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956B1 -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 - Google Patents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956B1
KR101685956B1 KR1020100062346A KR20100062346A KR101685956B1 KR 101685956 B1 KR101685956 B1 KR 101685956B1 KR 1020100062346 A KR1020100062346 A KR 1020100062346A KR 20100062346 A KR20100062346 A KR 20100062346A KR 101685956 B1 KR101685956 B1 KR 101685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water
hook
housing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520A (ko
Inventor
송규완
김진민
배준형
박찬정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2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956B1/ko
Publication of KR20120001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수조가 물탱크부와 별개로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불어 물탱크부가 장치하우징에 장착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송풍팬의 작동을 중지시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외부공기를 흡인하는 송풍팬을 구비한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에 있어서, 일면에 안착공간이 형성된 장치하우징; 안착공간으로 삽입되어 장치하우징에 결합되는 수조; 물을 수용하며, 수조의 상부에서 안착공간으로 삽입되어 상단이 장치하우징에 후크결합되고, 하단이 수조에 끼움결합되는 물탱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조는 끼움결합된 상기 물탱크부에 의해 상기 장치하우징에 구속되어 상기 물탱크부가 상기 장치하우징에서 분리되는 동작에 종속적으로 상기 장치하우징에서 분리되며, 상기 물탱크부는 물을 수용하고 상기 수조와의 결합시 상기 수조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가 형성된 물탱크 및 상기 물탱크의 일면 및 상부를 감싸도록 상기 물탱크에 결합된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은 하단에 상기 케이싱의 길이 방향을 따라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물탱크부가 상기 수조에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수조의 일측 상단에 형성된 걸이단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HUMIDIFICATION APPARATUS HAVING A SAFETY DEVICE}
본 발명은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수조가 물탱크부와 별개로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불어 물탱크부가 장치하우징에 장착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송풍팬의 작동을 중지시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습도를 높이기 위해 인공적으로 습기를 생성 분무하는 가습장치는 습기의 생성 방법이 수조에 저장된 물을 소정 온도로 가열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수증기를 실내로 자연 분무시키는 방식인 가열식 가습장치와, 수조에 저장된 물을 초음파 진동시켜 미세화된 물 입자를 실내로 분무시키는 방식인 초음파식 가습장치와, 가열식 가습방식과 초음파식 가습방식이 동시에 구비된 복합식 가습장치로 나뉜다.
최근에는, 수조에 가습필터를 침지시킨 후 가습필터 상부측으로 이동한 물을 송풍에 의하여 기화시키거나, 다수의 디스크의 일부분을 수조에 침지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킴으로써 디스크 표면에 부착된 물을 송풍에 의하여 기화시키는 등의 방식을 사용하는 자연식(송풍식) 가습장치도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연식 가습장치의 경우, 송풍팬이 외부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송풍팬에 의해 흡인된 공기가 가습필터를 통과하면서 무화(霧化)된다. 무화된 공기는 가습장치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어, 건조한 실내를 가습한다.
