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0858A - 조립성이 향상된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조립성이 향상된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0858A
KR20140070858A KR1020120136169A KR20120136169A KR20140070858A KR 20140070858 A KR20140070858 A KR 20140070858A KR 1020120136169 A KR1020120136169 A KR 1020120136169A KR 20120136169 A KR20120136169 A KR 20120136169A KR 20140070858 A KR20140070858 A KR 20140070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light emitting
light guide
heat dissipating
dissip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6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근호
Original Assignee
황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근호 filed Critical 황근호
Priority to KR1020120136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0858A/ko
Priority to PCT/KR2013/000927 priority patent/WO2014084448A1/ko
Publication of KR20140070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08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16Grooves, prisms, gratings, scattering particles or rough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2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e.g. with collimating, focussing or diverging surfaces
    • G02B6/0021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e.g. with collimating, focussing or diverging surfaces for housing at least a part of the light source, e.g. by forming holes or rece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68Arrangements of plural sources, e.g. multi-colour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3Light emitting diode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light sources to drivers, circuit board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모양의 입체 형상을 가지면서도 조립성이 향상되어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홈부가 형성된 도광판 상기 홈부에 수용되는 발광부 및 상기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발광부가 부착되는 방열부재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성이 향상된 백라이트 유닛 {BACK LIGHT UNIT WITH ENHANCED ASSEMBLY}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모양의 입체 형상을 가지면서도 조립성이 향상되어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BLU)은 빛을 발광하는 램프가 투명수지패널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투명수지패널은 램프의 빛의 경로 및 산란을 유도하기 위하여 일측 표면에 소정 패턴의 홈, 요철 돗트 또는 프린팅 돗트 또는 샌딩 요철이 형성된 도광판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백라이트 유닛은 발광수단으로 엘이디 램프를 채용하여 고휘도를 반 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광고 그림이나 사진 등의 배경조명으로 널리 응용되고 있으며 순수하게 조명수단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백라이트 유닛은 투명수지패널에 발광수단을 설치하기 위하여 브라켓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자재비가 상승될 뿐만 아니라 마감작업이 번거로우며 전원선이 빠질 염려가 있고 외관상으로 미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브라켓으로 인하여 기판이 직선상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만 적용이 가능하여 투명수지패널이 곡선상으로 휘거나 굴곡 형성될 경우에는 발광수단 및 브라켓 설치가 용이하지 않아 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관련된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0552589호(2006.02.16. 공고)에 개시된 즉석맞춤이 용이한 백라이트 유니트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모양의 입체 형상을 가지면서도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발광수단 배치를 위한 브라켓을 생략함으로써 박형화가 가능한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성이 향상된 백라이트 유닛은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홈부가 형성된 도광판; 상기 홈부에 수용되는 발광부; 및 상기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발광부가 부착되는 방열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방열부재는 굴곡 또는 절곡 가능한 박형의 테이프 형태일 수 있으며, 강성을 갖는 박형의 판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홈부는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부에 대응되게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도광판은 굴곡 가능하도록 유연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강성을 갖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광판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모양의 입체 형상을 가지면서도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백라이트 유닛에서 발광수단 배치를 위한 브라켓을 생략함으로써 백라이트 유닛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박형화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발광부 및 방열판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결합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발광부 및 방열판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0)은 측면(11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홈부(117)가 형성된 도광판(110), 홈부(117)에 수용되는 발광부(120) 및 측면(111)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발광부(120)가 부착되는 방열부재(140)를 포함한다.
도광판(110)은 발광소자(122, 도 4 참조)으로부터 발생된 빛을 정면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안내한다. 도광판(110)의 상부면(112)에는 V 홈(115)이 형성되어 반사되는 빛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발광소자(122, 도 4 참조)으로부터 발생된 선광원 또는 점광원을 면광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V 홈(115)이 도광판(110)의 상부면(112)에 형성되는 것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V 홈(115)은 도광판(110)의 하부면(113)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광판(110)은 일반적으로 광투과성 수지로 형성되며, 예컨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투명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10)은 굴곡 가능하도록 유연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유연하게 형성된 도광판(110)을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100)은 다양한 모양의 입체 형상을 갖는 조명 장치로의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10)의 측면(11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홈부(117)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홈부(117)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홈부(117)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홈부는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되, 발광부에 대응되게 단속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홈부(117)에는 발광부(120)가 수용된다. 여기서, 발광부(120)는 방열부재(140) 상에 배치되는데, 발광부(120)와 방열부재(140) 사이에는 접착부재(130)가 개재된다. 여기서, 접착부재(130)로는 열전도성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접착부재(130)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착부재(130)로 열전도성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발광부(12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부재(140)로 잘 전달하여 방열부재(140)의 방열 효과를 보다 우수하게 할 수 있다.
