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1153A - 가습장치 - Google Patents

가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1153A
KR20140071153A KR1020120139172A KR20120139172A KR20140071153A KR 20140071153 A KR20140071153 A KR 20140071153A KR 1020120139172 A KR1020120139172 A KR 1020120139172A KR 20120139172 A KR20120139172 A KR 20120139172A KR 20140071153 A KR20140071153 A KR 20140071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andle
hinge shaft
water container
cov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병찬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9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1153A/ko
Publication of KR20140071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11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장치하우징에서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된 물통의 탈착시 사용되는 핸들이 큰 힘을 받는 경우에도 파손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가습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가습장치는 장치하우징과, 가습모듈과, 장치하우징에 장착되는 수조와, 수조에 가습용 물을 제공하는 물통을 포함하는 가습장치에 있어서, 물통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의 일측방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물통이 상기 장치하우징에 정착되도록 상기 장치하우징에 걸리는 걸림부와, 상기 힌지축의 타측방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핸들부재; 물통에 구비되며, 상기 핸들부재의 힌지축이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안착부; 및 상기 안착홈의 개방단을 닫도록 물통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부재의 힌지축을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핸들커버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습장치{HUMIDIF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가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치하우징에서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된 물통의 탈착시 사용되는 핸들이 큰 힘을 받는 경우에도 파손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가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장치는 실내의 습도를 높이기 위해 인공적으로 습기를 생성 분무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가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가습장치의 물통(30) 탈거에 사용되는 핸들(40)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을 보면, 종래의 기술에 의한 가습장치는 장치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 장착되는 수조(20)와, 수조(20)의 일측에 장착되는 물통(30)을 구비하며, 장치하우징(10)의 내부에는 가습필터를 포함하는 가습모듈(미도시)이 내장된다.
여기서, 수조(20)에는 가습모듈이 가습에 사용하기 위한 가습용 물이 수용된다. 또한, 물통(30)은 수조(20)의 일측에 구비된 노즐체결부(25)에 물통(30)의 하단에 구비된 노즐(미도시)을 체결하여, 수조(20)에 가습용 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물통(30)은 장치하우징(10) 및 수조(20)에서 탈착가능한 구성을 가지며, 사용자는 가습용 물이 부족한 경우 물통(30)을 장치하우징(10) 및 수조(20)에서 분리하여 물을 채운 후 장치하우징(10) 및 수조(20)에 장착함으로써, 장치에서 사용할 가습용 물을 보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통(30)이 장치하우징(10)에서 탈착가능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물통(30)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는 핸들(40)이 구비될 수 있다.
핸들(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41)과 손잡이(42) 그리고, 걸림부(43)로 구성된다. 이러한 핸들(40)은 회전축(41)이 물통(30)에 힌지결합되며, 사용자는 핸들(40)의 손잡이(42)를 당겨 걸림부(43)를 장치하우징(10)의 물통삽입부에 있는 프레임에서 탈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의한 가습장치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40)의 회전축(41)이 장착되는 결합부(35)에 홈(3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36)에 회전축(41)이 억지끼움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가습장치는, 핸들(40)의 손잡이(42)를 강한 힘으로 당기거나 물통(30)에 물이 가득 차있는 상태에서 손잡이(42)를 당기는 경우에, 핸들(40)의 회전축(41)이 결합부(35)의 홈(36)에서 쉽게 이탈되어 결합부(35)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가습장치를 사용할 때, 물통(30)에 물이 차있는 상태에서 손잡이(42)를 당기는 경우가 많으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가 빈번히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물통의 탈착에 사용되는 핸들이 강한 힘을 받는 경우에도 파손되지 않는 가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장치하우징과, 가습모듈과, 장치하우징에 장착되는 수조와, 수조에 가습용 물을 제공하는 물통을 포함하는 가습장치에 있어서, 물통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의 일측방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물통이 상기 장치하우징에 정착되도록 상기 장치하우징에 걸리는 걸림부와, 상기 힌지축의 타측방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핸들부재; 물통에 구비되며, 상기 핸들부재의 힌지축이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안착부; 및 상기 안착홈의 개방단을 닫도록 물통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부재의 