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0166A - 패널과 백라이트유닛 조립용 지그장치 - Google Patents

패널과 백라이트유닛 조립용 지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0166A
KR20140070166A KR1020120138326A KR20120138326A KR20140070166A KR 20140070166 A KR20140070166 A KR 20140070166A KR 1020120138326 A KR1020120138326 A KR 1020120138326A KR 20120138326 A KR20120138326 A KR 20120138326A KR 20140070166 A KR20140070166 A KR 20140070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nel
jig
assembling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8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희대
피광석
Original Assignee
최희대
피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희대, 피광석 filed Critical 최희대
Priority to KR1020120138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0166A/ko
Publication of KR20140070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01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지그본체와, 지그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패널 안착부와, 패널안착부를 승강구동시키는 승강구동부와, 패널 안착부에 진공흡입력을 제공하여 패널 안착부에 안착되는 패널을 흡착하여 지지하도록 하는 제1진공발생부와, 지그본체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백라이트유닛이 장착되는 커버유닛과, 커버유닛에 안착되는 백라이트유닛에 진공흡착력을 제공하여 커버유닛에 지지되도록 하는 제2진공발생부;를 포함하고, 커버유닛과 지그 본체 각각에는 복수의 얼라인홀에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과 백라이트유닛 조립용 지그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패널과 백라이트유닛 조립용 지그장치{A ZIG APPARATUS FOR ASSEMBLING PANNEL AND BACK LIGHT UNIT}
본 발명은 패널 조립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백라이트유닛(BLU)을 접합하여 조립하는 패널 조립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정보표시장치(information display device)는 전기적인 신호를 시각 영상으로 변환시켜 인간이 직접 정보를 해독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전자소자로서 일종의 전자-광학적(electro-optical) 소자이다.
이러한 전자정보 표시장치 중의 하나로 최근에 각광을 받고 있는 것으로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및 LCD가 있으나, 가벼우며 소형으로 제작하기가 용이하고 초점에 흐려짐이 없으며 정전기를 발생하지 않는 등의 장점 등을 가지는 이유로 인하여 최근에 LCD를 노트북, CAR 네비게이션, 컴퓨터 모니터 및 휴대폰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에는 빛을 밝게 확산시켜 조사하는 BLU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BLU는 LCD 패널의 하부에 광원을 두어 패널의 전면을 직접 조명하는 방식의 직하방식과 LCD 패널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광원을 두어 도광판 및 반사판 등에 의하여 조명하는 에지(edge)방식으로 나누어진다.
특히, 휴대폰에 사용되는 LCD는 에지 방식의 BLU를 채택하고 있으며, 이러한 BLU는 백라이트 조립체와 광학필름들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LCD 패널과 BLU는 조립공차 없이 정밀하고 상호 접합되도록 조립해야 하므로, 그 정밀성이 요구되고, 접착성이 우수한 접착물질에 의해 상호 접합되어 조립되므로, 한번 조립된 상태에서는 분리가 어렵고 분리되더라도 LCD 패널에 손상이 가므로, 정밀하게 조립하여 조립불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LCD 패널과 BLU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조립불량을 줄일 수 있는 LCD 패널과 BLU의 조립용 지그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LCD 패널과 백라이트유닛을 정밀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개선된 패널과 백라이트유닛 조립용 지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패널과 백라이트유닛 조립용 지그장치는, 지그본체와; 상기 지그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패널 안착부와; 상기 패널안착부를 승강구동시키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패널 안착부에 진공흡입력을 제공하여 상기 패널 안착부에 안착되는 패널을 흡착하여 지지하도록 하는 제1진공발생부와; 상기 지그본체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백라이트유닛이 장착되는 커버유닛과; 상기 커버유닛에 안착되는 백라이트유닛에 진공흡착력을 제공하여 상기 커버유닛에 지지되도록 하는 제2진공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유닛과 상기 지그 본체 각각에는 복수의 얼라인홀에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패널과 백라이트유닛 조립용 지그장치에 따르면, 얼라인상태를 조립과정에서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고, 사용과정에서도 얼라인 상태를 수시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패널과 백라이트유닛을 조립하는 과정이 용이하고, 작업자가 단순한 과정을 통해 정밀하게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불량률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과 백라이트유닛 조립용 지그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과 백라이트유닛 조립용 지그장치를 나타내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과 백라이트유닛 조립용 지그장치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과 백라이트유닛 조립용 지그장치를 나타내 보인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과 백라이트유닛 조립용 지그장치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패널과 백라이트유닛을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과 백라이트유닛 조립용 지그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과 백라이트유닛 조립용 지그장치(100)는, 지그본체(110)와, 지그본체(1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패널 안착부(120)와, 패널안착부(120)를 승강구동시키는 승강구동부(130)와, 패널 안착부(120)에 진공흡입력을 제공하여 패널 안착부(120)에 안착되는 패널(10)을 흡착하여 지지하도록 하는 제1진공발생부(140)와, 지그본체(110)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백라이트유닛(20)이 장착되는 커버유닛(150)과, 커버유닛(150)에 안착되는 백라이트유닛에 진공흡착력을 제공하여 커버유닛(150)에 지지되도록 하는 제2진공발생부(160)와, 커버유닛(150)에 설치되는 테스트용 단자연결유닛(170)을 구비한다.
