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1198A -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1198A
KR20120081198A KR1020127012004A KR20127012004A KR20120081198A KR 20120081198 A KR20120081198 A KR 20120081198A KR 1020127012004 A KR1020127012004 A KR 1020127012004A KR 20127012004 A KR20127012004 A KR 20127012004A KR 20120081198 A KR20120081198 A KR 20120081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module
case
cov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2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스케 나이토
다쿠야 나카시마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81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11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5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5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57Inorganic material
    • H01M50/15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5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6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5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64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배기실에 의한 체적 증가를 가능한 한 억제하면서, 이상 전지로부터 배출된 고온 가스를, 다른 정상적인 전지에 영향을 주는 일 없이 케이스 밖으로 배출할 수 있는 전지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모듈은, 개구부와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갖는 케이스와,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개방부가 마련된 단자판을 갖고, 단자판을 개구부측에 향하게 한 상태에서 케이스의 내부에 병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전지와, 개구부를 덮도록 케이스에 설치되어, 평판부와, 평판부를 포함하는 평면으로부터 케이스의 안쪽으로 돌출하여, 전지의 단자판에 접속되는 복수의 볼록부를 갖는 덮개를 구비한다. 덮개의 볼록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의해, 전지의 개방부로부터 케이스의 배출구에 이르는 유로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전지 모듈{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복수의 전지가 케이스에 수용된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고, 특히, 전지로부터 배출된 가스를, 안전하게 케이스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 기구를 구비한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전지를 케이스에 수용한 전지 모듈은, 여러 가지의 기기, 차량 등의 전원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지 모듈 내에서는, 범용적인 전지를 병렬 또는 직렬로 접속하는 것에 의해, 소망하는 전압 및 용량을 얻을 수 있다. 이 전지 모듈을 여러 가지 조합하는 것에 의해, 다양한 용도에 대응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채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전지 모듈에 수용하는 전지를 고성능화하면, 전지 모듈 자신의 소형ㆍ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전지 팩을 조립할 때의 작업성이나, 차량 등의 한정된 공간에 탑재할 때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전지 모듈에 수용하는 전지의 고성능화에 따라, 전지 자신의 안전성 확보에 더하여, 복수의 전지가 집합한 전지 모듈에 있어서의 안전성 확보도 중요하게 된다. 특히, 전지 내에서의 내부 단락 등에 의한 발열로 가스가 발생하고, 안전 밸브가 작동하여 고온 가스가 전지 밖으로 방출된 경우, 주변의 전지가 고온 가스에 노출되면, 정상적인 전지에까지 영향을 주어 연쇄적인 열화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특허 문헌 1에는, 복수의 전지를 수용하고 있는 케이스 내에 구획벽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전지를 수용하는 전지실과, 전지로부터 방출되는 고온 가스를 배기하는 배출실로 구획함과 아울러, 전지의 안전 밸브의 개구부를 배기실에 연통시킨 전원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배기 기구를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전지의 안전 밸브로부터 방출되는 고온 가스를, 전지실에 유입시키는 일 없이 배기실에 유입시켜, 케이스의 배출구로부터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주변의 전지가, 이상 전지로부터 방출된 고온 가스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정상적인 전지에 주는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7-27011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배기 기구에서는, 배기실을 밀폐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전지의 개구부로부터 배출실에 유입된 가스가 다시 전지실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발생한 가스에 의해 정상적인 전지가 연쇄적으로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는 우수하다.
그렇지만, 배기실에 유입된 가스는, 1000℃ 이상의 고온이 되는 경우도 있어, 배기실 내에 유입된 가스가 산소와 반응하여 연소될 우려가 있다. 그 경우, 배기실이 고온에 노출되기 때문에, 여전히 전지실에 수용된 전지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남는다.
