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1760A -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1760A
KR20140071760A KR1020120139710A KR20120139710A KR20140071760A KR 20140071760 A KR20140071760 A KR 20140071760A KR 1020120139710 A KR1020120139710 A KR 1020120139710A KR 20120139710 A KR20120139710 A KR 20120139710A KR 20140071760 A KR20140071760 A KR 20140071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member
link
unlocking
stopper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영
염윤필
최진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9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1760A/ko
Priority to US13/915,906 priority patent/US9383771B2/en
Publication of KR20140071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17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은 전자기기가 착탈 가능하게 도킹되는 스테이션 본체, 스테이션 본체와 전자기기가 결합되는 제1 위치와 전자기기로부터 분리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후크부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록킹유닛 및 후크부재를 제1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록킹유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 FOR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랩탑(laptop) 컴퓨터와 같은 전자기기는 데스크탑(desktop) 컴퓨터와 달리 휴대의 용이함을 위해 로컬 프린터, 백업 드라이브, 대용량 저장장치 등과 같은 인터페이스가 구비되지 않는다.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은 랩탑 컴퓨터와 같은 전자기기의 단점을 보완하는 것으로 랩탑 컴퓨터를 데스크탑 컴퓨터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하드웨어 장치나 일련의 접속용 인터페이스들을 일컫는다.
랩탑 컴퓨터는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에 착탈 가능하게 도킹되며, 장착 후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랩탑 컴퓨터로도 데스크탑 컴퓨터와 같이 확장 슬롯, 외부 기억장치, 로컬 프린터 등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랩탑 컴퓨터를 휴대할 경우에는 랩탑 컴퓨터를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종래의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은 후크부재를 통해 랩탑 컴퓨터가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에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은 외부에서 작은 힘을 주는 것만으로도 랩탑 컴퓨터가 후크부재로부터 쉽게 이탈되어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과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은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에 장착된 랩탑 컴퓨터의 도난 등 예기치 못한 사고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기기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으로서, 전자기기가 착탈 가능하게 도킹되는 스테이션 본체, 상기 스테이션 본체와 상기 전자기기가 결합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분리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후크부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록킹유닛 및 상기 후크부재를 상기 제1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록킹유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을 제공한다.
상기 록킹유지유닛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후크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 위치와 상기 후크부재의 언록킹을 허용하는 스톱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유지유닛은, 상기 스토퍼를 상기 스톱 위치 또는 상기 스톱해제 위치로 가이드하는 스토퍼 가이드 링크부 및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스토퍼 가이드 링크부를 구동하는 스토퍼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가이드 링크부는, 상기 스토퍼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링크부재, 상기 제1 링크부재가 상기 정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스토퍼를 상기 스톱 위치로 안내하도록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링크부재가 상기 역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스토퍼를 상기 스톱해제 위치로 안내하도록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링크부재 및 상기 제1 링크부재의 구동력을 상기 제2 링크부재에 전달하는 제3 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링크부재는 상기 제1 링크부재가 상기 정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1 링크부재의 구동력을 상기 제2 링크부재에 전달하며, 상기 록킹유지유닛은 상기 제2 링크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링크부재가 상기 역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2 링크부재에 상기 제2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링크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2 링크부재와 링크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링크부재와 이동 가능하게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3 링크부재는 피봇핀을 통해 상기 스테이션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피봇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3 링크부재에는 상기 제3 링크부재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회전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링크부재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연결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링크부재 및 상기 제2 링크부재에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가이드 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스테이션 본체에는 각각의 슬라이딩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딩 가이드 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링크부재에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제한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션 본체는 상기 제2 링크부재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슬라이딩 제한돌기와 접촉하는 걸림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링크부재에는 상기 후크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후크부재의 후단부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단부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조작부에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조작캠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 가이드 링크부는 상기 조작캠의 회전을 통해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링크부재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링크부재에서 상기 스테이션 본체의 높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코일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제2 링크부재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스테이션 본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인션은 상기 후크부재를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언록킹유닛을 더 포함할 있다.
상기 언록킹유닛은,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언록킹 가이드 링크 및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언록킹 가이드 링크를 구동하는 언록킹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부재를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킬 때 상기 언록킹 가이드 링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후크부재를 상기 제1 위치로 이동시킬 때 상기 언록킹 가이드 링크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언록킹 가이드 링크는, 상기 후크부재의 전단부와 접촉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후크부재의 전단부를 상기 정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후크부재의 전단부를 상기 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언록킹 가이드 링크에는 상기 후크부재가 제1 위치에 배치된 때 상기 후크부재의 전단부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단부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언록킹 가이드 링크에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테이션 본체에는 각각의 슬라이딩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딩 가이드 핀이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전자기기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이 도시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의 내면이 도시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에 전자기기가 도킹된 모습이 도시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이 도시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에 구비된 후크가 전자기기에 후크 결합된 모습이 도시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에 구비된 록킹유지유닛의 동작이 도시된 개략적인 동작도이다.