방열부재(140)는 도광판(110)의 측면(111)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열부재(140)는 굴곡이나 절곡이 가능한 박형의 테이프 형태이다. 이에 따라, 방열부재(140)는 굴곡 가능하도록 유연하게 형성된 도광판(110)의 측면(111)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으므로,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100)은 다양한 모양의 입체 형상을 갖는 조명 장치로의 구현이 용이하다.
방열부재(140)는 방열부재(140) 상에 배치된 발광소자(122)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공기 중으로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도록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열부재(140)는 알루미늄(Al), 구리(Cu) 및 이의 합금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방열부재(140)가 도광판(110)의 측면(111)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방열부재(140)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방열부재는 도광판(110)의 하부면(113)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방열부재는 측면(111)을 감싸는 방열부재(140)의 일부분이 절곡되어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방열부재는 도광판(110)의 하부면(113)을 일부만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도광판(110)의 하부면(113)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방열부재가 도광판(110)의 하부면(113) 일부를 감싸는 경우에는, 방열부재와 도광판(110)의 결합이 보다 안정적일 수 있다. 방열부재가 도광판(110)의 하부면(113) 전체를 감싸는 경우에는, 방열부재의 방열 효과를 보다 우수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발광부(120)의 기판(121)은 도광판(110)의 측면(111)에 형성된 홈부(117)에 수용되도록 테이프 형태로 방열부재(140) 상에 접착된다. 기판(121)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원선과 연결되고, 전원선은 전원인가부(150)와 연결되어 백라이트 유닛(100)의 발광소자(122)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방열부재(140)는 굴곡이나 절곡이 용이하도록 박형으로 형성되어 도광판(110)으로부터 돌출되는 두께가 미미하므로 박형의 백라이트 유닛(100)으로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10)의 측면(111)에는 홈부(117)가 형성된다. 여기서, 홈부(117)에는 발광부(120)가 수용된다. 발광부(120)는 기판(121) 및 기판(121) 상에 배치된 발광소자(122)로 구성된다. 기판(121)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로 형성될 수 있고, 발광소자(122)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발광부(120)는 방열부재(140) 상에 배치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발광소자(122)가 안착된 기판(121)이 방열부재(140) 상에 접착된다. 기판(121)과 방열부재(140) 사이에는 접착부재(130)가 개재된다. 접착부재(130)는 단면 또는 양면의 테이프일 수도 있고 일반적인 액체 상태의 접착제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광부(120)를 방열부재(140)에 고정하여 접착시킬 수 있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 가능하다.
한편, 도광판(110)의 상부면(112)에는 V 홈(115)이 형성되어 반사되는 빛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V 홈(115)이 도광판(110)의 상부면(112)에 형성되는 것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V 홈(115)은 도광판(110)의 하부면(113)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에서는 제1 실시예에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200)은 측면(21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홈부(217)가 형성된 도광판(210), 홈부(217)에 수용되는 발광부(220) 및 측면(211)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발광부(220)가 부착되는 방열부재(240)를 포함한다.
도광판(210)은 발광소자(미도시)으로부터 발생된 빛을 정면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안내한다. 도광판(210)의 상부면(212)에는 V 홈(1215)이 형성되어 반사되는 빛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발광소자로부터 발생된 선광원 또는 점광원을 면광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V 홈(215)이 도광판(210)의 상부면(212)에 형성되는 것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V 홈(215)은 도광판(210)의 하부면(213)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210)은 제1 실시예와는 다르게 강성을 갖는 판 형태로 형성된다. 도광판(210)의 측면(21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홈부(217)가 형성된다. 한편, 홈부(217)에는 발광부(220)가 수용된다. 여기서, 발광부(220)는 방열부재(240) 상에 배치되는데, 발광부(220)와 방열부재(240) 사이에는 접착부재(230)가 개재된다. 여기서, 접착부재(230)로는 열전도성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접착부재(230)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착부재(230)로 열전도성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발광부(22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부재(240)로 잘 전달하여 방열부재(240)의 방열 효과를 보다 우수하게 할 수 있다.
