 부재(160)에 설치된 2개의 구멍(165)(도 5 참조)을 통하여, 제1 단자[제1 전지(10a)의 양극 단자(200)] 및 제2 단자[제2 전지(10b)의 음극 단자(3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절연 부재(16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에서 볼 때 버스 바(150)보다 크다. 그러므로, 만일, 축전 장치(1)에 대하여, 제1 전지(10a) 또는 제2 전지(10b) 중 적어도 한쪽이 경사지게 하는 외력이 작용한 경우라도, 버스 바(150)와, 제1 전지(10a)의 용기(10O) 및 제2 전지(10b)의 용기(10O)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억제된다.
즉, 예를 들면, 축전 장치(1)를 구비하는 장치와 다른 물체가 충돌함으로써, 축전 장치(1)가 변형되는 비통상 상태에 축전 장치(1)가 놓인 경우라도, 버스 바(150)와, 전지(10)의 용기(100)와의 사이의 단락의 발생이 억제된다.
그 결과, 버스 바(150)와 전지(10)의 용기(100)와의 사이의 단락에 기인하는 발열, 및 발열 개소(箇所)와 전해액이 접촉하는 것에 의한 발연(發煙) 등의, 이상(異常) 발생의 리스크가 감소한다.
이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절연 부재(160)의 소재 등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절연 부재의 소재 등에 대하여)
도 6a는 실시예에서의 절연 부재(16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실시예에서의 절연 부재(160)는,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층(162)과 세라믹을 함유하는 세라믹층(161)이 두께 방향[전극 단자가 절연 부재(160)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중첩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수지층(162)은, 예를 들면, 수지를 소재로 하는 내열 섬유(예를 들면, 융점이 200℃ 이상)에 의해 형성된 시트형의 부재이다. 내열 섬유의 소재로서는, 나일론, 아라미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 알코올(PVA),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EEK), 폴리이미드, 및 불소 수지, 등이 예시된다.
또한, 수지층(162)의 소재로서, 융점이 200℃ 미만의 섬유[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이 채용되어도 된다.
또한, 내열 섬유인 탄소 섬유와 내열성이 높은 수지가 조합된 복합 재료에 의해 수지층(162)을 형성할 수도 있다.
세라믹층(161)은, 예를 들면, 세라믹의 입자와 에폭시 수지 등의 바인더(binder)를 혼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시트형의 부재이다.
세라믹층(161)에 함유되는 세라믹으로서는, 알루미나, 실리카,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마그네시아, 세리아(ceria), 이트리아(yttria), 산화 아연, 및 산화철 등의 산화물계 세라믹, 및 질화 규소, 질화 티탄, 및 질화 붕소 등의 질화물계 세라믹이 예시된다.
또한, 세라믹층(161)에 함유되는 세라믹으로서는, 그 밖에도, 실리콘카바이드, 탄산 칼슘, 황산 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티탄산 칼륨, 탈크(talc), 카올린 클레이(kaolin clay), 카올리나이트, 할로이사이트, 파이로피라이트, 몬모릴로나이트, 견운모(sericite), 운모(mica), 아메사이트(amesite),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규산 칼슘, 규산 마그네슘, 규조토(diatomaceous earth), 규사(slica sand) 등이 예시된다.
그리고, 절연 부재(160)의 두께는, 예를 들면, 1㎛∼3000㎛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O㎛∼10 OO㎛ 중 어느 하나이다.
또한, 절연 부재(160)는, 예를 들면, 수지층(162)의 상면을, 세라믹의 입자와 바인더의 혼합물로 코팅함으로써 제작된다.