힌지축을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핸들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가습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홈은 개방단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핸들커버부재는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핸들부재의 힌지축을 상기 안착홈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핸들커버부재는 물통에 장착되는 커버본체; 및 물통에 상기 커버본체가 장착되면 선단부가 상기 안착홈의 개방단을 덮도록 상기 커버본체에 돌출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본체는 상기 돌출부 측에 상기 물통과 상기 커버본체의 결합을 위한 체결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본체는 상기 안착부 측 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구성되고, 박스형상의 상측 판이 상기 안착부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물통은 전면에 결합되는 물통전면커버를 구비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안착부는 상기 물통전면커버의 상부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핸들부재의 걸림부에는 회전된 걸림부가 원위치되도록 상기 걸림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습장치는 장치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청정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물통의 탈착에 사용되는 핸들부재에 강한 힘이 작용하는 경우, 핸들부재의 힌지결합부위가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어, 핸들부재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가습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습장치에 구비된 핸들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습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습장치의 핸들부재 및 핸들커버부재의 구조 상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가습장치에 포함되는 핸들커버부재의 정면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가습장치의 핸들부재 및 핸들커버부재의 결합구조 상세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습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습장치(100)는 장치하우징(110), 가습모듈(120), 수조(130), 공기청정필터(140), 물통(150), 물통전면커버(160), 물통케이스부(170), 핸들부재(180), 및 핸들커버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하우징(1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습장치(100)의 외관을 구성하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기유입구(미도시)와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1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하우징(110)에는 후술할 수조(130) 및 물통(150)이 삽입장착될 수 있도록 일측에 장착개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습모듈(120)은 후술할 수조(130)에 수용된 가습용 물을 가습에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습장치(100)에서, 가습모듈(120)은 수조(130)에 수용된 가습용 물에 침지되는 자연 기화식 가습필터로 구성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열식 가습방식, 초음파식 가습방식 등의 다양한 가습방식을 취하는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130)는 장치하우징(110)의 내부에 삽입장착될 수 있으며, 가습용 물을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수조(130)는 일측에 후술할 물통(150)이 장착될 수 있으며, 물통(150)으로부터 가습용 물을 공급받기 위해 물통(150)에 구비된 노즐(미도시)이 체결될 수 있는 노즐체결부(13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청정필터(140)는 장치하우징(110)에 내장되어 장치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청정필터(140)가 구비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습장치(100)는 가습기능과 공기청정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가습공기청정기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통(150)은 수조(130)의 일측에 장착되어, 수조(130)에 가습용 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물통(150)은 저면에 수조(130)의 노즐체결부(135)에 체결되는 노즐(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통전면커버(160)는 물통(150)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물통(150)이 장치하우징(110)에 장착된 경우 장치 외관의 일측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물통전면커버(160)에는 사용자가 후술할 핸들부재(180)의 손잡이부(186)를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핸들부재(180)의 손잡이부(186)를 노출시키는 파지케이싱부(16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파지케이싱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물통전면커버(160)의 후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파지케이싱은 후면이 물통(150)의 상단에 형성된 체결용 돌출편(152)에 체결되어, 물통(150)과 물통전면커버(160)의 결합을 보조할 수 있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물통전면커버(160)가 물통(150)으로부터 독립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예에 해당하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통전면커버(160)는 물통(15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물통케이스부(170)는 장치하우징(110)의 장착개구(112)를 덮도록 장치하우징(110)에 고정결합될 수 있으며, 하측에 수조(13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개구(17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물통케이스부(170)는 장치하우징(110)의 내측에 물통(150)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 채 장치하우징(110)의 장착개구(112)의 일부를 폐쇄할 수 있다. 