또한, 복수로 배열된 전지의 전극의 위에 평행하게 배기실을 배치하기 때문에, 전지 모듈의 체적이 증대되어, 전지 모듈의 단위 체적당 전력량이 저감된다고 하는 과제가 남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 모듈의 체적 증가를 가능한 한 억제하면서, 이상 전지로부터 배출된 고온 가스를, 다른 정상적인 전지에 영향을 주는 일 없이 케이스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안전성이 높은 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모듈은, 개구부와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갖는 케이스와,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개방부가 마련된 단자판을 갖고, 단자판을 개구부측에 향하게 한 상태에서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지와, 개구부를 덮도록 케이스에 설치되어, 평판부와, 평판부를 포함하는 평면으로부터 케이스의 안쪽으로 돌출하여, 전지의 단자판에 접속되는 복수의 볼록부를 갖는 덮개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집전판에 형성된 복수의 볼록부의 사이에 가스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전지 모듈의 체적 증가를 가능한 한 억제하고, 이상 전지로부터 배출되는 고온 가스를, 다른 정상적인 전지에 영향을 주는 일 없이 케이스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단위 체적당 용량이 크고, 또한, 안전성이 높은 전지 모듈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지 모듈에 사용되는 전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지 모듈의 외관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Ⅲ-Ⅲ 라인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전지의 개방부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유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전지 모듈의 외관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 1 실시 형태)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지 모듈에 사용되는 전지(100)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 본 발명의 전지 모듈에 사용되는 전지는, 노트북 컴퓨터 등의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서 단독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전지이더라도 좋다(이하, 전지 모듈에 사용하는 전지를, 「소전지」라고 부른다). 이 경우, 고성능 범용 전지를, 전지 모듈의 소전지로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지 모듈의 고성능화, 저비용화를 보다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지 모듈에 사용되는 소전지(100)로는, 예컨대, 도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원통형의 리튬 이온 2차 전지를 채용할 수 있다. 이 리튬 이온 2차 전지는, 내부 단락 등의 발생에 의해 전지 내의 압력이 상승했을 때에, 발생한 가스를 전지 밖으로 방출하는 안전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면서, 소전지(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극(1)과 부극(2)이 세퍼레이터(3)를 사이에 두고 감긴 전극군(4)이, 비수 전해액과 함께 전지 케이스(7)에 수용되어 있다. 전극군(4)의 상하에는, 절연판(9, 10)이 배치되어 있다. 정극(1)은, 정극 리드(5)를 통해서 필터(12)에 접합되고, 부극(2)은, 부극 리드(6)를 통해서 부극 단자를 겸하는 전지 케이스(7)의 바닥에 접합되어 있다.
필터(12)는, 이너 캡(13)에 접속되고, 이너 캡(13)의 돌기부는, 금속제의 밸브판(14)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밸브판(14)은, 정극 단자를 겸하는 단자판(8)에 접속되어 있다. 단자판(8), 밸브판(14), 이너 캡(13), 및 필터(12)가 일체가 되어, 개스킷(11)을 사이에 두고, 전지 케이스(7)의 개구부를 봉하고 있다.
소전지(100)에 내부 단락 등이 발생하여, 소전지(100) 내의 압력이 상승하면, 밸브판(14)이 단자판(8)을 향해 부풀어 오른다. 밸브판(14)이 부풀어 오르는 것에 의해, 이너 캡(13)과 밸브판(14)의 접합이 어긋나면, 전류 경로가 차단된다. 또한 소전지(100) 내의 압력이 상승하면, 밸브판(14)이 파단된다. 이에 의해, 소전지(100) 내에 발생한 가스는, 필터(12)의 관통 구멍(12a), 이너 캡(13)의 관통 구멍(13a), 밸브판(14)에 생긴 갈라진 곳, 그리고, 단자판(8)의 개방부(8a)를 통해, 외부에 배출된다.
또, 소전지(100) 내에 발생한 가스를 외부에 배출하는 안전 기구는, 도 1에 나타낸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조인 것이더라도 좋다.
도 2는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지 모듈의 외관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나타낸 Ⅲ-Ⅲ 라인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지 모듈(200)은, 케이스(130)와, 케이스(130) 내에 수용되는 복수의 소전지(100)와, 소전지(100)를 유지하는 전지 유지 부재(110)와, 케이스(130)의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덮개(120)를 구비한다.
케이스(130)는, 일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상자 형상을 갖는다. 측면의 개구부측 부분에 전지 모듈(200) 내에서 발생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31)가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130)는, 각각의 단자판(8)을 개구부측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복수의 소전지(100)를 수용하고 있다.