도 8은 도 6의 록킹유지유닛에 구비된 스토퍼의 스톱 위치가 도시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7의 록킹유지유닛에 구비된 스토퍼의 스톱해제 위치가 도시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1의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에 구비된 언록킹유닛의 동작이 도시된 개략적인 동작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0 및 도 11의 언록킹유닛의 동작시 주요 부분이 도시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이 도시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1)은 스테이션 본체(100), 록킹유닛(200), 록킹유지유닛(300), 및 언록킹유닛(400)을 포함한다.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1)은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에 외부 기억장치, 로컬 프린터 등과 연결될 수 있는 추가적인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한다.
스테이션 본체(100)는 상면(102)에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가 도킹되며, 내부에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1)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미도시),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 및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1)을 이루는 각종 부품들(미도시)을 내장한다.
그리고, 스테이션 본체(100)는 가이드 돌기(120), 푸시 돌기(130), 메인 슬롯(140), 서브 접촉부(150), 안착홈(160), 확장포트(170) 및 전원버튼(180)을 포함한다.
가이드 돌기(120)는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와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1)과의 도킹을 가이드하는 것으로, 스테이션 본체(100)의 상면(102)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 돌기(120)는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에 구비된 가이드 돌기 삽입홈(미도시)에 끼워져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의 도킹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가이드 돌기(120)는 두 개가 구비되며 스테이션 본체(100)의 길이 방향(X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다.
푸시 돌기(130)는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가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1)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가이드하는 것으로, 스테이션 본체(100)의 상면(102)으로부터 돌출된다. 푸시 돌기(130)는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가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1)으로부터 분리될 때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를 스테이션 본체(100)의 상면(102) 위로 밀어내어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가 쉽게 스테이션 본체(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한다. 푸시 돌기(130)는 두 개가 구비되며, 각각의 푸시 돌기(130)는 록킹유닛(200) 위에 배치된다.
메인 슬롯(140)은 스테이션 본체(100)의 상면(102)에 구비되며,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의 메인 슬롯 연결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와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1)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서브 접촉부(150)는 스테이션 본체(100)의 상면(102)에 구비되며,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의 서브 접촉부 접점(미도시)과 연결되어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와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1)의 전기적 연결을 보조한다. 서브 접촉부(150)는 두 개가 구비되며, 각각의 서브 접촉부(150) 사이에는 메인 슬롯(140)이 배치된다.
안착홈(160)은 스테이션 본체(100)의 길이 방향(X 방향)을 따라 스테이션 본체(100)의 상면(102)에 형성된다.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는 대용량 배터리 등을 장착한 경우, 배터리 등이 장착된 부분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안착홈(160)은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의 도킹시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의 돌출된 부분을 수용한다.
확장포트(170)은 스테이션 본체(100)의 측면(103)에 복수 개가 구비된다.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1)은 복수 개의 확장포트(170)들을 통해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에 외부 기억장치, 로컬 프린터 등과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원버튼(180)은 스테이션 본체(100)의 상면(102)에 구비되며,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의 전원을 온-오프시킨다.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는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1)에 도킹 후 전원버튼(180)을 통해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다.
록킹유닛(200)은 스테이션 본체(100)의 상면(102)의 후크 관통홀(108)을 통해 돌출된다. 록킹유닛(200)은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를 록킹하기 위한 것으로 스테이션 본체(100)의 상하 방향(Y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에 후크 결합된다. 록킹유닛(200)은 두 개가 구비되며, 각각의 록킹유닛(200)은 푸시 돌기(130)의 아래에 배치된다.
록킹유지유닛(300)은 록킹유닛(200)을 제1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으로,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가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제1 위치는 후크부재(210; 도 2에 도시)가 스테이션 본체(100)에 도킹된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에 후크 결합되는 록킹 위치를 말한다. 록킹유지유닛(30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구동한다. 이를 위해 록킹유지유닛(300)은 사용자의 조작을 위해 록킹 키가 삽입되는 키홈(383)을 구비한다.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록킹유지유닛은 사용자 조작이 가능한 버튼 등의 기타 다른 방식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언록킹유닛(400)은 록킹유닛(200)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가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언록킹유닛(400)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구동한다. 이를 위해 언록킹유닛(400)은 사용자의 조작을 위해 언록킹 조작부(450)를 구비한다. 언록킹 조작부(450)는 전원버튼(180) 아래에 배치되며 버튼 방식으로 구동된다.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언록킹유닛은 사용자 조작이 가능한 기타 다른 방식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의 내면이 도시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록킹유닛(200A, 200B)은 후크부재(210) 및 록킹유닛 장착부(240)를 포함한다.
후크부재(210)는 스테이션 본체(100)의 상면(120; 도 1에 도시)에 돌출되어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와 후크 결합된다. 후크부재(210)는 스테이션 본체(100)의 상하 방향(Y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이를 통해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는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1; 도 1에 도시)과 착탈 가능하게 도킹될 수 있다.