종래의 가습장치는 수조와 수조로 물을 공급하는 물통이 개별적으로 장치하우징에 설치되었다. 이러한 수조와 장치하우징 그리고 물통과 장치하우징의 결합구조로 인하여, 수조는 물통이 장치하우징에 결합되었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장치하우징에서 분리될 수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가습장치는 수조가 장치하우징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송풍팬이 작동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이와 같이 수조와 물통이 개별적으로 장치하우징에 장착되고 수조의 청소를 위해 수조가 물통과 독립적으로 장치하우징에서 분리 가능한 구조의 가습기는 일본 공개특허 제2006-170460호에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수조와 물탱크부의 끼움결합구조를 통해 물탱크부가 장치하우징에서 분리되지 않고서는 수조가 개별적으로 장치하우징으로 분리될 수 없어, 수조의 분리시 장치하우징의 일부 공간이 개방되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물탱크부가 장치하우징에 결합될 때 상호 간의 접촉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칭수단 및 스위칭작동수단을 구비하여, 스위칭수단이 스위칭작동수단에 접촉된 상태에서만 송풍팬이 작동되도록 하고, 접촉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송풍팬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외부공기를 흡인하는 송풍팬을 구비한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에 있어서, 일면에 안착공간이 형성된 장치하우징; 안착공간으로 삽입되어 장치하우징에 결합되는 수조; 물을 수용하며, 수조의 상부에서 안착공간으로 삽입되어 상단이 장치하우징에 후크결합되고, 하단이 수조에 끼움결합되는 물탱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조는 끼움결합된 상기 물탱크부에 의해 상기 장치하우징에 구속되어 상기 물탱크부가 상기 장치하우징에서 분리되는 동작에 종속적으로 상기 장치하우징에서 분리되며, 상기 물탱크부는 물을 수용하고 상기 수조와의 결합시 상기 수조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가 형성된 물탱크 및 상기 물탱크의 일면 및 상부를 감싸도록 상기 물탱크에 결합된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은 하단에 상기 케이싱의 길이 방향을 따라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물탱크부가 상기 수조에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수조의 일측 상단에 형성된 걸이단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물탱크부에는 스위칭작동수단이 구비되며, 장치하우징에는 물탱크부가 장치하우징에 결합될 때 스위칭작동수단과 접촉되어 작동되는 스위칭수단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스위칭수단은 스위칭작동수단과의 접촉시 송풍팬이 작동되도록 하고, 스위칭작동수단과의 접촉 해제시 송풍팬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위칭수단은 리드스위치이고, 스위칭작동수단은 자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리드스위치는 자석과의 접촉시, 자석으로부터 외부자계를 받아 온(ON) 상태가 되고, 자석과의 접촉 해제시, 자석에 의해 제공되던 외부자계가 미치지않아 오프(OFF) 상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더욱이, 케이싱은 물탱크부가 장치하우징에 후크결합되도록 하는 체결후크부를 구비하고, 외면에 물탱크부가 장치하우징에 용이하게 탈착가능하도록 보조하는 손잡이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에 후크개구가 형성되며, 손잡이공간에 후크개구와 연통되는 고정개구가 형성되어, 체결후크부가 후크개구를 통해 케이싱의 상단에 위치되고 고정개구를 통해 손잡이공간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후크부는 일정 각도로 절곡된 단면을 가진 체결후크; 체결후크의 종단에서 연장되어 체결후크와 절곡된 형상을 이루는 체결후크연결부; 및 체결후크연결부의 종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어 굴곡된 단면을 가진 굴곡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체결후크는 후크개구를 통해 케이싱 외면으로 돌출되도록 위치되고, 물탱크부가 장치하우징에 결합될 때 안착공간에 형성된 안착홈에 후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체결후크연결부는 케이싱 내부에서 탄성수단에 의해 물탱크와 연결되고 굴곡부와 연동되어, 외부 힘에 의해 굴곡부가 잡아 당겨질 때 굴곡부가 잡아당겨지는 방향으로 체결후크와 함께 이동되고, 외부 힘이 제거되면 탄성수단에 의해 체결후크와 함께 원래 위치로 되돌아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굴곡부는 고정개구를 관통하여 손잡이공간에 위치되고, 외부 힘에 의해 잡아당겨질 때, 상기 체결후크연결부가 상기 탄성수단을 눌러, 이로 인해 상기 체결후크가 상기 후크개구 안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체결후크 및 상기 체결후크연결부와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수조와 물탱크부의 끼움결합구조를 통해 물탱크부가 장치하우징에서 분리되지 않고서는 수조가 개별적으로 장치하우징으로 분리될 수 없어, 수조의 분리시 장치하우징의 일부 공간이 개방되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물탱크부가 장치하우징에 결합될 때 상호 간의 접촉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칭수단 및 스위칭작동수단을 구비하여, 스위칭수단이 스위칭작동수단에 접촉된 상태에서만 송풍팬이 작동되도록 하고, 접촉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송풍팬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의 개략적인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부를 하부에서 바라본 물탱크부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후크부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100)는 장치하우징(110), 수조(120) 및 물탱크부(13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하우징(110)에는 전면에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구(112)가 구비되고, 상단에 장치하우징(1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113)가 구비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하우징(110)의 일면에는 안착공간(1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안착공간(111)이란 후술할 수조(120) 및 물탱크부(130)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공간을 말한다.