전지 유지 부재(110)는, 복수의 소전지(100)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전지 수용부(111)를 갖는다. 전지 수용부(111)는, 전지 케이스(7)의 외형에 대응하는 구멍이며, 전지 수용부(111)의 내경은 전지 케이스(7)의 외형과 거의 같고, 전지 수용부(111)의 깊이는 전지 케이스의 외주벽의 높이와 거의 같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전지(100)를 전지 수용부(111)에 삽입하면, 단자판(8)의 일부가 전지 수용부(111)로부터 돌출하고, 전지 케이스(7)의 외면과 전지 수용부(111)의 내주면이 밀접한 상태가 된다. 전지 유지 부재(110)에 의해 이와 같이 소전지(100)를 유지하면, 소전지(100)의 개방부(8a)로부터 가스가 방출된 경우에, 방출된 가스가 전지 유지 부재(110)의 상단, 다시 말해, 소전지(100)의 전지 케이스(7)의 측면 상단보다 하부로 돌아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므로, 가스를 배출한 소전지(100)로부터 다른 소전지(100)로의 옮겨감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전지 케이스(7)의 외면과 전지 수용부(111)의 내주벽이 밀접하고 있기 때문에, 전지 유지 부재(110)를 열전도성을 갖는 재료로 작성하는 것에 의해, 전지 유지 부재(110)에 열완충재로서의 기능을 부여할 수도 있다.
덮개(120)는, 케이스(130)의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부재이지만, 동시에 집전판으로서의 기능도 갖는다. 덮개(120)는, 도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평판부(121)와, 평판부(121)를 포함하는 평면으로부터 케이스(130)의 안쪽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스폿 형상의 볼록부(122)를 갖는다. 복수의 스폿 형상의 볼록부(122)는, 덮개(120)에 분산하여 마련되어 있다. 볼록부(122)의 선단에는, 평탄면이 형성되고 있고, 이 평탄면에 소전지(100)의 단자판(8)이 접합되어 있다. 덮개(120)에 분산시켜 마련한 볼록부(122)와 단자판(8)을 접합하면, 볼록부(122) 사이에 형성되는 연속적인 공간에 의해, 덮개(120)와, 소전지(100)를 수용한 전지 유지 부재(110)의 사이에, 단자판(8)으로부터 케이스(130) 측면의 배출구(131)에 이르는 유로가 형성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전지(100)의 수와 볼록부(122)의 수는 같고, 소전지(100)와 볼록부(122)가 일대일로 대응하고 있다.
도 4는 전지의 개방부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의 유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것처럼, 소전지(100)의 정극 단자와 덮개(120)의 볼록부(122)의 접속 부분은 가스가 지나가기 어렵고, 볼록부(122) 사이의 공간은 가스가 지나가기 쉽다. 그 때문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느 소전지(100)의 개방부(8a)로부터 배출된 가스는, 볼록부(122)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서, 케이스(130)의 배출구(131)로부터 외부로 배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소전지(100)를 케이스(130) 내에 밀폐하기 위한 덮개(120)의 구조에 의해, 소전지(100)의 상부에 가스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전지 모듈(200)의 체적 증가를 가능한 한 억제하면서, 이상 전지로부터 배출된 고온 가스를, 케이스(130)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안전성이 높은 전지 모듈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덮개(120)는, 집전판으로서의 기능을 겸비하고 있으므로, 복수의 소전지(100)를 이용하여 소망하는 전압 및 용량을 실현하는 전지 모듈에 매우 적합하다.