록킹유닛 장착부(240)는 스테이션 본체(100)의 내면(104)에 장착되며, 후크부재(210)를 수용한다. 록킹유닛 장착부(240)는 스테이션 본체(100)의 내면(104)에 별도의 부재로써 장착되거나 또는 스테이션 본체(100)의 내면(104)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록킹유지유닛(300)은 스토퍼(320), 스토퍼 가이드 링크부(340), 스토퍼 조작부(380), 및 탄성부재(390)를 포함한다.
스토퍼(320)는 록킹 위치(l: 도 4에 도시)에 배치된 후크부재(21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 위치(도 9에 도시)와 후크부재(210)의 언록킹을 허용하는 스톱해제 위치(도 8에 도시)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된다. 스토퍼(320)는 각각의 록킹유닛(200A, 200B)의 수에 대응되게 구비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스토퍼(320)가 구비된다.
스토퍼 가이드 링크부(340)는 스토퍼(320)를 스톱 위치(도 9에 도시) 또는 스톱해제 위치(도 8에 도시)로 가이드하는 것으로, 스테이션 본체(100)의 내면(104)에 장착된다.
스토퍼 가이드 링크부(340)는 제1 링크부재(350), 제2 링크부재(360), 및 제3 링크부재(370)를 포함한다.
제1 링크부재(350)는 스테이션 본체(100)의 상하 방향(Y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제1 링크부재(350)는 스토퍼 조작부(380)와 연결되며, 스토퍼 조작부(380)의 조작에 따라 정방향(-Y 방향) 또는 역방향(+Y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스테이션 본체(100)의 내면(104)에 장착된다.
제1 링크부재(350)에는 복수 개의 슬라이딩 가이드 홈(353)이 형성된다. 각각의 슬라이딩 가이드 홈(353)은 스테이션 본체(100)의 상하 방향(Y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각각의 슬라이딩 가이드 홈(353)에는 스테이션 본체(100)의 내면(104)에 장착되는 슬라이딩 가이드 핀(106)이 삽입된다.
제2 링크부재(360)는 스테이션 본체(100)의 길이 방향(X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제2 링크부재(360)는 제1 링크부재(350)가 정방향(-Y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때 스토퍼(320)를 스톱 위치(도 9에 도시)로 안내하도록 제1 방향(-X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제1 링크부재(350)가 역방향(+Y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때 스토퍼(320)를 스톱해제 위치(도 8에 도시)로 안내하도록 제1 방향(-X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X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스테이션 본체(100)의 내면(104)에 장착된다.
제2 링크부재(360)에는 복수 개의 슬라이딩 가이드 홈(363)이 형성된다. 각각의 슬라이딩 가이드 홈(363)은 스테이션 본체(100)의 길이 방향(X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각각의 슬라이딩 가이드 홈(363)에는 스테이션 본체(100)의 내면(104)에 장착되는 슬라이딩 가이드 핀(106)이 삽입된다.
제2 링크부재(360)에는 두 개의 스토퍼(320)가 형성된다. 각각의 스토퍼(320)는 제2 링크부재(360)에서 스테이션 본체(100)의 높이 방향(Z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스토퍼(320)는 제2 링크부재(360)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각각의 스토퍼는 제2 링크부재(360)에 별도의 부재로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링크부재(360)에는 후크부재(210)가 제2 위치(u; 도 4에 도시)에 배치된 때 후크부재(210)의 후단부(216; 도 4에 도시)를 수용하는 후단부 수용홈(368)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2 위치(u; 도 4에 도시)는 스테이션 본체(100)가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로부터 분리되는 언록킹 위치를 말한다. 후단부 수용홈(368)은 후크부재(210)의 수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가 형성된다. 각각의 후단부 수용홈(368)은 스토퍼(320) 옆에 배치된다.
제2 링크부재(360)에는 탄성부재(390)의 장착을 위한 탄성부재 장착부(369)가 구비된다. 탄성부재 장착부(369)는 제2 링크부재(360)에 별도의 부재로 장착된다.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탄성부재 장착부는 제2 링크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3 링크부재(370)는 제1 링크부재(350)가 정방향(-Y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때 제1 링크부재(350)의 구동력을 제2 링크부재(360)에 전달한다. 그리고, 제3 링크부재(370)는 제2 링크부재(360)가 제2 방향(+X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때 제2 링크부재(360)의 구동력을 제1 링크부재(350)에 전달한다.
제3 링크부재(370)는 일단(372)이 제2 링크부재(360)와 링크 결합되며, 타단(374)이 제1 링크부재(350)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한다. 제3 링크부재(370)에는 제3 링크부재(37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회전 가이드 홈(379)이 형성된다. 회전 가이드 홈(379)에는 제2 링크부재(360)에 장착되는 연결핀(362)이 삽입된다. 그리고, 제3 링크부재(370)에는 스테이션 본체(100)의 내면(104)에 고정되는 피봇핀(378)이 장착된다. 제3 링크부재(370)는 피봇핀(37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토퍼 조작부(38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스토퍼 가이드 링크부(340)를 구동하며, 일면(382)이 스테이션 본체(100) 외부로 노출된다. 스토퍼 조작부(380)의 노출된 일면(382)에는 키홈(383; 도 1에 도시)이 형성된다. 스토퍼 조작부(380)에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조작캠(미도시)이 형성되며, 스토퍼 가이드 링크부(340)는 조작캠(미도시)의 회전을 통해 구동한다.