또한, 수지층(162)과 세라믹층(161) 중첩된 시트를 잘라냄으로써 원하는 형상 및 크기의 절연 부재(160)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의 절연 부재(160)는, 이와 같이 수지층(162)과 세라믹층(161)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연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내열성, 유연성 및 높은 강도도 구비하고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축전 장치(1)에 큰 외력이 가해짐으로써, 버스 바(150)와 전지(10)의 용기(100)와의 사이에 절연 부재(160)가 견고하게 끼워진 경우라도, 절연 부재(160)의 파괴가 억제되고, 그 결과, 절연 부재(160)의 절연 성능이 유지된다. 즉, 버스 바(150)와 전지(10)의 용기(100)와의 사이의 단락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절연 부재(160)는 세라믹의 입자를 포함하므로, 전지(10)의 전해액이 용기(100)로부터 누출되었다고 가정한 경우에 있어서, 전해액에 포함되는 전해질의 가수분해에 의해 생성하는 산 함량(acid content)을 세라믹 입자에 의해 트랩(trap)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수지층(162)이 함유하는 수지로서, 발수성(撥水性)의 수지를 채용함으로써, 수지층(162)의 표면에서의 결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절연 부재(160)는, 전체로서 시트형의 얇은 부재이다. 그러므로, 전극 단자의 용기(100)로부터의 돌출 길이는 수 ㎜ 정도라고 해도, 버스 바(150)와 용기(100) 사이에 절연 부재(160)를 배치할 수 있다. 즉, 절연 부재(160)의 채용에 의해, 축전 장치(1)의 소형화 및 안전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축전 장치(1)에 절연 부재(160)가 구비됨으로써, 예를 들면, 축전 장치(1)의 케이싱으로서, 두께가 비교적 얇고 경량인 케이싱을 채용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축전 장치(1)의 소형화 및 경량화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축전 장치(1)의 소형화, 경량화 및 안전성의 향상 등이 도모됨으로써, 예를 들면, 충돌의 충격을 받기 쉬운 자동차의 보닛 내 등의 공간에, 축전 장치(1)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축전 장치(1)는, 예를 들면, 휴대형 이동체의 동력원으로서도 유용하다.
(실시예의 보충)
절연 부재(160)는, 도 6a에 나타낸 구성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연 부재(1601)는, 예를 들면, 수지층(162)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함유되는 세라믹으로서 절연성의 세라믹이 채용된 세라믹층(161)만으로, 절연 부재(160)가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절연 부재(160)의 구성으로서, 예를 들면, 2개의 세라믹층(161)의 사이에 수지층(162)이 끼워지는 구성이 채용되어도 되고, 수지층(162) 및 세라믹층(161)을 포함하는 4층 이상의 구성이 채용되어도 된다.
또한, 세라믹층(161) 및 수지층(162) 각각은, 상이한 물질(세라믹 또는 수지)의 조합이라도 된다. 또한, 수지층(162)에 세라믹이 분산되도록 하는 형태라도 된다. 그리고, 충돌 시 등에 있어서의 단락 방지에는 기계적 강도가 필요하고, 또한 전지 주위의 환경이나 손상 시를 고려하여 내열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변형되었다고 해도 버스 바(150)와 용기(100) 사이에 계속 존재하는 절연 부재(160)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절연 부재(160)는, 적어도 융점이 200℃ 이상의 내열 성분[내열성 수지, 세라믹 판상(板狀), 입상(粒狀), 탄소 섬유, 유리 섬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절연 부재(160)는, 예를 들면, 융점이 200℃ 이상인 내열성 수지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절연 부재(160)를 구성하는 소재의 조합으로서, 내열성 수지, 비내열성 수지, 탄소 섬유, 세라믹 함유 수지, 및 세라믹판 중 적어도 2개를 조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절연 부재(160)는, 본 실시예에서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종류의 소재가 중첩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절연 부재(160)는 서로 다른 종류의 소재 중 한쪽이 다른 쪽에 분산되어 함유됨으로써 구성되어도 된다.
도 6b는 절연 부재(160)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b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열 성분 또는 비내열 성분인 α에, 입자상의 내열 성분인 β가 분산되어 포함됨으로써, 절연 부재(160)가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도 6b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열 성분 또는 비내열 성분인 α에, 섬유상(纖維狀)의 내열 성분인 γ가 분산되어 포함됨으로써, 절연 부재(160)가 구성되어도 된다.