(제 2 실시 형태)
도 5는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전지 모듈의 외관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지 모듈(300)은, 덮개(140)의 형상의 면에서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지 모듈(200)과 상이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실시 형태와 제 1 실시 형태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덮개(120)는, 소전지(100)에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스폿 형상의 볼록부(122)가 분산하여 마련되어 있던 것에 비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덮개(140)에서는, 평판부(141)를 포함하는 평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직선 형상의 볼록부(142)가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어, 덮개(140)가 파형(波形)으로 형성되어 있다. 소전지(100)의 정극 단자는, 제 1 실시 형태와 같이, 볼록부(142)의 선단면에 접속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1개의 볼록부(142)에 대하여 복수의 소전지(100)가 접속된다. 또, 케이스(130)에 마련되는 배출구(131)는, 케이스(130)의 폭 방향의 거의 전체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지 모듈(300)에 있어서도, 인접하는 볼록부(14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의해, 소전지(100)의 정극 단자로부터 케이스(130)의 배출구(131)에 이르는 유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구성에 의해서도, 전지 모듈(300)의 체적 증가를 가능한 한 억제하면서, 이상 전지로부터 배출된 고온 가스를 케이스(130) 밖으로 배출할 수 있는 안전성이 높은 전지 모듈(300)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접하는 볼록부(142) 사이의 직선 형상의 공간이 배출구(131)에 이르는 가스 유로가 되지만, 이 가스 유로가 전지의 정렬 위치와 어긋나 있기 때문에, 이상 전지로부터 배출된 가스가 다른 정상적인 전지에 영향을 주는 것이 방지된다.
(그 밖의 변형예)
또,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 덮개는 집전판으로서의 기능도 겸비하고 있기 때문에, 덮개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지만, 덮개(120)의 외면을 절연하기 위한 절연 부재를 더 마련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동판 등의 도전성 재료에 의해 형성한 덮개(120)의 외면에, 절연 재료를 코팅하거나 덮개(120)의 외면을 수지제의 절연막으로 덮거나 하더라도 좋다. 또한, 금속과 수지의 피복 재료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케이스에 마련하는 배출구의 수, 크기, 형성 위치는 임의이며, 이상 전지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를 신속하게 케이스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볼록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전지 모듈의 냉각용 유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스 또는 덮개에, 냉각용 매체를 유입시키는 유입구와 배출용 배출구를 마련하고, 볼록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유입구로부터 배출구에 이르는 유로를 형성한다. 이들 유입구 및 배출구는, 상술한 이상시의 가스 배출구와 겸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스폿 형상 또는 직선 형상의 볼록부를 예시했지만, 볼록부끼리의 사이에 유로가 형성되는 한, 볼록부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산업상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자동차, 전동 바이크 또는 전동 놀이기구 등의 구동용 전원으로서 유용하다.
1 : 정극 2 : 부극
3 : 세퍼레이터 4 : 전극군
5 : 정극 리드 6 : 부극 리드
7 : 전지 케이스 8 : 단자판(정극 단자)
8a : 개방부 9, 10 : 절연판
11 : 개스킷 12 : 필터
12a : 관통 구멍 13 : 이너 캡
13a : 관통 구멍 14 : 밸브판
100 : 소전지 110 : 전지 유지 부재
120 : 덮개 121 : 평판부
122 : 볼록부 200 : 전지 모듈
130 : 케이스 131 : 배출구
140 : 덮개 141 : 평판부
142 : 볼록부 300 : 전지 모듈

Claims (6)

  1. 전지 모듈로서,
    개구부와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갖는 케이스와,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개방부가 마련된 단자판을 갖고, 상기 단자판을 상기 개구부측에 향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지와,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를 포함하는 평면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안쪽으로 돌출하여, 상기 전지의 상기 단자판에 접속되는 복수의 볼록부를 갖는 덮개
    를 구비하는 전지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는, 직선 형상의 상기 볼록부가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의 각각에 대하여, 복수의 상기 전지의 상기 단자판이 접속되고,
    상기 평판부와 상기 볼록부로 상기 배기구에 향하는 배기로를 형성하는
    전지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는, 상기 전지의 위치에 대응하여 스폿 형상의 상기 볼록부가 분산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의 각각에 대하여, 1개의 상기 전지의 상기 단자판이 접속되고,
    상기 평판부와 상기 볼록부로 상기 배기구에 향하는 배기로를 형성하는
    전지 모듈.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전지의 극간을 채우는 전지 유지부를 더 구비하는 전지 모듈.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복수의 전지의 단자판에 전기 접속되어, 상기 복수의 전지를 병렬 접속으로 집전하는 전지 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도전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의 외면을 덮는 절연성 부재가 더 마련되는
    전지 모듈.