탄성부재(390)는 탄성부재 장착부(369)에 장착되어 제2 링크부재(360)와 연결되며, 제1 링크부재(350)가 역방향(+Y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때 제2 링크부재(360)에 제2 방향(+X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언록킹유닛(400)은 언록킹 가이드 링크(420), 언록킹 조작부(450) 및 언록킹용 탄성부재(460)를 포함한다.
언록킹 가이드 링크(420)는 제1 방향(-X 방향) 또는 제2 방향(+X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스테이션 본체(100)의 길이 방향(X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언록킹 가이드 링크(420)는 후크부재(210)를 언록킹 위치(u; 도 4에 도시)로 이동시킬 때 제1 방향(-X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후크부재(210)를 록킹 위치(l; 도 4에 도시)로 이동시킬 때 제2 방향(+X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언록킹 가이드 링크(420)에는 후크부재(210)가 록킹 위치(l; 도 4에 도시)에 배치된 때 후크부재(210)의 전단부(214; 도 4에 도시)를 수용하는 전단부 수용홈(422)이 형성된다. 전단부 수용홈(422)은 후크부재(210)의 수에 대응되게 구비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전단부 수용홈(422)이 구비된다.
언록킹 가이드 링크(420)에는 복수 개의 슬라이딩 가이드 홈(423)이 형성된다. 각각의 슬라이딩 가이드 홈(423)은 스테이션 본체(100)의 길이 방향(X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각각의 슬라이딩 가이드 홈(423)에는 스테이션 본체(100)의 내면(104)에 장착되는 슬라이딩 가이드 핀(106)이 삽입된다.
언록킹 가이드 링크(420)에는 언록킹용 탄성부재(460)의 장착을 위한 언록킹용 탄성부재 장착부(429)가 구비된다. 언록킹용 탄성부재 장착부(429)는 언록킹 가이드 링크(420)에 별도의 부재로 장착된다.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탄성부재 장착부는 언록킹 가이드 링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언록킹 조작부(45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언록킹 가이드 링크(420)를 구동한다. 언록킹 조작부(450)에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언록킹용 조작캠(미도시)이 형성되며, 언록킹 가이드 링크(420)는 언록킹용 조작캠(미도시)의 회전을 통해 구동한다. 언록킹 조작부(450)는 앞선 도 1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버튼식으로 동작한다.
언록킹용 탄성부재(460)는 언록킹용 탄성부재 장착부(429)에 장착되어 언록킹 가이드 링크(420)와 연결되며, 언록킹 가이드 링크(420)에 제2 방향(+X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도 3은 도 1의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에 전자기기가 도킹된 모습이 도시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 부분이 도시된 개략적인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1의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에 구비된 후크가 전자기기에 후크 결합된 모습이 도시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전자기기는 도킹 스테이션과 호환 가능한 다양한 기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는 랩탑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 다양한 기기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랩탑 컴퓨터를 전자기기의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기기(10)는 스테이션 본체(100)의 상면(102)에 장착되어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1)에 도킹된다. 이때, 록킹유닛(200)은 전자기기(10)의 후크부재 삽입홈(12)에 끼워져 전자기기(10)가 록킹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록킹유닛(200)은 앞선 후크부재(210) 및 록킹유닛 장착부(240) 외에 록킹유닛용 탄성부재(260)를 더 포함한다.
후크부재(210)는 후크본체(212) 및 후크(218)를 포함한다.
후크본체(212)는 전단부(214)가 언록킹유닛(400) 쪽으로 돌출되며 후단부(216)가 록킹유지유닛(300) 쪽으로 돌출된다. 후크본체(212)의 후단부(216)에는 록킹유닛용 탄성부재(260)가 끼워진다.
후크(218)는 후크본체(212)로부터 스테이션 본체(100)의 높이 방향(Z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후크(218)는 전자기기(10)와 후크 결합시 전자기기(10)의 후크 삽입홈(12)에 구비된 후크 걸림턱(13)에 걸림된다. 후크(218)는 록킹 위치(l) 및 언록킹 위치(u)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다. 다시 말해, 후크(218)는 전자기기(10)의 후크 삽입홈(12)의 폭(d) 사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고, 이러한 슬라이딩을 통해 전자기기(10)는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1)에 록킹되거나 언록킹될 수 있다.
록킹유닛용 탄성부재(260)는 후크본체(212)의 후단부(216)에 끼워지며 록킹유닛 장착부(240) 내에 장착된다. 록킹유닛용 탄성부재(260)는 코일 스프링이며, 후크부재(210)가 언록킹 위치(u)로 슬라이딩될 때 후크부재(210)에 록킹 위치(l)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에 구비된 록킹유지유닛의 동작이 도시된 개략적인 동작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의 록킹상태를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 스토퍼 조작부(380)의 키홈(383; 도 1에 도시)에 키를 삽입하여 회전시킨다. 스토퍼 조작부(380)는 키 회전에 따라 조작캠(미도시)이 회전하여 제1 링크부재(350)를 정방향(-Y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제1 링크부재(350)의 슬라이딩에 따라, 제1 링크부재(350)의 슬라이딩 가이드 홈(353)에 삽입된 슬라이딩 가이드 핀(106)은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이드 홈(353)의 위쪽(353b)에 배치된다.