그리고, α, β, 또는 γ로서 채용되는 내열 성분으로서는, 판상 또는 입상의 각종 세라믹, 탄소 섬유, 유리 섬유, 및 내열성 수지가 예시된다.
또한, 상기 내열성 수지로서는, 전술한 PVA, PPS, PEEK, 및 폴리이미드 등에 더하여, 이하의 물질도 예시된다. 즉,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테르 이미드(PEI), 폴리페닐 설폰(PPSU), 폴리아미드 이미드(PAI), 폴리에테르 설폰(PES), 폴리설폰(PSF), 폴리아크릴레이트(PAR), 액정 폴리에스테르(LCP), 멜라닌 수지(MF), 페놀 수지(PF), 실리콘 수지(SI), 에폭시 수지(EP) 등이, 내열성 수지로서 예시된다.
또한, 내열성 수지의 일종인 불소 수지로서는, 폴리테트라플로오로 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 에틸렌·헥사플로오로 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테트라플루오로 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ETFE), 테트라플루오로 에틸렌·퍼플루오로 알킬 비닐 에테르 공중합체(PFA), 폴리클로로 트리플로오로 에틸렌(PCTFE) 등이 예시된다.
또한, α로서 채용되는 비내열 성분으로서는, 전술한 PE, PP 외에, 폴리스티렌, ABS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메타크릴 수지, 셀룰로스류, 및 고무류가 예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절연 부재(160)는, 인접하는 2개의 전지(10) 중 한쪽의 양극 단자(200)와 다른 쪽의 음극 단자(300)의 주위를 덮는 형상 및 크기이다(예를 들면, 도 3 참조)
즉, 절연 부재(160)는, 1개의 버스 바(150)와의 접촉의 가능성이 있는, 2개의 전지(10) 각각의 소정의 영역을 덮는 형상 및 크기이다.
그러나, 절연 부재(160)는, 2개의 버스 바(150)와의 접촉의 가능성이 있는, 1 개의 전지(10)의 양극 단자(200) 및 음극 단자(300)의 주위를 덮는 형상 및 크기라도 된다.
즉, 절연 부재(160)는, 2개의 구멍을 가지고, 1개의 전지(10)의 양극 단자(200)는, 그 2개의 구멍 중 한쪽을 통하여 버스 바(15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그 전지(10)의 음극 단자(300)는, 그 2개의 구멍의 다른 쪽을 통하여 상기 버스 바(150)와는 상이한 다른 버스 바(15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도 된다.
간단하게 말하면, 1장의 절연 부재(160)는, 1개의 전지(10)의 2개의 전극 단자를 관통시키는 구멍을 가지고, 그 전지(10)의 용기(100)의 상면의 거의 전체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축전 장치(1)에 구비되어야 하는 복수의 전지(10) 각각 대하여, 이들 전지(10)를 조합하기 전에, 각 전지(10)에 2개의 전극 단자에 대응한 절연 부재(160)를 장착하여 둘 수가 있다.
또한, 절연 부재(160)는 복수의 전극 단자에 대응하여 설치될 필요는 없고, 적어도, 1개의 버스 바(150)와의 접촉의 가능성이 있는 1개의 전지(10)의 소정의 영역을 덮는 형상 및 크기라도 된다.
도 7은 1장의 절연 부재(160)에 의해 덮이는 영역(A)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에서는, 절연 부재(160)의 바깥쪽 에지가 점선으로 나타나 있고, 영역(A)는, 점이 부여된 영역으로서 표현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절연 부재(160)는, 버스 바(150)가 배치된 쪽에서 전지(10)를 본 경우에 있어서, 적어도, 버스 바(150)와, 전지(10)의 용기(100)의 전극 단자[도 7에서는 양극 단자(200)]가 돌출 설치된 면이 중첩되는 영역(A)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면에서 볼 때 영역(A)을 포함하는 크기 및 형상의 절연 부재(160)가, 영역(A)의 위쪽이며 버스 바(150)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지(10)의 용기(100)에 있어서, 버스 바(150)와의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영역을 덮도록 절연 부재(160)를 배치함으로써, 단락의 발생이 더욱 확실하게 억제된다.