안착공간(111) 하부에는 후술할 수조(120)의 가습필터고정부(126)가 장치하우징(110) 내부로 삽입되어 위치되도록 수조삽입개구(117)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안착공간(111) 상부에는 후술할 물탱크부(130)의 체결결합부가 삽입되어 후크결합되는 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 안착공간(111)에는 스위칭수단(115)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위칭수단(115)은 가습장치(100)의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되어 스위칭작동수단(138)과의 접촉시 제어부로 하여금 장치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된 송풍팬(미도시)을 작동시키도록 하고, 스위칭작동수단(138)과의 접촉 해제시 송풍팬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스위칭수단(115) 및 스위칭작동수단(138)은 가습장치(100)의 안전장치로서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수단(115)으로는 리드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위칭수단(115)에 대해서는 스위칭작동수단(138)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수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20)는 물통고정부(121), 손잡이부(123), 걸이단(125), 가습필터고정부(126) 및 수조격벽(127)으로 이루어진다.
수조(120)를 이루는 물통고정부(121)는 물이 담기는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고정돌기(122)가 형성된다. 고정돌기(122)는 물탱크부(130)가 수조(120)에 설치될 때, 물공급부(132)의 밸브(132a)와 결합되어, 밸브(132a)를 개방시키는 부재이다. 한편, 밸브(132a)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어서, 물통고정부(121)는 일측에 손잡이부(123)가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측에 물통고정부(121)에서 연장된 가습필터고정부(126)가 위치된다. 여기서, 손잡이부(123)는 사람의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정도로 하단에 홈(미도시)이 형성되거나, 또는 하단의 위치가 물통고정부(121)의 하단보다 아래에 위치되도록 하여 수조(120)를 장치하우징(110)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부재이다.
그리고, 물통고정부(121)와 손잡이부(123) 상단에는 걸이단(125)이 고정된다. 도 3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단(125)과 물통고정부(121) 상단 사이에는 걸림홈(125a)이 형성된다. 걸이단(125)에는 후술할 걸림턱(136)이 걸리고, 걸림턱(136)은 걸이단(125)의 양 종단에 형성된 걸림홈(125a)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물통고정부(121)의 타측으로 연장된 가습필터고정부(126)는 가습필터(미도시)가 설치되는 곳으로, 물통고정부(121)와 연통된 구조를 가진다. 가습필터고정부(126)는 수조(120)가 장치하우징(110)에 설치될 때, 장치하우징(110) 내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물통고정부(121)와 가습필터고정부(126) 사이에는 수조격벽(127)이 설치된다. 수조(120)가 장치하우징(110)에 설치될 때, 수조격벽(127)은 수조삽입개구(117)를 폐쇄한다. 수조격벽(127)을 기준으로, 가습필터고정부(126)는 수조삽입개구(117)를 통해 삽입되어 장치하우징(110) 내부에 위치되고, 물통고정부(121)는 안착공간(111)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수조격벽(127)은 수조삽입개구(117)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조격벽(127) 하부에는 물유입개구(127a)가 형성되어, 물통고정부(121)와 가습필터고정부(126)가 연통된 구조를 가지도록 한다. 수조(120)와 물탱크부(130)의 결합시, 물공급부(132)를 통해 수조(120) 내부로 유입된 물은 물통공급부에 수용되고, 물유입개구(127a)를 통해 가습필터고정부(126)로 유입된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물탱크부를 하부에서 바라본 물탱크부의 부분사시도이다. 마지막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체결후크부(137)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부(130)는 물탱크(131) 및 케이싱(133)을 포함한다. 물탱크(131)는 물을 수용하고 상술한 수조(120)와의 결합시 수조(120)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132)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물탱크(131)의 일면 및 상부는 케이싱(133)에 의해 감싸여진다.
여기서, 케이싱(133)은 물탱크(131)에 결합되어, 물탱크부(130)가 장치하우징(110) 및 수조(120)에 탈착될 수 있도록 하는 탈착수단을 구비한 부재이다. 또한, 케이싱(133)의 외면에는 물탱크(131)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수위인식창(133a)이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탈착수단으로는 물탱크부(130)가 장치하우징(110)에 후크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후크부(137), 물탱크부(130)가 수조(120)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턱(136) 및 물탱크부(130)의 장치하우징(110)과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도록 보조하는 손잡이공간(134)이 해당된다.