제1 링크부재(350)의 정방향(-Y 방향) 슬라이딩에 따라, 제3 링크부재(37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3 링크부재(370)의 시계 방향 회전에 따라, 제3 링크부재(370)의 회전 가이드 홈(379)에 삽입된 연결핀(362)은 상대적으로 회전 가이드 홈(379)의 아래쪽(379a)에 배치된다.
제3 링크부재(370)의 시계 방향 회전에 따라, 제2 링크부재(360)는 제1 방향(-X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제2 링크부재(360)의 슬라이딩에 따라, 제2 링크부재(360)의 슬라이딩 가이드 홈(363)에 삽입된 슬라이딩 가이드 핀(106)은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이드 홈(363)의 우측(363b)에 배치된다. 제2 링크부재(360)의 제1 방향(-X 방향) 슬라이딩에 따라, 각각의 스토퍼(320)는 록킹유닛(200A, 200B) 바로 뒤에 배치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의 록킹상태 유지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스토퍼 조작부(380)의 키홈(383; 도 1에 도시)에 키를 삽입하여 록킹상태 유지시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키 회전에 따라 스토퍼 조작부(380)의 조작캠(미도시)은 록킹상태 유지시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조작캠(미도시)이 회전하면, 제2 링크부재(360)는 제2 방향(+X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제2 링크부재(360)의 슬라이딩에 따라, 제2 링크부재(360)의 슬라이딩 가이드 홈(363)에 삽입된 슬라이딩 가이드 핀(106)은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이드 홈(363)의 좌측(363a)에 배치된다.
제2 링크부재(360)의 구동력은 탄성부재(390)가 제공한다. 탄성부재(390)는 일단(392)이 탄성부재 장착부(369)에 장착되며 타단(394)이 슬라이딩 본체(100; 도 2에 도시)의 내면(104; 도 2에 도시)에 구비된 탄성부재 끼움부(109a)에 장착된다. 탄성부재(390)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되며, 제2 링크부재(360)의 제1 방향(-X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시 제2 링크부재(360)의 길이 방향으로 늘어나 제2 방향(+X 방향)으로 되돌아가려는 탄성력이 생긴다. 이후, 탄성부재(390)는 조작캠(미도시)의 회전으로 원래 크기로 되돌아오면서 제2 링크부재(360)를 제2 방향(+X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제2 링크부재(360)의 제2 방향(+X 방향) 슬라이딩에 따라, 각각의 스토퍼(320)는 록킹유닛(200A, 200B) 옆에 배치되며, 각각의 록킹유닛(200A, 200B) 뒤에는 후크부재(210)의 후단부(216; 도 4에 도시)를 수용할 수 있는 후단부 수용홈(368)이 배치된다.
한편, 제2 링크부재(360)에는 제2 링크부재(360)의 제2 방향(+X 방향)으로의 일정 거리 이상의 슬라이딩을 제한하는 슬라이딩 제한 돌기(366)가 형성된다. 슬라이딩 제한 돌기(366)는 제2 링크부재(360)의 폭 방향(Y 방향)을 따라 위아래로 돌출 형성된다. 슬라이딩 제한 돌기(366)는 제2 링크부재(360)의 제2 방향(+X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시 일정 거리 이상 제2 링크부재(360)가 슬라이딩되면 스테이션 본체(100; 도 2에 도시)의 내면(104; 도 2에 도시)에 구비된 걸림턱(107a)에 걸림되어 제2 링크부재(360)의 슬라이딩을 멈추게 한다.
제2 링크부재(360)의 제2 방향(+X 방향) 슬라이딩에 따라, 제3 링크부재(37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3 링크부재(370)의 반시계 방향 회전에 따라, 제3 링크부재(370)의 회전 가이드 홈(379)에 삽입된 연결핀(362)은 상대적으로 회전 가이드 홈(379)의 위쪽(379b)에 배치된다.
제3 링크부재(370)의 반시계 방향 회전에 따라, 제1 링크부재(350)는 역방향(+Y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제1 링크부재(350)의 슬라이딩에 따라, 제1 링크부재(350)의 슬라이딩 가이드 홈(353)에 삽입된 슬라이딩 가이드 핀(106)은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이드 홈(353)의 아래쪽(353a)에 배치된다.