즉, 절연 부재(160)는, 1개의 전지(10)가 가지는 2개의 전극 단자 중 한쪽에만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전지(10)에 있어서, 양극 단자(200)는 용기(100)와 절연되고, 음극 단자(300)가 용기(100)와 절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용기(100)가 음극 단자(300)로 동일 전위인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태양이며, 양극 단자(200)에 대응한 절연 부재(160)가 배치되어 있으면, 발열 등의 요인이 되는, 도 7에 나타낸 버스 바(150)와 용기(100)와의 사이의 단락의 발생은 억제된다.
또한, 1장의 절연 부재(160)가, 3개 이상의 전극 단자에 대응하여 설치되어도 된다.
도 8a는 3 이상의 전극 단자에 대응한 절연 부재(160)의 형상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에 나타낸 절연 부재(16o)를 구비하는 축전 장치(1)의 구성 개요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예를 들면,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전 장치(1)가 구비하는 복수의 전지(10) 각각의 양극 단자(200) 및 음극 단자(300)를 덮는 정도의 크기의 절연 부재(160)에, 이들 전극 단자가 관통하는 구멍(165)을 설치한다.
이로써,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장의 절연 부재(160)에 의해, 축전 장치(1)가 구비하는 복수의 전지(10) 각각의 용기(100)의 넓은 범위가 덮인다.
그 결과, 복수의 전극 단자의 주위에서의, 각 버스 바(150)와 각 전지(10)의 용기(100)와의 사이의 절연을, 1장의 절연 부재(160)에 의해 더욱 확실하게 보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전극 단자마다 절연 부재(160)를 설치하는 것보다, 축전 장치(1)의 생산 효율을 대폭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8a에 나타낸 절연 부재(16o)의 형상 및 크기는 예시이며, 3개 이상의 전극 단자에 대응한 절연 부재(160)는, 도 8a에 나타낸 이외의 형상 및 크기라도 된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 부재(16O)는 전지(10)의 간격에 대응하여 배열된 구멍(165)의 열을 하나만 가져도 된다.
예를 들면, 축전 장치(1)가 전지(10)를 12개 구비하는 경우, 각 전지(10)의 양극 단자(200) 또는 음극 단자(300)가 관통하는 12개의 구멍을 가지는 절연 부재(160)를 준비한다. 이로써, 각 전지(10)의 양극 측 및 음극 측 중 한쪽에서의, 각 버스 바(150)와 각 전지(10)의 용기(100)와의 사이의 단락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절연 부재(160)를 2장 준비함으로써, 각 전지(10)의 양극 측 및 음극 측 양쪽에서의, 각 버스 바(150)와 각 전지(10)의 용기(100)와의 사이의 단락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극 단자와 용기(100)를 절연하는 제1 절연 부재[패킹(230, 330)]와, 버스 바(150)와 용기(100)와의 절연을 위해 배치되는 제2 절연 부재[절연 부재(160)]와는 별개이다.
그러나, 제1 절연 부재와 제2 절연 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양극 단자(200)에 주목한 경우, 패킹(230)을, 영역(A)(도 7 참조)을 덮는 정도의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로써, 제1 절연 부재로서의 기능과, 제2 절연 부재로서의 기능을 구비한 패킹(231)을 얻을 수 있다.
도 10a는 제1 절연 부재로서의 기능과, 제2 절연 부재로서의 기능을 구비한 패킹(231)의 형상의 일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대응하는 상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낸 패킹(231)은, 양극 단자(200)와 용기(100)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양극 단자(200)와 용기(100) 사이의 절연 및 기밀성의 유지를 위한 부재로서 기능한다.