우선,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걸림턱(136)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걸림턱(136)은 케이싱(133)의 하단에서 돌출되어, 케이싱(133)의 길이 방향(L)을 따라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5의 확대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136)은 삼각 단면을 가지는 삼각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턱(136)은 물탱크부(130)가 물통고정부(121)의 일측 상단에 형성된 걸이단(125)에 걸려 물탱크부(130)가 물통고정부(1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턱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손잡이공간(134) 및 체결후크부(137)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손잡이공간(134)은 케이싱(133)의 외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공간(134)의 상부에는 고정개구(미도시)가 형성된다. 후술할 체결후크부(137)의 굴곡부(137c)는 고정개구를 통해 손잡이공간(134)에 위치된다.
이어서, 체결후크부(137)는 케이싱(133)의 상부에 설치된다. 케이싱(133)의 상단에는 체결후크부(137)의 체결후크(137a)가 설치될 수 있도록 후크개구(133b)가 형성되어, 체결후크부(137)로 하여금 후크개구(133b) 및 고정개구를 통해 케이싱(133)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후크부(137)의 설치위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체결후크부(137)의 체결후크(137a)는 후크개구(133b)를 통해 케이싱(133) 외면으로 돌출되도록 케이싱(133)의 상부에 위치된다. 이때, 체결후크연결부(137b)는 케이싱(133) 내부에 위치되며, 굴곡부(137c)는 고정개구를 통해 손잡이공간(134)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의 확대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후크연결부(137b)는 케이싱(133) 내부에서 탄성수단(139)에 의해 물탱크(131)의 외면에 연결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후크부(137)는 다음과 같은 형상을 가진다. 체결후크부(137)는 체결후크(137a), 체결후크연결부(137b) 및 굴곡부(137c)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체이다. 여기서, 체결후크(137a)는 일정 각도로 절곡된 단면을 가진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체결후크연결부(137b)는 체결후크(137a)의 종단에서 연장되어 체결후크(137a)와 절곡된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굴곡부(137c)는 체결후크연결부(137b)의 종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어 굴곡된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케이싱(133)은 물탱크부(130)가 장치하우징(110)에 결합될 때 스위칭수단(115)과 접촉되어 스위칭수단(115)을 작동시키는 스위칭작동수단(138)을 구비한다. 스위칭작동수단(138)은 스위칭수단(115)을 작동시킬 수 있다면, 케이싱(133) 내부에 위치될 수도 있고, 장치하우징(110)과 접하는 케이싱(133)의 외면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스위칭작동수단(138)은 스위칭수단(115)이 리드스위치(115)일 때 자석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스위칭작동수단(138)은 스위칭수단(115)에 따라 가변되는 구성요소로서, 본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장치하우징(110), 수조(120), 및 물탱크부(130)의 결합 구조로 인한 안전장치로서의 기능 및 이들의 탈착방식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수조(120) 및 물탱크부(130)가 장치하우징(110)에 결합 방식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조(120)가 수조삽입개구(117) 및 안착공간(111)으로 삽입되어, 장치하우징(110)에 결합된다. 이어서, 물탱크부(130)가 수조(120)의 상부에서 안착공간(111)으로 삽입되어 장치하우징(110)에 결합된다. 상세하게는, 물탱크부(130)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136)이 걸이단(125)에 걸리는 동시에 걸이단(125)의 양 종단과 물통고정부(121) 사이에 형성된 걸림홈(125a)에 삽입되어 끼움결합된다. 그리고, 걸림턱(136)을 제외한 물탱크부(130)의 하부가 물통고정부(121)의 상단에 안착되도록, 물탱크부(130)의 상부를 안착공간(111)으로 밀어 넣는다. 이때, 체결후크(137a)는 물탱크부(130)가 안착공간(111)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안착공간(111)에 형성된 장치하우징(110)의 일면에 의해 후크개구(133b) 안으로 밀려 들어간 상태로 있다가, 안착홈에 도달하면 후크개구(133b) 밖으로 돌출되어 안착홈에 후크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결합방식에 의해, 물탱크부(130)의 걸림턱(136)이 걸이단(125) 및 걸림홈(125a)에 끼움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수조(120)는 물탱크부(130)가 장치하우징(110)에서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독자적으로 장치하우징(110)에서 분리될 수 없다. 이에 따라, 수조(120)와 물탱크부(130)의 결합 구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안전장치로서 역할을 한다.