스토퍼 가이드 링크부(340)의 이동이 완료되면, 각각의 록킹유닛(200A, 200B) 뒤에 후단부 수용홈(368)이 배치되므로, 각각의 록킹유닛(200A, 200B)의 후크부재(210)는 언록킹을 위한 슬라이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8은 도 6의 록킹유지유닛에 구비된 스토퍼의 스톱 위치가 도시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스토퍼(320)는 스톱 위치에서 록킹유닛(200)의 바로 뒤에 배치된다. 스토퍼(320)는 전면(320a)이 후크본체(212)의 후단부(216; 도 9에 도시)를 가로막는다. 후크본체(212)의 전단부(214)는 언록킹 가이드 링크(420)의 전단부 수용홈(422)에 접촉한다. 록킹유닛(200)은 후크본체(212)의 양단이 각각 스토퍼(320) 및 전단부 수용홈(422)에 가로막혀 있으므로, 후크부재(210)가 언록킹 위치(u; 도 4에 도시)로 슬라이딩될 수 없다.
이에 따라,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1; 도 1에 도시)은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의 록킹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가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1; 도 1에 도시)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1; 도 1에 도시)은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의 도난 등 예기치 않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7의 록킹유지유닛에 구비된 스토퍼의 스톱해제 위치가 도시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스토퍼(320)는 스톱해제 위치에서 록킹유닛(200)과 떨어져 록킹유닛(200)의 우측에 배치된다. 대신에 록킹유닛(200)의 뒤에는 후단부 수용홈(368)이 배치된다. 후단부 수용홈(368)은 후크본체(212)의 후단부(216)를 바라보며 배치되며, 후크본체(212)의 후단부(216)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후크본체(212)의 전단부(214)는 언록킹 가이드 링크(420)의 전단부 수용홈(422)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록킹유닛(200)은 후단부 수용홈(368)과 접촉되는 지점까지 후크부재(210)가 슬라이딩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1; 도 1에 도시)은 필요에 따라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의 록킹을 해제시켜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를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1; 도 1에 도시)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도 1의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에 구비된 언록킹유닛의 동작이 도시된 개략적인 동작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1; 도 1에 도시)에 도킹된 전자기기(10; 도 3에 도시)를 언록킹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먼저 언록킹유닛(400)의 언록킹 조작부(450)를 누른다. 이때, 선행적으로, 록킹유지유닛(3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유지상태가 해제되어 있어야 한다.
언록킹 조작부(45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언록킹용 조작캠(미도시)이 회전하여 언록킹 가이드 링크(420)를 제1 방향(-X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언록킹 가이드 링크(420)의 슬라이딩에 따라, 언록킹 가이드 링크(420)의 슬라이딩 가이드 홈(423)에 삽입된 슬라이딩 가이드 핀(106)은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이드 홈(423)의 우측(423b)에 배치된다.
언록킹 가이드 링크(420)가 제1 방향(-X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각각의 록킹유닛(200A, 200B)의 후크본체(212; 도 12에 도시)의 전단부(214; 도 12에 도시)는 정방향(-Y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록킹유닛(200A, 200B)은 후크본체(212; 도 12에 도시)의 전단부(214; 도 12에 도시)의 슬라이딩으로 인해 후크부재(210; 도 4에 도시)가 언록킹 위치(u; 도 4에 도시)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록킹유닛(200A, 200B)의 후크(218; 도 4에 도시)는 전자기기(10; 도 4에 도시)의 후크 걸림턱(13)으로부터 이탈되어 록킹유닛(200A, 200B)의 언록킹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1; 도 1에 도시)으로부터 전자기기(10; 도 4에 도시)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전자기기(10; 도 4에 도시)의 분리시, 푸시 버튼(130)은 언록킹 유닛(400)의 동작과 연동하여 전자기기(10; 도 4에 도시)를 위로 밀어내 전자기기(10; 도 4에 도시)의 분리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1; 도 1에 도시)의 언록킹 상태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다시 언록킹유닛(400)의 언록킹 조작부(450)를 누른다. 이때에도 또한, 선행적으로, 록킹유지유닛(3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유지상태가 해제되어 있어야 한다.
언록킹 조작부(450)는 언록킹용 조작캠(미도시)이 앞선 언록킹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언록킹 가이드 링크(420)를 제2 방향(+X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언록킹 가이드 링크(420)의 슬라이딩에 따라, 언록킹 가이드 링크(420)의 슬라이딩 가이드 홈(423)에 삽입된 슬라이딩 가이드 핀(106)은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이드 홈(423)의 좌측(423a)에 배치된다.