지그본체(110)는 베이스하우징(111)과, 베이스하우징(111)의 상부에 연결되는 플레이트형의 지그플레이트(112)를 가지며, 베이스하우징(111)의 상부를 개방되어 있다. 베이스 하우징(111)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패널안착부(120)가 외부로 노출되며 승강구동부(130)에 의해 승강이동가능하게 된다. 베이스하우징(111)의 내부에 승강구동부(130) 및 제1진공발생부(140)가 설치된다.
지그플레이트(112)의 상면에는 다수의 제1얼라인홀(h1)과, 제2얼라인홀(h2)이 베이스 하우징(111)의 개방구 주변에 형성된다. 또한, 지그플레이트(112)에는 다수의 조작버튼과 조작스위치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승강구동부(130)는 패널안착부(120)를 지지한 채 승하강 구동 가능한 실린더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안착부(120)에는 패널(10)이 안착되며, 그 내부에는 제1진공발생부(140)에서 제공되는 진공압이 패널(10)에 작용하도록 하는 진공유로가 형성된다.
제1진공발생부(140)는 패널안착부(120)에 형성되는 진공유로에 연결되는 연결관(호스)과, 연결관에 연결되어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유닛(150)은 지그플레이트(112)의 상부에 회동유닛(180)에 의해 회동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다. 회동유닛(180)은 경첩, 힌지 등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가조립상태에서 커버유닛(150)의 커버몸체(151)에 형성된 제3얼라인홀(h3)을 지그플레이트(112)의 제1얼라인홀(h1)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완전하게 조립함으로써, 커버유닛(150)을 지그플레이트(112) 즉, 패널안착부(120)에 대해 얼라인 조절하여 정확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6과 같이 커버유닛(150)을 덮은 상태에서 제1 및 제2얼라인홀(h1,h2)에 얼라인 조절핀을 끼워 넣어서 얼라인을 맞춘 상태에서, 회동유닛(180)을 완전하게 조립함으로써, 커버유닛(150)을 지그플레이트(112)에 얼라인상태로 조립할 수 있다.
한편, 커버유닛(150)의 커버몸체(151)에는 백라이트유닛(20)이 안착되는 안착홈(151a)이 인입 형성되어 있으며, 안착홈(151a)에는 백라이트유닛(20)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패드(161)가 복수 설치된다. 이 흡착패드(161)는 상기 제2진공발생부(160)에 연결되어 진공흡입력이 작용하여 안착홈(151a)에 안착된 백라이트유닛(20)을 흡착하여 고정시킨다.
커버몸체(151)에는 제2얼라인홀(h2)에 대응되는 제4얼라인홀(h4)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얼라인홀(h1,h2)은 초기에 커버유닛(150)을 지그플레이트(112)에 조립할 때 얼라인하기 위한 것이고, 제3 및 제4얼라인홀(h3,h4)은 평상시에는 밀봉되어 사용하지 못하도록 마련되다가 오랜 시간 반복하여 지그장치를 사용시 제1 및 제2얼라인홀(h1,h2)이 마모되어 얼라인공차 발생시, 개봉하여 사용함으로써 얼라인조립상태를 다시 조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상기 제2진공발생부(160)는 흡착패드(161)와, 커버몸체(151)에 형성된 진공유로를 통해 흡착패드(161)까지 진공흡입력을 전달하도록 연결되는 연결관(162)을 통해 연결되어, 진공흡입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2진공발생부(160)도 진공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자연결유닛(170)은 커버 몸체(151)에 설치되며, 접속부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안착홈(151a)에 안착된 백라이트유닛(20)에 접속되어 동작상태를 테스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백라이트유닛(20)을 패널(10)과 접합하여 조립할 때에는 패널(10)과 간섭되지 않도록 접합공간에서 벗어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커버몸체(151)에는 손잡이(153)가 더 설치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패널 조립용 지그장치(100)의 조립과정 및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먼저, 커버유닛(150)을 지그플레이트(112) 상에 가 조립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얼라인홀(h1,h2)에 얼라인핀을 끼워넣어서 얼라인을 맞춘 후, 회동유닛(180)을 완전히 고정시켜서 조립을 완료한다.
조립이 완료되면, 패널(10)과 백라이트유닛(20)을 조립하게 되는데, 먼저 도 4 및 도 5와 같이 패널 안착부(120)에 패널(20)을 안착시킨다. 그런 다음, 패널(20)을 제1진공발생부(140)를 구동시켜 패널 안착부(120)에 흡착시켜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커버유닛(150)에 백라이트유닛(20)을 안착시켜서 제2진공발생부(160)로 흡착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백라이트유닛(20)에 단자연결유닛(170)을 연결하여 작동상태를 테스트한다.
테스트 후, 단자연결유닛(170)을 분리하고 백라이트유닛(20)의 접합면의 이면지를 제거한다.
이후 커버유닛(150)을 도 6과 같이 닫고, 도 7과 같이 승강구동부(130)를 구동시켜서 패널안착부(120)을 상승시켜서 패널(10)과 백라이트유닛(10)을 접합시킨다.
그리고 나서 패널안착부(120)에 작용하는 진공흡입력을 해제하고, 다시 도 8과 같이 승강구동부(130)에 의해 패널안착부(120)를 하강시키면, 패널(10)은 백라이트유닛(20)과 결합된 상태로 남는다.
이 상태에서 다시 커버유닛(150)을 도 9와 같이 오픈시키면, 패널(10)과 백라이트유닛(20)이 접합된 상태로 커버유닛(150)에 흡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9의 상태에서 다시 백라이트유닛(20)을 테스트한 뒤, 제2진공발생부(160)를 오프시켜 진공흡입력을 해제한 상태에서 백라이트유닛(20)이 조립된 패널(10)을 커버유닛(150)에서 분리하면 패널 조립공정이 마무리된다.
이때, 상기 커버유닛(150)을 덮은 상태에서 스위치를 동작시키면 승강구동부(130)가 천천히 상승하여 패널(10)이 백라이트유닛(20)과 접합되는데, 이러한 접합공정이 이루어지는 시간을 카운트한 뒤, 완료된 이후를 알려주는 신호를 소리 또는 점등LED 등을 통해 작업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접합이 완료되기 전에 커버유닛(150)을 개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0..패널 조립용 지그장치 110..지그본체
120..패널안착부 130..승강구동부
140..제1진공발생부 150..커버유닛
160..제2진공발생부 170..단자연결유닛
180..회동유닛