한편, 상술한 결합 방식과 달리 수조(120) 및 물탱크부(130)가 장치하우지에서 분리되는 경우에는, 물탱크부(130)가 장치하우징(110)과의 후크결합이 해제되어 장치하우징(110)에서 수조(120)보다 먼저 분리된다. 장치하우징(110)과 물탱크부(130)의 후크결합 해제 방식은 다음과 같다. 손잡이공간(134)에 위치된 굴곡부(137c)가 손잡이공간(134)의 바깥쪽 방향으로 잡아당겨지면, 굴곡부(137c)와 연동되는 체결후크연결부(137b)는 탄성수단(139)을 누르고 이에 의해 체결후크(137a)가 후크개구(133b)를 통해 케이싱 내부에 위치된다. 이때, 물탱크부(130)는 장치하우징에서 분리된다. 한편, 굴곡부(137c)에 가해지던 외부 힘이 제거되면, 체결후크연결부(137b)는 탄성수단(139)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고, 이에 따라 케이싱 내부에 위치되었던 체결후크(137a)도 후크개구(133b)를 통해 올라와 케이싱(133) 외면에 위치된다.
다음으로, 물탱크부(130)를 상부로 들어올려 걸림턱(136)이 걸림홈(125a)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수조(120)와 끼움결합된 상태를 해제시킨다. 이에 따라, 물탱크부(130)는 장치하우징(110)에서 완전히 분리된다. 그리고, 이때, 장치하우징(110)의 스위칭수단(115)은 물탱크부(130)의 스위칭작동수단(138)과의 접촉이 해제되어, 제어부로 하여금 가습장치(10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마지막으로, 수조(120)의 손잡이부(123)를 사용하여 수조(120)를 장치하우징(110)에서 분리시킨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안전장치로서 위에서 언급된 스위칭수단(115) 및 스위칭작동수단(138), 그리고 이들의 작동 방식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물탱크부(130)가 장치하우징(110)에 결합될 때, 물탱크부(130)에 위치된 스위칭작동수단(138)이 장치하우징(110)에 위치된 스위칭수단(115)과 접촉된다. 이하에서는, 스위칭수단(115)을 리드스위치(115)로 한정하고, 스위칭작동수단(138)을 자석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리드스위치(115)는 기밀구조를 가진 글래스관(미도시) 중간에 2본의 자성합금으로 만들어진 리드(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자석(138)이 물탱크부(130)와 장치하우징(110)의 결합에 의해 리드스위치(115)와 접촉될 때, 리드스위치(115)는 자석(138)으로부터 외부자계를 받아 온(ON) 상태가 된다. 상세하게, 리드스위치(115)는 자석(138)으로부터 외부 자계를 받아, 리드의 양단이 자화되어 자기흡입력을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자기흡입력이 리드의 탄성력보다 클 때 리드스위치(115)는 온(ON) 상태가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리드스위치(115)는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되어, 제어부로 하여금 리드스위치(115)가 온(ON) 상태일 때 송풍팬이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물탱크부(130)가 장치하우징(110)에 분리되면, 리드스위치(115)는 자석(138)과의 접촉이 해제되어 자석(138)으로부터 외부 자계를 받을 수 없고 이로 인해 자기흡입력이 리드의 탄성력보다 작아지게 되어, 리드스위치(115)는 오프(OFF) 상태가 된다. 리드스위치(115)가 오프(OFF) 상태일 때, 제어부는 송풍팬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결과적으로, 리드스위치(115) 및 자석(138)은 본 발명에서 안전장치로서 역할을 한다.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100)는 수조(120)와 물탱크부(130)와의 결합 구조를 통해 물탱크부(130)와 별개로 수조(120)만 따로 장치하우징(11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더불어 스위칭수단(115) 및 스위칭작동수단(138)에 의해 물탱크부(130)가 장치하우징(110)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장치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된 송풍팬(미도시)이 작동되지 않도록 이중으로 안전장치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100)는 수조(120)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 즉, 수조삽입개구(117)가 폐쇄되지 않아 장치하우징(110)의 일부 공간이 개방된 상태일 때는 송풍팬의 작동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위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한적이기보다는 본 발명의 모든 관점들 내에서 설명적인 것이 되도록 의도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들에 의하여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된 설명들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많은 변형 및 상세한 실행이 가능하다.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된 바와 같이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110: 장치하우징 120: 수조