언록킹 가이드 링크(420)의 제2 방향(+X 방향)으로의 구동력은 언록킹용 탄성부재(460)가 제공한다. 언록킹용 탄성부재(460)는 일단(462)이 언록킹용 탄성부재 장착부(429)에 장착되며 타단(464)이 슬라이딩 본체(100; 도 2에 도시)의 내면(104)에 구비된 언록킹용 탄성부재 끼움부(109b)에 장착된다. 언록킹용 탄성부재(460)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되며, 언록킹 가이드 링크(420)의 제1 방향(-X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시 언록킹 가이드 링크(420)의 길이 방향으로 늘어나 제2 방향(+X 방향)으로 되돌아가려는 탄성력이 생긴다. 이후, 언록킹용 탄성부재(460)는 언록킹 조작부(450)의 언록킹용 조작캠(미도시)의 회전으로 인해 원래 크기로 되돌아오면서 언록킹 가이드 링크(420)를 제2 방향(+X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한편, 언록킹 가이드 링크(420)에는 언록킹 가이드 링크(420)의 제2 방향(+X 방향)으로의 일정 거리 이상의 슬라이딩을 제한하는 언록킹용 슬라이딩 제한 돌기(426)가 형성된다. 언록킹용 슬라이딩 제한 돌기(366)는 언록킹 가이드 링크(420)의 폭 방향(Y 방향)을 따라 위아래로 돌출 형성된다. 언록킹용 슬라이딩 제한 돌기(366)는 언록킹 가이드 링크(420)의 제2 방향(+X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시 일정 거리 이상 언록킹 가이드 링크(420)가 슬라이딩되면 스테이션 본체(100)의 내면(104)에 구비된 언록킹용 걸림턱(107b)에 걸림되어 제2 링크부재(360)의 슬라이딩을 멈추게 한다.
언록킹 가이드 링크(420)가 제2 방향(+X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각각의 록킹유닛(200A, 200B)의 후크본체(212; 도 12에 도시)의 전단부(214; 도 12에 도시)는 역방향(+Y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언록킹 가이드 링크(420)의 전단부 수용홈(422; 도 13에 도시)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록킹유닛(200A, 200B)의 후크(218; 도 4에 도시)는 록킹 위치(l: 도 4에 도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언록킹 위치(u; 도 4에 도시)로부터 벗어난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0 및 도 11의 언록킹유닛의 동작시 주요 부분이 도시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록킹유닛(200)의 언록킹이 완료되면, 후크본체(212)의 전단부(214)는 언록킹용 가이드 링크(420)의 전단부 수용홈(422)의 옆면(425)에 접촉하며, 후크본체(212)의 후단부(216)는 록킹유지유닛(300)의 제2 링크부재(360)의 후단부 수용홈(368)에 접촉한다. 여기서, 후크본체(212)의 후단부(216)는 후단부 수용홈(368)에 접촉하지 않고 후단부 수용홈(368) 내에 수용되기만 할 수도 있다.
록킹유닛(200)은 록킹 위치(l; 도 4에 도시)에서보다 후크본체(212)의 전단부(214)가 정방향(-Y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므로, 후크본체(212)의 정방향(-Y 방향) 이동거리에 대응하여 후크(218) 또한 록킹 위치(l; 도 4에 도시)에서 벗어나 언록킹 위치(u; 도 4에 도시)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록킹유닛(200)의 언록킹이 해제되면, 후크본체(212)의 전단부(214)는 언록킹용 가이드 링크(420)의 전단부 수용홈(422)에 접촉하며, 후크본체(212)의 후단부(216)은 록킹유지유닛(300)의 제2 링크부재(360)의 후단부 수용홈(368)으로부터 역방향(+Y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다.
록킹유닛(200)은 언록킹 위치(u; 도 4에 도시)에서보다 후크본체(212)의 전단부(214)가 역방향(+Y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므로, 후크본체(212)의 역방향(+Y 방향) 이동거리에 대응하여 후크(218) 또한 언록킹 위치(u; 도 4에 도시)에서 벗어나 록킹 위치(l; 도 4에 도시)에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 10: 전자기기
100: 스테이션 본체 120: 가이드 돌기
130: 푸시 돌기 140: 메인 슬롯
150: 서브 접촉부 160: 안착홈
170: 확장포트 180: 전원버튼
200: 록킹유닛 210: 후크부재
212: 후크본체 218: 후크
240: 록킹유닛 장착부 260: 록킹유닛용 탄성부재
300: 록킹유지유닛 320: 스토퍼
340: 스토퍼 가이드 링크부 350: 제1 링크부재
360: 제2 링크부재 370: 제3 링크부재
380: 스토퍼 조작부 390: 탄성부재
400: 언록킹유닛 420: 언록킹 가이드 링크
450: 언록킹 조작부 460: 언록킹용 탄성부재

Claims (20)

  1. 전자기기가 착탈 가능하게 도킹되는 스테이션 본체;
    상기 스테이션 본체와 상기 전자기기가 결합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분리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후크부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록킹유닛; 및
    상기 후크부재를 상기 제1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록킹유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유지유닛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후크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 위치와 상기 후크부재의 언록킹을 허용하는 스톱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유지유닛은,
    상기 스토퍼를 상기 스톱 위치 또는 상기 스톱해제 위치로 가이드하는 스토퍼 가이드 링크부; 및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스토퍼 가이드 링크부를 구동하는 스토퍼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가이드 링크부는,
    상기 스토퍼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링크부재;
    상기 제1 링크부재가 상기 정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스토퍼를 상기 스톱 위치로 안내하도록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링크부재가 상기 역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스토퍼를 상기 스톱해제 위치로 안내하도록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링크부재; 및
    상기 제1 링크부재의 구동력을 상기 제2 링크부재에 전달하는 제3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링크부재는 상기 제1 링크부재가 상기 정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1 링크부재의 구동력을 상기 제2 링크부재에 전달하며,
    상기 록킹유지유닛은 상기 제2 링크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제1 링크부재가 상기 역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2 링크부재에 상기 제2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링크부재는 일단이 상기 제2 링크부재와 링크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링크부재와 이동 가능하게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링크부재는 피봇핀을 통해 상기 스테이션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피봇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링크부재에는 상기 제3 링크부재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회전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링크부재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연결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부재 및 상기 제2 링크부재에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가이드 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스테이션 본체에는 각각의 슬라이딩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딩 가이드 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부재에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제한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션 본체는 상기 제2 링크부재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슬라이딩 제한돌기와 접촉하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부재에는 