또한, 패킹(231)은, 용기(100) 상면[커버판(110)의 상면, 도 2 참조]의, 버스 바(150)의 아래쪽의 에지를 덮도록, 버스 바(150)의 연장 방향(Y축 방향)에 연장 설치되어 있다.
그 결과, 패킹(231)은 버스 바(150)와 용기(100) 사이의 단락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부재로서도 기능한다.
즉, 패킹(231)은, 축전 장치(1)에 있어서, 제1 절연 부재와 제2 절연 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부재로서 기능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절연 부재와 제2 절연 부재가 별개인 경우보다, 예를 들면, 축전 장치(1)를 구성하는 부품수가 감소되고, 축전 장치(1)의 생산 효율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예를 들면, 버스 바와 제2 절연 부재와 [실시예에서의 버스 바(150)와 절연 부재(160)]가 합쳐진 구조가 채용되어도 된다.
또한, 버스 바(150)와 전극 단자는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다른 부재를 통하여 버스 바(150)와 전극 단자가 결합됨으로써, 버스 바(150)와 전극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도 11a는 버스 바(150)와 전지(10)의 접속 태양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에 대응하는 상면도이다.
도 11a에 나타낸 전지(10)는, 용기(100)의 상면에 설치된 절연성을 가지는 베이스 부재(240) 위에, 음극 단자(200)에 연결된 도전 부재(18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전 부재(180)의, 음극 단자(200)와는 반대 측의 단부(端部)에, 볼트에 의해 버스 바(150)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양극 측도 동일한 구조이며,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부재(250) 상에, 양극 단자(300)에 연결된 도전 부재(19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전 부재(190)의, 양극 단자(300)와는 반대 측의 단부에는, 볼트에 의해 버스 바(150)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태양으로 버스 바(150)와 접속된 전지(10)에 있어서, 또한 버스 바(150)와, 전지(10)의 용기(100)와의 사이에, 절연 부재(160)가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절연 부재(160)는, 적어도, 버스 바(150)와, 전지(10)의 용기(100)와의 전극 단자가 돌출 설치된 면이 중첩되는 영역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버스 바(150)와 전극 단자가 도전 부재(180 또는 190)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경우라도, 전지(10)의 용기(100)에 있어서, 버스 바(150)와의 사이에서 단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영역을 덮도록 절연 부재(160)를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그 단락의 발생이 더욱 확실하게 억제된다.
또한, 버스 바(150)와 전극 단자와의 접속에 도전 부재(180 또는 190)를 개재시킴으로써, 버스 바(150)의 장착할 때의, 볼트(170)에 대한 체결 토크(torque)가 전극 단자에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볼트(170)에 의해 버스 바(150)를 전지(10)에 장착할 때, 전극 단자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낸, 절연 부재(160)의 배치의 태양은 일례이며, 예를 들면, 베이스 부재(240 또는 250)에 설치된 돌기가 절연 부재(160)를 관통함으로써, 절연 부재(160)가 전지(10)에 장착되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축전 장치에 대하여, 실시예 및 그 보충에 기초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 및 그 보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당업자가 생각해내는 각종 변형을 본 실시예 또는 그 보충으로 실시한 것도, 또는, 상기 설명된 복수의 구성요소를 조합하여 구축되는 형태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전지를 구비하는 축전 장치로서, 비통상 상태에서의 버스 바와 전지의 용기와의 사이의 단락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축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축전 장치는 자동차 등에 탑재되는 축전 장치로서 유용하다.