방열부재(240)는 도광판(210)의 측면(211)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열부재(240)는 강성을 갖는 박형의 판 형태이다. 이에 따라, 방열부재(240)는 필요에 따른 길이만큼 절단되어 도광판(210)의 측면(211) 중 일부분을 각각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방열부재(240)는 방열부재(240) 상에 배치된 발광소자(222)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공기 중으로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도록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열부재(240)는 알루미늄(Al), 구리(Cu) 및 이의 합금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방열부재(240)가 도광판(210)의 측면(211)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방열부재(240)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방열부재는 도광판(210)의 하부면(213)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방열부재는 측면(211)을 감싸는 방열부재(240)의 일부분이 절곡되어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방열부재는 도광판(210)의 하부면(213)을 일부만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도광판(210)의 하부면(213)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방열부재가 도광판(210)의 하부면(213) 일부를 감싸는 경우에는, 방열부재와 도광판(210)의 결합이 보다 안정적일 수 있다. 방열부재가 도광판(210)의 하부면(213) 전체를 감싸는 경우에는, 방열부재의 방열 효과를 보다 우수하게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방열부재(240)는 박형으로 형성되어 도광판(210)으로부터 돌출되는 두께가 미미하므로 박형의 백라이트 유닛(200)으로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유연하게 형성된 도광판(210) 및 방열부재(240)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200)은 다양한 모양의 입체 형상을 갖는 조명 장치로의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광판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모양의 입체 형상을 가지면서도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백라이트 유닛에서 발광수단 배치를 위한 브라켓을 생략함으로써 백라이트 유닛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박형화가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 백라이트 유닛 110, 210 : 도광판
111, 211 : 측면 112, 212 : 상부면
113, 213 : 하부면 115, 215 : V 홈
117, 217 : 홈부 120, 220 : 발광부
221, 221 : 기판 122, 222 : 발광소자
130, 230 : 접착부재 140, 240 : 방열부재
150, 250 : 전원인가부

Claims (13)

  1.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홈부가 형성된 도광판;
    상기 홈부에 수용되는 발광부; 및
    상기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발광부가 부착되는 방열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백라이트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는 굴곡 또는 절곡 가능한 박형의 테이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백라이트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는 강성을 갖는 박형의 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백라이트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는 금속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백라이트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는 알루미늄(Al), 구리(Cu) 및 이의 합금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백라이트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백라이트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되, 상기 발광부에 대응되게 단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백라이트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V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백라이트 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굴곡 가능하도록 유연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백라이트 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강성을 갖는 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백라이트 유닛.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방열부재 상에 배치된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백라이트 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와 상기 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백라이트 유닛.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전원인가부와 연결되어 상기 발광소자에 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백라이트 유닛.
KR1020120136169A 2012-11-28 2012-11-28 조립성이 향상된 백라이트 유닛 KR2014007085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169A KR20140070858A (ko) 2012-11-28 2012-11-28 조립성이 향상된 백라이트 유닛
PCT/KR2013/000927 WO2014084448A1 (ko) 2012-11-28 2013-02-05 조립성이 향상된 백라이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169A KR20140070858A (ko) 2012-11-28 2012-11-28 조립성이 향상된 백라이트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858A true KR20140070858A (ko) 2014-06-11

Family

ID=50828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6169A KR20140070858A (ko) 2012-11-28 2012-11-28 조립성이 향상된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070858A (ko)
WO (1) WO201408444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1916A (ja) * 1999-09-29 2001-04-13 Sanyo Electric Co Ltd 面光源装置
KR100552589B1 (ko) * 2005-10-26 2006-02-16 화우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즉석맞춤이 용이한 백라이트 유니트
KR100826401B1 (ko) * 2005-12-02 2008-05-02 삼성전기주식회사 Led 백라이트 장치
KR101098934B1 (ko) * 2009-04-02 2011-12-28 동하정밀 주식회사 면 조명장치
KR20120066452A (ko) * 2010-12-14 2012-06-22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면 발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84448A1 (ko)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7796B2 (ja) 液晶表示装置
JP4633147B2 (ja) 面光源装置
CA2626448A1 (en) Backlight unit capable of easily forming curved and three-dimensional shape
JP2006269140A (ja) 照明装置
KR20140079125A (ko) 표시 장치
JP2010080372A (ja) 照明装置
KR20020035819A (ko) 방수, 방진 구조를 가진 방열판 겸용 반사면을 구비한발광소자 매트릭스 모듈 및 그 형성방법
WO2006080198A1 (ja) 面状照明装置
JP2007193946A (ja) 発光装置
TWI510144B (zh) 散熱印刷電路板及包含其之基座組件
WO2012099001A1 (ja)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5294198B2 (ja) 車両用信号灯
JP5530778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9289663A (ja) 面状光源照明装置
KR100791594B1 (ko) 방열부를 갖는 조명장치
JP2010271661A (ja) 液晶モジュール
KR20140070858A (ko) 조립성이 향상된 백라이트 유닛
JP2010276628A (ja) 液晶表示装置
JP5556116B2 (ja) 光源ユニットならびに照明装置
KR101887623B1 (ko) 인쇄회로기판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유닛
JP2006235093A (ja) 表示装置
JP6531408B2 (ja) 照明ユニット
WO2017110366A1 (ja) 車両用照明装置
JP6046015B2 (ja) 面状照明装置
JP2010089573A (ja) Led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車内照明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