상기 후크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후크부재의 후단부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단부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조작부에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조작캠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 가이드 링크부는 상기 조작캠의 회전을 통해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링크부재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 링크부재에서 상기 스테이션 본체의 높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코일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제2 링크부재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스테이션 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재를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언록킹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유닛은,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언록킹 가이드 링크; 및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언록킹 가이드 링크를 구동하는 언록킹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부재를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킬 때 상기 언록킹 가이드 링크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후크부재를 상기 제1 위치로 이동시킬 때 상기 언록킹 가이드 링크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 가이드 링크는,
    상기 후크부재의 전단부와 접촉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후크부재의 전단부를 상기 정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후크부재의 전단부를 상기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 가이드 링크에는 상기 후크부재가 제1 위치에 배치된 때 상기 후크부재의 전단부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단부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언록킹 가이드 링크에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테이션 본체에는 각각의 슬라이딩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딩 가이드 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
KR1020120139710A 2012-12-04 2012-12-04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 KR2014007176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710A KR20140071760A (ko) 2012-12-04 2012-12-04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
US13/915,906 US9383771B2 (en) 2012-12-04 2013-06-12 Docking station for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710A KR20140071760A (ko) 2012-12-04 2012-12-04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760A true KR20140071760A (ko) 2014-06-12

Family

ID=50825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710A KR20140071760A (ko) 2012-12-04 2012-12-04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83771B2 (ko)
KR (1) KR2014007176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32036S1 (en) * 2012-11-23 2015-06-16 Sumsung Electronics Co., Ltd. Docking station
TWI507115B (zh) * 2014-05-30 2015-11-01 Universal Scient Ind Shanghai 支撐結構及應用其之擴充底座
TWI548973B (zh) * 2015-07-13 2016-09-11 宏碁股份有限公司 擴充裝置
US20170160767A1 (en) * 2015-12-04 2017-06-08 TreVante Jones Laptop docking system and method
USD780762S1 (en) * 2016-01-21 2017-03-07 Getac Technology Corporation Docking station of portable computer
CN109407753B (zh) * 2017-08-16 2020-09-22 环胜电子(深圳)有限公司 具有作动顺序的扩充座
CN109542164B (zh) * 2017-09-22 2022-04-26 联想(新加坡)私人有限公司 对接装置以及电子设备
TWI676099B (zh) * 2017-11-01 2019-11-0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連動機構及電子裝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2695A (en) * 1997-10-30 2000-06-06 Hewlett-Packard Company Horizontal loading docking station with uninterrupted power supply
JP2000039933A (ja) 1998-07-22 2000-02-08 Toshiba Corp 電子機器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の機能を拡張するための拡張装置
TWM249078U (en) * 2003-12-10 2004-11-01 Wistron Corp Joint seat with transmission mechanism for releasing the mutual locking with extern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53162A1 (en) 2014-06-05
US9383771B2 (en) 201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1760A (ko) 전자기기용 도킹 스테이션
US9907197B2 (en) Electronic card connec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7505265B2 (en) Docking device having a hook to be engaged with an electronic apparatus
US6744627B2 (en) Notebook computer and docking station having anti-theft lock
CN1763690B (zh) 坞站和计算机固定的方法
JP3718777B2 (ja) 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
US6155853A (en) Data process medium connector with locking means
JP3383514B2 (ja) 電子処理システム
US6034869A (en) Locking apparatus for locking a notebook computer on a docking station
US5818691A (en) Portable computer docking system with push to engage and push to disengage connection module
US5870283A (en) Portable computer docking unit having an inhibitor for inhibiting movement of a mechanical lock to a lock position
US7038908B2 (en) Docking-type function-providing apparatus and portable device
JP2006127522A (ja) 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
CN108089654B (zh) 插拔装置及具有该插拔装置的机箱
US20070211424A1 (en) Apparatus for mounting removably a disk drive in an electronic device
CN110554749B (zh) 硬盘抽取托盘
EP3792730A1 (en) Dock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11173483U (zh) 电子挂锁
CN104124571B (zh) 子母机的弹出机构以及应用该弹出机构的母机和子母机
EP0729655B1 (en) Data process medium connector with locking means
CN220036396U (zh) 锁具
CN214848442U (zh) 一种断路器锁定机构及断路器
JP4834520B2 (ja) 情報装置
CN219163294U (zh) 一种插入式断路器锁定组件及断路器
CN218488460U (zh) 扶手装置及移动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