이때, 물통케이스부(170)의 상단에는 물통(150)이 장치하우징(110)에 장착된 경우에 후술할 핸들부재(180)의 걸림부(184)가 걸릴 수 있는 걸림홈(174)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물통케이스부(170)가 장치하우징(110)과 독립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장치하우징(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핸들부재(180)는 물통(150)이 장치하우징(110) 즉, 물통케이스부(170)에 장착되는 경우에 물통(150)이 장치하우징(110)에 고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쇠로서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핸들부재(180)는 힌지축(182), 걸림부(184) 및 손잡이부(18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힌지축(182)은 물통전면커버(16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184)는 힌지축(182)의 일측방에 연장형성되어 힌지축(182)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물통케이스부(170)에 형성된 걸림홈(174)에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걸림부(184)의 상면은 전방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물통(150)이 물통케이스부(170)에 장착될 때 경사면이 물통케이스부(170)의 프레임에 슬라이딩되며 걸림부(184)가 자동으로 하강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핸들부재(180)의 걸림부(184)에는 회전된 걸림부(184)가 원위치되도록 걸림부(184)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19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습장치(100)를 사용할 때, 사용자는 핸들부재(180)의 손잡이부(186)를 손가락으로 파지하고 당겨서 걸림부(184)를 회전시켜, 걸림부(184)를 물통케이스부(170)의 걸림홈(174)에서 이탈시킨 후 물통(150) 전체를 당겨, 물통(150)을 장치하우징(11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핸들커버부재(200)는 상기와 같은 물통(150) 분리동작시에 핸들부재(180)의 파손을 방지하고, 핸들부재(180)의 힌지축(182)이 힌지결합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핸들커버부재(200)와 핸들부재(180)의 구조 및 결합구조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전면커버(160)에는 상측에 안착부(164)가 구비된다. 여기서, 물통전면커버(160)는 물통(150)과 결합되어 일체화된다.
상기 안착부(164)는 핸들부재(180)의 힌지축(182)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착부(164)는 힌지축(182)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서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한 쌍의 돌출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안착부(164)에는 핸들부재(180)의 힌지축(182)이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홈(165)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착홈(165)은 안착부(164)의 선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홈의 개방단이 물통(150)의 후방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핸들커버부재(200)는 안착홈(165)의 개방단을 닫도록 물통(150)에 결합되어, 핸들부재(180)의 힌지축(182)을 안착홈(165)에 안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즉, 핸들커버부재(200)는 핸들부재(180)의 힌지축(182)이 안착홈(165)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안착홈(165)에 안착되어 있는 핸들부재(180)의 힌지축(182)을 안착홈(165)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핸들커버부재(200)는 물통(150)에 장착되는 커버본체(210)와, 커버본체(210)에서 돌출형성된 돌출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본체(210)는 안착부(164) 측 면이 개방되어 물통전면커버(160)의 파지케이싱부(162)가 수납될 수 있도록 박스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본체(210)에는 핸들부재(180)의 걸림부(184)가 노출될 수 있는 개구(21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220)는 커버본체(210)가 물통(150)에 장착된 상태에서 선단부가 안착홈(165)의 개방단을 덮도록 커버본체(210)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본체(210)가 물통(150)에 장착된 경우, 커버본체(210)의 돌출부(220)가 안착홈(165)의 개방단을 덮는 상태가 안정화되도록, 커버본체(210)의 돌출부(220) 측에는 물통전면커버(160)에 볼트체결되는 체결공(23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핸들부재(180)의 손잡이부(186)가 강한 힘으로 당겨지는 경우 힌지축(182)이 커버본체(210)의 돌출부(220)를 밀어내어 이탈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커버본체(210)가 돌출부(220) 측에서 물통전면커버(160)에 볼트체결되어 돌출부(220)가 힌지축(182)을 지지하는 지지 강성을 강화시켜, 힌지축(182)이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을 보면,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핸들커버부재(200)와 핸들부재(180)의 결합구조에서, 핸들커버부재(200)의 돌출부(220)는 안착부(164)의 선단에 접하도록 구성되어, 힌지축(182)이 안착홈(165)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박스형상으로 구성된 커버본체(210)의 상측 판은 안착부(164)의 상단에 접하도록 구성되어, 안착부(164)가 상측으로 좌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안착부(164)의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핸들부재(180)에 강한 힘이 작용할 때 안착부(164)가 상방으로 좌굴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통(150)에 물이 가득 찬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부재(180)의 손잡이부(186)를 파지한 채 물통(150)을 들어올리는 경우 안착부(164)의 안착홈(165)에는 상방으로 강한 압력이 작용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커버본체(210)의 상측 판이 안착부(164)의 상단을 지지하는 구조를 통해, 안착부(164)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 가습장치 110 : 장치하우징