1: 축전 장치
10: 전지
10a: 제1 전지
10b: 제2 전지
100: 용기
101: 용기 본체
110: 커버판
120: 양극 집전체
130: 음극 집전체
150: 버스 바
160: 절연 부재
161: 세라믹층
162: 수지층
165: 구멍
170: 볼트
180, 190: 도전 부재
200: 양극 단자
230, 231, 330: 패킹
240, 250: 베이스 부재
300: 음극 단자
400: 전극체

Claims (7)

  1. 복수의 전지를 포함하는 축전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전지 각각은, 전극체를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상기 전극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축전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전지 중 제1 전지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 중 한쪽인 제1 단자와, 상기 복수의 전지 중 제2 전지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 중 한쪽으로서 상기 제1 단자와는 반대 극인 제2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버스 바;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1 전지의 용기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1 절연 부재; 및
    상기 버스 바와 상기 제1 전지의 용기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2 절연 부재
    를 포함하는 축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 부재는, 상기 버스 바가 배치된 쪽에서 상기 제1 전지를 본 경우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버스 바와, 상기 제1 전지의 용기의 상기 제1 단자가 돌출 설치된 면이 중첩되는 영역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는, 축전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 부재는, 2개의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 바와, 상기 제1 전지의 용기 및 상기 제2 전지의 용기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버스 바는, 상기 제2 절연 부재에 설치된 상기 2개의 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축전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 부재는, 2개의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는, 상기 2개의 구멍 중 한쪽을 통하여 상기 버스 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전지의 상기 제1 단자와는 반대 극의 양극 단자 또는 음극 단자는, 상기 2개의 구멍 중 다른 쪽을 통하여 다른 버스 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축전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 부재는,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층과 세라믹을 함유하는 세라믹층이 두께 방향으로 중첩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축전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 부재와 상기 제2 절연 부재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축전 장치.
  7. 복수의 전지를 포함하는 축전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전지 각각은, 전극체를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상기 전극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축전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전지 중 제1 전지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 중 한쪽인 제1 단자와, 상기 복수의 전지 중 제2 전지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 중 한쪽으로서 상기 제1 단자와는 반대 극인 제2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버스 바; 및
    상기 버스 바와, 상기 제1 단자와는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상기 제1 전지의 용기를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한 절연 부재
    를 포함하는 축전 장치.
KR1020130140532A 2012-12-04 2013-11-19 축전 장치 KR1021556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65699 2012-12-04
JP2012265699A JP6264720B2 (ja) 2012-12-04 2012-12-04 蓄電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893A true KR20140071893A (ko) 2014-06-12
KR102155615B1 KR102155615B1 (ko) 2020-09-14

Family

ID=50726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0532A KR102155615B1 (ko) 2012-12-04 2013-11-19 축전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05822B2 (ko)
JP (1) JP6264720B2 (ko)
KR (1) KR102155615B1 (ko)
CN (1) CN103855354B (ko)
DE (1) DE1020132246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0487B2 (ja) * 2014-07-31 2018-01-17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EP3353844B1 (en) 2015-03-27 2022-05-11 Mason K. Harrup All-inorganic solvents for electrolytes
KR102002448B1 (ko) * 2015-09-02 2019-07-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US10707531B1 (en) 2016-09-27 2020-07-07 New Dominion Enterprises Inc. All-inorganic solvents for electrolytes
FR3071108B1 (fr) * 2017-09-13 2019-08-30 Psa Automobiles Sa Systeme de fixation d’une barre omnibus de vehicule automobile
CN118017170A (zh) * 2017-10-05 2024-05-10 日本汽车能源株式会社 电池模块
JP7169748B2 (ja) 2018-03-02 2022-11-11 三洋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及びそれを用いた組電池
CN110911625A (zh) * 2018-09-14 2020-03-24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