Claims (1)

  1. 지그본체와;
    상기 지그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패널 안착부와;
    상기 패널안착부를 승강구동시키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패널 안착부에 진공흡입력을 제공하여 상기 패널 안착부에 안착되는 패널을 흡착하여 지지하도록 하는 제1진공발생부와;
    상기 지그본체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백라이트유닛이 장착되는 커버유닛과;
    상기 커버유닛에 안착되는 백라이트유닛에 진공흡착력을 제공하여 상기 커버유닛에 지지되도록 하는 제2진공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유닛과 상기 지그 본체 각각에는 복수의 얼라인홀에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과 백라이트유닛 조립용 지그장치.
KR1020120138326A 2012-11-30 2012-11-30 패널과 백라이트유닛 조립용 지그장치 KR201400701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326A KR20140070166A (ko) 2012-11-30 2012-11-30 패널과 백라이트유닛 조립용 지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326A KR20140070166A (ko) 2012-11-30 2012-11-30 패널과 백라이트유닛 조립용 지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166A true KR20140070166A (ko) 2014-06-10

Family

ID=51125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8326A KR20140070166A (ko) 2012-11-30 2012-11-30 패널과 백라이트유닛 조립용 지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01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11133A (zh) * 2016-02-24 2016-04-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模组组装方法及装置
CN108000423A (zh) * 2018-01-02 2018-05-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组装装置、显示器组装设备以及显示器组装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11133A (zh) * 2016-02-24 2016-04-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模组组装方法及装置
CN105511133B (zh) * 2016-02-24 2019-01-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模组组装方法及装置
CN108000423A (zh) * 2018-01-02 2018-05-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组装装置、显示器组装设备以及显示器组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9425B2 (en) Component illumination apparatus, systems, and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the same
KR101788198B1 (ko) 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션 방법
KR101979726B1 (ko) 윈도우 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제조방법
US8797474B2 (en) Methods for assembling display structures with alignment features
KR101311855B1 (ko) 기판합착장치 및 기판합착방법
KR102278254B1 (ko)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곡면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TWI660849B (zh) 用於層壓系統之壓力感測級
CN104339813A (zh) 真空贴合设备及贴合方法
KR102033886B1 (ko) 디스플레이 패널 테스트 지그용 컨택소켓
JPWO2017154049A1 (ja) 液晶バックライト装置
JP2011186403A (ja) 組み合わせ装置
JP2012221925A (ja) 組立治具
KR20140070166A (ko) 패널과 백라이트유닛 조립용 지그장치
KR101029354B1 (ko) 터치 패널용 강화유리 접착 지그
CN104317095B (zh) 液晶显示模组结构及应用其的手机
CN107193140B (zh) 一种薄膜压合装置及压合方法
KR101395821B1 (ko) 기판 합착기
KR101663049B1 (ko) 자동 얼라인이 가능한 평판 디스플레이 조립장치
KR20140065783A (ko) 합착 장치
KR102247937B1 (ko) 패널 합착장치
KR20070055198A (ko) 평판 표시 장치의 연성인쇄회로기판 부착 장치 및 이를이용한 연성인쇄회로기판 부착 방법
KR101699718B1 (ko) 듀얼 스테이지를 구비한 진공챔버 합착장치
KR101990854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합착장치 및 합착기판 제조방법
KR101569153B1 (ko) 휴대폰용 엘씨디 액정화면과 백라이트 접합장치
CN105353548A (zh) 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