112 : 장착개구 114 : 토출구
120 : 가습모듈 130 : 수조
135 : 노즐체결부 140 : 공기청정필터
150 : 물통 160 : 물통전면커버
162 : 파지케이싱부 164 : 안착부
165 : 안착홈 170 : 물통케이스부
172 : 삽입개구 174 : 걸림홈
180 : 핸들부재 182 : 힌지축
184 : 걸림부 186 : 손잡이부
190 : 탄성부재 200 : 핸들커버부재
210 : 커버본체 220 : 돌출부

Claims (9)

  1. 장치하우징과, 가습모듈과, 장치하우징에 장착되는 수조와, 수조에 가습용 물을 제공하는 물통을 포함하는 가습장치에 있어서,
    물통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의 일측방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물통이 상기 장치하우징에 정착되도록 상기 장치하우징에 걸리는 걸림부와, 상기 힌지축의 타측방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핸들부재;
    물통에 구비되며, 상기 핸들부재의 힌지축이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안착부; 및
    상기 안착홈의 개방단을 닫도록 물통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부재의 힌지축을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핸들커버부재;
    를 포함하는 가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개방단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커버부재는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핸들부재의 힌지축을 상기 안착홈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커버부재는,
    물통에 장착되는 커버본체; 및
    물통에 상기 커버본체가 장착되면 선단부가 상기 안착홈의 개방단을 덮도록 상기 커버본체에 돌출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는 상기 돌출부 측에 상기 물통과 상기 커버본체의 결합을 위한 체결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가습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는 상기 안착부 측 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구성되고, 박스형상의 상측 판이 상기 안착부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물통은 전면에 결합되는 물통전면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물통전면커버의 상부에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재의 걸림부에 구비되어, 회전된 걸림부가 원위치되도록 상기 걸림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치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청정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
KR1020120139172A 2012-12-03 2012-12-03 가습장치 KR201400711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172A KR20140071153A (ko) 2012-12-03 2012-12-03 가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172A KR20140071153A (ko) 2012-12-03 2012-12-03 가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153A true KR20140071153A (ko) 2014-06-11

Family

ID=51125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172A KR20140071153A (ko) 2012-12-03 2012-12-03 가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115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02819B2 (en) 2017-11-27 2020-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leaner
US20210396399A1 (en) * 2020-06-23 2021-12-23 New Widetech Industries Co., Ltd. Concealed handle and air conditioning device with the same
WO2023012851A1 (ja) * 2021-08-02 2023-02-09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ユニッ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02819B2 (en) 2017-11-27 2020-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leaner
US10967319B2 (en) 2017-11-27 2021-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leaner
US20210396399A1 (en) * 2020-06-23 2021-12-23 New Widetech Industries Co., Ltd. Concealed handle and air conditioning device with the same
WO2023012851A1 (ja) * 2021-08-02 2023-02-09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ユニッ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1153A (ko) 가습장치
CN106102808A (zh) 吸入器和吸入器组
WO2018139630A1 (ja) 保育器
EP2311503A1 (en) Aroma dispenser
JP6282995B2 (ja) 加湿装置
CN205458439U (zh) 地刷和吸尘器
KR101728057B1 (ko) 상부급수형 물탱크를 구비하는 가습기
KR20150076990A (ko) 가습형 공기 청정기
US8500041B2 (en) Portable direct-current sprayer
WO2013003436A2 (en) Portable compact toilet enclosure
KR20150004205U (ko) 가습기
JP5626870B2 (ja) 収納一体型便器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734571B1 (ko) 스팀진공청소기
CN211869107U (zh) 一种具备空气消毒功能的汽车出风口
JP2006347301A (ja) 作業車両
KR20180000957U (ko) 도색용 붓 거치대
JP7349953B2 (ja) 作業機のタンク着脱機構
JP2001152530A (ja) タンクレス便器
JP5349841B2 (ja) 便座装置
JP3211227U (ja) 給液タンク及びスチーム噴霧装置
JP3975328B2 (ja) トイレ装置
JP7316549B2 (ja) トイレ装置および便器装置
JP6425196B2 (ja) 便器装置
KR200455952Y1 (ko) 가습기
JP4858483B2 (ja) 便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