WO2021061516A1 (en) * 2019-09-23 2021-04-01 Mitsubishi Chemical America, Inc. Heat resistant fiber layer for battery insulation
JP2021086798A (ja) * 2019-11-29 2021-06-03 株式会社スリーダム バッテリパ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20104650A1 (de) 2020-02-21 2021-08-26 Audi Aktiengesellschaft Energiespeichervorrichtung sowie Kraftfahrzeug mit einer Energiespeichervorrichtung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9431A (en) * 1995-09-27 1998-12-15 Sony Corporation High capacity secondary battery of jelly roll type
JP2011060623A (ja) * 2009-09-11 2011-03-24 Sanyo Electric Co Ltd 組電池
US20110104556A1 (en) * 2009-10-30 2011-05-05 Myung-Chul Kim Bus bar holder
KR20110095108A (ko) * 2010-02-18 2011-08-24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이를 구비하는 전지 모듈
JP2011216400A (ja) 2010-04-01 2011-10-27 Hitachi Vehicle Energy Ltd 蓄電モジュールおよび蓄電装置
KR20110134725A (ko) * 2010-06-09 2011-1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스택의 전원단 연결구조
US20120129022A1 (en) * 2007-05-07 2012-05-24 Kalish Peter Electrochemical device, method, and assembly
JP2012216360A (ja) * 2011-03-31 2012-11-08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5041B2 (ja) * 1993-02-17 1999-02-10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ー接続端子用カバー
KR100560483B1 (ko) * 2004-05-04 2006-03-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2007335143A (ja) 2006-06-13 2007-12-27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5288973B2 (ja) 2008-09-29 2013-09-11 三洋電機株式会社 角形二次電池及び電池モジュール
KR101201747B1 (ko) * 2010-05-24 2012-11-15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101222269B1 (ko) * 2010-12-27 2013-01-1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5880930B2 (ja) * 2011-01-28 2016-03-0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池接続アセンブリ
US20130202928A1 (en) * 2011-08-08 2013-08-08 Rogers Corporation Busbar including flexible circuit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9431A (en) * 1995-09-27 1998-12-15 Sony Corporation High capacity secondary battery of jelly roll type
US20120129022A1 (en) * 2007-05-07 2012-05-24 Kalish Peter Electrochemical device, method, and assembly
JP2011060623A (ja) * 2009-09-11 2011-03-24 Sanyo Electric Co Ltd 組電池
US20110104556A1 (en) * 2009-10-30 2011-05-05 Myung-Chul Kim Bus bar holder
KR20110095108A (ko) * 2010-02-18 2011-08-24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이를 구비하는 전지 모듈
JP2011216400A (ja) 2010-04-01 2011-10-27 Hitachi Vehicle Energy Ltd 蓄電モジュールおよび蓄電装置
KR20110134725A (ko) * 2010-06-09 2011-1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스택의 전원단 연결구조
JP2012216360A (ja) * 2011-03-31 2012-11-08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55354A (zh) 2014-06-11
JP2014110233A (ja) 2014-06-12
KR102155615B1 (ko) 2020-09-14
DE102013224663A1 (de) 2014-06-05
US9905822B2 (en) 2018-02-27
JP6264720B2 (ja) 2018-01-24
CN103855354B (zh) 2019-04-16
US20140154559A1 (en)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5615B1 (ko) 축전 장치
JP5743356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とこ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US9705163B2 (en) Battery module
EP2846377B1 (en) Battery assembly having single electrode terminal joint part
US9299972B2 (en) Rechargeable battery with separating member between current collector and battery case
EP2860795B1 (en) Battery module having assembly coupling structure
US8932752B2 (en) Battery having a bent cas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120016353A (ko) 콤팩트한 구조의 전지팩
KR20170035218A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EP3101714B1 (en) Battery module having voltage sensing member having receptacle structure
KR102055852B1 (ko) 변형된 리드를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20120040131A (ko) 갈바닉 셀의 전극 구조
JP2015069729A (ja) 蓄電装置
KR20120081198A (ko) 전지 모듈
KR20200024249A (ko) 배터리 셀
JP6281204B2 (ja) 蓄電素子
KR101521776B1 (ko) 출력단자 위치 변경용 버스 바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WO2022255100A1 (ja) 蓄電装置
JPWO2020137411A1 (ja) 蓄電装置
JP2015069724A (ja) 蓄電装置
WO2021024728A1 (ja) 蓄電装置
JP6601116B2 (ja) 端子構造、蓄電セル、及び蓄電モジュール
KR101711990B1 (ko) 이차 전지 및 그 모듈
JP6340806B2 (ja) 蓄電装置および蓄電装置に配置される規制部材
JP2021111562A (ja) 蓄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