130: 물통 131: 물공급부
133: 케이싱 137: 체결후크부

Claims (12)

  1. 외부공기를 흡인하는 송풍팬을 구비한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에 있어서,
    일면에 안착공간(111)이 형성된 장치하우징(110);
    상기 안착공간(111)으로 삽입되어 상기 장치하우징(110)에 결합되는 수조(120);
    물을 수용하며, 상기 수조(120)의 상부에서 상기 안착공간(111)으로 삽입되어 상단이 상기 장치하우징(110)에 후크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수조(120)에 끼움결합되는 물탱크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수조(120)는 끼움결합된 상기 물탱크부(130)에 의해 상기 장치하우징(110)에 구속되어 상기 물탱크부(130)가 상기 장치하우징(110)에서 분리되는 동작에 종속적으로 상기 장치하우징(110)에서 분리되며,
    상기 물탱크부(130)는 물을 수용하고 상기 수조(120)와의 결합시 상기 수조(120)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131)가 형성된 물탱크(131) 및 상기 물탱크(131)의 일면 및 상부를 감싸도록 상기 물탱크(131)에 결합된 케이싱(133)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133)은 하단에 상기 케이싱(133)의 길이 방향을 따라 걸림턱(136)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36)은 상기 물탱크부(130)가 상기 수조(120)에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수조(120)의 일측 상단에 형성된 걸이단(125)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부(130)에는 스위칭작동수단(138)이 구비되며,
    상기 장치하우징(110)에는 상기 물탱크부(130)가 상기 장치하우징(110)에 결합될 때 상기 스위칭작동수단(138)과 접촉되어 작동되는 스위칭수단(11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115)은 상기 스위칭작동수단(138)과의 접촉시 상기 송풍팬이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스위칭작동수단(138)과의 접촉 해제시 상기 송풍팬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115)은 리드스위치이고,
    상기 스위칭작동수단(138)은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스위치는
    상기 자석과의 접촉시, 상기 자석으로부터 외부자계를 받아 온(ON) 상태가 되고,
    상기 자석과의 접촉 해제시, 상기 자석에 의해 제공되던 외부자계가 미치지않아 오프(OFF)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33)은 상기 물탱크부(130)가 상기 장치하우징(110)에 후크결합되도록 하는 체결후크부(137)를 구비하되, 외면에 상기 물탱크부(130)가 상기 장치하우징(110)에 용이하게 탈착가능하도록 보조하는 손잡이공간(134)이 형성되고, 상단에 후크개구(133b)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공간(134)에 상기 후크개구(133b)와 연통되는 고정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후크부(137)가 상기 후크개구(133b)를 통해 상기 케이싱(133)의 상단에 위치되고 상기 고정개구를 통해 상기 손잡이공간(134)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후크부(137)는
    일정 각도로 절곡된 단면을 가진 체결후크(137a);
    상기 체결후크(137a)의 종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체결후크(137a)와 절곡된 형상을 이루는 체결후크연결부(137b); 및
    상기 체결후크연결부(137b)의 종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어 굴곡된 단면을 가진 굴곡부(137c)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후크(137a)는 상기 후크개구(133b)를 통해 상기 케이싱(133) 외면으로 돌출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물탱크부(130)가 상기 장치하우징(110)에 결합될 때 상기 안착공간(111)에 형성된 안착홈에 후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후크연결부(137b)는 상기 케이싱(133) 내부에서 탄성수단(139)에 의해 상기 물탱크(131)와 연결되고 상기 굴곡부(137c)와 연동되어,
    외부 힘에 의해 상기 굴곡부(137c)가 잡아 당겨질 때 상기 굴곡부(137c)가 잡아당겨지는 방향으로 상기 체결후크(137a)와 함께 이동되고, 외부 힘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수단(139)에 의해 상기 체결후크(137a)와 함께 원래 위치로 되돌아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137c)는,
    상기 고정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손잡이공간(134)에 위치되고,