KR1020127012004A 2010-07-29 2011-07-25 전지 모듈 KR201200811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69997 2010-07-29
JP2010169997 2010-07-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198A true KR20120081198A (ko) 2012-07-18

Family

ID=45529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2004A KR20120081198A (ko) 2010-07-29 2011-07-25 전지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225335A1 (ko)
JP (1) JP5033271B2 (ko)
KR (1) KR20120081198A (ko)
CN (1) CN102696132A (ko)
WO (1) WO201201443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6902A1 (ko) * 2017-05-22 2018-11-29 삼성에스디아이(주) 이차 전지
US11094978B2 (en) 2016-11-04 2021-08-17 Samsung Sdi Co., Ltd. Battery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61164B2 (ja) * 2012-11-30 2015-08-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JP6006134B2 (ja) * 2013-02-08 2016-10-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接続部材
US9614210B2 (en) 2014-09-30 2017-04-0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module vent system and method
JP6606907B2 (ja) * 2015-07-30 2019-11-20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JP6504146B2 (ja) * 2016-11-24 2019-04-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電池パック
JP7301271B2 (ja) * 2019-03-28 2023-07-03 パナソニックエナジー株式会社 電池パック
WO2023162909A1 (ja) * 2022-02-28 2023-08-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8909A (ja) * 2002-11-26 2004-06-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式二次電池
KR100614367B1 (ko) * 2004-10-28 2006-08-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2006286357A (ja) * 2005-03-31 2006-10-19 Tdk Corp バッテリ装置及びバッテリケース
SE528555C2 (sv) * 2005-04-01 2006-12-12 Nilar Int Ab Ett hölje för ett slutet batteri
JP2007027011A (ja) * 2005-07-20 2007-02-01 Sanyo Electric Co Ltd 電源装置
CN101523636B (zh) * 2006-10-13 2012-05-2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池组件及电池搭载设备
JP2008117756A (ja) * 2006-10-13 2008-05-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パック、及び電池搭載機器
JP5269538B2 (ja) * 2008-09-30 2013-08-21 株式会社東芝 バッテリのガス排気構造
JP4935802B2 (ja) * 2008-12-10 2012-05-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とそれを用いた集合電池モジュール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94978B2 (en) 2016-11-04 2021-08-17 Samsung Sdi Co., Ltd. Battery system
WO2018216902A1 (ko) * 2017-05-22 2018-11-29 삼성에스디아이(주) 이차 전지
US11777173B2 (en) 2017-05-22 2023-10-03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14433A1 (ja) 2012-02-02
CN102696132A (zh) 2012-09-26
JP5033271B2 (ja) 2012-09-26
US20120225335A1 (en) 2012-09-06
JPWO2012014433A1 (ja) 201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1198A (ko) 전지 모듈
US9537130B2 (en) Battery module
US9722222B2 (en) Battery module
KR101325354B1 (ko) 전지 팩
KR101282519B1 (ko) 배터리 모듈
JP6004282B2 (ja) 電池モジュール
WO2013021573A1 (ja) 電池ブロック及び該電池ブロックを有する電池モジュール
WO2013001585A1 (ja) 電池モジュール
KR20170140693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자동차
WO2012014398A1 (ja) 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電池パック
US10804578B2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having same
KR20190064835A (ko) 배터리 팩
KR101188933B1 (ko) 배터리 모듈
US9356269B2 (en) Battery pack
KR20120046273A (ko) 전지 모듈
EP3379639B1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and vehicle
JPWO2013098982A1 (ja) 電池モジュール、電池ブロック、及び、電池パック
JP2013030384A (ja) 電池ブロックおよび電池パック
KR102332343B1 (ko) 전지 모듈
KR20200104334A (ko) 버스 바와 일체화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
US9356326B2 (en) Top cover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CN109845024B (zh) 电池系统和包括其的电动车辆
KR101806417B1 (ko) 전력 저장 장치의 단위 전지 팩
JP2023537015A (ja)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KR20150059515A (ko) 가스 배출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