    외부 힘에 의해 잡아당겨질 때, 상기 체결후크연결부(137b)가 상기 탄성수단(139)을 눌러, 이로 인해 상기 체결후크(137a)가 상기 후크개구(133b) 안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체결후크(137a) 및 상기 체결후크연결부(137b)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
KR1020100062346A 2010-06-29 2010-06-29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 KR101685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346A KR101685956B1 (ko) 2010-06-29 2010-06-29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346A KR101685956B1 (ko) 2010-06-29 2010-06-29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520A KR20120001520A (ko) 2012-01-04
KR101685956B1 true KR101685956B1 (ko) 2016-12-13

Family

ID=45609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346A KR101685956B1 (ko) 2010-06-29 2010-06-29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9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021B1 (ko) * 2013-08-02 2015-03-18 주식회사 위닉스 에어 워셔
KR20150004205U (ko) * 2014-05-13 2015-11-24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기
KR101642645B1 (ko) * 2015-02-06 2016-07-25 문정수 다기능 책상
CN111550891A (zh) * 2020-04-01 2020-08-18 宁波布莱威尔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空气加湿器加水装置
US20210396399A1 (en) * 2020-06-23 2021-12-23 New Widetech Industries Co., Ltd. Concealed handle and air conditioning device with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975Y1 (ko) * 2006-06-05 2006-08-28 주식회사 노비타 전자석을 이용한 가습기 물탱크 분리시 전원 오프장치
JP2008039326A (ja) * 2006-08-09 2008-02-21 Sharp Corp 加湿装置
JP2009036407A (ja) * 2007-07-31 2009-02-19 Sanyo Electric Co Ltd 加湿器
JP2009273639A (ja) * 2008-05-14 2009-11-26 Mitsubishi Electric Corp ショーケースの点検蓋の開閉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975Y1 (ko) * 2006-06-05 2006-08-28 주식회사 노비타 전자석을 이용한 가습기 물탱크 분리시 전원 오프장치
JP2008039326A (ja) * 2006-08-09 2008-02-21 Sharp Corp 加湿装置
JP2009036407A (ja) * 2007-07-31 2009-02-19 Sanyo Electric Co Ltd 加湿器
JP2009273639A (ja) * 2008-05-14 2009-11-26 Mitsubishi Electric Corp ショーケースの点検蓋の開閉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520A (ko)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5956B1 (ko) 안전장치를 갖는 가습장치
CN111238020B (zh) 加湿器
US20110138568A1 (en) Double Suction Type Sterilizing Vacuum Cleaner
JP6367445B2 (ja) 加湿空気清浄機
JP2013050290A (ja)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JP6282995B2 (ja) 加湿装置
JP2008157576A (ja) 加湿機
KR101610704B1 (ko) 가습기
KR101476298B1 (ko) 공기조화기
KR101261157B1 (ko) 하방향 수증기 배출 방식의 초음파 가습기
KR102237457B1 (ko) 급수형 에어워셔
KR101304113B1 (ko) 가습기 및 그의 탱크
JP5824655B2 (ja)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CN210697480U (zh) 一种除螨吸尘地刷
JP3587151B2 (ja) 加湿機能を有する空気調和機
JP3741114B2 (ja) 加湿器
JP2013068352A (ja)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CN217082890U (zh) 送风装置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KR100554284B1 (ko) 공기조화기
JP3908441B2 (ja) 空気調和機
CN215523668U (zh) 空气净化器
KR102360877B1 (ko) 가습기 및 가전기기
JP5824610B2 (ja)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KR101335036B1 (ko) 가습기의 필터 장착구조
JPH043924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